대한민국의 성 불평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성 불평등은 성 평등 지수, 역사, 직업적 불평등, 가정 내 불평등, 교육 기회 불평등, 일상생활, 미디어, 젠더 폭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난다. 성 불평등 지수는 보고서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유교적 가치관과 역사적 사건이 영향을 미쳤다. 직업적으로는 임금 격차, 고용 차별, 시간제 고용, 산업 분리, 육아 휴직의 어려움 등이 존재하며, 가정에서는 전통적 성 역할로 인해 여성의 역할이 제한된다. 교육 기회는 증가했지만, 3차 교육을 받은 여성의 고용률은 낮다. 일상생활에서는 애교 강요, 탈코르셋 운동 등이 나타나며, 미디어에서는 여성 연예인에 대한 이중 잣대가 존재하고 K-pop 산업에서 여성 아이돌의 상품화가 이루어진다. 젠더 폭력 또한 심각한 문제로, 여성 살인, 데이트 폭력 등이 발생하며, 강남역 살인사건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젠더 - 현모양처
현모양처는 훌륭한 어머니이자 어진 아내를 의미하는 단어로, 중국과 일본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여성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담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여성 -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여성 감독 작품 상영을 중심으로 아시아와 세계를 잇는 여성영화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하며, 아시아 여성 영화 인력 발굴 및 사회적 메시지 전달을 위해 노력하는 영화제이다. - 대한민국의 여성 - 대한민국의 여성 운동
대한민국의 여성 운동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성폭력 특별법 제정, 호주제 폐지 등을 거치며 발전해 왔고, 1990년대부터 페미니즘 리부트, 디지털 성범죄, 미투 운동, 낙태죄 폐지 등 다양한 쟁점을 통해 여성의 권익 신장과 사회적 평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여성 권리 - 여성의당
여성의당은 2020년 3월 8일 국제 여성의 날에 창당된 대한민국 정당으로, 여성의 안전과 권익 보장, 성평등한 사회 구현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을 유지하고 있으나, 트랜스젠더 배제적 입장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여성 권리 - 대한민국의 낙태
대한민국의 낙태는 1973년 모자보건법 제정 이후 제한적으로 허용되다 2019년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낙태죄가 폐지되었으나, 낙태 허용 범위, 여성 건강권, 태아 생명권 보호에 대한 사회적 논쟁과 안전한 임신과 출산 환경 조성, 피임 교육 강화, 미혼모 지원 확대 등의 과제가 남아있는 사회적, 법적 변화를 다루는 내용이다.
대한민국의 성 불평등 | |
---|---|
개요 | |
주제 | 성 불평등 |
위치 | 대한민국 |
현황 | |
세계 경제 포럼 성 격차 지수 (2017) | 118위/144개국 |
설명 | 성별에 따른 경제적 참여, 교육적 성취, 건강과 생존, 정치적 권한의 격차를 측정 |
원인 | |
사회적 요인 | 성 역할 고정관념, 가부장제, 유교 사상 잔재 |
경제적 요인 | 유리 천장, 성별 임금 격차, 여성의 경력 단절 |
정치적 요인 | 여성의 정치 참여 부족, 여성 관련 정책 미흡 |
영향 | |
사회적 영향 | 여성 혐오, 성차별, 데이트 폭력, 가정 폭력 |
경제적 영향 | 낮은 출산율, 경제 성장 저해, 인적 자원 활용 미흡 |
개인적 영향 | 여성의 자존감 하락, 정신 건강 악화, 사회 참여 기회 감소 |
해결 노력 | |
법률 및 정책 | 남녀고용평등법, 성매매특별법, 가정폭력방지법, 여성가족부 설립 |
사회 운동 | 미투 운동, 페미니즘 운동 |
교육 및 인식 개선 | 성 평등 교육 강화, 미디어의 성차별적 묘사 개선 |
관련 통계 (출처 필요) | |
성별 임금 격차 | OECD 평균보다 높음 |
여성 고용률 | 남성보다 낮음 |
여성 국회의원 비율 | 선진국에 비해 낮음 |
참고 자료 | |
서적 |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A Critical Perspective Encyclopedia of Business Ethics and Society |
보고서 | The Global Gender Gap Report 2017 |
2. 성평등 지수
성 불평등을 측정하는 방식은 다양하며, 어떤 지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대한민국의 성평등 수준에 대한 평가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2017년 유엔 개발 계획(UNDP)의 성 불평등 지수(GII)에서는 대한민국이 160개국 중 10위로 비교적 높은 순위를 기록했지만, 같은 해 세계 경제 포럼(WEF)의 글로벌 성 격차 보고서(GGGR)에서는 144개국 중 118위로 매우 낮은 평가를 받았다.[88][89]
이러한 차이는 각 지표가 측정하는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브라니사(Branisa) 등의 2013년 연구에 따르면, 글로벌 성 격차 보고서(GGGR)와 같은 지수는 주로 결과적인 측면, 즉 조직 내 성 불평등이나 건강상의 성 불평등과 같은 가시적인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90] 반면, 사회 제도 및 성 지수(SIGI)와 같은 지표는 법률, 규범, 관행 등 성 불평등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원인, 즉 사회 제도적 측면에 주목한다.[90]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SIGI 만점을 받지 못한 3개국 중 하나로[90], 차별적인 가족법 측면에서는 매우 낮은 수준, 시민적 자유 제한은 낮은 수준, 자원 및 자산 접근성 제한은 중간 수준으로 평가되었다.[91]
한편, 성평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높은 편이다. 2010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93%가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응답자의 71%는 양성평등 실현을 위해 더 많은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92]
2. 1. 2020년 세계 성별 격차 보고서
세계 경제 포럼(WEF)이 발표한 2020년 세계 성별차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성 격차는 분야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93]하위 지수 | 순위 (144개국 중) | 점수 (0 = 불평등, 1 = 평등) | 평균 점수 |
---|---|---|---|
경제 참여 및 기회 | 127 | 0.555 | 0.582 |
교육 성취 | 101 | 0.973 | 0.954 |
건강 및 생존 | 1 | 0.980 | 0.958 |
정치적 권한 부여 | 79 | 0.179 | 0.239 |
2020년 보고서에서 대한민국은 건강 및 생존 지표에서 1위를 기록하며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정치적 권한 부여 지표 역시 보고서가 처음 발간된 2006년에 비해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정치적 권한 부여(79위)는 물론 교육 성취(101위), 경제 참여 및 기회(127위) 분야에서는 여전히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93]
지표 | 대한민국의 여성 대 남성 비율 | 평균 여성 대 남성 비율 |
---|---|---|
유사 노동에 대한 동일 임금 | 0.551 | 0.613 |
예상 근로 소득 | 0.476 | 0.499 |
국회의원, 고위 공무원 및 관리자 | 0.108 | 0.356 |
3차 교육기관(고등교육) 입학 | 0.791 | 0.931 |
여성 국회의원 | 0.200 | 0.298 |
여성 장관 | 0.285 | 0.255 |
여성이 국가원수였던 해 (최근 50년 간) | 0.104 | 0.190 |
한국의 성 불평등은 역사적으로 유교 사상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일제 강점기 동안 자행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같은 역사적 경험을 통해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94][95][63][37] 근현대에 들어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스캔들과 탄핵 과정에서도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관련된 논란이 일기도 했다.[95][37] 그러나 현대 한국 사회는 다양한 법률 제정 및 정책 수립을 통해 성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다.[96][64]
3. 역사
3. 1. 유교
유교는 한국 사회에 오랜 기간 영향을 미친 사회정치적 철학이자 신념 체계이다.[97] 중국에서 유래한 유교는 한나라 이후 성 역할에 대한 주류 담론을 형성했으며, 유교를 받아들인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의 성 인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유교는 4세기에 한국에 처음 전파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성리학이 국가 이념으로 채택되었다.[98]
유교는 균형 있고 조화로운 사회를 이루기 위해 사회적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질서는 인간관계를 설명하는 핵심 원리인 오륜(군신유의, 부자유친,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으로 구체화된다.[99] 각 관계 내 역할과 의무도 규정되었는데, 부부 관계에서는 남편이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아내는 가정에 머물며 자녀 양육과 가사를 돌봐야 했다. 이후 유교 문헌에 등장하는 삼강은 오륜의 연장선상에서 관계의 위계적 성격을 더욱 강조한다. 즉, 지배자는 피지배자 위에, 아버지는 자식 위에, 남편은 아내 위에 있다는 것이다.[100] 이러한 유교의 핵심 원칙은 아내가 남편에게 복종해야 하는 종속적인 역할을 강조한다.[100]
여성의 예속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또 다른 유교의 핵심 가르침은 삼종사덕이다.[101] 이는 여성이 사회에서 따라야 할 행동 지침으로, 여성이 결혼 전에는 아버지를, 결혼 후에는 남편을, 남편 사후에는 맏아들을 따라야 한다는 '삼종(三從)'과 함께, 네 가지 덕목인 성적 도덕성, 바른 말씨, 겸손한 태도, 근면함을 갖춰야 한다는 '사덕(四德)'을 의미한다.[101]
조선 시대는 사회의 중심 이념이 불교에서 유교로 전환되면서 성 역할에도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 시기 결혼 제도와 친족 관계는 모계적 요소보다는 부계적 질서를 중심으로 재편되었다.[102] 남편의 역할이 아내보다 우월하게 평가되면서, 남성은 상속 문제에 대한 결정권을 가졌을 뿐 아니라 이혼할 권리 또한 국가와 남편에게만 주어졌다.[103] 남편은 아내가 칠거지악(시부모 불순종, 아들을 낳지 못함, 간통, 질투, 심각한 질병, 도둑질, 수다스러움)에 해당할 경우 이혼을 요구할 수 있었다.[103]
3. 2. 일본군 '위안부'
일제 강점기 동안 수많은 한국 여성이 일본 제국주의 군대의 성노예인 '위안부'로 강제로 동원되었다.[104][105] 이는 단순한 개인적 일탈이 아닌, 군 조직 차원에서 이루어진 체계적인 여성 인권 유린이었다.
한국학 연구자 한주희와 천지혜는 군 조직 내에서 여성과 남성, 약함과 강함, 지배와 피지배를 나누는 성별 고정관념을 이용해 여성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했다고 지적한다.[104] 이들은 이러한 군 성노예 제도가 한국 사회의 성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가부장제적 사고방식을 강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104]
'위안부' 피해 여성들은 극심한 폭력과 성차별에 시달렸다. 여성학 연구자 안연선(Yonson Ahn영어)은 계급이 낮은 군인들이 '위안부' 여성을 성적으로 학대하며 폭력을 행사했는데, 이는 계급이 높은 군인으로부터 받는 억압과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식 중 하나였다고 분석한다.[107] 안연선은 군인들이 폭력을 일상화하고 왜곡된 남성성을 확인하기 위해 '위안부' 여성을 '그림자 가족(shadow family영어)'처럼 취급했다고 설명한다.[107]
3. 3. 법과 제도의 변화
한국의 민주화 이후 여성운동이 활발해졌다.[108][109][28][29] 20세기 후반 들어 대한민국 정부는 성 평등 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법률들을 제정하며 제도적 변화를 모색하기 시작했다.[96][64]
제정 연도 | 법률명 |
---|---|
1987년 | 남녀고용평등법[108][28] |
1989년 |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110][30] |
1991년 | 모자보건법[111][31] |
1993년 |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111][31] |
1995년 | 여성발전기본법[111][31] |
1997년 |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111][31] |
2005년에는 여성가족부가 신설되었고 호주제가 폐지되는 등 제도적 변화가 이어졌다.[104][108][32] 이러한 노력으로 정책 결정과 정부 운영에서의 성 평등은 지난 수십 년간 개선되었으나, 노동 시장의 성 평등이나 성별 분업 문제의 개선은 정체되어 있다.[104][112][33][32]
3. 4.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1948년 여성이 투표권과 참정권을 얻었지만, 대한민국 정치계에서 여성은 역사적으로 과소 대표되어 왔다.[113][114][115][34][35][36] 2012년, 박근혜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많은 이들이 이를 한국 성 평등을 위한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했다.[37][38]
그러나 4년 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지고 이어진 탄핵은 그녀의 당선으로 이루어진 진전을 무효화시켰고, 많은 이들은 여성이 국가를 이끌 자격이 없다는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95][116][37]
한편, 전문가들은 박근혜를 여성 정치인으로 보는 것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들은 박근혜가 자신의 성별을 보수 정치의 이익을 위해 기회주의적으로 활용했으며, 정치적 문제를 성별 문제인 것처럼 포장하려 했다고 지적했다.[117][118][39] 또한, '준비된 여성 대통령'이라는 구호는 표면적인 장식에 불과했으며, 실제 당선의 주요 요인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라는 정치적 자산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117][118]
4. 직업적 불평등
한국의 직업적 불평등은 선진국 중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88][89][7][3] 이러한 불평등은 한국의 임금 격차, 고용률, 종사 업종의 분리, 육아휴직 관련 통계 등 다양한 지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성별 임금 격차
2001년 연구에 따르면,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남성은 비슷한 기술을 가진 여성보다 33.6%에서 46.9% 더 많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119][41] OECD는 2017년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가 회원국 중 가장 크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OECD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계속 최하위를 기록한 것이다.[120][121][42][43] 당시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34.6%로, OECD 평균인 13.1%와 큰 차이를 보였다.[122][44] 2000년에 비해 2017년에는 격차가 7% 개선되었지만,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개선 속도는 느리다.[121][43] 이 때문에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산업화된 국가들 중 가장 나쁘다" 또는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123][45] 또한, 한국은 2020년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유리 천장 지수에서도 8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124][46] 유리 천장 지수는 임금 격차, 노동 참여율, 고위직 여성 비율, 유급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권리 등 10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국가별 성과를 평가한다.[125][47]4. 2. 고용 성차별
여성은 남성에 비해 저임금, 비정규직 일자리에 종사하는 경향이 있으며, 직장 내 고위 관리직으로 승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여성의 고용 기회는 지난 수십 년간 꾸준히 증가해왔다.[126][49] 6.25 전쟁 이전 여성 고용률은 30% 미만이었으나,[127][48]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8년 경제 조사에 따르면 한국 여성 고용률은 약 56.1%로 추정되어 OECD 전체 평균(59.3%)보다는 낮은 수준이다.[126][49] 반면, 남성 고용률은 75.9%로 OECD 평균(74.7%)보다 약간 높다.[126][49]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35%로, OECD 국가 평균인 13.8%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131] 또한 세계 경제 포럼에 따르면, 한국은 여성의 경제 참여와 기회 측면에서 조사 대상 149개국 중 124위를 기록하여 국제적으로도 낮은 평가를 받았다.[130][52] 이러한 격차는 기업 이사회나 리더십 역할 등 고위직으로 갈수록 심화되는 유리 천장 현상으로도 이어진다.[131]
직장 내 성 불평등의 원인으로는 여러 요인이 지적된다. 2013년 패터슨(Patterson)과 월컷(Walcutt)의 연구는 법 집행의 부족, 약한 처벌 시스템, 성차별을 용인하는 전통적 사고방식에 기반한 조직 문화, 그리고 많은 기업들이 평등 기회(Equal Opportunity, EO) 규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점 등을 문제로 꼽았다. 또한 여성들이 현 상황을 암묵적으로 수용하는 경향도 원인 중 하나로 언급되었다.[128][50]
사회적으로나 가족 내에서 여성에게 주요 돌봄 노동자 역할을 기대하는 문화 역시 고용 불평등에 영향을 미친다. OECD는 "여성은 자녀를 갖게 되면 노동 시장에서 이탈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양질의 영유아 교육 및 보육 기관 부족의 영향을 받는다"고 분석했다.[126][49][129][51] 과거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여성들이 가족을 이루는 초기에 노동 시장을 떠났으나,[129][51] 최근에는 임신 직전이나 임신 중에 이탈하는 경향으로 시기가 늦춰졌다.[129][51] 연구자 메이(May)는 이러한 변화가 여성의 경제적 독립성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129][51]
여성들은 구직 과정에서도 차별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면접 등에서 결혼 여부나 자녀 계획에 대한 질문을 받거나, 특정 직업 분야가 '남성 중심적'이므로 여성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식의 제안을 받기도 한다.[130][52]
4. 3. 시간제 고용 및 산업적 분리
여성 고용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국 노동 시장은 성별에 따른 정규직-비정규직 및 산업별 분리 현상이 여전히 강하게 나타난다.[132][133][53][54] 2017년 기준으로, 한국 여성은 정규직(상시 고용) 인력의 39.5%를 차지하는 반면, 시간제 고용에서는 62.7%로 더 높은 비중을 보였다.[132][53] 이러한 여성의 높은 시간제 고용률은 가사와 육아를 여성의 주된 책임으로 여기는 한국의 전통적인 유교적 성 역할 관념과 일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133][54] OECD는 2002년 고용 전망 분석에서 시간제 고용이 특히 여성이 직업 활동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134][55]고용 형태의 차이뿐 아니라, 산업별 성별 분리 역시 한국의 성 불평등을 보여주는 지표이다.[133][54] 1994년 Monk-Turner의 연구에서는 당시 여성 노동자의 66.3%가 농업 및 생산 부문에, 29%는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에 종사한다고 보고했다.[133][54] 그러나 2017년 국제노동기구(ILO) 통계에 따르면, 농업 부문 고용은 남녀 모두 약 5%로 감소했으며, 여성 노동력의 82.1%는 서비스 부문에 집중되었다. 제조업에는 11.5%, 건설업에는 1.4%가 종사했다.[135][56] 이는 남성 노동자의 산업 분포(서비스업 61.9%, 제조업 20.8%, 건설업 11.2%)와 비교했을 때, 여성이 특정 산업, 특히 서비스업에 훨씬 더 집중되어 있음을 시사한다.[135][56]
지난 20여 년간 농업 인구가 감소하는 국가적 추세 속에서도, 여성 노동 인구는 특정 산업에 고도로 집중되는 경향이 남성보다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2018년 OECD 한국 경제 보고서는 기업가 영역에서도 유사한 분리 현상을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 기업가들은 보건, 사회복지, 숙박 및 음식점, 기타 개인 서비스 및 교육 서비스와 같은 기초 생활 관련 부문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여성이 자금 조달이나 관련 교육 배경에 접근하는 데 더 많은 제약을 받는 현실을 반영할 수 있다.[136][57]
4. 4. 육아 휴직
대한민국은 법적으로 12주의 출산 휴가와 OECD 국가들 중 가장 긴 수준에 해당하는 총 53주의 유급 육아휴직 기간을 보장하고 있으며, 특히 남성의 유급 육아 휴직 기간도 51주에 달한다.[112][123][137][138][33][58][45][59] 그러나 실제 기업 문화 속에서는 이러한 휴가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비공식적으로 사용을 꺼리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다.[112][123][137][138][33][58][45][59]이러한 현실 때문에 많은 여성들은 출산 후 직장을 떠나도록 강요받고 있다.[112][123][137][138][33][58][45][59] 결과적으로 일하는 부모, 특히 여성(워킹맘)은 자녀 양육에 필요한 지원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다.[126][49] 과거 한국 사회에서 육아와 관련된 경제적 부담은 주로 개인과 가정의 책임으로 여겨졌으나, 육아 휴직 제도 개선 및 보육 프로그램 개발 등 공적 지원 기반을 마련하려는 노력이 점차 이루어지고 있다.[139][60]
5. 가정 내 성 불평등
유교적 가족 가치는 남성이 "남성적인" 일을 하고, 여성은 "여성적인" 일을 할 것을 기대하는 전통적 성 역할을 지지한다.[94][96][140][141] 주로 남성이 가장이자 가족의 주요 수입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여성의 역할은 아내, 어머니, 주부로 정의하는 문화적 경향이 강하다.[87][137][112][1][58][33]
1998년 한국여성개발원의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한국 여성은 집안일을 전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1][62]
이러한 가정 내 불평등의 결과로, 한국 여성들은 결혼 시기를 늦추고 자녀를 적게 낳는 경향을 보인다.[140][61]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2007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추세는 "다양한 방면에서 세계 최악"이며, 한국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출산율과 여성 노동 참여율을 기록하고 있다. 당시 한국의 25~54세 여성 노동 참여율은 60%로, 미국(75%)이나 유럽 연합(76%)보다 상당히 낮았다.[140][61] 실제로 자녀를 갖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응답한 한국 여성의 비율은 1991년 90%에서 2000년 58%로 크게 감소했다.[140][61]
출산율은 계속해서 감소하여 2022년에는 여성 1명당 0.78명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1년의 0.81명보다 더 낮아진 수치이다. 이는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며, 2020년 OECD 평균 출산율인 1.59명과 큰 차이를 보인다. 당시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인구가 감소하고 출산율이 1명 미만인 국가였다.[65] 또한,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도 1970년 23세에서 2005년에는 거의 28세로 높아졌다.[61]
CSIS 보고서는 극도로 낮은 출산율로 인한 심각한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 및 직장 문화가 변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140][61]
6. 교육 기회 불평등
20세기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고등 교육 접근성은 꾸준히 증가해왔다.[142][66] 그러나 고등 교육을 받은 남성 대비 여성의 비율은 여러 선진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142] 남성 중심적인 노동 시장 구조와 자녀 교육에 대한 부모의 높은 관심 및 관리로 인해, 고등 교육을 받은 여성이 자신의 진로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기보다는 자녀를 교육하는 데 집중하게 되는 경향이 나타났다.[127][48]
대한민국 25세~34세 여성의 74.9%가 고등 교육을 이수하여 OECD 평균인 50.7%를 훨씬 웃도는 높은 교육 수준을 보이고 있다.[143][67]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등 교육을 마친 한국 여성의 고용률은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143][144][67][68]
이러한 상황 속에서 초등 및 중등 교육 단계에서는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에 재능 있는 여성의 참여를 늘리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45][69] 또한 고등 교육 기관들도 더 많은 여성의 입학을 장려하고 있다.[145][69]
7. 일상생활 속 성 불평등
전통적인 사상 속 여성성은 여성과 남성의 성 불균형을 통해 만들어지며, 이는 일상생활 속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7. 1. 애교
여성은 친구나 동료에게 애교를 부릴 것을 기대받는 경우가 많다. 애교는 귀여움을 나타내기 위해 표정, 몸짓, 목소리 톤 등으로 표현되는 어린아이 같은 행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행동은 남녀 모두 할 수 있지만, 사회적으로 애교를 요구받는 대상은 주로 여성이다. 특히 직장에서는 '분위기를 밝힌다'는 이유로 여성에게 애교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며, 애교를 부리는 여성이 더 쾌활하고 상냥하게 인식되기도 한다. 여성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 위해 귀엽고 섬세하게 보여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은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성 불평등의 한 단면이다.[70][146][147]7. 2. 탈코르셋 운동
대한민국 사회에서 여성들은 일상적으로 긴 머리, 메이크업, 몸매가 드러나는 옷차림 등 특정 외모 기준을 요구받는 경우가 많다. 반면 남성에 대한 외모 기대치는 상대적으로 덜 엄격하다.[148] 이러한 사회적 압박은 일부 여성들이 면접 등 중요한 자리에서 특정 외모 기준을 따라야 한다고 느끼게 만들기도 한다.'탈코르셋' 운동은 이러한 성 불평등적인 외모 기준과 사회가 강요하는 여성성에 대한 고정관념에 도전하는 사회 운동이다. 이 운동은 여성들에게 사회가 요구하는 외모 관리에서 벗어나도록 촉구하며, 특히 패션 및 미용 산업 제품에 대한 보이콧을 장려한다.[148]
탈코르셋 운동의 영향으로 2015-2016년 대비 2017-2018년 사이 성형수술 산업 수익은 644억원, 화장품 매출은 535억원 감소하는 등 관련 산업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149]
8. 미디어 속 성 불평등
한국 미디어에서는 성 불평등에 대한 담론이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여성 유명인이 남성 유명인에 비해 체형이나 특정 사안에 대한 발언 등에서 더욱 엄격한 이중 잣대에 직면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150][72] 일부 연예인들이 이러한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내기도 하지만, 여성 연예인의 경우 남성 연예인보다 훨씬 더 가혹한 비난과 반발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다.[150][72]
8. 1. 미디어 담론과 이중 잣대
대한민국의 언론 및 미디어 환경에서 여성 K팝 아티스트나 배우가 성 불평등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낼 경우, 종종 거센 비판과 반발에 직면하는 경향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걸그룹 레드벨벳의 멤버 아이린을 들 수 있다. 아이린은 한국 여성들이 겪는 일상적인 성차별 경험을 다룬 페미니즘 소설인 82년생 김지영을 읽었다고 언급한 후, 일부 남성 팬들로부터 극심한 반발에 부딪혔다. 이들은 아이린의 사진이 담긴 굿즈를 불태우는 등 분노와 실망감을 표출하며 비난했다.[151][73] 아이러니하게도 아이린의 언급 이후 이 책의 판매량은 104% 증가하기도 했다.[152]82년생 김지영은 강남역 살인 사건 발생 몇 달 후에 출간되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킨 작품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보이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 RM 역시 이 책을 읽고 감상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린과 같은 여성 아이돌이 겪었던 수준의 거센 반발에는 직면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는 미디어 담론에서 나타나는 이중 잣대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이후 이 소설은 영화로도 제작되었으나, 영화 역시 일부 대중으로부터 많은 비난과 공격을 받았다.[153][73]
배우 공효진 역시 한국 사회의 성 불평등 문제에 대해 꾸준히 목소리를 내는 인물 중 하나다. 그녀는 동백꽃 필 무렵과 같은 작품에서 주체적이고 강한 여성 캐릭터를 주로 연기하며, 자신의 신념과 유사한 견해를 가진 여성 감독들과의 협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행보는 때때로 그녀가 출연한 영화의 상영 금지를 요구하는 청원이 등장하는 등 부정적인 반발에 부딪히기도 한다. 이 외에도 배수지, 문가영, 레드벨벳의 조이 등 많은 여성 연예인들이 비슷한 이유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 놓이곤 한다.[74]
한편, 최근 K-드라마에서는 이러한 미디어 재현의 성 불평등 문제에 대응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힘쎈여자 도봉순이나 검블유와 같이, 기존의 틀을 깨는 강하고 주체적인 여성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운 드라마들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과거 꽃보다 남자와 같은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가난하지만 씩씩하고 긍정적인 여주인공이 부유한 남자 주인공의 도움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랑에 빠지는 전형적인 '캔디걸' 서사에서 벗어나려는 의미 있는 변화로 평가받는다.[154][75]
8. 2. K-pop 산업의 여성 아이돌 상품화
케이팝 산업 내에서는 남녀 성 역할에 대한 불평등이 널리 퍼져 있으며, 이는 2000년대 후반 한류 열풍 이후 더욱 부각되었다.[76] 아이돌의 몸을 상품화하고 아이돌-팬 문화를 둘러싼 관행은 아이돌의 성적 대상화를 가능하게 했으며, 이는 여성에게 적용되는 미적 기준에 특히 불균형적으로 반영되었다.[155][76]여성 아이돌의 신체는 팬과 산업 전문가 모두로부터 세밀하게 관찰되고 대상화되는 경향이 있다. 여성 아이돌은 국가 집단의 재산으로 여겨지는 반면, 남성 아이돌은 "한국의 세계적인 힘을 상징하는 강인한 남성 근육"으로 묘사되기도 한다.[76] 이러한 문제는 유튜브, 트위터와 같은 디지털 미디어의 대중화와 아이돌 콘텐츠 접근성 증가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여성 아이돌의 성공은 외모에 대한 대중의 호감에 점점 더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150][72]
2020년 조사에 따르면 젊은 한국 여성의 20%가 성형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156][77]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여성 아이돌에게 투영되는 외모 기준은 문화적 불평등과 성 역할에 대한 역사적 불공정성을 심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여성 아이돌에게 부과되는 소위 '50kg 룰'과 같은 비현실적인 체중 기준은 대표적인 사례로, 이는 모든 여성 아이돌이 따라야 할 기준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57] 가수 아이유와 걸그룹 f(x)의 멤버 등 유명 여성 아이돌들은 체중 감량을 위해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했음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하기도 했다.[158] f(x)의 멤버 루나는 자신의 최저 몸무게가 40kg이었으며, 하루에 차 3L만 마시며 일주일 만에 8kg을 감량한 적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159][78]
극단적인 다이어트는 모든 케이팝 아이돌에게 일반적인 것처럼 여겨지지만, 미디어는 특히 여성 아이돌의 체중 감량에 큰 관심을 보여왔다. 한 한국 드라마에서 "여자가 50kg이 넘으면 미친 거다"라는 대사가 나온 이후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되었다.[157] 2016년 대한민국 여성가족부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18세 미만 여성 중 72%가 체중 감량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성(36%)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이다.[160][79] 아이유와 에일리 등 많은 여성 연예인들이 섭식장애를 겪었음을 고백했으며, 김율리 박사의 연구에서는 한국 여성 3명 중 1명이 섭식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정을 하기도 했다.[161][80] 최근에는 트위터 등 SNS를 중심으로 스스로를 '프로아나(Pro-anorexia)', 즉 거식증에 찬성한다고 칭하며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을 공유하는 현상이 사회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162][81]
9. 젠더 폭력
젠더 폭력은 성별 간의 불평등한 권력 관계가 발현된 결과다.[163][82] 젠더 기반 범죄는 성 불평등에 의지하며 여성을 더욱 종속적인 지위로 밀어넣는다.[83] 여성에 대한 폭력은 전 세계적인 문제로, 현대 한국 사회에 계속해서 퍼져 나가고 있다. 한 사례로, 대한민국에서 여성은 통계적으로 살인과 데이트 폭력, 친밀한 파트너 폭력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더 높다.[164] 2019년, 1.8일마다 적어도 한 명의 여성이 남성 파트너에 의해 살해되거나 살해당할 뻔 한 것으로 추정되었다.[165][84]
2016년에 일어난 강남역 화장실 살인사건은 한 남성이 일면식 없는 여성을 살해한 사건으로, 범인은 '평소에 여성들이 나를 무시해서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166][85] 이 사건은 한국 사회 내 여성에 대한 폭력 문제를 조명했고, 성 불평등과 여성혐오에 대한 담론의 확대를 불러일으켰다.[167] 많은 한국 여성들은 해당 사건에 대한 추모를 계기로 성 불평등에 맞서 싸우기 위해 단결했다.[168]
참조
[1]
서적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A Critical Perspective
Routledge
[2]
간행물
Encyclopedia of Business Ethics and Society
SAGE Publications, Inc.
2018-10-17
[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s
http://hdr.undp.org/[...]
2018-10-17
[4]
논문
The Institutional Basis of Gender Inequality: The Social Institutions and Gender Index (SIGI)
https://zenodo.org/r[...]
2013-12-11
[5]
웹사이트
Korea {{!}}
https://web.archive.[...]
2018-10-17
[6]
뉴스
Gender Equality Universally Embraced, But Inequalities Acknowledged {{!}} Pew Research Center
http://www.pewglobal[...]
2018-10-17
[7]
웹사이트
The Global Gender Gap Report 2017
http://www3.weforum.[...]
[8]
웹사이트
Women in the Teaching of Chinese Religions
https://www2.kenyon.[...]
2021-02-28
[9]
논문
The Impact of Confucianism in South Korea and Japan
2013
[10]
서적
Social ethics in a changing China : moral decay or ethical awakening?
http://worldcat.org/[...]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1]
논문
Gender Balance With My Confucian Philosophy: My Own Experience of Empowerment
2009
[12]
논문
Women Existing for Men: Confucianism and Social Injustice against Women in China
https://www.jstor.or[...]
2003
[13]
웹사이트
1.1 Joseon Dynasty and Confucianism - The Gendering of Modernity and Military Authoritarianism
https://www.coursera[...]
2021-02-28
[14]
논문
Women's Life during the Chosŏn Dynasty
https://ijkh.khistor[...]
2004
[15]
논문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
2021-03-01
[16]
웹사이트
Comfort Women: Professor Mark Ramseyer Speaks Out as Truth Wins
https://japan-forwar[...]
2023-06-15
[17]
웹사이트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 A Response to My Critics
https://papers.ssrn.[...]
2022-01-04
[18]
논문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Prostitution in South Korea during the U.S. Military Rule, 1945-1948
2007
[19]
웹사이트
Ramseyer and the Right-Wing Ecosystem Suffocating Japan - Tokyo Review
https://www.tokyorev[...]
2024-03-05
[20]
뉴스
A Harvard Professor Called Wartime Sex Slaves 'Prostitutes.' One Pushed Back. (Published 2021)
https://www.nytimes.[...]
2024-03-05
[21]
웹사이트
Why Korean Professor Believes Comfort Women Were Not Sex Slaves
https://japan-forwar[...]
2023-06-15
[22]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11-27
[23]
뉴스
Wartime Victim Makes Heartfelt Plea for Redress
https://www.latimes.[...]
2015-11-01
[24]
뉴스
Former Comfort Woman Visits Bronze Memorial
http://www.latimes.c[...]
2015-11-01
[25]
뉴스
70 Years Later, a Korean 'Comfort Woman' Demands Apology from Japan
https://www.washingt[...]
2015-11-01
[26]
논문
Humanistic Globalization, Womanhood, and Comfort Women in South Korea
2006
[27]
웹사이트
Yoo Jae Suk Makes Annual Donation to Comfort Women Charity
https://www.soompi.c[...]
2024-03-05
[28]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Modern Korean History
Routledge
2016-01-29
[29]
서적
Why is Son Preference Declining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World Bank Publications
[30]
웹사이트
Korea, Republic of - Act on Equal Employment and Support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Act No. 3989).
http://www.ilo.org/d[...]
2018-10-17
[31]
웹사이트
Concluding comments of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Republic of Korea
http://www.un.org/wo[...]
[32]
논문
Introduction: Gender and Politics in Contemporary Korea
2014
[33]
웹사이트
Gender Gap Index Rankings 2013 – South Korea – The Asian Philanthropy Advisory Network
http://asianphilanth[...]
2016-06-20
[34]
논문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South Korean Women
1999
[35]
서적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in Asia : obstacles and challenges
https://archive.org/[...]
NIAS Press
2008
[36]
논문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South Korea and activist organizations
2016-07-02
[37]
뉴스
Gender Colors Outrage Over Scandal Involving South Korea's President
https://www.nytimes.[...]
2018-10-18
[38]
논문
President Park Geun-hye of South Korea: A Woman President without Women? {{!}} Kopernio
[39]
웹사이트
박근혜의 실패는 여성 정치의 실패인가
https://www.sisain.c[...]
2021-05-09
[40]
간행물
OECD Employment Outlook 2021
OECD
2021
[41]
논문
Sex Differentials in Earnings in the South Korean Labor Market
2001-01
[42]
서적
The Pursuit of Gender Equality
2017-10-04
[43]
웹사이트
Since 2000, S. Korea number one in OECD for gender pay inequality
http://www.hani.co.k[...]
2016-06-17
[44]
웹사이트
Earnings and wages - Gender wage gap - OECD Data
https://data.oecd.or[...]
2018-10-04
[45]
웹사이트
S. Korea reflects lag in gender equality: Column
https://www.usatoday[...]
2016-06-22
[46]
뉴스
Iceland leads the way to women's equality in the workplace
https://www.economis[...]
2020-06-19
[47]
뉴스
The glass-ceiling index
https://www.economis[...]
2016-06-17
[48]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modern Korean history
Routledge/Taylor & Francis Group
[49]
웹사이트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18
https://www.oecd-ili[...]
2018-10-18
[50]
논문
Explanations for continued gender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n workplaces
2013-07-22
[51]
논문
Employment and Motherhood Entry in South Korea, 1978-2006
2013
[52]
웹사이트
Gender Inequality Makes South Korea Poorer
https://thediplomat.[...]
2020-09-02
[53]
웹사이트
Incidence of FTPT employment - common definition
https://stats.oecd.o[...]
2018-12-12
[54]
논문
South Korean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Estimating Its Cost
1994-10
[55]
서적
OECD Employment Outlook, June 200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Development
2002-07
[56]
웹사이트
Summary Report
http://www.ilo.org/i[...]
2018-12-14
[57]
서적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18
2018-06-20
[58]
웹사이트
A Long Way To Go For Gender Equality In South Korea
http://www.huffingto[...]
2016-06-22
[59]
웹사이트
Data - OECD
https://www.oecd.org[...]
2018-11-03
[60]
서적
Women, work and care in the Asia-Pacific
Routledge
[61]
문서
THE AGING OF KOREA. Demographics and Retirement Policyi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https://csis-prod.s3[...]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07-03
[62]
논문
Analyz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2009
[63]
논문
Blurred Genders: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Male and Female in South Korea
1995
[64]
논문
Korean workplace gender discrimination research analy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90 to 2010
2013-01
[65]
뉴스
South Korea's world lowest fertility rate drops again
https://www.reuters.[...]
2023-03-27
[66]
서적
Gender and time use in a global context : the economics of employment and unpaid labor
2017-07-10
[67]
서적
Education at a Glance, Statistics /Education at a Glance /2017:OECD Indicators
[68]
웹사이트
Education attainment - Population with tertiary education - OECD Data
https://data.oecd.or[...]
2018-10-18
[69]
웹사이트
OECD Reviews of Tertiary Education, Books /OECD Reviews of Tertiary Education /OECD Reviews of Tertiary Education: Korea 2009
https://www.oecd-ili[...]
2017-12-09
[70]
논문
Korean Cuties: Understanding Performed Winsomeness (Aegyo) in South Korea
http://dx.doi.org/10[...]
2018-06-06
[71]
웹사이트
Escape the Corset
https://www.abc.net.[...]
2019
[72]
서적
K-Pop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12-31
[73]
뉴스
Kim Ji-young, Born 1982: Feminist film reignites tensions in South Korea
https://www.bbc.com/[...]
2019-10-23
[74]
웹사이트
The Korean celebrities making a stand against misogynists
https://www.scmp.com[...]
2020-09-28
[75]
웹사이트
'Candy girl' no more – has K-drama finally embraced feminism?
https://www.scmp.com[...]
2020-03-30
[76]
웹사이트
Multiple Exposures: Korean Bodies and the Transnational Imagination
https://apjjf.org/20[...]
[77]
간행물
Gender, Globalization and Aesthetic Surgery in South Korea
http://journals.sage[...]
2012-06
[78]
웹사이트
Lose Weight: Diet Tips from f(x) Members {{!}} Channel-K
https://channel-kore[...]
[79]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80]
웹사이트
한국 10~20대 여성 4명 중 1명이 위험하다! 이유는? ChosunPub(조선펍) > 이슈&
http://pub.chosun.co[...]
[81]
웹사이트
"[구스뉴스+] '갓생' 살기 위해 마르고 싶다는 프로아나…우리 사회가 바꿔야 할 것들"
https://news.jtbc.jo[...]
2021-04-15
[82]
웹사이트
Violence and gender equality
https://www.ippf.org[...]
2012-09-28
[83]
서적
Declaration on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http://worldcat.org/[...]
United Nations Dept. of Public Information
1997
[84]
뉴스
Most victims of dating violence in Korea are women: police
http://www.koreahera[...]
2020-06-29
[85]
뉴스
Pink elephant's 'Zootopia' protest aggravates Gangnam murder controversy
http://www.koreahera[...]
2016-05-23
[86]
서적
Encyclopedia of Business Ethics and Society
http://sk.sagepub.co[...]
SAGE Publications, Inc.
2018-10-17
[87]
서적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A Critical Perspective
Routledge
2013
[88]
간행물
The Global Gender Gap Report 2017
http://www3.weforum.[...]
2017
[89]
웹인용
"{{!}} Human Development Reports"
http://hdr.undp.org/[...]
2021-04-05
[90]
간행물
The Institutional Basis of Gender Inequality: The Social Institutions and Gender Index (SIGI)
https://zenodo.org/r[...]
2013-12-11
[91]
웹인용
Korea {{!}}
https://www.genderin[...]
2021-04-05
[92]
웹인용
Gender Equality Universally Embraced, But Inequalities Acknowledged
https://www.pewresea[...]
2021-05-02
[93]
간행물
Global Gender Gap Report 2020
http://www3.weforum.[...]
2021-04-05
[94]
간행물
Blurred Genders: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Male and Female in South Korea
1995
[95]
뉴스
Gender Colors Outrage Over Scandal Involving South Korea’s President
https://www.nytimes.[...]
2021-04-09
[96]
간행물
Korean workplace gender discrimination research analy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90 to 2010
2013-01
[97]
웹인용
Women in the Teaching of Chinese Religions
https://www2.kenyon.[...]
2021-04-10
[98]
간행물
The Impact of Confucianism in South Korea and Japan
2013
[99]
서적
Social ethics in a changing China : moral decay or ethical awakening?
http://worldcat.org/[...]
[100]
간행물
Gender Balance With My Confucian Philosophy: My Own Experience of Empowerment
2009
[101]
간행물
Women Existing for Men: Confucianism and Social Injustice against Women in China
2003
[102]
웹인용
1.1 Joseon Dynasty and Confucianism - The Gendering of Modernity and Military Authoritarianism
https://www.coursera[...]
2021-04-10
[103]
간행물
Women’s Life during the Chosŏn Dynasty
https://ijkh.khistor[...]
2004
[104]
간행물
Introduction: Gender and Politics in Contemporary Korea
2014
[105]
간행물
The Korean "Comfort Women": Movement for Redress
https://archive.org/[...]
1996
[106]
저널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Prostitution in South Korea during the U.S. Military Rule, 1945-1948
2007
[107]
저널
Yearning for affection: Traumatic bonding between Korean 'comfort women' and Japanese soldiers during World War II
2018-08-27
[108]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Modern Korean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1-29
[109]
서적
Why is Son Preference Declining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World Bank Publications
2007
[110]
웹인용
Republic of Korea - Act on Equal Employment and Support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Act No. 3989).
http://www.ilo.org/d[...]
2021-04-11
[111]
웹인용
Concluding comments of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Republic of Korea
http://www.un.org/wo[...]
[112]
웹인용
Gender Gap Index Rankings 2013 - South Korea - The Asian Philanthropy Advisory Network
http://asianphilanth[...]
2021-04-11
[113]
저널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South Korean Women
https://archive.org/[...]
1999
[114]
서적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in Asia : obstacles and challenges
https://archive.org/[...]
NIAS Press
2008
[115]
저널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South Korea and activist organizations
2016-07-02
[116]
뉴스
Gender Colors Outrage Over Scandal Involving South Korea’s President
https://www.nytimes.[...]
2021-04-11
[117]
웹인용
박근혜의 실패는 여성 정치의 실패인가
https://www.sisain.c[...]
2017-03-21
[118]
웹인용
"준비된 여성대통령 박근혜? 실패는 예고됐던 일"
https://www.hankooki[...]
2016-12-15
[119]
저널
Sex Differentials in Earnings in the South Korean Labor Market
2001-01
[120]
서적
The Pursuit of Gender Equality - An Uphill Battle.
OECD Publishing
2017
[121]
웹인용
Since 2000, S. Korea number one in OECD for gender pay inequality
http://english.hani.[...]
2021-04-21
[122]
웹인용
Earnings and wages - Gender wage gap - OECD Data
http://data.oecd.org[...]
2021-04-21
[123]
웹인용
S. Korea reflects lag in gender equality: Column
https://www.usatoday[...]
2021-04-21
[124]
뉴스
Iceland leads the way to women’s equality in the workplace
https://www.economis[...]
2021-04-21
[125]
뉴스
The glass-ceiling index
https://www.economis[...]
2021-04-21
[126]
웹인용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18
https://www.oecd-ili[...]
2021-04-21
[127]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modern Korean history
https://www.worldcat[...]
2016
[128]
저널
Explanations for continued gender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n workplaces
http://www.tandfonli[...]
2014-01-02
[129]
저널
Employment and Motherhood Entry in South Korea, 1978-2006
2013
[130]
웹인용
Gender Inequality Makes South Korea Poorer
https://thediplomat.[...]
2021-04-21
[131]
웹인용
The Pursuit of Gender Equality: An Uphill Battle
https://www.oecd-ili[...]
2021-04-21
[132]
웹인용
Incidence of FTPT employment - common definition
https://stats.oecd.o[...]
2021-04-28
[133]
저널
South Korean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Estimating Its Cost
https://archive.org/[...]
1994-10
[134]
서적
OECD Employment Outlook, June 2002.
https://www.worldcat[...]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Development
2002-07-XX
[135]
웹인용
Home - ILOSTAT - The leading source of labour statistics
https://ilostat.ilo.[...]
2021-04-28
[136]
서적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18
https://www.worldcat[...]
2018
[137]
웹인용
A Long Way To Go For Gender Equality In South Korea
https://www.huffingt[...]
2021-04-28
[138]
웹인용
Data - OECD
https://www.oecd.org[...]
2021-04-28
[139]
서적
Women, work and care in the Asia-Pacific
https://www.worldcat[...]
2017
[140]
저널
Analyz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https://muse.jhu.edu[...]
2009
[141]
간행물
THE AGING OF KOREA. Demographics and Retirement Policyi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https://csis-prod.s3[...]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07-03
[142]
서적
Gender and time use in a global context : the economics of employment and unpaid labor
https://www.worldcat[...]
2017
[143]
서적
Education at a Glance 2017 : OECD Indicators.
https://www.worldcat[...]
'[publisher not identified]'
2017
[144]
웹인용
Education attainment - Population with tertiary education - OECD Data
http://data.oecd.org[...]
2021-04-28
[145]
웹인용
OECD Reviews of Tertiary Education: Korea 2009
https://www.oecd-ili[...]
2021-04-28
[146]
저널
Korean Cuties: Understanding Performed Winsomeness ( Aegyo ) in South Korea
https://www.tandfonl[...]
2018-08-08
[147]
웹인용
“애교 섞인 말로 분위기 업”…유치원 교사 교육자료 성차별 논란
https://news.joins.c[...]
2021-04-28
[148]
웹인용
여성이 ‘꾸밈노동’ 거부하는 까닭
https://www.sisain.c[...]
2021-04-28
[149]
웹인용
The country where a simple haircut can be a radical political statement
https://www.abc.net.[...]
2021-04-28
[150]
서적
K-pop : popular music, cultural amnesia, and economic innovation in South Korea
https://www.worldcat[...]
2015
[151]
웹인용
아이린이 '82년생 김지영'을 읽었다고 밝히자 생긴 일들
https://www.hankooki[...]
2021-04-28
[152]
웹인용
아이린 언급 이후 ‘82년생 김지영’ 판매율 104% 증가
https://news.joins.c[...]
2021-04-28
[153]
뉴스
Kim Ji-young, Born 1982: Feminist film reignites tensions in South Korea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4-28
[154]
웹인용
‘Candy girl’ no more – has K-drama finally embraced feminism?
https://www.scmp.com[...]
2021-04-28
[155]
웹인용
Multiple Exposures: Korean Bodies and the Transnational Imagination
https://apjjf.org/20[...]
2021-04-29
[156]
저널
Gender, Globalization and Aesthetic Surgery in South Korea
https://doi.org/10.1[...]
2012-06-01
[157]
웹인용
Exploring Korea's skinny obsession and the plus-size models fighting back
https://www.dazeddig[...]
2021-04-29
[158]
웹인용
'보통→초 마름' 아이유가 "해골 될 수있다"고 한 다이어트 비법
https://news.joins.c[...]
2021-04-29
[159]
웹인용
Lose Weight: Diet Tips from f(x) Members
https://channel-kore[...]
2021-04-29
[160]
웹인용
KOSIS
https://kosis.kr/sta[...]
2021-04-29
[161]
웹인용
한국 10~20대 여성 4명 중 1명이 위험하다! 이유는? ChosunPub(조선펍) > 이슈&
http://pub.chosun.co[...]
2021-04-29
[162]
웹인용
"[구스뉴스+] '갓생' 살기 위해 마르고 싶다는 프로아나…우리 사회가 바꿔야 할 것들"
https://news.jtbc.jo[...]
2021-04-29
[163]
웹인용
Violence and gender equality
https://www.ippf.org[...]
2021-04-29
[164]
문서
UNODC Global Study on Homicide 2013
United Nations
2013
[165]
웹인용
Most victims of dating violence in Korea are women: police
http://www.koreahera[...]
2021-04-29
[166]
웹인용
'"나는 아직도 운 좋게 살아남았다" 여성 혐오 범죄, 끊을 수 없나 ①[강남역 살인사건 4주기]'
https://www.asiae.co[...]
2021-04-29
[167]
웹인용
Murder at Gangnam Station: A Year Later
https://www.koreaexp[...]
2021-04-29
[168]
웹인용
'[이슈 칼럼] 강남역 여성 살인 사건 4주기…그들의 목소리는 변함이 없다'
http://www.womentime[...]
2021-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