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의과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의과대학은 2020년 기준 40개이며, 매년 약 3,0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한다. 의학 교육은 의과대학(학사 과정)과 의학전문대학원(석사 과정)으로 나뉘며, 대부분의 의학전문대학원은 의과대학으로 전환되었다. 의사 면허 취득을 위해서는 의과대학 또는 의학전문대학원 졸업 후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해야 한다. 의과대학 입학 정원은 경제 개발과 함께 증가했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정체되었다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의료 인력 부족 문제로 인해 증원 논의가 이루어졌다. 2024년에는 의과대학 입학 정원이 최대 2,000명 증원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단과대학 - 대한민국의 치과대학
대한민국의 치과대학은 치의학 교육을 제공하는 고등 교육기관으로, 2017년 기준 11개 대학에서 552명의 정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630명으로 증가할 예정이고, 주요 도시에 위치한 국립 및 사립 대학들이 지역사회 구강 보건 향상과 치의학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단과대학 - 대한민국의 약학대학
대한민국의 약학대학은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약사, 제약 전문가, 연구자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교육 기관으로, 전국 각 권역별로 분포되어 6년제 또는 2+4년제 과정을 통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인재를 배출하고 지역 사회의 약학 발전과 보건 향상에 기여하며 교육 과정 개선 및 연구 활동 강화에 힘쓰고 있다. - 의과대학 - 볼로냐 대학교
볼로냐 대학교는 1088년 설립설이 있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로, 외국 유학생 중심의 '나시오'를 통해 성장하여 로마법 발전에 기여하고 수많은 저명한 인물을 배출했으며, 현재 이탈리아에서 권위 있는 대학 중 하나이다. - 의과대학 -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는 1946년 유일학림으로 설립되어 1971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아름다운 캠퍼스와 다채로운 행사로 풍성한 대학 생활을 제공한다.
대한민국의 의과대학 |
---|
2. 대한민국의 의학 교육 현황
대한민국은 서양 의학과 한의학 교육 체계를 모두 갖추고 있다.
서양 의학 교육은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이루어진다. 2020년 기준 총 40개의 교육기관에서 매년 약 3,0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한다.[1] 2013년 기준 한국 의사 면허 소지자는 109,563명이었다.[2]
한의학 교육은 한의과대학과 한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이루어진다. 관련 교육기관은 가천대학교, 경희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대전대학교, 동국대학교, 동신대학교, 동의대학교, 부산대학교, 상지대학교, 세명대학교, 우석대학교, 원광대학교가 있다.
2. 1. 서양 의학
대한민국에는 서양 의학을 교육하는 여러 의과대학이 존재한다.2. 1. 1.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현황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의 수는 총 40개이며, 매년 졸업생의 수는 약 3,000명이다.[1] 2013년 기준으로 한국 의사 면허자 수는 10만 9,563명,[2] 약사 면허자 수는 6만 3,292명,[3] 간호사 면허자 수는 30만 7,797명,[4] 치과 의사 면허자 수는 2만 7,409명,[5] 한의사 면허자 수는 2만 1,355명으로[6][7] 집계되었다.학교명 | 대학 종류 |
---|---|
아주대학교 | 의과대학 |
가톨릭관동대학교 | 의과대학 |
가톨릭대학교 대구 | 의과대학 |
가톨릭대학교 | 의과대학 |
차의과학대학교 | 의학전문대학원 |
조선대학교 | 의과대학 |
중앙대학교 | 의과대학 |
단국대학교 | 의과대학 |
동아대학교 | 의과대학 |
동국대학교 | 의과대학 |
을지대학교 | 의과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 의과대학 |
가천대학교 | 의과대학 |
한림대학교 | 의과대학 |
한양대학교 | 의과대학 |
인하대학교 | 의과대학 |
인제대학교 | 의과대학 |
계명대학교 | 의과대학 |
건국대학교 | 의과대학 |
건양대학교 | 의과대학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 의과대학 |
고신대학교 | 의과대학 |
경희대학교 | 의과대학 |
순천향대학교 | 의과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과대학 |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 의과대학 |
원광대학교 | 의과대학 |
영남대학교 | 의과대학 |
연세대학교 | 의과대학 |
제주대학교 | 의과대학 |
전북대학교 | 의학전문대학원 |
전남대학교 | 의학전문대학원 |
충북대학교 | 의과대학 |
충남대학교 | 의과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 의과대학 |
강원대학교 | 의학전문대학원 |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 의과대학 |
부산대학교 | 의학전문대학원 |
서울대학교 | 의과대학 |
2. 1. 2. 의사 면허 현황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졸업생은 매년 약 3,000명이다.[1] 2013년 기준 한국 의사 면허자 수는 109,563명이었다.[2] 같은 해 기준으로 약사 면허자 수는 63,292명,[3] 간호사 면허자 수는 307,797명,[4] 치과의사 면허자 수는 27,409명,[5] 한의사 면허자 수는 21,355명이었다.[6][7]2. 1. 3. 의과대학 목록
대한민국에는 40개의 의과대학이 있으며, 그 중 의학전문대학원은 차의과학대학교가 유일하다.지역 | 설립 유형 | 설립 년도 | 대학교 | 의전원 유지 여부 | 입학정원 |
---|---|---|---|---|---|
서울특별시 | 사립 | 1954년 | 가톨릭대학교 | 폐지 | 93명 |
사립 | 1965년 | 경희대학교 | 폐지 | 110명 | |
사립 | 1928년 | 고려대학교 | 폐지 | 106명 | |
국립 | 1899년 | 서울대학교 | 폐지 | 135명 | |
사립 | 1886년 | 연세대학교 | 폐지 | 110명 | |
사립 | 1945년 | 이화여자대학교 | 폐지 | 76명 | |
사립 | 1971년 | 중앙대학교 | 폐지 | 86명 | |
사립 | 1968년 | 한양대학교 | 폐지 | 110명 | |
경기도 | 사립 | 1997년 | 성균관대학교 | 폐지 | 40명 |
사립 | 1988년 | 아주대학교 | 폐지 | 40명 | |
사립 | 1997년 | 차의과학대학교 | 유지 | 40명 | |
인천광역시 | 사립 | 1997년 | 가천대학교 | 폐지 | 40명 |
사립 | 1985년 | 인하대학교 | 폐지 | 49명 | |
강원특별자치도 | 사립 | 1995년 | 가톨릭관동대학교 | 없음 | 49명 |
국립 | 1997년 | 강원대학교 | 2022년 이후 폐지 | 49명 | |
사립 | 1977년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 없음 | 93명 | |
사립 | 1982년 | 한림대학교 | 없음 | 76명 | |
충청남도 | 사립 | 1988년 | 단국대학교 | 없음 | 40명 |
사립 | 1978년 | 순천향대학교 | 없음 | 93명 | |
대전광역시 | 사립 | 1995년 | 건양대학교 | 없음 | 49명 |
사립 | 1997년 | 을지대학교 | 없음 | 40명 | |
국립 | 1968년 | 충남대학교 | 폐지 | 110명 | |
충청북도 | 사립 | 1986년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 2024년 이후 폐지 | 40명 |
국립 | 1987년 | 충북대학교 | 폐지 | 49명 | |
부산광역시 | 사립 | 1980년 | 고신대학교 | 없음 | 76명 |
사립 | 1984년 | 동아대학교 | 폐지 | 49명 | |
국립 | 1953년 | 부산대학교 | 폐지 | 125명 | |
울산광역시 | 사립 | 1987년 | 울산대학교 | 없음 | 40명 |
대구광역시 | 국립 | 1923년 | 경북대학교 | 폐지 | 110명 |
사립 | 1979년 | 계명대학교 | 없음 | 76명 | |
사립 | 1991년 | 대구가톨릭대학교 | 없음 | 40명 | |
사립 | 1979년 | 영남대학교 | 폐지 | 76명 | |
경상북도 | 사립 | 1985년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 폐지 | 49명 |
경상남도 | 국립 | 1980년 | 경상국립대학교 | 폐지 | 76명 |
사립 | 1979년 | 인제대학교 | 없음 | 93명 | |
광주광역시 | 국립 | 1944년 | 전남대학교 | 폐지 | 125명 |
사립 | 1966년 | 조선대학교 | 폐지 | 125명 | |
전북특별자치도 | 사립 | 1981년 | 원광대학교 | 없음 | 93명 |
국립 | 1970년 | 전북대학교 | 폐지 | 142명 | |
제주특별자치도 | 국립 | 1998년 | 제주대학교 | 폐지 | 40명 |
2. 2. 한의학
대한민국에는 한의학 교육기관으로 한의과대학과 한의학전문대학원이 있다. 관련 교육기관으로는 가천대학교, 경희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대전대학교, 동국대학교, 동신대학교, 동의대학교, 부산대학교, 상지대학교, 세명대학교, 우석대학교, 원광대학교가 있다.2. 2. 1. 한의과대학 및 한의학전문대학원 현황
학교명 | 대학 종류 |
---|---|
가천대학교 | 한의과대학 |
경희대학교 | 한의과대학 |
대구한의대학교 | 한의과대학 |
대전대학교 | 한의과대학 |
동국대학교 | 한의과대학 |
동신대학교 | 한의과대학 |
동의대학교 | 한의과대학 |
부산대학교 | 한의학전문대학원 |
상지대학교 | 한의과대학 |
세명대학교 | 한의과대학 |
우석대학교 | 한의과대학 |
원광대학교 | 한의과대학 |
2. 2. 2. 한의과대학 목록
학교명 | 소재지 |
---|---|
가천대학교 | 경기도 |
경희대학교 | 서울특별시 |
대구한의대학교 | 경상북도 |
대전대학교 | 대전광역시 |
동국대학교 | 경상북도 |
동신대학교 | 전라남도 |
동의대학교 | 부산광역시 |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
상지대학교 | 강원도 |
세명대학교 | 충청북도 |
우석대학교 | 전라북도 |
원광대학교 | 전라북도 |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는 의사를 단순한 기술자가 아닌, 교양과 도덕성을 갖춘 인술사로 양성하고, 의대 입시 과열을 완화하며, 기초 학문 분야를 보호하고,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전문 의사를 양성한다는 취지로 도입되었다. 의과학자, 법의학자, 의료경영자 양성 등 선진화된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려 했다.
3. 의학 교육 정책
그러나 이 제도는 이공계 기피 현상을 야기하고, 의학 교육의 공공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낳았다. 현재 의대와 의학전문대학원 병행 대학은 기형적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지방 대학에서는 지역 출신 우대 제도를 시행하기도 한다.[8] 의사와 같은 전문 인력을 진정한 고등교육자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9]
한국에서 의사 면허를 취득하려면 의대 학부나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의사 국가 고시에 합격해야 한다. 2015~2017년 사이 대부분의 의학전문대학원은 의과대학으로 회귀했고, 차의과학대학교를 제외한 모든 대학이 의대 체제로 복귀했다.
8.15 광복 이후 남한에는 6개의 의과대학만이 있었다. 경제 성장에 따라 의대 입학 정원은 증가했다. 1998년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개교 이후 추가적인 의과대학 신설은 없었다.[15] 2002년 정부는 의사 수 과잉을 예상하여 의대 정원 축소를 결정했다.[16] 2006학년도부터 의대 학사 편입학 제도가 폐지되었다.[17] 이후 의과대학 입학 정원은 3,058명으로 유지되었다.
2020년 이후 의과대학 입학 정원 조정 논란에 대해서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의학전문대학원은 의사를 기술자가 아닌 교양과 도덕성을 갖춘 인술사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의과대학 입시 과열 양상을 완화하여 기초 학문 분야를 보호하며,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높은 수준의 전문 의사를 양성한다는 취지로 도입되었다. 의과학자(M.D.-Ph.D.), 법의학자(M.D.-J.D.), 의료경영자(M.D.-MBA) 양성 과정에 해당하는 다양한 복합 학위 과정 개설 등 선진화된 교육 훈련 시스템을 도입하여 면학열 저하 현상을 시정하고 의학 교육에 다양하고 폭넓은 교육 과정 도입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자연계열 학생들이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유출되면서 이공계 기피 현상이 나타났고, 의학전문대학원의 등록금이 기존 의과대학 학부 등록금의 두 배에 달해 의학 교육의 공공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했다. 현재 병행 대학의 경우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생이 같은 교육 과정을 밟고 있으나 다른 입학과정, 다른 등록금, 다른 학위를 받는 기형적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지방에 위치한 대학에서는 의대, 의학전문대학원 신입생을 뽑을 때 일정 비율을 해당 지역 출신 고교생으로 채우는 지역 출신 우대 제도를 시행하기도 한다.[8] 현재와 같은 고학력 사회에서 의사와 같은 전문 인력을 진정한 의미의 고등교육자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9]
한국의 법제상 의사 면허를 취득하려면 의과대학 학부 혹은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해야 하며, 졸업 후 의사 국가 고시(KMLE)에 합격해야 한다.
2015년~2017년 사이에 대부분의 의학전문대학원(석사 과정)은 다시 의과대학(학사 과정)으로 회귀하였고, 차의과학대학교를 제외한 모든 대학교에서 의과대학 체제로의 복귀를 선언하였다.
3. 2. 의과대학 입학 정원 조정 논란
8.15 광복 이후 남한 지역에는 국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포함해 6개의 의과대학만이 있었다. 이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통해 한국 경제가 고도 성장하면서 의과대학 입학 정원은 빠르게 증가했다. 1998년 제주대학교 의과대학이 개교한 이후로는 추가적인 의과대학 신설은 없었다.[15]2002년 8월 8일, 정부는 2007년 이후 인구 10만 명당 활동 의사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150명)나 미국(145∼150명)의 적정 의사 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여 의대 정원 축소를 결정했다.[16] 2006학년도부터는 의대 학사 편입학 제도가 폐지되었다.[17] 이후 2006년부터 의과대학 입학 정원은 3,058명으로 유지되어 왔다.
2020년 이후 의과대학 입학 정원 조정 논란에 대해서는 하위 문단을 참고.
3. 2. 1. 문재인 정부 시기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의료 인력이 부족해지자, 문재인 정부는 2022학년도부터 10년간 한시적으로 의과대학 학부 신입생을 매년 400명씩, 모두 4천 명을 더 늘리기로 발표했다.[18] 그러나 의료계에서는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협은 전국의사총진료거부를, 대전협은 전공의 총진료거부로 대표되는 '젊은 의사 단체 행동'을, 의대협은 의사 국가시험 응시 거부와 동맹 휴학을 주도하였다. 결국 정부는 9월 4일 의대 입학정원 확대를 철회했다.[19]3. 2. 2. 윤석열 정부 시기
2023년 10월 윤석열 정부는 의과대학 정원 폭을 대폭 늘릴 것이라고 예고하며, 이 발표는 대통령이 직접 할 것이라는 대통령실 입장을 냈다.[20] 2024년 2월 6일, 정부는 내년 대학입시부터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최대 2천 명으로 증원하기로 발표했다.[21]4. 사건/사고
대한민국의 의과대학과 관련된 주요 사건 및 사고로는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실 교육 및 폐교 사건이 있다. 이 사건은 이홍하의 사학비리와 부속병원의 낮은 병상가동률,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인증 거부 등으로 인해 발생했다. 2012년~2013년 교육과학기술부는 서남대 의대 폐쇄 결정을 내렸으나, 학교 측은 신입생을 계속 모집하여 혼란을 야기했다. 이후 서남대학교는 경영 부실 대학으로 지정되어 재정 정상화를 위한 인수 협상 과정이 진행되었으나, 결국 2018년부터 의예과 신입생 모집이 중단되었고, 기존 재학생들은 전북대학교와 원광대학교로 편입되었다.
4. 1.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실 교육 및 폐교
1995년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설립인가를 받고 부속병원을 마련하기 위해 옛 광주적십자병원을 인수해 서남대학교병원으로 출범시켰다. 그러나 서남학원 이사장 이홍하의 사학비리와 부속병원 중 하나인 남광병원의 낮은 병상가동률[10],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인증 거부로 높은 자퇴율을 기록했다.[11]2012년~2013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이 부실하다는 이유로 폐쇄 결정을 내렸지만, 계속 신입생을 모집하여 혼란을 일으켰다.[12] 이후 서남대학교는 정부로부터 경영 부실 대학으로 지정되어 재정 정상화를 위해 인수 우선 협상 대상자를 모집했고, 예수병원, 명지병원, 부영그룹, 중원대학교 등이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명지병원이 선정되었으나 재정 기여금 마련 방안을 찾지 못하면서 무산되었다.[13]
마땅한 인수 협상 대상자를 찾지 못하자 삼육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온종합병원, 서남대 구 재단이 인수전에 나섰고, 삼육대학교와 서울시립대학교가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교육부는 교육의 질적 개선과 서남대 설립자의 횡령액 변제를 요구했지만 적극적이지 않았고, 의대 인수에만 초점을 두었다며 인수를 수용하지 않았다.[14] 이로써 사실상 서남대와 서남대 의대는 폐교 수순을 밟게 되었으며, 서남대 의대의 정원을 어떻게 배정할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2018년부터 서남대학교는 의예과 신입생을 모집하지 않으며, 기존 재학생들은 전북대학교와 원광대학교로 배정 편입되었다.
참조
[1]
뉴스
"'전공의 정원' 의대 졸업생수 맞춰 계속 줄인다"
http://www.doctorsne[...]
2014-06-10
[2]
문서
현역으로 활동하는 의사는 9만 8천명 가량이다.
[3]
문서
현역으로 활동하는 약사는 4만명 가량이다.
[4]
문서
현역으로 활동하는 간호사는 면허자 수의 45%인 14만명 가량이다.
[5]
문서
현역으로 활동하는 치과 의사는 2만 3천명 가량이다.
[6]
뉴스
지난해 의사 11만명 돌파… 간호사 면허자 수 30만명 시대
https://www.kukinews[...]
2015-01-13
[7]
뉴스
“‘그것이 알고싶다’ 의료 현행 제도 허점, 의사 면허 취소 받고도 재발급
http://www.asiatoday[...]
2015-06-14
[8]
뉴스
서울대 의대, “2010년 의전원 폐지" 검토
http://www.mdtoday.c[...]
2007-11-23
[9]
뉴스
"[클릭리서치] 네티즌 48% \"의학전문대학원 찬성\""
https://www.sedaily.[...]
2005-05-29
[10]
뉴스
병상가동률 2.8%··‘남광병원’의 불편한 진실
https://www.mdtoday.[...]
2012-04-12
[11]
뉴스
부실대 낙인 '서남의대'…자퇴생 비율도 '높다'
https://www.medipana[...]
2012-08-28
[12]
뉴스
서남의대 버젓이 신입생 모집...의학계 "너무하네"
http://www.doctorsne[...]
2013-09-27
[13]
뉴스
서남대 재정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명지병원의 과제는?
https://www.yna.co.k[...]
2015-02-25
[14]
뉴스
"[단독] 교육부 “서남대 폐교”…부실사학 구조조정 신호탄 "
https://www.seoul.co[...]
2017-08-02
[15]
뉴스
광복 64년…의대가 6개에서 41개로 늘어난 까닭은?
https://www.pressian[...]
2009-08-21
[16]
뉴스
의대 입학정원 내년부터 10% 감축… 학부모 반발 예상
https://n.news.naver[...]
2002-08-08
[17]
뉴스
‘의대편입’ 내년부터 폐지
https://n.news.naver[...]
2005-01-25
[18]
뉴스
의대 정원 10년간 4천 명 증원…‘지역의사’는 해당 지역서 10년 의무 복무
https://news.kbs.co.[...]
2020-07-23
[19]
뉴스
정부-의협, 합의문 서명.. 전공의들 “합의 안해, 파업계속” [전문]
https://n.news.naver[...]
2020-09-04
[20]
뉴스
의대정원 확대 '파격 규모' 예상…확대폭 '1천명' 훌쩍 넘을수도
https://n.news.naver[...]
2023-10-14
[21]
뉴스
의대 정원 2천명 늘린다…2035년까지 의사인력 1만명 확충(종합2보)
https://www.yna.co.k[...]
2024-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