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로형 전기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로형 전기 기관차는 일제강점기 수송난 해소를 위해 도입된 기관차로, 경원선 등 산악 구간 전철화에 투입되었다. 1943년 12월 첫 차량이 부산항에 도착하여 조립 후 서울에 전시되었으며, 1944년 4월 1일부터 경원선에서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총 26량 제작 계획 하에 1945년 해방 전까지 9량 중 8량이 경원선에서 운용되었고, 이후 미군정청 결정에 따라 추가 도입되어 총 16량이 대한민국에 납품되었다. 한국 전쟁 중 북한으로 7량이 탈취되었고, 현재 데로3형은 보존 기관차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기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전기 기관차
8500호대 전기 기관차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화물 열차 견인용 전기 기관차이며, 최고 속도 150km/h로 운행하고 IGBT-VVVF 제어 방식과 Co-Co 방식의 대차를 사용하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87량이 도입되어 경부선 등에서 운행한다. - 대한민국의 전기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 기관차는 지멘스 유로스프린터 ES64F형을 기반으로 대우중공업이 제작한 전기 기관차이나, 기술적 및 운영상의 문제로 생산이 중단되어 현재는 간헐적으로 화물 수송에 사용되고 있으며, 국산 전기 기관차 개발에 교훈을 제공하였다.
데로형 전기 기관차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데로이 (Chosen Government Railway, CGR) 전기하 (Korean State Railway, KSR) |
로마자 표기 | DeRoi (CGR) Chŏngiha (KSR) |
기술 정보 | |
동력 방식 | 전기 |
UIC 분류 | 1C-C1 |
휠 간 간격 | 1-2: 2-3: 3-4: |
집전 방식 | 팬터그래프 |
전기 시스템 | 3,000 V DC |
연결기 | AAR knuckle |
발전기 | 1x MG1 |
견인 전동기 | 6x MT1 |
기어비 | 19:78=1:4.11 |
압축기 용량 | 2x MC1 /min |
기관차 제동 장치 | EL14AR 회생 제동 |
열차 제동 장치 | Elnar 공기 제동, 수동 제동 |
운영 정보 | |
운영 주체 | 조선총독부 철도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차량 종류 | CGR: 데ロイ DeRoI KSR: 전기하 Chŏngiha |
차량 수 | 9 |
차량 번호 | CGR: 데ロイ1 - 데ロイ9 KSR: 전기하1 - 전기하9 |
제작 정보 | |
설계자 | 신이치 마쓰다, 사네요시 히로타 |
제작사 | 기샤 세이조, 도시바, 히타치, 미쓰비시 |
제작 기간 | 1943–1944, 1947–1949 |
2. 역사
데로형 전기 기관차는 일제강점기 수송난 해소를 위해 도입되었다. 1937년 경원선 복계-고산 구간, 1938년 중앙선 제천-풍기 구간, 경인선 서울-인천 구간 전철화 계획이 추진되면서 도입이 결정되었다. 초기에는 중앙선 제천역에 배치될 예정이었으나, 이후 경원선에 우선 배치되었다.[14]
1943년 12월 초도 1량이 부산항에 도착하여 조립 후 서울로 옮겨져 전시되었다. 당시 전철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철원역에서 금강산선 설비를 이용해 시운전을 했다.[15] 1944년 경원선 전철화 완료 후, 여러 차례 시운전을 거쳐 4월 1일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5]
당초 26량이 계획되었으나,[16] 1945년 해방 전까지 9량 중 8량이 경원선에서 운용되었고, 1량은 용산에, 1량은 일본에서 대기 중이었다. 1946년 미군정 하에서 중앙선 전철화가 재개되며 7량이 추가 도입되어 총 16량이 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남한에 있던 8량 중 7량은 북한에 탈취되었고,[17] 1량은 1958년 폐차되었다. 이후 북한에서 개조되어 평라선 등에서 운용되었으며, 2011년까지 최소 1량(전기하 3호)이 고원역에 주둔하며 운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13] 이 기관차는 김일성이 검사한 '혁명의 역사적 기념물'로 보존되고 있다.[13]
2. 1. 일제강점기
1937년 경원선 복계~고산 구간 전철화가 계획되고, 1938년 중앙선 제천~풍기 구간 및 경인선 서울~인천 구간 전철화가 추진되었다. 초기에는 중앙선 제천역에 배치될 예정이었으나, 우선순위 변경으로 경원선 구간에 먼저 배치되었다.[14]1943년 12월 초도 1량이 부산항에 도착하여 부산공장에서 조립 후 서울로 회송되어 전시되었다. 당시 전철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철원역 구내에서 금강산선 설비를 활용해 시운전을 실시했다.[15] 1944년 경원선 변전설비 완공 후, 2월 13일 단기 시운전, 3월 27일 및 3월 28일 열차 시운전을 거쳐 4월 1일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5]
당초 계획 수량은 26량으로, 20량은 경원선 복계-고산, 6량은 중앙선 제천-풍기 구간 운행용이었다.[16] 국내 자료에는 데로1형 4량, 데로2형 2량 등 6량이 납품되었다고 하나,[15] 실제로는 1945년 해방 직전까지 9량 중 8량이 경원선에 운용되고 1량이 용산정비창에 있었으며, 추가 1량이 일본에서 선적 대기 중이었다.
1946년 미군정청 결정으로 중앙선 제천-풍기 간 전철화 공사가 재개되면서 일본으로부터 7량(이전 선적 대기분 1량, 종전 후 생산분 6량)이 한국전쟁 이전까지 추가 도입되어 총 16량이 되었다.
한국전쟁 시점까지 남한에 있던 8량 중 7량은 서울 용산정비창, 1량은 부산정비창에서 대기 중이었으나, 전쟁 발발로 서울에 있던 7량이 북한에 탈취되었고,[17] 부산에 있던 1량은 1958년 폐차되었다.
2. 2. 해방 이후
1943년 12월에 데로형 전기 기관차 초도 1량이 부산항에 입항되어 부산공장에서 조립, 서울(당시 경성)로 회송되어 전시되었다. 이후 시운전이 필요했으나, 당시 전철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철원역 구내에서 금강산선 설비를 활용해 시운전을 실시했다. 1944년 경원선 변전설비가 완성되어 전철 공사가 완료되자, 2월 13일 단기 시운전, 3월 27일 및 3월 28일 열차 시운전을 실시했고, 4월 1일 영업 운전을 개시하였다.[15]총 납입 대수는 논란이 있으나, 일본 측 자료에 따르면 당초 계획 수량은 총 26량으로, 이 중 20량은 경원선 복계-고산 간 운행용, 6량은 중앙선 제천-풍기 간 운행용이었다.[16] 국내 자료에서는 데로1형 4량, 데로2형 2량으로 총 6량이 납품되었다고 하나,[15] 실제로는 1945년 해방 직전까지 1차분 9량 중 8량이 납품되어 경원선 구간에서 운용되었고, 1량은 용산정비창에 남아 있었다. 추가로 일본에서 1량이 부관페리 선적을 대기하고 있었으나, 8.15 해방으로 인해 납품이 중지되었다.
1946년, 미군정청의 결정에 따라 중앙선 제천-풍기 간 전철화 공사가 재개되면서 일본으로부터 7량(이전 선적 대기분 1량, 종전 후 생산분 6량)이 한국전쟁 이전까지 추가 도입되었다. 이 시점에서 대한민국에 납품된 데로형 전기 기관차는 총 16량이었다.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남한에 남아있던 8량 중 7량은 서울 용산정비창, 1량은 부산정비창에서 운행 대기 중이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인해 서울에 있던 7량이 북한에 탈취되었고,[17] 부산에 남아있던 1량은 1958년 폐차되었다.
2. 3. 북한에서의 운용
1943년 12월에 데로형 전기 기관차 초도 1량이 부산항에 입항되어 부산공장에서 조립, 서울(당시 경성)으로 회송되어 전시되었다. 이후 시운전이 필요했으나, 당시 전철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철원역 구내에서 금강산선 설비를 활용해 시운전을 실시하였다. 1944년 경원선 변전설비가 완성되어 전철 공사가 완료되자, 2월 13일 단기 시운전, 3월 27일 및 3월 28일 열차 시운전을 실시하였으며, 4월 1일 영업운전을 개시하였다.[15]1945년 해방 직전까지 1차분 9량 중 8량이 납품되어 경원선 구간에서 운용되었고, 1량은 용산정비창에 남아 있었다. 추가로 일본에서 1량이 부관페리 선적을 대기하고 있었으나, 8.15 해방으로 인해 납품이 중지되었다.
한국전쟁 시점까지 남한에 남아있던 8량 중 7량은 서울 용산정비창, 1량은 부산정비창에서 운행 대기 중이었다. 그러나 한국전쟁 발발로 서울에 있던 7량이 북한에 탈취되었으며,[17] 부산에 남아있던 1량은 이후 1958년에 폐차되었다.
데로형 전기 기관차는 경원선 복계~고산 간 산악 구간에서 운행되었다. 해방 이후에도 북한에서 계속 사용되었고, 영어 위키백과 등 일부 자료에서는 아직 운행 중이라고도 한다. 2011년 함경남도 고원군의 한 건널목에서 데로형으로 추정되는 전기 기관차가 촬영되어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북측에서는 이 형식의 기관차를 "전기하"(전기하|전기하한국어)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전쟁으로 인해 북한 철도 노선의 전철화가 파괴되면서, 데로형 전기 기관차는 1956년까지 사용되지 않았다. 그 해에 이들은 전기하급으로 재분류되고 전기하 1호부터 9호까지 번호가 매겨졌다. 이후 북한 전철화 계획의 첫 단계로 1956년에 전철화된 평라선 양덕–천송 구간에서 사용하기 위해 양덕 기관차 공장에서 개조되었다.[12]
원래 갈색으로 도색되었으나, 1958-59년에 붉은별 1형 전기 기관차 도입으로 표준화된 배색에 맞춰 밝은 청색 위에 짙은 녹색으로 재도색되었다.[7][3] 어떤 시점에서, 원래의 팬터그래프는 붉은별 1형 기관차에 사용된 유형의 팬터그래프로 교체되었다.[13]
2011년 기준으로, 최소 한 대인 전기하 3호가 고원에 주둔하며 여전히 운행 중이다.[13] 이 기관차는 김일성에 의해 검사되었으며,[13] "혁명의 역사적 기념물"로 깨끗하게 유지되고 있다.
3. 구조 및 특징
모든 데로형 전기 기관차는 1500V와 3000V 전력을 사용하며, 회생 제동과 총괄 제어 기능이 있었다. 6개의 동축과 2개의 부수축을 가진 1C-C1 차륜 배치의 박스형 차체 형상을 하고 있었고, 전륜 지름은 860mm, 동륜 지름은 1370mm였다. 각 형식별로 세부 사양에는 차이가 있었다.
3. 1. 데로1형
데로1형은 도시바에서 납품한 차량으로, 일본의 EF11형을 원형으로 제작했다.[18] 다른 형식에 비해 출력이 10% 정도 높았으나, 정격 속도는 약간 떨어졌다.히타치 제작 ''데로니''급과 미쓰비시 제작 ''데로이''급은 전반적으로 외관이 매우 유사했지만, 도시바 제작 ''데로이''급은 측면 창의 불균등한 간격, 독특한 환기구 형태, 갑판 난간의 독특한 배열로 구별되었다.[8]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1943년 경원선 전철화와 함께 사용할 목적으로 ''데로이''급 기관차 20량을 주문했는데, 이 중 16량이 도시바에서 제작되었다.[6] 이 유형의 주요 설계는 미쓰비시에서 담당했지만,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인도된 최초의 데로이형 기관차는 도시바에서 제작한 것이었다. 처음 4량은 도시바의 전기 부품을 사용하여 기샤 제조에서 제작되었다.[9] 데로이-1은 1943년 12월 부산에 도착했으며,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부산 공장에서 조립된 후 경성으로 보내져 일반에 공개되었다.
태평양 전쟁 말까지 5량만 인도되었는데, 1~3호는 1943년(각각 6월, 8월, 12월), 4, 5호는 1944년(1월과 10월)에 제작되었다.[10]
1945년 광복 이후 한반도 분단 당시, 도시바 제작 ''데로이''급 기관차 5량 중 4량은 북한에, 1량은 수리를 위해 서울에 있었다.[6] 분단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는 도쿄에서 미쓰비시 제작 3량과 도시바 제작 7량의 ''데로이''급 기관차를 배상으로 한국에 인도하라고 명령했으며, 이들은 모두 남한에 인도되었다.[11] ''데로이'' 6호는 1944년 11월에 완성되어 일본 고베 항으로 옮겨졌지만, 이후 공장으로 반환되었다. 이는 1946년 3월에 한국에 인도된 10량의 신규 기관차 중 첫 번째였다. 7~9호는 1947년(각각 1월, 6월, 9월)에 제작 및 인도되었고, 마지막 3량(10~12호)은 1949년에 완성되었지만, 한국 전쟁 발발과 남한의 (미완성) 전철화 시설 파괴로 인해 일본에서 폐기되어 인도되지 않았다.[10] 분단 이후 인도된 기관차 중 1량을 제외한 모든 기관차는 조선인민군에 의해 점령되어 북한으로 옮겨졌으며, 8호는 부산에 보관되어 있다가 1958년에 사용되지 않은 채 폐기되었다. 결과적으로 제작된 16량 중 15량이 북한에 남게 되었다.[6]
한국 전쟁으로 인해 북한 철도 노선의 전철화가 파괴되면서, 이들은 1956년까지 사용되지 않았다. 그 해에 이들은 전기하(전기하|전기하한국어)급으로 재분류되고 전기하1호부터 전기하9호까지 번호가 매겨졌으며, 1956년에 전철화된 평라선의 양덕–천송 구간에서 사용하기 위해 양덕의 기관차 공장에서 개조되었다.[12]
원래 갈색으로 도색되었으나, 1958-59년에 붉은별 1형 전기 기관차의 도입으로 표준화된 배색에 맞춰 밝은 청색 위에 짙은 녹색으로 재도색되었다.[7][3] 이후 원래의 팬터그래프는 붉은별 1형 기관차에 사용된 유형의 팬터그래프로 교체되었다.[13]
2011년 기준으로, 최소 한 대인 전기하 3호가 고원에 주둔하며 여전히 운행 중이다.[13] 이 기관차는 김일성에 의해 검사되었으며,[13] "혁명의 역사적 기념물"로 깨끗하게 유지되고 있다.
원형 | colspan="3" | | 전후 | |||||
---|---|---|---|---|---|---|---|
소유주 | 번호 | 제작사 | 제작년도 | 제작번호 | 소유주 | 번호 | 비고 |
조선총독부 철도 | 데로이1 | 기샤 세이조 | 1943.6 | 2681 | 북한 | 전기하1 | |
조선총독부 철도 | 데로이2 | 기샤 세이조 | 1943.8 | 2682 | 북한 | 전기하2 | |
조선총독부 철도 | 데로이3 | 기샤 세이조 | 1943.12 | 2683 | 북한 | 전기하3 | 현존하는 보존 기관차 |
조선총독부 철도 | 데로이4 | 기샤 세이조 | 1944.1 | 2684 | 북한 | 전기하4 | |
조선총독부 철도 | 데로이5 | Toshiba | 1944.10 | 북한 | 전기하5 | ||
조선총독부 철도 | 데로이6 | Toshiba | 1944.11 | 북한 | 데로1-6 | 1947년 인도. 한국 전쟁 중 노획 → 북한 전기하6 | |
대한민국 국유철도 | 데로1-7 | Toshiba | 1947.1 | - | - | 한국 전쟁 중 노획 대한민국 국유철도 → 북한 전기하7 | |
대한민국 국유철도 | 데로1-8 | Toshiba | 1947.6 | - | - | 부산 보관, 1958년 폐차 | |
대한민국 국유철도 | 데로1-9 | Toshiba | 1947.9 | - | - | 한국 전쟁 중 노획 대한민국 국유철도 → 북한 전기하9 | |
대한민국 국유철도 | 데로1-10 | Toshiba | 1949 | - | - | 인도되지 않고 일본에서 폐차 | |
대한민국 국유철도 | 데로1-11 | Toshiba | 1949 | - | - | 인도되지 않고 일본에서 폐차 | |
대한민국 국유철도 | 데로1-12 | Toshiba | 1949 | - | - | 인도되지 않고 일본에서 폐차 |
3. 2. 데로2형

데로2형은 히타치에서 납품한 차량으로, 데로1형과 거의 비슷하다. 일본의 EF12형을 도입하면서 출력을 낮춰, 출력이 약간 낮게 설정되었다.[18]
3. 3. 데로3형
모든 데로형은 1500V와 3000V의 전력을 사용하고, 회생제동과 총괄제어 기능을 가졌으며, 6개의 동축과 2개의 부수축을 가진 1C-C1의 차륜 배치를 취하였고, 박스형의 차체 형상을 하고 있었다. 전륜 지름 860mm, 동륜 지름 1370mm이다. 각 형식 별로는 세부 사양의 차이가 존재한다.데로3형은 미쓰비시에 의해 납품이 예정되어 있던 형식으로, 실제 납품되어 운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성능 등은 다른 데로형과 대동소이하나, 전동기 형식이 변동되는 등의 차이가 존재한다.
4. 제작 현황
데로형 전기 기관차는 원래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철도국(선철)에서 20량을 주문했으나, 실제로는 16량만 제작되었다. 이 중 16량은 도시바[6]에서, 4량은 미쓰비시[5]에서 제작했다.
최초의 데로형 기관차는 도시바에서 제작되었으며, 1943년 12월 부산에 도착하여 조립 후 금강산 전기철도에서 시험 운행을 거쳤다.[4] 도시바에서 주문한 16량은 경원선에서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태평양 전쟁 말까지 5량만 인도되었다.[10] 1~3호는 1943년(각각 6월, 8월, 12월), 4, 5호는 1944년(1월과 10월)에 제작되었다.[10]
1945년 광복 이후 한반도가 분단되면서, 도시바 제작 데로이형 기관차 5량 중 4량은 북한에, 1량은 서울에 남게 되었다.[6]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명령으로 미쓰비시 제작 3량과 도시바 제작 7량의 데로이형 기관차가 한국에 인도되었다.[11] 데로이 6호는 1946년 3월에, 7~9호는 1947년(각각 1월, 6월, 9월)에 제작 및 인도되었다.[10] 10~12호는 1949년에 완성되었지만, 한국 전쟁 발발 이후 인도되지 않고 일본에서 폐기되었다.[10]
분단 이후 남한에 인도된 기관차 중 1량을 제외한 나머지는 조선인민군에 노획되어 북한으로 옮겨졌고, 8호는 부산에 보관되다가 1958년에 폐차되었다.[6] 북한에 남은 15량의 데로이형 기관차는 1956년에 전기하(전기하|한국어)급으로 재분류되어 전기하1호부터 전기하9호까지 번호가 매겨졌다.[12] 이들은 평라선 양덕–천송 구간에서 사용하기 위해 양덕의 기관차 공장에서 개조되었다.[12]
원래 갈색이었던 도색은 1958-59년에 짙은 녹색 바탕에 밝은 청색으로 변경되었고,[7][3] 팬터그래프도 붉은별 1형에 사용된 유형으로 교체되었다.[13]
2011년 기준으로, 최소 한 대인 전기하 3호가 고원에 주둔하며 여전히 운행 중이며,[13] 김일성이 검사한 기관차로 "혁명의 역사적 기념물"로 보존되고 있다.[13]
원형 | colspan="3" | | 전후 | |||||
---|---|---|---|---|---|---|---|
소유주 | 번호 | 제작사 | 제작년도 | 제작번호 | 소유주 | 번호 | 비고 |
CGR | 데로이1 | 기샤 세이조 | 1943.6 | 2681 | KSR | 전기하1 | |
CGR | 데로이2 | 기샤 세이조 | 1943.8 | 2682 | KSR | 전기하2 | |
CGR | 데로이3 | 기샤 세이조 | 1943.12 | 2683 | KSR | 전기하3 | 현존하는 보존 기관차 |
CGR | 데로이4 | 기샤 세이조 | 1944.1 | 2684 | KSR | 전기하4 | |
CGR | 데로이5 | Toshiba | 1944.10 | KSR | 전기하5 | ||
CGR | 데로이6 | Toshiba | 1944.11 | KNR | 데로1-6 | 1947년 인도. 한국 전쟁 중 노획 → KSR 전기하6 | |
KNR | 데로1-7 | Toshiba | 1947.1 | KSR | 전기하7 | 한국 전쟁 중 노획 | |
KNR | 데로1-8 | Toshiba | 1947.6 | 부산 보관, 1958년 폐차 | |||
KNR | 데로1-9 | Toshiba | 1947.9 | KSR | 전기하9 | 한국 전쟁 중 노획 | |
KNR | 데로1-10 | Toshiba | 1949 | 인도되지 않고 일본에서 폐차 | |||
KNR | 데로1-11 | Toshiba | 1949 | 인도되지 않고 일본에서 폐차 | |||
KNR | 데로1-12 | Toshiba | 1949 | 인도되지 않고 일본에서 폐차 |
참조
[1]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50) ソ連向けデロイの輸出許可申請書(その1)
http://ameblo.jp/gon[...]
2014-02-23
[2]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2)
http://ameblo.jp/gon[...]
2011-10-21
[3]
서적
将軍様の鉄道
[4]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Korea Rolling Stock Technical Corp.
1999
[5]
웹사이트
松田新市三菱電機技師の戦中戦後の電気車設計
http://ktymtskz.my.c[...]
[6]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4)発注数量と実生産数
http://ameblo.jp/gon[...]
2011-11-08
[7]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31) 戦後のデロイ(1964年)
http://ameblo.jp/gon[...]
2012-07-08
[8]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21) 北朝鮮に残るデロイは東芝製?
http://ameblo.jp/gon[...]
2012-01-06
[9]
서적
汽車会社蒸気機関車製造史
Kōyūsha
1972
[10]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51)ソ連向けデロイの輸出許可申請書(その2)
http://ameblo.jp/gon[...]
2014-03-18
[11]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15) デロイ戦後の遍歴3
http://ameblo.jp/gon[...]
2011-12-11
[12]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22) 北朝鮮のデロイ資料2(交通新聞1956年)
http://ameblo.jp/gon[...]
2012-01-12
[13]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20) 北朝鮮のデロイ資料1
http://ameblo.jp/gon[...]
2011-12-27
[14]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15]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16]
웹사이트
해방 이후의 데로형 전기기관차. by 조사부장 집무실
http://inspektor.wee[...]
[17]
웹사이트
京元線 福渓−高山
https://travel-100ye[...]
[18]
문서
데로형 [[전기 기관차]]의 원형인 EF11 및 EF12형 전기 기관차는 현재 전량 폐차되어 남아있지 않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