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곡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곡역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수인분당선이 지나간다. 1985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3년 수인분당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3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수인분당선은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아파트 단지와 학교가 밀집해 있으며, 2014년 3호선 열차 내 방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남구의 전철역 - 대청역
    대청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93년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역이다.
  • 서울 강남구의 전철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1993년 개업한 철도역 - 마르코니역 (로마 지하철)
    마르코니역은 로마 지하철 B선의 역으로, 승객 편의 시설과 자동 매표기를 갖추고 있으며, 마르코니 다리와 로마 트레 대학교 인근에 위치한다.
  • 1993년 개업한 철도역 - 대청역
    대청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93년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역이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도곡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이름도곡역
한자 표기道谷驛
로마자 표기Dogongnyeok
역 번호344 (서울교통공사)
K217 (한국철도공사)
주소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 2814 (도곡2동 339-2)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노선서울 지하철 3호선
수인·분당선
승강장3
선로4
구조지하
개업일1993년 10월 30일 (서울 지하철 3호선)
2003년 9월 3일 (분당선)
이용 정보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3호선: 17,579명
분당선: 8,487명
서울교통공사 상세 정보
관할서울교통공사
승강장2면 2선
영업 거리대화 기점 49.0km
이전 역343 매봉 (0.8km)
다음 역345 대치 (0.8km)
한국철도공사 상세 정보
관할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수서관리역
종별배치간이역
승강장1면 2선
영업 거리청량리 기점 10.8km
이전 역K216 한티 (0.7km)
다음 역K218 구룡 (0.6km)
이미지 정보
도곡역 승강장
도곡역 4번 출입구 (2022년 4월 26일)
오금 방향 역명판 (교체 전)
대화 방향 승강장
청량리 방향 역명판
선릉 방향 승강장 (선릉역~왕십리역 구간 연장 개통·수인분당선 직결 전)

2. 역사

1993년 10월 30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수서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3년 9월 3일에는 분당선 수서-선릉 구간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1] 2013년 11월 30일부터 분당선 급행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2]

개통 초기 서울 지하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에서, 분당선한국국철 (현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였다.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는 서울메트로로, 한국국철은 한국철도공사로 이름을 변경하였다.[3][5]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가 되면서 3호선은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4]

2. 1. 서울 지하철 3호선

1993년 10월 30일 (토요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수서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3년 9월 3일 (수요일) 분당선 수서~선릉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 - 3호선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으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추고 있다.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 (풀스크린 타입)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행선은 일부가 벽으로 구분되어 반대편을 볼 수 없다. 대치역 방향에 유치선이 있어, 막차 1편성의 유치에 사용된다. 분당선으로 환승하려면 승강장 중간에 있는 환승 통로를 이용하면 된다.

2. 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2003년 9월 3일 분당선 수서~선릉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역 번호는 '''K217'''이다.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호선 환승 시 북쪽(판교역 방향) 계단을 이용하면 대화 방면(상행 승강장)으로, 남쪽(구룡역 방향) 계단을 이용하면 오금 방면(하행 승강장)으로 연결된다.

3. 역 구조

도곡역은 서울특별시강남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3호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3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수인분당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두 노선 모두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6]

수도권 전철 3호선 막차 중 1편성이 이 역에서 종착하며, 매일 이 역에서 출발·종착하는 열차가 있으나, 모두 수서차량사업소와 이 역 사이를 공차회송하며 회차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3호선의 개찰구는 지하 2층에 1곳 있으며,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있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개찰구는 지하 1층에 북쪽과 남쪽 두 곳에 있으며, 남쪽 개찰구에만 승강장 연결 엘리베이터와 화장실(개찰구 내)이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는 한국철도공사와 공동으로 1번부터 4번까지 총 4곳이 있다.

3. 1. 3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6] 선로 중간이 많이 벌어져 있는데 그 이유는 대치역 방향에 있는 유치선(회차선) 때문이며, 이 유치선의 영향으로 대치역이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 되었다. 이 유치선은 비상시나 임시 열차들이 사용한다. 승강장 끝쪽은 폐쇄형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지만 승강장 중간에는 기둥이 설치되어 있어 반대편 승강장을 볼 수 있다.

승강장 (2018년 11월 23일)


승강장 층은 지하 4층이며,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 시스템(풀스크린 타입)을 설치하였다. 상하행선은 일부가 벽으로 구분되어 반대편을 볼 수 없다. 대치역 방향에 유치선이 있어, 막차 1편성의 유치에 사용된다.

분당선으로 환승하려면 승강장 중간에 있는 환승 통로를 이용하면 된다.

3호선 도곡역 승강장
승강장노선행선지
상행--고속버스터미널·종로3가·구파발·대화 방면
하행--도곡·수서·가락시장·오금 방면


3. 2. 수인분당선 승강장

220px


도곡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2]

분당선 도곡역 승강장
승강장노선방면
상행-- 분당선선릉·강남구청·왕십리 방면
하행-- 분당선모란·죽전·수원 방면


4. 역 주변

도곡역은 남부순환로선릉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며, 주변은 주로 아파트 단지와 학교가 밀집해 있다. 출입구는 4개로, 1·4번 출입구는 도곡동에 있고, 2·3번 출입구는 대치동에 있다.

'''주변 시설'''



출입구주요 시설
1번 출구숙명여자고등학교, 서울대도초등학교, 도곡렉슬 아파트
2번 출구동부센트레빌 아파트, 래미안 대치팰리스 아파트
3번 출구대청중학교
4번 출구삼성 타워팰리스


5. 사건·사고

2014년 5월 28일 매봉역에서 도곡역 방향으로 운행하던 수도권 전철 3호선 열차에서 70대 남성이 불을 지른 사건이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 지하철 3호선 방화 사건 문서를 참조하라.

5. 1. 서울 지하철 3호선 방화 사건

2014년 5월 28일 (수요일) 오전 10시 54분경 매봉역에서 이 역 방향으로 운행하던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70대 남성이 방화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이 열차에는 약 370여 명의 승객이 타고 있었으나, 다행히도 열차가 역내에 진입한 순간에 불이 발생하여 역무원의 빠른 대처로 승객들이 모두 대피하였고, 초기 진화에 성공하여 불은 6분 만에 진화되었다. 부상자는 대피 중 발목을 삔 1명을 빼고는 발생하지 않았다.[7] 한편 방화범 조모 씨는 방화 과정 중 화상을 입고 달아나다가 인근 화상전문병원에서 피해자인 척 치료받다가, 30분 만에 목격자의 진술을 토대로 수색을 벌이던 경찰에게 검거되었다. 경찰 조사 과정에서 방화범 조 씨는 "15년 전 운영하던 업소의 정화조가 넘쳐 피해를 입었으며, 소송과 민원 등을 통해 보상을 받긴 했으나 기대에 못 미치는 금액이라 불을 질러 자살해 억울함을 호소하려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8]

6. 이용객 변동

수인분당선한국어3호선 모두 이용객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특히 3호선은 2010년대 중반 이후 감소폭이 크다.[9]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3호선승차8,4839,7889,61510,2068,7339,0889,7109,5639,1699,178[9]
하차7,9899,3749,4259,9688,0118,1488,6428,5088,1048,141
승·하차16,47119,16219,04020,17416,74417,23518,35318,07017,27317,319
분당선승차미개통1,1423,3303,9524,0693,9903,9213,945[10]
하차1,1013,0223,9314,0584,0674,1084,140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3호선승차9,91710,1059,1868,4918,1127,3727,1296,7536,106[9]
하차8,9749,3428,5177,8716,5276,7876,7326,4686,006
승·하차18,89119,44717,70316,36214,63914,15913,86113,22112,112
분당선승차3,7573,5743,8156,3216,6066,6716,9927,0266,912[10]
하차3,9583,7463,9486,4677,0916,8157,1027,0826,851



분당선2003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3년 9월 3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0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10]

참조

[1] 웹사이트 도곡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7-02-16
[2] 웹아카이브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4-10-06
[3] 웹사이트 Dogok https://web.archive.[...] Seoul Metro 2017-02-16
[4]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5]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6] 웹페이지
[7] 뉴스 도곡역 전동차 화재, “60대 남성 시너 뿌리고 불붙였다”목격자 진술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4-05-28
[8] 뉴스 도곡역 화재, 용의자 병원서 치료중 검거… "자살로 억울함 호소하려 했다"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4-05-28
[9]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10]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