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종로3가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종로3가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 3호선, 5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1974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1985년 3호선, 1996년 5호선이 개통되면서 세 노선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탑골공원'이 부역명으로 지정되었다. 1호선과 5호선 간 환승 거리가 약 300m로 긴 편이며, 16개의 출구가 있다. 주변에는 낙원상가, 종묘, 창덕궁, 인사동 등 관광 명소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혜화역
    혜화역은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며 대학로, 서울대학교병원, 성균관대학교 인근에 있어 유동 인구가 많고, 2018년 불법촬영 규탄 시위, 2023년 엘리베이터 훼손 논란이 있었다.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종각역
    종각역은 서울 종로2가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74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주변에 보신각, 영풍문고 등 주요 시설과 역사적 장소가 있고, SC제일은행이 부역명으로 병기되어 있으며, 제야의 종 행사 때는 무정차 통과한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종로3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종로3가역
한자 표기鍾路三街驛
로마자 표기Jongno 3(sam)-ga-yeok
부역명탑골공원, 인사동 문화의 거리 (5호선만 해당)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 129 (1호선),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 지하 30 (3호선),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11길 지하 26 (5호선)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개업일1974년 8월 15일 (1호선), 1985년 10월 18일 (3호선), 1996년 12월 30일 (5호선)
노선 정보
노선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역 번호1호선: 130, 3호선: 329, 5호선: 534
승강장 구조1호선: 2면 2선 (상대식), 3호선: 1면 2선 (섬식), 5호선: 1면 2선 (섬식)
승강장4
선로6
1호선 영업 거리연천역 기점 65.4km (서울역 기점 2.9km)
3호선 영업 거리대화역 기점 32.5 km (지축역 기점 15.4km)
5호선 영업 거리방화역 기점 25.4 km
1호선 이전 역종로5가역
1호선 다음 역종각역
3호선 이전 역안국
3호선 다음 역을지로3가역
5호선 이전 역광화문역
5호선 다음 역을지로4가역
통계 정보
2012년 일일 승객 수1호선: 72,780명, 3호선: 19,055명, 5호선: 26,250명
2018년 승차 인원59,738명
2018년 승하차 인원123,836명
기타 정보
종로3가역
역 표지판
종로3가역 9번 출입구
9번 출입구
종로3가역 5호선 역명판
5호선 역명판
5호선 승강장
5호선 승강장

2. 역사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5]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역명을 '''종로3가역'''으로 결정하였다.[11]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12] 1996년 12월 3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왕십리역 구간 개통으로 세 노선의 환승역이 되었고, '''탑골공원'''이 부역명으로 붙여졌다. 2001년 7월 24일에는 5호선에 '''인사동 문화거리'''라는 부기역명이 추가되었다.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변경되었고,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

2. 1. 개요

2. 2. 연혁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역-청량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5]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역명을 '''종로3가역'''으로 결정했다.[11]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12] 1996년 12월 3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왕십리역 구간 개통으로 세 노선의 환승역이 되었다. 2001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5호선 부기역명 인사동 문화거리로 표기되었다.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개칭되었다.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

3. 역 구조

종로3가역은 3개 노선 모두 왼쪽 출입문이 열린다. 1호선과 3호선 승강장은 매우 좁은 반면, 5호선 승강장은 매우 넓다. 1호선 출구는 종로2가로 나아가는 대로변에 있고, 3호선 측 출구는 종묘 인근에 있다. 5호선 측 출구는 낙원상가 부근의 골목길에 있으며 종로2가 및 탑골공원과 가깝다.

1호선과 5호선을 환승할 경우 3호선 승강장 전체에 해당하는 길이(322m)를 횡단하여야 하며, 5호선에서 1호선으로 가는 환승 통로 중간에 3호선 환승 통로가 있다. 환승 통로에는 무빙 워크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과 3호선 간의 환승 거리는 약 200m이며, 3호선과 5호선 간의 환승 거리는 122m이다. 5호선 측 출구에서 1호선이나 3호선을 이용하기 위하여 승차할 경우 상당히 긴 거리를 걸어야 한다.

출구는 16개가 있다. 1호선-3호선의 유일한 환승역이기도 하며, 3호선-5호선 역시 3호선 수서-오금 연장 이전에는 유일한 환승역이었다.

1호선 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호선 또는 5호선으로 환승하는 경우 승강장 중간에 있는 환승 통로를 이용해야 한다. 1호선 승강장은 2001년부터 스크린도어 설치 전까지는 승강장 내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음 시설물이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 5호선의 초기 계획이 변경되면서 1호선 종로3가역과 동대문역 같은 역들은 승강장이 불필요하게 좁게 만들어졌다.

3호선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도로가 협소하여 승강장이 좁은 편이다.

5호선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5호선은 1, 3호선에 비해 발달된 공사 공법으로 건설되어, 돈화문로 11길의 좁은 도로 폭에도 불구하고 승강장을 깊고 넓게 건설할 수 있었다.

환승 통로. 5호선 쪽에서 촬영.


3개 노선 모두 지하역이며, 개찰구는 8곳, 출입구는 1번부터 15번까지와 2-1번으로 총 16곳이다. 수도권 전철 중 가장 많은 출입구를 가지고 있다. 화장실은 개찰구 안에 4곳, 개찰구 밖에 1곳 있다. 1호선은 종로 바로 아래를 동서로, 3호선은 돈화문로 바로 아래를 남북으로, 5호선은 돈화문로 10길 바로 아래를 동서로 지나간다. 1호선과 5호선 역은 동서로 나란히 놓인 서로 다른 도로 바로 아래에 있기 때문에 환승 거리는 약 300m로 수도권 전철 중에서도 매우 길며, 3호선 승강장이나 콘코스를 경유해야 한다.

승강장노선
G지상출구
L1대합실로비,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L2남행 인천 방면, 신창 또는 (종각)
북행 소요산 방면, (종로5가)
L3북행 대화 방면 (안국)
남행 오금 방면 (을지로3가)
L4서행 방화 방면 (광화문)
동행 하남검단산 또는 마천 방면 (을지로4가)


3. 1. 개요

3. 2. 환승

종로3가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 3호선, 5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1호선과 3호선, 3호선과 5호선 간의 환승 거리는 각각 약 200m, 122m로 비교적 짧은 편이다. 그러나 1호선과 5호선 간 환승 거리는 약 322m로 매우 길며, 3호선 승강장 전체를 횡단해야 한다. 1호선과 5호선 간 환승 통로에는 무빙워크가 설치되어 있다. 3호선 승강장은 1호선 하행 승강장과 바로 연결된다.

세 노선 모두 지하역이며, 1호선은 종로 바로 아래를 동서로, 3호선은 돈화문로 바로 아래를 남북으로, 5호선은 돈화문로 10길 바로 아래를 동서로 지나간다.

3. 3. 1호선 승강장

{

상행동대문, 청량리, 광운대, 의정부, 연천 방면 (일반, 급행)
하행시청, 서울역, 부천, 인천, 서동탄, 천안, 신창 방면 (일반, 급행)
1호선 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2면 2선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승강장이 좁은 편이다. 과거 스크린도어 설치 전에는 소음 방지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



|}

3. 4. 3호선 승강장

{

}

상행경복궁 ·
하행충무로 ·



종로3가역 3호선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이며, 상부 도로가 협소하여 승강장이 좁은 편이다.

3. 5. 5호선 승강장

5호선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1면 2선)으로, 1호선 및 3호선 승강장에 비해 넓은 것이 특징이다. 5호선은 1호선 및 3호선과 달리 상부 도로에 영향을 적게 받는 공법을 사용하여 돈화문로 11길이 좁음에도 불구하고 승강장을 깊고 넓게 건설할 수 있었다.

5호선 승강장에서는 광화문 방면으로 상행, 을지로4가 방면으로 하행 열차가 운행된다.

상행광화문 · 충정로 · 공덕 · 여의도 · 신길 · 까치산 · 김포공항 · 방화 방면
하행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청구 · 군자 · 광나루 · 천호 · 하남검단산 · 마천 방면



4. 역 주변

낙원상가, 창덕궁, 돈화문, 종묘, 서울교동초등학교, 서울운현초등학교, 세운상가·세운스퀘어, 종로세무서, 청계천, 탑골공원, CGV 피카디리1958, 단성사, 서울극장 등이 있다. 종로2가, 종로3가, 종로4가, 관수동, 종로1·2·3·4가동행정복지센터, 종로귀금속타운, 종로3가 보쌈골목, 돈의동 갈매기살골목, 익선동 한옥마을, 피맛골, 보신각, 인사동도 주변에 위치한다.

1번 출구는 종로 1, 2, 3, 4가 동사무소, 종로2가 우체국, 종로2가 파출소, 탑골공원, 인사동 방면이다. 2번 출구와 2-1번 출구는 창덕궁 방면이다. 3번 출구는 돈의동, 종로3가 소방서, 종로3가 파출소, 종묘, 종묘시민공원 방면이다. 4번 출구는 낙원동 방면이며, 1호선에서는 6번 출구를 이용해야 한다. 5번 출구는 서울교동초등학교, 서울운현초등학교, 종로 1, 2, 3, 4가 동사무소, 종로2가 우체국, 종로2가 파출소, 종로세무서, 탑골공원 방면이며, 1호선에서는 3번 또는 6번 출구를 이용해야 한다. 6번 출구는 종로3가 소방서 방면이다. 7번 출구는 안국동, 돈화문, 종로3가 파출소, 창덕궁 방면이다. 8번 출구는 묘동, 창덕궁, 종묘시민공원 방면이다. 9번 출구는 종묘, 종로3가 소방서, 종로3가 파출소 방면이다. 10번 출구는 종묘, 종묘시민공원 방면이다. 11번 출구는 대림상가 방면이다. 12번 출구는 종로4가 방면이다. 13번 출구는 장사동, 청계천 3가 방면이다. 14번 출구는 청계천 3가, 서울청소년수련관 방면이다. 15번 출구는 관수동, 종로2가, 산업은행, 종로 종점 방면이다.

4. 1. 개요

4. 2. 주요 시설

낙원상가, 탑골공원, 종묘, 창덕궁이 근처에 있다. 서울교동초등학교, 서울운현초등학교, 세운상가·세운스퀘어, 종로세무서, 청계천도 주변에 위치한다. CGV 피카디리1958, 단성사, 서울극장과 같은 영화관 및 종로 귀금속타운, 종로3가 보쌈골목, 돈의동 갈매기살골목, 익선동 한옥마을, 피맛골, 보신각, 인사동도 주요 시설로 꼽힌다.

1번 출구는 종로 1, 2, 3, 4가 동사무소, 종로2가 우체국, 종로2가 파출소, 탑골공원, 인사동 방면이다. 2번 출구와 2-1번 출구는 창덕궁으로 이어진다. 3번 출구는 돈의동, 종로3가 소방서, 종로3가 파출소, 종묘, 종묘시민공원 방면,4번 출구는 낙원동 방면이다. 1호선에서는 6번 출구를 이용해야 한다. 5번 출구는 서울교동초등학교, 서울운현초등학교, 종로 1, 2, 3, 4가 동사무소, 종로2가 우체국, 종로2가 파출소, 종로세무서, 탑골공원 방면이며, 1호선에서는 3번 또는 6번 출구를 이용해야 한다. 6번 출구는 종로3가 소방서,7번 출구는 안국동, 돈화문, 종로3가 파출소, 창덕궁 방면이다. 8번 출구는 묘동, 창덕궁, 종묘시민공원,9번 출구는 종묘, 종로3가 소방서, 종로3가 파출소,10번 출구는 종묘, 종묘시민공원,11번 출구는 대림상가,12번 출구는 종로4가,13번 출구는 장사동, 청계천 3가,14번 출구는 청계천 3가, 서울청소년수련관,15번 출구는 관수동, 종로2가, 산업은행, 종로 종점 방면이다.

5. 이용객 변동

{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호선승차48,36949,34548,18947,78647,99346,74745,05343,35741,35739,462[13]
하차51,58953,25151,18950,31649,83547,38345,09942,16239,50637,751
승하차99,957102,59699,37998,10197,82894,13090,15285,51880,86377,214
3호선승차6,1636,3766,3696,1876,2208,1049,1749,3289,7139,562
하차7,6107,3667,4886,8206,4698,5499,8139,96210,45510,870
승하차13,77313,74213,85713,00712,69016,65318,98719,29020,16820,431
5호선승차10,11410,88410,90511,00411,34811,40211,18310,84510,93511,205[14]
하차14,00314,41514,14614,11014,43014,32613,97313,76013,38613,358
승하차24,11725,29925,05125,11425,77825,72825,15724,60524,32124,562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1호선승차37,72438,12337,50136,79638,20737,37936,63335,39034,091
하차36,63736,78735,69634,81535,51634,77033,97632,81331,814
승하차74,36174,91073,19771,61273,72372,14970,60968,20365,905
3호선승차9,2558,8498,8999,2748,9848,8078,4408,9379,799
하차10,64910,34810,36410,78311,48911,55111,29011,93913,215
승하차19,90419,19719,26320,05720,47320,35819,73020,87623,014
5호선승차11,53112,25212,65613,17914,07813,56513,97614,47615,848
하차13,29713,62213,79414,12714,34113,67814,09014,14115,069
승하차24,82825,87426,45027,30628,41927,24328,06628,61730,917



종로3가역의 이용객 변동은 1호선, 3호선, 5호선의 승하차 인원을 합산하여 통계를 낸다.[13][14]

6. 관광

2013년 서울교통공사에서 발행한 안내 책자에는 3호선을 이용하여 안국역, 경복궁역을 거쳐 인사동의 골동품 상점과 미술관을 둘러보는 한국 전통 문화 테마 코스가 소개되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종로3가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09-28
[2]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2013-10-15
[3] 뉴스 Seoul Subway Line No. 2 Becomes Major WiFi Hotspot http://english.chosu[...] 2010-12-24
[4] 뉴스 Free guide for Seoul's subway riders http://koreajoongang[...] 2013-01-26
[5] 웹페이지 수도권 전철 1호선
[6] 웹사이트 http://www.seoulmetr[...]
[7] 웹페이지 서울메트로
[8] 웹페이지 서울메트로
[9] 웹페이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10] 웹사이트 어르신 공짜 모시기 27년, 지하철의 속앓이 http://zum.com/#news[...]
[11]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http://event.seoul.g[...] 1983-09-13
[12] 뉴스 지하철(지하철)3.4호선 완전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18
[13] 웹사이트 http://www.seoulmetr[...]
[14] 웹사이트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