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선여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본사를 둔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1990년대 서울여객을 인수했으며, 2004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체계 개편 이후 간선버스 3개, 지선버스 3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간선 및 지선 버스, 맞춤 버스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일부 노선이 폐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선여객 계열사 - 친선고속
친선고속은 1951년 친선버스로 설립되어 충주를 기반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2001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지역을 기점으로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노선망을 구축하고 있다. - 도선여객 계열사 - 서울여객 (서울)
서울여객은 1969년 서울승합에서 분리된 한남여객운수의 옛 이름으로, 1990년대 중반 삼영교통에 인수된 후 2000년 12월 삼영교통과 통폐합되었으며 과거 다양한 도시형 버스 노선을 운행했다. - 1973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울버스
서울버스는 1973년 상계운수로 시작하여 사명 변경과 노선 인수 등을 거쳐 현재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 1973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경진여객
경진여객은 1970년 대명여객으로 설립되어 사명 변경과 사업 확장을 거쳐 현재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등을 운행하는 경기도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 서울 강남구의 교통 - 테헤란로
테헤란로는 이란 테헤란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1977년 테헤란 시장의 서울 방문을 기념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한국의 주요 비즈니스 및 금융 중심지로 발전했다. - 서울 강남구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도선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도선여객 주식회사 |
원어 | Dosun Transportation Service Co., Ltd.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73년 3월 24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양재대로 486 (개포동) |
대표이사 | 이중원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자본금 | 1,35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31,380,633,767원 (2020) |
영업이익 | 1,549,189,100원 (2020) |
순이익 | 1,426,178,530원 (2020) |
자산총액 | 24,167,340,655원 (2020.12) |
주주 | 이중원: 84% 자사주: 10% |
종업원 | 321명 (2020.12) |
계열사 | 친선고속 |
2. 연혁
- 1973년 3월 24일: 삼영교통 설립[1]
- 1986년: 본사 및 차고지를 현 위치로 이전[2]
- 1990년대 중반: 서울여객 인수
- 1990년: 도시형버스 311번 노선 매각 (이후 1991년 폐선)
- 1995년: 좌석버스 717번 노선 일부를 도시형버스로 전환
- 1996년 1월: 도시형버스 11번 노선 단축 (창동역→고려대)
- 1997년 12월: 좌석버스 717번 노선 폐선
- 1998년 1월: 도시형버스 717번 노선 폐선
- 2000년: 강남구 마을버스 09-1번 → 지역순환버스 405번 형간전환 (4432번의 전신)
- 2000년 12월: 서울여객 흡수합병
- 2001년 10월: 좌석버스 12번 → 도시형버스 형간전환
- 2002년 6월: 도시형버스 11번 노선 폐선 (개포동~고려대)
- 2004년 7월 1일: 시내버스 체계개편 단행[1]
- 2005년 8월: 지선버스 4511번 노선 폐선[1]
- 2010년 8월 21일: 지선버스 4312번 노선 단축 및 번호 변경 (가락시장→삼성서울병원, 4412번)[1]
- 2015년 2월 27일: 맞춤버스 8441번, 8442번 폐선[1]
- 2015년 12월 14일: 지선버스 4435번 신설[1]
2. 1. 1970 ~ 80년대
1973년 3월 24일: 서울특별시 성북구 수유동(현 강북구 수유동)에서 '''삼영교통'''(三營交通)이라는 상호로 회사를 설립하였다.[1]1986년: 본사 및 차고지를 도봉구 수유동 263에서 현 강남구 개포동 565로 이전하였다.[2]
2. 2. 1990년대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 1990년대 중반: 서울여객을 인수하였다.
- 1990년: 도시형버스 311번 (개포동 ~ 종로5가) 노선을 신장운수에 매각하였으나 1991년에 폐선되었다.
- 1995년: 좌석버스 717번 (개포동 ~ 신내동) 노선의 인가 절반을 도시형버스로 전환하여 운행을 시작하였다.
- 1996년 1월: 도시형버스 11번 종점을 창동역에서 고려대로 대폭 단축하였다.
- 1997년 12월: 좌석버스 717번 (개포동 ~ 신내동) 노선을 폐선하였다.
- 1998년 1월: 도시형버스 717번 (개포동 ~ 신내동) 노선을 폐선하였다.
- 2000년: 강남구 마을버스 09-1번을 지역순환버스 405번으로 형간전환하였다. (4432번의 전신)
- 2000년 12월: 당시 계열사였던 서울여객을 흡수합병하였다.
- 2001년 10월: 좌석버스 12번 (개포동 ~ 상암동) 노선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하였다.
- 2002년 6월: 도시형버스 11번 (개포동 ~ 고려대) 노선을 폐선하였다.
2. 3. 2004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체계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체계개편으로 지선버스 3개/간선버스 4개 노선으로 운행 개시[1]2005년 8월: 지선버스 4511번 (개포동 ~ 상도동) 노선을 폐선하였다.[1]
2010년 8월 21일: 지선버스 4312번 종점을 가락시장에서 삼성서울병원으로 단축하고 노선번호를 4412번으로 변경하였다.[1]
2015년 2월 27일: 맞춤버스 8441번과 8442번을 폐선하였다.[1]
2015년 12월 14일: 지선버스 4435번을 신설하였다.[1]
3. 운행 노선
2023년한국어 5월 13일 기준으로, 삼영교통은 간선버스 3개 노선과 지선버스 3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1]
노선 종류 |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간선 | 406번 | 개포동 ↔ 서울역 | 8~16 | 15 | 구 42번 좌석버스 |
간선 | 420번 | 개포동 ↔ 답십리역 | 4~10 | 37 | 구 17번 단축 및 변경 |
간선 | 472번 | 개포동 ↔ 신촌로터리 | 4~10 | 34 | 구 12-3번 단축 |
지선 | 4312번 | 개포동 ↔ 가락1동 주민센터 | 5~12 | 29 | 구 4412번, 구 78-1번 단축 |
지선 | 4432번 | 개포동 ↔ 신원동 | 7~12 | 14 | 구 405번, 구 강남마을 09-1번 |
지선 | 4435번 | 개포동 ↔ 서초역 | 12~18 | 10 | 2015년 12월 14일 신설 |
3. 1. 간선버스
2023년한국어 5월 13일 기준이다.[1]노선번호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대수 | 비고 |
---|---|---|---|---|
406번 | 개포동 ↔ 서울역 | 8~16 | 15 | 구 42번 좌석버스 |
420번 | 개포동 ↔ 답십리역 | 4~10 | 37 | 구 17번 단축 및 변경 |
472번 | 개포동 ↔ 신촌로터리 | 4~10 | 34 | 구 12-3번 단축 |
3. 2. 지선버스
노선번호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대수 | 비고 |
---|---|---|---|---|
4312번 | 개포동 ↔ 가락1동 주민센터 | 5~12 | 29 | 구 4412번, 구 78-1번 단축 |
4432번 | 개포동 ↔ 신원동 | 7~12 | 14 | 구 405번, 구 강남마을 09-1번 |
4435번 | 개포동 ↔ 서초역 | 12~18 | 10 | 2015년 12월 14일 신설 |
4. 이전 보유 노선
삼영교통(현 도선여객)은 과거 간선버스, 지선버스, 맞춤버스 노선을 운행했다.
- 간선버스: 405번(개포동-서울역, 2005년 5월 17일 폐선)
- 지선버스:
- 4312번(개포동-가락시장역, 2010년 8월 21일 노선 단축 및 번호 변경)
- 4511번(개포동-상도동, 2005년 8월 11일 폐선)
- 맞춤버스:
- 8340번(반포한강공원-잠실한강공원, 주말 운행, 신흥기업, 우신운수와 공동 배차)
- 8441번(양재역-청계산입구)
- 8442번(양재역-청계산입구)[2]
4. 1. 이전 간선버스
405영어번: 개포동 - 서울역 (2005년 5월 17일 폐선, 구 222번 단축, 현재 운행 중인 405번과는 무관)[2]4. 2. 이전 지선버스
- 4312번: 개포동 - 가락시장역 (2010년 8월 21일 삼성의료원 ~ 가락시장역 구간 단축 후 4412번으로 노선번호 변경, 구 78-1번)[2]
- 4511번: 개포동 - 상도동 (2005년 8월 11일 폐선, 구 288번 단축)[2]
4. 3. 이전 맞춤버스
8340영어번: 반포한강공원 - 잠실한강공원 (신설 노선, 주말에만 운행. 신흥기업, 우신운수와 공동 배차. 2011년 4월 ~ ?)8441영어번: 양재역 - 청계산입구 (신설 노선)
8442영어번: 양재역 - 청계산입구 (신설 노선)
5. 보유 차량
현대자동차의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2]
웹사이트
깨진 링크
http://www.sbus.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