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1980년 레흐 바웬사를 중심으로 폴란드 그단스크에서 결성된 반공산주의 노동조합이다. 폴란드 경제 악화와 노동자들의 불만을 배경으로, 비폭력 투쟁을 통해 사회 운동을 펼쳤으며, 1981년 계엄령과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저항했다. '연대'는 폴란드 민주화와 동유럽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89년 폴란드 총선에서 압승을 거두며 공산 정권 붕괴의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 - 우파연대선거행동
    우파연대선거행동은 1996년 폴란드에서 결성된 정당 연합으로, 1997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연립 정부를 구성했으나 내부 갈등으로 해산되었다.
  •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 - New Year's Day (U2의 노래)
    U2의 노래 "New Year's Day"는 원래 보노가 아내에게 바치는 러브송으로 시작되었지만, 폴란드의 연대 운동에 영감을 받아 가사가 재구성되었고, U2의 대표적인 라이브 레퍼토리 중 하나이며,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에 선정되기도 했다.
  • 동유럽 혁명 - 범유럽 피크닉
    범유럽 피크닉은 1989년 헝가리에서 열린 행사로,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국경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면서 동독 시민들의 서독 탈출을 묵인하여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에 기여했다.
  • 동유럽 혁명 - 독일의 재통일
    독일의 재통일은 냉전 종식과 동독 주민들의 민주화 요구, 서독 정부의 통일 정책에 힘입어 동독이 서독에 흡수 통합되면서 45년 만에 이루어진 사건으로, 경제, 화폐, 정치 제도의 통합과 국제적인 승인을 통해 분단을 극복한 상징적인 사례이지만, 동서독 간 경제적 격차와 사회·문화적 이질감이라는 과제도 남겼다.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
기본 정보
명칭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
연대 로고
설립일1980년 8월 31일 (인정)
소재 국가폴란드
본부 위치그단스크
유형노동 운동
웹사이트Solidarnosc.org.pl ((영어))
조직
가맹ITUC, ETUC, TUAC
주요 인물안나 발렌티노비치, 레흐 바웬사
조합원 수약 1,000만 명 (첫 해 말)

2. 역사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1980년 9월 그단스크 레닌 조선소 (그단스크 조선소)에서 레흐 바웬사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49] '연대'는 로마 가톨릭 교회 인사부터 좌익 인사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한 광범위한 반공산주의 단체로, 활동에 있어 비폭력을 지향했다.[50][51] 1981년 9월, '연대'의 첫 국회를 통해 레흐 바웬사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52] 폴란드를 공화국 체제 (“독립 공화국” 체제)로 선포했다.[53]

'연대'는 폴란드 민주화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자유로운 조합 활동이 인정되지 않던 상황에서 성립되었으며, 당시 폴란드의 노동조합은 정부 주도의 "노동조합 중앙평의회"였다.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에 의해 한 차례 비합법화되었지만, 이후에도 활동을 계속했다.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가 시작되자, 폴란드 정부는 '연대' 등의 세력과 타협을 모색했고, '연대' 운동은 합법적인 지위를 획득했다.

원탁회의 (폴란드)에서 정권 유지를 모색하는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에 대해 '연대'는 민주화를 요구하는 민중 세력을 배경으로 강경한 자세로 협상에 임했고, 최종적으로 민주적인 절차를 통한 정권 탈취에 성공했다.

정부는 1981년 계엄령을 선포하고 '연대'를 억압하려 했으나, 결국 협상을 시작해야 했다. 폴란드 원탁 회의는 1989년 국회 선거로 이어졌고, 8월 말 '연대'가 이끄는 연합 정부가 만들어졌다. 1990년 12월에는 바웬사가 대통령으로, 타데우시 마조비에츠키총리로 당선되었다.

1989년 이후 '연대'는 전통적인 노조로서의 위치를 지켜왔으며, 1990년대 초 폴란드 정치에 비교적 적은 영향을 끼쳤다. 1996년 '''자유노조행동연합(AWS)'''이 창설되어 1997년 대선에서 승리했으나, 2001년 대선에서는 패배했다. 현재 '연대'는 정치적인 면에서 거의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폴란드 출신 로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연대'의 비합법화에 대해 여러 차례 우려를 표하며 '연대'를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미국 CIA는 '연대'에 자금을 조달할 때 종교사업협회를 우회 통로로 이용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연대'와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808월 14일 그단스크 레닌 조선소에서 레흐 바웬사가 이끄는 노동자 파업 돌입.
19809월 17일 그단스크에서 자유 노동 조합 전국 대표자 회의 개최. 독립 자율 관리 노동 조합 "연대" 결성.
198112월 13일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계엄령 선포, 구국군사회의에 의해 비합법화, 관계자 다수 구속.
19824월 22일 계엄령 하 노동자 전국 저항 조직 "연대" 임시 조정 위원회(TKR) 결성.
19825월 1일 바르샤바 10만 명 참가 항의 집회 개최.
19825월 3일 헌법 기념일 전국 항의 집회 개최, 다수 참가자 구속.
198211월 11일 레흐 바웬사 석방.
198212월 31일 계엄령 중지.
19831월 10일 아일랜드 록 밴드 U2 "뉴 이어스 데이" 싱글 발매, U2 첫 메이저 히트.
198410월 19일 연대 관련 가톨릭교회 예르지 포피엘루슈코 신부 비밀 경찰에 의해 살해.
19869월 "연대" 임시 평의회 결성.
198610월 "연대" 전국 집행 위원회 결성.
19878월 31일 내무부 장관과 "연대" 위원장 바웬사 공식 회담, 원탁 회의 개최 합의.


2. 1. 탄생 배경

1970년대 폴란드 정부는 임금이 정체된 상황에서 식량 가격을 인상했다. 이와 같은 요인들은 1976년 시위와 그에 따른 정부의 반대 세력 탄압으로 이어졌다.[8] KOR, ROPCIO와 같은 단체들은 정부의 행태를 감시하고 반대하기 위한 지하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노동조합은 이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했다.[8] 1979년 폴란드 경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2% 감소했다. 대외 부채는 1980년경 180억달러에 달했다.[9]

안나 발렌티노비치는 불법 노동조합에 참여한 이유로 은퇴 5개월 전인 1980년 8월 7일 그단스크 조선소에서 해고되었다. 이 경영진의 결정은 조선소 노동자들을 격분시켰고, 8월 14일 발렌티노비치의 복직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였다. 그녀와 알리나 피엔코프스카는 빵과 버터 문제에 대한 파업을 다른 사업장의 파업에 대한 연대 파업으로 전환시켰다.

2. 2. 결성과 초기 활동 (1980-1981)

1970년대 폴란드 정부는 임금이 정체된 상황에서 식량 가격을 인상했고, 이는 1976년 시위와 정부의 반대 세력 탄압으로 이어졌다.[8] KOR, ROPCIO 같은 단체들은 정부를 감시하고 반대하기 위한 지하 네트워크를 형성했고, 노동조합은 이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이었다.[8] 1979년 폴란드 경제는 이후 처음으로 2% 감소했고, 대외 부채는 1980년경 180억달러에 달했다.[9]

안나 발렌티노비치는 불법 노동조합에 참여한 이유로 1980년 8월 7일 그단스크 조선소에서 해고되었는데, 이 결정은 조선소 노동자들을 격분시켜 8월 14일 그녀의 복직을 요구하는 파업을 일으켰다. 알리나 피엔코프스카는 이 파업을 다른 사업장 파업으로 전환시켰다.

1980년 8월 레닌 조선소의 파업 위원회. 보그단 리스(왼쪽)와 레흐 바웬사(오른쪽).


1980년 8월 31일, 폴란드 공산 정부가 그단스크 협정에 서명하면서 '연대'가 그단스크 조선소에서 등장했다. 1980년 9월 17일, 20개 이상의 독립 노동조합 공장 간 창립 위원회가 의회에서 전국 조직인 NSZZ 연대로 통합되었고,[10] 1980년 11월 10일 공식 등록되었다.[11]

레흐 바웬사 등은 가톨릭 교회 관련 인사[12]부터 반스탈린주의 좌파까지 광범위한 반소련 사회 운동을 형성했다. 폴란드 민족주의는 친미주의 자유주의와 함께 1980년대 연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3] '연대'는 회원들의 활동에서 비폭력을 옹호했다.[14][15] 1981년 9월, '연대' 제1차 전국대회에서 바웬사가 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11] 공화주의 프로그램인 "자율 공화국"을 채택했다.[16]

2. 3. 계엄령 시기 (1981-1983)

1981년 폴란드 정부는 1981년 폴란드 계엄령을 선포하여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를 억압하고 파괴하려 했다. '연대'는 비합법화되었고, 레흐 바웬사를 비롯한 많은 관계자들이 구속되었다.[11] 그러나 '연대'는 지하 조직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1982년 4월 22일, 계엄령 하의 노동자들은 전국적인 저항 조직인 '''"연대" 임시 조정 위원회'''('''TKR''')를 결성했다.[11] 1982년 5월 1일에는 바르샤바에서 10만 명이 참가하는 항의 집회가 열렸고, 5월 3일 헌법 기념일에는 전국적인 항의 집회가 개최되어 많은 참가자들이 구속되었다.[11]

이 시기 '연대'는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았다. 가톨릭 교회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연대'를 지지하는 발언을 했으며,[12] 미국의 CIA은 종교사업협회를 통해 '연대'에 자금을 지원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1983년 1월 10일에는 아일랜드 출신 록 밴드 U2가 "연대"에 헌정하는 노래 "뉴 이어스 데이"를 발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1982년 11월 11일, 레흐 바웬사가 석방되었고, 12월 31일에는 계엄령이 중지되었다.[11]

2. 4. 원탁 회의와 민주화 (1984-1989)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 정책으로 폴란드 정부는 '연대' 등 민주화 세력과 타협을 모색했고, '연대'는 합법적인 지위를 획득했다.

폴란드 원탁 회의에서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은 정권 유지를 목표로 했으나, '연대'는 민주화를 요구하는 민중의 지지를 바탕으로 강경한 자세로 협상에 임했다. 결국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정권 탈취에 성공했다.

1989년 2월 6일부터 4월 5일까지 열린 폴란드 원탁 회담은 1989년 폴란드 총선으로 이어졌고, 같은 해 6월 4일 준자유 선거가 실시되었다. 8월 말, 연대가 이끄는 연립 정부가 구성되었고, 12월에는 타데우시 마조비에츠키총리로 선출되었다.

폴란드 출신 로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폴란드 정부의 '연대' 비합법화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연대'를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또한, 미국 CIA는 '연대'에 자금을 조달할 때 종교사업협회를 우회 통로로 이용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1989년 총선 승리 이후, '연대'는 전통적인 노동조합으로 변화하며 1990년대 초 폴란드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1996년 창설된 연대 선거 행동(AWS)은 1997년 폴란드 총선에서 승리했지만, 2001년 폴란드 총선에서 패배한 후 '연대'는 폴란드 정치에서 거의 영향력을 잃었다.

다음은 "연대"와 관련된 주요 사건들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사건
19808월 14일 그단스크레닌 조선소에서 레흐 바웬사가 이끄는 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
19809월 17일 그단스크에서 자유 노동 조합의 전국 대표자 회의 개최. 독립 자율 관리 노동 조합 "연대" 결성.
198112월 13일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에 의해 계엄령이 공포되고, 구국군사회의에 의해 비합법화, 관계자 다수 구속됨.
19824월 22일 계엄령 하의 노동자들의 전국적인 저항 조직으로서 "연대" 임시 조정 위원회(TKR) 결성.
19825월 1일 바르샤바에서 10만 명 참가의 항의 집회 개최.
19825월 3일 헌법 기념일에 전국에서 항의 집회 개최. 다수의 참가자가 구속됨.
198211월 11일 레흐 바웬사 석방.
198212월 31일 계엄령 중지.
19831월 10일 아일랜드 출신 록 밴드 U2가 "연대"에 헌정하는 노래 "뉴 이어스 데이"를 싱글로 발매하여 U2 첫 번째 메이저 히트곡이 됨.
198410월 19일 연대와 관련이 있던 가톨릭교회의 예르지 포피엘루슈코 신부가 비밀 경찰에 의해 살해됨.
19869월 "연대" 임시 평의회 결성.
198610월 "연대" 전국 집행 위원회 결성.
19878월 31일 내무부 장관과 "연대" 위원장 바웬사가 공식 회담, 원탁 회의 개최 등에 합의.


2. 5. 민주화 이후 (1990-)

1989년 이후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전통적인 노동조합으로서의 위치를 지켜왔으며, 1990년대 초 폴란드 정치에 있어서는 비교적 적은 영향을 끼쳤다. 1996년에는 정치 조직인 '''자유노조행동연합(AWS, Akcja Wyborcza Solidarność)'''이 창설되어 1997년 대선에서 승리했지만, 2001년 대선에서는 패배했다. 현재 '연대'는 정치적인 면에서 거의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11]

'연대'는 폴란드 민주화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자유로운 조합 활동이 인정되지 않던 상황에서 성립되었으며, 당시 폴란드의 노동조합은 정부 주도의 "노동조합 중앙평의회"였다.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에 의해 한 차례 비합법화되었지만, 이후에도 활동을 계속했다.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페레스트로이카가 시작되자, 그 흐름 속에서 폴란드 정부는 '연대' 등의 세력과 타협을 모색했고, '연대' 운동은 합법적인 지위를 획득했다.

원탁회의 (폴란드)가 개최되자, 정권 유지를 모색하는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에 대해 '연대'는 민주화를 요구하는 민중 세력을 배경으로 강경한 자세로 협상에 임했고, 최종적으로 민주적인 절차를 통한 정권 탈취에 성공했다.

한편, 폴란드 출신의 로마 교황인 요한 바오로 2세는 폴란드 정부에 의한 '연대'의 비합법화에 대해 여러 차례 우려하는 발언을 했으며, '연대'를 사실상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또한 미국CIA가 '연대'에 자금 조달을 할 때의 우회 통로로, 요한 바오로 2세의 묵인 하에 로마 교황청의 자금 관리, 운영 조직인 종교사업협회가 이용되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폴란드 민주화 운동#약력을 참고.

3. 조직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1980년 9월 17일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으며,[3] 입법부 역할의 '대표자 회의'(Zjazd Delegatów)와 행정부 역할의 전국 조정 위원회(Krajowa Komisja Porozumiewcza, 이후 전국 위원회(Komisja Krajowa)로 개명)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노동조합은 38개 지역(region)과 2개 지구(okręg)로 구성된 지역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57] 1981년 12월 13일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장군 치하에서 계엄령이 발효되면서 38명의 지역 대표가 체포되어 투옥되었고, 1년 후 노조 고위 간부들에게는 망명이 제안되기도 했다.[56]

'연대'는 산업별 노동조합이 아닌 하나의 큰 조합 원칙에 따라 조직되었으며, 세계산업노동자동맹 및 스페인의 전국노동연합과 유사하게 모든 직종의 노동자들이 직능별이 아닌 지역별로 조직되었다.[40] 현재 '연대'의 조합원 수는 110만 명이 넘으며, 국립 위원회는 그단스크에 있고 지역 의회의 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3. 1. 조직 구조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1980년 8월 31일에 조직되었으며,[56] 입법부 역할을 하는 "대표 회의"(''Zjazd Delegatów'')와 행정부 역할을 하는 전국 조정 위원회(''Krajowa Komisja Porozumiewawcza'', 이후 국립위원회로 개칭)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노동조합은 지역 구조를 가지며, 37개의 지역(''region'')과 2개의 지구(''okręg'')로 나뉜다.[57] 1983년 공산주의 시대에는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장군에 의해 38명의 지역 대표가 체포되어 감옥에 갇히기도 하였다.[56]

'연대'는 산업별 노동조합보다는 하나의 큰 조합(One Big Union) 개념에 따라 세계산업노동자동맹과 스페인의 전국노동자연맹의 특징을 계승하였다. 즉, 모든 직종의 노동자들이 직업별이 아닌 지역별로 묶이는 특징을 가진다.[57]

지역 구조는 1975년부터 1998년까지 존재했던 폴란드의 주를 반영하여 37개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역과 소재지는 다음과 같다.

지역소재지
그단스크그단스크
바르미아-마주리올슈틴
엘블롱크엘블롱크
돌니실롱스크브로츠와프
피와피와
서포메라니아슈체친
우치우치
쳉스토호바쳉스토호바
산도미에시스탈로바볼라
프워츠크-쿠트노프워츠크
마워폴스카크라쿠프
오폴레 실롱스크오폴레
해안코샬린
스웁스크스웁스크
지엘로나 구라지엘로나구라
포드베스키지에비엘스코비아와
코닌코닌
남부 대폴란드칼리시
포들라스키에비아위스토크
피오트르쿠프피오트르쿠프트리부날스키
쿠야비아와 도브진브워츠와베크
카르파티아크로스노
제슈프제슈프
토룬토룬
실롱스크-자그웝비에카토비체
라돔라돔
대폴란드포즈난
고르주프고주프비엘코폴스키
성 십자가키엘체
중동루블린
비드고슈치비드고슈치
옐레니아 구라옐레니아구라
레슈노레슈노
헬름헬름
프셰미실-야로스와프프셰미실
마조비아바르샤바
구리 분지레그니차


3. 2. 주요 공장 네트워크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폴란드 주요 공장 네트워크는 1981년 4월 14일 그단스크에서 만들어졌다.[56] 이 네트워크는 17개 공장의 대표로 구성되었는데, 각 대표는 1975년 이전 폴란드 보이보드십에서 가장 중요한 공장으로 선정되었다.[56] 다만, 코샬린은 대표 공장이 없었고, 카토비체는 두 개의 공장이 대표했다.

보이보드십대표 공장
그단스크블라디미르 레닌 그단스크 조선소
슈체친슈체친 조선소
포즈난H. Cegielski - Poznań S.A.
비드고슈치철도 차량 수리 공장
지에로나 구라지에로나 구라의 Zastal 차륜 및 강철 공장
카토비체카토비체의 우예크 탄광
시비엥토호워비체의 Zgoda 부품 공장
코샬린
크라쿠프노바 후타의 블라디미르 레닌 제철소
브로츠와프Pafawag 철도 차량 공장
제슈프제슈프WSK 통신 장비 공장
비아위스토크비아위스토크Fasty 면 공장
키엘체키엘체Iskra 볼 베어링 공장
올슈틴올슈틴Stomil 타이어 회사
루블린시비드니크PZL 통신 장비 공장
우치우치Julian Marchlewski 면 공장
바르샤바바르샤바의 우르수스 공장
오폴레오지메크의 Malapanew 제철소


3. 3. 역대 의장


  • 레흐 바웬사 (1980년-1991년)
  • 마리안 크라크제프스키 (1991년-2002년)
  • 야누츠 스니아데크 (2002년-2010년)
  • Piotr Duda (związkowiec)|피오트르 두다pl (2010년-현재)

4. 이념 및 철학

'연대'는 가톨릭 교회와 관련된 세력[12]부터 반스탈린주의 좌파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반소련 사회 운동을 포괄했다. 폴란드 민족주의와 친미주의적 자유주의는 1980년대 '연대'의 발전에 중요한 동력이었다.[13]

4. 1. 비폭력 저항

'연대'는 회원들의 활동에서 비폭력을 옹호했다.[14][15] 1981년 9월, 연대 제1차 전국대회에서 레흐 바웬사가 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공화주의 프로그램인 "자율 공화국"을 채택했다.[16]

4. 2. 가톨릭 사회 교리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가톨릭 교회의 사회 교리 주요 문서 중 하나인 《사회적 관심》에서 복음의 구성 요소로서 공동선에 대한 인간의 참여는 빈곤자와 소외된 사람들과의 연대 개념이라고 제시했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지도 아래 노동조합 '연대'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그 성공에 큰 영향을 주었다. 가톨릭 신앙을 공개적으로 표명한 레흐 바웬사는 "교황은 그의 집회를 통해 우리 다수에게 지도했다. 두려워하지 말라고 교황은 우리에게 말했다."라며 교황의 영향을 확인했다.[41]

예르치 포피엘루즈코 신부는 파업 중인 노동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설교를 했으며, '연대'와의 관계로 인해 공산 정권에 의해 살해되었다.[42] 폴란드 노동자들은 1980년대 파업 당시 여러 공장 벽에 성모 마리아나 요한 바오로 2세의 초상화를 걸어둘 정도로 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에 있는 연대 30주년 기념 벽화 (전경에는 복자예지 포피엘루즈코 신부)

4. 3. 세속적 철학적 기반

레셰크 코와코프스키의 저작은 폴란드에서 공식적으로 금지되었고, 그는 1960년대 후반부터 국외에서 생활했지만, 그의 철학적 사상은 연대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책과 에세이의 지하 복사본은 폴란드 지식인 반대파의 의견을 형성했다. 1971년 에세이 "희망과 절망에 관한 테제"는 자율적으로 조직된 사회 집단이 전체주의 국가에서 시민 사회의 범위를 점차 확대할 수 있다고 제안했으며, 이는 연대의 창설로 이어진 1970년대 반체제 운동에 영감을 주었고 이 운동의 철학적 기반을 제공했다.[32]

코와코프스키에 따르면, 프롤레타리아 혁명은 어디에서도 일어나지 않았으며, 러시아의 10월 혁명은 "평화, 토지, 빵"이라는 슬로건 아래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마르크스주의와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코와코프스키에게 연대는 1800년대 중반 카를 마르크스가 예측했던 "노동자 계급 혁명"에 가장 가까웠으며, 착취자, 즉 국가에 반대하는 산업 노동자들의 혁명 운동(지식인들의 강력한 지원을 받음)이었다. 이 유일한 노동 계급 혁명은 사회주의 국가를 상대로 이루어졌으며, 교회의 축복을 받아 십자가의 표지 아래에서 수행되었다.[32]

5. 국제 관계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생존은 소비에트 연방의 위성 국가였던 폴란드뿐만 아니라 소비에트 블록 전체에 놀라움을 안겨주었다. 이는 1970년 시위를 기관총 발포로 제압하고, 1956년 헝가리 혁명과 1968년 프라하의 봄을 성공적으로 진압한 소련군의 굳건한 지위가 흔들리기 시작했음을 의미했다.

'연대'의 영향으로 반공산주의 이념과 운동은 소비에트 블록 국가들 사이에서 퍼져나갔으며, 이로 인해 공산주의 정부는 약화되었다. 1989년 폴란드 선거에서 반공산주의 후보가 승리한 것은 중앙유럽동유럽에서 1989년 혁명(Jesień Ludów)이라 하는 일련의 반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게 하는 불씨가 되었다.[48] '연대'의 사례는 소비에트 블록 여러 국가의 야당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되었으며, 이는 소비에트 블록의 해체 및 1990년대 초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로 이어졌다.

1990년 프라하에서 소련 시대의 T-55 위에 그려진 "연대"의 로고

5. 1. 미국의 지원

레이건 행정부는 계엄령 이전부터 연대 운동을 지원했다. 지미 카터 행정부가 "대규모 소련군이 폴란드로 진입할 임박한 움직임"으로 보았던 것을 억제하기 위한 홍보 캠페인도 벌였다.[17] 예일 로스쿨의 마이클 레이스먼은 폴란드에서의 작전을 냉전 기간 동안 중앙정보국(CIA)의 비밀 정권 교체 작전 중 하나로 꼽았다.[18] 리샤르트 쿠클린스키 대령은 CIA 요원 데이비드 포든에게 비밀리에 보고서를 보냈다.[19] CIA는 1982년부터 연대에 매년 약 200만달러의 현금을 이체했으며, 5년 동안 총 1000만달러에 달했다. CIA와 연대 사이에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었으며, 모든 돈은 제3자를 통해 전달되었다.[20] CIA 요원은 연대 지도자와의 만남이 금지되었고, CIA와 연대 활동가 간의 접촉은 구성원으로부터 30만달러를 모금하여 연대에 직접 물품과 현금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고, 연대의 사용에 대한 통제가 없었던 AFL–CIO보다 약했다. 미국 의회는 전미 민주주의 기금(NED)에 민주주의를 증진할 권한을 부여했으며, NED는 연대에 1000만달러를 할당했다.[21]

폴란드 정부가 1981년 12월 계엄령을 시행했을 때, 연대는 경고를 받지 못했다. 이에 대한 잠재적인 설명은 다양하다. CIA가 당황했다는 주장도 있고, 미국 정책 입안자들이 "불가피한 소련의 개입"보다 내부 단속을 선호했다는 주장도 있다.[22] CIA의 연대 지원에는 특수 작전에 의해 조정된 자금, 장비 및 훈련이 포함되었다.[23] 헨리 하이드 미국 하원 정보 위원회 위원은 미국이 "비밀 신문, 방송, 선전, 자금, 조직 지원 및 조언의 측면에서 물품과 기술 지원"을 제공했다고 말했다.[24]

1989년 레흐 바웬사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만남


한편, 폴란드 출신 로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폴란드 정부의 "연대" 비합법화에 대해 여러 차례 우려를 표명하고, "연대"를 사실상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또한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연대"에 자금을 조달할 때 로마 교황청의 종교사업협회가 우회 통로로 이용되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는 요한 바오로 2세의 묵인 하에 이루어졌다고 한다.)

5. 2. 유럽 및 기타 국가와의 관계

1981년 스코틀랜드의 학생들이 연대를 지지하는 청원 서명을 받고 있다


연대, ETUC 시위—부다페스트 2011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영향력은 동유럽 국가 전반에 걸쳐 반공주의 사상과 운동을 확산시켜 공산주의 정부를 약화시켰다. 폴란드 정부와 연대 주도 반대 세력 간의 폴란드 원탁 회담 결과, 1989년 6월 4일 폴란드에서 선거가 치러졌고, 야당은 공산당에 대항하는 후보를 내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는 소련 블록 국가에서 최초의 자유 선거였다. 폴란드 의회에는 새로운 상원(세나트)이 창설되었고, 상원의 100개 의석 전체와 하원(세임)의 1/3 의석이 선거 대상이었다. 연대는 상원 의석 100석 중 99석과 세임의 경쟁 대상 의석 161석을 모두 획득했다. 이러한 승리는 소련의 위성 국가 전반에 걸쳐 연쇄 반응을 일으켰고, 이는 대부분 유혈 사태가 없는 반공주의적 사건으로 이어져 1989년 혁명(Jesień Ludów|lit=인민의 가을pl)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각 모스크바가 강요한 정권의 전복으로 끝났고, 궁극적으로 1990년대 초 소련의 해체로 이어졌다.[48]

서방 정부의 많은 지지를 받은 이 노조는 자본주의 국가의 노동 조합과의 관계가 복잡해질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984-85년 영국 광부 파업 당시 레흐 바웬사는 "광부들은 상식을 가지고 싸워야지, 파괴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고, 마거릿 대처에 대해 "그렇게 현명하고 용감한 여성이라면 영국은 파업의 해결책을 찾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상실레지아 연대의 회장 다비드 야스트젭스키는 파업 중인 광부들을 지지하며 "영국 정부의 기마 경찰의 돌격이나 곤봉질은 물론, 폴란드 군부의 전차나 총격조차도 노동 계급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우리의 공동의 투쟁 의지를 꺾을 수 없다"고 외쳤다. 이는 영국 광부 노조의 회장인 아서 스카길이 연대를 "사회주의 국가의 전복을 원하는 반사회주의 조직"이라고 비난하며 연대를 격렬하게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55] 2005년에는 극우 영국 국민당이 원래 폴란드 연대를 기리기 위해 노동 조합 연대 - 영국 노동자를 위한 노조를 창설했다.

1980년대 후반, 연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내부 저항과의 관계를 구축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바웬사에 따르면, 두 세력 간의 연결을 발전시키려는 시도는 지리적 거리, 폴란드 국경 밖의 사건,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대한 언론 보도의 부족으로 인해 방해받았다. 그 결과, 두 그룹 간에는 비교적 적은 교류가 이루어졌다.

2008년 말, 러시아 연방의 여러 민주적 야당 그룹이 연대 운동을 결성했다.[55]

미국에서는 미국 연대당 (구 기독 민주당 USA)이라는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이 그 이름을 연대에 기인한다.

6. 영향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생존은 당시 소비에트 연방의 위성 국가였던 폴란드뿐만 아니라 소비에트 블록 전체에 놀라움을 안겨주었다. 이는 1970년 시위를 기관총 발포로 제압하고, 1956년 헝가리 혁명과 1968년 프라하의 봄을 진압했던 폴란드 통일노동자당과 소비에트 군의 굳건한 지위가 흔들리기 시작함을 의미했다.

'연대'의 영향으로 반공산주의 이념과 운동은 소비에트 블록 국가들 사이에서 퍼져나갔으며, 이는 공산주의 정부를 약화시켰다. 1989년 폴란드 선거에서 반공산주의 후보가 승리한 것은 중앙유럽동유럽에서 1989년 혁명(''Jesień Ludów'')이라 하는 일련의 반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게 하는 불씨가 되었다.[48] '연대'의 사례는 소비에트 블록 여러 국가의 야당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되었으며, 이는 소비에트 블록 해체와 1990년대 초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로 이어졌다.

2008년 말, 러시아 연방의 여러 자유 민주주의 야당은 '연대'의 정신을 계승하는 연대당을 조직하였다.[55]

'연대'의 활동과 폴란드 민주화 경험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도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되었다. 특히 1980년대 중후반, 6월 항쟁을 전후한 시기에 '연대'의 비폭력 저항, 광범위한 사회 세력의 연대, 원탁회의를 통한 협상 등의 전략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 세력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6. 1. 폴란드 민주화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1980년 9월 그단스크에 있는 레닌 조선소(이후 그단스크 조선소)에서, 레흐 바웬사를 필두로 한 사람들이 광범위한 반공산주의 단체를 만들면서 시작되었다.[49] '연대'는 비폭력을 지향하였으며,[50][51] 1981년 9월에는 레흐 바웬사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폴란드를 공화국 체제 (“독립 공화국” 체제)임을 선포하였다.[53]

1970년대 폴란드 정부는 임금이 정체된 상황에서 식량 가격을 인상했고, 이는 1976년 시위와 정부의 반대 세력 탄압으로 이어졌다. KOR, ROPCIO 같은 단체들은 정부를 감시하고 반대하기 위한 지하 네트워크를 형성했고, 노동조합은 이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했다.[8] 1979년 폴란드 경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2% 감소했고, 대외 부채는 1980년경 180억달러에 달했다.[9]

안나 발렌티노비치는 불법 노동조합에 참여한 이유로 1980년 8월 7일 그단스크 조선소에서 해고되었고, 이는 노동자들의 파업으로 이어졌다. 그녀와 알리나 피엔코프스카는 빵과 버터 문제에 대한 파업을 다른 사업장의 파업에 대한 연대 파업으로 전환시켰다.

'연대'는 1980년 8월 31일 폴란드 공산 정부가 그 존재를 허용하는 그단스크 협정에 서명하면서 등장했고, 1980년 11월 10일 공식 등록되었다.[11]

레흐 바웬사 등은 가톨릭 교회와 관련된 사람들[12]에서 반스탈린주의 좌파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반소련 사회 운동을 형성했다. 폴란드 민족주의는 친미주의 자유주의와 함께 1980년대 연대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3]

정부는 1981년 폴란드 계엄령과 수년간의 탄압으로 노동조합을 파괴하려 했지만, 결국 협상을 시작해야 했다. 정부와 연대 지도부의 반대 세력 간의 폴란드 원탁 회담 (1989년 2월 6일~4월 5일)은 1989년 폴란드 총선에서 1989년 6월 4일 준자유 선거로 이어졌다. 8월 말까지 연대 지도부 연립 정부가 구성되었고, 12월에는 타데우시 마조비에츠키가 총리로 선출되었다.

"연대"는 폴란드 민주화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자유로운 조합 활동이 인정되지 않는 상황에서 성립되었으며, 당시 폴란드의 노동조합은 정부 주도의 "노동조합 중앙평의회"였다.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에 의해 한 차례 비합법화되었지만, 이후에도 활동을 계속했다.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페레스트로이카가 시작되자, 그 흐름 속에서 폴란드 정부는 "연대" 등의 세력과의 타협을 모색했고, "연대" 운동은 합법적인 지위를 획득했다.

원탁회의 (폴란드)가 개최되자, 정권 유지를 모색하는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에 대해 "연대"는 민주화를 요구하는 민중 세력을 배경으로 강경한 자세로 협상에 임했고, 최종적으로 민주적인 절차를 통한 정권 탈취에 성공했다.

로마 교황인 요한 바오로 2세는 "연대"를 사실상 지지하는 발언을 했으며, 미국CIA가 "연대"에 자금 조달을 할 때 종교사업협회가 이용되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폴란드 민주화 운동 약력'''

년도사건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6년
1987년


6. 2. 동유럽 혁명

"연대"의 영향으로 반공산주의 이념과 운동은 소비에트 블록의 국가들 사이에서 퍼져나갔으며, 이로 인해 공산주의 정부는 약화되어갔다. 1989년 폴란드의 선거에서 반공산주의자 후보가 승리한 것은 중앙유럽동유럽에서 1989년 혁명(''Jesień Ludów'')이라 하는 일련의 반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게 하는 불씨가 되었다.[48] "연대"의 사례는 소비에트 블록의 여러 국가의 야당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되었으며, 이는 소비에트 블록의 해체, 그리고 1990년대 초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로 이어졌다.

"연대"는 폴란드 민주화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 노동조합은 자유로운 조합 활동이 인정되지 않는 상황에서 성립되었으며, 당시 폴란드의 노동조합은 정부 주도의 "노동조합 중앙평의회"였다.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에 의해 한 차례 비합법화되었지만, 이후에도 활동을 계속했다.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페레스트로이카가 시작되자, 그 흐름 속에서 폴란드 정부는 "연대" 등의 세력과의 타협을 모색했고, "연대" 운동은 합법적인 지위를 획득했다.

원탁회의 (폴란드)가 개최되자, 정권 유지를 모색하는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에 대해 "연대"는 민주화를 요구하는 민중 세력을 배경으로 강경한 자세로 협상에 임했고, 최종적으로 민주적인 절차를 통한 정권 탈취에 성공했다.

한편, 폴란드 출신의 로마 교황인 요한 바오로 2세는 폴란드 정부에 의한 "연대"의 비합법화에 대해 여러 차례 우려하는 발언을 했으며, "연대"를 사실상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또한 미국CIA가 "연대"에 자금 조달을 할 때의 우회 통로로, 요한 바오로 2세의 묵인 하에 로마 교황청의 자금 관리, 운영 조직인 종교사업협회가 이용되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폴란드 민주화 운동#약력에 "연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나와있다.

6. 3. 한국 민주화 운동에 대한 영향

'연대'의 활동과 폴란드 민주화 경험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되었다. 특히 1980년대 중후반, 6월 항쟁을 전후한 시기에 '연대'의 비폭력 저항, 광범위한 사회 세력의 연대, 원탁회의를 통한 협상 등의 전략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 세력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연대'는 가톨릭 교회에서 반스탈린주의 좌파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반소련 사회 운동을 형성했다.[12] 폴란드 민족주의는 친미주의 자유주의와 함께 1980년대 연대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3] '연대'는 회원들의 활동에서 비폭력을 옹호했다.[14][15]

1981년 9월, 연대 제1차 전국대회에서 레흐 바웬사가 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11] 공화주의 프로그램인 "자율 공화국"을 채택했다.[16] 정부는 1981년 폴란드 계엄령과 수년간의 탄압으로 노동조합을 파괴하려 했지만, 결국 협상을 시작해야 했다. 정부와 연대 지도부의 반대 세력 간의 폴란드 원탁 회담 (1989년 2월 6일~4월 5일)은 1989년 폴란드 총선에서 1989년 6월 4일 준자유 선거로 이어졌다.

이러한 '연대'의 경험은 한국의 노동 운동과 시민 운동 단체들이 민주화를 위한 연대와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폭력 투쟁 방식을 모색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웹사이트 30 lat po Sierpniu'80: "Solidarność zakładnikiem własnej historii" http://wyborcza.pl/1[...] 2011-06-07
[2] 뉴스 Duda za Śniadka? Gazeta Wyborcza 2010-08-24
[3] 뉴스 Guardian newspaper report https://www.theguard[...] 2009-06-22
[4] 백과사전 Solidarity Britannica
[5] 논문 Sex and Solidarity, 1980–1990 2015-04-14
[6] 서적 'Self-limiting Revolution': Poland 1970–89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Postwar: A History of Europe Since 1945 The Penguin Press
[8] 서적 KOR: a history of the Workers' Defense Committee in Poland, 1976–1981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서적 From Solidarity to Martial Law: The Polish Crisis of 1980–1981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7
[10] 웹사이트 "Solidarność" a systemowe przekształcenia Europy Środkowo-Wschodniej http://www.solidarno[...] 2011-06-07
[11] 웹사이트 Solidarność, wielopłaszczyznowy ruch na rzecz demokratyzacji i głębokich reform ustrojowych PRL http://encyklopedia.[...] 2011-06-07
[12] 서적 Judging Nonviolence: The Dispute Between Realists and Idealis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UK) 2004-01-01
[13] 뉴스 How Polish populism explains the surge of Trump and nationalism https://thehill.com/[...] 2017-08-01
[14] 서적 Justice Without Violence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1993-02-01
[15] 서적 Emmanuel, Solidarity: God's Act, Our Response https://archive.org/[...] Xlibris Corporation 2001-01-01
[16] 논문 The Self-governing Republik in the Third Republic https://www.ceeol.co[...] 2006
[17] 서적 US Intelligence and the Polish Crisis: 1980–1981 https://www.cia.gov/[...] Center for the Study of Intelligence 2000
[18] 서적 Looking to the Future: Essays on International Law in Honor of W. Michael Reisman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0
[19] 논문 The CIA and the Polish Crisis of 1980–1981 2004
[20] 서적 Supporting the Revolution: America, Democracy, and the End of the Cold War in Poland, 1981—1989 https://books.google[...]
[21] 간행물 What Putin Misunderstands about American Power http://uncpressblo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4-08-28
[22] 간행물 US Intelligence and the Polish Crisis 1980–1981. https://web.archive.[...] CIA 2008-06-28
[23] 뉴스 Cover Story: The Holy Alliance https://www.carlbern[...] TIME 1992-02-24
[24] 서적 Branding Democracy: U.S. Regime Change in Post-Soviet Eastern Europe Peter Lang 2010
[25] 뉴스 Polish bishops back Sunday trading ban https://www.bbc.com/[...] 2017-08-23
[26] 뉴스 Most Stores Shut in Poland as Sunday Trade Ban Takes Effect https://www.usnews.c[...] 2018-03-11
[27] 뉴스 Stores shut across Poland as Sunday shopping ban takes effect https://globalnews.c[...] 2018-03-11
[28] 뉴스 Sunday trading ban comes into effect in Poland https://www.rte.ie/n[...] 2018-03-11
[29] 뉴스 Stores closed as Poland phases out Sunday shopping http://archiwum.then[...] 2018-03-11
[30] 서적 Memory and Identity – Personal Reflections 2006 Weidenfeld & Nicolson
[31] 뉴스 The first world leader https://www.theguard[...] 2005-04-04
[32] 간행물 What Is Left of Socialism https://www.firstthi[...] First Things 2002-10
[33] 웹사이트 Workers unite, east and west! http://www.workersli[...] Alliance for Workers' Liberty 2009-10-08
[34] 뉴스 Scargill angers unions with Solidarity attack https://news.google.[...] 1983-09-08
[35] 논문 Shaka Zulu in the Polish People's Republic (PRL): exploring South African-Polish links in the late Cold War https://www.tandfonl[...] 2022-03-15
[36] 뉴스 Kasparov starts new Russian opposition movement https://www.google.c[...] The Associated Press 2008-12-13
[37] 웹사이트 Could the U.S. Finally Get a Significant Christian Democratic Party? http://www.patheos.c[...] Patheos 2016-08-16
[38] 웹사이트 The Jacobin Spirit https://www.jacobinm[...]
[39] 웹사이트 Poland’s Solidarity Movement (1980-1989) https://www.nonviole[...]
[40] 웹사이트 Solidarność NSZZ http://portalwiedzy.[...] 2006-10-10
[41] 웹사이트 Analysis: Solidarity's legacy http://news.bbc.co.u[...] 2017-01-29
[42] 웹사이트 BBC ON THIS DAY - 30 - 1984: Pro-Solidarity priest is murdered http://news.bbc.co.u[...] 2019-03-10
[43] 웹사이트 Polish bishops for total ban on Sunday shopping https://www.bbc.com/[...] BBC 2017-08-29
[44] 웹사이트 most-stores-shut-in-poland-as-sunday-trade-ban-takes-effect https://www.usnews.c[...]
[45] 웹사이트 Stores shut across Poland as Sunday shopping ban takes effect https://globalnews.c[...] 2019-03-10
[46] 웹사이트 Sunday trading ban comes into effect in Poland https://www.rte.ie/n[...] 2019-03-10
[47] 웹사이트 Stores closed as Poland phases out Sunday shopping http://www.thenews.p[...] 2019-03-10
[48] 웨이백 What is the NSZZ Solidarnosc? http://www.solidarno[...] 2006-07-06
[49] 서적 Judging Nonviolence: The Dispute Between Realists and Idealists 2004-01
[50] 서적 Justice Without Violence 1993-02
[51] 서적 Solidarity: God's Act, Our Response 2001-01
[52] 웨이백 KALENDARIUM NSZZ „SOLIDARNOŚĆ” 1980–1989 http://www.solidarit[...] 2006-10-15
[53] 간행물 The Self-governing Republic in the Third Republic 2006
[54] 뉴스 BBC World, Analysis: Solidarity's legacy http://news.bbc.co.u[...]
[55] 뉴스 Kasparov starts new Russian opposition movement https://www.google.c[...] The Associated Press 2008-12-13
[56] 뉴스 Guardian newspaper report http://www.guardian.[...] 2009-06-22
[57] 웨이백 Solidarność NSZZ http://portalwiedzy.[...] 2006-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