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물의 사육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물의 사육제는 카미유 생상스가 1886년에 작곡한 14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모음곡이다. 두 대의 피아노, 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플루트, 클라리넷, 유리 하모니카, 실로폰을 위해 작곡되었으며, 각 악장은 다양한 동물들을 묘사하거나 풍자적인 요소를 담고 있다. 생상스는 이 작품이 자신의 진지한 작곡가 이미지를 손상시킬 것을 우려하여 생전에 "백조"를 제외하고는 출판하지 않았으나, 사후에 출판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작품은 현재 오리지널 실내악 편성 또는 오케스트라로 연주되며, "백조"를 비롯한 여러 악장이 독립적으로 연주되기도 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린이 음악 - 피터와 늑대
    피터와 늑대는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가 어린이들에게 오케스트라 악기를 소개하기 위해 작곡한 음악극으로, 등장인물마다 특정 악기와 연결된 고유한 주제 선율을 가진다.
  • 어린이 음악 - 자장가
    자장가는 아이를 재우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 수면 유도를 넘어 문화적, 심리적, 치료적 의미를 지니며, 간단한 선율과 느린 템포 등의 음악적 특징과 문화적 보편성을 보인다.
  • 1886년 작품 - 봉은사 칠성도
    봉은사 칠성도는 1895년에 조성된 불화로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여러 불교적 존재들이 묘사되었으며, 19세기 후반 서울·경기 지역 칠성도상의 특징을 계승하고 예술적,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1886년 작품 - 서울 봉은사 괘불도
    서울 봉은사 괘불도는 1743년 제작된 조선 시대 불화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여러 불교 인물들을 묘사한 대형 괘불이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72호로 지정, 19세기 후반 서울·경기 지역 괘불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불교 미술 자료이다.
  • 카미유 생상스의 작품 -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는 카미유 생상스가 작곡한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으로, 1864년 초연되었으며 피아노 편곡 버전과 영화, 만화에도 사용되었다.
  • 카미유 생상스의 작품 - 교향곡 3번 (생상스)
    카미유 생상스가 런던 필하모닉 협회의 위촉으로 작곡하여 프란츠 리스트에게 헌정된 교향곡 3번 다단조 Op. 78은 오르간과 피아노를 편성한 독특한 음색과 순환 형식을 통해 주제적 통일성을 강조한 생상스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동물의 사육제

2. 역사

1880년의 생상스


1885-86년 독일 연주 여행 실패 후, 생상스는 1886년 2월 오스트리아의 작은 마을에서 이 곡을 작곡했다.[38] 그는 이 작품을 유희로 여기며, 파리의 출판업자에게 사순절 전 화요일을 위한 곡을 쓰고 있다고 편지를 보냈다.[1] 그는 이 곡을 파리 니더마이어 음악학교 학생들을 위해 쓰려 했으나,[12] 첫 연주는 1886년 3월 3일 샤를 르부크가 주최한 비공개 콘서트에서 처음 연주되었다.[2]

며칠 후 에밀 르무안의 실내악 단체 라 트롱페트에서 두 번째 공연이 열렸고, 작곡가의 친구인 프란츠 리스트가 이 작품을 듣고 싶어한다는 뜻을 밝힌 폴린 비아르도의 집에서 또 다른 공연이 열렸다.[2]

생상스는 이 작품이 자신의 "진지한" 작곡가 이미지를 손상시킨다고 여겨 평생 동안 출판하지 않겠다고 고집했다. 그는 작품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악장인 유명한 첼로 독주곡 《백조》에 대해서만 마음을 풀었고, 이 곡은 1887년 첼로와 피아노 독주를 위한 작곡가의 편곡으로 출판되었다(원곡은 피아노 2대 사용).[2]

생상스는 유언으로 사후에 이 작품을 출판하도록 명시했다. 1921년 12월 그가 사망한 후 1922년 4월 파리의 뒤랑에서 출판되었고, 1922년 2월 25일 콘세르 콜론느가 가브리엘 피에르네의 지휘로 초연했다.[3] 열렬한 호응을 받았다.[4]

《동물의 사육제》는 이후 생상스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가 되었으며, 11개의 악기를 위한 오리지널 버전이나 오케스트라의 현악 섹션 전체와 함께 연주된다. 흔히 희귀한 유리 하모니카 대신 글로켄슈필을 사용한다.[5][6]

3. 구성

이 모음곡은 피아노 2대, 바이올린 2대,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플루트(피콜로 겸연), 클라리넷(C조와 B♭조), 유리 하모니카, 실로폰을 위해 작곡되었다.[45]

1886년 첼리스트 샤를 르부크|Charles_Lebouc프랑스어가 주최하는 비공개 야회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초연은 마르디 그라 날인 같은 해 3월 9일 오스트리아 흐루딤(Chrudim)에서 비공개로 진행되었다.[29]

이후 두 번 더 비공개로 연주되었지만, 생상스는 다른 작곡가의 악곡을 패러디하여 풍자적으로 사용하고 비공개 연주 목적으로 작곡된 경위 등의 이유로 자신이 사망할 때까지 '백조'를 제외한 다른 곡들의 출판 및 연주를 금지했다. '백조'는 생전에 출판을 허락하였다. 사망 후인 1922년에 전곡이 출판되어, 가브리엘 피에르네 지휘의 콩세르 콜론에 의한 재연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9]

오케스트라 또는 오리지널 실내악 편성으로 연주된다. 오케스트라 버전의 경우 현악기는 각 파트에 여러 대가 배치된다(단, "백조"는 첼로 솔로로 연주).

3. 1. 서주와 사자왕의 행진 (Introduction et marche royale du lion)

현악기와 두 대의 피아노로 연주되며, 서주는 피아노의 웅장한 트레몰로로 시작되고, 그 아래에서 현악기가 장엄한 주제를 연주한다. 피아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한 쌍의 글리산도로 악장의 첫 부분을 마무리한다. 이어서 피아노가 행진곡 주제를 소개하고 서주의 나머지 부분 대부분을 이끌어간다. 현악기가 멜로디를 연주하는 가운데, 피아노는 간헐적으로 사자의 포효를 연상시키는 낮은 반음계 진행을 옥타브로 연주하거나 높은 음역대의 오스티나토를 연주한다. 두 악기군이 자리를 바꾸어 피아노가 더 높고 부드러운 버전의 멜로디를 연주한다. 이 악장은 사용된 모든 악기의 포르티시모 음으로 끝난다. 조성은 4/4박자 다장조 - 가단조(도리아 선법)이며, 총 71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연주 악기 구성은 피아노 2대, 바이올린 2대,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이다.

3. 2. 암탉과 수탉 (Poules et coqs)

이 악장은 피아노와 현악기가 연주하는 '쪼아 먹는' 주제를 중심으로 하며, 이는 닭이 곡식을 쪼아 먹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클라리넷은 현악기 위에서 짧은 독주를 하고, 피아노는 수탉의 울음소리를 바탕으로 한 매우 빠른 주제를 연주한다.[33]

사용 악기바이올린, 비올라, 피아노 2대, 클라리넷
조성다장조
박자4/4 박자
총 마디 수35마디


3. 3. 야생 당나귀 (Hémiones)

두 대의 피아노로 연주되며, 묘사되는 동물들은 옥타브로 연주되는 두 피아노의 끊임없이 빠르고 열정적인 상하 운동으로 표현되어 매우 분명하게 달리고 있는것으로 묘사된다.[33] 이들은 티베트에서 온 지게타이 당나귀로 빠른 속도로 유명하다.[33]

3. 4. 거북이 (Tortues)

이 악장은 현악기와 피아노로 연주되는 풍자적인 곡이다. 피아노가 높은 음역에서 맥박 치는 듯한 셋잇단음표 음형을 연주하며 시작한다. 현악기들은 자크 오펜바흐의 희극 오페라 《천국과 지옥》에 나오는 유명한 "지옥의 갤럽"(흔히 캉캉으로 알려진)을 느리게 연주하여 풍자적인 효과를 낸다.[33] 총 2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3. 5. 코끼리 (L'Éléphant)

이 부분은 알레그레토 폼포소(Allegretto pomposo, 조금 웅장하고 빠르게) 3/8박자 내림 마장조로, 콘트라베이스가 묵직하면서도 가볍게 왈츠를 연주한다.[32] 베를리오즈의 《파우스트의 겁벌》 중 "요정의 왈츠"와 멘델스존의 《한여름 밤의 꿈》 중 "스케르초"가 저음으로 삽입되어 있다.[32] 총 5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32]

피아노가 왈츠풍의 셋잇단음표를 연주하고, 콘트라베이스(더블 베이스)는 그 아래에서 멜로디를 연주한다.[32] "거북이"처럼, 이것 또한 음악적인 해학인데, 원래 플루트나 바이올린과 같이 고음역대의 가볍고 밝은 음색의 악기를 위해 쓰여진 주제를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낮고 묵직한 소리를 내는 콘트라베이스로 연주하기 때문이다.[32]

3. 6. 캥거루 (Kangourous)

두 대의 피아노로 연주되며, 장식이 붙은 화음이 상하로 움직이며 캥거루가 깡충깡충 뛰는 모습을 묘사한다.[32] 화음은 상승할 때 빠르고 크게, 하강할 때는 느리고 작게 변화한다. 총 20마디로 구성되어있다.[32]

3. 7. 수족관 (Aquarium)

''수족관'' 악장의 원본 악보 필사본. 최상단의 보표는 (유리) "하모니카"를 위해 쓰여졌다.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현악 사중주)와 두 대의 피아노, 플루트, 글라스 하모니카로 연주된다.[33] 플루트가 멜로디를 연주하고 현악기가 반주를 한다. 글라스 하모니카는 격동적인 글리산도와 같은 진행을, 피아노는 아르페지오를 연주한다. 이러한 음형들과 함께 끝부분에서 가끔 나타나는 유리 하모니카의 글리산도(종종 첼레스타글로켄슈필로 연주됨)는 평화롭고 은은하게 빛나는 수족관의 분위기를 떠올리게 한다.[33] 총 39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3. 8. 긴 귀를 가진 등장인물 (Personnages à longues oreilles)

이 곡은 동물의 사육제의 모든 악장 중에서 가장 짧으며, 두 대의 바이올린으로 연주된다. 바이올린은 높고 큰 음과 낮고 웅웅거리는 음을 번갈아 연주하는데, 이는 당나귀의 울음소리("히이호")를 묘사한 것이다.[8] 음악 평론가들은 이 악장이 음악 평론가들을 당나귀 울음소리에 비유하여 풍자한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8]

3. 9. 숲 속 깊은 곳의 뻐꾸기 (Le Coucou au fond des bois)

두 대의 피아노와 클라리넷으로 연주된다. 피아노가 크고 부드러운 화음을 연주하는 동안 클라리넷은 뻐꾸기 울음소리를 모방하여 C음과 A♭음의 두 음으로 된 단일 오스티나토를 연주한다. 생상스는 원보에서 클라리넷 연주자가 무대 밖에서 연주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3. 10. 조류장 (Volière)

현악기, 피아노, 플루트가 연주를 맡는다. 높은 음역의 현악기들은 정글의 배경 소음을 연상시키는 윙윙거리는 소리로 배경 역할을 하며, 첼로베이스는 대부분의 마디를 이끄는 픽업 종지를 연주한다. 플루트는 새의 역할을 맡아 자신의 음역 대부분을 아우르는 떨림이 있는 곡조를 연주한다. 피아노는 간간이 배경에서 다른 새들의 짧은 소리와 트릴을 연주한다. 이 악장은 플루트의 긴 상행 반음계 진행 후 매우 조용하게 끝난다.[33]

3. 11. 피아니스트 (Pianistes)

이 악장은 현악기와 두 대의 피아노로 연주되며, 피아니스트들이 연습하는 모습을 풍자적으로 묘사한다. 다루어지는 음계는 C, D♭, D, E♭이다. 각 음계는 첫 음과 두 번째 음의 트릴로 시작하여 리듬에 약간의 변화를 주며 진행된다. 조성 간의 전환은 음계 사이에서 모든 악기가 터져 나오는 듯한 화음으로 이루어진다.[46]

일부 연주에서는 후반부의 더 어려운 음계들을 의도적으로 박자를 점점 더 맞추지 않고 연주하기도 한다. 초판에는 편집자가 남긴 주석이 있는데, 연주자들에게 초보자들과 그들의 서툰 모습을 흉내 내라고 지시하고 있다.[46]

네 개의 음계가 끝난 후 조성이 다시 C로 바뀌면서, 피아노는 샤를 루이 아농이나 카를 체르니 풍으로 3도 간격의 중간 빠르기 트릴 같은 패턴을 연주하고, 현악기들은 그 아래에서 작은 파트를 연주한다. 이 악장은 특이하게도 마지막 세 개의 폭발적인 화음이 곡을 마무리 짓지 않고 다음 악장으로 이어진다.[9]

3. 12. 화석 (Fossiles)

이 곡은 현악기, 두 대의 피아노, 클라리넷, 실로폰으로 연주된다. 생상스는 이 곡에서 자신의 작품인 《죽음의 무도》를 인용했는데, 실로폰을 사용하여 뼈가 박자에 맞춰 부딪히는 듯한 해골의 이미지를 표현했다.[47] 《죽음의 무도》의 주제도 인용되었으며, 실로폰과 바이올린이 멜로디의 많은 부분을 연주하고 피아노와 클라리넷이 번갈아 연주한다.[47]

또한, "아! 말씀드리죠, 엄마"(한국에서는 《반짝반짝 작은 별》로 더 잘 알려짐), 프랑스 동요 "달빛 아래에서", "나는 좋은 담배가 있지"(두 번째 피아노가 같은 멜로디를 거꾸로 연주), 애국가 "시리아로 출발하라", 로시니의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 중 아리아 "우나 보체 포코 파" 등 다양한 곡들이 인용되었다.[47] 레너드 번스타인은 이 악장에 대해, 인용된 음악들이 생상스 시대의 화석과 같다는 해설을 덧붙였다.[47]
자필 악보의 "화석". 익룡의 화석이 그려져 있다.

3. 13. 백조 (Le cygne)

두 대의 피아노와 첼로로 연주되며, 첼로의 멜로디는 물 위를 우아하게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백조를 묘사한다. 한 대의 피아노는 잔잔하게 흐르는 16분음표를 연주하고, 다른 피아노는 아르페지오 화음을 연주한다.[48]

이 악장은 생상스의 모음곡 중 가장 잘 알려진 악장 중 하나이며, 생상스 생전에 이 모음곡에서 유일하게 출판된 첼로와 독주 피아노를 위한 버전으로 주로 연주된다. 첼로 레퍼토리의 중심이 되는 곡이기도 하다.[48]

1905년 미하일 포킨은 이 악장에 맞춰 짧은 발레 독무인 《백조의 죽음》을 안무했고, 안나 파블로바가 약 4,000회 공연하며 "세계를 휩쓸었다".[11]

3. 14. 피날레 (Final)

피날레는 서주와 같은 피아노의 트릴로 시작되지만, 곧 관악기들과 글라스 하모니카, 실로폰이 합류한다. 현악기들이 몇 개의 저음으로 긴장감을 조성하고, 활기찬 주 멜로디가 나오기 전 피아노의 글리산도로 이어진다. 피날레는 19세기 미국의 카니발을 연상시키는데, 한 대의 피아노가 항상 경쾌한 8분 음표 리듬을 유지한다.[7] 멜로디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반주 화성들은 생상스의 피아노 작품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화려한 음계, 글리산도, 트릴로 장식되어 있다. 서주, 사자, 당나귀, 암탉, 캥거루 등 이전 악장들의 많은 부분이 여기에서 인용된다.[7] 이 작품은 마지막 강렬한 C장조 화음군 전에 당나귀의 여섯 번의 "히호" 소리로 끝나는데, 마치 당나귀가 마지막 웃음을 터뜨리는 듯한 느낌을 준다.[7]

4. 음악적 인용 및 특징

생상스는 이 작품에서 다른 작곡가들의 음악을 인용하거나 자신의 이전 작품을 패러디하여 풍자적인 효과를 냈다.

곡명인용 및 특징
"암탉과 수탉"장필리프 라모의 하프시코드 곡 "암탉"(La poule)의 주제를 덜 우아하게 표현.[43]
"거북이"자크 오펜바흐의 희극 오페라 《천국과 지옥》 중 "지옥의 갤럽"을 느린 속도로 연주.[39][49]
"코끼리"엑토르 베를리오즈의 《파우스트의 겁벌》 중 "실프의 춤" 주제를 낮은 음역의 콘트라베이스 독주로 연주. 펠릭스 멘델스존의 《한여름 밤의 꿈》 중 스케르초도 인용.[39][50]
"긴 귀를 가진 등장인물"음악 평론가들을 겨냥한 것으로, 피날레에서 마지막으로 들리는 당나귀 울음소리를 냄.[39][43]
"피아니스트"샤를 루이 아농카를 체르니 스타일의 연습곡으로, 음계 연습에 매진하는 피아노 학생들을 묘사.[43][49]
"화석"생상스 자신의 《죽음의 무도》와 함께 "나는 좋은 담배가 있지", "아! 말씀드리죠, 엄마"(반짝반짝 작은 별), "달빛 아래에서", 노래 "시리아로 출발하라", 조아키노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 중 아리아 "우나 보체 포코 파"(Una voce poco fa)를 인용.[39][50]


5. 대중문화 속의 《동물의 사육제》

1949년 오그덴 내시는 앙드레 코스텔라네츠가 지휘한 컬럼비아 마스터워크스의 《동물의 사육제》 음반에 맞춰 각 악장에 대한 유머러스한 시를 썼다. 이 시는 노엘 카워드가 낭송했으며, 코스텔라네츠와 카워드는 1956년 뉴욕 필하모닉과 함께 뉴욕 카네기 홀에서 내시의 시가 담긴 모음곡을 연주했다.[15]

내시의 시는 트루먼 대통령의 피아노 연주와 같은 시사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5] 이후 조니 모리스,[5] 제러미 니콜라스,[5] 잭 프렐츠키,[16] 존 리스고,[26] 마이클 모퍼고 등 여러 작가들이 이 모음곡에 맞춰 새로운 가사를 썼다.

테렌스 맬릭 감독의 1978년 영화 천국의 나날 오프닝 크레딧에 〈수족관〉이 사용되었다.

6. 한국과의 관계

1935년 당시 15세였던 스와 네지코가 SP 레코드에 〈백조〉를 녹음했는데, 이는 첼로 파트를 바이올린으로 편곡한 것이다. 콜롬비아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35]

닛산 자동차에서 생산·판매한 S13형 실비아의 CM 곡으로, 클라이슬러 & 컴퍼니가 연주한 〈수족관〉이 사용되었다.[36]

게이오 전철다카하타후도역 1번선 홈과 다마 동물공원역 전 홈에서는, 〈서주와 사자왕의 행진곡〉과 〈코끼리〉 두 곡이 2018년 10월 11일부터 전철 접근 멜로디로 채택되었다.[37]

참조

[1] 문서 Stegemann
[2] 문서 Blakeman
[3] 문서 Rattner
[4] 웹인용 Les Concerts https://gallica.bnf.[...] Le Figaro 1922-02-27
[5] 간행물 The Gramophone Collection https://iarchive.org[...] 2019-10
[6] 웹인용 Le carnaval des animaux (Saint-Saëns, Camille) https://imslp.org/wi[...] 2021-06-27
[7] 문서 Saint-Saëns, title page
[8] Citation Carnival of the Animals https://www.google.c[...] 1937-07-14
[9] 웹사이트 Complete full score http://hz.imslp.info[...] Paris: Durand & Cie.
[10] 웹사이트 Carnival of the Animals: XII. Fossils https://www.youtube.[...] 1961
[11] citation The Carnival of the Animals
[12] 문서 Saint-Saëns, third unnumbered introductory page
[13] 문서 Griffiths
[14] 웹인용 Saint-Saens: Carnival of the Animals Program Notes, Jan 1, 1929 – Dec 31, 1960 https://archives.nyp[...] 2021-06-26
[15] 문서 Coward
[16] 문서 Notes to San Diego Symphony CD SDS-1001
[17] oclc
[18] oclc
[19] 웹사이트 Carnival of the Animals https://marylebone.n[...]
[20] 웹사이트 'The Carnival of the Animals' Features a Glass Harmonica. This Orchestra Forgot the Glass. https://www.wqxr.org[...] 2018-08-27
[21] 웹사이트 Carnival http://www.kannehmas[...]
[22] oclc
[23] oclc
[24] ISBN
[25] 웹사이트 Dick Dale, Guitarist on Space Mountain's Soundtrack, Dies https://www.wdwinfo.[...] 2019-03-18
[26] oclc
[27] 웹사이트 LA Phil Media launches second season of sound/stage https://www.hollywoo[...] Hollywood Bowl 2021-02-23
[28] 서적 Camille Saint-Saëns, 1835-1921: A Thematic Catalogue of His Complete Works, Vol. I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9]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5 管弦楽曲II 音楽之友社 1980
[30] 서적 Percussion Instruments and Their History Bold Stummer 1992
[31] 악보 Danse macabre. Poème symphonique https://gallica.bnf.[...] Durand Schoenewerk & C.ie 1875
[32] 서적 Anatomy of the Orchestr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33]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5
[34] 서적 Camille Saint-Saëns: Le Carnaval des Animaux https://issuu.com/br[...] Breitkopf & Härtel 1998
[35] 웹사이트 日産ミュージアム シルビア 主なCM曲 http://www.nissan.co[...]
[36] 웹사이트 シルビア CM情報 http://www.nissan.co[...]
[37] 웹사이트 〜10月11日(土)始発から 〜 高幡不動駅・多摩動物公園駅の列車接近メロディーが動物にちなんだ4曲に変わります 列車接近時にランダムに流れます!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18-09-21
[38] 문서 Stegemann, p. 42
[39] 문서 Saint-Saëns, third unnumbered introductory page
[40] 문서 Blakeman, p. 117
[41] 문서 Rattner, pp. 185ff
[42] 뉴스 Les Concerts https://gallica.bnf.[...] Le Figaro 1922-02-27
[43] 간행물 "The Gramophone Collection" https://archive.org/[...] Gramophone 2019-10
[44] 웹사이트 "Le carnaval des animaux (Saint-Saëns, Camille)" https://imslp.org/wi[...] 2021-06-27
[45] 문서 Saint-Saëns, title page
[46] 웹인용 Complete full score http://hz.imslp.info[...] Paris: Durand & Cie. 2012-07-20
[47] 웹인용 Carnival of the Animals: XII. Fossils https://www.youtube.[...] 1961
[48] liner notes The Carnival of the Animals
[49] 문서 Griffiths, p. 147
[50] 웹사이트 Saint-Saens: ''Carnival of the Animals'' Program Notes, Jan 1, 1929 – Dec 31, 1960 https://archives.nyp[...] 2021-06-26
[51] 문서 Coward, p. 316
[52] 문서 Notes to San Diego Symphony CD SDS-1001
[5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