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펑 (미사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둥펑 미사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이 개발한 탄도 미사일 시리즈이다. 1950년대 소련의 기술 지원을 받아 개발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소련 미사일의 설계를 기반으로 했다. 이후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을 생산했으며, 단거리, 중거리, 대륙간 탄도 미사일 등 다양한 사거리를 가진다. 둥펑 미사일은 중국의 핵 억지력의 핵심 전력으로, 창정 로켓 개발에도 기술적 영향을 주었다.
1950년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체결 이후, 소련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 연구 개발, 특히 탄도 미사일 개발을 지원했다.[47] 소련은 관련 기술 문서, 생산 설비 등을 제공하고 라이선스 생산을 허가했으며, 초기 소련 미사일 기술을 이전했다.[1][47]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첫 탄도 미사일을 개발했으며, 이후 독자적인 기술 발전을 이루어 둥펑 시리즈를 개발했다. 중국의 우주 발사체인 창정 로켓 역시 둥펑 미사일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
2. 역사
2. 1. 개발 배경
1950년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체결 이후, 소련은 중화인민공화국에 군사 연구 개발 지원을 시작했다. 이 지원에는 소련제 무기의 운용 교리 전수, 기술 문서 제공, 생산 설비 지원, 그리고 라이선스 생산 허용 등이 포함되었다.[47] 특히 탄도 미사일 분야에서는 소련의 R-1(SS-1), R-2(SS-2), R-11F 기술이 중국으로 이전되었다.[1][47]
중국의 첫 번째 탄도 미사일은 이렇게 이전받은 소련의 설계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이후 중국은 독자적으로 탄도 미사일과 로켓 기술을 발전시켜 나갔다. 예를 들어, 인공위성 발사에 사용되는 창정 로켓은 둥펑 미사일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에 뿌리를 두고 있다.[1]
2. 2. 초기 개발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체결 이후 소비에트 연방(소련)은 1950년대 중화인민공화국에 군사 기술 연구 및 개발 지원을 시작했다. 여기에는 소련제 무기 운용 교리, 기술 문서, 제작 장비 제공 및 라이선스 생산 허가가 포함되었다.[47] 소련은 R-1(SS-1), R-2(SS-2), R-11F 등의 탄도 미사일 기술을 중국에 이전했다.[47]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초기 탄도 미사일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중국은 독자적인 미사일 및 로켓 기술을 발전시켰다. 중국의 우주 발사체인 창정 로켓 개발 역시 둥펑 미사일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둥펑 시리즈의 첫 미사일인 '''둥펑 1호'''(DF-1)는 소련의 R-2(SS-2 Sibling)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을 라이선스 생산한 것이다.[2][48] R-2 미사일은 독일의 V-2 로켓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1] 둥펑 1호는 코드명 '1059'로도 불렸다.[1] 이 미사일은 1기의 RD-101 로켓 엔진을 사용했으며, 연료로는 에틸 알코올을, 산화제로는 액체 산소(LOX)를 사용했다. 최대 사거리는 550km이고 탑재 가능한 탄두 중량은 500kg이었다. 둥펑 1호는 1960년대에 제한된 수량만 생산되었으며, 이후 모두 퇴역했다.[1][47]
'''둥펑 2호'''(DF-2)는 중국이 최초로 개발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이다. 서방에서는 지대지 미사일이라는 의미로 '''CSS-1'''이라는 식별 부호를 부여했다.[3][49] 둥펑 2호의 사거리는 1250km이며, 15~20 킬로톤(kt) 위력의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었다.[3] 서방 관측통들은 둥펑 2호의 외형, 사거리, 엔진 성능, 탑재량 등이 소련의 R-5 Pobeda(SS-3 Shyster)와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오랫동안 R-5의 복제품으로 간주해왔다. 실제로 R-5 관련 기술 자료가 1950년대 후반 소련에서 중국으로 전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4][50] 그러나 일부에서는 셰광쉬안, 량스리, 류추안루, 류위안, 린솽, 런신민, 투서어, 황웨이루 등 중국 자체 기술진의 독자적인 설계라는 주장도 제기된다.[4][50]
최초의 둥펑 2호는 1962년 시험 발사에 실패했고, 이를 개선한 '''둥펑 2호 A'''(DF-2A)가 개발되었다.[5] 1966년 10월 27일, DF-2A는 로프누르 핵 실험장에서 실제 핵탄두를 탑재하고 발사되어 목표 상공에서 폭발하는 시험에 성공했다.[5] DF-2A는 1960년대 후반부터 실전 배치되었으며, 모든 둥펑 2 계열 미사일은 1980년대에 퇴역했다.[5][51]
2. 3. 독자 개발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체결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하 소련)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무기 운용 교리, 기술 문서, 생산 설비 제공 및 라이선스 생산을 포함한 군사 연구 개발을 지원했다. 특히 탄도 미사일 분야에서는 소련제 SS-1, SS-2, R-11F 미사일을 제공했으며, 이는 중국 초기 탄도 미사일 설계의 기반이 되었다.[47] 이러한 기술 이전을 바탕으로 중국은 독자적인 탄도 미사일 및 로켓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중국의 우주 발사체인 창정 로켓 개발 역시 둥펑 미사일 기술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상호 기술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DF-3''' ('''CSS-2''')는 중국 최초의 독자 개발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로 평가받는다. 이 미사일의 설계는 소련의 R-14 추소바야 미사일의 영향을 받았으며, 1단계 엔진은 알렉세이 이사예프가 개발한 엔진의 복제품이었다. 투쇼우와 쑨자둥이 설계를 주도했으며, 제211공장(수도 기계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기본형 DF-3는 사거리 2500km에 2000kg의 핵탄두(원자탄 또는 열핵탄두)를 탑재하도록 설계되었다. 1981년에는 사거리를 3000km(탄두 중량 감소 시 약 4000km)로 늘린 개량형 DF-3A가 개발되었고, 이 모델은 재래식 고폭탄두를 장착하여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되기도 했다.[6][52] 2014년 사우디아라비아 군사 퍼레이드에서 이 미사일이 공개된 바 있다.[53] DF-3의 초기 사거리(2810km)로는 미국령 괌을 타격하기 어려웠으나, 2012년과 2013년 미국 국방부 보고서에서는 개량형 DF-3A의 사거리를 3300km로 평가하며 괌이 사정권 내에 포함된다고 분석했다.[7][54][8][55] 모든 DF-3 및 DF-3A 미사일은 2010년대 중반까지 퇴역하고 DF-21로 대체되었다.[9][56]
'''DF-4''' ('''CSS-3''')는 중국 최초의 2단 탄도 미사일로, 1960년대 후반 모스크바와 괌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사거리는 5550km에서 7000km에 달하며, 2200kg의 탄두(3 Mt급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 DF-4 미사일은 중국 최초의 우주 발사체인 창정 1호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약 20기의 DF-4가 운용되었으나, 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DF-31로 대체될 예정이었다.[57][58]
'''DF-5''' ('''CSS-4''')는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다. 사일로 기반의 2단 액체연료 미사일로, 최대 사거리는 12000km에 달하며 최대 3 Mt급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 1960년대에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실전 배치는 1981년에 이루어졌다. DF-5는 위성 발사체인 펑바오-템페스트(FB-1)의 기술적 기반이 되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에는 사거리가 13000km 이상으로 개선된 개량형 DF-5A가 생산되었다. 현재 24기에서 36기의 DF-5A가 배치되어 중국의 주력 ICBM 전력으로 운용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발사 위치에 따라 미국 서부 해안 도시들이나 미국 본토 전역을 사정권에 둘 수 있다.
3. 미사일 종류
둥펑 시리즈는 다양한 종류의 탄도 미사일로 구성된다.3. 1. 단거리 탄도 미사일 (SRBM)
3. 2. 중거리 탄도 미사일 (MRBM/IRBM)
둥펑 2호는 사거리 1250km이며 15~20kt의 핵탄두를 탑재한 중국 최초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이다. 서방 국가에서는 지대지 미사일로 CSS-1으로 식별한다.[49] 서방 관측자들은 둥펑 2호의 외형, 사정거리, 엔진, 탑재량으로 인해 오랫동안 소련의 R-5 Pobeda (SS-3 Shyster)의 복제품으로 간주했다. 현재는 R-5에 관한 문헌이 1950년대 말에 소련에서 중국으로 운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0] 그러나 다수의 서방 저자들은 현재도 중국 전문가인 린솽, 투서어, 런신민, 황웨이루, 셰광쉬안, 량스리 (량치차오의 아들), 류촨루, 류위안 등에 의한 독자 설계로 간주한다. 최초의 둥펑 2호는 1962년 발사에 실패하여 둥펑 2호 A로 개량되었다. 둥펑 2호 A는 1966년에 실시된 중국 최초의 로프누르 핵탄도 미사일 시험에 사용되었으며, 1960년대 말부터 운용되었다. 모든 둥펑 2호는 1980년대부터 퇴역했다.[51]
둥펑 3호는 종종 중국 최초의 "국산"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로 여겨진다. 설계는 소련의 R-14 추소바야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1단 엔진은 이사예프 OKB-2가 개발한 엔진의 복제품이었다. 유도 장치 개발에는 투서얼과 쑨자둥이 참여했으며, 생산은 수도기계공장(제211공장)이 담당했다. 사거리 2500km의 둥펑 3호는 원래 2000kg의 핵탄두를 운반하도록 설계되었다. 이후 사거리가 3000km(탑재 중량을 줄이면 약 4000km)로 늘어난 개량형 둥펑 3호 A가 1981년에 개발되어 고폭탄 재래식 탄두를 갖추고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되었고[52], 2014년 사우디아라비아 군사 퍼레이드에서 공개되었다[53]. 수출형의 사거리는 2810km로 알려졌으나, 2012년 및 2013년 미국 국방부 보고서에서는 사거리가 3300km에 달해 괌을 사정권 안에 둔다고 평가했다.[54][55] 모든 둥펑 3호/3호 A는 2010년대 중반에 퇴역하고 둥펑 21호로 대체되었다.[56]
둥펑 16호는 둥펑 15호보다 사거리가 더 긴 신형 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이다 (사거리 800km ~ 1000km).[68] 2011년 3월 16일, 대만 관리는 중국이 이 미사일의 배치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23][68] 둥펑 16호는 MIM-104 패트리어트 PAC-3와 같은 탄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으로 요격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대만에 대한 위협을 증가시킨다. 사거리가 길어져 더 높은 고도까지 상승한 후 하강하므로, 재진입 시 중력 가속으로 인해 PAC-3가 효과적으로 요격할 수 있는 속도보다 빨라지기 때문이다.[24][69] 둥펑 16호는 기존 모델보다 길고 넓으며, 1000kg에서 1500kg의 탄두를 탑재하고 5~10미터의 정확도를 가진다. 원추형 탄두 구조는 종말 유도 탄두 및 관통 탄두 등 다양한 탄두 탑재 가능성을 시사한다. 둥펑 21호와 유사한 10륜 이동식 발사대(TEL)에서 발사되지만, "콜드 런치" 방식 대신 미사일을 덮는 보호 덮개를 사용한다.[25][26] 핵탄두 탑재도 가능하다.[27] 이 미사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70주년을 기념하여 베이징에서 열린 2015년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서 처음 공개되었다.[28][29][30][31]
둥펑 17호는 DF-ZF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HGV)를 탑재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DF-ZF는 재래식 탄두를 사용하지만, 미국 정보기관은 핵 탑재 능력도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32] 2018년 11월 주취안 위성 발사 센터에서 시험 발사된 것으로 추정되며[70], 201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70주년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서 양산형이 공개되어 세계 최초로 실전 배치된 HGV 탑재 미사일로 여겨진다.[71][72] 이 시스템은 2019년 하반기에 실전 배치되었다.
둥펑 21호는 1970년대 후반 중국 제2 우주 항공 연구원(현재 중국 창펑 기계 전자 기술 연구원)에서 개발한 2단 고체 연료 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이다. 이는 제2포병 부대가 배치한 최초의 고체 연료 탄도 미사일이다. 이 미사일은 500kt 핵탄두 1기를 탑재하며, 최대 사거리는 2500km이다.[33][73] 둥펑 21호는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JL-1 (CSS-N-3)의 기반이 되었으며, ''샤''급 잠수함에 탑재되었다. 1996년 개량형인 DF-21A가 도입되었다. 2010년 기준으로 60~80기의 DF-21/DF-21A가 실전 배치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이후 숫자는 증가했을 수 있다.[34][35][74][75] 2007년 사우디아라비아가 DF-21을 구매했다는 보도가 있다.[76]
둥펑 25호는 이동식 발사 방식의 2단 고체 연료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로, 사거리는 3200km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개발은 1996년에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36][77] 미국 국방부는 2013년 중국의 군사력 발전에 대한 의회 보고서에서 DF-25를 실전 배치된 미사일로 언급하지 않았다.[37][78]
둥펑 26호는 사거리가 최소 5000km에 달하는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로, 괌에 있는 미국 해군 기지를 사정권 안에 두어 '괌 킬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고체 연료를 사용하고 이동식 발사대에서 운용되어 지하 벙커에 보관했다가 신속하게 발사할 수 있어 탐지 및 대응이 어려운 것으로 평가된다. DF-26은 DF-21의 후속 버전일 가능성이 있으며, 재래식 탄두, 핵탄두는 물론 기동형 대함 미사일 탄두와 극초음속 활공 탄두 등 다양한 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38][79][80]
둥펑 27호는 극초음속 활공체(HGV) 탄두를 탑재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이다.[39] 2021년 기준으로 개발 중이며 사거리는 5000km에서 8000km 사이로 추정된다.[40]
3. 3.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DF-5''' ('''CSS-4''')는 최대 3메가톤(Mt)의 핵탄두를 최대 12000km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된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이다. DF-5는 사일로 기반의 2단 미사일이며, 이 로켓은 위성 발사에 사용되는 우주 발사체 펑바오-템페스트(FB-1)의 기반이 되었다. 이 미사일은 1960년대에 개발되었지만 1981년에야 실전 배치되었다. 개량형인 DF-5A는 1990년대 중반에 생산되었으며, 사거리가 개선(> 13000km)되었다. 현재 중국의 주력 ICBM 전력으로 추정되는 24~36기의 DF-5A가 실전 배치되어 있다. DF-5A가 칭하이성 동부에서 발사될 경우 로스앤젤레스, 새크라멘토, 샌프란시스코와 같은 도시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동북부 성의 가장 동쪽 지역에서 발사될 경우 미국 본토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DF-31''' ('''CSS-10''')은 중국 제4항공우주 아카데미(현재 ARMT)에서 개발한 최신형 이동식 고체연료 ICBM이다. DF-31의 사거리는 8000km 이상이며, 단일 1,000kt 탄두 또는 최대 3개의 20-150kt MIRV 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 개량형인 DF-31A는 사거리가 11000km 이상으로 베이징에서 로스앤젤레스까지 도달할 수 있다. DF-31은 중국의 구형 탄도 미사일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새로운 JL-2 SLBM의 기반이 되었다. 2009년에는 약 30기의 DF-31/DF-31A가 실전 배치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이후 이 숫자가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41][42][81][82] 200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60주년을 기념하여 베이징에서 열린 군사 퍼레이드에서 12기가 공개되었다.
DF-31AG는 향상된 기동성을 갖춘 이동식 발사기를 사용한다. 이는 2017년 인민해방군 창설 기념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DF-41''' ('''CSS-20''', '''CSS-X-10''')은 중국의 핵무기 전력에 가장 최근 추가된 ICBM이다. 서방 분석가들은 이 미사일이 10개 또는 12개의 MIRV 탄두(일부 분석에서는 단일, 3기, 6기, 또는 10기)를 장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83][84] 12000km에서 15000km로 추정되는 사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의 LGM-30 미니트맨 ICBM의 사거리를 능가하여 세계에서 가장 긴 사거리를 가진 미사일 중 하나로 여겨진다.
4. 핵무기 탑재 능력
둥펑 미사일 시리즈는 개발 초기부터 핵탄두 탑재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 다양한 모델이 핵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부는 재래식 탄두와 핵탄두를 모두 운용할 수 있는 이중 용도로 개발되었다. 주요 미사일의 핵무기 탑재 능력은 다음과 같다.
미사일 | 종류 | 핵탄두 탑재 능력 | 비고 |
---|---|---|---|
DF-2 | 중거리 탄도 미사일 (MRBM) | 15~20kt 핵탄두 1기[49] | 중국 최초의 핵탄두 탑재 MRBM. 로프누르 핵실험에 사용됨.[51] |
DF-3 | 중거리 탄도 미사일 (IRBM) | 핵탄두 탑재 (2,000 kg)[52] | 중국 최초의 자체 개발 IRBM으로 평가됨. 재래식 탄두 버전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됨.[52][53] |
DF-4 | 2단 탄도 미사일 (IRBM/ICBM)[57] | 3Mt 핵탄두 1기[57] | 중국 최초의 2단 탄도 미사일. 모스크바와 괌 타격 목표로 개발. 창정 1호 로켓의 기반.[57] |
DF-5/5A |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 최대 3Mt 핵탄두 1기[59] | 사일로 기반 ICBM. 개량형 DF-5A는 사거리가 13000km 이상으로 미국 본토 대부분 타격 가능.[59][60] |
DF-26 | 중거리 탄도 미사일 (IRBM) | 핵탄두 및 재래식 탄두[38][79] | 괌 킬러로 불림. 대함 탄도 미사일 및 극초음속 활공 탄두 탑재 가능.[38][79][80] 이동식 발사대 사용. |
DF-31/31A/31AG |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 단일 1,000kt 또는 MIRV 3기 (20-150kt)[41][81] | 이동식 고체 연료 ICBM. 개량형 DF-31A는 사거리 11000km 이상.[41][81][82] DF-31AG는 기동성 향상. |
DF-41 |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 MIRV 10~12기[83] | 사거리 12000km~15000km 추정. 세계 최장 사거리 미사일 가능성.[83][84] |
5. 한국에 대한 위협
중국 최초의 "국산"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로 평가받는 둥펑 3호(DF-3)는 상당한 사거리를 보유하고 있다. 초기형은 사거리 2500km에 2000kg의 핵탄두를 탑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후 개량된 둥펑 3호 A형은 사거리가 3000km(탑재 중량 감소 시 최대 4000km)까지 늘어났다.[52] 미국 국방부는 2012년 및 2013년 보고서에서 둥펑 3호의 사거리를 3300km로 평가하며, 이는 미국령 괌을 타격하기에 충분한 거리라고 분석했다.[54][55]
이러한 사거리는 한반도 전역을 훨씬 넘어서는 것으로, 개발 당시부터 한국 역시 둥펑 3호의 사정권 내에 포함되었음을 의미한다. 둥펑 3호 A형은 고폭탄 통상탄두를 장착하여 사우디 아라비아에 수출되기도 했다.[52][53]
둥펑 3호 계열 미사일은 2010년대 중반에 퇴역하고 둥펑 21호(DF-21) 등으로 대체될 예정이었다.[56] 따라서 현재 둥펑 3호 자체가 직접적인 위협은 아니지만, 이후 개발된 중국 탄도미사일들의 기반이 되었으며, 그 사거리는 초기부터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에 대한 잠재적 위협 가능성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DF-1
http://www.globalsec[...]
2017-07-31
[2]
웹사이트
R-2 / SS-2 SIBLING
http://www.globalsec[...]
2021-03-23
[3]
웹사이트
DF-2 / CSS-1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09-09-10
[4]
웹사이트
R-5 / SS-3 SHYSTER
http://www.globalsec[...]
2018-10-07
[5]
웹사이트
DongFeng 2 (CSS-1)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Sinodefence.com
2011-01-03
[6]
웹사이트
http://www.missileth[...]
2012-02-25
[7]
웹사이트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2
http://www.defense.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2012-05-01
[8]
웹사이트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
http://www.defense.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2013-05-01
[9]
웹사이트
DongFeng 3 (CSS-2)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Sinodefence.com
2013-08-14
[10]
웹사이트
DF-4 (the "Chingyu" missile)
http://www.globalsec[...]
2018-12-15
[11]
웹사이트
DongFeng 4 (CSS-3)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Sinodefence.com
2012-11-03
[12]
웹사이트
DONG FENG - EAST WIND/JULANG - GREAT WAVE
http://www.softwar.n[...]
2007
[13]
웹사이트
DF-11 (CSS-7)
http://www.globalsec[...]
2022-02-27
[14]
웹사이트
DongFeng 11 (CSS-7) Short-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Sinodefence.com
2012-06-06
[15]
보고서
2014 Report to Congress
http://origin.www.us[...]
2014
[16]
뉴스
China's Second Artillery Has a New Missile
https://thediplomat.[...]
Thediplomat.com
2013-08-07
[17]
웹사이트
DF-12 / M20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6-05-09
[18]
웹사이트
DF-12 M20 short-range surface-to-surface tactical missile
http://www.armyrecog[...]
Armyrecognition.com
2016-10-17
[19]
트윗
"{!}} #AirshowChina 2018 {!}} Contrairement à son concurrent CASIC, le groupe CASC n'a donné aucun détail sur ses deux nouveaux missiles balistiques M20A et M20B, variantes de M20. La version A semble être dotée d'une tête chercheuse hors radar, et la B est dédié à l'anti-navire. https://t.co/5jKOfKeTLC"
2018-11-10
[20]
웹사이트
DF-15 (CSS-6 / M-9)
http://www.globalsec[...]
2006-06-13
[21]
웹사이트
DongFeng 15 (CSS-6) Short-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Sinodefence.com
2006-07-17
[22]
웹사이트
DF-16 / CSS-11 - China Missile Forces
https://www.globalse[...]
2021-04-19
[23]
웹사이트
China deploys DF-16 ballistic missile, claims Taiwan
http://www.janes.com[...]
Defense & Security Intelligence & Analysis: IHS Jane's
2011-03-24
[24]
뉴스
PRC missile could render PAC-3s obsolete
http://www.taipeitim[...]
Taipeitimes.com
2011-03-18
[25]
뉴스
China's DF-16 Medium-range Ballistic Missile
http://aviationweek.[...]
Aviationweek.com
2012-09-17
[26]
뉴스
CHINA'S NEWEST MISSILE SET FOR VJ DAY PARADE
http://www.popsci.co[...]
Popsci.com
2015-04-28
[27]
웹사이트
DF-16 (Dong Feng-16 / CSS-11)
https://missilethrea[...]
2018-11-09
[28]
뉴스
http://www.thestanda[...]
[29]
웹사이트
Beijing's WWII military parade {!}} China.org.cn Live – Live updates on top news stories and major events
http://live.china.or[...]
2015-09-04
[30]
Youtube
YouTube
https://www.youtube.[...]
[31]
웹사이트
China showcases new weapon systems at 3 September parade | IHS Jane's 360
http://www.janes.com[...]
2016-03-07
[32]
웹사이트
Questions About China's DF-17 and a Nuclear Capability
https://thediplomat.[...]
2020-02-16
[33]
웹사이트
JuLang 1 (CSS-N-3)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Sinodefence.com
2006-05-10
[34]
웹사이트
DF-21 / CSS-5
http://www.globalsec[...]
2021-11-16
[35]
웹사이트
DongFeng 21 (CSS-5) Medium-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Sinodefence.com
2008-02-01
[36]
웹사이트
DF-25
http://missilethreat[...]
2014-09-14
[37]
보고서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14-01-18
[38]
뉴스
China developing new nuclear missile
http://www.taipeitim[...]
2014-03-06
[39]
웹사이트
Intelligence leak reveals China’s successful test of a new hypersonic missile
https://www.iiss.org[...]
2023-05-18
[40]
보고서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1
https://media.defens[...]
U.S. Department of Defense
2023-04-12
[41]
웹사이트
DF-31
http://www.globalsec[...]
[42]
웹사이트
DongFeng 31A (CSS-9)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43]
웹사이트
DF-41 (CSS-X-10)
http://missilethreat[...]
2014-09-14
[44]
웹사이트
DF-41
http://www.globalsec[...]
2014-09-14
[45]
Kotobank
東風ミサイル
2021-12-22
[46]
뉴스
中国、新型弾道ミサイル配備=米グアム射程、対艦能力も
https://headlines.ya[...]
[47]
웹사이트
DF-1
http://www.globalsec[...]
[48]
웹사이트
R-2 / SS-2 SIBLING
http://www.globalsec[...]
[49]
웹사이트
DF-2 / CSS-1
http://www.globalsec[...]
[50]
웹사이트
R-5 / SS-3 SHYSTER
http://www.globalsec[...]
[51]
웹사이트
DongFeng 2 (CSS-1)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52]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missileth[...]
2008-05-24
[53]
웹사이트
Saudi Arabia Shows Off Chinese Missiles
http://freebeacon.co[...]
Washington Free Beacon
2016-08-07
[54]
웹사이트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2
http://www.defense.g[...]
2014-09-14
[55]
웹사이트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
http://www.defense.g[...]
2014-09-14
[56]
웹사이트
DongFeng 3 (CSS-2)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57]
웹사이트
DF-4 (the "Chingyu" missile)
http://www.globalsec[...]
[58]
웹사이트
DongFeng 4 (CSS-3)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59]
웹사이트
DF-5
http://www.globalsec[...]
[60]
웹사이트
DongFeng 5 (CSS-4)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61]
웹사이트
DONG FENG - EAST WIND/JULANG - GREAT WAVE
http://www.softwar.n[...]
2014-09-14
[62]
웹사이트
DF-11 (CSS-7)
http://www.globalsec[...]
[63]
웹사이트
DongFeng 11 (CSS-7) Short-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64]
뉴스
China Reveals New Short-Range Missile
http://freebeacon.co[...]
2013-08-02
[65]
뉴스
China’s Second Artillery Has a New Missile
http://thediplomat.c[...]
2013-08-07
[66]
웹사이트
DF-15 (CSS-6 / M-9)
http://www.globalsec[...]
[67]
웹사이트
DongFeng 15 (CSS-6) Short-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68]
웹사이트
China deploys DF-16 ballistic missile, claims Taiwan
http://www.janes.com[...]
Defense & Security Intelligence & Analysis: IHS Jane's
2066-04-21
[69]
뉴스
PRC missile could render PAC-3s obsolete
http://www.taipeitim[...]
2011-03-18
[70]
웹사이트
中国、新型ミサイル試射か 極超音速兵器向けに開発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8-03-13
[71]
웹사이트
China’s weapons display the eroding military gap
https://www.theaustr[...]
Australian
2019-10-01
[72]
웹사이트
China Showcases Advanced Weapons in Anniversary Parade
https://www.wsj.com/[...]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
2019-10-01
[73]
웹사이트
JuLang 1 (CSS-N-3)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74]
웹사이트
DF-21 / CSS-5
http://www.globalsec[...]
[75]
웹사이트
DongFeng 21 (CSS-5) Medium-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76]
뉴스
Exclusive: CIA Helped Saudis in Secret Chinese Missile Deal
http://www.newsweek.[...]
[77]
웹사이트
DF-25
http://missilethreat[...]
2014-09-14
[78]
보고서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14-01-18
[79]
뉴스
China Fields New Intermediate-Range Nuclear Missile
http://freebeacon.co[...]
Freebeacon.com
2014-03-03
[80]
뉴스
China developing new nuclear missile
http://www.taipeitim[...]
Taipeitimes.com
2014-03-06
[81]
웹사이트
DF-31
http://www.globalsec[...]
[82]
웹사이트
DongFeng 31A (CSS-9)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http://www.sinodefen[...]
[83]
웹사이트
DF-41 (CSS-X-10)
http://missilethreat[...]
2014-02-12
[84]
웹사이트
DF-41
http://www.globalsec[...]
2014-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