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은 1950년 2월 14일,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 간에 체결된 조약이다. 이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대에 중국 공산당 정권의 안정과 경제 재건을 위해 소련의 지원을 확보하고, 1945년 중국 국민당 정부와 소련 간에 체결된 조약을 대체하기 위해 체결되었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상호 방위, 경제 및 기술 지원, 뤼순항 및 다롄 반환, 소련의 대중 차관 제공 등이며, 중국은 소련으로부터 군사 기술과 경제적 지원을 받았다. 이 조약은 한국 전쟁 발발과 한반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80년 효력이 만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체결된 조약 - 유럽 인권 조약
유럽 인권 조약은 유럽 평의회가 제정한 국제 조약으로, 기본적인 인권과 자유를 보장하고 유럽 인권 재판소를 통해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구제 절차를 제공하지만, 사회권 보장에 대한 부족 등 한계점도 존재한다. - 1950년 소련 - 레닌그라드 사건
레닌그라드 사건은 1949년부터 소련에서 발생한 정치적 숙청으로, 레닌그라드 시 정부와 지역 당국을 중심으로 2천 명 이상이 체포 및 처형되었으며, 전후 경제 재건 과정의 갈등, 스탈린의 경계심, 권력 암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1950년 소련 - 1950년 소련 총선
1950년 3월 12일에 실시된 소련 총선은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에서 공산당의 권력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전연방 공산당(볼셰비키)이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99.7%의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 1950년 2월 - 1950년 영국 총선
1950년 영국 총선은 노동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했으나 의석수가 감소하여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킨 선거로, 소선거구제를 통해 치러졌으며 대학 선거구와 복수투표제가 폐지된 후 처음 실시되었다. - 1950년 2월 - 제7회 골든 글로브상
제7회 골든 글로브상은 1949년 개봉 영화를 대상으로 시상되었으며, 작품상 드라마 부문은 《모두가 왕의 부하들》이, 남녀주연상은 브로데릭 크로포드와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가 각각 수상했다.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 |
---|---|
조약 정보 | |
조약 명칭 |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
원어 명칭 |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간의 우호, 동맹 및 상호 원조 조약 (중국어) Советско-китайский «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союзе и взаимной помощи» (러시아어) 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Союзе и взаимной помощи между Союзом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и Китайс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ой (러시아어) |
통칭 |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
조약 체결일 | 1950년 2월 14일 |
조약 체결 장소 | 모스크바 |
조약 서명자 | 마오쩌둥 이오시프 스탈린 |
조약 비준자 | 저우언라이 안드레이 비신스키 |
조약 효력 발생일 | 1950년 4월 11일 |
조약 만료일 | 1979년 2월 16일 |
조약 실효일 | 1980년 4월 11일 |
조약 당사국 | |
조약 언어 | 중국어 러시아어 |
위키소스 | 중소 양국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및 협정 체결에 관한 공고 |
이미지 | |
![]() | |
![]() | |
기타 정보 | |
관련 조약 | 중소 우호 동맹 조약 |
2. 배경
1949년 9월 20일 열린 제4차 유엔 총회에서는 중화민국 정부가 1945년 체결된 중소친선동맹조약을 근거로 중국 공산당과 소련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논의했다.[63] 국공 내전에서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한 중국 공산당에게는 이 기존 조약을 파기하고 소련과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였다. 이는 특히 유엔에서의 중국 대표권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63]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49년 12월, 마오쩌둥 당시 공산당 주석은 요시프 스탈린 서기장의 70세 생일 축하를 명분으로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새로운 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시작하게 된다.
2. 1. 얄타 협정

제2차 세계 대전이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 소련의 조셉 스탈린은 전후 극동 지역에서 두 가지 중요한 전략적 목표를 설정했다. 첫째는 몽골이 중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는 것이었고, 둘째는 과거 러시아 제국이 가졌던 만주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회복하여 소련의 지정학적 안보를 강화하는 것이었다.[2]
이를 위해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 스탈린, 그리고 영국의 윈스턴 처칠 총리는 1945년 2월 11일 얄타 회담에서 합의에 도달했다. 이 합의에서 소련은 중국 공산당과 관계없이 중국 국민당 정부를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기로 했다.[3] 미국은 소련이 가능한 한 빨리 일본과의 전쟁에 참여하고, 동시에 중국 국민당을 유일 합법 정부로 지지해주기를 원했다. 그 대가로 미국은 소련이 국민당 정부로부터 몽골에 대한 소련의 지배권을 인정받도록 설득하는 데 협력하기로 약속했다.[4]
당시 중국 내부에서는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의 관계가 매우 긴장된 상태였고, 국민당 지도자 장제스는 공산당과의 갈등 해결을 위해 미국과 소련 양측의 지원을 얻으려 했다.[5] 비록 얄타 회담에 중국 대표는 참석하지 않았지만, 루즈벨트는 국민당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중국 문제와 관련된 모든 조약에는 장제스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회담 이후, 소련은 자신들의 요구 조건을 관철시키기 위해 대규모 소련군을 만주에 진입시키는 군사적 압박을 가했다. 결국 이러한 압력에 직면한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는 소련의 요구를 수용하여 소련-중국 친선 동맹 조약에 서명할 수밖에 없었다.[6]
2. 2. 이익의 수렴
중국 공산당(CCP)이 중국 국공 내전에서 승리하면서 아시아와 극동의 세력 구도가 근본적으로 변화하자, 소련은 중국에 대한 정책을 재평가하고 조정할 필요성을 느꼈다.[7] 당시 중국과 소련의 요구는 여러 측면에서 공통적이며 상호 보완적이었다.소련은 냉전의 국제 질서 속에서 미국이 주도하는 자본주의 진영에 맞서 공산주의 진영을 강화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국 공산당이 이끄는 중국을, 미국이 소련의 영향권으로 간주되던 동아시아에 개입하는 것을 견제할 수 있는 중요한 파트너로 인식했다.[8]
한편, 중국 공산당 역시 새롭게 수립한 공산 정권을 안정시키고 미국의 정권 전복 시도를 억제하기 위해 소련의 지원과 도움이 필요했다.[9] 국공 내전에서 최종적으로 승리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많은 문제가 산적해 있었으므로, 중국은 국가 재건, 경제 개발, 산업 생산 등 여러 분야에서 소련의 지원이 절실했다.[10] 더욱이 중국과 미국 중심의 서방 진영 사이의 이념적 대립과 적대감 때문에 서방으로부터 원조를 기대하기 어려웠으며, 소련과의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외교 관계 수립이 중요했다.[10]
또한, 1949년 9월 유엔 총회에서는 1945년에 체결된 중소친선동맹조약을 근거로 중국 공산당과 소련을 비난하는 결의안이 논의되고 있었다. 중국 공산당에게는 이 기존 조약을 파기하고 새로운 중소 조약을 체결하는 것이 유엔 대표권 문제 해결과도 밀접하게 연관된 중요한 과제였다.[63]
2. 3. 조약 이행에 대한 입장 차이
그러나 양측 지도자들의 조약 내용 및 이행에 대한 견해는 달랐다. 스탈린은 새로운 조약이 소련의 얄타 협정의 틀 안에서, 즉 동북 중국에서 소련의 기득권을 보장하는 틀 안에서 유지되기를 바랐다.[11] 반면 마오쩌둥은 중국의 독자적인 외교 이미지를 구축하고 제국주의 열강이 강요한 모든 불평등 조약을 폐지하는 데 몰두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과 소련 간의 동맹 조약 체결은 중국 지도자들이 외교 활동을 수행하고 결정을 내려야 할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마오쩌둥의 외교 문제에 대한 첫 번째 고려 사항은 스탈린과 직접 대화를 나누고 새로운 중소 조약을 체결하는 것이었다.3. 체결 이유
중국 공산당(CCP)이 중국 국공 내전에서 승리하면서 아시아와 극동의 세력 구도가 근본적으로 변화하자, 소련은 중국에 대한 정책을 재평가하고 조정할 필요를 느꼈다.[7] 중국과 소련 양국의 요구는 여러 면에서 공통적이고 상호 보완적이었다. 소련은 냉전의 국제 질서 속에서 미국이 주도하는 자본주의 진영에 맞서 공산주의 진영을 강화하기를 원했으며, 중국 공산당이 이끄는 중국을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견제할 수 있는 중요한 파트너로 간주했다.[8]
한편, 새롭게 수립된 중국 공산당 정권 역시 여러 이유로 소련의 지원이 절실했다. 첫째, 공산 정권을 공고히 하고 미국이 공산 정권을 전복하려는 시도를 억제하기 위해 소련의 지원과 도움이 필요했다.[9] 둘째, 장기간의 중일전쟁과 중국 국공 내전을 거치며 황폐화된 경제를 재건하고 산업 생산을 발전시키기 위해 소련의 경제적, 기술적 지원이 필수적이었다.[12][14] 당시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진영 사이의 이념적 대립과 적대감 때문에 서방 세계로부터 원조를 받는 것은 불가능했고, 이는 소련과의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외교 관계 수립의 필요성을 더욱 높였다.[10]
또한, 이 조약은 기존에 중화민국 국민당 정부와 소련이 1945년에 체결했던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을 대체하려는 중국 측의 목표를 반영했다.[12] 1949년 9월 20일에 열린 제4차 유엔 총회에서 1945년 조약에 근거하여 중국 공산당과 소련을 비난하는 결의안이 논의되는 상황이었기에, 중국 공산당에게 기존 조약을 파기하고 새로운 중소 조약을 체결하는 것은 유엔 대표권 문제와도 밀접하게 관련된 중요한 과제였다.[63] 이러한 복합적인 국내외적 필요에 따라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이 체결되었다.
3. 1.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내 상황
중국 공산당(CCP)이 중국 국공 내전에서 최종 승리를 거두었지만, 새로 수립된 공산당 정권은 장기간의 중일전쟁과 1945년부터 1949년까지 이어진 내전으로 인해 황폐화된 경제와 불안정한 사회·정치적 환경에 직면했다.[12]오랜 전쟁은 중국의 산업 기반을 심각하게 파괴했다. 특히 국공 내전 후반기에는 본토에서 밀려난 국민당 공군의 집중적인 공습으로 피해가 컸다. 예를 들어, 1949년 10월부터 1950년 2월 사이 국민당 공군은 공산당이 장악한 지역의 군사 및 산업 시설에 26차례의 공습을 감행했다. 이 중 1950년 2월 6일의 상하이 폭격은 특히 큰 피해를 입혔는데, 현지 산업 시설이 파괴되고 전력망이 마비되어 생산 활동이 중단될 정도였다.[13]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국가 경제 재건과 산업 생산 재개를 위해 외부의 도움이 절실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재정 지원, 장비, 산업 시설뿐만 아니라, 경제와 산업 생산을 지휘하고 관리할 숙련된 전문가도 부족한 실정이었다.[14] 당시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진영 사이의 이념적 대립과 적대감 때문에 서방 세계로부터 원조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10] 따라서 경제 재건과 공산 정권 안정을 위해 소련의 지원 확보가 필수적이었다.[9][10]
마오쩌둥과의 원조 협상을 담당했던 소련 외교관이자 소련 공산당 정치국 위원이었던 아나스타스 미코얀은 당시 중국 지도부가 정치적으로는 노련하지만, 경제 운영 메커니즘이나 관련 지식은 매우 부족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15]
3. 2. 군사적 우려
중국 내전 후반기에 대만 점령은 중국 공산당의 최우선 과제였으며, 공산당의 승리가 확실시되면서 이는 중국과 미국 간 주요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16] 하지만 대만 점령의 가장 큰 걸림돌은 대만 해협을 건너는 군사 작전에 필수적인 공군과 해군력이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조약 협상이 진행될 당시 장제스는 이미 대만으로 후퇴했지만, 국민당은 여전히 중국 인민해방군(PLA)에 비해 공군과 해군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이는 인민해방군에게 매우 불리한 상황이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구닝터우 전투가 있는데, 이 전투에서 중국 공산당의 목선은 중무장한 국민당 장갑함과 맞서야 했고, 상륙 부대는 아무런 공중 지원 없이 싸워야 했다. 또한, 요격 능력을 갖춘 공군이 없었기 때문에 공산당이 주요 도시들을 점령한 이후에도 국민당은 산업 시설에 대해 빈번하고 방해받지 않는 공습을 감행할 수 있었다.[17] 이러한 상황은 중국이 자체적인 공군과 해군을 건설하는 데 있어 소련의 지원을 더욱 절실하게 만들었다.협상 초기, 주덕은 소련으로부터 항공기 100대, 헬리콥터 100~200대, 폭격기 40~80대를 구매하고, 중국 조종사 1,000명과 관련 인력 300명을 소련에서 훈련시키자는 구체적인 제안을 하기도 했다.[18] 마오쩌둥 역시 계획 중이던 대만 공격 작전에 소련 공군의 직접적인 지원을 희망했으나, 스탈린은 이것이 미국에게 군사적으로 개입할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이유로 거절했다.[19]
3. 3. 한쪽으로 기울기 (Leaning to One Side)
1949년 7월 1일, 마오쩌둥은 그의 저서 『인민민주독재론』에서 "한쪽으로 기울기"(Leaning to One Side)라는 외교 정책 노선을 명확히 제시했다.[20] 이는 중국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CCP)이 최종 승리를 거둔 후 발표된 것으로, 당시 세계가 대립적인 사회주의 진영과 미국 중심의 제국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있으며, "중립을 지키는 것은 불가능하며 제3의 길도 없다"는 인식에 기반했다.[20]중일전쟁과 국공 내전을 거치며 황폐화된 경제와 불안정한 사회·정치적 환경 속에서, 새로 수립된 중화인민공화국 정권은 공산주의 통치를 공고히 하고 경제 재건 및 산업화를 위해 외부의 지원이 절실했다.[12][9] 특히 미국이 공산 정권을 전복하려 할 가능성을 억제하고 국가 발전에 필요한 경제적, 기술적 지원을 얻기 위해 소련과의 연대가 필수적이었다.[9][21] 이념적 대립으로 인해 서방 세계로부터의 원조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상황도 소련과의 관계 수립 필요성을 더욱 높였다.[10]
마오쩌둥은 냉전 체제 하의 이러한 내우외환 속에서 소련과 확고히 연대하고 사회주의 진영에 합류하는 것이 중국의 국익에 부합한다고 판단했다. 그는 마셜 플랜과 같은 미국의 원조를 수혜국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 행사를 위한 위장된 착취로 간주한 반면, 사회주의 진영 내의 협력은 국가 발전에 대한 호의적이고 진심 어린 지원으로 인식했다.[21]
소련 역시 냉전 구도 속에서 미국 주도의 자본주의 세계에 맞서 공산주의 진영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으며, 중국 공산당이 이끄는 중국을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견제할 중요한 파트너로 여겼다.[8] 이러한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한쪽으로 기울기' 정책은 소련의 경제 및 기술 지원을 확보하고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체결로 나아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21] 이 조약은 또한 기존에 중화민국 국민당 정부와 소련이 체결했던 1945년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을 대체하려는 중국 측의 목표도 반영했다.[12]
3. 4. 이념
1949년 7월 1일 발표된 저서 「인민민주독재론」에서 마오쩌둥은 "한쪽으로 기울기"라는 외교 정책 지침을 명시했다. 그는 세계가 대립하는 사회주의 진영과 제국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있으며, "중립을 지키는 것은 불가능하며 제3의 길도 없다"고 주장했다.[20] 이러한 냉전 체제 하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은 내우외환의 상황에 직면했고, 마오쩌둥은 소련과 확고히 연대하고 사회주의 진영에 합류하는 것이 공산주의 통치를 강화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마셜 플랜을 수혜국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 행사를 위한 미국의 위장된 착취로 간주한 반면, 사회주의 진영 내 협력은 국가 발전에 대한 진심 어린 지원으로 인식했다.[21]미국이 주도하는 서방 진영과 소련이 주도하는 동구권 사이에서, 마오쩌둥은 이념적 근접성 때문에 소련 편을 선택했다.[22] 그는 "제국주의적"이고 "간섭주의적" 함의를 지닌 마셜 플랜과 달리, 소련의 원조를 세계 프롤레타리아 혁명 세력의 국제적 지원으로 보았다. 중국과 소련 간의 형제 관계는 사회주의 국제주의와 일치하는 이념적 틀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조약 체결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스탈린 역시 중국의 합류가 "자본주의 진영에 맞서는 강력하고 통합된 사회주의 진영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며, 자본주의 진영보다 더 진정한 사회주의 국제 협력의 틀을 만든다고 평가했다.[23]
4. 협상 과정
1949년 9월 유엔 총회에서 기존 중소친선동맹조약(1945년 체결)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중국 공산당에게는 이 조약을 폐기하고 새로운 조약을 맺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63] 1949년 12월, 마오쩌둥 주석은 스탈린 서기장의 70세 생일 축하를 위해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새로운 조약 체결을 제안했으나, 초기에는 스탈린의 소극적인 반응으로 협상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결국 스탈린은 1950년 1월 새로운 조약 체결에 동의했고, 저우언라이 총리가 이끄는 중국 대표단이 모스크바로 파견되어 실무 협상을 진행했다. 1월 23일부터 시작된 협상에서는 저우언라이, 리푸춘, 왕자샹 등 중국 대표단과 아나스타스 미코얀, 안드레이 비신스키 등 소련 대표단이 참여했다.
협상 과정에서 중국 측의 요구가 반영되어 조약 명칭은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으로 변경되었고, 제3국의 공격 시 상호 원조 의무가 명확히 규정되었다.
1950년 2월 14일,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비신스키 외무장관과 저우언라이 총리가 조약에 서명했다. 이와 함께 "중국 장춘철로, 여순구 및 대련에 관한 중소간 협정"과 "소련으로부터 중국에 대한 차관 제공에 관한 협정"도 체결되었다. 조인식 후 저녁에는 모스크바 주재 중국 대사관 주최로 메트로폴 호텔에서 파티가 열렸으며, 스탈린을 비롯한 소련 최고 지도부가 이례적으로 참석했다.
조약은 1950년 4월 11일 중국 중앙인민정부위원회에서 비준되어 즉시 발효되었다.[64] 조약은 일본 또는 그 동맹국을 가상 적국으로 명시하며, 실질적으로는 미국을 견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했다. 유효 기간은 30년이었다. 이 조약을 통해 중국은 MiG-15 제트 전투기 등 당시 소련의 최신 무기를 지원받았고,[65] 조약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원자폭탄 제조 기술 협력까지 얻게 되었다. 또한 Tu-16, Tu-4 폭격기, 골프급 탄도미사일 잠수함, R-2 탄도미사일 등 전략무기도 제공받았다.
이 조약은 이후 한국전쟁에서 소련이 직접 개입을 피하면서 중국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66] 1961년에는 북한과 각각 중조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 소조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을 체결하며 3국 동맹 강화가 예상되었으나, 곧이어 중소분쟁이 표면화되면서 조약은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
조약은 법적으로 유효했지만, 1979년 덩샤오핑 부주석은 중월전쟁 개전과 함께 소련이 소위 "3대 장애"(중소 국경 및 몽골인민공화국 주둔 소련군 철수, 아프가니스탄 주둔 소련군 철수, 캄보디아 주둔 베트남군 철수[67])를 해결하지 않으면 조약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68] 결국 1979년 4월 3일 중국 전인대 상무위원회는 조약 불연장을 결정했고,[69] 같은 날 황화 외교부장이 일리야 셰르바코프 주중 소련 대사에게 이를 통보했다.[70] 조약은 1980년 4월 11일 만료되어 효력을 상실했다.
4. 1. 협상 전야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갈 무렵, 조셉 스탈린은 전후 극동 지역에서 소련의 두 가지 전략적 목표를 설정했다. 하나는 몽골을 중국으로부터 독립시키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지정학적 안보를 위해 러시아 제국 시대의 만주 지역 영향력을 회복하는 것이었다.[2] 이를 위해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스탈린, 윈스턴 처칠은 1945년 2월 11일 얄타 회담에서 합의했다. 이 합의에서 소련은 중국 공산당(CCP)과 별개로 중국 국민당(KMT) 정부를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기로 했다.[3] 미국은 소련이 조속히 대일 전쟁에 참전하고 국민당 정부를 지지해주기를 원했으며, 그 대가로 소련이 국민당 정부로부터 몽골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받도록 돕겠다고 약속했다.[4] 당시 국민당과 공산당의 관계는 매우 긴장 상태였고, 장제스는 공산당과의 갈등 해결을 위해 미국과 소련의 지원을 얻고자 했다.[5] 얄타 회담에는 중국 대표가 참석하지 않았지만, 루즈벨트는 장제스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중국 관련 조약에는 그의 승인이 필요함을 분명히 했다. 이후 소련군이 대규모로 만주에 진입하여 국민당 정부를 압박했고, 결국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 정부는 소련-중국 친선 동맹 조약에 서명하게 되었다.[6]

1949년 12월 6일, 마오쩌둥은 정치 및 이념 담당 비서 천보타, 비밀 업무 담당 비서 예실뤄(Ye Siluo), 경호 책임자 왕둥싱, 통역관 석저와 함께 기차로 모스크바를 향했다.[24] 마오쩌둥과 스탈린의 첫 공식 회담은 12월 16일 밤 크렘린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마오쩌둥은 중국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평화 확보라고 강조하며, 전쟁 이전 수준으로 경제를 회복하고 국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3년에서 5년의 평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25] 중국의 주요 문제 해결은 이러한 평화 전망에 달려있었다. 스탈린은 일본과 독일이 아직 회복 중이고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서방 국가들이 또 다른 전쟁을 꺼리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직접적인 외부 위협은 없다고 답하며 마오쩌둥의 우려에 공감했다. 또한 스탈린은 양국이 협력하고 우호 관계를 유지한다면 20년에서 25년, 혹은 그 이상의 평화를 보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6] 이러한 견해는 당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입장과도 일치하는 것이었다.
4. 2. 이견
조약 내용과 이행에 대한 마오쩌둥과 스탈린의 견해는 서로 달랐다. 스탈린은 새로운 조약이 기존의 얄타 협정 틀 안에서 유지되기를 바랐는데, 이는 동북 중국 지역에서 소련의 기득권을 보장하는 방식이었다.[11] 반면 마오쩌둥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독자적인 외교 이미지를 세우고, 과거 제국주의 열강이 강요했던 모든 불평등 조약을 폐지하고자 했다. 따라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마오쩌둥에게 가장 시급한 외교 과제는 스탈린과 직접 만나 새로운 중소 조약을 체결하는 것이었다.중국 내전 후반기에 공산당에게 대만 점령은 최우선 과제였으나, 이는 중국과 미국 간의 주요 갈등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었다.[16] 대만 점령의 가장 큰 어려움은 해협 도하 작전에 필수적인 공군과 해군력이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조약 협상 당시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는 이미 대만으로 후퇴했지만, 여전히 중국 인민해방군(PLA)에 비해 공군과 해군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이는 구닝터우 전투에서 목선으로 상륙을 시도하던 PLA 군대가 국민당의 장갑함과 마주치고 공중 지원 없이 싸워야 했던 사례에서도 드러난다. 제공권 장악 능력이 없어 공산당이 주요 도시를 점령한 후에도 국민당의 공습이 빈번하게 이어졌고, 이는 산업 시설에 큰 피해를 주었다.[17] 이러한 상황 때문에 국가 공군과 해군 건설에 대한 소련의 지원이 더욱 절실해졌다.
협상 초기, 주덕은 소련으로부터 항공기 100대, 헬리콥터 100~200대, 폭격기 40~80대를 구매하고, 중국 조종사 1,000명과 관련 인력 300명을 소련에서 훈련시키는 방안을 제안했다.[18] 마오쩌둥 역시 계획 중인 대만 공격 작전에 소련 공군의 지원을 희망했으나, 스탈린은 미국의 개입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로 이를 거절했다.[19]
이와 함께 마오쩌둥은 1945년 8월 중국 국민당 정부와 소련 사이에 체결되었던 기존의 중소 우호 동맹 조약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이는 마오쩌둥이 모스크바에 도착하기 전인 1949년 7월 류사오치가 이미 언급했던 문제였다.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이 문제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고, 소련과의 새로운 조약 체결은 마오쩌둥의 주요 목표 중 하나였다.[27]
그러나 스탈린은 국민당 정부와 맺은 기존 조약이 유효하게 유지되기를 원했다. 그는 해당 조약의 내용이 얄타 협정에 따라 규정되었으며, 이는 쿠릴 열도, 남부 사할린, 그리고 뤼순 관리 등을 포함한다고 주장했다. 즉, 이 조약은 미국과 영국의 승인을 받은 것이므로, 조약 내용을 변경하면 미국과 영국이 쿠릴 열도나 남부 사할린 문제(소련이 얄타 회담에서 얻은 영토적 이득)에 대해 변경을 요구할 명분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28] 새로운 조약을 원하는 마오쩌둥에게 스탈린은 기존 조약을 공식적으로 유지하면서 실제 내용을 변경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소련이 뤼순에 병력을 주둔시킬 권리는 유지하되, 중공의 제안에 따라 주둔 부대를 철수하는 방식이었다. 마오쩌둥은 얄타 회담의 법적 타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에둘러 답하면서도, 중국 사회에서는 국민당이 이미 패배했으므로 기존 조약은 목적과 중요성을 상실했다는 여론이 지배적임을 전달했다. 이에 스탈린은 기존 조약은 결국 변경될 것이라고 답했다.[29]
4. 3. 전환점
마오쩌둥은 스탈린과의 첫 만남에서 새로운 조약 체결을 희망했지만, 스탈린은 기존 조약 유지를 선호하며 사실상 거절했다.[27][28][29] 마오쩌둥은 또한 중국 인민해방군(PLA)의 대만 공격을 위한 군사 원조를 요청했으나, 이 역시 미국의 개입을 우려한 스탈린에 의해 거절되었다.[30]
스탈린의 70세 생일 축하 행사 이후에도 마오쩌둥은 새로운 조약 체결에 대한 입장을 굽히지 않았지만, 스탈린은 여전히 거부 의사를 보였다. 심지어 마오쩌둥은 여러 차례 스탈린과의 만남을 시도했으나, 크렘린 측은 스탈린이 부재중이라는 이유로 직접적인 만남을 피하고 측근과의 만남을 주선하려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마오쩌둥은 끈기 있게 기다리는 길을 선택했다.[31]
마오쩌둥의 장기 체류와 스탈린과의 만남 지연은 그가 크렘린에 비밀리에 구금되었다는 소문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소문이 확산되자, 양측은 이를 해명할 필요성을 느끼고 소련의 국영 통신사인 타스(TASS)와 마오쩌둥의 인터뷰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이 인터뷰는 경색되었던 조약 논의 국면을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4. 4. 합의 도달
1950년 1월 2일, 스탈린은 마침내 조약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오쩌둥과의 회담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마오쩌둥은 세 가지 제안을 제시했는데, 새로운 조약 체결, 이전 조약 관련 문제에 대한 양측 합의를 담은 공식 발표문 발표, 새로운 조약 없이 양국 관계 선언 서명이었다.[32] 마오쩌둥은 특히 다른 제국주의 세력과의 대결에 있어 양국 모두에게 정치적으로 큰 이익이 될 것이라며 첫 번째 제안인 새 조약 체결을 분명히 선호했다. 소련 측이 이를 승인하자, 양측은 주은래의 모스크바 도착을 준비했다.[33]
주은래 총리는 1950년 1월 20일 중국 협상 대표단과 함께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일련의 준비 끝에 협상은 1월 22일 저녁에 시작되었다. 소련 측에서는 스탈린, 몰로토프, 말렌코프, 미코얀, 비신스키, 그리고 페도렌코가 참석했다. 중국 측에서는 마오쩌둥, 주은래, 리푸춘, 왕자샹, 천보다, 그리고 석저가 참석했다.[34] 협상에서 양측은 1945년 8월 14일 체결된 기존의 소련-중국 친선동맹조약을 새로운 조약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 또한 뤼순항 문제에 대해서도 합의하여 스탈린은 뤼순항에서 철군하기로 동의했다. 그러나 중국 장춘 철도(CCR) 문제에 대해서는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스탈린은 1945년 CCR 협정의 기간을 단축하는 데는 동의했지만, 철도 관리권을 중국에 넘기고 중국 자본의 지분을 늘리라는 중국 측의 요구는 거절했다.[35]
조약 초안은 1950년 1월 23일 소련 측에서 중국 측에 처음 전달되었고, 주은래는 같은 날 저녁 중국 측 초안으로 답했다.[36] 1950년 체결될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에는 침략 방지, 평화와 안보를 위한 국제적 행동, 상호 지원, 특정 동맹 가입 금지, 일본과의 단독 협상 거부, 상호 협의, 경제 및 문화 협력 등의 조항이 포함되었다. 양측은 조약 기간을 30년으로 하는 데 합의했다.[37] 조약, 관련 협정, 그리고 각서는 1950년 2월 14일 크렘린에서 공식적으로 체결되었다.[38]
5. 조약 내용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마오쩌둥은 소련과의 새로운 관계 정립을 모색했다. 특히 1945년 국민정부와 체결했던 중소친선동맹조약을 대체하고, 유엔에서의 대표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63] 1949년 12월, 마오쩌둥은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요시프 스탈린과 회담을 시작했다. 스탈린은 처음에는 새로운 조약 체결에 소극적이었으나, 마오쩌둥의 지속적인 요구와 협상을 통해 1950년 1월 새로운 조약 체결에 동의하게 되었다.[32][33]
이후 주은래를 단장으로 하는 중국 대표단이 모스크바에 도착하여[34] 소련 측과 구체적인 협상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조약의 명칭은 소련 측이 제안한 "중소친선동맹조약"에서 중국 측의 제안으로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으로 변경되었고, 제3국의 공격 시 원조 의무 조항 역시 "원조할 수 있다"에서 "즉시 전력을 다해...원조를 제공한다"는 더 명확한 표현으로 수정되었다. 또한, 뤼순항에서의 소련군 철수 문제에는 합의했지만, 중국 장춘 철도(CCR) 문제에 대해서는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일부 조정만 이루어졌다.[35]
1950년 2월 14일, 크렘린궁에서 조약이 공식적으로 체결되었다.[38] 조약은 일본 또는 일본과 동맹을 맺은 국가(사실상 미국을 겨냥)의 침략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평화와 안보 유지를 위해 협력하며, 경제 및 문화 교류를 증진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했다.[37] 조약의 유효 기간은 30년으로 설정되었다.[37] 이 조약과 함께 "중국 장춘철로, 여순구 및 대련에 관한 중소간 협정"과 "소련으로부터 중국에 대한 차관 제공에 관한 협정" 등도 동시에 체결되었다.
이 조약을 통해 중국은 소련으로부터 MiG-15 제트 전투기와 같은 당시 최신 군사 장비와 기술을 지원받았으며,[65] 조약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핵무기 개발 기술 협력까지 얻게 되었다. Tu-16, Tu-4와 같은 전략폭격기, 탄도미사일 잠수함, R-2 탄도미사일 등 전략무기도 제공받았다.
조약은 한국전쟁 발발 시 소련이 직접 개입하는 대신 중국을 통해 북한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근거로 활용되기도 했다.[66] 이후 1961년에는 북한과 각각 중조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 소조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을 체결하며 3국 간 동맹 관계를 강화하는 듯 보였으나, 곧이어 중소분쟁이 표면화되면서 조약은 실질적인 효력을 상실해갔다.
조약은 명목상 유지되다가 1979년 중월전쟁 개전 당시 덩샤오핑이 소련의 태도 변화("3대 장애" 해결 요구[67]) 없이는 조약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으며,[68] 같은 해 4월 3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서 조약 불연장을 공식 결정하고[69] 이를 주중 소련 대사 일리야 셰르바코프에게 통보했다.[70] 결국 조약은 1980년 4월 11일, 30년의 기한 만료로 최종 소멸되었다.
5. 1. 일반 합의
1950년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에는 침략 방지, 평화와 안보를 위한 국제적 행동, 지원 조항, 동맹 금지, 일본과의 별도 협상 거부, 협의 조항, 그리고 경제 및 문화 협력 및 상호 원조 등의 조항이 포함되었다. 양측은 조약 기간을 30년으로 유지하기로 합의했다.[37]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조: 일본 제국주의의 부활을 막기 위해, 한쪽에 대한 공격을 양쪽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는 집단 안보를 약속한다. 양측은 침략과 전쟁에 직면했을 때 군사적 및 기타 형태의 지원을 제공할 의무를 지닌다. 두 계약 당사국은 국제 평화와 안보에 기여하는 협력 원칙을 준수하기로 약속한다.[39][40][41]
- 제2조: 조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다른 연합국과 함께 일본과 평화 조약을 체결해야 한다.[39][40][41]
- 제3조: 조인국은 서로를 겨냥한 연합과 동맹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39][40][41]
- 제4조: 조인국의 본질적인 이익에 관한 중요한 문제에 대해 상호 협의한다.[39][40][41]
- 제5조: 양측은 "평등한 권리, 상호 이익, 주권 및 영토 보전에 대한 존중, 내정 불간섭"의 원칙을 준수하고, 긴밀한 협력을 촉진하며, 경제적 및 산업적 지원을 제공하고, 중국과 소비에트 연방 간의 우정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39][40][41]
- 제6조: 본 조약은 30년간 효력을 가지며, 만약 어느 당사국도 만료 1년 전까지 조약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조약은 자동적으로 5년 더 연장된다.[39][40][41]
조약, 관련 협정, 그리고 각서는 1950년 2월 14일 크렘린에서 공식적으로 체결되었다.[38]
5. 2. 창춘 철도, 뤼순항, 다롄
양측은 중국 장춘 철도(CCR)의 모든 권리와 관련 자산을 일본과의 평화 조약 체결 시까지, 늦어도 1952년 말까지 중국에 무상으로 완전히 이전하기로 합의했다.[42]소련은 일본과의 평화 조약 체결 시 뤼순항의 공동 사용 해군 기지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했다. 이때 중국 정부는 1945년 이후 소련이 지출한 건설 및 설치 비용을 부담해야 했다. 소유권 이전까지 군사 문제를 감독하기 위해 중소 군사위원회가 설립될 예정이었다.[43]
다롄항의 소유권은 중국에 반환되며, 관련 자산은 양측 대표로 구성된 공동 위원회 하에서 소련이 일시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44][45]
5. 3. 소련의 대중 차관
국공내전에서 국민당 세력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오랜 전쟁으로 신생 공산당 정권의 산업 기반은 크게 파괴된 상태였다. 특히 국공내전 막바지에는 국민당 공군의 집중적인 공습으로 피해가 컸는데, 예를 들어 1949년 10월부터 1950년 2월 사이 국민당 공군은 공산당 점령 지역의 군사 및 산업 시설에 26차례 공습을 감행했다. 그중 1950년 2월 6일 상하이 폭격은 현지 산업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전력망을 마비시켜 생산을 중단시킬 정도였다.[13] 또한, 공산당 지도부는 재정 지원, 장비, 산업 시설 부족뿐 아니라 경제와 산업 생산을 지휘하고 관리할 전문가도 부족하다는 현실을 인지하고 있었다.[14] 당시 마오쩌둥과의 원조 협상을 담당했던 소련 외교관이자 소련 공산당 정치국 위원인 아나스타스 미코얀은 중국 지도자들이 정치적으로는 능숙하지만 경제 운영과 관련 지식은 부족하다고 보고하기도 했다.[15]
이러한 상황에서 소련은 1950년 1월부터 중국에 차관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매년 6000만달러씩, 총 3억달러 규모의 차관이 연 1%의 낮은 이자율로 제공되었다. 이 차관은 주로 철도 건설, 산업 기반 시설 확충, 장비 도입 및 전쟁 피해 복구를 위한 자재 구매 등에 사용되었다.[46][47]
5. 4. 소련 전문가 파견
소련 전문가들은 중국의 재건, 산업화, 경제 개발을 지원하고 자문하기 위해 중국 기관, 산업체, 단체 등에 파견되었다. 이들의 근무 기간은 1년으로 고정되었으며, 처우는 중국 기술자들과 동일했다. 중국 측은 파견된 소련 전문가들의 여비, 경비, 숙소, 급여를 부담하였고, 소련 측의 사정으로 전문가를 갑자기 소환할 경우 발생하는 비용은 소련이 부담하기로 했다.[48]5. 5. 국가 이익 관련 논란
광대한 영토와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한 중국은 소련에게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국가였다. 이에 소련은 사회주의 진영의 결속을 강화하고 자본주의 진영과의 대결, 특히 극동 지역 방어를 위해 중국의 장춘철도, 뤼순(Port Arthur), 대련(Dalian) 반환 등 중국 동북부에 대한 기득권을 포기하는 양보를 단행했다. 그러나 소련과 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은 스탈린에게 복잡한 문제였다. 한편으로는 동아시아에서 신뢰할 수 있는 사회주의 동맹국인 중국을 확보함으로써 소련에 유리하게 힘의 균형을 재편하고 공산주의 세계에서 소련의 지도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스탈린은 마오쩌둥이 전후 복구 이후 소련의 통제를 벗어나 제2의 티토가 될 것을 우려했다.이러한 배경 속에서 3억달러 규모의 차관 지원이 이루어졌지만, 여기에는 소련이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과 체결한 협정보다 훨씬 엄격한 조건들이 포함되었다. 예를 들어, 동유럽 국가들과의 조약에는 "가용한 모든 군사 및 기타 지원을 즉시 제공한다"는 내용이 있었으나, 스탈린은 중국과의 원조 협정에서는 이를 "가능한 모든 경제적 지원을 제공한다"로 수정했으며,[49] 소련 전문가의 대우에 대해서도 더 엄격한 조건을 부과했다. 또한 핵무기 관련 기술 지원은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까지 연기되었다. 마오쩌둥에 따르면, 중국은 한국 전쟁 이후에야 소련의 신뢰를 얻어 더 많은 원조와 협력, 그리고 156개 프로젝트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50]
중국 입장에서는 소련의 원조가 국가 재건과 회복을 위한 가장 중요하고 현실적인 수단이었다. 이 때문에 중국은 원조 확보와, 과거 국민당 정부가 소련과의 조약에서 인정한 몽골의 독립을 재검토하는 문제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에 직면했다.[51] 또한 마오쩌둥은 소련-중국 합작 투자 설립 방식에서 소련의 가부장적인 태도와 불신이 담겨 있다고 여겨 불안감을 느끼기도 했다. 게다가 소련의 대출은 무상 원조가 아니었다. 스탈린은 중국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자원의 잉여 생산량 전부를 소련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대출금을 상환할 것을 요구했다. 실제로 1954년부터 1959년까지 중국은 텅스텐 광석 16만ton, 구리 11만ton, 안티몬 3만ton, 그리고 천연 고무 9만ton를 소련에 공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측 모두에게 이 조약이 가지는 중요성이 컸기 때문에, 이러한 갈등 요인들이 최종 합의를 막지는 못했다.[52]
6. 영향과 유산
이 조약은 일본 또는 일본과 동맹을 맺은 국가를 가상 적국으로 명시했으며,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미국을 견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았다. 조약의 유효 기간은 발효 후 30년이었다.
조약 체결을 통해 중국은 당시 소련의 최신 무기였던 제트 전투기 MiG-15를 비롯한 현대적인 군사 장비를 지원받았다.[65] 또한, 조약 내용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원자폭탄 제조 기술 협력도 약속받았다. 전략폭격기인 Tu-16 및 Tu-4(미국의 B-29 복제품), 탄도미사일 잠수함인 골프급 잠수함, 탄도미사일 R-2(독일의 V2 로켓 사거리 연장형)와 같은 전략무기 역시 기술 라이선스와 함께 제공되었다.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에서 이 조약은 소련이 미국과의 직접적인 군사 충돌을 피하면서 중국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근거가 되었다.[66] 요시프 스탈린 사후인 1961년 7월, 중국과 소련은 각각 북한과 중조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 소조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을 체결하여 세 나라의 동맹 관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곧이어 중소분쟁이 표면화되면서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은 사실상 효력을 잃고 유명무실해졌다.
조약 자체는 중소분쟁 이후에도 법적으로 유효한 상태였으나, 1979년 2월 16일 중국공산당 부주석 덩샤오핑은 중월전쟁을 시작하면서 소련이 소위 "3대 장애"(중소 국경 및 몽골인민공화국 주둔 소련군 철수, 아프가니스탄 주둔 소련군 철수, 캄보디아 주둔 베트남군 철수[67])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조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68] 같은 해 4월 3일, 제5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7차 회의에서 조약 불연장이 공식 결정되었고,[69] 당일 황화 외교부장이 일리야 셰르바코프 주중 소련 대사에게 이 결정을 통보했다.[70] 결국 조약은 1980년 4월 11일 만료되어 효력을 완전히 상실했다.
6. 1. 중국
중국 공산당(CCP)이 중국 국공 내전에서 승리한 후, 소련은 변화된 아시아 및 극동의 정세에 맞춰 대중국 정책을 재평가해야 했다.[7] 냉전 구도 속에서 소련은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진영에 맞서 공산주의 진영을 강화하고자 했고, 중국 공산당이 이끄는 중국을 동아시아에서 소련의 영향력을 견제하려는 미국에 대항할 파트너로 보았다.[8] 중국 공산당 역시 공산 정권을 공고히 하고 미국의 전복 시도를 막기 위해 소련의 지원이 절실했다.[9]최종 승리에도 불구하고 오랜 전쟁은 많은 문제를 남겼다. 중국은 국가 재건, 경제 개발, 산업 생산을 위해 소련의 도움이 필요했으며,[10] 이념적 대립으로 서방의 원조를 기대하기 어려웠다.[10] 장기간의 전쟁으로 산업 기반은 황폐화되었는데, 이는 국공내전 후반기 국민당 공군의 집중적인 공습 탓도 있었다. 예를 들어, 1949년 10월부터 1950년 2월 사이 국민당 공군은 26차례 공습을 감행했으며, 특히 1950년 2월 6일 상하이 폭격은 큰 피해를 입혀 전력망 마비로 생산이 중단되기도 했다.[13]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재정, 장비, 산업 시설 부족뿐 아니라 경제와 산업 생산을 지휘하고 관리할 전문가 부족 문제도 인지하고 있었다.[14] 소련 공산당 정치국 위원이자 협상 담당자였던 아나스타스 미코얀은 중국 측이 정치적으로는 능숙하지만 경제 관련 지식은 부족하다고 보고했다.[15]
1949년 7월 1일 발표된 「인민민주독재론」에서 마오쩌둥은 "한쪽으로 기울기" 외교 정책을 천명했다. 그는 세계가 사회주의와 제국주의 진영으로 나뉘었으며 "중립은 불가능하고 제3의 길도 없다"고 주장했다.[20] 냉전 체제 하의 내우외환 속에서 마오쩌둥은 소련과의 연대 및 사회주의 진영 합류가 공산 통치 강화에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마셜 플랜을 미국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를 위한 위장된 착취로 보았고, 사회주의 진영 내 협력은 진정한 지원으로 여겼다. 경제 지원을 통한 급속한 산업화는 중국의 주요 목표였으며, 이는 조약 체결의 원동력이 되었다.[21]
중국 입장에서 소련의 원조는 재건을 위한 가장 중요하고 현실적인 수단이었다. 이 때문에 중국은 원조 확보와 국민당 정부가 체결했던 이전 조약에서 인정한 몽골 독립 문제 재검토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에 놓였다.[51] 또한, 소련-중국 합작 투자 설립 등에서 소련의 가부장적 태도와 불신에 대한 마오쩌둥의 불안감도 있었다.[51] 소련의 대출은 무상이 아니었고, 스탈린은 전략 자원의 잉여 생산량 전부를 소련에 판매하여 상환할 것을 요구했다. 1954년부터 1959년까지 중국은 텅스텐 광석 16만ton, 구리 11만ton, 안티몬 3만ton, 고무 9만ton를 소련에 공급했다.[52] 하지만 양측 모두에게 조약의 중요성이 컸기에 이러한 문제들은 최종 합의를 막지 못했다.[52] 스탈린은 마오쩌둥이 티토처럼 독자 노선을 걸을 것을 우려하여 3억달러 차관[49] 제공 시 동유럽 국가들보다 더 엄격한 조건을 부과했다. 예를 들어, 원조 협정 문구를 "가능한 모든 군사 및 기타 지원"에서 "가능한 모든 경제적 지원"으로 수정하고[49] 소련 전문가 대우에 대한 더 엄격한 조건을 포함시켰다. 핵무기 기술 지원은 흐루쇼프 시대까지 미뤄졌다.[50] 마오쩌둥에 따르면, 중국은 한국 전쟁 참전 이후에야 소련의 완전한 신뢰를 얻어 더 많은 원조(예: 156개 프로젝트)를 받을 수 있었다.[50]
소련의 지원은 조약에 명시된 대로 중국의 계획 경제 시스템 형성, 신생 공산 정권의 생존 확보, 전쟁 폐허 복구, 산업화 및 현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53] 구체적으로 장비, 자금, 인프라 등 물질적 지원과 기술 전문 지식 제공은 중국의 계획 경제, 국영 기업, 다양한 산업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53] 단기간의 대규모 지원은 자본 축적을 대체하고 기술 습득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54] 또한, 소련 중심의 사회주의 진영에 합류함으로써 중국은 서방의 경제 봉쇄(400여 종 상품 금수 조치)와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국제적 지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54]
이 지원은 중국의 산업 지형도 변화시켰다. 조약 이전 중국 산업의 약 70%가 과거 서구 열강과의 교역 중심지였던 남동부 해안에 집중되었으나, 소련 지원 프로젝트는 주로 동북부, 중부, 서부 지역에 자리 잡아 산업 분포를 최적화하고 낙후된 내륙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며 전반적인 산업화와 현대화를 촉진했다.[55]
이 조약은 이후 중국 외교 정책의 핵심 원칙이 된 비간섭주의 원칙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평화 공존 5원칙에도 포함되었다.[56]
6. 2. 수입된 소련 모델의 단점
소련의 지원은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지만, 동시에 경직성이라는 문제점도 함께 가져왔다. 대표적으로 엄격하고 지나치게 중앙에 권력이 집중된 구조와 계획경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당시 이념적인 분위기 속에서 시장경제의 긍정적인 측면을 조금이라도 인정하려는 시도는 자본주의를 추종하는 것으로 여겨져 배척되었다.소련 모델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동원하고 대규모 산업 시설을 건설하는 데는 강점을 보였지만, 생산 관리나 세부적인 조정 메커니즘은 부족하여 제도적으로 불균형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스탈린 모델 고유의 문제점들은 중국의 계획경제에도 그대로 나타났다. 특히 제1차 5개년 계획(1953-1957) 시기에는 급속한 산업화를 추진하면서 국방 및 중공업 분야에 자원이 편중되었다. 반면, 일반 소비재를 생산하는 경공업이나 민간 부문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부수적인 분야로 취급받는 결과를 낳았다.[57]
6. 3. 중소 관계와 국제 시스템
중소 우호, 동맹 및 상호원조 조약 체결은 양국 간의 형제 관계에 기여하고, 2차 대전 이후 자본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 간의 권력 균형을 재조정하는 역할을 했다. 중국 사회와 정치 담론에서는 러시아인을 중국 현대화의 길로 이끄는 자애로운 "형님"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해졌다.[58] 이 조약은 소련이 주도하는 공산주의 진영 내 연대를 강화하여 자본주의 진영과의 대결 구도를 공고히 했으며, 중국의 권력 강화와 통치 정당성 확보에도 크게 기여했다.[59] 소련이 중국과 같은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지원과 조약을 체결한 것은, 미국의 마셜 플랜과 트루먼의 포인트 4 프로그램을 통한 지원과 맞물려 냉전 체제 하에서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강대국 경쟁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소련은 극동 지역에서 새롭게 등장한 중국 공산 정권을 확보하고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고자 했다.[60]그러나 양국 간 외교 교류 이면에는 갈등의 소지도 존재했다. 중국 지도자들은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를 강조하며 "도시 포위 농민", "토지 혁명", "도시 내 비밀 및 공개 투쟁" 등 중국 현실에 맞게 변형된 노선을 내세웠다. 이는 소련의 정통 마르크스-레닌주의 해석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훗날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중소 분쟁의 씨앗이 되었다.[61] 오스틴 저실드는 그의 저서 ''중소 동맹: 국제사''에서 소련의 자문 프로그램이 잠재적으로 가부장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수년간의 상호 작용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소련의 개입에 대한 불만을 야기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불만은 중국인들에게 과거 제국주의 침탈의 기억을 떠올리게 만들었다.[62]
참조
[1]
논문
Challenges to China's Russian policy in early 21st century
http://www.tandfonli[...]
[2]
논문
The Pattern of Sino-Soviet Treaties, 1945-1950
https://www.jstor.or[...]
[3]
서적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worldcat[...]
Taylor and Francis
[4]
서적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worldcat[...]
[5]
서적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worldcat[...]
[6]
서적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8-30
[7]
논문
The Pattern of Sino-Soviet Treaties, 1945-1950
https://www.jstor.or[...]
[8]
서적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worldcat[...]
[9]
서적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worldcat[...]
[10]
서적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worldcat[...]
[11]
서적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8-30
[12]
서적
Soviet Aid to China
https://doi.org/10.1[...]
Springer
2022-03-17
[13]
서적
Foreign Aid in China
https://link.springe[...]
[14]
서적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3-09-30
[15]
서적
Foreign Aid in China
https://link.springe[...]
[16]
서적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https://www.taylorfr[...]
[17]
서적
Foreign Aid in China
https://link.springe[...]
[18]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19]
서적
Foreign Aid in China
https://link.springe[...]
[20]
서적
Foreign Aid in China
https://link.springe[...]
[21]
서적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https://www.taylorfr[...]
[22]
논문
New light on the Sino-Soviet alliance: Chinese and American perspectives
https://doi.org/10.1[...]
1991-09-01
[23]
서적
Foreign Aid in China
https://link.springe[...]
[24]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25]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26]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27]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28]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29]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30]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31]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32]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33]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34]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35]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36]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37]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38]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www.taylorfr[...]
[39]
서적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http://dx.doi.org/10[...]
[40]
학술지
The Pattern of Sino-Soviet Treaties, 1945-1950
http://dx.doi.org/10[...]
[41]
서적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http://worldcat.org/[...]
[42]
서적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http://dx.doi.org/10[...]
[43]
서적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http://dx.doi.org/10[...]
[44]
서적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http://dx.doi.org/10[...]
[45]
서적
Manchurian Railways and the Opening of China: An International History: An International History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5-01-15
[46]
서적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http://dx.doi.org/10[...]
[47]
서적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http://dx.doi.org/10[...]
[48]
서적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http://dx.doi.org/10[...]
[49]
서적
Soviet Aid in China
[50]
서적
Soviet Aid in China
[51]
서적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52]
서적
Soviet Aid in China
[53]
서적
New Light on the Sino-Soviet Alliance: Chinese and American Perspectives
[54]
서적
Soviet Aid in China
[55]
서적
Soviet Aid in China
[56]
서적
Developmental Peace: Theorizing China's Approach to International Peacebuild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4
[57]
서적
Soviet Aid in China
[58]
학술지
Mandated internationalism: Sino-Soviet friendship 1949-1956.
https://go.gale.com/[...]
2020-09-22
[59]
서적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60]
서적
Soviet Aid in China
[61]
서적
Soviet Aid in China
[62]
웹사이트
Review - The Sino-Soviet Alliance: An International History
https://www.e-ir.inf[...]
2015-06-27
[63]
학술지
中ソ友好同盟相互援助条約締結と国際連合
https://meiji.repo.n[...]
明治大学大学院
2023-02
[64]
웹사이트
人民網
http://www.people.co[...]
2024-03
[65]
웹사이트
朝鮮戦争と中国—戦略、国防及び核開発への影響—
http://www.nids.go.j[...]
2023-11
[66]
서적
大韓民国の物語
文藝春秋
2009-02
[67]
서적
鄧小平年譜(下)
中央文献出版社
[68]
학술지
Challenges to China's Russian policy in early 21st century
https://doi.org/10.1[...]
Routledge
[69]
웹사이트
第五届全国人民代表大会常務委員会第七次会議簡况
http://www.npc.gov.c[...]
[70]
웹사이트
1979年 ソ連重要日誌
http://d-arch.ide.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