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네프르강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네프르강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 8월부터 12월까지 소련군과 독일군 간에 벌어진 일련의 전략적 군사 작전이다. 쿠르스크 전투 이후 독일군은 드네프르강을 따라 방어선을 구축하려 했고, 소련군은 우크라이나를 탈환하기 위해 대규모 공세를 펼쳤다. 소련군은 드네프르강을 도하하여 교두보를 확보하려 했지만, 독일군의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다. 이 전투는 소련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했다. 스탈린은 키예프 해방을 서두르면서 희생을 감수했고, 드네프르강 전투는 소련 게릴라 운동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전투 결과, 독일군은 서쪽으로 후퇴해야 했으며, 소련은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로 이어지는 발판을 마련했다. 드네프르강 전투는 희생자 수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역사상 가장 많은 사상자를 낸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10월 - 포젠 연설
포젠 연설은 1943년 하인리히 힘러가 SS 지도부에게 행한 연설로, 유대인 학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포함하며 나치 정권의 전쟁 목표와 홀로코스트의 의미를 보여주는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 1943년 10월 - 모스크바 선언
모스크바 선언은 1957년 모스크바 회의에서 채택된 선언으로, 탈스탈린화와 헝가리 혁명 이후 사회주의의 다양한 경로, 평화 공존, 인민 전선 전술을 논의하며 공산주의 운동의 단결을 시도했으나, 중소 분쟁 심화와 각국 공산당의 독립 노선 추구로 이어졌다. - 1943년 우크라이나 - 쿠르스크 전투
쿠르스크 전투는 1943년 독일군과 소련군 사이에 벌어진 대규모 전투로, 독일군의 공격 시도가 소련군의 방어에 막혀 실패하고 소련군이 반격하여 동부 전선의 주도권을 소련군이 장악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1943년 우크라이나 - 키예프 전투 (1943년)
키예프 전투 (1943년)는 194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소련군과 독일군 간에 벌어진 일련의 전투로, 소련군의 키예프 탈환과 드네프르 강 방어선 돌파를 이끌었지만, 독일군의 반격으로 남부 집단군 포위에는 실패했으며, 이후 소련군의 공세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 1943년 12월 - 테헤란 회담
테헤란 회담은 1943년 11월에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 영국의 처칠 수상, 소련의 스탈린 총서기가 모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의 협력 강화 및 전후 세계 질서 구축을 논의한 회담으로, 오버로드 작전 개시 결정, 소련의 대일전 참전 약속, 국제연합 설립 기반 마련 등의 결과를 낳았으나 폴란드 국경 문제, 독일 암살 계획설 등의 논란도 있었다. - 1943년 12월 - 창더 전투
창더 전투는 1943년 11월부터 12월까지 중일 전쟁 중 중화민국 창더에서 일본군과 중국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일본군이 창더를 일시 점령했으나 중국군의 반격과 보급 문제로 철수하면서 중국군의 강력한 저항과 미군의 항공 지원, 일본군의 전략적 한계를 보여주었다.
드네프르강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드네프르 강 전투 |
일부 | 독소전쟁 |
시기 | 1943년 8월 26일 – 1943년 12월 23일 |
장소 | |
위치 | 소련 드니프로강 |
결과 | |
결과 | 소련의 승리 |
영향 | 좌안 우크라이나 탈환 키예프 시 탈환 도네츠 분지 탈환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소련 |
교전국 2 | 나치 독일 |
추가 교전국 | 루마니아 왕국 |
기타 교전국 | 체코슬로바키아 독립 여단 |
지휘관 | |
소련 측 지휘관 | 게오르기 주코프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니콜라이 바투틴 이반 코네프 로디온 말리노프스키 표도르 톨부힌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 |
독일 측 지휘관 | 에리히 폰 만슈타인 귄터 폰 클루게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병력 규모 | |
소련 측 병력 (1943년 8월 26일) | 병력: 2,633,000명 (1,450,000명 증원) 화포: 51,200문 전차 및 돌격포: 2,400대 전투기: 2,850대 |
독일 측 병력 (1943년 11월 1일) | 병력: 1,104,723명 남부 집단군: 722,376명 A 집단군 제6군: 182,236명 중앙 집단군 제2군: 200,111명 |
루마니아 왕국 병력 (1943년 11월 1일) | 85,564명 |
남부 집단군 기갑 전력 (1943년 11월 10일) | 운용 가능 전차: 713대 운용 가능 돌격포: 271대 총 운용 가능 장갑 전투 차량: 984대 수리 중 전차: 894대 수리 중 돌격포: 302대 |
제4항공대 전력 (1943년 10월 10일) | 운용 가능 항공기: 793대 총 항공기 수 (수리 중 포함): 1,149대 |
피해 규모 | |
소련 측 피해 | 크리보셰예프 자료: 1,285,977명 사망 또는 실종: 348,815명 부상 또는 질병: 937,162명 프리저 자료: 1,687,164명 사망 또는 실종: 417,323명 부상 또는 질병: 1,269,841명 포르치크 자료: 290,000명 사망 또는 실종, 총 1,000,000명 이상 전체 희생자: 1,500,000명 |
독일 측 피해 | 포르치크 자료: 102,000명 사망 또는 실종, 총 372,000명 이상 최저: 전체 400,000명 이상 최대: 전체 1,000,000명 이상 |
루마니아 측 피해 | 불명 |
관련 전투 | |
관련 전투 | 키예프 전투 (별개의 공격) |
2. 전략적 상황
쿠르스크 전투 이후, 독일 국방군은 소련 남부, 즉 우크라이나에서 방어적인 입장에 놓였다. 1943년 8월 중순, 아돌프 히틀러는 다가오는 소련의 공세를 열린 초원에서 막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드네프르강을 따라 요새를 건설하라고 명령했다.
한편, 소련 측 이오시프 스탈린은 우크라이나의 공업 지대와 탄광, 광산 등 귀중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대규모 공세를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공격의 주축은 전선의 북측면과 아조프해를 따라 이어진 남측면을 중심으로 남동부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다.
2. 1. 소련군의 계획
1943년 8월 26일, 스몰렌스크와 아조프 해 사이 1,400km 전선에서 소련군의 대규모 공세가 시작되었다. 이 작전에는 5개의 전선군이 참여했다.전선군 | 지휘관 | 1943년 10월 20일 이후 명칭 |
---|---|---|
중앙 전선군 |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 | 벨로루시 전선군 |
보로네시 전선군 | 니콜라이 바투틴 |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 |
스텝 전선군 | 이반 코네프 | 제2 우크라이나 전선군 |
남서부 전선군 | 로디온 말리노프스키 | 제3 우크라이나 전선군 |
남부 전선군 | 표도르 톨부힌 |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
이 작전에는 총 265만 명의 병력과 51,000문의 포, 2,400대의 전차, 2,850대의 항공기가 동원되었다.
드네프르강은 유럽에서 볼가강과 다뉴브강 다음으로 큰 강으로, 하류는 폭이 3km에 달했고, 여러 곳에 댐이 있어 더욱 넓었다. 서쪽 강둑은 동쪽보다 높고 가팔라 공격이 어려웠고, 독일군(베르마흐트)은 강력한 방어 시설과 요새를 구축한 상태였다.
소련군 지휘부는 두 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택해야 했다. 첫째는 시간을 두고 돌파구를 찾아 독일군 방어선을 우회하는 것, 둘째는 즉시 대규모 공격으로 드네프르강을 도하하는 것이었다. 게오르기 주코프와 알렉세이 안토노프는 첫째 방안을 지지했으나, 스탈린은 독일군의 초토화 작전을 우려해 둘째 방안을 선택했다.
스타프카(소련 최고 사령부)는 즉각적인 대규모 공격으로 드네프르 강을 도하하는 방안을 선택했다. 소련군은 독일군의 보급로 차단과 초토화 작전 저지를 위해 신속한 진격을 시도했다.
소련군은 300km 전선에서 거의 동시에 공격을 시작, 어선과 임시 뗏목 등 모든 수송 수단을 동원해 병력을 강 건너편으로 수송했다. 그러나 독일군의 초토화 전략으로 도하 장비 준비에 어려움을 겪었다.
2. 2. 독일군의 계획
쿠르스크 전투 이후, 독일 국방군은 소련 남부, 즉 우크라이나 남부에서 방어적인 입장에 놓였다. 1943년 8월 중순, 아돌프 히틀러는 다가오는 소련의 공세를 열린 초원에서 막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드네프르강을 따라 요새를 건설하라고 명령했다.1943년 8월 11일, "동방 방벽"으로 알려진 드네프르 방어 시설 건설 명령이 내려졌고, 곧 건설이 시작되었다. 방어선은 드네프르 강을 따라 건설되었지만, 시간 부족으로 완전히 구축할 수 없었고, 밀도와 깊이가 균일하지 않았다. 따라서 방어는 소련 붉은 군대가 공격할 것으로 예상되는 크레멘추크, 자포로제, 니코폴 등에 집중되었다. 1943년 9월 7일, 무장친위대와 독일 국방군은 소련군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퇴각 지역에서 초토 작전을 실행하여 모든 것을 파괴하고 소련군의 보급 체제를 악화시키도록 명령받았다.
3. 작전 경과
1943년 8월 11일, "동방 방벽"이라 불리는 드네프르강 방어 시설 건설 명령이 내려져 즉시 실행에 옮겨졌다. 드네프르 강을 따라 요새가 건설되었으나, 짧은 시간 안에 광범위한 방어선을 완성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따라서 "동방 방벽"은 요새의 밀도와 깊이가 균일하지 않았고, 대신 크레멘추크, 자포로지예, 니코폴 근처와 같이 소련군의 공격이 가장 빈번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집중되었다.
1943년 9월 7일, SS 부대와 국방군은 소련의 전쟁 수행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파괴하고, 그들이 포기해야 하는 지역을 황폐화시키는 초토화 작전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
소련군은 병력에서 압도적인 우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의 맹렬한 반격으로 인해 공격은 쉽지 않았다. 모든 마을과 도시에서 격전이 벌어졌고, 독일군은 광범위한 후위 부대를 활용하여 각 도시와 언덕에 부대를 배치하고, 소련 붉은 군대의 공격에 대해 지연전을 펼쳤다.[1] 그러나 평탄하고 광활한 대평원과 같은 지형에서 독일군은 증강된 소련 붉은 군대의 공격을 저지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소련 붉은 군대의 공격을 저지하기 위해 추가로 12개의 신설 사단을 요청했지만, 독일군의 예비 전력은 고갈된 상태였다.[15] 1943년 9월 15일, 히틀러는 남방군 집단에게 드네프르 방어선까지 철수할 것을 명령했다.
폴타바에서의 전투는 특히 격렬했다. 폴타바의 방어는 강화되었으며, 그 주둔군도 준비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결정적이지는 않았지만, 대규모로 소비에트 붉은 군대의 진격을 늦춘 2, 3일 후, 이반 코네프는 도시를 우회하여 드네프르강 방면으로 급히 이동하기로 결정했다. 격렬한 시가전이 2일간 벌어진 후, 폴타바에 주둔하고 있던 독일군은 격파되었다.
1943년 9월 말, 소련군은 공세 시작 3주 만에 드네프르 강 하류에 도달했다. 드네프르 강은 볼가강, 도나우강 다음으로 유럽에서 세 번째로 큰 강으로, 하류 강폭이 3km에 달했고 댐으로 인해 더 넓어진 곳도 있었다. 도하 지점은 좌안보다 높고 급경사여서 공격이 어려웠고, 맞은편에는 독일군이 거대한 방어 시설을 구축하고 있었다. 소련군 사령부는 즉시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는 것을 선택했다. 스탈린이 11월 7일까지 키예프를 되찾기를 원했기 때문이었다. 공격은 300km 전선에서 거의 동시에 시작되었다. 공격 부대는 소형 선박과 즉석에서 만든 통, 나무 등을 이용해 강을 건넜다. 대형 장비 수송은 불가능하여 교두보 유지가 어려웠다.
1943년 9월 22일, 드네프르 강과 프리피야트강 합류 지점에 첫 교두보가 구축되었다. 9월 24일에는 드니프로제르진스크(en) 근교, 9월 25일에는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en) 근교, 9월 28일에는 크레멘추크(en) 근교에 각각 교두보가 구축되었다. 9월 말까지 23개의 교두보가 구축되었으며, 일부는 폭 10km, 깊이 1~2km였다. 드네프르강 도하는 격전이었다. 소련군은 격렬한 독일군 포화와 막대한 손실 속에서 모든 부유물을 사용해 강을 건넜고, 이후 드네프르 강변의 점토질 협곡에 몸을 숨겨야 했다.
1943년 10월 중순, 소련군은 드네프르 강 하류 교두보에 충분한 병력을 집결시켜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다. 크레멘추크와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에서 격렬한 공격이 시작되었고, 동시에 독일군을 드네프르 강 하류와 키예프에서 분산시키기 위한 우회 공격이 남쪽에서 진행되었다.[11] 공격이 끝날 무렵, 소련군은 폭 300km, 깊이 80km에 달하는 교두보를 확보했다. 이로 인해 크림반도에 있던 독일군은 본토와 연결이 끊어졌다. 독일군이 드네프르 강 좌안에서 소련군을 저지하려던 계획은 무산되었다.[11]
3. 1. 초기 공격
1943년 8월 11일, "동방 방벽"으로 알려진 드네프르강 방어 시설 건설 명령이 내려져 즉시 실행되기 시작했다. 드네프르 강을 따라 요새가 건설되었지만, 짧은 시간 안에 광범위한 방어선을 완성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따라서 "동방 방벽"은 요새 밀도와 깊이가 균일하지 않았고, 대신 크레멘추크, 자포로지예, 니코폴 근처와 같이 소련군의 공격이 가장 예상되는 지역에 집중되었다.1943년 9월 7일, SS 부대와 국방군은 소련의 전쟁 노력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것을 제거하며, 그들이 포기해야 하는 지역을 황폐화시키는 초토화 작전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
병력에서 압도적인 우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련군의 공격은 쉽지 않았다. 독일군의 반격은 맹렬했고, 모든 마을과 도시에서 격전이 벌어졌다. 독일군은 광범위한 후위 부대를 활용하여 각 도시와 언덕에 부대를 배치하고, 소련 붉은 군대의 공격에 대해 지연전을 펼쳤다.[1]
3. 2. 공세의 진전
소련 붉은 군대에 막대한 손실을 입혔음에도 불구하고, 대평원과 같은 평탄하고 광활한 지형에서 독일군은 증강된 소련 붉은 군대의 공격을 저지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소련 붉은 군대의 공격을 저지하기 위해 추가로 12개의 신설 사단을 요청했지만, 독일군의 예비 전력은 고갈된 상태였다. 수년 후, 만슈타인은 회고록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15]> "이 상황을 분석한 후, 우리는 돈바스(도네츠 탄전, Donbass)를 유지할 수 없으며, 동부 전선 전체에 걸쳐 큰 위협이 집단군 북측면에 형성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제8군과 제4군은 너무 긴 전선 때문에 소련 붉은 군대의 공격을 저지할 수 없을 것이다."
1943년 9월 15일, 히틀러는 남방군 집단에게 드네프르 방어선까지 철수할 것을 명령했다.
폴타바에서의 전투는 특히 격렬했고, 폴타바의 방어는 강화되었으며, 그 주둔군도 준비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결정적이지는 않았지만, 대규모로 소비에트 붉은 군대의 진격을 늦춘 2, 3일 후, 이반 코네프는 도시를 우회하여 드네프르강 방면으로 급히 이동하기로 결정했다. 격렬한 시가전이 2일간 벌어진 후, 폴타바에 주둔하고 있던 독일군은 격파되었다.
3. 3. 드네프르 강 공수 작전
소련군 최고 사령부(소비에트 적군 최고 사령부)는 독일군이 반격하기 전에 교두보를 확장하기 위해 공수 부대를 투입하는 기습 작전을 계획했다.[16][17] 9월 21일, 보로네시 방면군 제1, 제3, 제5 친위 공수 여단에 긴급 명령이 하달되었고, 9월 24일부터 11월 24일까지 카네프(Kanev)와 르지셰프(Rzhishchev) 사이 드네프르 환상 방어선 30km 깊이에 병력을 투입하는 임무를 맡았다.하지만 작전은 시작부터 여러 문제점에 직면했다. 병력 도착 지연으로 제1 여단이 제외되었고, 임무 변경 명령은 혼란을 야기했다. 9월 24일, 부대원 1,830명이 이륙 직전까지도 대전차 지뢰, 삽 등의 필수 장비가 지급되지 않았다. 날씨 문제와 항공기 부족으로 주 계획은 포기되었고, 남은 병력과 장비를 수송하기 위해 3대의 수송기가 사용되었지만, 연료 보급 지연으로 작전은 더욱 차질을 빚었다.
결국 계획된 500회 비행 중 298회만 수행되었고, 4,575명의 공수 병력 중 약 70%만이 강하했다. 그나마도 독일 제19 기갑 사단의 대공포와 조명탄 포격으로 넓은 범위에 흩어져 강하하게 되었다. 독일군은 흰색 낙하산을 표적으로 삼아 강하 부대를 공격했고,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많은 소련군 공수병들이 전사하거나 포로로 잡혔다.
독일군은 이 작전을 "숙련된 저격수가 없는, 계획 입안자의 장난"이라고 평가하며, 소련군 공수병의 끈기와 총검술 숙련도는 인정했지만, 작전 자체는 실패로 규정했다. 소련군 최고 사령부 역시 이 작전을 완전한 실패로 간주하고, 다시는 이와 같은 공수 작전을 시도하지 않았다.
살아남은 공수병들은 빨치산 그룹과 합류하거나, 드네프르 강을 건너 아군 부대로 복귀하려 했지만, 대부분 포로가 되거나 전사했다. 제5 친위 공수 여단장 시도르추크(Sidorchuk)는 남쪽 숲에 숨어 여단 규모의 부대를 재편성하여 11월 15일, 제2 우크라이나 방면군 부대와 합류하는 데 성공했다.
3. 4. 드네프르 강 도하
1943년 9월 말, 소련군은 공세 시작 3주 만에 드네프르 강 하류에 도달했다. 드네프르 강은 볼가강, 도나우강 다음으로 유럽에서 세 번째로 큰 강으로, 하류 강폭이 3km에 달했고 댐으로 인해 더 넓어진 곳도 있었다. 도하 지점은 좌안보다 높고 급경사여서 공격이 어려웠고, 맞은편에는 독일군이 거대한 방어 시설을 구축하고 있었다.
소련군 사령부는 두 가지 작전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첫 번째는 재편성 후 약점을 찾아 독일군을 포위하는 것이었으나, 이는 독일군에게 시간을 벌어줄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즉시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는 것이었는데, 큰 피해가 예상되지만 스탈린이 11월 7일까지 키예프를 되찾기를 원했기에 이 작전이 선택되었다.
공격은 300km 전선에서 거의 동시에 시작되었다. 공격 부대는 소형 선박과 즉석에서 만든 통, 나무 등을 이용해 강을 건넜다. 대형 장비 수송은 불가능하여 교두보 유지가 어려웠다.
1943년 9월 22일, 드네프르 강과 프리피야트강 합류 지점에 첫 교두보가 구축되었다. 9월 24일에는 드니프로제르진스크(en) 근교, 9월 25일에는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en) 근교, 9월 28일에는 크레멘추크(en) 근교에 각각 교두보가 구축되었다. 9월 말까지 23개의 교두보가 구축되었으며, 일부는 폭 10km, 깊이 1~2km였다.
드네프르강 도하는 격전이었다. 소련군은 격렬한 독일군 포화와 막대한 손실 속에서 모든 부유물을 사용해 강을 건넜고, 이후 드네프르 강변의 점토질 협곡에 몸을 숨겨야 했다.
3. 5. 교두보 확보

스타프카는 중앙 전선의 제3 전차군을 보로네시 전선에 배속하여, 약화되는 독일군과 드네프르 강으로 경주하여 독일군의 초토화 작전으로부터 밀 작물을 구출하고, 독일군의 방어가 그곳에서 안정되기 전에 전략적 또는 작전적 강 교두보를 확보하도록 했다.[11][12] 제3 전차군은 맹렬하게 돌진하여 9월 21~22일 밤에 강에 도달했고, 9월 23일에는 소련 보병 부대가 헤엄쳐 건너고, 임시 뗏목을 사용하여 작은 규모의 취약한 교두보를 확보했다.[11][12] 이에 대항한 것은 120명의 독일 체르카시 대공포 사관 후보생과 압박을 받는 제19 기갑 사단 정찰대대뿐이었다.[11][12] 이들은 드네프르 고리에서 60km 이내에 있는 유일한 독일군이었다.[11][12] 잦은 독일 공습과 교량 건설 장비 부족으로 인해 소련의 중화기가 교두보를 건너 확대하지 못했다.[11][12]
소련은 중대한 시점임을 감지하고, 독일군이 반격하기 전에 교두보의 규모를 늘리기 위해 서둘러 공수 군단 공격을 명령했다.[11][12] 9월 21일, 보로네시 전선의 제1, 제3, 제5 근위 공수 여단은 9월 23일에 전선 부대가 강을 건너는 동안 카니우와 르지시체프 사이의 드네프르 강 고리에 15~20km 너비와 30km 깊이의 교두보를 확보하라는 긴급 호출을 받았다.[11][12]
그러나 공수부대 투입 작전은 여러 문제로 인해 실패했다.[11][12] 공수부대원들의 비행장 도착 지연, 임무 변경으로 인한 혼란, 날씨로 인한 항공기 부족, 연료 부족, 독일군의 강력한 저항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11][12] 결국 계획된 500회의 출격 중 298회만 가능했고, 많은 병력과 물자가 수송되지 못했다.[11][12] 강하한 병력도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제대로 된 전투를 수행하기 어려웠다.[11][12]
독일군은 모든 교두보에서 격렬한 반격을 시작하여, 붉은 군대가 대형 병기를 강 건너편으로 수송하기 전에 섬멸하려 했다.[11][12] 소련군은 공군의 지원과 포병 화력을 이용하여 교두보를 유지할 수 있었다.[11][12] 10월 초, 대부분의 소련군 사단은 정원의 25%에서 50% 수준으로 감소했다.[11][12]
3. 6. 드네프르 강 서안 전투
1943년 10월 중순, 소련군은 드네프르 강 하류 교두보에 충분한 병력을 집결시켜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다. 크레멘추크와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에서 격렬한 공격이 시작되었고, 동시에 독일군을 드네프르 강 하류와 키예프에서 분산시키기 위한 우회 공격이 남쪽에서 진행되었다.[11]공격이 끝날 무렵, 소련군은 폭 300km, 깊이 80km에 달하는 교두보를 확보했다. 이로 인해 크림반도에 있던 독일군은 본토와 연결이 끊어졌다. 독일군이 드네프르 강 좌안에서 소련군을 저지하려던 계획은 무산되었다.[11]
4. 결과
드네프르강 전투는 독일군의 패배로 끝났다. 이로 인해 소련군은 키예프를 탈환하고 드네프르강 하류에 교두보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 전투는 소련 빨치산 운동의 위력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1943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빨치산의 철도 파괴 활동은 독일군의 수송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다.[12]
이 전투의 성공은 테헤란 회담에서 스탈린에게 유리한 입지를 제공했다. 1943년 11월 28일부터 12월 1일까지 열린 테헤란 회담에서 스탈린은 윈스턴 처칠 영국 수상,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과 협상하면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었다.
드네프르강 전투의 승리는 이후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로 이어지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5. 논란
소련의 스탈린이 러시아 혁명 기념일인 11월 7일까지 키예프를 해방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은 많은 역사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드네프르 강 하류의 교두보가 키예프에서 독일군의 시선을 돌리기 위해 고의적으로 "홀로 남겨졌다"는 견해가 현재 일반적인데, 이는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다.
6. 희생자
드네프르강 전투의 희생자 수는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다.[13] 몇몇 문헌에서는 쿠르스크 전투보다 훨씬 적은 20만~30만 명이라고 전한다. 그러나 관련 전투와 거대한 전역 때문에, 여러 역사가들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희생자가 발생했지만 스탈린그라드가 유명하기 때문에 주목받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희생자 수는 시간 틀에 따라 다르며, 1943년 스몰렌스크 전투(드네프르강 전투에서 일종의 보조 작전으로 사용되었다)의 희생자 수가 드네프르강 전투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소련군 희생자에 대해 니콜라이 셰포프(Nikolaï Shefov)는 '러시아 전투(Russian fights)'에서 전사 37만 3천 명을 포함한 150만 명으로 보고 있다. 영국의 역사학자 존 에릭슨(John Erickson)은 '바르바로사: 추축국과 연합군(Barbarossa: The Axis and the Allies)'에서 1943년 9월 26일부터 12월 20일 사이(8월 26일부터 9월 30일에 걸쳐 진행된 체르니고프-폴타바 작전은 제외) 소련군 전사자를 17만 3,201명으로 제시한다. 글란츠/하우스(Glantz/House)는 '거인들의 충돌(When Titans Clashed)'에서 8월 26일부터 9월 30일의 체르니고프-폴타바 작전에서 총 42만 8천 명(전사 10만 3천 명), 9월 26일부터 12월 20일 사이에 총 75만 4천 명(전사 17만 3천 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고 기록한다. 드네프르강 도하 이전에도 격렬한 독일군의 반격이 있었지만, 이러한 수치는 낮게 추정되었고 (소련 자료에서는 쿠르스크 공격 이후에만 25만 명이 전사, 부상, 포로로 추산) 3:1이라는 지금까지의 사상자 및 포로 비율에서 전사자를 포함하면 30만 명 이상이라는 숫자도 허용 범위이다.
독일군 희생자 수는 추정이 더 어렵다. 강화된 방어에 대한 소련군 공격에 의한 손실 비율이 대략 3:1이라는 원칙(쿠르스크에서 사용됨)으로부터 50만 명이라는 숫자가 도출된다. 셰포프와 다른 소련, 러시아 역사가들은 150만 명 또는 비슷한 수준의 높은 희생자 수를 언급한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이지 않은 수치이며, 소모 인원이 관련 인원과 거의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쿠르스크 전투의 하루 평균 희생자 수를 고려하면, 비슷한 조건에서 장기간 지속된 전투에서 100만 명이라는 숫자가 나올 수 있다.
드네프르강 전투는 세계사에서 가장 희생자가 많은 전투 목록(en)에 포함된다.
참조
[1]
서적
The Eastern Front: The Germans and Soviets at War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8-08-15
[2]
서적
The Eastern Front 1943-1944: The War in the East and on the Neighbouring Fro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3]
문서
OKH Org.Abt. I Nr. I/5645/43 g.Kdos. Iststärke des Feldheeres Stand 1.11.43
NARA
[4]
문서
Oberkommando des Heeres. Geheime Kommandosache. Panzerlage der Heeresgruppe Süd. Stand am 10 November 1943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5]
서적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Volume VIII: The Eastern Front 1943-1944: The War in the East and on the Neighbouring Fro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6]
문서
OKH Org.Abt. I Nr. I/5645/43 g.Kdos. Iststärke des Feldheeres Stand 1.11.43
NARA
[7]
웹사이트
Россия и СССР в войнах XX века: Потери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http://lib.ru/MEMUAR[...]
ОЛМА-ПРЕСС
2001
[8]
서적
The Dnepr 1943: Hitler's Eastern Rampart Crumbles
Osprey Publishing
2016
[9]
서적
The Dnepr 1943: Hitler's Eastern Rampart Crumbles
Osprey Publishing
2016
[10]
서적
Military Review
https://books.google[...]
Command and General Staff School
[11]
서적
The History of Soviet Airborne Forces, Chapter 8, Across The Dnieper (September 1943)
https://books.google[...]
Cass
1994
[12]
간행물
1943 Dnepr airborne operation: lessons and conclusions
http://findarticles.[...]
Military Thought
2003-07
[13]
서적
Днепр-Карпаты-Крым. Освобождение Правобережной Украины и Крыма в 1944 году
Наука
1970
[14]
서적
Russian fights
Lib. Military History, Moscow
2002
[15]
서적
Lost Victories
Мoscow
1957
[16]
간행물
1943 Dnepr airborne operation: lessons and conclusions
http://findarticles.[...]
Military Thought
2003-07
[17]
서적
The History of Soviet Airborne Forces, Chapter 8, Across The Dnieper (September 1943)
https://books.google[...]
Cass
1994
[18]
뉴스
Liberation of Kiev and battle of the Dnieper. How it was. PHOTO
http://www.istpravda[...]
Ukrayinska Pravda
2013-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