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로네다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로네다론은 심방세동 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물로, 2009년 미국 FDA의 시판 허가를 받았다. 아테나 임상시험을 통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입원 및 사망률 감소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2010년 한국에서도 판매가 시작되었다. 드로네다론은 심방세동 환자의 동 리듬 회복에 도움을 주지만, PALLAS 연구에서 심부전, 뇌졸중 및 사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화학적으로 아미오다론과 유사하나, 갑상선 및 간 독성이 적고, 여러 이온 채널에 작용하여 항부정맥 효과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부정맥제 - 페니토인
    페니토인은 주로 간질 발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항경련제이나, 부정맥 치료 및 삼차 신경통 완화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 좁은 치료 지수와 부작용, 약물 상호작용, 임신 중 위험, 장기간 사용 시 골밀도 감소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 항부정맥제 - 베라파밀
    베라파밀은 상심실성 빈맥, 편두통, 협심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IV급 항부정맥제로, 전압 의존성 칼슘 통로를 차단하며, 과다 복용 시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아닐린 - 다비가트란
    다비가트란은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 예방, 심부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 위험 감소에 사용되는 직접 트롬빈 억제제이지만, 와파린과 효과는 유사하나 출혈 위험이 다르며 안전성 문제가 제기된 약물이다.
  • 아닐린 - 크리스탈 바이올렛
    크리스탈 바이올렛은 청자색 염료이자 pH 지시약으로, 섬유, 종이 염료, 인쇄 잉크, 세포 염색, 지문 현출 등에 활용되며 젠티안 바이올렛으로도 불리지만 발암 및 생식 능력에 대한 우려도 있다.
  • 페놀 에터 - 유비퀴논
    유비퀴논(CoQ10)은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의 주요 구성 요소인 지용성 유기 화합물로, 세포 호흡과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이며 항산화 작용을 통해 세포를 보호하고 면역 반응에도 관여한다.
  • 페놀 에터 - 날록손
    날록손은 오피오이드 수용체 길항제로서 아편류 과다 복용의 응급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클로니딘 과다 복용, 오피오이드 오남용 방지, 쇼크 치료 등에 활용되기도 하지만, 임산부나 간·신장 기능 장애 환자에게는 신중한 투여가 필요하고 금단 증상 및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약물이다.
드로네다론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Drugs.comdronedarone-hydrochloride
MedlinePlusa609034
DailyMedIDDronedarone
ATC 코드ATC_prefix: C01
ATC_suffix: BD07
ATC_supplemental: null
법적 규제legal_AU: S4
legal_AU_comment: null
legal_BR: null
legal_BR_comment: null
legal_CA: null
legal_CA_comment: null
legal_DE: null
legal_DE_comment: null
legal_NZ: null
legal_NZ_comment: null
legal_UK: POM
legal_UK_comment: null
legal_US: Rx-only
legal_US_comment: null
legal_EU: Rx-only
legal_EU_comment: Multaq EPAR
legal_UN: null
legal_UN_comment: null
투여 경로입으로
임신 범주pregnancy_AU: D
pregnancy_AU_comment: null
pregnancy_category: null
pregnancy_US: X
라이선스_EU
약물 동태
생체 이용률15% (고지방 식사와 함께)
단백질 결합98% 초과
대사 (주로 CYP3A에 의해)
배설 반감기13–19시간
배설대변 (84%), 소변 (~6%)
식별자
CAS 등록번호141626-36-0
PubChem CID208898
IUPHAR 리간드7465
DrugBankDB04855
ChemSpider ID180996
UNIIJQZ1L091Y2
KEGGKEGG: D02537
KEGG2: D03914
ChEBI50659
ChEMBL184412
NIAID_ChemDBnull
PDB_ligandnull
동의어SR33589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IUPAC 이름N-(2-부틸-3-(p-(3-(디부틸아미노)프로폭시)벤조일)-5-벤조푸라닐)메탄술폰아미드
분자식C31H44N2O5S
분자량556.758 g/mol
SMILESO=S(=O)(Nc3cc1c(oc(c1C(=O)c2ccc(OCCCN(CCCC)CCCC)cc2)CCCC)cc3)C
StdInChI1S/C31H44N2O5S/c1-5-8-12-29-30(27-23-25(32-39(4,35)36)15-18-28(27)38-29)31(34)24-13-16-26(17-14-24)37-22-11-21-33(19-9-6-2)20-10-7-3/h13-18,23,32H,5-12,19-22H2,1-4H3
StdInChIKeyZQTNQVWKHCQYLQ-UHFFFAOYSA-N

2. 역사

2009년 7월 2일 미국 FDA가 드로네다론(제품명: 멀택)의 시판을 허가했다.[26] 2010년 6월 23일 한국에서 멀택 판매가 시작되었고, 2013년 4월 16일 한국 건강보험 보험급여 목록에 신규 등재되었다.[26] 2016년 6월 1일에는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기저 심질환이 없는 환자에게까지 확대되었다.

2. 1. 개발 및 승인

2009년 7월 2일 미국 FDA가 시판을 허가했다.[26]

멀택은 전세계 37개국, 551개 센터에서 심방세동 환자 4,628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아테나(ATHENA) 임상시험 결과, 심혈관질환에 의한 입원율과 사망률을 24%까지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26]

2010년 6월 23일 한국에서 멀택 판매를 시작했다.

2013년 4월 16일 한국의 건강보험 보험급여목록에 신규 등재되었다.

2016년 6월 1일 한국의 건강보험 적용대상이 기저 심질환이 없는 환자에게까지 확대되었다.

드로네다론은 2005년 신약 신청서로 처음 제출되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2009년 3월 승인 권고를 받았다.[19] FDA는 2009년 7월 드로네다론을 승인했다.

캐나다 보건부는 2009년 8월에 이 약품을 승인한 두 번째 주요 규제 기관이었다. 승인된 내용은 "과거에 심방세동이 있거나 현재 심방세동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이 상태로 인한 심혈관 입원 위험을 줄이는 치료"이다.[20]

유럽 의약품청2009년 9월 드로네다론에 대한 긍정적 의견 요약을 발표하여 유럽 연합 내에서 마케팅 허가를 부여할 것을 유럽 위원회에 권고했다.[21]

2. 2. 임상 연구

드로네다론은 위약 및 아미오다론과 비교하여 심방세동 감소 능력, 전체 및 심장 관련 사망률 감소, 과도한 사망률을 포함한 부작용에 대해 임상 시험을 거쳤다.[4][8] 드로네다론은 비요오드화된 III군 항부정맥제로, 환자가 정상적인 동 리듬으로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심방세동 치료법은 다른 유사한 항부정맥제에 비해 관련 사망률 및 입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한 EURIDIS 및 ADONIS 연구(2007)에서 드로네다론은 단기적으로 폐 기능과 갑상선 기능의 차이 없이 동 리듬을 유지하는 데 위약보다 유의하게 더 효과적이었다.[14] 그러나 ANDROMEDA 연구(2007)에서는 위약에 비해 사망률을 두 배로 증가시켜 시험이 조기에 중단되었다.[5] ANDROMEDA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울혈성 심부전을 앓고 있는 환자, 즉 비교적 더 심각한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했다.

4628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후기 심방세동 시험인 ATHENA에서 드로네다론은 심혈관 사건 또는 사망으로 인한 첫 번째 입원의 복합 종말점을 감소시키는 데 위약보다 유의하게 더 효과적이었다.[15] 심혈관 사망률은 유의하게 감소했지만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은 감소하지 않았다.[4] 이후 ATHENA 결과의 사후 분석에서 뇌졸중 발생률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16]

드로네다론을 무작위 배정받은 환자는 서맥 및 QT 간격 연장(하지만 Torsades는 1건만 발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메스꺼움, 설사, 발진, 크레아티닌 상승 또한 드로네다론 투여군에서 더 흔했다.

PALLAS 연구(2011)는 "드로네다론이 주요 혈관 사건의 위험이 있는 영구적인 심방세동 환자에서 심부전, 뇌졸중 및 심혈관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을 증가시켰다"는 사실 때문에 안전 문제로 중단되었다.[17] 이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영구적인 심방세동 환자에서 사망, 뇌졸중 및 울혈성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이 두 배로 증가한다는 블랙 박스 경고를 추가했다.

드로네다론은 전기적 심율동 전환의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일부 임상시험에서 연구되었다. ATHENA 연구에서 환자의 25%는 심율동 전환 전에 드로네다론을 복용하기 시작했다.[1] 최근 완료된 무작위 연구(ELECTRA)의 결과는 심율동 전환 시 드로네다론 사용의 안전성과 이상적인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18]

3. 작용 기전

드로네다론은 항부정맥제아미오다론(코다론)과 구조가 유사하지만, 심장, 갑상선 등 조직 독성 부작용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27] 유럽 임상 시험에서 부정맥 재발까지의 평균 시간은 위약군에서 41일, 드로네다론 군에서 96일이었으며, 비유럽 임상 시험에서도 유사한 결과(각각 59일, 158일)가 나타났다.[10]

3. 1. 이온 채널에 대한 작용

드로네다론은 "다중 채널 차단제"라고 불려왔다. 그러나 어떤 채널이 성공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지는 불분명하다.[8] 따라서, 세포 수준에서의 드로네다론의 작용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빠른 지연 정류, 느린 지연 정류, 그리고 ACh 활성화 내향 정류를 포함한 여러 외부 칼륨 전류의 억제를 시사한다.[9] 또한 내향성 빠른 Na 전류 및 L형 Ca 채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부 연구에서 K 전류의 감소는 K-ACh 채널 또는 관련 GTP 결합 단백질의 억제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8] K+ 전류가 69% 감소하면 활동 전위 지속 시간이 증가하고 유효 불응기가 증가하여, 동결절의 심장 박동조율기 잠재력을 억제하고 환자를 정상 심장 리듬으로 되돌리는 것으로 나타났다.[9]

3. 2. 항부정맥 효과

멀택은 기존의 항부정맥제아미오다론(상표명 코다론)과 구조는 비슷하지만, 심장, 갑상선 등 조직 독성 부작용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27] 세포 수준에서의 드로네다론의 작용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빠른 지연 정류, 느린 지연 정류, 그리고 ACh 활성화 내향 정류를 포함한 여러 외부 칼륨 전류의 억제를 시사한다.[9] 또한 내향성 빠른 Na 전류 및 L형 Ca 채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K+ 전류가 69% 감소하면 활동 전위 지속 시간이 증가하고 유효 불응기가 증가하여, 동결절의 심장 박동조율기 잠재력을 억제하고 환자를 정상 심장 리듬으로 되돌리는 것으로 나타났다.[9] 유럽 임상 시험에서, 부정맥 재발까지의 평균 시간은 위약군에서 41일, 드로네다론 군에서 96일이었다 (비유럽 임상 시험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으며, 각각 59일과 158일이었다).[10]

4. 화학적 특성

화학적으로 드로네다론은 부정맥 치료제인 아미오다론과 관련된 벤조푸란 유도체이다. 아미오다론은 요오드 함량이 높아 (폐 섬유증, 갑상선 질환) 질환 등의 독성 문제가 있어 사용이 제한된다. 드로네다론은 요오드 성분이 없어 갑상선 및 기타 장기에 대한 독성 영향을 줄인다.[4] 또한 메틸설폰아미드기를 추가하여 지방 용해도(친유성)를 줄임으로써 신경독성 효과를 감소시킨다.

5. 약동학

드로네다론은 아미오다론보다 지용성이 낮고 분포 용적이 훨씬 작으며, 제거 반감기는 13~19시간이다. 이는 몇 주에 달하는 아미오다론의 반감기와 대조적이다.[2][13] 이러한 약동학적 특성으로 인해 드로네다론 투여는 아미오다론보다 덜 복잡할 수 있다.

6. 금기 사항

미국의 멀택 라벨에는 심부전 환자는 사망을 포함해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는 최고 수준의 블랙박스 경고문이 표시돼 있다. 미국 FDA는 70대 여성 환자 두 명이 멀택 투여 후 각각 4.5개월과 6개월 만에 심한 간부전이 발생해 간 이식 수술을 받았으며, 이들에게는 간 기능이 급속도로 악화될 다른 이유가 없었다고 밝혔다.[29]

팔라스(PALLAS) 임상시험은 65세 이상 영속성 심방세동(6개월 이상 지속되는 심방세동) 환자 1만 명 이상(전 세계)에게 현재 승인 용량(400mg)의 효과를 검토한 시험이다. 2010년 계획되었으나, 뇌졸중, 전신성 색전, 심근경색 또는 사망 등 부작용이 2배 이상 발생해 2011년 7월 조기 종료되었다. 팔라스 임상시험(3상 연구) 결과, 미국 FDA는 심부전, 뇌졸중 및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FDA는 다음 경우에 사용 금지를 권고했다.[30]

사용 금지 대상
6개월 이상 심방세동이 지속된 영구적 심방세동 환자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의 환자
좌심실수축기능부전, 심부전 환자 또는 심부전 병력이 있는 환자
과거 아미오다론 복용으로 간 또는 폐 독성이 나타난 환자
영구적인 심방세동(정상적인 동 리듬 회복이 불가능하거나 회복되지 않는 환자)
최근 입원 치료가 필요했던 심부전 악화 또는 심부전 4등급 환자
2~3도 방실 차단 또는 동기능 부전 증후군(기능하는 인공 심장 박동기 사용은 제외)
서맥
강력한 CYP3A 억제제와 함께 복용하는 경우
QT 연장을 유발하여 Torsades de Pointes를 유도할 수 있는 약물 또는 생약 제품과 함께 복용하는 경우
이전에 아미오다론 사용으로 간 또는 폐 독성이 나타난 경우
중증 간 기능 장애
QTc 바제트 간격 ≥500ms, 또는 QT 간격을 연장시키거나 torsades de pointes 위험을 높이는 약물/생약 보충제와 함께 사용(I 또는 III 급 항부정맥제, 페노티아진, 삼환계 항우울제, 특정 경구용 마크로라이드, 마황)
임신부 및 수유부
드로네다론 과민성
기능 장애: 2011년 1월, 미국 FDA는 드로네다론(Multaq) 치료 환자에게서 간 이식을 초래한 급성 간부전 2건 등 드물지만 심각한 간 손상 사례를 보고했다. 드로네다론 복용 환자의 혈청 간 효소(ALT, AST,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및 빌리루빈 정기 모니터링이 심각한 간 손상 예방에 효과가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PR 간격 280ms 초과
사이토크롬 P-450(CYP) 3a 동종 효소 억제제 사용(클래리스로마이신, 사이클로스포린, 이트라코나졸, 케토코나졸, 네파조돈, 리토나비어, 텔리트로마이신, 보리코나졸 포함)


7. 부작용

미국 FDA의 멀택 라벨에는 심부전 환자는 사망을 포함해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는 최고 수준의 블랙박스 경고문이 표시돼 있다.[27] 70대 여성 두 명이 멀택 투여 후 각각 4.5개월과 6개월 만에 심한 간부전이 발생해 간 이식 수술을 받았는데, 이들은 간 기능이 급속도로 악화될 다른 이유가 없었다고 한다.[29]

팔라스(PALLAS) 임상시험은 65세 이상의 영속성 심방세동(6개월 이상의 심방세동) 환자 1만 명 이상에게 드로네다론 400mg 투여 시 효과를 검토했다. 그러나 뇌졸중, 전신성 색전, 심근경색 또는 사망 등의 부작용이 2배 이상 발생하여 2011년 7월 연구가 조기 종료됐다. 이 결과, 미국 FDA로부터 심부전, 뇌졸중 및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경고를 받았다.[30]

ATHENA 임상시험에서는 드로네다론이 심혈관 사건 또는 사망으로 인한 첫 입원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심혈관 사망률만 감소하고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은 감소하지 않았다.[15][4] 사후 분석에서는 뇌졸중 발생률이 감소했다.[16] 드로네다론을 투여받은 환자는 서맥 및 QT 간격 연장(하지만 Torsades는 1건만 발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메스꺼움, 설사, 발진, 크레아티닌 상승 또한 드로네다론 투여군에서 더 흔했다.

PALLAS 연구(2011)는 드로네다론이 주요 혈관 사건의 위험이 있는 영구적인 심방세동 환자에서 심부전, 뇌졸중 및 심혈관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을 증가시켰다는 이유로 중단되었다.[17] 이후 FDA는 영구적인 심방세동 환자에서 사망, 뇌졸중 및 울혈성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이 두 배로 증가한다는 블랙 박스 경고를 추가했다.

미국 FDA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금지를 권고했다.[30]


  • 6개월 이상 심방세동이 지속된 영구적 심방세동 환자
  •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의 환자
  • 좌심실수축기능부전, 심부전을 가진 환자나 심부전 기왕력이 있는 환자
  • 과거 아미오다론 복용으로 인한 간이나 폐 독성이 있는 환자

8. 가격 및 평가

멀택은 2009년 말 영국에서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으로부터 "기존 약에 비해 효과는 떨어지면서 비용은 상당히 비싸다"는 예비 권고를 받았다. 영국에서 멀택의 1일 투약 비용은 2.25EUR (3857KRW)로, 아미오다론의 45배에 달했다.[28]

9. 추가 연구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US) 약학과에서 2019년 7월에 포옌다론이라는 새로운 약물을 특허받았다.[22] 이 약물은 드로네다론 분자를 변형하여 심실성 부정맥을 유발하는 경향을 제거하여 개발되었다.[23][24]

참조

[1] 웹사이트 Multaq EPAR https://www.ema.euro[...] 2009-11-26
[2] 웹사이트 Multaq- dronedarone tablet, film coated https://dailymed.nlm[...] 2020-10-15
[3] 간행물 FDA Approves Multaq to Treat Heart Rhythm Disorder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09-07-02
[4] 논문 Dronedarone for atrial fibrillation--an odyssey 2009-04
[5] 논문 Increased mortality after dronedarone therapy for severe heart failure 2008-06
[6] 웹사이트 FDA Drug Safety Communication: Severe liver injury associated with the use of dronedarone (marketed as Multaq). Safety Announcement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1-01-14
[7] 웹사이트 First-Time Generic Drug Approvals 2024 https://www.fda.gov/[...] 2024-03-08
[8] 논문 Inhibitory effects of dronedarone on muscarinic K+ current in guinea pig atrial cells 2000-12
[9] 논문 Cellular and in vivo electrophysiological effects of dronedarone in normal and postmyocardial infarcted rats 2000-01
[10] 논문 Dronedarone for maintenance of sinus rhythm in atrial fibrillation or flutter 2007-09
[11] 논문 Electrophysiological effects of dronedarone (SR33589), a noniodinated benzofuran derivative, in the rabbit heart : comparison with amiodarone 1999-11
[12] 웹사이트 Medscape Drugs & Diseases - Comprehensive peer-reviewed medical condition, surgery, and clinical procedure articles with symptoms, diagnosis, staging, treatment, drugs and medications, prognosis, follow-up, and pictures http://www.medscape.[...]
[13] 논문 Dronedarone: an amiodarone analog for the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and atrial flutter 2007-04
[14] 논문 Dronedarone for maintenance of sinus rhythm in atrial fibrillation or flutter 2007-09
[15] 논문 Effect of dronedarone on cardiovascular events in atrial fibrillation 2009-02
[16] 논문 Analysis of stroke in ATHENA: a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parallel-arm trial to assess the efficacy of dronedarone 400 mg BID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hospitalization or death from any caus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atrial flutter 2009-09
[17] 논문 Dronedarone in high-risk permanent atrial fibrillation 2011-12
[18] 문서 A Phase IV,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anadian Multicentre Study Comparing Two Treatment Strategies of Dronedarone Administration Following ELECTive caRdioversion for Prevention of Symptomatic Atrial Fibrillation (AF) Recurrence https://clinicaltria[...]
[19] 웹사이트 FDA briefing document on dronedarone https://www.fda.gov/[...] null
[20] 웹사이트 Multaq® (Dronedarone) for Atrial Fibrillation Now Approved in Canada - insciences http://insciences.or[...] null
[21] 웹사이트 Summary of Positive Opinion for Multaq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09-09-24
[22] 특허 Poyendarone, a cardiac therapeutic https://patents.goog[...] 2022-08-25
[23] 논문 Site-directed deuteration of dronedarone preserves cytochrome P4502J2 activity and mitigates its cardiac adverse effects in canine arrhythmic hearts 2022-10
[24] 웹사이트 New drug molecule for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https://medicalxpres[...] 2022-07-18
[25] 웹인용 MULTAQ® (dronedarone) Tablets. Prescribing Information http://www.multaq.co[...] Sanofi-Aventis U.S. LLC 2013-03
[26] 뉴스 사노피 심방세동 약 '멀택' 6월부터 급여 확대 데일리팜 2016-05-30
[27] 뉴스 사노피, 항부정맥제 '멀택' 비급여 출시 의협신문 2010-06-23
[28] 뉴스 '멀택' 식약청 승인…사노피의 희망될까 의협신문 2010-03-07
[29] 뉴스 부정맥치료제 멀택 간손상 위험 파이낸셜뉴스 2011-01-15
[30] 뉴스 '멀택', 위기 극복하고 반전에 성공할까? 의협신문 2012-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