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은 쐐기 모양의 적갈색 장기로, 성인의 경우 약 1.2~1.5kg의 무게를 가지는 신체 장기이다. 위에서 볼 때 오른쪽 엽과 왼쪽 엽으로, 아래에서 볼 때는 왼쪽, 오른쪽, 꼬리엽, 네모엽의 4부분으로 나뉜다. 간은 쓸개즙을 생성하여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돕고, 물질 저장, 노폐물 생성, 유독 물질 해독 등 다양한 물질의 합성 및 분해를 수행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간은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며, 간염, 지방간, 간경변, 간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간은 손실된 조직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간 이식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여러 문화권에서 간은 영혼, 감정, 용기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음식으로 섭취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 - 간세포
간세포는 간의 주요 세포로, 단백질 합성, 대사 작용, 해독 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생명 제약 연구에 활용된다. - 생물의 기관 - 오장육부
오장육부란 한의학에서 생명 유지 활동을 주관하는 오장(간, 심, 비, 폐, 신)과 소화, 흡수, 배설을 담당하는 육부(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를 통칭하는 기능적, 관계적 개념으로, 음양오행 철학에 기반하여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현대 의학에서는 유사과학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생물의 기관 - 머리카락
머리카락은 털과 털주머니로 구성된 털 기관의 일부로서 몸을 보호하고 보온하며, 모수질, 모피질, 모표피의 3중 구조와 멜라닌 색소로 색깔이 결정되고, 모주기를 거치면서 화학적, 물리적 요인에 따라 성질이 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해부학에 관한 - 림프
림프는 림프관을 통해 순환하는 체액으로, 혈장과 유사한 성분으로 체액 균형 유지, 면역 반응, 지방 흡수 및 운반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해부학에 관한 - 신경
신경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연결하는 신경섬유 다발 조직으로, 삼중막 구조로 둘러싸여 있고, 구심성, 원심성, 혼합 신경 등으로 분류되며, 활동전위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손상 시 재생될 수 있지만 완전한 회복은 어려울 수 있다.
간 | |
---|---|
개요 | |
![]() | |
![]() | |
일반 정보 | |
라틴어 | iecur, iecur |
그리스어 | hepar (ἧπαρ), 어근 hepat- (ἡπατ-) |
영어 | liver |
독일어 | Leber |
해부학적 정보 | |
전구체 | 전장 |
계통 | 소화 기관 |
동맥 | 고유 간동맥 |
정맥 | 간정맥 및 간문맥 |
신경 | 복강 신경절 및 미주 신경 |
림프 | 해당 없음 |
상세 정보 | |
기능 | 대사, 해독, 저장 등 다양한 기능 수행 |
위치 | 복강의 오른쪽 위에 위치 |
혈액 공급 | 간동맥과 문맥으로부터 혈액 공급 받음 |
담즙 생성 | 담즙을 생성하여 소화를 도움 |
구성 | 간세포, 쿠퍼 세포 등으로 구성 |
추가 정보 | |
관련 질병 | 간염, 간경변, 간암 등 |
참고 문헌 | 간은 공장과 같다 간의 기능 |
2. 해부학적 구조
간은 쐐기 모양의 적갈색 장기로, 성인의 경우 무게가 약 1.2kg에서 1.5kg 사이이다.
간은 복강의 오른쪽 위 사분면에 위치하며, 횡격막 바로 아래, 위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쓸개를 덮고 있다.[5] 간은 간동맥과 문맥이라는 두 개의 큰 혈관에 연결되어 있다. 간동맥은 복강동맥을 통해 대동맥에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운반하는 반면, 문맥은 소화된 영양소가 풍부한 혈액을 전체 위장관과 지라, 췌장에서 운반한다.[10] 이 혈관들은 간 동양혈관이라고 하는 작은 모세혈관으로 분할된 다음 간 소엽으로 이어진다.
간 소엽은 간의 기능적 단위로, 수백만 개의 간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소엽은 전체 간을 덮고 있는 섬유성 피막인 ''글리슨 피막''에서 뻗어 나온 결합 조직층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4] 간의 표면은 장막에서 파생된 장막 코팅으로 덮여 있으며, 이는 내부 글리슨 피막에 단단히 부착된다.
정상적인 성인 간의 무게는 체중의 약 1/50이며, 1kg에서 1.5kg 사이이다. 간에서 나온 총담관은 파이터 팽대부 앞에서 췌관과 합류하여 십이지장과 연결되며, 총담관 도중에 담낭이 있다.
2. 1. 육안 해부
간은 쐐기 모양의 적갈색 장기로, 윗면은 횡격막에, 아랫면은 위, 십이지장, 가로주름창자(횡행 결장) 등에 접해 있다. 크기는 성인의 경우 무게가 약 1.2kg, 좌우 지름이 약 25cm, 앞뒤 지름이 약 14cm, 높이가 약 7cm이다. 보통 성인의 간 무게는 체중의 약 1/50이며, 1kg에서 1.5kg사이이다.간은 위에서 볼 때 낫인대에 의해 오른쪽 엽과 왼쪽 엽으로 크게 나뉜다. 아래에서 보면 꼬리엽과 네모엽이 추가로 구분된다.[16] 하대정맥 왼쪽에서 시작하여 간과 담낭을 두 부분으로 나누는 가상의 선을 칸틀리 선이라고 한다.[17][18]
정맥관 인대와 간원 인대는 간의 왼쪽 부분을 두 구획으로 더 나누며, 간문은 이 왼쪽 부분을 네 개의 구획으로 나눈다. 이 구획들은 꼬리엽에서 시작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I부터 번호를 매길 수 있다.[19]
사람의 간은 해부학적으로 "간 낫 인대", "간 원삭", "정맥관삭"에 의해 외관상 오른쪽 엽, 왼쪽 엽, 네모 엽 (사각 엽), 꼬리 엽의 4개로 분류된다. 포유류의 종에 따라 간이 나뉘는 엽의 수는 다르다.
간은 간동맥과 문맥의 두 혈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는다. 간동맥은 하행대동맥에서 분기된 복강동맥의 가지인 총간동맥이 고유간동맥이 되어 오른쪽 간동맥과 왼쪽 간동맥으로 나뉘어 간으로 들어간다. 혈류는 중심정맥, 간정맥을 거쳐 간 밖으로 흐른다. 간에서 나온 총담관은 파이터 팽대부 앞에서 췌관과 합류하여 십이지장과 연결되며, 총담관 도중에 담낭이 있다.
2. 1. 1. 표면
간의 윗면은 횡격막에 밀착되어 있으며, 아랫면은 위, 십이지장, 가로주름창자(횡행 결장) 등과 접해 있다.[11] 횡격막 표면은 횡격막과 연결되는 삼각형의 맨살 부위를 제외하고는 얇고 이중층의 막인 복막으로 덮여 있으며, 이는 다른 장기에 대한 마찰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20] 내장 표면 또는 아래쪽 표면은 울퉁불퉁하고 오목하며, 담낭과 간문이 부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복막으로 덮여 있다.[20]2. 1. 2. 압흔
간 표면에는 인접한 여러 구조물과 장기에 의한 다양한 압흔이 존재한다. 우엽 아래쪽, 담낭와(fossa) 오른쪽에는 두 개의 압흔이 있는데, 이들은 융기로 분리되어 앞뒤로 위치한다. 앞쪽의 얕은 압흔은 간 굴곡에 의해 형성된 결장 압흔이고, 뒤쪽의 더 깊은 압흔은 오른쪽 신장 일부와 부신 일부를 수용하는 신장 압흔이다.[22]부신 압흔은 간에 있는 작고 삼각형 모양의 움푹 들어간 부위이다. 와의 오른쪽, 나출면과 미상엽 사이, 신장 압흔 바로 위에 위치한다. 부신 압흔의 대부분은 복막이 없으며 오른쪽 부신을 수용한다.
신장 압흔 내측에는 뚜렷하지는 않지만 신장 압흔과 담낭 경부 사이에 세 번째 압흔이 있다. 이는 십이지장 하행부에 의해 발생하며, 십이지장 압흔이라고 한다.
간 좌엽 아래쪽 표면에는 위 압흔이 나타난다. 이는 위 앞쪽 표면 위로 형성되며, 오른쪽에는 둥근 융기인 결절판이 있는데, 이는 위의 소만 굴곡 오목부에 맞닿아 소망막 앞쪽 층 앞에 위치한다.
2. 2. 미세 해부
간의 미세 해부 구조는 매우 복잡하다. 간은 소엽(小葉)이라는 단위 구조가 모여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간소엽이라고 한다. 간소엽은 중앙에 있는 중심 정맥과 여기서 모세혈관을 내보내는 세 개의 소엽간 정맥으로 구성된다. 소엽간 정맥은 문맥에서 갈라져 나온 마지막 가지이다. 중심 정맥은 인접한 것끼리 모여 간정맥이 되고, 하대 정맥으로 이어진다. 소엽간 정맥에서 나온 모세혈관 주위는 간세포로 둘러싸여 있으며, 혈액 속 물질은 간세포에 흡수되고 처리된 물질은 다시 혈액 속으로 분비된다. 쓸개즙은 간세포 사이의 작은 틈(모세 담관)으로 분비되어 소엽간 담관에 모이고, 총간관을 통해 간에서 배출된다.조직학적으로 간은 실질 세포와 비실질 세포로 나뉜다. 간 부피의 70~85%는 실질 간세포가 차지하며, 비실질 세포는 전체 간 세포 수의 40%를 차지하지만 부피는 6.5%에 불과하다.[27] 간 동맥은 동맥 내피 세포와 포식성 쿠퍼 세포로 덮여 있다.[26] 간 성상 세포는 동맥과 간세포 사이의 주동맥강 공간에서 발견되는 비실질 세포이다.[27] 간내 림프구는 동맥강 내강에 존재하기도 한다.[27]
간 조직은 간소엽이라는 구조 단위가 모여 이루어져 있으며, 소엽 사이(소엽간 결합 조직)에는 소엽간 정맥(간문맥의 가지), 소엽간 동맥, 소엽간 담관이 지나간다.
2. 2. 1. 간소엽
간소엽은 간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대략 육각형 모양이다. 간소엽은 중심정맥을 중심으로 간세포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다.[23] 간세포판 사이에는 관강이 넓은 특수한 모세혈관인 동양 모세혈관(또는 혈관동)이 지나가며, 소엽간 정맥과 소엽간 동맥의 혈액을 받아 중심 정맥으로 보낸다.
소엽의 각 모서리를 따라 흐르는 문맥 삼중체는 간 동맥, 문맥, 총담관으로 구성된다.[24] 중심 정맥은 간 정맥에 연결되어 간에서 혈액을 운반한다.[23]
인간의 간세포는 핵을 2개 가진 다핵 세포이며, 이는 간세포의 높은 재생력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간 재생에는 간세포의 비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103]
간소엽 내에는 다음과 같은 세포들이 존재한다.
- 간세포
- 담관세포
- 혈관동 내피세포
- 쿠퍼 세포(Kupffer 세포)
- 성상세포(이토 세포)
- 피트 세포(Pit 세포)
2. 2. 2. 문맥삼조
간소엽의 각 모서리에는 간동맥, 문맥, 총담관으로 구성된 문맥삼조가 있다.[24] 문맥삼조는 간 초음파 검사에서 머리 부분에 문맥, 귀 부분에 간동맥과 총담관이 있는 미키 마우스 사인으로 볼 수 있다.[25]2. 3. 기능 해부
간은 혈관 분포와 담즙 배출 경로에 따라 기능적으로 여러 구역으로 나뉜다. 총담관, 총간동맥을 운반하는 문맥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중앙 영역인 간문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뉜다. 간의 기능적 좌엽과 우엽은 담낭와에서 하대정맥으로 연결되는 가상의 평면인 칸틀리선에 의해 분리된다. 이 칸틀리선은 간을 진정한 우엽과 좌엽으로 나누며, 중간 간정맥 또한 진정한 우엽과 좌엽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우엽은 우간정맥에 의해 전방 및 후방 구획으로, 좌엽은 좌간정맥에 의해 내측 및 외측 구획으로 더 세분화된다.[28]간문은 담관과 혈관을 포함하는 세 개의 판(문부 판, 낭성 판, 제대 판)으로 구성되며, 이 판 시스템은 간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의 위치이다.[28]
정상 성인 간에서는 약 20,000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 중 60%가 발현된다.[33][34] 400개 이상의 유전자가 간에서 더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약 150개의 유전자는 간 조직에 매우 특이적이다. 간 특이적 단백질의 상당수는 간세포에서 발현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며, 혈장 단백질과 간카인을 구성한다. 이 외에도 HAO1, RDH16과 같은 특정 간 효소, BAAT, SLC27A5와 같은 담즙 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ABCB11, SLC2A2와 같은 약물 대사에 관여하는 수송 단백질 등이 있다. 아포지단백질 A II, F2, F9, 보체 관련 단백질, 피브리노겐 베타 사슬 단백질 등이 간 특이적 단백질의 예시이다.[35]
간은 간동맥과 문맥 두 혈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으며, 혈류는 중심정맥, 간정맥을 거쳐 간 밖으로 배출된다. 간동맥은 하행대동맥에서 분기된 복강동맥의 가지인 총간동맥이 고유간동맥이 되어 오른쪽 간동맥과 왼쪽 간동맥으로 나뉘어 간으로 들어간다.
간에서 나온 총담관은 파이터 팽대부 앞에서 췌관과 합류하여 십이지장과 연결된다. 총담관 도중에 담낭이 존재한다.
간은 담낭과 하대정맥을 잇는 주 분할면인 "렉스-캔틀리선"(Cantlie's line)에 의해 "좌엽"과 "우엽"으로 나뉜다. 좌엽은 다시 간 낫 인대에 의해 내측 구역과 외측 구역으로 나뉜다. 우엽은 다시 우간정맥에 의해 전구역과 후구역으로 나뉜다.
1953년 Healey & Schroy는 수술이나 치료 시 문맥에 의한 구분이 중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문맥 혈류에 따라 간을 구분하였다.
2. 3. 1. 쿠이노 분류 체계

널리 사용되는 쿠이노 시스템은 간을 8개의 기능적으로 독립된 간 분절로 나눈다. 각 분절은 고유한 혈관 유입, 유출 및 담즙 배출을 가지고 있다. 각 분절의 중심에는 문맥, 간 동맥 및 담관의 분지가 있으며, 각 분절의 주변부에는 간 정맥을 통한 혈관 유출이 있다.[32]
이 분류 시스템은 간의 혈관 공급을 사용하여 기능적 단위(I에서 VIII까지 번호가 매겨짐)를 분리한다. 단위 1, 즉 미상엽은 문맥의 우측 및 좌측 분지 모두에서 혈액을 공급받는 별도의 구조이다.[29] 미상엽에는 하대 정맥으로 직접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간 정맥이 포함되어 있다.[29] 나머지 단위(II에서 VIII)는 시계 방향으로 번호가 매겨진다.[32]
쿠이노 분류 체계는 간 내 글리슨 초의 분지에 따라 S1부터 S8까지 8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구역 번호 | 설명 |
---|---|
S1 | 미상엽 |
S2 | 좌엽 외측 후구역 |
S3 | 좌엽 외측 전구역 |
S4 | 좌엽 내측 구역 |
S5 | 우엽 전하 구역 |
S6 | 우엽 후하 구역 |
S7 | 우엽 후상 구역 |
S8 | 우엽 전상 구역 |
기관 발생은 인간 발생 동안 3주에서 8주 사이에 일어난다. 간은 전장 내배엽(내배엽은 3개의 배아 배엽 중 하나)의 복부 부분과 인접한 횡격막 중배엽의 구성 요소에서 기원한다. 인간 배아에서 간 맹장은 전장에서 주변 중배엽으로 뻗어 나오는 내배엽의 관이다. 횡격막 중배엽은 이 내배엽이 증식하고, 분지하고, 간의 선상 상피를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간 맹장의 일부(소화관에 가장 가까운 부위)는 간의 담도로 계속 기능하며, 이 관에서 갈라져 담낭을 생성한다.[36] 횡격막 중배엽의 신호 외에도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는 심장 발달에서 유래하여 간의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측판 중배엽에서 나오는 레티노산과 함께 작용한다. 간 내배엽 세포는 원주형에서 거짓 다층형으로 형태가 변환되어 초기 간 맹장으로 두꺼워진다. 이들의 확장은 양성 간모세포의 집단을 형성한다.[37] 간 성상 세포는 중배엽에서 유래한다.[38]
간 부위 진단은 구역 해부가 매우 중요하며, 이는 부위에 따라 수술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3. 발생
간모세포가 횡격막 중배엽으로 이동한 후, 간 소관과 담관이 나타나면서 간 구조가 확립되기 시작한다. 간 맹장은 엽으로 분리된다. 왼쪽 제대 정맥은 정맥관이 되고 오른쪽 난황 정맥은 문맥이 된다. 확장되는 간 맹장은 조혈 모세포에 의해 식민지화된다. 양성 간모세포는 담관 세포와 간세포로 분화되기 시작한다. 담관 상피 세포는 문맥 주변의 간모세포에서 분화되어 먼저 단층을 생성한 다음 입방형 세포의 이중층을 생성한다. 관판에서 이중층의 특정 지점에서 국소적인 팽창이 나타나 문맥 중배엽으로 둘러싸이고 세관 형성을 거쳐 간내 담관으로 발달한다. 문맥에 인접하지 않은 간모세포는 대신 간세포로 분화되어 소관 상피 세포와 담관이 늘어선 끈으로 배열된다. 간모세포가 간세포로 지정되고 추가 확장을 거치면 성숙한 간세포의 기능을 습득하기 시작하고, 결국 성숙한 간세포는 풍부한 글리코겐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로 분극된 상피 세포로 나타난다. 성인 간에서 간세포는 동일하지 않으며, 간 소엽 내의 문정맥 중심 축을 따라 위치하여 약물 대사, 탄수화물 대사, 암모니아 해독, 담즙 생산 및 분비와 관련된 대사 유전자의 발현을 결정한다. Wnt 신호 전달 경로는 이 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7]
출생 시 간은 체중의 약 4%를 차지하며 평균 120g이다. 이후 발달 과정을 거쳐 1.4kg~1.6kg으로 증가하지만 체중의 2.5–3.5%만 차지한다.[39] 간체 지수(HSI)는 간 무게와 체중의 비율이다.[40]
3. 1. 태아 혈액 공급
성장하는 태아에서 간으로 가는 주요 혈액 공급원은 제대 정맥으로, 성장하는 태아에게 영양분을 공급한다. 제대 정맥은 배꼽에서 복부로 들어가 간의 낫 인대 자유 연을 따라 위로 올라가 간의 아래쪽 표면에 도달한다. 그곳에서 문맥의 왼쪽 가지와 합류한다. 정맥관은 혈액을 왼쪽 문맥에서 왼쪽 간 정맥으로, 그 다음 하대 정맥으로 운반하여 태반 혈액이 간을 우회하도록 한다. 태아에서 간은 영양분이 태반을 통해 어머니로부터 직접 공급받기 때문에 영아 간의 정상적인 소화 과정과 여과 작용을 수행하지 않는다. 태아 간은 태아 흉선으로 이동하여 T 세포(또는 T 림프구)를 생성하는 일부 혈액 줄기 세포를 방출한다.[39] 출생 후, 혈액 줄기 세포의 형성은 적색 골수로 이동한다. 2~5일 후, 제대 정맥과 정맥관은 막히고, 전자는 간 원인대가 되고, 후자는 정맥 인대가 된다.[39] 의학적 질환인 간경변과 문맥 고혈압에서는 제대 정맥이 다시 열릴 수 있다.
4. 기능
간은 쓸개즙을 생산하여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돕는다. 물질 저장, 요소·요산 등의 노폐물 생성, 음식물과 함께 흡수된 유독 물질의 해독 작용 등, 여러 가지 물질의 합성과 분해가 일어나므로, '몸 속의 화학 공장'이라 불릴 만큼 중요하다. 파악된 기능만 500종류 이상이다.[101]
간의 다양한 기능은 간세포에 의해 수행된다. 현재 모든 간 기능을 재현할 수 있는 인공 장기나 장치는 없다. 일부 기능은 간부전에 대한 실험적 치료법인 간 투석으로 수행할 수 있다.[101] 간은 휴식 시 총 신체 산소 소비량의 약 20%를 차지한다.
간은 부위에 따른 기능 분화가 적고 재생 능력이 강해, 일부 손상이 있어도 증상으로 나타나기 어렵다. 자각 증상이 적어 '침묵의 장기'라고 불린다.
간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4. 1. 혈액 공급
간은 간동맥과 문맥으로부터 이중으로 혈액 공급을 받는다. 문맥정맥은 간 혈액 공급의 약 75%를 전달하며 비장, 위장관 및 관련 장기에서 배출된 정맥혈을 운반한다. 간동맥은 간에 동맥혈을 공급하여 나머지 4분의 1의 혈류를 차지한다. 산소는 두 공급원 모두에서 공급된다. 간의 산소 요구량의 약 절반은 문맥정맥에 의해 충족되고, 나머지 절반은 간동맥에 의해 충족된다.[45] 간동맥은 알파 및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모두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동맥을 통한 혈류는 자율 신경계의 내장 신경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어된다.혈액은 간 동모관을 통해 흐르고 각 소엽의 중심 정맥으로 비워진다. 중심 정맥은 간에서 나와 하대정맥으로 배출되는 간 정맥으로 합쳐진다.[46]
4. 2. 담즙 흐름
담도는 간에서 분비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운반되는 경로이다. 간에서 생성된 담즙은 인접한 간세포 표면 사이의 작은 홈인 담세관에 모인다. 담세관은 간 소엽의 가장자리로 방사형으로 뻗어나가 합쳐져 담관을 형성한다. 간 내부의 이러한 관을 간내 담관이라고 하며, 간에서 빠져나오면 간외 담관으로 간주된다. 간내 담관은 결국 오른쪽 및 왼쪽 간관으로 배출되며, 이 관은 횡열에서 간을 나와 합쳐져 총 간관을 형성한다. 담낭관은 담낭에서 나와 총 간관과 합쳐져 총담관을 형성한다.[46]담즙은 총담관을 통해 직접 십이지장으로 배출되거나, 담낭관을 통해 일시적으로 담낭에 저장된다. 총담관과 췌관은 파터 팽대부라고도 알려진 간췌 팽대부에서 십이지장의 두 번째 부분으로 함께 들어간다. 총담관은 파이터 팽대부 앞에서 췌관과 합류하여 십이지장과 연결된다.
4. 3. 대사
간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대사의 중심 기관이다.- 중간 대사: 아미노산, 지방산을 분해한다. 당은 글리코겐으로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방출한다. 이 작용은 이자에서 분비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에 의해 조절된다.
- 약물 대사 및 알코올 대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흡수되거나 생성된 경우 이물질을 무해한 것으로 변화시킨다.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암모니아는 독성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적은 요소 및 요산으로 변환된다.
- 케톤체 합성: 기아 상태 등 포도당이 부족할 때 대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 조혈 기능: 골수에서의 조혈이 시작되기 전까지, 간과 비장에서 조혈이 이루어진다. 사람의 경우, 출생 후에는 간에서 조혈되는 일은 없지만, 어떠한 이유로 골수에서의 조혈이 장애를 받으면 간에서 조혈이 나타날 수 있다(수외 조혈).
- 철 흡수 조절: 간에서 생산되는 펩타이드 호르몬의 일종인 헵시딘은 철 대사를 제어한다. 헵시딘은 장으로부터 철이 과도하게 흡수되는 것을 억제한다. 헵시딘 생산 장애는 철 과잉증을 일으킨다.
- 콜레칼시페롤(비타민 D)을 활성형 비타민 D인 칼시페디올로 대사한다.
- 안지오텐시노겐을 생산한다.
- 에스트로겐(여성 호르몬)을 조절한다. 남성의 경우, 여성 호르몬을 제거한다.
요약하면, 간은 글리코겐 형태로 포도당을 저장하고, 혈장 단백질을 합성하며, 약물을 해독하는 등 다양한 대사 기능을 수행한다.
4. 3. 1. 탄수화물 대사
간은 탄수화물 대사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글리코겐 합성 및 저장: 간은 글리코젠 생성을 통해 포도당으로부터 글리코겐을 합성하여 약 100g 정도 저장한다.
- 글리코겐 분해: 필요시 간은 글리코겐 분해를 통해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혈액으로 방출한다.[47]
- 포도당 신생성: 간은 특정 아미노산, 젖산, 글리세롤로부터 포도당을 합성한다. 지방 세포와 간 세포는 지방 분해로 글리세롤을 생성하며, 간은 이를 포도당 신생성에 사용한다.[47]
- 글리코겐 신생성: 간은 젖산으로부터 글리코겐을 합성한다.[48]
- 포도당 농도 유지: 혈액 중 포도당 농도에 따라,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저장하거나, 저장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변환하여 혈액 중으로 방출함으로써, 포도당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 코리 회로: 근육 등으로부터 혈류를 타고 운반되어 온 젖산으로부터 포도당을 재합성한다.
4. 3. 2. 단백질 대사
간은 단백질 대사의 핵심 기관으로, 감마 글로불린을 제외한 대부분의 혈장 단백질을 합성한다.[49] 알부민과 혈액 응고에 필요한 I 인자 (피브리노겐), II 인자 (프로트롬빈), V 인자, VII 인자, VIII 인자, IX 인자, X 인자, XI 인자, XII 인자, XIII 인자를 비롯하여 단백질 C, 단백질 S, 항트롬빈 등 다양한 응고 인자들이 간에서 만들어진다. 또한 간은 골수에서 혈소판 생성을 조절하는 당단백질 호르몬인 트롬보포이에틴의 주요 생산 기관이다.[50] 이외에도 아미노산 합성의 상당 부분을 담당한다.4. 3. 3. 지질 대사
간은 지질 대사에서 여러 역할을 수행한다. 콜레스테롤 합성, 지방 생성, 트리글리세리드 생산을 하며, 신체 내 지단백질의 대부분은 간에서 합성된다. 간은 지방 유화와 식이 요법에서 비타민 K의 흡수를 돕는 담즙(황색 액체)을 생성하고 배설하므로 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담즙의 일부는 십이지장으로 직접 배출되고 일부는 담낭에 저장된다.- 지질의 대사: 지질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만든다[104]. 담즙산은 콜레스테롤의 대사 산물이다[104].
- 콜레스테롤(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성 호르몬이나 부신 피질 호르몬의 원료)의 생합성: 콜레스테롤의 대부분은 간에서 합성된다.
4. 4. 분해
간은 빌리루빈, 암모니아, 약물 등 다양한 물질을 분해하고 배설하는 역할을 한다.- 빌리루빈 분해: 간은 헤모글로빈의 헴에서 철을 제거한 빌리루빈을 글루쿠론산화를 통해 분해하여 쓸개즙으로 배출한다.[51] 헴의 분해물인 간접 빌리루빈을 글루쿠론산 포합에 의해 직접 빌리루빈으로 만들어 담즙으로 분비한다.
- 암모니아 분해: 간은 단백질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독 물질인 암모니아를 오르니틴 회로를 통해 독성이 적은 요소로 전환하여 소변으로 배설한다.[51]
- 약물 분해: 간은 약물 대사 과정을 통해 독성 물질과 대부분의 의약품을 분해하거나 변형한다.[51] 이 과정에서 대사 산물이 전구체보다 더 독성을 띨 수도 있다. 독소는 이종 생체 물질 접합을 통해 담즙이나 소변으로 배설된다.
- 기타 호르몬 분해: 인슐린 및 기타 호르몬의 분해를 담당한다.
4. 5. 혈액 저장
간은 확장 가능한 기관으로, 다량의 혈액을 저장할 수 있다. 간 정맥과 간 동맥을 포함한 정상적인 혈액량은 약 450ml로, 신체 전체 혈액량의 거의 10%에 해당한다. 우심방의 높은 압력이 간에 역압을 유발하면 간이 팽창하여 때때로 0.5~1리터의 추가 혈액이 간 정맥과 동맥에 저장된다. 이는 특히 말초 울혈을 동반한 심부전 시에 발생한다. 따라서 간은 과도한 혈액량 시에는 귀중한 혈액 저장소 역할을 하고, 혈액량 감소 시에는 추가 혈액을 공급할 수 있는 크고 확장 가능한 정맥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4. 6. 림프 생성
간 동맥 모세혈관의 구멍은 투과성이 매우 높아 액체와 단백질이 모두 동맥주위 공간으로 쉽게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간에서 배출되는 림프는 보통 혈장 단백질 농도보다 약간 낮은 6 g/dl 정도의 단백질 농도를 가진다.또한, 간 동맥 모세혈관 상피의 높은 투과성은 많은 양의 림프가 생성되도록 한다. 휴식 상태에서 신체에서 생성되는 림프의 약 절반이 간에서 생성된다.
4. 7. 기타 기능
- 간은 비타민 A(1~2년 분량), 비타민 D(1~4개월 분량),[53] 비타민 B12(3~5년 분량),[54] 비타민 K, 비타민 E, 철, 구리, 아연, 코발트, 몰리브덴 등 다양한 물질을 저장한다.
- 조혈 - 혈액 세포의 형성을 조혈이라고 한다. 배아 단계에서 적혈구와 백혈구는 간에서 생성된다. 임신 초기 3개월 동안 간은 적혈구 생성의 주요 부위이다. 임신 32주가 되면, 골수가 그 역할을 거의 완전히 넘겨받는다.[55]
- 간은 혈액 정화에 도움을 준다. 간의 쿠퍼 세포는 식세포로서, 혈액으로부터 죽은 혈구와 박테리아를 식작용하는 데 도움을 준다.[56]
- 간은 면역학적 효과를 담당한다 – 간의 단핵구 식세포계는 면역학적으로 활성적인 많은 세포를 포함하고 있으며, 간문맥을 통해 간으로 운반되는 항원에 대한 '체' 역할을 한다.
- 간은 알부민을 생성하는데, 이는 혈장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이다. 알부민은 교질 삼투압 유지에 필수적이며, 지방산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운반체 역할을 한다.
- 간은 레닌에 의해 활성화될 때 혈압을 높이는 호르몬인 안지오텐시노겐을 합성한다. 레닌은 사구체 옆 장치가 저혈압을 감지할 때 방출되는 효소이다.
- 간은 독성 산화제인 과산화 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 효소인 카탈라아제를 생성한다.
- Hepcidin영어은 간에서 생산되는 일종의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철 대사 제어를 하고 있다. 헵시딘은 장으로부터의 철의 과도한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헵시딘 생산 장애는 철 과잉증을 일으킨다.[104]
- 간은 비타민 D를 활성형 비타민 D인 칼시페디올로 대사한다.
- 간은 안지오텐시노겐을 생산한다.
- 간은 에스트로겐(여성 호르몬)을 조절한다. 남성의 경우, 여성 호르몬을 제거한다.
5. 임상적 중요성
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관이지만, 전략적 위치와 다차원적 기능으로 인해 여러 질병에 취약하다.[57] 복강에서 흉강으로 감염이 확산되기 쉬운 위치에 있다.
간염은 간에 염증이 생기는 흔한 질환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간염이며,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D형 간염, E형 간염 등이 있다. 이 중 일부는 성병이기도 하다.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감염은 간암의 주요 원인이다.[59]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4,800만 명이 B형 간염에, 1억 4,200만 명이 C형 간염에 만성적으로 감염되어 있다.[60][61]
간성 뇌증은 간에서 제거해야 할 독소가 혈류에 축적되어 발생하며, 혼수상태를 유발하고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버드-키아리 증후군은 간 정맥의 혈관 폐쇄로 인해 발생하며, 복통, 복수, 간 비대 등의 증상을 보인다.[65] 많은 간 질환에는 황달이 동반되는데, 이는 빌리루빈 수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알코올성 간 질환을 유발하며, 알코올성 간염, 지방간, 간경변 등이 이에 속한다. 간 손상은 약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아세트아미노펜과 암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 간독성을 가질 수 있다.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은 간의 자가면역 질환이다.[66][67] 간의 작은 담관이 서서히 파괴되는 특징을 가지며, 흉터(섬유증)와 간경변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간경변은 문맥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담도 폐쇄증,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 등 많은 소아 간 질환이 있으며, 유전 질환인 다낭성 간 질환은 일반적으로 후기에 발생하며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간은 재생 능력이 뛰어나지만, 광범위한 손상 후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간 비대는 간이 비대해지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규칙적인 카페인 섭취는 간경변을 예방하고 간 질환 진행을 늦추며, 간 섬유증 및 간암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9][70]
5. 1. 질병
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관이지만, 전략적인 위치와 다차원적인 기능 때문에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다.[57] 간의 노출된 부위는 복강에서 흉강으로 감염이 확산되기 쉬운 부위이다.간염은 간에 염증이 생기는 흔한 질환이다. 바이러스 간염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D형 간염, E형 간염 등이 있다. 이 중 일부는 성병이기도 하다.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감염은 간암의 주요 원인이다.[59]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4,800만 명이 B형 간염에, 1억 4,200만 명이 C형 간염에 만성적으로 감염되어 있다.[60][61]
간성 뇌증은 간에서 제거해야 할 독소가 혈류에 축적되어 발생하며, 혼수상태를 유발하고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버드-키아리 증후군은 간 정맥의 혈관 폐쇄로 인해 발생하며, 복통, 복수, 간 비대 등의 증상을 보인다.[65] 많은 간 질환에는 황달이 동반되는데, 이는 빌리루빈 수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알코올성 간 질환을 유발하며, 알코올성 간염, 지방간, 간경변 등이 이에 속한다. 간 손상은 약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아세트아미노펜과 암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 간독성을 가질 수 있다.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은 간의 자가면역 질환이다.[66][67] 간의 작은 담관이 서서히 파괴되는 특징을 가지며, 흉터(섬유증)와 간경변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간경변은 문맥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담도 폐쇄증,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 등 많은 소아 간 질환이 있으며, 유전 질환인 다낭성 간 질환은 일반적으로 후기에 발생하며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간은 재생 능력이 뛰어나지만, 광범위한 손상 후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간 비대는 간이 비대해지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규칙적인 카페인 섭취는 간경변을 예방하고 간 질환 진행을 늦추며, 간 섬유증 및 간암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9][70]
간 질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지방간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NASH)
- 간경변
-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PBC)
- 간염
- 바이러스성 간염
- 알코올성 간염
- 자가면역성 간염
- 간암
- 간세포암
- 담관세포암
- 전이성 간암
- 혈색소침착증
-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PSC)
- 간 렌즈 핵 변성증
- 감염증
- 에키노코쿠스증
- 간 농양
- 일본 주혈흡충증 등
간 기능이 저하되면 생체 내 물질 합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노폐물 및 유해 물질 분해가 늦어지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중증 간 장애 환자는 약물 사용에 신중해야 하며, 간부전은 치명적일 수 있다.
5. 1. 1. 증상
간 질환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71]- 스테르코빌린이 없을 때 옅은 변이 나타난다. 스테르코빌린은 간에서 생성된 빌리루빈 대사 산물에서 유래한다.
- 빌리루빈이 소변과 섞이면 소변이 어두워진다.
- 황달(피부 및/또는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함)은 빌리루빈이 피부에 축적되어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경우이다. 가려움증은 간 부전 환자가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이다.
- 복수로 인한 복부 팽만 및 발목과 발의 부종은 저알부민혈증으로 인해 간이 알부민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 과도한 피로는 영양 결핍, 식이 미네랄, 비타민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 멍 및 출혈이 쉽게 일어나는 것 또한 간 질환의 특징이다. 간은 출혈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물질인 응고 인자를 생성하는데, 간 손상이 발생하면 이러한 인자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아 심각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 간염 및 자간전증과 같은 질환에서 글리슨 피막이 늘어나면서 오른쪽 윗부분 사분면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5. 1. 2. 진단
간 질환은 간 기능 검사라는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다양한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57] 예를 들어, 부상이나 염증이 있을 때 간에서 생성되는 급성기 반응 단백질 수치를 확인한다. 감염이 의심되면 다른 혈청 검사를 시행한다. 간에 대한 신체 검사로는 크기와 압통 여부만 알 수 있으며, 초음파나 CT 스캔 같은 의학 영상 검사도 필요할 수 있다.경우에 따라 간 생검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는 늑골 바로 아래 피부에 바늘을 삽입하여 조직 샘플을 채취하는 방법이다. 이 시술은 중재적 방사선과 전문의에게 초음파 지침을 제공하는 초음파 검사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72]
지방간이나 간염에서는 알라닌 아미노기 전이 효소(ALT 또는 GPT), 아스파르트산 아미노기 전이 효소(AST 또는 GOT)의 혈중 농도가 상승하는 것이 관찰되며, 이러한 혈중 농도 측정이 진단에 사용된다.
5. 2. 간 재생
간은 손실된 생물학적 조직을 자연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유일한 인간의 내부 장기이다. 간의 25%만 있어도 전체 간으로 재생될 수 있다.[74] 그러나 이것은 진정한 재생이 아니라 포유류의 보상 성장이다.[75] 제거된 엽은 다시 자라지 않으며 간의 성장은 원래 형태가 아닌 기능의 회복이다. 이것은 원래의 기능과 형태가 모두 회복되는 진정한 재생과는 대조적이다. 제브라피쉬와 같은 다른 종에서는 간이 기관의 모양과 크기를 모두 복원하여 진정한 재생을 겪는다.[76] 간에서는 조직의 넓은 부위가 형성되지만 새로운 세포 형성을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물질이 있어야 혈액 순환이 더 활발해진다.[77]이것은 주로 간세포가 세포 주기에 다시 진입하기 때문이다. 즉, 간세포는 휴지기 G0기에서 G1기로 이동하여 유사 분열을 겪는다. 이 과정은 p75 수용체에 의해 활성화된다.[78] 또한 이중 전위 줄기 세포에 대한 증거도 있는데, 이를 간 난형 세포 또는 난원 세포(난원 세포증의 타원형 적혈구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라고 하며, 헤링관에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이 세포는 간세포 또는 담관세포로 분화될 수 있다. 담관세포는 담도의 상피 내벽 세포이다.[79] 이들은 작은 소엽 간 담관에서는 입방 상피이지만, 간문부와 간외 담도에 접근하는 더 큰 담관에서는 원주형이 되고 점액을 분비한다. 인공 간을 생성하기 위해 줄기 세포를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간 재생에 대한 과학 및 의학 연구는 종종 그리스의 티탄 프로메테우스를 언급하는데, 그는 코카서스의 바위에 묶여 매일 그의 간이 독수리에게 먹히고 밤마다 다시 자라났다. 이 신화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간의 놀라운 자가 수복 능력을 알고 있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80]
손상된 간은 재생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간 손상이 비가역적이고 자기 재생이 불가능해진 경우에는 간 이식이 시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인간의 장기와는 달리, 간은 재생 능력이 강하여, 일부를 잘라내더라도 체내에 충분한 크기의 간이 남아있고, 남아있는 간이 건강하다면 원래 크기로 되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생체 간 이식이 시행되기도 한다. 다만, 어느 경우든 타크로리무스와 같은 면역 억제제를 수용 환자에게 사용하더라도 어느 정도 HLA 형이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는 등 간 이식에는 다양한 조건이 존재한다.
5. 3. 간 이식
간 이식은 되돌릴 수 없는 간 부전 환자에게 유일한 치료법이다. 대부분의 이식은 만성 C형 간염, 알코올 중독, 자가면역 간염과 같이 간경변을 유발하는 만성 간 질환을 위해 수행된다. 덜 흔하게는, 간 부전이 며칠 또는 몇 주에 걸쳐 빠르게 발생하는 전격성 간부전에 간 이식을 시행한다.[81]장기 이식을 위한 간 동종이식편은 일반적으로 치명적인 외상성 뇌 손상으로 사망한 기증자로부터 얻는다. 생체 간 기증은 살아있는 사람의 간 일부를 제거(간 절제술)하여 수혜자의 전체 간을 대체하는 기술이다. 이것은 1989년 소아 간 이식을 위해 처음 수행되었다. 성인 간의 20%(쿠이노 분절 2와 3)만 유아 또는 어린이를 위한 간 동종이식편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하다.
기증자의 오른쪽 간엽을 사용하여 성인 간 이식을 성인에게 시행하기도 하는데, 이는 간의 60%에 해당한다. 간의 재생 능력 때문에, 모든 것이 잘 진행되면 기증자와 수혜자 모두 정상적인 간 기능을 갖게 된다.
최근 비침습적 영상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생체 간 기증자는 일반적으로 기증에 적합한 해부학인지 결정하기 위해 간 해부학에 대한 영상 검사를 받아야 한다. 평가는 일반적으로 다중 검출기 열 컴퓨터 단층 촬영술 (MDCT) 및 자기 공명 영상 (MRI)으로 수행된다. MDCT는 혈관 해부학 및 부피 측정에 적합하다. MRI는 담도 해부학에 사용된다.
6. 사회와 문화
여러 문화권에서 간은 영혼, 감정, 용기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한국 속담에는 '간이 콩알만해지다'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몹시 두려워지거나 무서워지는 상황을 묘사한다. 또한, '벼룩의 간(선지)을 빼먹다'라는 속담은 아주 작거나 인색한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거나, 극히 적은 이익도 악착같이 뜯어가는 행태를 나타낸다. '애가 탄다'라는 표현에서 '애'는 순우리말로 간을 의미한다.[15]
그리스 신화에서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의 분노를 사 코카서스 산에 묶여 매일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는 벌을 받았다. 프로메테우스는 신이기 때문에 간은 다음 날 재생되었는데, 이는 실제로 간이 상당한 정도로 자체 재생이 가능한 유일한 인간 내부 장기이기 때문이다. 고대 근동 및 지중해 지역의 많은 사람들은 점술의 일종인 내장점술 또는 간점술을 행하여 양과 기타 동물의 간을 검사하여 정보를 얻으려 했다.[82]
플라톤과 후대의 생리학에서는 간을 인간을 행동하게 만드는 가장 어두운 감정(특히 분노, 질투, 탐욕)의 자리로 여겼다.[83] 탈무드 (문서 ''브라코트 61b'')는 간을 분노의 자리로 언급하며, 쓸개가 이를 억제한다고 설명한다.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힌디어 (جگرur 또는 जिगरhi 또는 )에서는 비유적으로 간을 용기와 강한 감정, 또는 "최고"를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 메카가 당신에게 간 조각을 던져주었다!"[84] 라는 용어는 문자적으로 "내 간의 힘(힘)"이라는 뜻으로, 우르두어에서 애정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페르시아 속어에서 는 매력적인 대상, 특히 여성을 묘사하는 형용사로 사용된다. 줄루어에서 간을 뜻하는 단어 (isibindizu)는 용기를 뜻하는 단어와 같다. 영어에서 'lily-livered'라는 표현은 간이 용기의 자리라는 중세 시대의 믿음에서 유래하여 비겁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스페인어 hígadoses 또한 "용기"를 의미한다.[85]
과거 일본에서는 매독, 나병, 결핵 등에 대한 약효가 있다고 하는 민간 요법이 존재했으며, 주로 남성의 형사(刑死)한 시체의 간을 소금에 절인 것이 '뇌 된장의 검은 구이'나 '인유(사람 기름)'보다 높은 가격에 팔렸다. 야마다 아사에몬의 전매로 '인단', '인담환' 등으로 불렸다. 환약으로 재첩 껍질보다 약간 많은 정도의 조개 껍질 한 컵 정도가 메이지 시대 초년에 5엔이나 했다. 1870년 4월 15일, 판매가 금지되었다.
복싱 등 격투기에서는 간을 노리고 치는 펀치를 '레버 블로우'라고 부른다. 바디 블로우의 일종인데, 명치는 복직근을 단련함으로써 데미지를 줄이기 쉽지만, 레버 블로우는 단련하기 어려운 옆구리를 노리기 때문에 효과가 크다. 간에 맞는 부분에 타격을 받으면 둔한 통증과 격렬한 고통을 느낀다.
6. 1. 음식
인간은 일반적으로 포유류, 가금류, 생선의 간을 음식으로 섭취한다. 돼지, 소, 양, 송아지, 닭, 거위의 간은 정육점과 슈퍼마켓에서 널리 구할 수 있다. 동물의 간은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B12가 풍부하며, 대구 간유는 일반적으로 식이 보충제로 사용된다.[90]
간은 굽거나, 삶거나, 튀기거나, 볶거나, 날것으로 먹을 수 있다(''아스베 나이에'' 또는 레바논 요리의 ''소다 나이에'', 또는 일본 요리의 간 사시미). 많은 요리법에서 간 조각은 메우라브 예루살미와 같이 고기나 신장 조각과 함께 사용된다. 잘 알려진 예로는 간 파테, 푸아그라, 다진 간, 레버파스테이가 있다. 간 소시지인 브라운슈바이거와 리버부르스트도 귀한 음식이다. 간 소시지는 스프레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전통적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별미인 스킬파드지는 다진 양 간을 ''네트펫''(배지방)으로 감싸서 숯불에 구워 만든다. 전통적으로 일부 생선 간은 음식으로 가치가 있었는데, 특히 가오리 간이 그러했다. 이는 영국에서 구운 가오리 간을 토스트에 올린 것과 프랑스 요리의 ''베그네 드 푸아 드 레이''와 ''푸아 드 레이 앙 크루트''와 같은 별미를 준비하는 데 사용되었다.[91]
소, 돼지, 닭 등의 간은 레버라고 불리며, 식재료로 사용된다. 세계 3대 진미 중 하나인 푸아그라는 거위나 오리에게 대량의 먹이를 주어 비대하게 만든 간이다. 또한 어류(아귀 등)・연체 동물(오징어 등)의 간도 식용으로 한다. 무척추 동물의 몇몇 무리에도 유사한 기관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중장선이라고 불린다. 게 내장 등도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퓨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다량 섭취는 통풍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102] 또한, 비타민 A가 다량 축적되어 있는 북극곰이나 능성어의 간이나, 테트로도톡신이 축적되어 있는 복어의 간처럼, 먹으면 위험한 것도 있다.
6. 2. 기린 간

Humr는 수단 남서부 코르도판이 원산지이며 ''Shuwa'' (차드 아랍어)를 사용하는 Baggara 민족 집단의 부족 중 하나이다. 이들은 기린의 간과 골수로 비알코올성 음료를 만들어 ''umm nyolokh''라고 부른다. 이들은 이 음료가 술에 취하게(아랍어 سكران ''sakran'') 하여 꿈을 꾸게 하고 심지어 깨어 있는 환각을 일으킨다고 주장한다.[92]
인류학자 이언 커니슨은 1950년대 후반 Humr족의 기린 사냥 원정에 동행했는데, 그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사람이 ''umm nyolokh''를 마시면 기린에게 다시 돌아간다고 한다. 마흐디스트인 Humr족은 엄격한 금주주의자 [알코올]이며 Humrawi는 술이나 맥주에 취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그는 ''umm nyolokh''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묘사하기 위해 이 단어를 사용한다.[93]
커니슨의 주목할 만한 이야기는 옥스퍼드 대학교 사회 문화 사회 인류학 연구소의 W. 제임스와 사회 내 환각제 및 흥분제 사용 전문가 R. 러들리의 대화를 통해 주류 문헌으로 퍼져나갔다. 러들리는 자신의 저서에서 기린 간에 있는 환각성 화합물 N,N-Dimethyltryptamine이 ''umm nyolokh''가 주장하는 취하게 하는 특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92]
반면에 커니슨은 1958년에 이 음료가 취하게 한다는 Humr족의 주장의 문자적 진실을 믿기 어렵다고 생각했다.
:나는 이 음료에 취하게 하는 물질이 없고, 그 효과는 단순히 관습의 문제이며, 비록 그것이 잠재의식적으로 야기될 수 있을지라도 그렇게 가정할 수 밖에 없다.[93]
환각성 어류 및 두꺼비 독과 같은 동물 기원의 엔테오겐 연구는 커니슨의 보고 이후 6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기린 간에 어떤 취하게 하는 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은 커니슨에게 생각했던 것만큼 터무니없는 일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증명(또는 반증)은 이 기관과 그것으로 만든 음료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기다리고 있다.[92]
6. 3. 화살/총알 독
과거 동북아시아의 일부 퉁구스계 민족들은 썩은 동물의 간으로 만든 일종의 화살 독을 사용했으며, 이는 후대에는 탄환에도 사용되었다.[94] 러시아 인류학자 S. M. 시로코고로프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과거에는 독화살의 사용이 흔했다. 예를 들어, 오로첸족의 하위 집단인 쿠마르첸족의 경우, 최근까지 썩은 간으로 만든 독을 사용했다.
: 이는 쿠마르첸족에 의해 확인되었다. 나는 폭발열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 독의 화학적 제조 조건에 대해 판단할 자격이 없다. 그러나 퉁구스족 스스로는 이 방법(탄약에 독을 바르는 것)을 화살에 독을 바르는 것과 비교한다.[94]
7. 기타 동물
간은 모든 척추동물에서 발견되며, 일반적으로 가장 큰 내부 장기이다. 간의 내부 구조는 모든 척추동물에서 광범위하게 유사하지만, 형태는 종에 따라 상당히 다르며, 주변 장기의 모양과 배열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종에서 간은 우엽과 좌엽으로 나뉜다. 뱀은 이러한 일반적인 규칙에서 예외인데, 뱀의 신체 형태는 단순한 담배 형태를 필요로 한다.[95]
신생 유대류에서는 혈구 생성을 담당한다.[41][44][96][43]
무척추동물의 몇몇 무리에도 간과 유사한 기관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중장선이라고 불린다. 게 내장 등도 이에 해당한다.
7. 1. 창고기 간
때때로 간이라고 불리는 기관은 원시 척추동물인 창고기의 소화관과 연관되어 있다. 비록 간의 많은 기능을 수행하지만, "진정한" 간으로 간주되지 않고 척추동물의 간과 상동 기관으로 여겨진다.[97][98][99] 창고기의 간 맹장은 비텔로제닌, 항트롬빈, 플라스민노겐,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 인슐린/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를 생성하는 간 특이 단백질이다.[100]참조
[1]
서적
Essentials of Human Physiology
[2]
간행물
The Structure of the Liver in Vertebrates
1952-07-01
[3]
간행물
Liver Anatomy
[4]
웹사이트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liver – Canadian Cancer Society
http://www.cancer.ca[...]
Cancer.ca
2015-06-26
[5]
서적
Principles of Anatomy and Physiology
John Wiley & Sons
[6]
서적
Human Biology and Health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7]
서적
Hepatology: A Textbook of Liver Disease
[8]
웹사이트
VA.gov {{!}} Veterans Affairs
https://www.hepatiti[...]
2024-07-15
[9]
웹사이트
Function of the Liver
https://www.upmc.com[...]
2024-07-15
[10]
EMedicine
Liver Anatomy
[11]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https://archive.org/[...]
Elsevier Saunders
[12]
웹사이트
Enlarged liver
http://www.mayoclini[...]
2017-03-29
[13]
간행물
Normal Organ Weights in Men
[14]
간행물
Normal Organ Weights in Women
[15]
웹사이트
Etymology online hepatic
http://etymonline.co[...]
2013-12-12
[16]
웹사이트
Anatomy of the Liver
http://www.liver.co.[...]
Liver.co.uk
2015-06-26
[17]
서적
Transplantation of the Liver
Elsevier
[18]
웹사이트
Cantlie's line | Radiology Reference Article
http://radiopaedia.o[...]
Radiopaedia.org
2015-06-26
[19]
서적
Hepatology: Textbook and Atlas
Springer
[20]
서적
Textbook of Anatomy with Colour Atlas
Jaypee Brothers
[21]
서적
Last's Anatomy: Regional and Applied
Elsevier
[22]
서적
Surgical Anatomy and Technique
[23]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Wolters Kluwer
2018
[24]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Wolters Kluwer
2018
[25]
웹사이트
Mickey Mouse sign
https://med.emory.ed[...]
2020-07-31
[26]
서적
Human Phys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7]
서적
Cooperation of Liver Cells in Health and Disease
[28]
간행물
Anatomy of the hepatic hilar area: the plate system
2000
[29]
웹사이트
Couinaud classification | Radiology Reference Article
http://radiopaedia.o[...]
Radiopaedia.org
2015-06-26
[30]
웹사이트
Three-dimensional Anatomy of the Couinaud Liver Segments
http://dpi.radiology[...]
2009-02-17
[31]
간행물
Limitations and pitfalls of Couinaud's segmentation of the liver in transaxial Imaging
[32]
웹사이트
The Radiology Assistant : Anatomy of the liver segments
http://www.radiology[...]
Radiologyassistant.nl
2015-06-26
[33]
웹사이트
The human proteome in liver – The Human Protein Atlas
https://www.proteina[...]
2017-09-21
[34]
간행물
Tissue-based map of the human proteome
2015-01-23
[35]
간행물
The human liver-specific proteome defined by transcriptomics and antibody-based profiling
2014-07-01
[36]
서적
Developmental Biology
https://www.ncbi.nlm[...]
Sinauer Associates
2017-09-04
[37]
논문
Beta-catenin signaling in hepatic development and progenitors: which way does the WNT blow?
[38]
논문
β-catenin regulates mesenchymal progenitor cell differentiation during hepatogenesis
[39]
서적
Anatomy a Regional Atlas of the Human Body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0]
논문
Replacing fishmeal with plant protein in Atlantic salmon (Salmo salar) diets by supplementation with fish protein hydrolysate
2020-03-06
[41]
논문
Development of the immune system and immunological protection in marsupial pouch young
2000-07
[42]
논문
Haematopoiesis in Marsupials
2016-05
[43]
논문
A developmental investigation of the liver, bone marrow and spleen of the stripe-faced dunnart (Sminthopsis macroura)
2004-04
[44]
논문
The lymphoid and immunohaematopoietic tissues of the embryonic brushtail possum (Trichosurus vulpecula)
2003-02
[45]
서적
Pediatric Gastrointestinal Disease
PMPH-USA
[46]
서적
Human Anatomy & Physiology + New Masteringa&p With Pearson Etext
Benjamin-Cummings Pub Co
2012
[47]
서적
Human Anatomy & Physiology + New Masteringa&p With Pearson Etext
Benjamin-Cummings Pub Co
2012
[48]
서적
Encyclopedia of Food Sciences and Nutrition
2003
[49]
논문
Synthesis of all plasma protein fractions except gamma globulins by the liver; the use of zone electrophoresis and lysine-epsilon-C14 to define the plasma proteins synthesized by the isolated perfused liver
1954-02
[50]
논문
The role of the liver in the production of thrombopoietin compared with erythropoietin
[51]
서적
Human Anatomy & Physiology + New Masteringa&p With Pearson Etext
Benjamin-Cummings Pub Co
2012
[52]
논문
Hepatic venous compliance and role of liver as a blood reservoir
1976-08
[53]
웹사이트
Liver
https://www.lecturio[...]
2021-06-23
[54]
웹사이트
If a person stops consuming the vitamin, the body's stores of this vitamin usually take about 3 to 5 years to exhaust
https://www.merckman[...]
2022-08-21
[55]
논문
Haemopoiesis in human fetal and embryonic liver: Immunohistochemical determination in B5-fixed paraffin-embedded tissues
1990-09
[56]
논문
Kupffer Cell Metabolism and Function
2015
[57]
웹사이트
Cirrhosis Overview
http://digestive.nid[...]
National Digestive Diseases Information Clearinghouse
2010-01-22
[58]
논문
The global epidemiology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a systematic review
2023-04-01
[59]
웹사이트
Hepatitis A, B, and C Center: Symptoms, Causes, Tests, Transmission, and Treatments
http://www.webmd.com[...]
Webmd.com
2016-05-10
[60]
논문
Estimations of worldwide prevalence of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of data published between 1965 and 2013
[6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62]
웹사이트
www.hepatitisc.uw.edu
https://www.hepatiti[...]
[63]
웹사이트
WHO | Hepatitis E
https://www.who.int/[...]
[64]
서적
Hepatitis Delta Virus
2006
[65]
논문
Budd-Chiari syndrome in Sweden: epidemiolog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 an 18-year experience
2009-02
[66]
논문
The immunob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primary biliary cirrhosis
2013-01-24
[67]
서적
Clinical Hepatology Principles and Practice of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06-29
[68]
논문
Canals of Hering: Recent Insights and Current Knowledge
[69]
논문
Coffee and liver diseases
https://www.scienced[...]
2010-07-01
[70]
웹사이트
Coffee and your liver FAQs
https://britishliver[...]
2024-09-23
[71]
웹사이트
Extraintestinal Complications: Liver Disease
http://www.ccfa.org/[...]
2010-01-22
[72]
학술지
Who should be performing liver biopsies?
[73]
학술지
Hepatic and portal surface veins: A new anatomic variant revealed during abdominal CT
[74]
서적
Liver Regeneration
2011
[75]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76]
학술지
New school in liver development: Lessons from zebrafish
[77]
서적
Disease and Its Causes
New York Henry Holt and Company London Williams and Norgate The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78]
학술지
p75 Neurotrophin receptor is a marker for precursors of stellate cells and portal fibroblasts in mouse fetal liver
[79]
학술지
Cholangiocyte biology
2006-05
[80]
학술지
The myth of Prometheus and the liver
[80]
학술지
Tityus: A forgotten myth of liver regeneration
[80]
학술지
Whither prometheus' liver? Greek myth and the science of regeneration
[81]
학술지
Living liver donor mortality: where do we stand?
[82]
서적
Myths and Legends of Babylonia and Assyria
Cosimo
2010
[83]
서적
Kundalini – the evolutionary energy in man
https://www.scribd.c[...]
Stuart & Watkins
[84]
웹사이트
The Great Battle Of Badar (Yaum-E-Furqan)
http://www.shawunive[...]
2013-03-19
[85]
서적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https://dle.rae.es/h[...]
ASALE-RAE
2021-07-29
[86]
서적
Diccionario vasco-español-francés ... Dictionnaire basque-espagnol-français ..
Bilbao, Dirección del autor
2021-07-29
[87]
문서
[88]
웹사이트
Kavod - Honor
https://www.ruvik.co[...]
[89]
웹사이트
Kabadu
https://www.assyrian[...]
[90]
웹사이트
Foie
https://larousse.fr/[...]
2019-04-16
[91]
서적
Unmentionable Cuisi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15-06-27
[92]
서적
The Encyclopedia of Psychoactive Substances
Abacus
[93]
학술지
Giraffe hunting among the Humr tribe
[94]
서적
Psychomental Complex of the Tungus
Kegan Paul, Trench, Trubner & Co.
[95]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96]
학술지
A Hist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Lymphoid and Immunohaematopoietic Tissues of the Adult Stripe-Faced Dunnart (Sminthopsis macroura)
2003
[97]
학술지
Amphioxus as a model for investigating evolution of the vertebrate immune system
2015-02
[98]
학술지
Identification, evolution and expression of an insulin-like peptide in the cephalochordate Branchiostoma lanceolatum
[99]
학술지
A novel serpin with antithrombin-like activity in Branchiostoma japonicum: Implications for the presence of a primitive coagulation system
[100]
학술지
Expression, mitogenic activity and regulation by growth hormone of growth hormone / insulin-like growth factor in Branchiostoma belcheri
[101]
웹사이트
人工肝臓
https://www.jsao.org[...]
2021-04-08
[102]
서적
薬と病気
https://books.google[...]
ヘルス・システム研究所
2004-03
[103]
뉴스
マイナビニュース
https://news.mynavi.[...]
[103]
웹사이트
東京大学分子細胞生物学研究所
http://www.u-tokyo.a[...]
2012-07-10
[104]
학술지
2.ヘプシジンの発見とその後の発展
https://doi.org/10.2[...]
日本内科学会
[105]
서적
数値で見る生物学
ジュプリンガー・ジャパン
[106]
사전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107]
서적
Human Biology and Health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영양제 많이 먹으면 간수치 높아질까?
“알코올 한 방울 안 마셨는데”…비만만으로도 간이 망가진다 [건강한겨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