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는 역사, 경제, 군사, 핵 문제, 국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를 겪어왔다. 17세기 나선 정벌을 통해 처음 만난 두 나라는 냉전 시기 소련의 지원과 1961년 상호 우호 협력 및 원조 조약을 통해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북한 지원을 줄였으나, 2000년대 이후 김정일, 김정은과 푸틴 간의 정상회담을 통해 관계를 정상화하려 노력했다. 특히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북한의 군사적 지원과 2024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 체결을 통해 군사 동맹을 복원하며 밀착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소련 붕괴 이전 북한 무역의 60%를 차지하며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2012년 북한 부채 90%를 탕감하는 등 경제 협력을 이어왔다. 핵 문제와 관련하여 러시아는 6자 회담에 참여하고,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했으나, 최근에는 북한에 대한 제재를 완화하는 등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경은 하산 호를 포함한 평야 지대로, 우정의 다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2019년 북러정상회담
    2019년 4월 25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북러정상회담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푸틴 대통령 간의 회담으로,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이 러시아와의 관계 강화를 통해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러시아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및 미국의 역할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주조 러시아 대사관
    주조 러시아 대사관은 1948년 소련이 북한을 승인한 후 평양에 설치된 러시아 연방의 외교 공관으로, 한반도 분단 관련 논의 장소였으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봉쇄 조치가 시행되기도 했다.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관계 개요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러시아
관계 설명북한과 러시아의 관계
북한과 러시아의 위치
북한과 러시아의 위치
외교 관계
북한 대사관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러시아 대사관주조 러시아 대사관
북한 대사신홍철
러시아 대사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역사
국경17km
과거 관계소련-북한 관계
경제 및 군사 협력
군사 협력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포병 무기를 구매
노동자 파견북한 노동자들이 러시아로 복귀 (UN 제재 위반 가능성)
제재UN 제재 위반으로 북한 노동자 300명이 러시아에 파견됨
기타
여론러시아 내 북한에 대한 인기 하락

2. 역사

조선러시아 차르국의 관계는 17세기 청나라의 요청으로 조선군이 러시아군과 충돌한 나선 정벌에서 시작되었다. 19세기 중반 베이징 조약으로 연해주가 러시아 영토가 되면서 양국은 국경을 맞대게 되었고, 많은 조선인들이 연해주로 이주하여 고려인 사회를 형성했다. 19세기 말 조선은 열강의 각축장이 되었고, 조러 수호 통상 조약(1884년) 체결, 고종의 아관파천(1896년) 등 러시아와의 관계가 깊어졌으나, 러일 전쟁 패배로 러시아의 영향력은 약화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부 독립운동 세력이 소련으로 망명했으나, 1921년 자유시 참변으로 타격을 입었고, 1930년대에는 많은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는 비극을 겪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은 한반도 북부를 점령하고 김일성을 중심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수립을 지원했으며, 한국 전쟁 발발에도 깊이 관여했다. 전쟁 후 북한 내 소련파가 숙청되었음에도, 1961년 조소 우호 협조 상호 원조 조약을 통해 냉전기 군사 동맹 관계를 유지했다. 한편, 소련은 대한민국과 적대 관계를 이어가다 서울 올림픽 참가 등을 계기로 관계를 개선하여 1990년 공식 수교했다.

소련 붕괴 후 출범한 러시아 연방은 초기에는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북한과의 군사 동맹 조항이 담긴 기존 조약을 갱신하지 않았다. 2000년 군사 동맹 조항이 삭제된 조러 우호 선린 협력 조약을 체결하며 관계를 재정립했으나, 북한의 핵 개발 문제 등으로 유엔의 대북 제재에 동참하기도 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사회에서 고립된 러시아는 북한과의 관계를 급격히 강화했다. 북한의 대러시아 군수물자 제공 의혹이 제기되었고, 2023년2024년 연이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이 열렸다. 특히 2024년 6월 평양에서 체결된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은 유사시 상호 군사 지원을 명시하여, 냉전 시대의 군사 동맹 관계를 사실상 복원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1. 조선과 러시아의 만남 (17세기~19세기)

조선러시아 차르국의 첫 공식적인 접촉은 군사적 충돌의 형태였다. 17세기 중반, 청나라는 남하하는 러시아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조선에 파병을 요청했고, 이에 조선 효종은 두 차례(1654년, 1658년)에 걸쳐 조총 부대를 파견하여 러시아군과 전투를 벌였다. 이를 나선 정벌이라고 한다.[69]

이후 약 2세기 동안 양국 간의 직접적인 교류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1860년, 청나라가 제2차 아편전쟁에서 패배하고 러시아와 베이징 조약을 체결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이 조약으로 연해주 일대가 러시아 영토로 편입되면서 조선과 러시아는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국경을 직접 맞대게 되었다. 국경이 접하게 되면서 19세기 중반부터 경제적 어려움이나 일제강점기의 수탈을 피해 많은 조선인들이 연해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주한 조선인들과 그 후손들은 이후 고려인이라는 민족 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19세기 말, 조선을 둘러싼 국제 정세는 급변했다. 청나라, 일본 제국, 러시아 제국 등 열강들의 각축장이 된 조선은 외교적 활로를 모색해야 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조선은 1884년 러시아와 조러 수호 통상 조약을 체결하며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는 당시 점증하던 일본과 청나라의 영향력을 견제하려는 의도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듬해인 1885년에는 갑신정변 이후 위기를 느낀 고종과 일부 관료들이 러시아의 군사적 지원과 보호를 얻기 위해 비밀리에 조러 밀약 사건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청나라의 간섭과 내부 반발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다. 1888년에는 양국 간의 육로 교역을 공식화하는 조러 육로 통상 조약이 체결되었다.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종은 1896년 2월, 왕세자(훗날 순종)와 함께 비밀리에 경복궁을 떠나 주한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는 아관파천을 단행했다. 약 1년간 이어진 아관파천 시기 동안 조선의 주요 정책 결정에 러시아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했으며, 이는 조선 내 러시아의 영향력을 급격히 증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동시에 조선의 자주성이 심각하게 훼손되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한반도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지자 일본은 이를 경계하며 러시아와 협상을 시도했다. 1896년 5월,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 대관식에 참석한 일본 특사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러시아 외무장관 알렉세이 로바노프는 야마가타-로바노프 협정을 맺어 한반도 문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로 합의했다. 이어 1898년에는 일본의 니시 도쿠지로 외무대신과 주일 러시아 공사 로만 로젠이 웨베르-로젠 협정을 체결하여 조선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고, 조선이 원조를 요청할 경우 상호 협의 하에 결정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이러한 협정들은 한반도를 둘러싼 러시아와 일본의 잠재적인 갈등을 봉합하기 위한 임시방편에 불과했으며, 양국의 세력 다툼은 이후 러일 전쟁으로 이어지게 된다.

2. 2. 일제강점기와 소련 (20세기 초~1945년)

러일 전쟁(1904년-1905년)에서 러시아 제국이 패배하고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면서, 결국 한일 강제 병합으로 이어져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 일제의 탄압을 피해 소련으로 망명한 조선의 독립운동가들과 무장 세력(의병)들이 활동했다.

그러나 이들은 1921년 자유시 참변이라는 비극을 겪었다. 독립군 내부 파벌("이르쿠츠크파", "상하이파" 등) 간의 주도권 다툼과 함께, 무장 해제를 요구하는 소련 붉은 군대와의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많은 독립군이 희생되고 독립운동 세력이 크게 약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1930년대에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소수민족 정책에 따라 연해주 등에 거주하던 많은 고려인들이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의 척박한 지역으로 강제로 이주당하는 시련을 겪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고려인들이 목숨을 잃거나 큰 고통을 받았다.

2. 3. 냉전 시대 (1945년~1991년)

1945년 평양에서 붉은 군대 환영식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일본 제국이 패망한 한반도의 북위 38선 이북 지역을 점령하였다. 1945년부터 1948년까지 이 지역은 소련 민정청과 북조선인민위원회의 통치 하에 있었으며, 소련은 항일 유격대 출신 김일성을 지도자로 내세워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수립을 지원했다. 북한은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점령군 철수를 요구했고, 이에 따라 주둔 소련군은 1948년 12월 시베리아로 철수했다. 그러나 소련 정부는 철군 이후의 구체적인 군사 계획을 비밀리에 수립하기 위해 모스크바에서 군 수뇌 회담을 개최했다. 이 회의에는 김일성을 비롯한 북한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위 군부 대표도 참석했으며, '모스크바 계획'이라 불리는 이 전쟁 준비 계획은 만주의 조선인 의용군 부대를 북한으로 귀국시켜 5개 사단을 창설하고, 추가로 8개 전방 사단, 8개 예비 사단, 2개 기갑 사단(탱크 500대 보유)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49년 2월, 스탈린은 북한 정권 수립 후 처음으로 김일성박헌영을 모스크바로 초청하여 소련군 철수 후의 군사 공백 문제와 한반도 정세를 논의했다. 이 방문 기간 중인 3월 17일, 북한 대표단은 일반적인 '우호 방위 조약' 대신 '조·소 경제·문화 협정'을 체결했는데, 이는 향후 발생할 한국 전쟁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소련의 의도라는 해석도 있다.[83]

한국 전쟁 발발 이전, 북한의 남침 계획에 대한 소련의 입장은 신중했다. 1949년 8월 27일, 북한 주재 소련 대사 스티코프는 김일성과의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스탈린에게 대남 공격이 불가하다고 보고했다. 그는 대한민국미국 등의 승인을 받은 상태이며, 북한의 공격 시 미국의 군사 개입 가능성, 북한 군사력의 상대적 열세 등을 이유로 들었다.[84] 9월 15일자 보고서에서도 스티코프는 김일성과 박헌영이 무력 통일을 원하지만, 이는 소련에 국제적 비난을 초래하고 미국의 개입을 유발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제한적인 군사 작전(옹진반도 점령 등)은 가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85] 이에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은 북한의 남침이 시기상조라는 지침을 스티코프를 통해 김일성에게 전달했다.(1949년 9월 24일)[86][87]

그러나 1950년 초, 상황은 급변했다. 1월 17일, 김일성은 스티코프에게 다시 남침 문제를 제기하며 스탈린과의 면담을 요청했다. 그는 중국 내전에서 공산당이 승리한 것을 언급하며 이제 남한을 해방시킬 차례라고 주장했고, 이전 스탈린의 결정(반격만 승인)에 불만을 표했다.[88][89][90] 1월 30일, 스탈린은 김일성의 면담 요청을 수락하며 지원 의사를 밝혔다.[91] 4월 모스크바 회담에서 스탈린은 국제 정세가 유리하게 변했다며 북한의 통일 과업 개시에 동의했다. 단, 최종 결정은 중국과 공동으로 내려야 하며, 중국이 반대할 경우 연기하기로 합의했다.[93]

이후 남침 준비는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5월 29일, 김일성은 스티코프에게 모스크바 회담에서 합의된 무기와 기술 지원이 대부분 도착했으며, 6월 말까지 군대 창설 및 준비를 완료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남침 공격 계획은 인민군 참모장과 소련 군사고문단이 함께 마련했으며, 6월 말 이후 정보 누설 가능성과 7월 장마를 고려해 6월 말 공격 개시를 목표로 했다.[94] 6월 16일, 스티코프는 3단계로 구성된 구체적인 침공 작전 계획을 모스크바에 보고했다.[95] 북한은 소련에 수륙양용 작전용 선박과 소련 수병 지원을 요청했으나, 소련은 미국의 개입 빌미를 줄 수 있다며 거절했다.[96][98] 6월 21일, 김일성은 대한민국이 침공 정보를 입수하고 전투 준비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며, 옹진반도에서의 전초전 없이 6월 25일 전면 공격을 개시하겠다고 스탈린에게 통보했다.[97] 6월 22일, 모스크바는 평양 주재 소련 대사관에 암호 전문 타전을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이후 1950년 말까지 양측 간 전보 교신은 중단되었다.[98]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소련은 직접적인 지상군 파병은 피했지만, 소련 공군 제64 전투기 항공군단을 파견하여 북한과 중국에 공중 지원을 제공했다.[7] 전쟁 이후 북한과 소련의 관계는 변화를 겪었다. 북한은 주체사상을 내세우며 독자 노선을 강화했고, 중소 분쟁 시기에는 양국 사이에서 등거리 외교를 펼치며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 했다.[100] 특히 1956년 8월 종파 사건과 이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 출신 장교들에 대한 숙청 사건 등을 거치며 북한 내 소련파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고, 소련으로의 유학생 파견도 중단되었다.[99]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 관계는 1961년 체결된 조소 우호 협조 상호 원조 조약을 통해 냉전 기간 동안 군사 동맹을 유지하며 지속되었다.[8][9] 이 조약은 북한의 안보에 중요한 축을 담당했다. 그러나 1970년대 데탕트 시기를 거치며 소련과 대한민국 간의 비공식적 교류가 시작되었고, 특히 1980년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집권 이후 소련은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며 대한민국과의 관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는 북한에 대한 지원 축소로 이어졌으며, 1989년 MiG-29 전투기 인도를 마지막으로 군사 장비 제공이 중단되었다. 김일성은 1986년 모스크바 방문을 마지막으로 소련을 방문했다. 소련과 대한민국의 관계는 1978년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과 1983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등으로 긴장을 겪기도 했으나, 1988년 서울 올림픽에 소련이 선수단을 파견하면서 관계 개선의 중요한 계기를 맞았다. 결국 노태우 정부의 북방 정책에 힘입어 1990년 대한민국과 소련은 공식적으로 국교를 수립했고, 이는 북한의 강한 반발을 샀다. 이듬해인 1991년 소련이 붕괴하면서 냉전 시대의 북-소 관계는 막을 내렸다.

2. 4. 냉전 이후 (1991년~현재)

노태우 정부의 북방 정책에 따른 대한민국소련의 수교(1990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발을 샀다. 소련 붕괴 이후 보리스 옐친이 이끄는 새로운 러시아 정부는 북한에 대한 지원을 줄이고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우선시했다. 1995년 9월, 러시아는 1961년 조약의 종료를 통보하며 한국 전쟁 이후 유지되던 군사 동맹 관계를 공식적으로 끝냈다.[101] 1996년 봄, 비탈리 이그나텐코 부총리가 평양을 방문하여 양국 관계 복원을 시도했으나, 당시 김정일러시아 대선에서 겐나디 주가노프 러시아 연방 공산당 서기장의 승리를 예상하고 러시아 대표단을 만나지 않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10] 1990년대 중반, 러시아는 북한과 남한 사이에서 외교적 '등거리' 전략을 추구하기 시작했다.[11]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일과 2000년 7월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의 평양 회담


블라디미르 푸틴이 1999년 총리, 2000년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북러 관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김정일은 푸틴을 가리켜 마침내 러시아에 "사업을 함께 할" 지도자가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2000년 2월, 양국은 기존의 군사 동맹 조항이 삭제된 조러 우호 선린 협력 조약을 체결했다.[8] 같은 해 7월, 푸틴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과 첫 북러정상회담을 가졌고,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 문제와 관련하여 러시아는 6자 회담에 참여했다. 러시아는 2006년 북한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695 (2006년 7월)와 핵실험 이후 제재를 부과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718 (2006년 10월)에 찬성했다. 2009년 5월 핵실험 이후에도 러시아는 중국, 미국 등과 함께 추가 제재를 담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874 (2009년 6월)를 지지했지만, 무력 사용에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12] 비탈리 추르킨 유엔 대사는 북한이 협력할 경우 제재 해제를 주장하기도 했다. 2010년 3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유엔 안보리 제재를 이행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하여 북한과의 무기 거래 및 관련 금융, 교육 지원을 금지했다.[13] 러시아는 2013년 북한의 미사일 및 핵 실험에 대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도 모두 지지했다.[12]

2011년 8월 소스노비 보르에서 김정일 북한 최고지도자와 러시아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양국 간 교류는 꾸준히 이어졌다. 2009년 4월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방북하여 문화 및 과학 교류 계획에 서명했고, 2011년 8월에는 김정일이 러시아를 방문하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과 소스노비 보르에서 회담했다. 2012년 9월, 러시아는 북한의 소련 시절 부채 110억달러 중 90%를 탕감해주기로 합의했으며,[19] 남은 10억달러는 북한 내 인도주의 및 에너지 프로젝트 투자에 사용하기로 했다.[22] 2014년에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소치 동계 올림픽 개막식 참석차 러시아를 방문하여 푸틴 대통령과 회담했고,[20] 리수용 외무상(10월)[22]김정은의 특사 최룡해(11월)가 러시아를 방문했다.

북한 최고 지도자 김정은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블라디보스토크 회담 (2019년 4월 25일).


2019년 4월, 김정은 위원장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24]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사회에서 고립된 러시아와 북한은 급속도로 가까워졌다. 2023년 9월, 김정은 위원장이 러시아를 방문하여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고, 군사 협력 및 위성 기술 지원 등이 논의되었다.[79] 이후 북한제 무기가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78][105] 2024년 4월, 러시아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지위를 이용하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임기 연장을 거부하여 활동을 종료시켰다.[102]

2024년 6월 19일, 푸틴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에 서명했다.[81][82] 이 조약에는 어느 한쪽이 침략당할 경우 상호 지원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1995년 폐기되었던 군사 동맹 관계가 사실상 복원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03][104] 또한, 조선인민군 일부 병력이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배치되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106] 양국 간 군사 협력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3. 경제 관계

한국 전쟁 이후 소련은 북한의 주요 무역 상대국이자 후원국이었다. 소련의 기술 지원으로 93개의 북한 공장이 건설되어 북한 중공업의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중국 문화 대혁명 시기 중-북 관계가 악화되면서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소련의 대북 지원은 확대되었다. 1988년 양국 관계가 정점에 달했을 때, 북한 무역의 약 60%가 소련과의 거래였으며, 대부분은 소련이 특혜 가격으로 제공한 원자재와 석유였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이어갔다. 1990년대 중반 기근을 겪던 북한에 1997년 두 차례에 걸쳐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다. 1997년 가을에는 45억 "구" 루블 상당의 식량과 의약품을, 12월에는 35억 루블 상당의 설탕, 통조림, 생선 및 우유 370ton을 지원했다.[41] 2008년에는 6자 회담 합의에 따라 북한에 석유와 식량을 지원했다. 2011년 8월 김정일의 러시아 방문을 앞두고 러시아는 5만 톤의 밀을 포함한 식량 지원을 발표했으며,[42] 이후 빅토르 이샤예프 러시아 극동 지역 대통령 특사는 밀 전달이 9월 하산 국경 도시를 통해 시작될 것이라고 확인했다. 같은 해 9월, 빅토르 바사르긴 러시아 지역 개발부 장관이 이끄는 러시아 경제 대표단이 북한을 방문하여 "북한-러시아 무역, 경제, 과학 기술 협력 정부 간 위원회 제5차 회의 의정서"에 서명했으며,[43] 최영림 북한 총리와 평양 만수대 의사당에서 회담했다. 2012년 2월, 발레리 수흐니닌 주북 러시아 대사는 러시아가 상황과 능력에 따라 북한에 추가적인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2011년 러시아가 북한에 양자적으로 5만 톤의 곡물을 제공했고, 세계 식량 계획을 통해 500만달러 상당의 밀가루를 지원했으며, 가스프롬도 1만 톤의 곡물을 북한에 보냈다고 언급했다.[44] 2024년 8월에는 북한의 식량 부족 완화를 위해 현지 어린이들에게 유제품을 제공할 목적으로 염소 447마리를 보냈다.[50] 이는 2024년 6월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무기와 식량을 교환하기로 합의한 내용의 일부였다.[40]

양국 간 경제 교류에서 80%는 북한과 러시아 지역 간의 협력 및 투자로 이루어진다. 특히 시베리아와 극동 지역, 주로 케메로보주, 마가단주, 프리모르스키 지방과의 교류가 활발하다. 2014년 6월, 양국은 모든 무역에서 루블화 결제에 합의했으며,[47] 같은 해 10월 첫 루블화 거래가 이루어졌다.[48] 2015년 3월에는 러시아 극동 및 북한에 선도 개발 구역(territoriya operezhayushchego razvitiya) 조성을 논의하기로 합의했다.[49] 2024년 11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평양에서 알렉산더 코즐로프 러시아 천연자원부 장관과 만나 무역, 과학, 기술 분야 협력 확대를 논의했다. 이는 2024년 6월 상호 방위 조약 서명 이후 양국 관계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제11차 정부 간 협력 위원회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51]

한편, 러시아는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에도 동참해왔다. 2013년 12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087에 따라 러시아 기업이 북한의 탄도 미사일 개발 및 생산에 기술 지원 및 자문을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고, 러시아 항구에 기항하는 북한 선박 검사를 의무화하는 법령에 서명했다.[45][46] 2016년 5월에는 러시아 중앙 은행이 모든 러시아 은행에 유엔 제재 목록에 오른 북한 기관, 단체, 개인과의 금융 거래 중단을 명령했다. 이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여 채택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조치였다.

소련 시절 발생한 북한의 대러 부채 문제도 중요한 현안이었다. 2012년 9월, 북한과 러시아는 약 110억달러에 달하는 북한의 대러 채무 조정에 합의하는 문서에 서명했다.[52] 앞서 2011년, 러시아가 북한 부채의 90%를 탕감하고 그 대가로 러시아가 북한의 에너지, 보건, 교육 분야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당시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로 북한을 경유하여 대한민국으로 이어지는 가스관 건설이 논의되었으나, 남북한의 군사적 대치 상황으로 인해 실현 가능성은 낮게 평가되었다.[52] 2014년 5월 5일, 푸틴 대통령은 북한 부채의 90%를 탕감하는 협정을 최종 비준했다. 이는 2014년 4월 18일 국가 두마(하원)와 4월 29일 러시아 연방 상원(상원)의 승인을 거친 결과였다.[53][54]

대한민국과 러시아 간의 경제 및 기술 협력 사례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나로호 발사는 양국의 우주 개발 협력을 보여준다. 대한민국은 러시아의 협력을 받아 나로호 발사를 추진했으며, 두 차례의 실패 끝에 2013년 1월 세 번째 시도에서 성공했다.

4. 군사 관계

소련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반도 북부를 점령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을 지원했으며, 냉전 기간 동안 북한에 상당한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 1948년 12월, 북한에 주둔하던 소련군은 공식적으로 철수했지만, 소련 정부는 비밀리에 모스크바에서 김일성 등 북한 및 중화인민공화국 군 고위 관계자들과 회담을 갖고 철군 이후의 군사 지원 계획, 이른바 '모스크바 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만주에 있던 조선인 의용군 부대를 북한으로 귀국시켜 조선인민군의 전력을 대폭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49년부터 김일성은 스탈린에게 지속적으로 남침 승인을 요청했다. 초기 소련 주재 북한 대사 스티코프는 북한의 군사력이 아직 대한민국에 비해 압도적이지 못하고 미국의 개입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남침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으나[84][85], 김일성은 평화 통일이 불가능하며 무력 통일을 미루면 대한민국이 군사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1950년 4월 모스크바 회담에서 스탈린은 국제 정세 변화를 이유로 김일성의 남침 계획을 승인했으며, 다만 최종 결정은 중화인민공화국과 공동으로 내려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93] 이후 소련은 북한에 무기와 군사 기술을 제공하며 남침 준비를 지원했다.[94] 1950년 6월, 인민군 총참모부는 소련 군사고문단과 함께 구체적인 남침 작전 계획을 수립하여 모스크바에 보고했다.[95]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소련은 직접적인 지상군 파병은 피했지만, 소련 공군 제64 전투기 항공군단을 파견하여 북한과 중국군에게 공중 지원을 제공했다.[7] 전쟁 이후에도 양국은 1961년 조소 우호 협조 상호 원조 조약을 체결하여 군사 동맹 관계를 유지했으며[8][9], 소련은 북한에 지속적으로 군사 장비를 제공했다. 마지막 MiG-29 전투기 인도분은 1989년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8월 종파 사건에서 소련파가 숙청되고, 프룬제 아카데미아 출신 장교 쿠데타 모의 사건이 발생하면서 북한은 소련으로의 군사 유학생 파견을 중단하는 등 양국 관계에 균열이 생기기도 했다.[99] 중소 분쟁 시기에는 양국과 거리를 두는 등거리 외교를 펼쳤다.[100]

미하일 고르바초프 집권 이후 소련이 대한민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하면서 북한에 대한 군사 지원은 점차 축소되었다. 소련 붕괴 후 출범한 러시아 연방은 1995년 9월, 기존의 조소 우호 협조 상호 원조 조약의 자동 연장 조항 폐기를 통보하며 군사 동맹 관계를 종료시켰다.[101]

블라디미르 푸틴 집권 이후 양국 관계는 회복세를 보였다. 2000년 7월 푸틴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과 정상회담을 가졌고, 군사 동맹 조항이 삭제된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우호 선린 협력 조약을 2000년 2월에 체결했다.[8] 2001년 4월에는 북한 국방상 김일철이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국방 산업 및 군사 장비 분야 협력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으며[55], 2002년에는 인민무력성 차수 리면수와 공군 사령관 오금철이 각각 러시아를 방문했다. 2015년 11월에는 양국 군 관계자가 만나 위험한 군사 활동 방지에 관한 협정에 서명하기도 했다.[56]

전 러시아 국방장관 세르게이 쇼이구가 평양에서 열린 조국해방전쟁 승리 70주년 기념일 행사에서 김정은과 함께 (2023년)


2024년 6월, 2024년 북러 정상회담 중 평양에서 김정은과 푸틴


그러나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인해 러시아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1695호, 1718호, 1874호 등)에 찬성하며 국제 사회의 제재에 동참했다.[8][12][1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적으로 고립된 러시아와 북한은 다시 군사적으로 밀착하기 시작했다. 미국 정보 당국은 2022년 9월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수백만 발의 포탄과 로켓을 구매하고 있다고 밝혔으며[4], 12월에는 러시아의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그룹이 북한으로부터 무기를 공급받았다고 확인했다.[57][58] 2023년 9월 김정은과 푸틴의 정상회담 이후[79], 북한제 무기가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사용되는 정황이 포착되었고[78], 2024년 1월에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공격에 북한산 탄도 미사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59][60]

2024년 6월, 푸틴 대통령이 평양을 답방하여 김정은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쪽이 침략당할 경우 상호 지원을 제공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했다. 이는 냉전 시대의 군사 동맹을 복원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03][104][81][82] 같은 해 10월, NATO는 조선인민군 병력이 러시아에 파병되어 쿠르스크 지역에 배치되었다고 발표했으며[106][61], 11월에는 양국이 공식적으로 방위 협정을 체결하여 군사 동맹을 더욱 공고히 했다.[62] 이러한 북한의 대러 군사 지원은 국제 사회의 제재를 위반하는 행위이며,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와 동북아시아의 안보 불안정을 심화시킨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5. 핵 문제

1994년 3월, 제1차 북핵 위기 당시 러시아는 동북아시아의 일원으로서의 입장을 강조하며, 북한, 대한민국, 러시아, 미국, 중국, 일본, 국제 원자력 기구(IAEA) 및 유엔 사무총장이 참여하는 8자 회담을 제안했다.[63]

2003년부터 러시아와 북한은 북핵 문제를 다루기 위한 6자 회담에 참여했다.

그러나 북한이 핵 개발을 강행하자 러시아는 국제 사회의 제재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였다. 2006년 10월, 러시아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를 지지하여 북한의 첫 핵실험을 규탄했다.[64] 이 결의안에 따라 북한은 유엔의 무기 금수 조치를 받게 되었으며, 이는 러시아의 지지를 포함한 국제 사회의 공동 대응이었다.[64]

북한이 2009년 5월 25일 두 번째 핵실험을 감행하자, 러시아 외무부는 이를 강하게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은 북한의 핵실험이 이전의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위반"한 것이며, 핵 비확산 체제에 대한 "심각한 타격"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최근 북한의 움직임이 동북아시아의 긴장 고조를 유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65] 러시아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를 시작으로 유엔의 대북 경제 제재에 여러 차례 찬성표를 던졌으며, 이로 인해 북한으로부터 중국과 함께 "미국에 추종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도 북한은 핵 및 로켓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국제 사회에 도전을 계속했다.[66] 2016년 3월, 2016년 1월 북한 핵실험 이후 러시아는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를 담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지지했다.[67] 당시 러시아 대통령 공보 비서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김정은이 군에 핵탄두를 "어느 때라도" 발사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적에 대한 선제 공격을 준비하라고 지시한 것에 대해, 크렘린은 "북한의 핵무기 사용 준비성에 대한 발언에 우려하며 모든 국가가 자제를 보여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67]

6. 국경



국경 지역은 대부분 평야이며 산이 거의 없다. 중요한 자연 지형으로는 하산 호 전투가 벌어졌던 하산 호가 있다. 그 외에 자오제르나야 언덕(сопка Заозёрная|솝카 자오죠르나야ru)과 프리오제르나야 산(Гора Приозерная|고라 프리오제르나야ru) 등이 있다. 러시아 측에는 "한-러 우정의 집"(Дом корейско-российской дружбы|돔 코레이스코-로시스코이 드루즈비ru)이라는 건물이 있다. 아시아 러시아 최남단인 푸루겔름 섬은 해상 국경 근처에 위치해 있다.

참조

[1] 서적 "North Korea in Transition: Evolution or Revolution?" Rowman & Littlefield 2013
[2] 서적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Kluwer Law International 2000
[3] 웹사이트 North Korea Loses Popularity in Russia, Where is the Conflict Heading? http://www.theworldr[...] The World Reporter 2013-04-26
[4] 뉴스 Russia Is Buying North Korean Artillery, According to U.S. Intelligence https://www.nytimes.[...] 2022-09-08
[5] 뉴스 North Korean Workers Return To Russia, Quid Pro Quo For Arms Supplies? https://stratnewsglo[...]
[6] 뉴스 N. Korea sends 300 workers to Russia, violating UN sanctions https://www.chosun.c[...]
[7] 웹사이트 64th Fighter Aviation Corps in Korea http://www.skywar.ru[...] Skywar.ru 2013-03-30
[8] 뉴스 From Reluctant Enforcer to Outright Saboteur: Russia's Crusade Against North Korea Sanctions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4-06-24
[9] 웹사이트 1961 Treaty of Friendship Cooperation and Mutual Assistance Between... https://www.document[...] 2020-02-22
[10] 뉴스 Choson Ilbo 1996-04-12
[11] 뉴스 Historic Parallel: Why Russia Is Likely to Abandon Its Korean Equidistance Strategy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4-07-09
[12] 간행물 The policy of Russia towards North Korea in years 2009-2019 https://www.research[...] Academia Letters
[13] 뉴스 Russia and the North Korean Knot Asia Times
[14] 뉴스 RIA Nvosoti 2011-10-19
[15] 뉴스 DPRK, Russia Complete Agreement in aerial SAR NK Leadership Watch 2011-12-18
[16] 웹사이트 Russia welcomes North Korea nuclear moratorium pledge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3-01
[17] 웹사이트 Kim Jong-Un Congratulates Putin on Polls Victory http://en.ria.ru/rus[...] 2011-04-25
[18] 웹사이트 New Russian Ambassador to DPRK Presents Credentials http://nkleadershipw[...] NK Leadership Watch 2012-05-03
[19] 뉴스 Russia writes off 90 percent of North Korea's debt https://www.cnbc.com[...] CNBC 2012-09-18
[20] 웹사이트 Kim Yong Nam Presses Flesh in Sochi http://www.dailynk.c[...] 2014-02-10
[21] 뉴스 Russia writes off 90 percent of North Korea debt, eyes gas pipeline https://www.reuters.[...] Reuters 2014-04-19
[22] 뉴스 Russia-North Korea Economic Ties Gain Traction http://38north.org/2[...]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4-11-06
[23] 웹사이트 N.K. cargo jet's Vladivostok flight suggests Kim's Russia visit imminent https://en.yna.co.kr[...] 2018-10-08
[24] 웹사이트 Here's What Kim Jong Un Wants From Russia https://www.bloomber[...] 2019-04-23
[25] 웹사이트 The U.N. approves a resolution demanding that Russia end the invasion of Ukraine https://www.npr.org/[...] 2022-03-02
[26] 웹사이트 North Korea recognizes breakaway republics of Donetsk and Luhansk in Ukraine https://www.nknews.o[...] 2022-07-14
[27] 웹사이트 Ukraine severs ties with North Korea after pro-Russia separatists recognition https://www.firstpos[...] 2022-07-14
[28] 웹사이트 North Korea offers Russia '100,000 volunteers' to fight Ukraine: state media https://www.scmp.com[...] 2022-08-08
[29] 뉴스 Russia and North Korea: Moving Toward Alliance 2.0?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2-09-27
[30] 뉴스 Kim Jong-un offers Putin 'full support' in Russia's 'sacred fight' with west https://www.theguard[...] 2023-09-13
[31] 웹사이트 North Korea's Kim vows full support for Moscow at a summit with Putin in Russia https://apnews.com/a[...] 2023-09-13
[32] 뉴스 North Korea says US and allies' criticism of its ties with Russia 'distorted' https://www.reuters.[...] 2023-10-30
[33] 뉴스 Vladimir Putin's dangerous bromance with Kim Jong Un https://www.economis[...] 2024-06-19
[34] 웹사이트 Russia's Putin and North Korea's Kim sign mutual defence pact https://www.reuters.[...] 2024-06-20
[35] 웹사이트 Russia President Vladimir Putin makes a rare visit to North Korea, an old ally https://apnews.com/a[...] 2024-06-18
[36] 뉴스 Russia-North Korea pact includes mutual defence clause, Putin says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6-19
[37] 뉴스 Russia and North Korea sign partnership deal that appears to be the strongest since Cold War https://apnews.com/a[...] AP News 2024-06-19
[38] 뉴스 Kim Sent Russia Millions of Artillery Shells, South Korea Say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24-06-14
[39] 뉴스 North Korean Bulsae-4 Missile System was Reportedly Spotted for First Time in Ukraine https://armyrecognit[...] 2024-07-30
[40] 뉴스 For the first time, military equipment from North Korea noticed with russians at front. Photo published https://ukranews.com[...] 2024-07-30
[41] 뉴스 ITAR-TASS 1998-03-07
[42] 뉴스 NKorea's Kim may stop at another Russian city to look at oil pipeline The Washington Post August 22
[43] 뉴스 Yonhap news agency site- Korean Central News Agency
[44] 뉴스 Russian ambassador to North Korea upbeat on cooperation prospects Interfax 2012-02-07
[45] 뉴스 Россия ввела санкции против Северной Кореи http://www.ntv.ru/no[...] NTV 2016-03-04
[46] 뉴스 Путин ввел санкции против КНДР http://grani.ru/Poli[...] 2016-03-04
[47] 뉴스 КНДР расплатится рублем https://m.gazeta.ru/[...] 2022-03-12
[48] 뉴스 Россия и КНДР начали межбанковские расчеты в рублях https://www.kommersa[...] 2022-03-12
[49] 웹사이트 Russia, North Korea Boost Economic Ties http://www.voanews.c[...] 2016-10-23
[50] 웹사이트 Russia sends 447 goats to North Korea after Kim Jong Un sucks up to Putin https://www.politico[...] 2024-08-14
[51] 뉴스 N. Korea's Kim urges extensive promotion of relations with Russia: KCNA https://www.reuters.[...] 2024-11-19
[52] 뉴스 North Korea says signed debt deal with Russia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9-18
[53] 뉴스 Совфед списал долг КНДР в размере 11 млрд долларов https://m.polit.ru/n[...] 2022-03-12
[54] 뉴스 Россия простила КНДР 90 процентов долга https://rg.ru/2014/0[...] 2022-03-12
[55] 간행물 Putin'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Volume 6(2)
[56] 웹사이트 TASS: Military & Defense - Russian military delegation, North Korean defense minister discuss army cooperation http://tass.ru/en/de[...] 2016-10-23
[57] 웹사이트 Chanel News Asia https://www.channeln[...] 2022-12-30
[58] 웹사이트 North Korea Sold Arms to Russia's Wagner Group, U.S. Says https://www.themosco[...] 2024-06-21
[59] 웹사이트 Ukraine shows evidence Russia fired North Korea missile at Kharkiv https://www.reuters.[...] 2024-06-21
[60] 웹사이트 "הסלמה מדאיגה": רוסיה החלה לשגר טילים צפון קוריאניים אל אוקראינה - וואלה! חדשות https://news.walla.c[...] 2024-01-06
[61] 웹사이트 Statement by NATO Secretary General on the deployment of DPRK troops to Russia. https://www.natomult[...] 2024-11-09
[62] 뉴스 Putin signs into law mutual defence treaty with North Korea https://www.reuters.[...] 2024-11-11
[63] 간행물 "On the Korean Settlement" International Affairs (Moscow) 43, no. 3 (1997)
[64] 뉴스 Punishing North Korea: A rundown on current sanctions https://www.washingt[...] 2024-06-22
[65] 뉴스 FM: Russia urges DPRK to demonstrate responsibility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2009-05-25
[66] 웹사이트 North Korea Asks Russian Embassy To Consider Evacuation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3-04-05
[67] 웹사이트 Kremlin concerned over North Korea's readiness to use nuclear forces http://tass.ru/en/po[...] Russian News Agency "TASS" 2016-03-04
[68] 문서 2014 World Service Poll http://www.globescan[...]
[69] 문서 ロシアの朝鮮半島政策
[70] 웹사이트 北朝鮮が中国、ロシアを「米国におじけづいた」と非難 https://sputniknews.[...] 2017-12-30
[71] 뉴스 北朝鮮がまたまた中国を非難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17-08-25
[72] 간행물 露も北朝鮮との金融取引全面停止 米メディア報道 スイスも資産凍結、口座閉鎖 http://www.asiapress[...] アジアプレ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6-05-20
[73] 간행물 中国とロシア、北朝鮮の貨物船4隻の入港を拒否=韓国ネット「北朝鮮が滅びる日も遠くない」「中国とロシアが国連決議をちゃんと守れば…」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16-03-08
[74] 간행물 ロシア、北朝鮮への燃油輸出を中止か? http://dailynk.jp/ar[...] デイリーNK 2016-05-20
[75] 뉴스 「北制裁決議:北朝鮮の外交官、「血盟」ベトナムでも追放」 朝鮮日報 2016-04-29
[76] 웹사이트 ロシア、北朝鮮の弾薬調達 米高官「数百万発の可能性」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9-07
[77] 웹사이트 北朝鮮「ロシアに兵器は売らない」の本当の意味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2-10-05
[78] 웹사이트 ウクライナ、北朝鮮製ロケット弾使用か 弾薬不足で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3-07-09
[79] 웹사이트 金総書記とプーチン大統領が4年ぶり会談 軍事協力の「可能性」を協議 https://www.bbc.com/[...] BBC 2023-09-04
[80] 웹사이트 「豆満江駅に73両の貨物列車…北朝鮮、ロシアに弾薬提供の情況」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3-10-09
[81] 뉴스 「攻撃に対して相互援助」 ロ朝が条約に署名 プーチン大統領が言及 https://www.asahi.co[...] 2024-06-19
[82] 뉴스 ロシアと北朝鮮、「有事の際に相互支援」の条約締結 https://www.cnn.co.j[...] 2024-06-19
[83] 서적 Soviet Foreign Policy In the Far East Oxford University Press 1952
[84]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1>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1
[85]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1>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1
[86]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1>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1
[87] 서적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88] 서적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89] 웹인용 Kbs News http://news.kbs.co.k[...] 2013-12-25
[90]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2>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2
[91]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2>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2
[92]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2>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2
[93]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2>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2
[94]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3>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3
[95]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3>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3
[96]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3>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3
[97]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3>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3
[98]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3>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3
[99] 웹인용 소련파(蘇聯派) https://encykorea.ak[...] 2023-09-12
[100] 웹인용 중소분쟁 시기 북한 등거리외교의 특성과 현재적 함의 https://www.ifans.go[...] 2024-10-25
[101] 웹인용 북한-러시아 군사동맹조약 폐기 https://news.kbs.co.[...] 2024-10-25
[102] 웹인용 국가안보전략연구원 https://www.inss.re.[...] 2024-10-25
[103] 웹인용 (재)세종연구소 https://www.sejong.o[...] 2024-10-25
[104] 웹인용 외교부, 러북 군사동맹 조약 비준에 "진전 따라 상응하는 조치 취할 것" https://the300.mt.co[...] 2024-10-25
[105] 웹인용 "러시아, 2024년산 북한 미사일 우크라에 발사" https://imnews.imbc.[...] 2024-09-12
[106] 웹인용 우크라 “북한군, 쿠르스크 배치...27~28일 전투지 투입 예상”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4-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