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졸루션급 잠수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졸루션급 잠수함은 1960년대 영국이 핵 억지력 확보를 위해 개발한 전략 핵잠수함이다. V-폭격기의 취약성으로 인해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폴라리스 미사일을 탑재하여 건조되었으며, 1968년부터 핵 억지력 임무를 수행했다. 4척이 건조되었으며, 1995년까지 퇴역했다. 이 잠수함은 영국 해군의 핵 전력 운용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트라이던트 미사일을 탑재한 뱅가드급 잠수함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잠수함 - 뱅가드급 잠수함
    뱅가드급 잠수함은 영국 왕립 해군의 핵추진 탄도 미사일 잠수함으로, 트라이던트 II 미사일을 탑재하여 해상 핵억제력을 담당하고 롤스로이스 PWR2 원자로를 이용한 항해 능력과 핵무장 능력을 갖추었지만, 잦은 사고, 고비용 유지보수, 핵무기 운용 논란으로 드레드노트급 잠수함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 영국의 잠수함 - HMS 드레드노트 (S101)
    HMS 드레드노트 (S101)는 영국 해군 최초의 원자력 잠수함으로, 1959년 기공되어 1963년 취역했으며, 미국 기술을 도입하여 건조되었고, 1971년 북극점 부상에 성공했으나 1980년 퇴역하여 현재 로사이드 조선소에 보관되어 영국 원자력 잠수함 운용의 초석을 다졌다.
레졸루션급 잠수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함급 개요
명칭레졸루션급
건조비커스 조선(Vickers Shipbuilding Ltd), 배로인퍼니스
캐멀 레이어드 앤드 코(Cammell Laird and Co Ltd), 버켄헤드
운용 국가영국 해군
이전 함급없음
이후 함급뱅가드급 잠수함
건조 기간1964년–1968년
취역 기간1967년–1996년
계획 척수5척
건조 척수4척
취소 척수1척
퇴역 척수4척
제원
함종탄도 미사일 잠수함
배수량수상:
수중:
추진1 × 비커스/롤스로이스 PWR1 가압수형 원자로, ; 추진기
속력수상:
수중:
항속 거리식량 보급에 의해서만 제한됨
승조원143명 (2개 조)
무장
어뢰 발사관533mm (21인치) 어뢰 발사관 × 6문
미사일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폴라리스 A-3TK) × 16기
동급 함선
센서
소나타입 2001 함수 소나
타입 2023 예인 소나
타입 2007 소나
레이더타입 1003 수상 레이더
기타
비고
従来の戦艦に使用されていた艦名が命名されたのは、原子力潜水艦が当時主力艦の位置を戦艦に代わって占めつつあることの証明であった。

2. 역사

영국 해군의 폴라리스 A3 미사일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 영국의 핵전력은 영국 공군 V-폭격기에 의존했다. 그러나 1960년대 초반 레이다와 지대공 미사일 기술이 발전하면서 V-폭격기가 소련 영공을 통과하기 어려워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0년 5월 해럴드 맥밀런 영국 총리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으나, 존 F. 케네디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의 AGM-48 스카이볼트 개발 취소로 V-폭격기를 이용한 핵전력 유지 계획은 좌절되었다.

이에 영국은 1963년 전략원잠(SSBN)인 레졸루션급 잠수함 1번함 HMS 레졸루션 (S22)을 주문, 1967년에 취역시켰다. 이후 나소 협정에 따라 미국으로부터 폴라리스 미사일을 제공받아 레졸루션급에 탑재했다.

50년이 지난 2018년에도 영국의 핵전력은 4척의 뱅가드급 잠수함(SSBN)에 의존하고 있으며, 2028년에 새로운 드레드노트급 잠수함(SSBN) 4척을 건조할 계획이다.

2. 1. 개발 배경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 영국의 핵전력은 영국 공군 V-폭격기였다. 그러나 1960년대 초반 레이다와 지대공 미사일 기술이 급발전하면서 V-폭격기가 소련 영공을 통과하기가 불가능해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960년 5월 해럴드 맥밀런 영국 총리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여, V-폭격기에 미국의 AGM-48 스카이볼트를 탑재하기로 하였다. 스카이볼트는 무게 5톤, 사거리 1600km의 공대지 미사일로, 순항미사일이 아니라 탄도미사일처럼 고체연료를 탑재했다. 이를 통해 소련의 방공망에 위협받지 않고 모스크바를 핵공격 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당시 영국의 V-폭격기인 아브로 불칸 폭격기에 장착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집권하고서 미국의 정책이 바뀌었다. 케네디는 스카이볼트를 싫어했고, 결국 미국은 1962년 AGM-48 스카이볼트 개발을 취소했다. 이에 영국은 아브로 불칸 전략핵폭격기의 임무를 전략원잠(SSBN)으로 대체하기로 하고, 1963년 레졸루션급 잠수함 1번함인 HMS 레졸루션 (S22)을 주문했다. HMS 레졸루션 (S22)은 1967년에 취역했다.

이후 1962년 12월 22일에 체결된 나소 협정에 따라 미국은 영국에 폴라리스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을 제공하기로 했고, 이를 탑재하는 레졸루션급이 건조되게 되었다.

배로우인퍼니스의 비커스 암스트롱 사는 레졸루션과 리펄스를 건조했다. 버켄헤드의 캐멀 레어드 사는 레나운과 리벤지의 건조를 담당했다. 건조 방법은 선미 부분과 선수 부분이 별도로 구축된 후, 미국제 미사일 격실과 접합되는 특이한 방법이었다.

2. 2. 스카이볼트 계획과 좌절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 영국의 핵 억제력은 영국 공군 (V-폭격기)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 초 레이더지대공 미사일 기술이 발전하면서 V-폭격기가 소련 영공을 통과하기 어려워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0년 5월, 해럴드 맥밀런 영국 총리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여 V-폭격기에 미국의 AGM-48 스카이볼트 공대지 미사일을 탑재하기로 합의했다. 이 미사일은 모스크바를 핵공격 할 수 있도록 해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당시 영국의 아브로 불칸 폭격기에 장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미국의 정책이 바뀌었다. 케네디는 스카이볼트 개발에 부정적이었고, 결국 미국은 1962년 AGM-48 스카이볼트 개발을 취소했다.

이에 영국은 아브로 불칸 전략핵폭격기의 임무를 전략원잠(SSBN)으로 대체하기로 결정, 1963년 레졸루션급 잠수함 1번함인 HMS 레졸루션 (S22)을 주문했다. 이 잠수함은 1967년에 취역했다.

2. 3. 폴라리스 도입과 레졸루션급 건조

1960년대 초까지 영국군의 핵전력은 영국 공군의 V-폭격기가 담당했다. 그러나 레이더지대공 미사일 기술의 발전으로 V-폭격기가 소련 영공을 통과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960년 5월 해럴드 맥밀런 영국 총리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여, V-폭격기에 미국의 AGM-48 스카이볼트를 탑재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존 F. 케네디 대통령 집권 이후, 미국은 1962년 AGM-48 스카이볼트 개발을 취소했다.

이에 영국은 아브로 불칸 전략핵폭격기의 임무를 전략원잠(SSBN)으로 대체하기로 결정, 1963년 레졸루션급 잠수함 1번함인 HMS 레졸루션 (S22)을 주문했다. 이는 1962년 12월 22일에 체결된 나소 협정에 따라 미국이 영국에 폴라리스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을 제공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었다.

배로우인퍼니스의 비커스 암스트롱 사는 레졸루션과 리펄스를 건조했고, 버켄헤드의 캐멀 레어드 사는 레나운과 리벤지를 건조했다. 건조 방식은 선미 부분과 선수 부분을 별도로 구축한 후, 미국제 미사일 격실과 접합하는 특이한 방법을 사용했다.

2. 4. 건조 과정

두 쌍의 잠수함은 1963년 5월 배로 인 퍼네스의 비커스 조선소와 비르켄헤드의 캐멀 레이드 앤 코.에 의해 발주되었다. 다섯 번째 기함인 의 구매 옵션은 해럴드 윌슨 총리 정부의 비용 절감 조치로 1965년 2월에 취소되었다. 이 잠수함들은 당시 시대의 주력함임을 나타내기 위해 전통적인 전함의 이름을 사용했다.

비커스 암스트롱은 배로 인 퍼네스에서 ''Resolution''과 ''Repulse''를, 캐멀 레이드는 비르켄헤드에서 ''Renown''과 ''Revenge''를 건조했다. 이 잠수함의 건조 방식은 미국에서 설계된 미사일 격실과 함께 조립되기 전에 선체 앞부분과 뒷부분을 별도로 제작하는 특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1960년대 초까지 영국군의 핵전력은 영국 공군의 폭격기(3V 폭격기)가 담당했다. 영국은 이 전력 향상책으로 미국으로부터 스카이볼트공중 발사 탄도 미사일의 도입을 결정했다. 그러나 스카이볼트는 1962년에 개발이 중단되었고, 영국군은 유력한 핵 공격 수단을 잃을 우려가 생겼다. 이 때문에 미국은 영국에 대해 1962년 12월 22일에 체결된 나소 협정에 따라 폴라리스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을 제공하기로 했고, 이를 탑재하는 레졸루션급이 건조되게 되었다.

배로우인퍼니스의 비커스 암스트롱 사는 레졸루션과 리펄스를 건조했다. 버켄헤드의 캐멀 레어드 사는 레나운과 리벤지의 건조를 담당했다. 그 건조 방법은 선미 부분과 선미 부분이 별도로 구축된 후, 미국제 미사일 격실과 접합되는 특이한 방법이었다.

2. 5. 퇴역

1번함 레졸루션은 1964년 2월에 기공하여 1966년 9월에 진수, 1967년에 취역했다. 취역 후에는 폴라리스 미사일 운용 시험 등으로 장기간 공시가 이루어졌다. 폴라리스 발사 실험은 1968년 2월 15일 11시 15분에 미국 공군 동부 시험장에서 진행되었다. 레졸루션급 잠수함은 제10잠수함대에 소속되었으며, 전 함이 스코틀랜드의 파슬레인 해군 기지를 모항으로 삼았다.

폴라리스 미사일의 노후화 등의 이유로, 트라이던트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는 뱅가드급 원자력 잠수함에게 자리를 내주면서, 1995년까지 전 함이 퇴역했다. 퇴역 시에 원자로는 철거되었으며, 전 함은 로시스 조선소에 보관되었다.

3. 설계

레졸루션급 원자력 잠수함의 절단 모형.


레졸루션급의 설계는 밸리언트급 원자력 잠수함을 개량한 것이지만, 핀과 원자로 사이에 미사일 격실을 조립하기 위해 선체가 연장되었다. 선체 길이는 130m, 폭은 10.1m, 높이는 9m가 되었으며, 배수량은 약 7721957.20kg - 약 8534794.80kg이다. 롤스로이스원자로와 잉글리쉬 일렉트릭제 터빈은 25노트의 속도와 275m의 잠항 심도를 실현했다.

무장은 폴라리스 탄도 미사일 16기를 2발씩 짝을 이루어 8조를 장비했으며, 함수에 21인치 어뢰 발사관 6문을 갖추었다.[2]

3. 1. 선체



본급은 밸리언트급 원자력 잠수함을 개량한 것이었지만, 핀과 원자로 사이에 미사일 격실을 조립하기 위해 선체가 연장되었다. 선체 길이는 130m, 폭 10.1m, 높이는 9m가 되었으며, 배수량은 약 7721957.20kg - 약 8534794.80kg이다. 롤스로이스원자로와 잉글리쉬 일렉트릭제 터빈은 25kn의 속도와 275m의 잠항 심도를 실현했다.

무장은 폴라리스 탄도 미사일 16기를 2발씩 짝을 이루어 8조를 장비했으며, 어뢰 발사관은 함수에 21인치 6문을 장비했다.

3. 2. 원자로



레졸루션급 잠수함에는 78MW 열출력의 롤스로이스 PWR1 원자로 1기를 탑재했다. 이는 1958년 미영 상호방위조약으로 기술이전 받은 미국 웨스팅하우스 S5W 원자로를 기반으로 한다. 영국 최초의 핵잠수함 HMS 드레드노트 (S101)에도 S5W 원자로가 탑재되었다.[1]

70MW 열출력의 원자로는 전 세계 핵잠수함에서 많이 사용된다. 세계 최초의 핵잠수함 USS 노틸러스 (SSN-571)는 웨스팅하우스 S2W 원자로(70MW)를, 소련 최초의 핵잠수함 노벰버급 잠수함도 70MW 원자로 1기를 탑재했다. 현재 러시아 델타급 잠수함은 70MW 원자로 2기를 사용하며, 한국이 기술이전 받았다는 SMART-P는 65MW 열출력이다.[1]

레졸루션급은 밸리언트급 원자력 잠수함 설계를 개량했지만, 원자로와 핀 사이에 미사일 격실을 추가하기 위해 선체가 연장되었다.[2]

3. 3. 무장

레졸루션급은 미국의 폴라리스 A-3 16발을 탑재했다. 무게 16톤, 사거리 4,600 km, 탄두중량 760 kg, 200kt의 W58 핵탄두 3발을 장착했다. 북한의 6톤 스커드 미사일 보다는 훨씬 무겁고, 노동 미사일 무게이다. 원래 소련은 스커드, 노동을 모두 잠수함에 탑재했었다.

레졸루션급은 폴라리스 탄도 미사일 16기를 2발씩 짝을 이루어 8조, 총 16발을 장비했으며, 비상 상황을 대비하여 디젤 발전기와 6개의 어뢰 발사관이 선수에 위치하여 타이거피시 유선 유도 어뢰를 발사했다. 또한, 21인치 어뢰 발사관 6문을 함 전방에 장비했다.

4. 운용

폴라리스 미사일 시스템의 훈련용 발사 트리거


레졸루션급 잠수함은 폴라리스 미사일을 운용하기 위해 건조되었으며, 영국 해군 제10 잠수함 전대 소속으로 스코틀랜드의 파슬레인 해군 기지에 배치되었다. 1번함 ''레졸루션''은 1968년 2월 케이프커내버럴 인근 미국 공군 동부 시험장에서 폴라리스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고, 같은 해 6월부터 28년간 작전 순찰을 수행했다.[1]

1980년대에는 4척 모두 Chevaline MRV 시스템이 장착된 폴라리스 A3TK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다.[1] 이후 트라이던트 미사일을 탑재한 뱅가드급 잠수함이 배치되면서 레졸루션급은 1995년까지 모두 퇴역했다. 퇴역 후에는 핵연료를 제거하고 로시스 조선소에 보관되었으며, 국방부의 잠수함 해체 프로젝트(SDP)를 통해 처리될 예정이다.[1]

4. 1. 배치



가장 먼저 완공된 함은 1964년 2월 기공되어 1966년 9월 진수된 ''리졸루션''이었다. 1967년 취역한 후 오랜 기간의 해상 시험을 거쳤고, 1968년 2월 15일 11시 15분 케이프커내버럴 인근 미국 공군 동부 시험장에서 폴라리스 미사일의 시험 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리졸루션''은 1968년 6월 15일 첫 작전 순찰을 시작하여 28년간의 폴라리스 순찰을 시작했다. 이 급 잠수함들은 제10 잠수함 전대에 소속되었으며, 모두 파슬레인 해군 기지, 스코틀랜드에 배치되었다.[1]

이 4척의 잠수함은 모두 1980년대에 Chevaline MRV 시스템이 장착된 폴라리스 A3TK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다.[1]

더 새로운 ''뱅가드급 잠수함''이 실전 배치되면서 ''리졸루션''급은 결국 퇴역했고, 모든 잠수함은 사용된 핵연료를 제거한 채 로시스 조선소에 보관되었다. 이 4척의 잠수함은 궁극적으로 국방부의 잠수함 해체 프로젝트(SDP)를 통해 처리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2016년에 시작될 예정이며, 첫 번째 잠수함이 될 것이다. 선택된 방식은 먼저 선박에서 모든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제거한 다음, 더 많은 방사성 중간 수준 폐기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선박의 나머지 부분에 있는 모든 비방사성 물질은 기존의 선박 해체 기술을 통해 재활용될 것이다.[1]

1번함 레졸루션은 1964년 2월에 기공하여 1966년 9월에 진수, 1967년에 취역했다. 취역 후에는 폴라리스 미사일의 운용 시험 등으로 장기간의 공시가 이루어졌다. 폴라리스 발사 실험은 1968년 2월 15일 11시 15분에 미국 공군 동부 시험장에서 진행되었다. 본급은 제10잠수함대에 소속되었으며, 전 함이 스코틀랜드의 파슬레인 해군 기지를 모항으로 삼았다.[2]

폴라리스 미사일의 노후화 등의 이유로, 트라이던트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는 뱅가드급 원자력 잠수함에게 자리를 내주면서, 1995년까지 전 함이 퇴역했다. 퇴역 시에 원자로는 철거되었으며, 전 함은 로시스 조선소에 보관되었다.[2]

4. 2. 작전



최초로 완공된 함선은 1964년 2월 기공되어 1966년 9월 진수된 ''레졸루션''이었다. 1967년 취역한 후 오랜 기간의 해상 시험을 거쳤고, 1968년 2월 15일 11시 15분 케이프커내버럴 인근 미국 공군 동부 시험장에서 폴라리스 미사일의 시험 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1] 1968년 6월 15일 첫 작전 순찰을 시작하여 28년간 폴라리스 순찰을 계속했다.[1] 이 급 잠수함들은 제10 잠수함 전대에 소속되었으며, 모두 파슬레인 해군 기지(스코틀랜드)에 배치되었다.[1]

1980년대에는 4척 모두 Chevaline MRV 시스템이 장착된 폴라리스 A3TK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다.[1]

이후 더 새로운 ''뱅가드''급 잠수함이 실전 배치되면서 ''레졸루션''급은 결국 퇴역했고, 모든 잠수함은 사용된 핵연료를 제거한 채 로시스 조선소에 보관되었다.[1] 이 4척의 잠수함은 궁극적으로 국방부의 잠수함 해체 프로젝트(SDP)를 통해 처리될 예정이다.[1]

4. 3. 정비

레졸루션급 잠수함의 정비에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프로젝트 관리 방식이 사용되었다.[5]

  • 해군 통제관과 함대 지원 부서장의 공동 감독 하에, 폴라리스 잠수함 정비 준비 및 완료를 감독하는 임무를 맡은 차관보(폴라리스) 직함을 가진 별 2개 계급의 고위 장교가 임명되었다.[5]
  • 각 정비에 대한 "작업 패키지"를 작성하는 책임은 지정된 장교(프로젝트 기술 잠수함 국장)에게 위임되었으며, 여기에는 완전한 설계 정보 및 문서가 포함되었다.[5]
  • 로시스에서 완전 통합된 정비 관리 팀이 활용되었다.[5]
  • 컴퓨터를 포함한 사용 가능한 모든 관리 기술 및 보조 수단이 활용되었다.[5]


폴라리스 미사일의 노후화 등의 이유로, 트라이던트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는 뱅가드급 원자력 잠수함에게 자리를 내주면서, 1995년까지 전 함이 퇴역했다. 퇴역 시에 원자로는 철거되었으며, 전 함은 로시스 조선소에 보관되었다.

5. 동형함

함번함명건조사발주기공진수인도취역퇴역추정 건조 비용
S22레졸루션1963년 5월 8일1964년 2월 26일1966년 9월 15일1967년 10월[2]1967년 10월 2일1994년 10월 22일4020.0000000000005만파운드[2]
S23리펄스1963년 5월 8일1965년 3월 12일1967년 11월 4일1968년 10월[3]1968년 9월 28일1996년 8월 28일3750만파운드[3]
S26레너운1963년 5월 8일1964년 6월 25일1967년 2월 25일1968년 12월[3]1968년 11월 15일1996년 2월 24일3995.0000000000005만파운드[3]
S27리벤지1963년 5월 8일1965년 5월 19일1968년 3월 15일1969년 12월[4]1969년 12월 4일1992년 5월3860만파운드[4]
라밀리스1965년 취소됨.


6. 평가 및 의의

레졸루션급 잠수함 건조는 영국 해군에 전략적 핵 억지력을 제공했지만, 동시에 여러 문제점과 한계를 노출했다.

우선, 레졸루션급 잠수함은 개발 및 건조 과정에서 상당한 기술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폴라리스 미사일 시스템과의 통합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개발 기간이 지연되고 비용이 증가했다.

또한, 레졸루션급 잠수함은 제한된 수량만 건조되어 운용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4척의 잠수함으로는 지속적인 핵 억지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으며, 실제로 1990년대 초반 뱅가드급 잠수함이 취역하기 전까지 영국 해군은 핵 억지력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

레졸루션급 잠수함은 냉전 시대 영국의 핵 억지력 유지에 기여했지만, 기술적 문제, 제한된 수량, 높은 유지 비용 등 여러 한계를 보였다. 이러한 한계는 뱅가드급 잠수함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간행물 Unit cost, i.e. excluding cost of certain items (e.g. aircraft, First Outfits). Defences Estimates
[2] 서적 List and particulars of new ships which have been accepted or are expected to be accepted into HM service during the Financial Year ended 31st March 1968 Defence Estimates 1968-01-01 # 유추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날짜로 설정
[3] 서적 List and particulars of new ships which have been accepted or are expected to be accepted into HM service during the Financial Year ended 31st March 1969 Defence Estimates 1969-01-01 # 유추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날짜로 설정
[4] 서적 List and particulars of new ships which have been accepted or are expected to be accepted into HM service during the Financial Year ended 31st March 1970 Defence Estimates 1970-01-01 # 유추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날짜로 설정
[5] 뉴스 HMS Resolution Refit https://api.parliame[...] Hansard HC Deb 1969-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