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마니아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마니아의 국가는 "Deșteaptă-te, române!"(깨어나라, 루마니아인이여!)로, 루마니아 민족주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노래이다. 1848년 왈라키아 혁명 당시 처음 불린 이 곡은 루마니아의 독립, 제1차 세계 대전, 1944년 루마니아 쿠데타 등 굵직한 역사적 사건과 함께 불리며 루마니아인들에게 널리 퍼졌다. 공산주의 정권 시기에는 금지되기도 했지만, 1989년 혁명 이후 현재 루마니아의 국가로 지정되었다. 이 곡은 프랑스 혁명 노래 "라 마르세예즈"와 같이 변화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루마니아 역사 속 인물과 사건을 언급하며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8년 노래 - 오! 수재나
    스티븐 포스터가 1848년에 발표한 미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오! 수재나는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당시 금을 찾아 떠나는 사람들의 비공식 주제가로 큰 인기를 얻었으나, 가사에 인종차별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현대 사회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다뤄지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변형되어 교육 자료 및 대중문화 속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 1848년 노래 - 핀란드의 국가
    핀란드의 사실상 국가인 "마암메"는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가 스웨덴어로 작사하고 프레드리크 파시우스가 곡을 붙인 낭만주의 민족주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관례에 따라 국가의 지위를 확립해왔다.
  • 혁명을 소재로 한 작품 - 라이징 어브 더 문
    라이징 어브 더 문은 존 키건 캐시가 1798년 아일랜드 봉기를 소재로 지은 아일랜드 민요로, 독립군 상황 묘사와 페니언 봉기 영감을 통해 아일랜드에서 널리 불리며 대중문화에서도 사용된다.
  • 혁명을 소재로 한 작품 - 역전재판 6
    역전재판 6은 캡콤에서 개발한 에이스 변호사 시리즈 게임으로, 나루호도 류이치, 호시카게 마코토, 키즈키 아카네가 변호사가 되어 의뢰인을 변호하며, 전작으로부터 1년 후 나루호도가 쿠라인 왕국으로, 아폴로와 아테나가 웨이트 법률 사무소를 배경으로 활약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고 새로운 영매 시스템과 아야사토 마요이를 비롯한 기존 및 새로운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 루마니아의 노래 - Dragostea din tei
    "Dragostea din tei"는 몰도바 보이 그룹 O-Zone이 2003년에 발표한 유로댄스 곡으로,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인터넷 밈을 통해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안 및 리메이크되어 여러 나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 루마니아의 노래 - 삼색기 (노래)
    삼색기 (노래)는 루마니아 국기인 삼색기를 찬양하며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에 확정된 가사를 통해 루마니아의 역사적, 사회적 맥락과 국가적 정체성을 나타낸다.
루마니아의 국가
일반 정보
루마니아 국가
루마니아의 국가
로마자 표기Deșteaptă-te, române!
한국어 제목 (번역)깨어나라, 루마니아인이여!
다른 제목 (번역)메아리
국가루마니아
이전 국가몰도바
창작 정보
작사가안드레이 무레샤누
작사 시기1848년
작곡가안톤 판
작곡 시기1848년
채택 및 사용 정보
이전 국가트레이 쿨로리
이전 국가 (소비에트)몰다비아 SSR 국가
이전 국가 (비고)(몰다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계승 국가림바 노아스트러
계승 국가 (비고)()
채택 시기1917년 (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
채택 시기 21990년 ()
채택 시기 31991년 ()
사용 종료1918년 (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
사용 종료 21994년 ()
음원 정보
기타 정보
관련 정보루마니아의 국가

2. 역사

"Deșteaptă-te, române!"(깨어나라, 루마니아인이여!)는 1848년 혁명 당시 안드레이 무레샤누의 시에 안톤 판의 곡을 붙여 만들어진 노래로, 루마니아의 중요한 역사적 순간마다 애국가로서 역할을 해왔다. 처음에는 '메아리'(Un răsunetro)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혁명의 열기 속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널리 퍼졌다.

이 노래는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루마니아 민족의 정체성과 애국심을 고취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1944년 루마니아나치 독일에서 벗어나 연합국 편에 섰을 때 라디오를 통해 전국에 방송되며 역사적 전환을 상징했다.[34]

1947년 공산주의 정권 수립 이후에는 루마니아 왕국과의 연관성 때문에 금지되었고, 대신 부서진 쇠사슬(Zdrobite cătușe|즈드로비테 커투셰ro)이 국가로 사용되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시대에는 일부 연주가 허용되었으나 공식적인 지위를 회복하지는 못했다.

1989년 루마니아 혁명 당시 시민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며 혁명의 상징적인 노래가 되었고, 차우셰스쿠 정권 붕괴 후인 1990년 1월 24일 루마니아의 공식 국가로 제정되었다.[6][7] 현재 공식 석상에서는 전체 11절 중 일부(1, 2, 4, 11절)만 연주된다. 한편, 이 노래는 몰도바에서도 1991년부터 1994년까지 국가로 사용된 적이 있다.[27]

2. 1. 1848년 혁명과 초기 역사

원래 멜로디는 시인 안드레이 무레샤누(1816년 - 1863년)가 1848년 '메아리'(Un răsunetro)라는 시를 쓴 후, 브라쇼브 교회 성가대원이었던 게오르게 우체스쿠(Gheorghe Ucenescu)에게 적절한 곡을 찾아달라고 부탁하면서 시작되었다.[5] 우체스쿠가 여러 세속적인 멜로디를 제안했지만, 무레샤누는 안톤 판(1796년 - 1854년)이 이전에 작곡했던 감상적인 노래 '나의 어머니 품속에서'(Din sânul maicii melero)를 선택했다.[5] 따라서 안톤 판이 주요 작곡가로 알려져 있으나, 게오르게 우체스쿠가 곡 선정 과정에 관여했다.

이 노래는 1848년 왈라키아 혁명 당시인 1848년 7월 29일, 룸니쿠 벌차에서 처음으로 불렸다. 발표 당시 제목은 '메아리'였으나, 혁명의 열기 속에서 루마니아인들 사이에 빠르게 퍼져나가며 현재의 제목인 '깨어나라, 루마니아인이여!'(Deșteaptă-te, române!ro)로 알려지게 되었다.

자유와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어, 1848년 혁명 당시 루마니아인들의 독립 의지를 상징하는 중요한 혁명가로 받아들여졌다. 당시 혁명가 니콜라에 벌체스쿠는 이 노래를 '루마니아의 라 마르세예즈'라고 칭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가의 전체적인 메시지는 프랑스 혁명의 노래 "라 마르세예즈"와 같이 "지금 아니면 안 된다"는 변화를 촉구하는 행동 촉구의 성격을 띤다.

1848년 이후 이 노래는 루마니아 민족 운동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1877-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당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는 과정 등 루마니아의 주요 역사적 순간마다 불렸다.

2. 2. 세계 대전 시기

"Deșteaptă-te, române!"는 1848년 왈라키아 혁명 때 처음 불린 이후 루마니아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1877-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을 포함한 여러 역사적 사건에서 연주되었다. 특히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이 노래는 매우 중요한 애국가로 자리 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루마니아 쿠데타로 루마니아나치 독일에 맞서 연합국에 합류했을 때, "Deșteaptă-te, române!"는 쿠데타 이후 며칠 동안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전국적으로 울려 퍼졌다.[34] 이는 루마니아가 추축국에서 벗어나 새로운 길을 선택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이처럼 노래는 전쟁의 격동기 속에서 루마니아 국민의 단결과 변화 의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3. 공산주의 정권 시기

1947년 12월 30일, 루마니아에서 미하이 1세 국왕이 폐위되고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Deșteaptă-te, române!"는 이전 루마니아 왕국과 관련된 다른 애국가들과 함께 금지되었다. 공식 석상은 물론 개인적인 공간에서조차 이 노래를 부르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으며, 대신 Zdrobite cătușe|즈드로비테 커투셰ro(부서진 쇠사슬)이라는 노래가 새로운 국가로 지정되었다.

시간이 흘러 1965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집권한 이후, 정권은 공공장소에서 "Deșteaptă-te, române!"를 부르거나 연주하는 것을 일부 허용하였다. 하지만 이는 제한적인 조치였을 뿐, 이 노래는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 내내 공식적인 국가의 지위를 되찾지는 못했다.

2. 4. 1989년 혁명과 현재

1947년 루마니아공산주의 국가가 되면서 루마니아 왕국과 관련된 다른 애국가들과 함께 금지되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 하에서는 공공장소에서 부르거나 연주하는 것이 일부 허용되기도 했으나, 공식적인 국가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그러나 자유와 애국심을 고취하는 이 노래는 1989년 루마니아 혁명 당시 독재 정권에 저항하는 시민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며 혁명의 상징적인 노래가 되었다. 1989년 12월 22일,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이 붕괴된 후, 혁명의 열기 속에서 이 노래는 다시 주목받았다. 마침내 1990년 1월 24일, 이전 공산 정권의 국가였던 세 가지 색( Trei culori|트레이 쿨로리ro )을 대체하여 루마니아의 공식 국가로 제정되었다.[6][7] 이는 억압받던 민중의 자유 의지가 승리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현재 루마니아에서 "Deșteaptă-te, române!"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 그리고 민족적 자긍심을 상징한다. 공식 행사에서는 전체 11절 중 1절, 2절, 4절, 11절이 주로 연주된다. 이 노래는 "지금 행동해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어, 니콜라에 벌체스쿠에 의해 "루마니아의 라 마르세예즈"라고 불리기도 했다.

한편, 이 노래는 루마니아뿐만 아니라 언어와 역사를 공유하는 이웃 나라 몰도바에서도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잠시 국가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1994년 몰도바는 우리말( Limba Noastră|림바 노아스트러ro )을 새로운 국가로 제정하였다.[27]

3. 가사

루마니아의 국가 Deșteaptă-te, române!ro(깨어나라, 루마니아인이여!)는 총 11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다. 오늘날 공식 행사에서는 루마니아 법에 따라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그리고 마지막 열한 번째 절만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8] 국가 공휴일인 12월 1일과 같은 주요 국가 행사에서는 21발 예포와 함께 대통령이 참석할 경우 국가 전체가 연주되기도 한다.

가사의 2절에는 다키아를 정복하여 현재 루마니아 영토의 기반을 마련한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이름이 등장하며, 이를 통해 루마니아인로마인의 후손임을 강조한다. 4절에서는 루마니아 역사상 중요한 인물들인 미하이 용감공, 슈테판 대공, 그리고 마티아스 코르비누스를 언급하며 민족적 자긍심과 단결을 호소한다.

3. 1. 루마니아어 가사 및 한국어 번역

절마다 마지막 구는 한번 더 반복된다.

루마니아어 가사 (라틴 문자)[8]루마니아어 가사 (키릴 문자, 1848년)[9][10]발음 (IPA 표기)한국어 번역
Deșteaptă-te, române, din somnul cel de moarte,
În care te-adânciră 𝄆 barbarii de tirani 𝄇!
'''Acum ori niciodată, croiește-ți altă soarte,'''
'''La care să se-nchine 𝄆 și cruzii tăi dușmani 𝄇.'''}}

|

| '''[deʃ.ˈte̯ap.tə‿te ro.ˈmɨ.ne ǀ din ˈsom.nul t͡ʃel de ˈmo̯ar.te ǀ]'''
'''[ɨn ˈka.re te̯‿a.dɨn.ˈt͡ʃi.rə ǀ 𝄆 bar.ˈba.ri de ti.ˈranʲ 𝄇 ǁ]'''
'''[a.ˈkum orʲ ni.t͡ʃo.ˈda.tə ǀ kro.ˈjeʃ.te‿t͡sʲ ˈal.tə ˈso̯ar.te ǀ]'''
'''[la ˈka.re sə se‿ŋ.ˈki.ne ǀ 𝄆 ʃi ˈkru.zi təj duʃ.ˈmanʲ 𝄇 ǁ]'''

| 깨어나라, 루마니아인이여, 그 죽음의 잠에서,
잔인한 폭군이 그 속으로 그대를 빠지게 하네.
기회는 지금뿐이니, 그대의 새로운 운명을 만들라,
그대의 잔혹한 적조차 무릎을 꿇도록.

|-

| '''Acum ori niciodată să dăm dovezi la으로 쓰여진다.[14][15][16]}} lume'''
'''Că-n aste mâni mai curge 𝄆 un sânge de roman 𝄇,'''
'''Și că-n a noastre piepturi păstrăm cu fală-un nume'''
'''Triumfător în lupte, 𝄆 un nume de Traian 𝄇!'''}}

|

| '''[a.ˈkum orʲ ni.t͡ʃo.ˈda.tə ǀ sə dəm do.ˈvezʲ la ˈlu.me ǀ]'''
'''[kə‿n ˈas.te mɨnʲ mai̯ ˈkur.d͡ʒe ǀ 𝄆 un ˈsɨn.d͡ʒe de ro.ˈman 𝄇 ǁ]'''
'''[ʃi kə‿n a ˈno̯as.tre ˈpjep.turʲ ǀ pəs.ˈtrəm ku ˈfa.lə‿wn ˈnu.me ǀ]'''
'''[tri.uɱ.fə.ˈtor ɨn ˈlup.te ǀ 𝄆 un ˈnu.me de tra.ˈjan 𝄇 ǁ]'''

| 기회는 지금뿐이니, 만방에 증명해 보이라,
이 핏줄 속에 흐르는 로마인의 피를,
우리가 자랑스럽게 가슴에 품은,
전투의 승리자, 트라야누스의 이름을!

|-

| Înalță-ți lata frunte și caută-n giur de tine,
Cum stau ca brazi în munte 𝄆 voinici sute de mii 𝄇;
Un glas ei mai așteaptă și sar ca lupi în stâne,
Bătrâni, bărbați, juni, tineri, 𝄆 din munți și din câmpii 𝄇!ro

|

| [ɨ.ˈnal.t͡sə‿t͡sʲ ˈla.ta ˈfrun.te ǀ ʃi ˈkaw.tə‿n d͡ʒur de ˈti.ne ǀ]
[kum staw ka brazʲ ɨn ˈmun.te ǀ 𝄆 voj.ˈnit͡ʃʲ ˈsu.te de mi 𝄇 ǁ]
[un ɡlas jej maj aʃ.ˈte̯ap.tə ǀ ʃi sar ka lupʲ ɨn ˈstɨ.ne ǀ]
[bə.ˈtrɨnʲ bər.ˈbat͡sʲ ʒunʲ ˈti.nerʲ ǀ 𝄆 din munt͡sʲ ʃi din kɨm.ˈpi 𝄇 ǁ]

| 넓은 이마를 들어 주위를 둘러보라,
산에 솟은 전나무처럼, 어떻게 수천 수백의 영웅이 서있는가를.
양을 덮치는 늑대처럼, 공격할 신호음을 기다리고 있네,
산에서, 평지에서 온 노인들, 어른들, 청년들, 소년들이.

|-

| '''Priviți, mărețe umbre, Mihai, Ștefan, Corvine,'''
'''Româna națiune ('루마니아의 조국')이었다.[17]}}, 𝄆 ai voștri strănepoți 𝄇,'''
'''Cu brațele armate, cu focul vostru-n vine,'''
'''„Viața-n libertate 𝄆 ori moarte!” strigă toți 𝄇.'''}}

|

| '''[pri.ˈvit͡sʲ mə.ˈre.t͡se ˈum.bre ǀ mi.ˈhaj ʃte.ˈfan kor.ˈvi.ne ǀ]'''
'''[ro.ˈmɨ.na na.t͡si.ˈu.ne ǀ 𝄆 aj ˈvoʃ.tri strə.ne.ˈpot͡sʲ 𝄇 ǁ]'''
'''[ku ˈbra.t͡se.le ar.ˈma.te ǀ ku ˈfo.kul ˈvos.tru‿n ˈvi.ne ǀ]'''
'''[vi.ˈa.t͡sa‿n li.ber.ˈta.te ǀ 𝄆 orʲ ˈmo̯ar.te ˈstri.ɡə tot͡sʲ 𝄇 ǁ]'''

| 보소서, 위대한 그림자여 - 미하이, 슈테판, 코르비누스여,
루마니아의 국민, 그대들의 후손 된 자들이니,
손에는 무기를 쥐고, 핏줄에는 그대들의 불꽃을 지닌 채,
"자유의 삶 아니면, 차라리 죽음을!" 모두가 외쳤나이다.

|-

| Pre voi vă nimiciră a pizmei răutate
Și oarba neunire 𝄆 la Milcov și Carpați 𝄇!
Dar noi, pătrunși la suflet de sfânta libertate,
Jurăm că vom da mâna, 𝄆 să fim pururea frați 𝄇!ro

|

| [pre voj və ni.mi.ˈt͡ʃi.rə ǀ a ˈpiz.mej rə.u.ˈta.te ǀ]
[ʃi ˈo̯ar.ba ne.u.ˈni.re ǀ 𝄆 la ˈmil.kov ʃi kar.ˈpat͡sʲ 𝄇 ǁ]
[dar noj pə.ˈtrunʃʲ la ˈsu.flet ǀ de ˈsfɨn.ta li.ber.ˈta.te ǀ]
[ʒu.ˈrəm kə vom da ˈmɨ.na ǀ 𝄆 sə fim ˈpu.ru.re̯a frat͡sʲ 𝄇 ǁ]

| 당신은 밀코프 강과 카르파티아산맥에서,
부러움의 악과 눈먼 분열에 의해 패배했네.
하지만 거룩한 자유가 꿰뚫는 영혼을 가진 우리는,
형제애 속에 영원한 단결을 맹세하네.

|-

| O mamă văduvită de la Mihai cel Mare
Pretinde de la fii-și 𝄆 azi mână d-ajutori 𝄇,
Și blastămă cu lacrămi în ochi pe orișicare,
În astfel de pericul 𝄆 s-ar face vânzători 𝄇!ro

|

| [o ˈma.mə və.du.ˈvi.tə ǀ de la mi.ˈhaj t͡ʃel ˈma.re ǀ]
[pre.ˈtin.de de la ˈfi.i‿ʃʲ ǀ 𝄆 azʲ ˈmɨ.nə d‿a.ʒu.ˈtorʲ 𝄇 ǁ]
[ʃi ˈblas.tə.mə ku ˈla.krəmʲ ǀ ɨn okʲ pe orʲ.ʃi.ˈka.re ǀ]
[ɨn ˈast.fel de pe.ˈri.kul ǀ 𝄆 s‿ar ˈfa.t͡ʃe vɨn.zə.ˈtorʲ 𝄇 ǁ]

| 미하이 대공 때로부터, 홀로 된 어머니는[40],
그녀의 아들들에게서 도움의 손길을 구하네.
그녀는 눈물 흘리며 저주하네, 그 누구든,
반역자는 그러한 몰락에 빠지게 되리라고.

|-

| De fulgere să piară, de trăsnet și pucioasă,
Oricare s-ar retrage 𝄆 din gloriosul loc 𝄇,
Când patria sau mama, cu inima duioasă,
Va cere ca să trecem 𝄆 prin sabie și foc 𝄇!ro

|

| [de ˈful.d͡ʒe.re sə ˈpja.rə ǀ de ˈtrəs.net ʃi pu.ˈt͡ʃo̯a.sə ǀ]
[orʲ.ˈka.re s‿ar re.ˈtra.d͡ʒe ǀ 𝄆 din ɡlo.ri.ˈo.sul lok 𝄇 ǁ]
[kɨnd ˈpa.tri.a saw ˈma.ma ǀ ku ˈi.ni.ma du.ˈjo̯a.sə ǀ]
[va ˈt͡ʃe.re ka sə ˈtre.t͡ʃem ǀ 𝄆 prin ˈsa.bi.e ʃi fok 𝄇 ǁ]

| 천둥으로, 유황으로 소멸하리라,
이 영광스러운 곳에서 도망가려는 자는 누구든지,
우리의 땅이나 우리의 어머니가 슬픈 마음으로,
칼과 이글거리는 불길을 건너가도록 부탁할 때.

|-

| N-ajunse iataganul barbarei semilune,
A cărui plăgi fatale 𝄆 și azi le mai simțim 𝄇;
Acum se vâră cnuta în vetrele străbune,
Dar martor ne e Domnul 𝄆 că vii nu o primim 𝄇!ro

|

| [ˈn‿a.ʒun.d͡ʒe ja.ta.ˈɡa.nul ǀ bar.ˈba.rej se.mi.ˈlu.ne ǀ]
[a ˈkə.ruj pləd͡ʒʲ fa.ˈta.le ǀ 𝄆 ʃi azʲ le maj sim.ˈt͡sim 𝄇 ǁ]
[a.ˈkum se ˈvɨ.rə ˈknu.ta ǀ ɨn ˈve.tre.le strə.ˈbu.ne ǀ]
[dar ˈmar.tor ne je ˈdom.nul ǀ 𝄆 kə vi nu o pri.ˈmim 𝄇 ǁ]

| 야만스런 초승달야타간은 이제 충분하지 않은가,
지금까지도 우리가 끔찍한 상처를 느끼게 했으니.
이제 우리의 옛 집에서 채찍[41]이 휘둘러지네,
그러나 주님께선 산 증인이시니, 우리는 살아서 이를 용납할 수 없으리.

|-

| N-ajunse despotismul cu-ntreaga lui orbie,
Al cărui jug din seculi 𝄆 ca vitele-l purtăm 𝄇;
Acum se-ncearcă cruzii, în oarba lor trufie,
Să ne răpească limba, 𝄆 dar morți numai o dăm 𝄇!ro

|

| [ˈn‿a.ʒun.d͡ʒe des.po.ˈtis.mul ǀ k‿un.ˈtre̯a.ɡa luj or.ˈbi.e ǀ]
[al ˈkə.ruj ʒuɡ de ˈse.kulʲ ǀ 𝄆 ka ˈvi.te.le‿l pur.ˈtəm 𝄇 ǁ]
[a.ˈkum se‿n.ˈt͡ʃe̯ar.kə ˈkru.zi ǀ ku ˈo̯ar.ba lor tru.ˈfi.e ǀ]
[sə ne rə.ˈpe̯as.kə ˈlim.ba ǀ 𝄆 dar mort͡sʲ ˈnu.maj o dəm 𝄇 ǁ]

| 이 눈먼 폭정은 이제 충분하지 않은가,
가축처럼 그 멍에를 수백년 동안 져왔으니.
지금 잔혹한 자들은 그 눈먼 오만 속에서,
우리의 언어를 빼앗으려 하나, 죽음 이외에 무엇도 우리를 굴복시킬 수 없네.

|-

| Români din patru unghiuri, acum ori niciodată
Uniți-vă în cuget, 𝄆 uniți-vă-n simțiri 𝄇!
Strigați în lumea largă că Dunărea-i furată
Prin intrigă și silă, 𝄆 viclene uneltiri 𝄇!ro

|

| [ro.ˈmɨnʲ din ˈpa.tru ˈuŋ.gjurʲ ǀ a.ˈkum orʲ ni.t͡ʃo.ˈda.tə ǀ]
[u.ˈni.t͡si‿və ɨn ˈku.d͡ʒet ǀ 𝄆 u.ˈni.t͡si‿və‿n sim.ˈt͡sirʲ 𝄇 ǁ]
[stri.ˈɡat͡sʲ ɨn ˈlu.me̯a ˈlar.ɡə ǀ kə ˈdu.nə.re̯a‿j fu.ˈra.tə ǀ]
[prin ˈin.tri.ɡə ʃi ˈsi.lə ǀ 𝄆 vi.ˈkle.ne u.nel.ˈtirʲ 𝄇 ǁ]

| 사방에서 온 루마니아인들이여, 기회는 지금뿐이니,
생각으로 뭉치고, 감정으로 뭉치어라.
넓은 세계에 외쳐라, 다뉴브강은 빼앗겼다고,
음모와 강요, 얄팍한 간계에 의하여.

|-

| '''Preoți, cu crucea-n frunte căci oastea e creștină,'''
'''Deviza-i libertate 𝄆 și scopul ei preasfânt 𝄇.'''
'''Murim mai bine-n luptă, cu glorie deplină,'''
'''Decât să fim sclavi iarăși로 불린다.[18][19][20]}} 𝄆 în vechiul nost' pământ 𝄇!'''}}[28][29][30]

| [31][32]

| '''[ˈpre.ot͡sʲ ku ˈkru.t͡ʃe̯a‿n ˈfrun.te ǀ kət͡ʃʲ ˈo̯as.te̯a je kreʃ.ˈti.nə ǀ]'''
'''[de.ˈvi.za‿j li.ber.ˈta.te ǀ 𝄆 ʃi ˈsko.pul jej pre̯a.ˈsfɨnt 𝄇 ǁ]'''
'''[mu.ˈrim maj ˈbi.ne‿n ˈlup.tə ǀ ku ˈɡlo.ri.e de.ˈpli.nə ǀ]'''
'''[de.ˈkɨt sə fim sklavʲ ˈja.rəʃʲ ǀ 𝄆 ɨn ˈve.kjul nost pə.ˈmɨnt 𝄇 ǁ]'''

| 성직자여, 십자가를 들고 인도하라, 우리의 군대는 그리스도인들이기에,
표어는 자유이며 그 목표는 신성이라.
충만한 영광 속에 전장에서 죽는 것이 나으리,
우리의 오랜 땅 위에서 다시 노예가 되기보다.

|}

루마니아의 국가는 총 11절로 이루어져 있다. 오늘날 공식 행사에서는 루마니아 법에 따라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마지막(11번째) 절만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가 공휴일인 12월 1일과 같은 주요 행사에서는 21발 예포와 함께 대통령이 참석할 경우 국가 전체가 연주되기도 한다.

가사의 내용 중 일부는 루마니아의 역사적 배경과 민족적 정체성을 강하게 드러낸다.

  • 2절: 로마 제국다키아를 정복하고 현재 루마니아 영토의 기반을 마련한 트라야누스 황제를 언급하며, 루마니아인로마인의 후손임을 강조한다.
  • 4절: 루마니아 역사상 중요한 인물들인 미하이 용감공, 슈테판 대공, 그리고 헝가리 왕이지만 루마니아계 혈통을 지닌 마티아스 코르비누스를 호명하며 국가적 자긍심과 단결을 호소한다. 이들은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운 영웅으로 기억된다.

3. 2. 가사의 문학적, 역사적 분석

루마니아의 국가 "Deșteaptă-te, române!|깨어나라, 루마니아인이여!ro"의 가사는 총 11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풍부한 시적 표현과 상징, 그리고 역사적 맥락을 담고 있다. 오늘날 공식 행사에서는 주로 1절, 2절, 4절, 11절이 불리지만, 가사 전체는 루마니아 민족의 역사와 정체성, 그리고 열망을 깊이 있게 보여준다.
문학적 표현과 상징가사는 루마니아 민족의 각성과 해방을 촉구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문학적 장치를 사용한다.

  • 각성과 행동 촉구: 1절의 "somnul cel de moarte|죽음의 잠ro"은 외세의 압제 하에 놓인 민족의 무기력한 상태를 상징하며, "Deșteaptă-te|깨어나라ro"는 민족적 자각과 행동을 촉구하는 직접적인 명령이다. "Acum ori niciodată|기회는 지금뿐이니ro"라는 반복되는 구절은 혁명적 상황의 긴박함과 결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민족적 자긍심과 정체성: 2절은 루마니아인이 로마인의 후예임을 강조하며("이 핏줄 속에 흐르는 로마인의 피"), 다키아를 정복하고 로마화한 황제 트라야누스의 이름을 언급하여 민족적 자부심과 역사적 정통성을 내세운다. 이는 외세의 지배에 맞서 민족적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 민중의 힘과 용기: 3절은 산에 굳건히 서 있는 "brazi|전나무ro"와 "lupi în stâne|양을 덮치는 늑대ro"에 민중을 비유하여, 수많은 민중이 강인하고 용맹하게 봉기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묘사한다. 노인부터 소년까지 모든 계층이 참여함을 언급하며 민족 전체의 단결을 강조한다.
  • 조국애와 희생정신: 6절의 "O mamă văduvită|홀로 된 어머니ro"는 미하이 용감공 사후 분열되고 어려움에 처한 조국 루마니아를 상징하며[40], 자식들(국민)에게 도움을 호소하는 모습으로 조국애와 연대 의식을 불러일으킨다. 7절은 조국을 위해 "sabie și foc|칼과 이글거리는 불길ro"을 건너갈 각오, 즉 어떠한 희생도 감수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드러낸다.
  • 외세 압제 상징: 8절의 "iataganul barbarei semilune|야만스런 초승달의 야타간ro"은 오스만 제국의 오랜 지배와 그 상처를 상징한다. 또한, "cnuta|채찍ro"은 당시 루마니아에 영향력을 행사하던 러시아 제국의 압제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41] 9절의 "despotismul|눈먼 폭정ro"과 "Să ne răpească limba|우리의 언어를 빼앗으려 하나ro"라는 구절은 외세의 정치적 억압과 문화적 동화 정책에 대한 강력한 저항 의지를 보여준다. 언어는 민족 정체성의 핵심 요소로, 이를 목숨 걸고 지키겠다는 의지는 민족 해방 투쟁의 중요한 동력이었다.
  • 종교적 신념과 자유: 11절은 "Preoți, cu crucea-n frunte|십자가를 든 성직자ro"와 "oastea e creștină|그리스도인 군대ro"를 언급하며, 정교회 신앙이 루마니아 민족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임을 보여준다. "libertate|자유ro"를 "scopul ei preasfânt|신성한 목표ro"로 설정하고, 노예가 되느니 영광스럽게 싸우다 죽겠다는 결의를 다짐으로써, 자유를 향한 투쟁에 종교적 신념과 순교적 각오를 더한다.[35][36][37]

역사적 배경과 인물가사는 루마니아 역사 속 중요한 인물과 사건을 언급하며 민족적 기억을 환기하고 투쟁의 정당성을 강조한다.

  • 고대 로마와의 연결: 2절의 트라야누스 황제 언급은 루마니아 민족의 기원을 고대 로마 제국까지 소급하여 민족의 유구한 역사와 문명적 우수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이다. 이는 다키아인과 로마인의 융합으로 루마니아 민족이 형성되었다는 민족 기원 서사와 연결된다.
  • 민족 영웅 소환: 4절은 루마니아 역사상 위대한 군주들인 미하이 용감공(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를 잠시 통일했던 인물), 슈테판 대공(몰다비아의 전성기를 이끌고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운 영웅), 마티아스 코르비누스(루마니아계 헝가리 왕으로, 르네상스 군주이자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인물)를 호명한다. 이들의 "mărețe umbre|위대한 그림자ro"를 불러내어 후손들에게 용기와 영감을 주고,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자는 의지를 북돋는다.
  • 분열의 역사와 통일 염원: 5절의 "Milcov|밀코프 강ro"은 역사적으로 왈라키아 공국몰다비아 공국을 나누던 경계선이었으며, "카르파티아산맥"과 함께 언급되어 루마니아 민족의 분열과 그로 인한 약화를 상징한다. 가사는 이러한 분열("oarba neunire|눈먼 분열ro")을 극복하고 "să fim pururea frați|형제애 속에 영원한 단결ro"을 이루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는 19세기 루마니아 통일 운동의 열망을 반영한다.
  • 외세 지배의 역사: 8절과 9절은 각각 오스만 제국("야만스런 초승달")과 러시아 제국("채찍", "데스포티즘")으로 해석될 수 있는 외세의 오랜 지배와 압제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이에 대한 저항 의식을 고취시킨다. 특히 언어 말살 시도에 대한 저항은 민족 문화 수호 의지를 강하게 보여준다.
  • 주권 침해에 대한 비판: 10절은 "Români din patru unghiuri|사방에서 온 루마니아인들ro"에게 단결을 호소하며, 다뉴브강이 "intrigă și silă, viclene uneltiri|음모와 강요, 얄팍한 간계ro"로 인해 "furată|빼앗겼다ro"고 외친다. 이는 당시 러시아 제국의 영향력 확대 등으로 인해 루마니아의 주권이 침해당하고 영토(특히 베사라비아)를 상실했던 역사적 상황을 반영하며, 민족의 단결을 통해 빼앗긴 권리를 되찾아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루마니아 민족주의 형성에 미친 영향"깨어나라, 루마니아인이여!"는 1848년 혁명의 열기 속에서 탄생하여 이후 루마니아 민족주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가사는 외세로부터의 해방, 민족 통일, 역사적 정체성 확인, 언어와 문화 수호 등 19세기 루마니아 민족주의의 핵심적인 열망을 집약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민족 영웅들을 소환하고 로마인의 후예임을 강조하며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한편, 외세의 압제를 생생하게 묘사하며 저항 의식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깨어나라", "지금 아니면 안 된다"와 같은 구절은 민족적 각성과 혁명적 행동을 촉구하는 강력한 슬로건으로 기능하며, 루마니아의 독립과 통일 과정에서 민족적 에너지를 결집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4. 음악

(내용 없음)

5. 영향

(내용 없음)

5. 1. 루마니아 민족 정체성 형성

호라 운이리는 '합일의 호라'라는 뜻을 가진 노래로, 시인 바실레 알렉산드리가 가사를 썼다. 이 노래는 느리지만 활기찬 루마니아 민속 원무 선율에 맞춰 부르며, 모든 참석자가 함께 참여하는 호라 형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루마니아 공국이 통일되던 1859년을 비롯한 여러 중요한 행사에서 자주 불렸다.

참조

[1] 논문 Simbolurile Republicii Democratice Moldovenești (1917-1918). Interpretări semantice https://www.ceeol.co[...]
[2] 웹사이트 The anthem's history http://www.muzeulmur[...] 2012-07-22
[3] 서적 Imnul Național Deșteaptă-te, române! Ed. Salco, Brașov 2005
[4] 웹사이트 Romania - Deșteaptă-te, române! http://nationalanthe[...] 2011-11-08
[5] 뉴스 Cazimir: "Mie îmi place ''Trăiască Patria!''" http://adevarul.ro/n[...] 2014-09-10
[6] 뉴스 Cum a devenit "Deșteaptă-te, române!" imnul național al României https://www.digi24.r[...] 2018-05-05
[7] 뉴스 Pagina de istorie: Povestea cântecului "Deșteaptă-te, române!" și cum a devenit el "Marseilleza românilor" https://www.rfi.ro/c[...] 2020-06-26
[8] 웹사이트 Imnul național http://mapn.gov.ro/i[...] Ministerul Apărării Naționale 2022-02-26
[9] 웹사이트 Arhivele Bucovinene ale Sufletului http://dragusanul.ro[...]
[10] 간행물 РъсȢnет Brașov, România 1848-06-21
[11] 웹사이트 Imnul de stat al României "Deşteaptă-te române" https://www.navy.ro/[...] 2022-02-26
[12] 서적 Copilul si dictatorul https://books.google[...] Humanitas SA 2020-04-13
[13] Youtube Imnul National Desteapta-te Romane - Academia de Talente "Ella Gondos" & Marcel Pavel https://www.youtube.[...] 2022-02-26
[14] 서적 Romanian Panorama https://books.google[...] Foreign Languages Press Group "Romania" 1995
[15] 서적 Romanian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 Guide to Ancestry and Heritage Research https://books.google[...] HeritageQuest 2002
[16] 서적 În America pentru unirea Transilvaniei cu România https://books.google[...] S.C. "Dagerom Impex" S.R.L. 1997
[17] Youtube Anthem of Moldova 1991 - 1994 (Deșteaptă-te, române!) https://www.youtube.[...] 2019-01-22
[18] 웹사이트 Singurul gurean, veteran de război, în viaţă: "Vreau să mai trăiesc până în august, să mai joc o dată" https://www.tribuna.[...] 2022-02-26
[19] Youtube Imnul Romaniei (Romanian Anthem) https://www.youtube.[...] 2022-02-26
[20] Youtube Imnul Național "Deșteaptă-te române!" - Corul "Madrigal - Marin Constantin" și Cantus Mundi https://www.youtube.[...] 2022-02-26
[21] 웹사이트 Гимн Румынии Deşteaptă-te, române! («Пробудись, румын!») https://romanianpass[...]
[22] 웹사이트 Перевод Марии Шалаевой. https://fangysmile.d[...] 2022-06-08
[23] 문서 The Roman emperor Trajan conquered Dacia, covering roughly the same territory as modern Romania, for the Roman Empire.
[24] 문서 Michael briefly ruled the principalities of Wallachia, Moldavia and Transylvania, covering roughly the same territory as modern Romania.
[25] 문서 A whip usually associated with Imperial Russia, as the yatagan was with the Ottomans.
[26] 웹사이트 http://www.muzeulmuresenilor.ro/istorie.htm https://web.archive.[...]
[27] 서적 Imnul Național Deșteaptă-te, române! Ed. Salco, Brașov 2005
[28] 웹사이트 Imnul României https://www.presiden[...] Președintele României. Presidency.ro
[29] 뉴스 Imnul României “Deșteaptă-te, române” – Versuri și istoric https://www.libertat[...] Libertatea 2019-11-25
[30] 웹사이트 Imnul National al Romaniei https://www.frvolei.[...] FRVolei
[31] 웹사이트 ARHIVELE BUCOVINENE ALE SUFLETULUI http://dragusanul.ro[...] Dragusanul.ro
[32] 간행물 РъсȢnет Brașov, România 1848-06-21
[33] 웹인용 Cazimir: "Mie îmi place ''Trăiască Patria!''" http://adevarul.ro/n[...] 2014-09-10
[34] 서적 Imnul Național Deșteaptă-te, române! Ed. Salco, Brașov 2005
[35] 웹사이트 Imnul României https://www.presiden[...] Președintele României. Presidency.ro
[36] 뉴스 Imnul României “Deșteaptă-te, române” – Versuri și istoric https://www.libertat[...] Libertatea 2019-11-25
[37] 웹사이트 Imnul National al Romaniei https://www.frvolei.[...]
[38] 웹사이트 ARHIVELE BUCOVINENE ALE SUFLETULUI http://dragusanul.ro[...]
[39] 간행물 РъсȢnет Фоаіе пеnтрȢ minтe, inimъ ші лiтератȢръ (Foaiе pentru minte, inimă și literatură) 1848-06-21
[40] 문서 미하이 대공이 반년가량 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의 공작을 겸하는 형태로 루마니아를 통합함
[41] 문서 대체로 [[러시아]]와 관련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