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요라나 페르미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1937년 에토레 마요라나가 제안한 입자로, 전하를 띠지 않고 스핀이 1/2인 페르미온이다. 이 입자는 자신의 반입자와 동일하며, 중성미자가 마요라나 페르미온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초대칭성 이론과 응집 물질 물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초전도체 내에서 마요라나 결합 상태(마요라나 영 모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마요라나 결합 상태는 위상 양자 컴퓨터의 구성 요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험을 통해 그 존재가 탐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양자 오류 정정 코드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입자물리학 - 전자볼트
    전자볼트는 전자가 1볼트의 전위차를 통과할 때 얻거나 잃는 에너지 단위로, 1.602 × 10⁻¹⁹ 줄과 같으며, 다양한 물리학 분야와 공학에서 에너지, 질량, 운동량, 온도, 거리 등을 표현하는 데 널리 활용된다.
  • 입자물리학 - 알파 붕괴
    알파 붕괴는 원자핵이 헬륨-4 원자핵인 알파 입자를 방출하여 원자 번호와 질량수가 감소하는 방사성 붕괴의 한 형태로, 무거운 원자핵에서 주로 발생하며 양자 터널링 효과로 설명되고 연기 감지기 등에 활용되지만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다.
마요라나 페르미온
일반 정보
마요라나 페르미온 개념도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개념도
유형페르미온
반입자자기 자신
이론エットーレ・マヨラナ
발표1937년
이론적 배경
설명디랙 페르미온과 달리,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전기적으로 중성이어야 한다.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입자와 반입자가 동일한 페르미온이다.
관련 입자
후보중성미자 (아직 확실히 증명되지는 않음)
마요론 (가설적 입자)
중요성
활용 가능성양자 컴퓨팅의 위상 양자 컴퓨터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2. 이론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실수 값을 갖는 상대론적 파동 방정식(마요라나 방정식)으로 기술되며, 입자와 반입자의 파동 함수는 복소 켤레 관계를 갖는다.[2] 2차 양자화에서 생성 및 소멸 연산자를 통해 디랙 페르미온과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차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디랙 페르미온의 경우 생성 연산자(\gamma^{\dagger}_j)와 소멸 연산자(\gamma_j)가 다르지만,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경우 이 둘은 동일하다.

일반적인 페르미온 소멸 및 생성 연산자 ff^{\dagger}는 두 개의 마요라나 연산자 \gamma_1\gamma_2로 표현할 수 있다.

: f = \tfrac{1}{\sqrt{2}} (\gamma_1+i\gamma_2),

: f^{\dagger} = \tfrac{1}{\sqrt{2}} (\gamma_1-i\gamma_2) ~.

다른 일반적인 관례는 다음과 같다.

: f = \tfrac{1}{2} (\gamma_1 + i\gamma_2),

: f^\dagger = \tfrac{1}{2} (\gamma_1 - i\gamma_2),

이를 통해 마요라나 페르미온 연산자를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 \gamma_1 = f^\dagger + f,

: \gamma_2 = i (f^{\dagger} - f).

이때, \gamma_i=\gamma_i^\dagger가 성립한다. 이 관례에서 마요라나 연산자는 항등원으로 제곱되며, 즉 \gamma_i^2=(\gamma_i^\dagger)^2=1이다.

2n개의 마요라나 페르미온(n개의 일반 페르미온) 집합 \gamma_i(i=1,2,..,2n)은 다음과 같은 반교환 관계를 따른다.

: \{\gamma_i,\gamma_j\} = 2 \delta_{ij}

: \sum_{ijkl} [\gamma_i A_{ij} \gamma_j, \gamma_k B_{kl} \gamma_l] = 4 \sum_{ij} \gamma_i [A,B]_{ij} \gamma_j

여기서 AB는 반대칭 행렬이다. 이는 n차원의 실수 클리퍼드 대수에 대한 교환 관계와 동일하다.

스핀 1/2의 소립자인 페르미 입자는 디랙 방정식을 따르며, 디랙 스피너로 나타낸다. 페르미 입자의 손지기성에는 왼쪽과 오른쪽이 있으며, 디랙 방정식에서 왼쪽과 오른쪽 성분은 두 종류의 바일 스피너(2성분 스피너)로 나뉜다. 전자양전자처럼 입자와 반입자가 전하 켤레 변환으로 연결된 경우, 전자의 왼쪽 바일 스피너와 양전자의 오른쪽 바일 스피너, 전자의 오른쪽 바일 스피너와 양전자의 왼쪽 바일 스피너가 각각 관련된다. 마요라나 입자는 바일 스피너가 한 종류이며, 입자와 반입자가 동일하다. 이러한 마요라나 조건은 중성 페르미 입자에 한정되며, 하전 페르미 입자는 마요라나 입자가 될 수 없다.

중성미자가 마요라나 입자인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 가무란도에서 진행 중이다.[66]

초대칭성 모델에서 뉴트랄리노(게이지 보손과 힉스 보손의 초파트너)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이다. 초대칭 이론에서 중성 게이지장에 속하는 벡터 초다중항의 초대칭 파트너는 마요라나 입자이다. 예를 들어, 포티노지노와 같은 뉴트랄리노는 마요라나 입자이다.

3. 소립자

입자와 반입자는 반대되는 보존 전하를 가지기 때문에,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전하가 0이다. 표준 모형의 왼손 중성미자와 오른손 반중성미자조차 0이 아닌 약한 아이소스핀을 가진다.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고유 전기 쌍극자 모멘트 또는 자기 모멘트를 가질 수 없으며, 오직 토로이드 모멘트만 가질 수 있다.[7][8][9] 전자기장과의 이러한 최소 상호작용은 차가운 암흑 물질의 잠재적 후보로 만든다.[10][11]

스핀 1/2의 소립자인 페르미 입자는 운동 방정식디랙 방정식에 따르며, 4성분의 스피너(디랙 스피너)로 나타낸다. 페르미 입자의 손지기성에는 왼쪽 돌림과 오른쪽 돌림이 있으며, 디랙 방정식의 감마 행렬을 바일 표현으로 나타내면, 왼쪽 돌림 성분과 오른쪽 돌림 성분은 2종류의 바일 스피너(2성분 스피너)로 분해할 수 있다. 전자양전자처럼 입자와 반입자가 전하 켤레 변환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전자의 왼쪽 돌림 바일 스피너와 양전자의 오른쪽 돌림 바일 스피너, 전자의 오른쪽 돌림 바일 스피너와 양전자의 왼쪽 돌림 바일 스피너가 각각 관련된다. 마요라나 입자는 바일 스피너가 1종류만으로 구성되며, 입자와 반입자가 동일하다. 이러한 조건(마요라나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중성 페르미 입자에 한정되며, 하전 페르미 입자는 마요라나 입자가 될 수 없다.

3. 1. 표준 모형

표준 모형에서 마요라나 페르미온이 될 수 있는 유일한 후보는 중성미자이다. 표준 모형의 다른 모든 기본 페르미온은 게이지 전하를 가지므로 마요라나 질량을 가질 수 없다. 중성미자 진동 현상은 중성미자가 질량을 가짐을 보여주며, 시소 메커니즘은 중성미자가 마요라나 페르미온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만약 중성미자가 마요라나 페르미온이라면, 렙톤 수 보존 법칙이 위배될 수 있다. 중성미자 없는 이중 베타 붕괴 실험은 중성미자가 마요라나 페르미온인지 확인하는 중요한 실험이다. 이 실험은 아직 관측되지 않았지만, 만약 존재한다면 중성미자가 자신의 반입자임을 증명하는 것이다.[3][4]

에토레 마요라나는 1937년에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존재를 가설로 세웠다.


대한민국에서는 가무란도 실험을 통해 중성미자가 마요라나 입자인지 검증하고 있다.[66]

3. 2. 초대칭성 이론

초대칭성 모델에서 뉴트랄리노(게이지 보손과 힉스 보손의 초파트너)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이다.[2] 초대칭 이론인 게이지 이론은 왼쪽 나선(카이랄) 및 오른쪽 나선(반 카이랄)의 스칼라 초다중항(스칼라 입자, 페르미 입자, 보조장)과 게이지 변환을 담당하는 벡터 초다중항(보조장, 페르미 입자, 게이지 입자)으로 기술된다. 스칼라 초다중항은 예를 들어 스전자-L과 전자의 왼쪽 나선 성분, 보조장이며, 벡터 초다중항은 예를 들어 보조장, 포티노광자이다. 중성 게이지장은 실수로 표시되며, 입자와 반입자가 동일하므로, 중성 게이지장에 속하는 벡터 초다중항에 속하는 초대칭 파트너는 마요라나 입자가 된다. 예를 들어, 포티노나 지노와 같은 뉴트랄리노는 마요라나 입자이다.[2]

4. 응집물질물리학

응집물질물리학 분야에서, 특정 물질 속 전자계의 여기 상태는 마요라나 입자로 묘사될 수 있다는 이론이 제시되었다. 여러 연구 기관에서 이에 대한 실험적 검증을 시도하고 있다. 물질 내 마요라나 입자는 2차원 또는 1차원에 갇혀 있으며, 일반적인 페르미온이나 보손과는 다른 성질을 갖는 애니온이 된다. 애니온은 비가환 통계를 따르며, 입자 교환에 의해 상태 전이가 일어난다고 여겨진다. 입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점유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위상 양자 컴퓨터에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4. 1. 개요

초전도체에서 준입자는 마요라나 페르미온(비-기본 입자)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응집 물질 물리학에서 더 일반적으로 보골리보프 준입자라고 불린다. 초전도체 내의 준입자가 자기 자신의 반입자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가능하다.[12]

수학적으로, 초전도체는 준입자 여기(excitation)에 전자 정공 "대칭성"을 부과하여, 특정 에너지에서의 생성 연산자를 반대 에너지에서의 소멸 연산자와 관련시킨다.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0 에너지에서 결함에 묶일 수 있으며, 이 결합된 개체는 마요라나 결합 상태 또는 '''마요라나 영 모드'''라고 불린다.[12] 이 개체의 통계는 더 이상 페르미온이 아니기 때문에, 마요라나 결합 상태라는 명칭이 더 적절하다(문헌에서 항상 구별되지는 않지만). 대신, 마요라나 결합 상태는 비가환 아욘의 한 예이다. 이를 상호 교환하면, 교환이 수행된 순서에만 의존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의 상태가 변경된다. 마요라나 결합 상태가 가지는 비가환 통계는 이를 위상 양자 컴퓨터의 구성 요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13]

특정 초전도체 또는 초유체 내의 양자 와동은 중간 간극 상태를 가둘 수 있으며, 이는 마요라나 결합 상태의 한 가지 원천이다.[14][15][16] 초전도 와이어 또는 선형 결함의 끝점에서의 쇼클리 상태는 또 다른, 순수하게 전기적인 원천이다.[17] 완전히 다른 원천은 초전도체를 대체하는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사용한다.[18]

어떤 종류의 물질 속 전자계의 여기 상태가 마요라나 입자로 묘사될 수 있다는 이론이 제시되었으며, 이에 대한 실험적 검증이 여러 연구 기관에서 시도되고 있다. 물질 내 마요라나 입자는 2차원 또는 1차원에 갇혀 있으며, 일반적인 페르미온이나 보손과는 다른 성질을 갖는 애니온이 된다. 애니온은 비가환 통계를 따르며, 입자 교환에 의해 상태 전이가 일어난다고 여겨진다. 입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점유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양자 컴퓨터에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토폴로지 양자 컴퓨터).

4. 2. 마요라나 결합 상태

초전도체에서 준입자는 응집 물질 물리학에서 보골리보프 준입자라고 불리는 마요라나 페르미온(비-기본 입자)으로 나타날 수 있다. 초전도체 내의 준입자가 자기 자신의 반입자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가능하다.

수학적으로 초전도체는 준입자 여기(excitation)에 전자 정공 "대칭성"을 부과한다. 에너지 E에서의 생성 연산자 \gamma(E)는 에너지 -E에서의 소멸 연산자 {\gamma^{\dagger}(-E)}와 관련된다.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0 에너지에서 결함에 묶일 수 있으며, 이렇게 결합된 개체를 마요라나 결합 상태 또는 '''마요라나 영 모드'''라고 부른다.[12] 이 개체의 통계는 더 이상 페르미온이 아니기 때문에, 마요라나 페르미온보다 마요라나 결합 상태라는 명칭이 더 적절하다(문헌에서는 항상 구별되지는 않지만). 마요라나 결합 상태는 비가환 아욘의 한 예이다. 이를 상호 교환하면, 교환이 수행된 순서에만 의존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의 상태가 변경된다. 마요라나 결합 상태가 가지는 비가환 통계는 이를 위상 양자 컴퓨터의 구성 요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13]

특정 초전도체 또는 초유체 내의 양자 와동은 중간 간극 상태를 가둘 수 있으며, 이는 마요라나 결합 상태의 한 가지 원천이다.[14][15][16] 초전도 와이어 또는 선형 결함의 끝점에서의 쇼클리 상태는 또 다른, 순수하게 전기적인 원천이다.[17] 완전히 다른 원천은 초전도체를 대체하는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사용한다.[18]

어떤 종류의 물질 속 전자계의 여기 상태가 마요라나 입자로 묘사될 수 있다는 이론이 제시되었고, 이에 대한 실험적 검증이 여러 연구 기관에서 시도되고 있다. 물질 내 마요라나 입자는 2차원 또는 1차원에 갇혀 있으며, 일반적인 페르미온이나 보손과는 다른 성질을 갖는 애니온이 된다. 애니온은 비가환 통계를 따르며, 입자 교환에 의해 상태 전이가 일어난다고 여겨진다. 입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점유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양자 컴퓨터에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토폴로지 양자 컴퓨터).

4. 3. 실험적 검증

2008년, 푸와 케인은 위상 절연체와 초전도체의 경계면에서 마요라나 결합 상태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예측했다.[19][20] 2012년 델프트 공과대학교 연구팀은 안티몬화 인듐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실험에서 마요라나 결합 상태의 증거를 발견했다.[25] 같은 시기, 퍼듀 대학교와 노트르담 대학교 연구팀은 분수 조셉슨 효과를 통해 마요라나 결합 상태를 관찰했다.[26]

2014년 프린스턴 대학교 연구팀은 주사 터널링 현미경을 사용하여 마요라나 결합 상태의 증거를 관찰했다.[37][38] 2016년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 연구팀은 양자 스핀 액체에서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관찰했다.[43]

2018년 중국과학원 연구팀은 철 기반 초전도체에서 마요라나 결합 상태의 증거를 보고했다.[50] 같은 해 교토 대학교, 도쿄 대학교, 도쿄 공업대학교 연구팀은 염화 루테늄(III)을 이용한 실험에서 마요라나 입자의 존재를 실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Nature에 발표했다.[99][100][101][102][103][104][105][106][107][108]

2023년 연구에서는 초전도 나노와이어 내의 두 양자점으로 구성된 키타예프 체인에서 마요라나 경계 상태를 구현했다.[61][62]

4. 4. 양자 오류 정정

마요라나 경계 상태(Bound State)가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양자 오류 정정 코드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54][55] 이 과정은 토릭 코드와 같은 코드에서 '꼬임 결함'을 생성함으로써 수행되며, 이 결함은 짝을 이루지 않은 마요라나 모드를 갖는다.[56][57] 마요라나는 2차원 시트 또는 나노와이어 네트워크에서 서로 물리적으로 움직여 "꼬아진다".[58] 이 꼬임 과정은 브레이드 그룹의 사영 표현을 형성한다.[59]

이러한 마요라나의 실현은 마요라나가 양자 정보를 양자 계산 내에서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60] 비록 코드가 일반적으로 오류 억제를 제공하는 해밀토니안을 갖지 않더라도, 내재된 양자 오류 정정 코드가 결함 허용성을 제공할 것이다.

참조

[1] Youtube "Quantum Computation possible with Majorana Fermions" https://www.youtube.[...] 2013-04-19
[2] 서적 Ettore Majorana Scientific Papers https://archive.org/[...]
[3] 논문 Neutrino-less double beta decay and particle physics
[4] 논문 Neutrinoless double-β decay in SU(2) x U(1) theories http://roderic.uv.es[...]
[5] 논문 Majorana neutrinos and the production of the right-handed charged gauge boson
[6] 논문 Left-right symmetry: From LHC to neutrinoless double beta decay
[7] 논문 CPT and CP properties of Majorana particles, and the consequences
[8] 논문 On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Majorana fermions
[9] 논문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Generalized Majorana Particles
[10] 논문 Direct and indirect limits on the electro-magnetic form factors of WIMPs
[11] 논문 Anapole Dark Matter
[12] 논문 Majorana returns http://ctp.lns.mit.e[...]
[13] 논문 Non-Abelian anyons and topological quantum computation
[14] 논문 Mutual friction in superfluid {{sup|3}}He: Effects of bound states in the vortex core
[15] 논문 Fermion zero modes on vortices in chiral superconductors
[16] 논문 Paired states of fermions in two dimensions with breaking of parity and time-reversal symmetries and the fractional quantum Hall effect 2000
[17] 논문 Unpaired Majorana fermions in quantum wires
[18] 논문 Nonabelions in the fractional quantum Hall effect 1991-08
[19] 논문 Superconducting proximity effect and Majorana fermions at the surface of a topological insulatorn
[20] 논문 Josephson current and noise at a superconductor/quantum-spin-Hall-insulator/superconductor junction
[21] 논문 New directions in the pursuit of Majorana fermions in solid state systems
[22] 논문 Search for Majorana fermions in superconductors 2013-04
[23] 뉴스 Quest for quirky quantum particles may have struck gold 2012-02-28
[24] 뉴스 Majorana particle glimpsed in lab https://www.bbc.co.u[...] 2012-04-15
[25] 논문 Signatures of Majorana fermions in hybrid superconductor-semiconductor nanowire devices 2012-04-12
[26] 논문 Observation of the fractional ac Josephson effect: the signature of Majorana particles
[27] 논문 Fractional ac Josephson effect in p- and d-wave superconductors 2004
[28] 논문 Anomalous zero-bias conductance peak in a Nb-InSb nanowire-Nb hybrid device 2012-11-28
[29] 논문 Zero-bias peaks and splitting in an Al-InAs nanowire topological superconductor as a signature of Majorana fermions 2012-11-11
[30] 논문 Superconductor-nanowire devices from tunneling to the multichannel regime: Zero-bias oscillations and magnetoconductance crossover 2013-06-06
[31] 논문 Parity independence of the zero-bias conductance peak in a nanowire based topological superconductor-quantum dot hybrid device 2014-11-11
[32] 논문 4-pi-periodic Josephson supercurrent in HgTe-based topological Josephson junctions
[33] 논문 Majorana Fermions and a Topological Phase Transition in Semiconductor-Superconductor Heterostructures 2010-08
[34] 논문 Helical Liquids and Majorana Bound States in Quantum Wires 2010-10
[35] 논문 Spin-resolved Andreev levels and parity crossings in hybrid superconductor–semiconductor nanostructures 2013-12-15
[36] 논문 Majorana bound state in a coupled quantum-dot hybrid-nanowire system
[37] 논문 Observation of Majorana fermions in ferromagnetic atomic chains on a superconductor 2014-10-02
[38] 간행물 Majorana fermion: Physicists observe elusive particle that is its own antiparticle http://phys.org/news[...] 2014-10-03
[39] 논문 High-resolution studies of the Majorana atomic chain platform http://www.nature.co[...] 2017-03
[40] 논문 Distinguishing a Majorana zero mode using spin-resolved measurements https://www.science.[...] 2017-11-10
[41] 논문 Toward tailoring Majorana bound states in artificially constructed magnetic atom chains on elemental superconductors 2018-05-30
[42] 논문 Detecting and distinguishing Majorana zero modes with the scanning tunnelling microscope https://www.nature.c[...] 2021-08
[43] 논문 Proximate Kitaev quantum spin liquid behaviour in a honeycomb magnet 2016-04-04
[44] 논문 Chiral Majorana fermion modes in a quantum anomalous Hall insulator–superconductor structure 2017-07-21
[45] 웹사이트 Majorana fermion detected in a quantum layer cake https://www.sciencen[...] 2017-07-20
[46] 논문 Absence of evidence for chiral Majorana modes in quantum anomalous Hall-superconductor devices 2020-01-03
[47] 논문 Looking for chiral Majoranas 2020-01-03
[48] 간행물 The case of the elusive Majorana: The so-called 'angel particle' is still a mystery https://www.scienced[...] Penn State 2020-01-03
[49] 논문 Editorial Retraction
[50] 논문 Evidence for Majorana bound states in an iron-based superconductor 2018-08-16
[51] 논문 Discrete energy levels of Caroli-de Gennes-Matricon states in quantum limit in FeTe{{sub|0.55}}Se{{sub|0.45}} 2018-03-06
[52] 논문 Spatially dispersing Yu-Shiba-Rusinov states in the unconventional superconductor FeTe{{sub|0.55}}Se{{sub|0.45}} 2021-01-12
[53] 논문 Signature of a pair of Majorana zero modes in superconducting gold surface states 2020-04-06
[54] 논문 Non-Abelian anyons and topological quantum computation 2008-03-27
[55] 논문 Majorana zero modes and topological quantum computation 2015-10-27
[56] 논문 Topological Order with a Twist: Ising Anyons from an Abelian Model 2010-07-14
[57] 논문 Demonstrating non-Abelian statistics of Majorana fermions using twist defects
[58] 웹사이트 Why Majoranas are cool: Braiding and quantum computation https://topocondmat.[...] 2021-10-07
[59] 논문 Twist defects and projective non-Abelian braiding statistics
[60] 논문 Reduced space-time and time costs using dislocation codes and arbitrary ancillas
[61] 논문 Realization of a minimal Kitaev chain in coupled quantum dots https://www.nature.c[...] 2023-02-15
[62] 논문 Evidence Found for a Majorana "Cousin" https://physics.aps.[...] 2023-02-15
[63] 논문 Unpaired Majorana fermions in quantum wires https://iopscience.i[...] 2001-10-01
[64] 논문 Teoria simmetrica dell'elettrone e del positrone
[65] 서적 Ettore Majorana Scientific Papers Springer 2007-04-25
[66] 문서 デジタル大辞泉
[67] 웹사이트 Majorana http://www.rover.nua[...] 名古屋大学 2018-12-20
[68] 논문 Fault-tolerant quantum computation by anyons 2002-05-20
[69] 웹사이트 トポロジカル量子コンピュータの実現に向けたマヨラナ粒子の探索 https://qforum.org/t[...] (一社)量子ICTフォーラム 2022-08-19
[70] 논문 Superconducting Proximity Effect and Majorana Fermions at the Surface of a Topological Insulator 2007-07-11
[71] 논문 Josephson current and noise at a superconductor/quantum-spin-Hall-insulator/superconductor junction 2008-04-28
[72] 논문 New directions in the pursuit of Majorana fermions in solid state systems 2012-06-28
[73] 논문 Search for Majorana fermions in superconductors 2013-04
[74] 논문 Quest for quirky quantum particles may have struck gold 2012-02-28
[75] 뉴스 Majorana particle glimpsed in lab https://www.bbc.co.u[...] 2012-04-15
[76] 논문 Signatures of Majorana fermions in hybrid superconductor-semiconductor nanowire devices 2012-04-12
[77] 논문 Observation of the fractional ac Josephson effect: the signature of Majorana particles 2012-04-30
[78] 논문 Fractional ac Josephson effect in p- and d-wave superconductors 2004-02
[79] 논문 Anomalous zero-bias conductance peak in a Nb-InSb nanowire-Nb hybrid device http://pubs.acs.org/[...] 2012-11-28
[80] 논문 Zero-bias peaks and splitting in an Al-InAs nanowire topological superconductor as a signature of Majorana fermions. 2012-11-11
[81] 논문 Superconductor-nanowire devices from tunneling to the multichannel regime: Zero-bias oscillations and magnetoconductance crossover http://journals.aps.[...] 2013-06-06
[82] 논문 Parity independence of the zero-bias conductance peak in a nanowire based topological superconductor-quantum dot hybrid device http://www.nature.co[...] 2014-11-11
[83] 논문 4{{pi}}-periodic Josephson supercurrent in HgTe-based topological Josephson junctions 2016
[84] 논문 Majorana Fermions and a Topological Phase Transition in Semiconductor-Superconductor Heterostructures 2010-08
[85] 논문 Helical Liquids and Majorana Bound States in Quantum Wires 2010-10
[86] 논문 Spin-resolved Andreev levels and parity crossings in hybrid superconductor–semiconductor nanostructures http://www.nature.co[...] 2013-12-15
[87] 논문 Majorana bound state in a coupled quantum-dot hybrid-nanowire system
[88] 논문 Observation of Majorana fermions in ferromagnetic atomic chains on a superconductor 2014-10-02
[89] 웹사이트 Majorana fermion: Physicists observe elusive particle that is its own antiparticle http://phys.org/news[...] Phys.org 2014-10-03
[90] 웹사이트 New Particle Is Both Matter and Antimatter http://www.scientifi[...] 2014-10-03
[91] 논문 Chiral Majorana fermion modes in a quantum anomalous Hall insulator–superconductor structure http://science.scien[...] 2017-07-21
[92] 웹사이트 Majorana fermion detected in a quantum layer cake https://www.sciencen[...] Science Magazine 2018-07-19
[93] 웹사이트 Mysterious new state of matter discovered http://www.dailymail[...] 2016-04-04
[94] 논문 Proximate Kitaev quantum spin liquid behaviour in a honeycomb magnet 2016-04-04
[95] 논문 Quantized Majorana conductance https://www.nature.c[...] 2018-04
[96] 논문 Large zero-bias peaks in InSb-Al hybrid semiconductor-superconductor nanowire devices https://arxiv.org/ab[...] 2021-01-27
[97] 웹사이트 マイクロソフトの量子コンピューター計画が後退? 明らかになった「技術的なエラー」の深刻度 https://www.sankei.c[...] 2021-02-22
[98] 뉴스 Microsoft’s Big Win in Quantum Computing Was an ‘Error’ After All https://www.wired.co[...] 2021-02-22
[99] 논문 Majorana quantization and half-integer thermal quantum Hall effect in a Kitaev spin liquid 2018-07-11
[100] 웹사이트 幻の「マヨラナ粒子」発見-トポロジカル量子コンピュータの実現に期待 http://www.kyoto-u.a[...] 京都大学 2018-07-15
[101] 웹사이트 幻の粒子「マヨラナ粒子」の発見 トポロジカル量子コンピューターの実現に期待 https://www.titech.a[...] 東京工業大学 2018-07-15
[102] 뉴스 幻の「マヨラナ粒子」発見-トポロジカル量子コンピュータの実現に期待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18-07-12
[103] 뉴스 予言から80年、幻の「マヨラナ粒子」確認 京都大など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8-07-12
[104] 뉴스 マヨラナ粒子 京大グループが実証 同じ動き観測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8-07-12
[105] 뉴스 80年前予言、幻の「マヨラナ粒子」存在証明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18-07-12
[106] 뉴스 「幻の粒子」京大など発見 予言から80年、量子計算機に応用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8-07-12
[107] 뉴스 マヨラナ粒子の存在実証=80年前に理論的予言-京大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18-07-12
[108] 뉴스 「マヨラナ粒子」の存在を証明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18-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