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상 양자 컴퓨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상 양자 컴퓨터는 꼬임군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양자 컴퓨터의 한 종류로, 2차원 공간에서 존재하는 준입자인 애니온의 꼬임 현상을 이용하여 양자 정보를 처리한다. 위상 양자 컴퓨터는 오류에 강한 장점을 가지며, 기존 양자 컴퓨터와 계산 능력 면에서 동등하지만, 특정 알고리즘 구현에 유리하다. 위상 양자 컴퓨터는 계산 수행, 오류 수정 및 제어를 위해 애니온의 꼬임과 융합을 활용하며, 피보나치 애니온을 이용한 계산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현재 비가환 애니온의 실험적 검증과 제어 기술 개발이 핵심 과제로 남아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에서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 컴퓨팅 - 양자 프로그래밍
    양자 프로그래밍은 양자 컴퓨터 제어 및 양자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양자 명령어 집합과 양자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및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양자 컴퓨팅 연구 및 개발을 지원한다.
  • 양자 컴퓨팅 - 큐트리트
    큐트리트는 양자 컴퓨팅에서 정보의 기본 단위로 사용되는 3차원 양자 시스템으로, 세 개의 직교하는 기저 상태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되며 큐비트보다 데코히어런스에 강하지만 조작의 어려움으로 큐비트와의 양자 얽힘을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양자정보과학 -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는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로, 큐비트를 통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하여 특정 연산에서 기존 컴퓨터보다 빠른 속도를 보이며 암호 해독,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양자정보과학 - 벨 부등식
    벨 부등식은 양자역학과 국소적 숨은 변수 이론의 모순을 보이는 부등식으로, 실험 결과는 벨 부등식의 위반을 통해 양자역학의 비국소성을 시사하며 양자 정보 과학에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 계산 모형 -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는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로, 큐비트를 통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하여 특정 연산에서 기존 컴퓨터보다 빠른 속도를 보이며 암호 해독,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계산 모형 - 양자 회로
    양자 회로는 양자 컴퓨팅에서 양자 논리 게이트들을 연결한 회로로, 큐비트의 양자역학적 특성을 활용하여 계산을 수행하며 양자 계산의 핵심 요소로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위상 양자 컴퓨터
개요
유형양자 컴퓨터
기반위상적 얽힘된 상태
이론적 기초군 표현
물리적 구현분수 양자 홀 효과
초전도체
반도체 양자 우물
큐비트 유형마요라나 페르미온 (비-아벨 Anyons)
오류 수정 능력고유한 오류 수정 능력 (위상적 보호)
작동 원리
기본 개념위상수학적 얽힘을 활용하여 정보 저장 및 처리
땋기 그룹 연산을 통해 양자 게이트 구현
주요 특징외부 교란에 강하여 높은 안정성
양자 정보의 위상적 보호를 통해 오류 발생률 감소
연산 방식에니온의 교환 통계 (exchange statistics) 이용
대표적인 모델Kitaev 모델
장점 및 단점
장점높은 오류 내성 (fault-tolerance)
확장성 (scalability) 잠재력
장거리 얽힘 생성 가능
단점물리적 구현의 어려움
큐비트 제어 및 측정의 복잡성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실용적인 양자 컴퓨터 구현에 한계
연구 및 개발 동향
주요 연구 기관Microsoft Quantum
Google AI Quantum
IBM Quantum
University of Maryland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연구 분야마요라나 페르미온 탐색 및 제어 기술 개발
초전도체 기반 위상 큐비트 연구
반도체 양자 우물을 이용한 위상 큐비트 연구
위상 양자 알고리즘 개발
기술적 과제안정적인 마요라나 페르미온 생성 및 유지
높은 충실도의 양자 게이트 구현
대규모 큐비트 시스템의 제어 및 측정
응용 분야
기대되는 응용 분야암호 해독
신약 개발
신소재 개발
최적화 문제 해결
인공지능
관련 개념
관련 개념양자 정보 과학
양자 얽힘
양자 오류 수정
위상수학
응집물질물리학
참고 자료
관련 참고 자료Kitaev, Alexei. "Fault-tolerant quantum computation by anyons." Annals of Physics 303.1 (2003): 2-30.
Pires, Francisco. "Microsoft Chooses Exotic "Topological Qubits" as Future of Quantum Computing." Tom's Hardware (2022)
Gibney, Elizabeth. "Inside Microsoft's quest for a topological quantum computer." Nature (2016)

2. 위상 양자 컴퓨터의 기본 개념

위상 양자 컴퓨터는 꼬임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양자 컴퓨터의 한 종류이다.

애니온들의 세계선이 땋아질 때 계의 양자 상태 변환은 꼬임군에 따라 분류되는 위상수학적 동치류에 따라서만 바뀐다. 따라서 계의 상태에 저장된 양자 정보는 세계선의 작은 오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25] 2005년에 상카르 다스 사르마, 마이클 프리드먼, 체탄 나약은 위상수학적 큐비트를 물리적으로 구현할 양자 홀 장치를 제안했다.

2005년 블라드미르 골드만, 페르난도 카미노 및 웨이 저우는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사용하여 애니온을 생성하는 최초의 실험적 증거를 만들고 관찰했다고 주장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들의 결과가 애니온을 포함하지 않는 현상의 산물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위상 양자 컴퓨터에 필요한 입자종인 비-아벨 애니온은 아직 실험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가능한 실험적 증거가 발견되었지만[26] 결론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27] 2018년에 과학자들은 필요한 마요라나 입자를 분리했다고 다시 주장했지만, 2021년에 그 발견은 철회되었다. ''Quanta Magazine''은 2021년에 "아무도 유니타리(마요라나 제로 모드) 준입자의 존재를 설득력 있게 보여주지 못했다"고 말했다.[28]

2. 1. 꼬임군과 애니온

에밀 아르틴이 1925년에 제안한 꼬임군은 꼬임의 위상수학적 동치류를 나타내는 대수적 위상수학적 대상이다. 예를 들어, 네 가닥의 꼬임을 나타내는 꼬임군은 다음 세 원소들로 생성된다.

σ1
σ2
σ3



이 군에서 연산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뤄진다.

]] || · || --|]] || = || --|]]
σ3·σ2=σ3σ2



애니온은 2차원 평면에서만 존재하는 준입자이다. 애니온은 페르미온이나 보손과 달리 교환 시 독특한 위상 변화를 겪으며, 동일한 상태를 점유할 수 없다. 따라서 두 애니온의 세계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하나로 합쳐질 수 없으며, 이는 그들의 세계선이 시공간에서 안정적인 끈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애니온은 매우 강한 자기장 내의 차가운 2차원 전자 가스에서 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기 플럭스의 분수 단위를 전달한다. 이 현상을 분수 양자 홀 효과라고 한다.

애니온들의 세계선들이 땋아질 때 계의 양자 상태 변환은 애니온 세계선들의 꼬임의 위상수학적 동치류(꼬임군에 따라 분류됨)에 따라서만 바뀐다. 따라서 계의 상태에 저장된 양자 정보는 세계선의 작은 오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25]

2. 2. 위상 양자 컴퓨터와 기존 양자 컴퓨터의 비교

위상 양자 컴퓨터는 양자 회로 모델 및 양자 튜링 기계 모델과 같은 다른 표준적인 양자 계산 모델들과 계산 능력 면에서 동일하다.[29] 즉, 이 모델들은 서로 효율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스 다항식과 같은 특정 알고리듬은 위상 양자 컴퓨터 모델에서 더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듭 이론에서 주요 불변량인 존스 다항식을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듬은 처음에 위상 양자 컴퓨터 모델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나중에 표준 양자 회로 모델에서 변환되고 확장되었다. 특히 임의의 매듭은 어떤 꼬임의 Markov trace closure로 만들 수 있음이 증명되어 있으며 위상 양자 컴퓨터가 꼬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매듭 불변량인 존스 다항식에 대한 알고리듬이 위상 양자 컴퓨터 모형에서 쉽게 다뤄진다.[12]

2000년, 마이클 H. 프리드먼, 알렉세이 키타예프, 마이클 J. 라르센, 그리고 왕정한은 위상 양자 컴퓨터가 원리적으로 기존의 양자 컴퓨터가 할 수 있는 모든 계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했다.[12][13][14] 오류 없는 논리 회로로 작동하는 기존의 양자 컴퓨터는 절대적인 정확도로 해답을 제공하는 반면, 완벽하게 작동하는 위상 양자 컴퓨터는 유한한 수준의 정확도로만 해답을 제공한다. 그러나 위상 양자 컴퓨터에 더 많은 꼬임(논리 회로)을 추가함으로써 해답에 대한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3. 위상 양자 컴퓨터의 작동 원리

위상 양자 컴퓨터는 양자 회로 모델 및 양자 튜링 기계 모델과 계산 능력이 동일하여 서로 효율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29] 그러나 특정 알고리듬은 위상 양자 컴퓨터 모델에서 더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

2000년에 마이클 프리드먼, 알렉세이 키타예프, 마이클 라센, 쩡한 왕은 위상 양자 컴퓨터가 원칙적으로 기존 양자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계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성립함을 증명했다.[30][31][32]

오류 없는 논리 회로를 가진 기존 양자 컴퓨터는 절대적인 정확도의 해를 제공하는 반면, 완벽하게 작동하는 위상 양자 컴퓨터는 유한한 정확도의 해를 제공한다. 하지만 꼬임(논리 회로)을 더 추가하면 단순한 선형 관계에서 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양자 꼬임은 갇힌 양자 입자보다 본질적으로 더 안정적이지만, 열적 요동에 의한 오류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오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애니온 간의 거리를 충분히 멀리 유지하여 간섭하는 스쳐가는 애니온의 비율을 거의 0으로 줄여야 한다.[15]

3. 1. 계산의 수행

위상 양자 컴퓨터는 양자 회로 모델 및 양자 튜링 기계 모델과 계산 능력이 동일하다.[29] 즉, 이 모델들은 서로 효율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알고리듬은 위상 양자 컴퓨터 모델에서 더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듭 이론에서 중요한 불변량인 존스 다항식 계산 알고리듬은 처음에 위상 양자 컴퓨터 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나중에 표준 양자 회로 모델에서 변환 및 확장되었다. 이는 임의의 매듭이 꼬임의 Markov trace closure로 표현될 수 있고, 위상 양자 컴퓨터가 꼬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매듭 이론의 매듭 불변량인 존스 다항식을 쉽게 다룰 수 있기 때문이다.

2000년에 마이클 프리드먼, 알렉세이 키타예프, 마이클 라센, 쩡한 왕은 위상 양자 컴퓨터가 원칙적으로 기존 양자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계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성립함을 증명했다.[30][31][32]

오류 없는 논리 회로를 가진 기존 양자 컴퓨터는 절대적인 정확도의 해를 제공하는 반면, 완벽하게 작동하는 위상 양자 컴퓨터는 유한한 정확도의 해를 제공한다. 하지만 꼬임(논리 회로)을 더 추가하면 단순한 선형 관계에서 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꼬임을 적절히 증가시켜 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실제 계산(회로)은 분수 양자 홀 효과의 가장자리 상태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1차원 애니온 모델을 중요하게 만든다.

3. 2. 오류 수정 및 제어

양자 꼬임은 갇힌 양자 입자보다 본질적으로 더 안정적이지만, 열적 요동에 의한 오류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열적 요동은 인접한 꼬임을 방해하는 임의의 스쳐가는 애니온 쌍을 생성하여 오류를 유발한다. 이러한 오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애니온 간의 거리를 충분히 멀리 유지하여 간섭하는 스쳐가는 애니온의 비율을 거의 0으로 줄여야 한다.[15]

위상 양자 컴퓨터의 역학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은 표준 양자 정보 처리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내결함성 양자 계산을 구현하는 유망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라우센도르프(Raussendorf), 해링턴(Harrington), 고얄(Goyal)은 유망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이는 한 모델을 연구했다.[15]

4. 피보나치 애니온을 이용한 계산 (예시)

위상 양자 컴퓨팅의 대표적인 예시는 피보나치 애니온 계이다. 피보나치 애니온은 양-리 모델, 천-사이먼스 이론\text{SU}(2) 특수 사례 및 베스-추미노-위튼 모형으로 설명된다.[34] 이러한 애니온은 위상 양자 컴퓨팅을 위한 일반 게이트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피보나치 아원자 입자는 "시스템에 더 많은 입자를 추가할수록 양자 상태의 수가 피보나치 수열(1, 2, 3, 5, 8 등)처럼 증가하는 속성을 가진 새로운 입자"로 묘사된다.[16]

모델 생성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단계가 있다.


  • 기저를 선택하고 힐베르트 공간을 제한한다.
  • 애니온들을 함께 땋는다.
  • 마지막에 애니온을 융합하고 계의 출력을 읽기 위해 융합하는 방법을 감지한다.


(하위 섹션에서 상태 준비, 게이트 등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다룬다.)

4. 1. 상태 준비

피보나치 애니온은 위상 전하 τ와 1(진공)로 정의된다.[34][35] 여기서 1은 애니온들이 서로 소멸할 때의 '진공' 전하를 의미한다. 각각의 애니온은 자신의 반입자이다. 즉, \tau = \tau^* 이고 1 = 1^* 이다.[34][35]

피보나치 애니온들은 서로 가까워지면 다음과 같은 융합 규칙에 따라 융합된다:[34][35]

  • 1 \otimes 1 = 1
  • 1 \otimes \tau = \tau \otimes 1 = \tau
  • \tau \otimes \tau = 1 \oplus \tau


이러한 융합 규칙은 세 개의 애니온이 있는 계로 확장할 수 있다. 세 애니온의 융합 결과는 다음과 같다:[34][35]

:\tau \otimes \tau \otimes \tau = \tau \otimes (1 \oplus \tau) = \tau \otimes 1 \oplus \tau \otimes \tau = \tau \oplus 1 \oplus \tau = 1 \oplus 2 \cdot \tau

이는 세 개의 애니온을 융합하면 총 전하가 \tau인 최종 상태가 두 가지 방법으로, 총 전하가 1인 최종 상태가 한 가지 방법으로 생성됨을 의미한다. 이 세 가지 상태를 사용하여 기저 상태를 정의한다.[35]

하지만, 세 애니온 상태를 0과 1의 중첩으로 인코딩하기 위해 기저를 2차원 힐베르트 공간의 기저로 제한한다. 따라서 총 전하가 \tau인 두 가지 상태만 고려한다. 이 때, 가장 왼쪽에 있는 두 애니온을 '제어계'로 묶고, 가장 오른쪽에 있는 애니온을 '비계산 애니온'으로 둔다. 그리고 |0\rangle 상태를 총 '융합' 전하가 1인 상태의 제어계, |1 \rangle 상태를 총 '융합' 전하가 \tau인 상태의 제어계로 구분한다.[35]

4. 2. 게이트

애니온을 꼬는 단열 과정은 유니타리 변환을 일으킨다. 이러한 꼬임 연산자는 F 행렬과 R 행렬로 구성된다.[34]

  • F 행렬: 애니온의 물리적 회전에 의한 기저 변화를 나타낸다. 애니온을 꼬는 것은 제어계에 있는 애니온들을 바꾸므로 기저가 바뀐다.[34]
  • R 행렬: 애니온 교환에 따른 위상 변화를 나타낸다. 애니온들이 서로 감겨지면 아로노프-봄 효과로 인해 특정 페이즈가 선택된다.[34]


꼬임 연산자 B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34]

:B=F^{-1} R F

F와 R 연산자는 오각형 및 육각형 공리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36] 이러한 꼬임 연산자를 이용하여 힐베르트 공간에서 작동하고 임의의 보편적인 양자 게이트를 구성할 수 있다.[37]

5. 실험적 노력과 과제

비가환 애니온은 아직 실험적으로 완전히 확인되지 않았다.[25] 가능한 실험적 증거가 발견되었지만,[26] 결론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27]

2018년, 레오 쿠벤호벤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근무하며 ''네이처''에 마요라나 준입자를 나타내는 "제로 바이어스 피크"의 확실한 증거를 발견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2021년에 이 발견은 철회되었는데, ''퀀타 매거진''은 "아무도 유니타리(마요라나 제로 모드) 준입자의 존재를 설득력 있게 보여주지 못했다"고 언급했다.[28] 2020년, 이 논문은 편집상의 우려를 받았다. 2021년, 후속 논문에서는 2018년 논문의 데이터가 불완전하고 결과를 잘못 표현했다고 지적했다.[21]

2023년, 마이크로소프트 퀀텀 연구원들은 ''피지컬 리뷰''에 하드웨어 안정성을 갖춘 논리적 큐비트를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했으며, 위상 초전도성과 마요라나 제로 모드의 관찰과 일치하는 물질의 위상을 측정했다고 발표했다.[22] 과학자들은 "이러한 장치는 위상 갭 프로토콜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낮은 무질서를 보여주며, 기술이 유효함을 증명했다"고 보고했다.[23] 그러나 이 간행물은 이전 논문에서와 같이 마요라나 모드에 대한 충분한 증거를 제공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다른 과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24]

2023년 ''퀀타 매거진''의 기사[9]에서는 구글[10]과 퀀티늄[11]에서 양자 프로세서에서 비가환 애니언을 실현했다고 주장하는 일부 사전 인쇄물을 다루었다. 첫 번째는 토릭 부호를 위상적 퇴화 (또는 위상 결함)로 사용했고, 두 번째는 다른 관련 프로토콜을 사용했는데, 둘 다 양자 오류 정정에서 마요라나 결합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비가환 애니온의 확실한 검증 및 제어는 위상 양자 컴퓨터 개발의 핵심 과제이다.

참조

[1] 논문 Fault-tolerant quantum computation by anyons 1997-07-09
[2] 뉴스 Microsoft Chooses Exotic "Topological Qubits" as Future of Quantum Computing https://www.tomshard[...] 2024-07-01
[3] 뉴스 Inside Microsoft's quest for a topological quantum computer https://www.nature.c[...] 2024-07-01
[4] 논문 Welcome anyons! Physicists find best evidence yet for long-sought 2D structures 2020-07-03
[5] 논문 Aharonov–Bohm superperiod in a Laughlin quasiparticle interferometer. 2005-12-06
[6] 논문 Magnetic field-tuned Aharonov–Bohm oscillations and evidence for non-Abelian anyons at ν = 5/2 2013-01-15
[7] 논문 Enhanced Bulk-Edge Coulomb Coupling in Fractional Fabry-Perot Interferometers
[8] 뉴스 Major Quantum Computing Strategy Suffers Serious Setbacks https://www.quantama[...] 2021-09-29
[9] 웹사이트 Physicists Create Elusive Particles That Remember Their Pasts https://www.quantama[...] 2023-05-09
[10] 논문 Observation of non-Abelian exchange statistics on a superconducting processor 2023-10-09
[11] 논문 Non-Abelian topological order and anyons on a trapped-ion processor 2024
[12] 논문 A Modular Functor Which is Universal for Quantum Computation 2002-06-01
[13] 논문 Simulation of Topological Field Theories by Quantum Computers 2002-06-01
[14] 논문 Topological quantum computation http://www.ams.org/b[...] 2003-01-01
[15] 논문 Topological fault-tolerance in cluster state quantum computation 2007-01-01
[16] 웹사이트 Proposed quantum device may succinctly realize emergent particles such as the Fibonacci anyon https://phys.org/new[...] 2024-02-25
[17] 논문 A Short Introduction to Fibonacci Anyon Models 2008
[18] 논문 Non-Abelian Anyons and Topological Quantum Computation 2008
[19] 문서 Eric Paquette. Topological quantum computing with anyons, 2009. Categories, Logic and Foundations of Physics IV.
[20] 논문 Braid Topologies for Quantum Computation
[21] 간행물 Microsoft's Big Win in Quantum Computing Was an 'Error' After All https://www.wired.co[...] 2024-10-23
[22] 논문 InAs-Al hybrid devices passing the topological gap protocol 2023-06-21
[23] 뉴스 Microsoft claims to have achieved first milestone in creating a reliable and practical quantum computer https://phys.org/new[...] 2024-07-01
[24] 웹사이트 'Poor man''s Majoranas'' offer testbed for studying possible qubits' https://physicsworld[...] 2024-10-23
[25] 저널 https://www.nature.c[...] 2020-09-23
[26] 저널
[27] 저널
[28] 뉴스 https://www.quantama[...] 2021-09-30
[29] 저널 https://archive.org/[...]
[30] 저널 https://archive.org/[...]
[31] 저널 https://archive.org/[...]
[32] 저널 http://www.ams.org/b[...]
[33] 저널
[34] 저널
[35] 저널
[36] 논문 Topological quantum computing with anyons 2009
[37] 저널 Braid Topologies for Quantum Computation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