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앤서니 터니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크앤서니 터니지는 영국의 작곡가로, 1960년 출생하여 9세에 작곡을 시작했다. 그는 관현악, 실내악,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재즈와 현대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 대표작으로는 오페라 '그리스', '실버 태시', '안나 니콜' 등이 있으며, 프란시스 베이컨의 그림을 바탕으로 한 관현악곡 '세 명의 비명을 지르는 교황', 색소폰 협주곡 '유어 락커비' 등이 있다. 1989년 버밍엄 시립 교향악단의 초대 상임 작곡가를 역임했으며, 2015년 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CBE)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클래식 작곡가 - 에드워드 엘가
에드워드 엘가는 1857년 영국에서 태어나 관현악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하여 《수수께끼 변주곡》, 《위풍당당 행진곡》 등을 작곡하고 기사 작위와 공로 훈장을 받았으며 1934년에 사망했다. - 잉글랜드의 클래식 작곡가 - 해리슨 버트위슬
해리슨 버트위슬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와 올리비에 메시앙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하여 오페라, 관현악곡, 실내악곡 등 복잡하고 현대적인 "음향적 과감함"을 가진 곡들을 작곡했으며, 그라베마이어상,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등을 수상하고 기사 작위와 명예 동반자 훈장을 받은 영국의 현대 음악 작곡가이다. - 잉글랜드의 작곡가 - 에드워드 엘가
에드워드 엘가는 1857년 영국에서 태어나 관현악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하여 《수수께끼 변주곡》, 《위풍당당 행진곡》 등을 작곡하고 기사 작위와 공로 훈장을 받았으며 1934년에 사망했다. - 잉글랜드의 작곡가 - 폴 디애노
폴 디애노는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아이언 메이든의 첫 번째 보컬리스트로 활동하며 밴드의 초기 성공에 기여했으나, 음주와 약물 문제, 건강 및 법적 문제를 겪으며 다양한 밴드 활동과 솔로 활동을 펼치다 2024년 사망한 영국의 헤비 메탈 가수이다. - 에식스주 출신 - 로저 펜로즈
로저 펜로즈는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일반 상대성이론, 우주론, 양자 중력 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펜로즈 타일링을 발견했으며, 등각순환우주론을 제안하고 의식의 양자적 해석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학자이다. - 에식스주 출신 - 레지널드 블라이스
레지널드 블라이스는 영국 출신의 영문학자로,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하며 선불교와 하이쿠 연구에 헌신했고, 서구 사회에 선불교와 하이쿠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마크앤서니 터니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접미사 | CBE |
출생일 | 1960년 6월 10일 |
출생지 | 에식스 주코링햄 |
직업 | 작곡가 |
모교 | 왕립 음악 대학 |
인물 정보 (일본어) | |
이름 (일본어) | マーク=アンソニー・タネジ (마ー쿠 = 안소니ー・타네지) |
출생지 | 영국에식스 주코링햄 |
직업 | 작곡가 |
장르 | 현대 음악 |
인물 정보 (한국어) | |
원어명 | Mark-Anthony Turnage, CBE (마크앤서니 터니지, CBE) |
출생일 | 1960년 6월 10일 |
국적 | 잉글랜드 |
직업 | 작곡가 |
참고 사항 | |
참고 | 일본에서는, 이름에 대해서는, 마크=안토니ー라고도, 또한 성에 대해서는, 타ー네이지、타ー네지、타ー닛지 등이라고도 표기된다. |
2. 생애와 경력
마크앤서니 터니지는 1960년 잉글랜드 에식스주 코링햄에서 태어난 영국의 현대 작곡가이다.[1] 그는 어린 시절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왕립 음악 대학에서 공부했으며, 올리버 크누센, 존 램버트, 군터 슐러 등에게 사사했다.[2][3]
터니지의 음악은 재즈, 특히 마일스 데이비스의 영향이 두드러지며, 강력한 리듬과 다채로운 관현악법이 특징이다. 그는 오페라, 관현악, 실내악, 발레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많은 작품을 남겼다. 대표적인 오페라로는 ''그리스'', ''실버 태시'', ''안나 니콜'', ''코랄린'' 등이 있으며, 이 작품들은 세계 여러 주요 오페라 극장에서 공연되었다.[4] 관현악 작품으로는 프랜시스 베이컨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은 ''세 명의 비명을 지르는 교황''과 마약 중독 문제를 다룬 ''바닥의 피'' 등이 잘 알려져 있다.[2]
그는 버밍엄 시립 교향악단,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악단과 협력하며 상주 작곡가 또는 협력 작곡가로 활동했다. 2005년에는 모교인 왕립 음악 대학의 작곡 연구 펠로우로 임명되었고, 2015년에는 음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CBE)으로 임명되었다.[5]
그의 배우자는 연출가 레이철 휴어이다. 터니지의 작품은 쇼트 뮤직(Schott Music)에서 출판되고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마크앤서니 터니지는 1960년 6월 10일 에식스주 코링햄에서 태어났다.[1] 그는 9세에 작곡을 시작했고 14세에 왕립 음악 대학의 예비 과정에서 공부하기 시작했다.[2]그의 초기 음악 수업은 올리버 크누센, 존 램버트, 그리고 나중에는 군터 슐러와 함께 진행되었다.[3] 그는 또한 재즈에, 특히 마일스 데이비스의 작품에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존 스코필드, 피터 어스킨, 존 파티투치, 조 로바노를 포함한 재즈 연주자를 위한 작품을 작곡했다.
2. 2. 주요 활동
마크앤서니 터니지는 재즈, 특히 마일스 데이비스의 작품에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존 스코필드, 피터 어스킨, 존 파티투치, 조 로바노 등 재즈 연주자를 위한 작품을 작곡하기도 했다. 그의 음악은 강력한 리듬의 추진력, 재즈 화성법, 명쾌한 선율, 다채로운 관현악법, 그리고 다양한 타악기 (조율되지 않은 악기 포함) 활용이 특징이다. 또한 듀크 엘링턴부터 197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 음악까지 다양한 음악적 암시를 담고 있으며, "진정한 모던 재즈[9]"를 작곡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클래식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초기에는 EMI의 판매 전략에 따라 펑크 패션 차림으로 언론에 등장하며 주목받았는데, 이는 동시대 영국 바이올리니스트 나이젤 케네디와 유사한 방식이었다. 사이먼 래틀의 지지를 받으며 관현악곡 '''세 명의 비명을 지르는 교황'''(''Three Screaming Popes'', 1989년 완성, 프랜시스 베이컨의 동명 회화 기반)으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터니지는 수많은 관현악 및 실내악 작품과 세 편의 장편 오페라를 작곡했다.
- ''그리스''(''Greek''): 한스 베르너 헨체의 격려로 작곡되어 1988년 뮌헨 비엔날레에서 초연되었다. 스티븐 버코프가 각색한 ''오이디푸스 렉스''를 바탕으로 한다.
- ''실버 태시''(''The Silver Tassie''): 2000년에 초연되었으며, 아일랜드의 극작가 숀 오케이시의 희곡을 원작으로 한다.
- ''안나 니콜''(''Anna Nicole''): 리처드 토마스가 대본을 쓰고 2011년 런던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초연되었다. 미국의 플레이보이 모델이자 미디어 유명인사인 안나 니콜 스미스의 삶을 다룬다.[10]
- ''코랄린''(''Coraline''): 가족 관객을 위한 오페라로, 닐 게이먼의 어두운 판타지 소설을 바탕으로 하며, 2018년 바비칸 극장에서 로열 오페라에 의해 공연되었다.[4]
그의 오페라는 뉴욕 시티 오페라(2013), 취리히 오페라하우스(2019), 도르트문트 극장(2013), 프라이부르크 극장(2018), 릴 오페라(2018) 등 세계 여러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주요 기악 작품으로는 프란시스 베이컨의 그림을 바탕으로 한 ''세 명의 비명을 지르는 교황'', 색소폰 협주곡 ''유어 락커비''(''Your Rockaby''), 크리스티안 린드버그에게 헌정된 트롬본 협주곡 ''또 다른 세트''(''Another Set Piece''), 그리고 호칸 하르덴베르거를 위해 작곡된 트럼펫 협주곡 ''난파선에서''(''From the Wreckage'') 등이 있다. 재즈 4중주와 대규모 앙상블을 위한 ''바닥의 피''(''Blood on the Floor'', 1993–1996)는 마약 중독을 주제로 한 9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앤디를 위한 비가" 섹션은 마약 관련 문제로 사망한 그의 형제를 추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
최근 작품으로는 2017년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사이먼 래틀 지휘로 연주한 관현악곡 ''리멤버링''(''Remembering''), 2018년 보루산 이스탄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연주하고 바딤 레핀과 다니엘 호프가 협연한 더블 바이올린 협주곡 ''섀도우 워커''(''Shadow Walker''), 그리고 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우크라이나어 가사의 ''테스티먼트''(''Testament'', 2018) 등이 있다.[4] 또한 사라 코놀리, 제럴드 핀리, 앨런 클레이턴 등 여러 유명 성악가를 위한 연가곡도 작곡했다.
터니지의 작품은 발레로도 만들어졌다. ''바닥의 피''는 2011년 파리 오페라 발레를 위해 웨인 맥그리거가 안무했으며, 같은 해 맥그리거 및 시각 예술가 마크 월링거와 협력하여 ''언댄스''(''Undance'')의 음악을 작곡했다. 2012년에는 크리스토퍼 휠던과 알리스타 마리엇이 안무하고 터니지가 음악을 작곡한 발레 ''트레스패스''(''Trespass'')가 로열 발레에 의해 초연되었다. 2017년에는 크리스토퍼 휠던이 로열 발레를 위해 안무한 ''스트랩리스''(''Strapless'')의 음악을 작곡했다. 이 외에도 하인츠 스포얼리(취리히 발레 2007 및 베를린 국립 발레 2012), 애슐리 페이지(람베르트 댄스 컴퍼니 2013), 요르마 엘로(허버드 스트리트 댄스 시카고 2007), 그레고르 졸리그(탄츠테아터 빌레펠트 2006) 등 여러 안무가들이 그의 음악을 사용한 발레를 만들었다.
그는 여러 오케스트라와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버밍엄 시립 교향악단의 초대 래드클리프 협력 작곡가였으며, 1990년에는 해당 악단의 초대 상임 작곡가로 임명되었다. 2000년부터 2003년까지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초대 부 작곡가였고,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주 작곡가였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는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아르헨티나 출신 작곡가 오스발도 골리호프와 함께 공동 상주 작곡가로 활동했다.
2005년 가을에는 왕립 음악 대학의 작곡 연구 펠로우로 임명되었으며, 2015년에는 음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CBE)으로 임명되었다.[5] 그의 작품은 쇼트 뮤직(Schott Music)에서 출판되고 있다.
2024년 5월에는 다케미쓰 도루 작곡상 심사위원으로 일본을 방문했다.[11]
3. 주요 작품
마크앤서니 터니지는 오페라, 관현악곡, 실내악곡, 발레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작곡가이다. 그의 음악은 모던 재즈, 특히 마일스 데이비스의 영향이 두드러지며, 강렬한 리듬과 다채로운 악기 사용이 특징적이다.[9]
주요 작품으로는 프랜시스 베이컨의 동명 회화에 기초한 관현악곡 "세 명의 비명을 지르는 교황 ''Three Screaming Popes''"(1989년)과 색소폰 협주곡 "자장가 ''Your Rockaby''"가 널리 알려져 있다. 오페라 분야에서는 스티븐 버코프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그릭 ''Greek''"(1988년), 숀 오케이시 원작의 "은잔 ''The Silver Tassie''"(2000년), 그리고 안나 니콜 스미스의 삶을 다룬 "안나 니콜 ''Anna Nicole''"(2011년)[10] 등이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다수의 실내악곡과 발레 음악을 작곡하였다.
3. 1. 오페라
제목 | 장르 | 세분화 | 대본 | 초연 | 극장 |
---|---|---|---|---|---|
그리스 | 오페라 | 2막, 90분 | 작곡가 및 조나단 무어, 스티븐 버코프의 희곡에 기초 | 1988년 6월 17일 | 뮌헨 비엔날레 |
Twice Through the Heart | 드라마틱 스케나 | 3부, 30분 | 재키 케이 | 1997년 6월 16일 | 올드버러 페스티벌 |
Country of the Blind | 실내 오페라 | 1997년 6월 16일 | 올드버러 페스티벌 | ||
실버 태시 | 오페라 | 4막, 120분 | 아만다 홀든, 숀 오케이시의 희곡에 기초 | 2000년 2월 16일 | 잉글리시 국립 오페라 |
안나 니콜 | 오페라 | 2막, 120분 | 리차드 토마스 | 2011년 2월 17일 | 로열 오페라 하우스, 런던[6] |
코렐라인 | 오페라 | 2막 | 로리 멀라키, 닐 게이먼의 소설에 기초 | 2018년 3월 27일 | 바비칸 센터, 런던 |
페스텐 | 오페라 | 90분 | 리 홀, 토마스 빈터베르그의 영화에 기초 | 2025년 2월 11일 | 로열 오페라 하우스, 런던 |
3. 2. 관현악
마일스 데이비스에 심취하여 모던 재즈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다. 젊은 시절, EMI의 마케팅 전략으로 펑크 패션 이미지를 내세우기도 했으나, 이는 그의 음악적 혁신성과는 별개로 주목받은 측면이다. 지휘자 사이먼 래틀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으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렸고, 특히 프랜시스 베이컨의 동명 회화를 바탕으로 작곡한 관현악곡 "'''세 명의 비명을 지르는 교황''' ''Three Screaming Popes''"(1989년)으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터니지의 관현악 작품은 강렬한 리듬의 추진력, 재즈 화성법의 적극적인 활용, 명확한 선율 라인, 다채로운 관현악법과 다양한 타악기(때로는 조율되지 않은 악기 포함) 사용이 특징이다. 그의 음악에는 듀크 엘링턴부터 197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 음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음악적 요소들이 녹아들어 있으며, 일부 평론가들은 그를 "진정한 모던 재즈"를 작곡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클래식 작곡가 중 한 명으로 평가하기도 한다.[9]
주요 관현악 작품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작품명 | 편성 및 비고 |
---|---|---|
1981 | 야상곡 | 오프스테이지 현악 5중주, 독주 악기 그룹, 오케스트라 |
1988–89 | 세 명의 비명 지르는 교황 | |
1989 | 어떤 날들 | 메조 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연가곡 |
1990–91 | 운동량 | |
1992–93 | 익사 | |
1992–93 | 유어 록어비 | 소프라노 색소폰과 오케스트라 |
1993–94 (1995 개정) | 공포 몰아내기 | 두 대의 트럼펫과 오케스트라 |
1996–2001 | 초토 | 재즈 트리오와 오케스트라 |
1997 | 아직 잠들다 | |
1998 | 저녁 노래 | |
1998 | 침묵의 도시 | |
1999–2000 | 얼마나 시간이 흘렀나 | 앙상블과 시대 악기 실내 관현악 |
1999–2000 | 또 다른 세트 | 트롬본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
2000 | 빠른 폭발 | 관현악 목관, 금관 및 타악기 |
2000 | 어두운 교차로 | 실내 관현악 |
2000–02 | 에튀드와 비가 | |
2000 | 네 개의 뿔을 가진 판당고 | 네 대의 호른과 오케스트라 |
2000–01 | 열린 땅에서 |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
2000–01 | 중단 없는 슬픔 | |
2001 | 분열된 선 | 두 대의 타악기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더블 협주곡 |
2001 | 내가 깨어났을 때 | 바리톤과 실내 관현악 |
2002 | 조용한 삶 | 현악 오케스트라 |
2003 | 하강하는 남자 | 테너 색소폰과 실내 관현악 |
2003 | 리프와 후렴구 | 클라리넷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
2003–04 | 스케르초이드 | |
2004 | 진정시키는 간주곡 | 트롬본과 오케스트라 |
2004 | 난파에서 | 트럼펫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
2004 | 또 다른 세트 | 트롬본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1999-2000 작품과 동일 제목) |
2005 | 세레스 | |
2005 | 숨겨진 사랑 노래 | 소프라노 색소폰과 실내 관현악 |
2005 | 주노 | |
2005 | 한스를 위한 자장가 | 현악 오케스트라 |
2005 | 세 개의 소행성 | |
2005 | 토리노 척도 | |
2005–06 | 모든 면에서 | |
2007 | 고요함에서 드리는 기도 | 더블 베이스 (베이스 기타)와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
2007 | 시카고 잔재 | |
2007 | 입의 다섯 가지 관점 | 플루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
2007 | 맘보, 블루스, 타란텔라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
2009 | 텍사스 테네브레 | |
2010 | 망치로 두드리다 | |
2010 | 첼로 협주곡 | |
2011–12 | 스페란자 | |
2012 | 캐논 피버 | 2012년 BBC 프롬스 개막식 초연 |
2013 | 프리즈 | 영국 왕립 필하모닉 협회 및 뉴욕 필하모닉 공동 위촉 |
2013 | 어스킨 | 드럼 세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
2013 | 파스샹달 | |
2013 | 피아노 협주곡 | |
2014 | 대화 | 바이올린과 첼로 솔리스트, 현악기, 타악기, 하프 및 피아노 |
2014 | 호칸 | 트럼펫과 오케스트라 |
2014–15 | 마트랜드 기념 | 타악기와 오케스트라 |
2016 | 기억 | 오케스트라 |
2017 | 그림자 산책자 | 두 대의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더블 협주곡 |
2017 | 교향적 움직임 | 오케스트라 |
2017–18 | 알바를 향하여 | 호른과 오케스트라 |
2019 | 시간은 흐른다 | 오케스트라 |
2019 | 가자 | 오케스트라 |
2018 (2020 편곡) | 올리를 위한 마지막 노래 (축소 버전) | 오케스트라 (축소 버전) |
2020 | 잡기 위해 | 재즈 트리오와 오케스트라 |
2021 | 베르나르 하이팅크를 위한 행렬 | 오케스트라 |
1990년에는 버밍엄 시립 교향악단의 초대 상임 작곡가로 임명되었으며, 2024년 5월에는 다케미쓰 도루 작곡상 심사위원으로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다.[11] 그의 작품은 쇼트(Schott Music)에서 출판되고 있다.
3. 3. 실내악
마일스 데이비스에 심취하여 모던 재즈의 강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9] 그의 실내악 작품들은 종종 강력한 리듬의 추진력, 재즈의 화성법, 선율적 요소의 명쾌함, 다채로운 악기 편성 및 다양한 타악기 활용이 특징이다.작품명 | 작곡 연도 | 편성 |
---|---|---|
온 올 포스 (On All Fours) | 1985 | 실내악 앙상블 |
사라반데 (Sarabande) | 1986 | 소프라노 색소폰, 피아노 |
릴리즈 (Release) | 1987 | 소프라노 색소폰, 알토 색소폰, 바순, 트럼펫, 트롬본, 타악기, 피아노, 더블베이스 |
카이 (Kai) | 1989–1990 | 첼로 솔로, 앙상블 |
세 개의 작별 (Three Farewells) | 1989–1990 | 플루트, 바순, 하프, 현악 4중주 |
세트 투 (Set To) | 1992–1993 | 금관 10중주 |
디스 사일런스 (This Silence) | 1992–1993 | 클라리넷, 바순, 호른, 현악 5중주 |
플로어의 혈흔 (Blood on the Floor) | 1993–1996 | 재즈 4중주, 대규모 앙상블 |
바리의 변태적 환상 (Barrie's Deviant Fantasy) | 1995 | 현악 4중주, 심판 휘슬 |
베이스 인벤션 (Bass Inventions) | 1999–2000 | 더블베이스 솔로, 앙상블 |
칸틸레나 (Cantilena) | 2001 | 오보에 5중주 |
스냅샷 (Snapshots) | 2002 | 대규모 앙상블 |
크라잉 아웃 라우드 (Crying Out Loud) | 2003 | 대규모 앙상블 |
어 쇼트 프로세션 (A Short Procession) | 2003 | 피아노 3중주 |
엘로지 (Eulogy) | 2003 | 비올라 솔로, 소규모 앙상블 |
노 렛 업 (No Let Up) | 2003 | 앙상블 |
쓰리 트리오스 (Three Trios) | 2003–2005 | 피아노 3중주 |
카르나크 (Carnac) | 2004 | B♭ 클라리넷, 피아노 |
어 퓨 세레나데 (A Few Serenades) | 2004 | 첼로, 피아노 |
어 슬로우 파반 (A Slow Pavane) | 2004–2005 | 피아노 3중주 |
어 패스트 스톰프 (A Fast Stomp) | 2005 | 피아노 3중주 |
블릭 모먼츠 (Bleak Moments) | 2005 | 호른, 현악 4중주 |
팡파르 (from all sides) (Fanfare (from all sides)) | 2006 | 금관 앙상블 |
리터닝 (Returning) | 2006 | 현악 6중주 |
탱고 (Tango) | 2007 | 앙상블 |
아웃 오브 블랙 더스트 (Out of Black Dust) | 2007–2008 | 금관 앙상블 |
포 챈츠 (Four Chants) | 2008 | 바이올린, 피아노 |
트위스티드 블루스 위드 트위스티드 발라드 (Twisted Blues with Twisted Ballad) (현악 4중주 1번) | 2008 | 현악 4중주 |
그라지오소! (Grazioso!) | 2009 | 소규모 앙상블 |
파이브 프로세셔널스 (Five Processionals) | 2009 | 클라리넷,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
힐러리의 호다운 (Hilary's Hoedown) | 2009 | 바이올린, 피아노 (앙코르) |
GG | 2010 | 첼로, 타악기 |
쓰리 포 투 (Three for Two) | 2010 | 피아노 4중주 |
아멜리아의 행진곡 (Amelia's March) | 2010 | 소규모 앙상블 |
실렘 (Silem) | 2010 | 트럼펫 솔로, 빅 밴드 |
언댄스 (Undance) | 2011 | 앙상블 |
존스턴 (Johnston) | 2011 | 첼로 2대 |
폴링 어파트 (Falling Apart) | 2012 | 클라리넷, 피아노 |
컨투전 (Contusion) (현악 4중주 2번) | 2013 | 현악 4중주 |
런 라이엇 (Run Riot) | 2013 | 색소폰 4중주 |
파워 플레이 (Power Play) | 2014 | 비올라, 피아노 |
마야 (Maya) | 2014 | 첼로 솔로, 실내 관현악단 |
듀에티 다모레 (Duetti d'Amore) | 2015 | 바이올린, 첼로 |
슈라우드 (Shroud) (현악 4중주 3번) | 2016 | 현악 4중주 |
세븐 핀트 사이즈드 피시스 (Seven Pint Sized Pieces) | 2016 | 바이올린, 피아노 |
프러시안 블루 (Prussian Blue) | 2016 | 피아노 5중주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
클리소프스 코랄 (Clitheroe's Choral) | 2017 | 바이올린 솔로, 피아노 |
마사로사 (Massarosa) | 2018 | 바순 5중주 |
녹턴 (Nocturne) | 2018 | 트럼펫, 현악 |
루마니아 랩소디 (Romanian Rhapsody) | 2018 | 바이올린 솔로, 앙상블 |
라멘트 (Lament) | 2018–2019 | 바이올린 솔로, 현악 오케스트라 |
어 퓨리어스 팡파르 (A Furious Fanfare) | 2019 | 트럼펫, 호른, 트롬본, 타악기 |
윈터스 엣지 (Winter's Edge) (현악 4중주 4번) | 2019 | 현악 4중주 |
코랄 (Coral) | 2020 | 플루트, 바순, 비올라, 첼로 |
스플릿 어파트 (Split Apart) | 2020 | 현악 4중주 |
울리 (Woolwich) | 2021 | 8명의 연주자 |
3. 4. 발레
- 《프롬 올 사이드》(2005–2006)
- 《라나토미 드 라 상상》(2011)
- 《언댄스》(2011)
- 《트레스패스》(2012)
- 《스트랩리스》(2016, 개정 2017)
4. 음악적 특징과 영향
마일스 데이비스에 심취하여 모던 재즈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다. 초기에는 동시대 영국의 바이올리니스트 나이젤 케네디와 유사하게, EMI의 상업적 기획에 따라 펑크 패션 차림으로 언론에 등장하며 주목받기도 했다. 이후 사이먼 래틀의 지지를 받으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는데, 특히 프랜시스 베이컨의 동명 회화에 영감을 받아 작곡한 관현악곡 Three Screaming Popes|세 명의 비명을 지르는 교황eng(1989)이 큰 성공을 거두었다.
터니지의 음악은 독특한 개성을 보여준다. 강력한 리듬의 추진력, 재즈 화성법의 적극적인 활용, 명쾌한 선율선, 다채로운 관현악법과 함께 조율되지 않은 악기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타악기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그의 작품 속에는 듀크 엘링턴의 음악부터 197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의 탐정물 테마 음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음악적 요소들이 암시적으로 녹아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진정한 모던 재즈[9]"를 작곡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클래식 작곡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수많은 관현악곡과 실내악곡 외에도 세 편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첫 오페라 Greek|그릭eng(1988)은 스티븐 버코프가 오이디푸스 왕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에 기반한다. 두 번째 오페라 The Silver Tassie|은잔eng(2000)은 아일랜드 극작가 숀 오케이시의 희곡을 원작으로 한다. 세 번째 오페라인 Anna Nicole|안나 니콜eng(2011)은 미국의 유명 모델이자 배우였던 안나 니콜 스미스의 논쟁적인 삶을 다루었으며, 런던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초연되어 화제를 모았다[10]. 색소폰 협주곡 Your Rockaby|자장가eng 역시 그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1990년 버밍엄 시립 교향악단의 초대 상임 작곡가로 임명되었다. 2024년 5월에는 다케미쓰 도루 작곡상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11].
5. 수상 및 서훈
2015년 음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영 제국 훈장 3등급(CBE)을 수훈하였다.[12][5]
참조
[1]
백과사전
Turnage, Mark-Anthony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2]
뉴스
Mark-Anthony Turnage: A life in music
https://www.theguard[...]
2022-05-18
[3]
웹사이트
Mark-Anthony Turnage Biography
http://www.boosey.co[...]
Boosey & Hawkes
2008-08-11
[4]
웹사이트
Mark-Anthony Turnage Biography
http://www.boosey.co[...]
Boosey & Hawkes
2022-07-12
[5]
웹사이트
Metro, 13 June 2015
http://metro.co.uk/2[...]
2015-06-26
[6]
웹사이트
Anna Nicole
http://www.roh.org.u[...]
2012-12-17
[7]
문서
Music to Hear CD liner notes
[8]
웹사이트
Turnage: Music to Hear
https://www.amazon.c[...]
Amazon.co.uk
2012-02-14
[9]
웹사이트
Although Turnage is known for his devotion to modern jazz, he has recently adopted a variety of styles, and you can enjoy a wide range of quiet and powerful pieces on this album.
https://cdsvinyljapa[...]
Naxos Japan
2024-04-22
[10]
뉴스
Anna Nicole Smith family may sue Royal Opera House as father of her daughter blasts 'sleazy' opera Daily Mail
http://www.dailymail[...]
[11]
웹사이트
マーク=アンソニー・ターネジ トークセッション
https://www.operacit[...]
TOC
2024-04-22
[12]
간행물
Supplement No. 1: Birthday Honours List - United Kingdom
https://www.thegazet[...]
2016-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