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공훈장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공훈장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에서 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에서 전투에 참여하여 뚜렷한 무공을 세운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이다. 1950년 10월 18일 제정되었으며, 1963년 상훈법 제정에 따라 태극, 을지, 충무, 화랑, 인헌의 5등급 체계로 구성되었다. 각 등급은 태극무공훈장이 가장 높으며, 을지, 충무, 화랑, 인헌 순으로 이어진다. 훈장의 디자인은 투구와 태양 광선, 월계관, 오망성을 조합한 형태이며, 각 등급별로 수의 색깔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군사훈장 - 보국훈장
보국훈장은 대한민국에서 국가 안보에 기여한 자에게 수여되는 훈장으로, 5등급으로 구성되며 등급에 따라 수여 대상과 휘장 디자인이 다르고 군인, 경찰, 소방 관계자 외 외국인에게도 수여될 수 있으며, 과거 7등급에서 5등급으로 개편되었고, 수여 기준에 대한 논란이 있기도 하며, 태극와 사괘 기반 디자인에 등급별 훈장과 수의 색깔이 다르다. - 대한민국의 군사훈장 - 대통령 부대 표창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대한민국)은 군 부대에 수여되는 표창으로, 대통령, 국무총리, 국방부 장관 등이 표창권자이며, 금색 테두리의 흰색 리본에 태극 문양이 있는 형태이다. - 대한민국의 훈장 - 무궁화대훈장
무궁화대훈장은 대통령 취임 시 관례적으로 수여되거나 외국 국가원수에게 수여되는 대한민국의 훈장으로, 금, 은, 루비, 자수정 등으로 제작되지만, 수여 과정 및 반역죄 전직 대통령의 미반납 등으로 가치와 권위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대한민국의 훈장 - 건국훈장
건국훈장은 대한민국 건국에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최고의 훈장으로, 1949년 제정되어 현재 5등급으로 구성되며, 대한민국 건국 기여 정도에 따라 수여되고 독립운동가에게 주로 수여되지만 외국인 수상자도 있고 사후 추서되는 경우도 많다.
무공훈장 (대한민국) | |
---|---|
무공훈장 정보 | |
수여 대상 | 군인, 군무원, 예비군 대원 및 국방부 (국방부 소속 기관, 직할 기관 및 직할 부대 포함) |
수여 주최 | 대한민국 국방부 |
종류 | 훈장 |
수여 목적 | 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 하에서 전투에 참가하거나, 접적 지역에서 적의 공격에 대응하는 등 전투에 준하는 직무 수행에서 뚜렷한 무공을 세운 자 |
수여권자 | 대한민국 대통령 |
관련 법률 | 상훈법 무공훈장령 상훈법 |
로마자 표기 | Mugong Hunjang |
무공훈장 등급 | |
종류 | 태극 을지 충무 화랑 인헌 |
기타 | |
관련 훈장 | 건국훈장 국민훈장 근정훈장 보국훈장 수교훈장 산업훈장 새마을훈장 문화훈장 체육훈장 과학기술훈장 |
상위 훈장 | 무궁화대훈장 |
이전 등급 | |
이전 등급 | 1등 무공훈장 2등 무공훈장 3등 무공훈장 4등 무공훈장 |
훈장 이미지 | |
![]() |
2. 역사
대한민국 무공훈장령은 1950년 10월 18일에 제정되었으며, 당시 무공훈장은 ‘일등무공훈장, 이등무공훈장, 삼등무공훈장, 사등무공훈장’의 4등급 체계였다.
1951년 8월 19일 무공훈장 개정을 통해 ‘태극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4등급 체계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각 훈장마다 금성, 은성, 무성 3개 등급으로 세분화하였다.
1963년 12월 14일, 대한민국 정부는 건국공로훈장령, 무공훈장령 등 훈장별로 각각 제정되어 있던 법령을 통합하여 상훈을 제정함으로써, 기존 무공훈장령의 등급과 세분화는 폐지되었고, 상훈법에 따라 '태극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인헌무공훈장'의 5등급 체계로 구성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50년 10월 18일, 군무공훈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원래 명칭은 다음과 같다.
등급 | 명칭 |
---|---|
1등 | 군무공훈장 |
2등 | 군무공훈장 |
3등 | 군무공훈장 |
4등 | 군무공훈장 |
1951년 8월 19일, 명칭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명칭 |
---|
태극무공훈장 |
을지무공훈장 |
충무무공훈장 |
화랑무공훈장 |
대한민국 무공훈장은 5등급으로 나뉘며, 각 등급은 높은 순서대로 태극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인헌무공훈장이다.
1963년 12월 14일, 인헌무공훈장이 추가되었다.
무공훈장은 상훈법 제13조에 따라 “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 하에서 전투에 참가하여, 접적 지역에서 적의 공격에 대응하는 등 전투에 준하는 직무 수행에서 명확한 무공을 세운 자”에게 수여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17]
3. 등급
1963년까지는 태극, 을지, 충무, 화랑 무공훈장에 각각 금성, 은성, 무성의 3개 훈격이 추가로 존재하여 총 12단계로 세분화되었다.[2][3] 예를 들어, 금성 태극무공훈장, 은성 태극무공훈장, 무성 태극무공훈장 등이 있었다. 그러나 1963년 인헌무공훈장이 추가되면서 금성과 은성이 폐지되어 현재의 5등급 체계가 완성되었다.
3. 1. 등급별 명칭의 유래
대한민국 무공훈장은 5등급으로 나뉘며, 각 등급 명칭은 태극, 을지문덕, 이순신, 화랑, 강감찬에서 유래했다.[2]
1950년 제정 당시에는 4등급이었으나, 각 등급 내에 금성, 은성, 무성(별 없음)의 3단계가 추가되어 총 12단계로 세분화되었다.[15] 1951년 8월 19일 등급명이 각각 태극, 을지, 충무, 화랑으로 변경되었고,[20] 1963년 상훈법 제정과 함께 인헌이 추가되면서 금성과 은성이 폐지되어 현재의 5등급 체계가 완성되었다.[16]
4. 디자인
무공훈장 각 등급의 디자인은 상훈법 시행령 제13조에 따라 정해져 있다.[19] 훈장과 수(綬)로 구성된 정장(正章), 흉장(襟章)과 약수 세트가 기본이며, 상위 2등급인 태극장과 을지장에는 부장(副章)이 더해진다.[19][25][26]
장식 디자인은 표면 중앙의 홍옥 원판에 새겨진 투구(兜)에서 여덟 능선의 태양 광선이 뻗어나온 형태이며, 정장의 훈장에는 월계관과 오망성(五芒星)을 조합한 누(鈕)가 달린다.[19][25][26] 수의 색깔은 태극장은 빨강, 을지장은 진한 주황색, 충무장은 연한 주황색, 화랑장은 진한 빨강색, 인헌장은 하늘색으로 각 등급마다 다르다.[19][25][26] 여기에 양쪽 끝에 흰색 선이 들어가며, 인헌장부터 을지장까지는 가는 선이 하나씩 늘어나지만, 태극장의 대수(大綬)는 무지(無地)(약수는 굵은 선 1개)가 되어, 그 개수(와 굵기)로 등급을 구분한다.[19][25][26]
정장은 각각 태극장은 오른쪽 어깨에서부터 내려서 착용하는 대수장(大綬章), 을지장·충무장은 목에 걸어 착용하는 중수장(中綬章), 화랑장·인헌장은 왼쪽 가슴에 착용하는 소수장(小綬章)(화랑장은 로제트가 붙음)이다.[19][25][26] 상위 2등급의 부장은 모두 왼쪽 가슴에 착용하는 별장(星章)이다.[19][25][26] 또한, 무공포장은 인헌장과 같은 소수장이지만, 금속 부품은 은색이며, 수는 분홍색 바탕에 중앙에 흰색 선 1개가 들어간다(약수의 양쪽 끝은 흰색 선 없음).[19][27]
참고로, 종래의 태극장 여성용 장식은 남성용보다 작은 치수가 규정되어 있었지만, 2015년 12월 31일의 상훈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남성용 치수로 통합되었다.[28][29]
5. 주요 수훈자
무공훈장은 대한민국 군인 또는 군무원에게 수여되는 훈장이다. 주요 수훈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증서 또는 데이터베이스 상의 날짜는 수여식 날짜보다 앞선다.
- 수여 당시 계급을 기준으로 한다.
- 전사는 수상자가 전사했음을 나타낸다.
5. 1. 태극무공훈장

태극무공훈장은 대한민국 군인에게 수여되는 최고 등급의 무공훈장이다. 다음은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은 사람들의 목록이다.
이름 | 소속/부대 | 계급 | 수여일 | 비고 |
---|---|---|---|---|
더글러스 맥아더 (Douglas MacArthur)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육군 대장 (General of the Army) | 1950-09-29 | [4] |
백선엽 (Paik Sun-yup) |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 소장 | 1951-07-26 | |
대장 (General) | 1953-04-05 | |||
김홍일 (Kim Hong-il) |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 중장 (Lieutenant General) | 1951-07-26 | |
손원일 (Sohn Won-yil) | 대한민국 해군 (Republic of Korea Navy) | 대장 (Admiral) | 1951-10-30 | |
1953-04-05 | ||||
호레이스 로버트슨 (Horace Robertson)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Australian Army) | 중장 (Lieutenant General) | 1951-11-07 | |
제임스 밴 플리트 (James Van Fleet)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중장 (Lieutenant General) | 1951-11-27 | |
매슈 리지웨이 (Matthew Ridgway)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중장 (Lieutenant General) | 1952-05-09 | |
라울 마그랭-베르네레 (Raoul Magrin-Vernerey) | 프랑스 육군 (French Army) | 중장 (Lieutenant General) (대령 직무대행 (acting Lieutenant colonel)) | 1952-11-04 | |
김종오 (Kim Jong-oh) |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 소장 (Major General) | 1952-12-26 | |
이형근 (Lee Hyung-geun) |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 중장 (Lieutenant General) | 1952-12-30 | |
1953-05-18 | ||||
임충식 (Im Chung-sik) |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 준장 (Brigadier General) | 1953-05-20 | |
송요찬 (Song Yo-chan) |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 소장 (Major General) | 1953-06-05 | |
윌리엄 F. 딘 (William F. Dean)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소장 (Major General) | 1953-09-04 | |
마크 W. 클라크 (Mark W. Clark)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대장 (General) | 1953-09-07 | |
김만술 (Kim Man-sool) |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 소위 (Second Lieutenant) | 1954-07-06 | |
호머 리첸버그 (Homer Litzenberg) | 미국 해병대 (United States Marine Corps) | 소장 (Major General) | 1957-10-23 | |
프랭크 F. 에버레스트 (Frank F. Everest) | 미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 대장 (General) | ? | |
코넬리우스 E. 라이언 (Cornelius E. Ryan)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소장 (Major General) | ? | |
강재구 (Kang Jae-gu) |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 대위 (Captain) | 1966-05-12 | [5] |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William Westmoreland)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대장 (General) | 1966-09-06 | [6] |
채명신 (Chae Myung-shin) |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 중장 (Lieutenant General) | 1967-05-20 | |
찰스 스미스 (Charles Smith) (Charles Bradford Smith)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준장 (Brigadier General) | 1975-07-04 | |
김영옥 (Young-Oak Kim)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대령 (Colonel) | 2006-02-03 | |
에드워드 라우니 (Edward Rowny)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중장 (Lieutenant General) | 2014-07-27 | [7] |
윌리엄 스피크먼 (William Speakman) (Bill Speakman) | 영국 육군 (British Army) | 상사 (Sergeant) | 2015-07-27 | [8] |
토마스 J. 허드너 주니어 (Thomas J. Hudner Jr.) | 미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 대위 (Captain) | 2015-07-27 | |
헥터 A. 카페라타 주니어 (Hector A. Cafferata Jr.) | 미국 해병대 (United States Marine Corps) | 일등병 (Private First Class) | 2015-07-27 | |
맥시모 영 (Maximo Young) | 필리핀 육군 (Philippine Army), PEFTOK | 소령 (Major) | 2016-07-27 | |
콘라도 Yap (Conrado Yap) | 필리핀 육군 (Philippine Army), PEFTOK | 대위 (Captain) | 2018-07-27 | |
에밀 카파운 (Emil Kapaun)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대위 (Captain) | 2021-07-27 | [9] |
랠프 퍼켓 주니어 (Ralph Puckett Jr.) | 미국 육군 (United States Army) | 대령 (Colonel) | 2023-04-25 | |
로이스 윌리엄스 (Royce Williams) | 미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 대령 (Captain) | 2023-04-25 | [10] |
발도메로 로페즈 (Baldomero López) | 미국 해병대 (United States Marine Corps) | 중위 (First lieutenant) | 2023-04-25 |
5. 2. 을지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은 대한민국의 군인에게 수여되는 무공훈장 중 하나이다. 주로 뛰어난 공훈을 세운 군인에게 수여되며, 외국 군인에게도 수여될 수 있다.
이름 | 소속 / 부대 | 계급 | 수여일 | 비고 |
---|---|---|---|---|
월턴 워커 | 미국 육군 | 중장 | 1950-12-19 | [11] |
대장 | 1953-01-03 | |||
에드워드 앨먼드 | 미국 육군 | 소장 | 1950-12-25 | align="left"| |
중장 | 1953-01-03 | |||
김석원 | 대한민국 육군 | 준장 | 1950-12-30 | align="left"| |
올리버 P. 스미스 | 미국 해병대 | 소장 | 1951-04-26 | align="left"| |
1953-01-03 | ||||
딘 헤스 | 미국 공군 | 중령 | 1951-05-29 | align="left"| |
채병덕 | 대한민국 육군 | 중장 | 1952-05-20 | align="left"| |
알베르토 루이스 노보아 | 콜롬비아 국군 | 중령 | 1953-06-24 | [12] |
에드윈 A. 도스 | 미국 공군 | 대령 | 1954-01-29 | align="left"| |
김신 | 대한민국 공군 | 준장 | 1954-10-01 | align="left"| |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 미국 육군 | 준장 | 1954-11-05 | align="left"| |
프라파스 차루사티엔 | 태국 왕립 육군 | 소장 | 1955 | |
윌리엄 해밀턴 쇼 | 미국 해군 | 대령 | 1956-09-22 | align="left"| |
호머 리젠버그 | 미국 해병대 | 소장 | 1957-11-19 | align="left"| |
토머스 H. 휴렛 | 미국 육군 의무병과 | 대령 | 1961-07-31 | align="left"| |
코넬리우스 E. 라이언 | 미국 육군 | 소장 | ? | align="left"| |
체스터 풀러 | 미국 해병대 | 중장 | ? | align="left"| |
윌리엄 P. 야보로 | 미국 육군 | 중장 | 1969-07-24 | [13] |
찰스 허큘리스 그린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 중령 | 2019-07-27 | align="left"| |
5. 3. 충무무공훈장
이름 | 소속 부대/직책 | 계급 | 날짜 | 비고 |
---|---|---|---|---|
이대용 | 대한민국 육군 | 대위 | 1950-12-30 | |
이대용 | 무관 | 1972-04-10 | ||
한무협 | 대한민국 육군 | ? | 1951-10-04 | |
한무협 | 대한민국 육군 | ? | 1953-09-21 | |
한무협 | 소장 | 1969-02-18 | ||
A. G. 랑가라지 | 인도 육군 제60낙하산야전구급대 | 중령 | 1951-08-21 | |
A. G. 랑가라지 | 인도 육군 제60낙하산야전구급대 | 중령 | 1951-11-30 | |
제임스 맥디빗 | 미국 공군 | 준장 | ? | |
클레이턴 오. 탓먼 | 미국 해병대 | 준장 | ? | |
데니스 어프 |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 중장 | 1961-06-30 | |
엘모 줌월트 | 미국 해군 | 대장 | 1969-04-25 |
5. 4. 화랑무공훈장
이름 | 소속 | 계급 | 날짜 | 비고 |
---|---|---|---|---|
월터 C. 모니건 주니어 | 미국 해병대 | 일등병 | 1954-04-12 | [14] |
휴 M. 엘우드 | 미국 해병대 | 중장 | ? | |
잭 T. 비쇼프 | 미국 해군 | 대령 | ? | |
윌리엄 게프트먼 | 미국 해병대 | 중령 | ? | |
윌버 F. 심릭 | 미국 해병대 | 소장 | 1970-04-10 | |
Phan Hòa Hiệp|판 호아 히엡vi | 베트남 공화국 육군 | 대령 | 1971-01-29 |
5. 5. 인헌무공훈장
참조
[1]
법률
Awards and Decorations Act
https://elaw.klri.re[...]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2018-02-15
[2]
웹사이트
Orders of Military Merit of the Republic of Korea 1948-196
http://www.omsa.org/[...]
2023-04-05
[3]
웹사이트
훈장과 포장
https://www.sanghun.[...]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2018-02-15
[4]
웹사이트
이승만 대통령 유엔군최고사령관 맥아더 장군에게 태극무공훈장 수여
https://theme.archiv[...]
[5]
뉴스
姜在求少領(강재구소령)에 太極武功(태극무공)훈장추서
https://newslibrary.[...]
1966-05-25
[6]
뉴스
太極武功勲章(태극무공훈장)수여
https://newslibrary.[...]
1966-09-07
[7]
웹사이트
Republic of South Korea Awards Four U.S. Veterans Its Nation’s Highest Military Award: The Order of Military Merit, Taeguk - Post Eagle Newspaper
http://www.posteagle[...]
[8]
웹사이트
Republic of South Korea Awards Four U.S. Veterans Its Nation’s Highest Military Award: The Order of Military Merit, Taeguk - Post Eagle Newspaper
http://www.posteagle[...]
[9]
웹사이트
Moon awards medals to two UN Forces veterans for war service
https://koreajoongan[...]
2022-03-08
[10]
웹사이트
Retired Navy Capt Royce Williams shares declassified heroic story
https://www.foxnews.[...]
2023-04-29
[11]
뉴스
워커 中將表彰
https://newslibrary.[...]
1950-12-20
[12]
웹사이트
2023년 3월의 6‧25전쟁영웅 - 알베르토 루이즈 노보아 콜롬비아 육군 중령 2023년 3월의 6‧25전쟁영웅 - 알베르토 루이즈 노보아 콜롬비아 육군 중령
https://blog.naver.c[...]
[13]
웹사이트
야보로 중장에 훈장
https://www.joongang[...]
[14]
뉴스
動亂(동란)의 숨은 證言(증언) 異域(이역)서散華(산화)한 碧眼(벽안)의英雄(영웅)「모니간」1兵(병)
https://newslibrary.[...]
1965-09-18
[15]
법률
무공훈장령(武功勲章令)
https://www.law.go.k[...]
법제처
2021-02-06
[16]
법률
상훈법(賞勲法)
https://www.law.go.k[...]
법제처
2021-02-06
[17]
법률
상훈법(賞勲法)
https://www.law.go.k[...]
법제처
2021-02-06
[18]
법률
상훈법(賞勲法)
https://www.law.go.k[...]
법제처
2021-02-06
[19]
법률
상훈법 시행령(賞勲法施行令)
https://www.law.go.k[...]
법제처
2021-02-06
[20]
법률
무공훈장령(武功勲章令)
https://www.law.go.k[...]
법제처
2021-02-06
[21]
설명
[22]
설명
[23]
설명
[24]
설명
[25]
웹사이트
근정훈장
https://www.sanghun.[...]
행정안전부
2021-02-06
[26]
웹사이트
근정훈장
https://theme.archiv[...]
국가기록원
2021-02-06
[27]
웹사이트
국민포장
https://www.sanghun.[...]
행정안전부
2021-02-08
[28]
법률
상훈법(賞勲法施行令)
https://www.law.go.k[...]
법제처
2021-02-07
[29]
법률
상훈법(賞勲法施行令)
https://www.law.go.k[...]
법제처
2021-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