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키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키 내각은 1974년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의 붕괴 이후, 미키 다케오가 자유민주당 총재가 되면서 성립되었다. 혼슈 시코쿠 연락교 건설을 추진하기 위해 현지 의원들을 대거 기용하여 '하시 내각'으로 불리기도 했다. 정치자금규정법 개정을 추진했지만, 록히드 사건으로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가 체포되면서 자유민주당 내 반(反)주류 파벌의 '미키 밀어내기' 운동에 직면했다. 중의원 해산 시도가 각료들의 반대로 무산되고, 내각 개조를 통해 위기를 넘겼지만, 독점금지법 개정안이 폐기되는 등 주요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 성립 배경 및 정치 상황

이전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이 금맥 스캔들로 인해 총사퇴한 후, 시이나 에쓰사부로 당시 자유민주당 부총재의 중재(이른바 시이나 재정)를 통해 미키 다케오가 당 총재로 선출되어 내각을 구성했다.[3][2] 혼슈 시코쿠 연락교 건설 추진을 위해 해당 지역구 의원들이 많이 입각하여 '하시 내각'(橋内閣|하시 나이카쿠일본어, 다리 내각)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3][2]

미키 내각은 정치자금규정법 개정 등 정치 개혁을 추진했으나 자민당 내 기득권 세력의 반발에 직면했다. 특히 1976년 록히드 사건이 불거지고 사건 수사 과정에서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가 체포되면서, 이를 둘러싼 당내 갈등이 격화되어 내각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이후 '미키 밀어내기'라 불리는 당내 반발로 이어졌다.[3][2]

미키 내각 시기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3][2]

2. 1.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의 붕괴

이전 내각인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제2차 개조내각은 다나카 금맥 문제로 인해 총사퇴했다. 이후, 이른바 시이나 재정을 통해 미키자유민주당 총재로 추대되어 미키 내각을 조각했다.

2. 2. '시이나 재정'과 미키 다케오의 총재 선출

이전 내각이었던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제2차 개조내각은 다나카 금맥 스캔들로 인해 총사퇴했다. 이후 후임 자유민주당 총재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당시 당 부총재였던 시이나 에쓰사부로의 중재, 이른바 ‘시이나 재정’을 통해 미키 다케오가 총재로 선출되었다. 이는 금권 정치 스캔들 이후 정치 개혁에 대한 기대감과 자민당 내 파벌 간의 역학 관계 속에서 상대적으로 청렴한 이미지의 미키가 중재자 역할로 부상한 결과였다.[3][2] 이렇게 성립된 미키 내각은 혼슈 시코쿠 연락교 건설 추진을 위해 해당 지역구 의원들이 많이 입각하여 '하시 내각'(橋内閣|하시 나이카쿠일본어, 다리 내각)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3][2]

2. 3. '미키 밀어내기'와 내각의 위기

미키 내각은 정치자금규정법 개정 등을 추진했으나, 이는 자유민주당 내 기득권 세력의 반발을 샀다. 1976년 2월 록히드 사건이 터지자 미키 총리는 사건의 철저한 해명을 약속했고, 수사가 진행되어 같은 해 7월 27일에는 전 총리인 다나카 가쿠에이뇌물죄 혐의로 체포되었다.

미키 내각은 록히드 사건 수사를 통해 정계 정화를 이루려 했지만, 내각의 인기 회복과 연명을 위해 검찰을 동원하여 다나카를 체포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샀고, 자유민주당 내 반주류 파벌들(다나카파, 오히라파, 후쿠다파, 후나다파, 미즈타파, 시이나파)은 연합하여 소위 '미키 밀어내기'(三木おろし|미키 오로시일본어)라 불리는 격렬한 반 미키 운동을 전개하며 내각 퇴진을 압박했다.

미키 총리는 이러한 당내 반발에 맞서 중의원 해산을 통해 국면을 돌파하고자 했으나, 15명의 각료가 해산 조서 서명에 반대하면서 실행하지 못했다. 각료 대량 파면까지 고려했으나 결국 해산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내각 개조와 당 집행부 교체를 통해 당내 갈등은 일단 진정되었다.

그러나 미키 내각은 정치적 혼란 속에서 개혁 동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독점금지법 개정안은 중의원을 통과했음에도 참의원에서 폐기되었고, 1975년 7월 29일 정부·자민당 수뇌 회의에서는 개정안의 재제출은 보류되었다. 또한 핵 확산 금지 조약의 조기 비준, 총재 공선제 도입 등 다른 주요 정책들도 실현되지 못했다.[3][2]

3. 주요 정책 및 성과

미키 내각은 혼슈 시코쿠 연락교 건설 추진과 관련하여 해당 지역 의원들이 다수 포함되어 ‘하시 내각’(橋内閣|하시 나이카쿠일본어, 다리 내각)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다나카 가쿠에이 금맥 스캔들 이후 출범한 미키 내각은 정치 개혁을 추진하여 정치자금규정법과 공직선거법을 개정했다. 그러나 1976년 록히드 사건이 불거지고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가 체포되면서, 사건 처리를 둘러싼 당내 갈등으로 인해 ‘미키 밀어내기’라는 반발에 직면했다. 이 과정에서 독점금지법 개정이나 핵 확산 금지 조약 조기 비준 등 다른 개혁 과제들은 실현되지 못했다.[3]

주요 대외 활동으로는 1975년 쇼와 천황고준 황후미국 방문이 있었고, 같은 해 프랑스 랑부예에서 열린 제1회 주요국 정상회의에 참가했다. 또한, 임기 중 공공기업체 등 노동조합협의회에 의한 파업 강행과 같은 사회적 현안에도 직면했다.

3. 1. 정치 개혁

다나카 가쿠에이 금맥 스캔들로 이전 내각총사퇴한 후, 미키는 소위 ‘시이나 재정’을 통해 자유민주당 총재로 선출되어 내각을 구성했다. 미키 내각은 출범 직후부터 정치 개혁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

가장 먼저 추진된 것은 정치자금규정법 개정이었다. 금권 정치의 폐해를 막고 정치 자금의 투명성을 높이려는 시도였으나, 이는 자유민주당 내 기득권 세력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976년 2월 록히드 사건이 터지자 미키 총리는 사건의 철저한 진상 규명을 국민에게 약속했다. 수사가 진행되면서 같은 해 7월 27일에는 전직 총리인 다나카 가쿠에이가 체포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미키 내각은 이 사건을 계기로 정계 정화를 추진하려 했지만, 당내에서는 미키 총리가 인기를 얻고 내각을 유지하기 위해 검찰을 이용해 다나카를 표적 수사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결국 다나카파, 오히라파, 후쿠다파 등 당내 반주류 세력은 연합하여 ‘미키 밀어내기’라고 불리는 격렬한 반발 움직임을 보였다. 미키 총리는 이에 맞서 중의원 해산을 통해 국민의 신임을 묻고자 했으나, 15명의 각료가 해산 조서 서명을 거부하며 반대했다. 각료 대량 파면이라는 극단적인 수단까지 고려했으나 결국 해산을 포기하고 내각 개조와 당직 개편으로 사태를 수습해야 했다.

이러한 정치적 혼란 속에서 미키 내각이 실현한 개혁은 정치자금규정법과 공직선거법 개정에 그쳤다. 기업의 시장 독과점을 규제하기 위한 독점금지법 개정안은 중의원을 통과했지만 참의원에서 폐기되었고, 이후 재추진도 보류되었다. 그 외 핵 확산 금지 조약 조기 비준, 총재 공선제 도입 등 다른 개혁 과제들도 대부분 실현되지 못했다.[3]

3. 2. 외교 및 안보

1975년에는 쇼와 천황고준 황후미국을 공식 방문하여 전후 미일 관계 강화의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같은 해 프랑스 랑부예에서 열린 제1회 주요국 정상회의(선진국 수뇌 회의)에 참가하며 국제 사회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고자 노력했다.

1976년에는 소련 공군 조종사가 최신예 전투기인 미그-25기를 몰고 일본으로 망명한 벨렌코 중위 망명 사건이 발생하여, 냉전 하의 국제 정세 속에서 일본의 안보 문제가 주목받기도 했다.

한편, 미키 내각은 핵 확산 금지 조약의 조기 비준을 추진하였으나, 국내외 여러 요인으로 인해 임기 내에 실현하지는 못했다.[2]

4. 내각 구성

이전 내각인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내각이 다나카 금맥 스캔들로 총사퇴한 후, 시이나 에쓰사부로의 중재(소위 ‘시이나 재정’)를 통해 미키 다케오자유민주당 총재로 선출되어 내각을 구성했다. 혼슈 시코쿠 연락교 건설 추진을 위해 해당 지역구 의원들이 많이 입각하여 ‘하시 내각’(橋内閣|다리 내각일본어)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주요 각료로는 부총리 겸 경제기획청 장관에 후쿠다 다케오, 법무대신에 이나바 오사무, 외무대신미야자와 기이치, 대장대신에 오히라 마사요시, 문부대신에 비 국회의원인 나가이 미치오 등이 임명되었다.

미키 내각은 정치자금규정법 개정 등을 추진했으나, 이는 자유민주당 내 반발을 샀다. 특히 1976년 2월 록히드 사건이 터지자 미키 총리는 철저한 진상 규명을 약속했고, 수사 결과 7월 27일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가 체포되었다. 미키 내각은 사건 해명을 통해 정계 정화를 도모하려 했으나, 일각에서는 인기몰이와 내각 연명을 위해 검찰을 이용해 다나카를 체포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로 인해 자유민주당 내 반주류(다나카파, 오히라파, 후쿠다파, 후나다파, 미즈타파, 시이나파)를 중심으로 ‘미키 밀어내기’라 불리는 격렬한 내각 타도 운동이 벌어졌다.

미키 총리는 이 도각 운동에 맞서 중의원 해산을 시도했으나, 15명의 각료가 해산 조서 서명에 반대하면서 결국 포기했다. 이후 내각 개조와 당 집행부 교체를 통해 양측의 대립은 일단 진정 국면을 맞았다.[3] 1976년 9월 15일 내각 개조가 이루어졌다.

4. 1. 국무대신 (1974.12.9. ~ 1976.9.15.)

자유민주당 (미키 파벌)자유민주당 총재부총리
경제기획청 장관후쿠다 다케오--중의원
자유민주당 (후쿠다 파벌)재입각법무대신이나바 오사무--중의원
자유민주당 (나카소네 파벌)재입각외무대신미야자와 기이치
미야자와 기이치
중의원
자유민주당 (오히라 파벌)재입각대장대신오히라 마사요시--중의원
자유민주당 (오히라 파벌)재임문부대신나가이 미치오--민간 (비 국회의원)첫 입각후생대신다나카 마사미중의원
자유민주당 (후쿠다 파벌)첫 입각농림대신아베 신타로
아베 신타로
중의원
자유민주당 (후쿠다 파벌)첫 입각통상산업대신고모토 도시오
고모토 도시오
중의원
자유민주당 (미키 파벌)재입각운수대신기무라 무쓰오참의원
자유민주당 (다나카 파벌)첫 입각우정대신무라카미 이사무--중의원
자유민주당 (미즈타 파벌)재입각노동대신하세가와 다카시중의원
자유민주당 (무파벌)재입각건설대신가리야 다다오중의원
자유민주당 (다나카 파벌)첫 입각
1976년 1월 15일 재임 중 사망(미키 다케오)--중의원
자유민주당 (미키 파벌)임시 대리 (1976년 1월 15일 ~ 1976년 1월 19일)다케시타 노보루--중의원
자유민주당 (다나카 파벌)재입각 (1976년 1월 19일 임명)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후쿠다 하지메
후쿠다 하지메
중의원
자유민주당 (후나다 파벌)재임내각관방장관이데 이치타로
이데 이치타로
중의원
자유민주당 (미키 파벌)재입각총리부 총무장관
오키나와 개발청 장관우에키 미쓰노리참의원
자유민주당 (오히라 파벌)첫 입각행정관리청 장관마쓰자와 유조중의원
자유민주당 (시이나 파벌)첫 입각국토청 장관가네마루 신--중의원
자유민주당 (다나카 파벌)재입각방위청 장관사카타 미치타--중의원
자유민주당 (무파벌)재입각과학기술청 장관사사키 요시타케--중의원
자유민주당 (오히라 파벌)첫 입각환경청 장관오자와 다쓰오중의원
자유민주당 (다나카 파벌)전보내각관방부장관 (정무)가이후 도시키중의원
자유민주당 (미키 파벌)내각관방부장관 (사무)가와시마 히로모리관료1976년 5월 25일 사임우메모토 요시마사관료1976년 5월 25일 임명내각법제국 장관요시쿠니 이치로관료1976년 5월 25일 사임사나다 히데오관료1976년 5월 25일 임명총리부 총무부장관 (정무)마쓰모토 주로중의원
자유민주당 (후쿠다 파벌)1974년 12월 12일 임명
1975년 12월 26일 사임모리 요시로중의원
자유민주당 (후쿠다 파벌)1975년 12월 26일 임명총리부 총무부장관 (사무)미나카와 미치오관료출처:[1]


4. 2. 내각관방 부장관, 내각법제국 장관 등 (1974.12.9. ~ 1976.9.15.)

1976년 5월 25일 면직우메모토 요시마사관료사무 담당
1976년 5월 25일 임명내각법제국 장관요시쿠니 이치로관료유임
1976년 5월 25일 면직사나다 히데오관료1976년 5월 25일 임명총리부 총무 부장관마쓰모토 주로중의원/자유민주당 (후쿠다파)정무 담당
1974년 12월 12일 임명
1975년 12월 26일 면직모리 요시로중의원/자유민주당 (후쿠다파)정무 담당
1975년 12월 26일 임명미나가와 미치오관료사무 담당


4. 3. 정무 차관 (1974.12.9. ~ 1976.9.15.)

wikitext

직책성명임기 시작임기 종료
법무 정무차관마쓰나가 히카루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나카야마 도시오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외무 정무차관하타노 주분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시오자키 준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대장 정무차관모리 요시히데1974년 12월 9일1974년 12월 12일
가지키 마타조1974년 12월 9일1974년 12월 12일
가라사와 슌지로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호소카와 모리히로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문부 정무차관야마자키 헤이하치로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가사오카 다카시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후생 정무차관야마시타 도쿠오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가와노베 시즈카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농림 정무차관에토 다카미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시바타테 요시후미1974년 12월 9일1975년 8월 5일
가와모토 가쿠조1975년 8월 22일1975년 12월 26일
하마다 고이치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하야시 유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통상산업 정무차관와타나베 고조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시마사키 히토시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와타누키 다미스케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구로즈미 다다유키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운수 정무차관오코노기 히코사부로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사토 모리요시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우정 정무차관이나무라 도시유키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하타 쓰토무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노동 정무차관나카야마 마사아키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이시이 하지메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건설 정무차관나카무라 고카이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무라타 게이지로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자치 정무차관사토 메구무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오쿠다 게이와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행정관리 정무차관아베 요시모토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곤도 데쓰오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홋카이도 개발 정무차관시무라 아이코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데라시타 이와조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방위 정무차관다나베 시로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가토 요조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경제기획 정무차관야스다 기로쿠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하야시 요시로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과학기술 정무차관가타야마 마사히데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오자와 이치로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환경 정무차관하시모토 시게조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오치 이헤이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오키나와 개발 정무차관고쿠바 고쇼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마쓰오카 가쓰요시(다테카와 단시)1975년 12월 26일1976년 1월 30일
나카무라 데이지1976년 1월 30일1976년 9월 15일
국토 정무차관사이토 시게요시1974년 12월 9일1975년 12월 26일
노나카 에이지1975년 12월 26일1976년 9월 15일


4. 4. 개조 내각 (1976.9.15. ~ 1976.12.24.)

1976년 9월 15일에 내각 개조가 이루어졌다.

직책대신임기 시작임기 종료
내각총리대신미키 다케오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부총리후쿠다 다케오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법무대신이나바 오사무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외무대신고사카 젠타로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대장대신오히라 마사요시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문부대신나가이 미치오
(비 국회의원)
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후생대신하야카와 다카시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농림수산대신오이시 부이치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통상산업대신고모토 도시오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운수대신이시다 히로히데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우정대신후쿠다 도쿠야스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노동대신우라노 사치오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건설대신추만 다쓰이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아마노 기미요시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내각관방장관이데 이치타로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총리부 총무장관
오키나와 개발청 장관
니시무라 쇼지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행정관리청 장관아라후네 세이지로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국토청 장관아마노 고세이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방위청 장관사카타 미치타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경제기획청 장관후쿠다 다케오1976년 9월 15일1976년 11월 6일
노다 우이치1976년 11월 6일1976년 12월 24일
과학기술청 장관마에다 마사오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환경청 장관마루모 시게사다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내각관방부장관 (정무)구지라오카 효스케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내각관방부장관 (사무)우메모토 요시마사
(관료)
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내각법제국 장관사나다 히데오
(관료)
1976년 9월 15일1976년 12월 24일
총리부 총무부장관 (정무)모리 요시로1976년 9월 15일1976년 9월 20일
하시구치 다카시1976년 9월 20일1976년 12월 24일
총리부 총무부장관 (사무)미나가와 미치오
(관료)
1976년 9월 15일1976년 10월 1일
아키야마 스스무
(관료)
1976년 10월 1일1976년 12월 24일
colspan="4" |
출처:[1]


4. 5. 개조 내각의 내각관방 부장관, 내각법제국 장관 등 (1976.9.15. ~ 1976.12.24.)

직책이름재임 기간비고
내각관방 부장관 (정무)구지라오카 효스케1976년 9월 15일 ~ 1976년 12월 24일
내각관방 부장관 (사무)우메모토 요시마사1976년 9월 15일 ~ 1976년 12월 24일관료 출신
내각법제국 장관사나다 히데오1976년 9월 15일 ~ 1976년 12월 24일관료 출신
내각총리대신 관방 부장관 (정무)모리 요시로1976년 9월 15일 ~ 1976년 9월 20일
하시구치 다카시1976년 9월 20일 ~ 1976년 12월 24일
내각총리대신 관방 부장관 (사무)미나가와 미치오1976년 9월 15일 ~ 1976년 10월 1일관료 출신
아키야마 스스무1976년 10월 1일 ~ 1976년 12월 24일관료 출신
출처:[1]


5. 평가 및 영향

미키 내각은 다나카 전 총리의 금맥 스캔들 이후 정치 개혁에 대한 기대 속에서 출범했다. '깨끗한 미키'라는 이미지를 내세우며 정치 쇄신을 시도했으나, 그 평가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주요 업적으로는 정치자금규정법과 공직선거법 개정을 통해 금권 정치의 폐해를 줄이려 시도한 점, 그리고 록히드 사건 발생 시 철저한 수사를 지원하여 전직 총리인 다나카 가쿠에이체포하기에 이른 점 등이 꼽힌다. 이는 정치 정화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 사례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2][3] 외교적으로는 쇼와 천황 부부의 미국 방문을 성사시키고 제1회 G7 정상회의에 참가하여 미일관계를 공고히 하고 국제 사회에서 일본의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미키 내각은 자민당 내 기반이 취약하여 개혁 추진 과정에서 심각한 내부 갈등에 직면했다. 특히 록히드 사건 수사는 당내 기득권 세력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켜 소위 '미키 밀어내기'라는 내각 타도 운동으로 이어졌다. 미키 총리는 중의원 해산으로 정면 돌파를 시도했으나 각료들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결국 야심 차게 추진했던 독점금지법 개정안을 비롯하여 핵 확산 방지 조약 비준, 총재 공선제 도입 등 여러 주요 개혁 과제들은 대부분 실현되지 못하고 좌절되었다.[2]

결론적으로 미키 내각은 정치 개혁의 필요성을 사회적으로 환기시키고 록히드 사건이라는 거대 비리 사건을 파헤치는 성과를 냈지만, 자민당 내부의 강한 저항에 부딪혀 개혁을 완수하지는 못했다는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정은 당시 견고해 보였던 자민당의 1당 지배 체제가 내부적으로 균열을 보이기 시작하는 과도기적 상황을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5. 1. 긍정적 평가

미키 내각은 다나카 전 총리의 금맥 스캔들 이후 정치 개혁을 기대하는 분위기 속에서 출범했다. 비록 자민당 내부의 반발 등으로 인해 모든 개혁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몇 가지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우선, 정치 개혁을 위해 노력한 점이 평가된다. 미키 내각은 정치 자금 규정법과 공직선거법 개정을 실현하여 금권 정치의 폐해를 줄이려는 시도를 했다.[2][3] 특히 1976년 록히드 사건이 발생했을 때, 미키 총리는 사건의 철저한 규명을 약속하고 수사를 지원했다. 그 결과 전직 총리인 다나카 가쿠에이체포되는 등 성역 없는 수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정계 정화를 향한 미키 내각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이러한 개혁 추진은 당내 반주류 세력으로부터 '미키 내리기'라는 거센 저항에 부딪히기도 했으나, 정치 개혁에 대한 의지를 실천에 옮기려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외교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다. 1975년 쇼와 천황고준 황후미국 방문을 성사시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형성된 미일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같은 해 프랑스 랑부예에서 열린 제1회 주요국 정상회의에 일본 대표로 참가하여, 국제 사회에서 일본의 위상을 높이고 주요 선진국과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5. 2. 부정적 평가

미키 내각은 정치자금규정법 개정을 추진했으나, 이는 자유민주당 내부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976년 2월 록히드 사건이 발각되었을 때 미키 총리는 사건의 철저한 해명을 약속했고, 수사가 진행되어 7월 27일에는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가 체포되었다. 그러나 미키 내각이 사건 해명을 통해 정계 정화를 시도한 것이 실제로는 인기를 얻고 내각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검찰을 이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자유민주당 내 반주류 파벌들(다나카 파, 오히라 파, 후쿠다 파, 후나다 파, 미즈타 파, 시이나 파)의 격렬한 반발로 이어져, 소위 '미키 내리기'라고 불리는 내각 타도 운동이 벌어졌다.

미키 총리는 이러한 당내 반발에 맞서 중의원 해산을 통해 정면 돌파를 시도했으나, 15명에 달하는 각료가 해산 조서 서명에 반대하면서 무산되었다. 각료들의 대규모 파면까지는 주저하며 결국 해산을 단념했고, 내각 개조와 당 집행부 교체로 양측의 대립은 일단 진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미키 내각 시기에 실현된 주요 개혁 입법은 정치자금규정법과 공직선거법 개정에 그쳤다. 야심 차게 추진했던 독점 금지법 개정안은 중의원을 통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참의원에서 폐기되었고, 이후 정부·자민당 수뇌 회담에서 재제출마저 보류되었다. 또한 핵 확산 방지 조약의 조기 비준, 총재 공선제 도입, 생애 설계 계획 등 여러 중요 정책들도 실현되지 못하고 좌절되었다.[2]

5. 3. 역사적 의의

미키 내각은 다나카 가쿠에이 금맥 스캔들로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이 총사퇴한 후, 정치 개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출범했다. 미키 다케오는 이른바 '시이나 재정'을 통해 자유민주당 총재로 선출되어 내각을 구성했으며, '깨끗한 미키'라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정치 쇄신을 시도했다.

내각 출범 후 정치자금규정법 개정을 추진했으나, 이는 당내 기반이 약했던 미키 총리에 대한 자민당 내부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1976년 록히드 사건이 터지자 미키 총리는 사건의 철저한 진상 규명을 약속하고 수사를 밀어붙였다. 그 결과 전직 총리인 다나카 가쿠에이가 체포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정계 정화를 위한 단호한 조치로 평가받기도 했지만, 일각에서는 미키 총리가 지지율 상승과 내각 연명을 위해 검찰을 이용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다나카 전 총리의 체포는 자민당 내 기득권 세력의 격렬한 반발을 초래했다. 다나카파, 오히라파, 후쿠다파 등 당내 주요 파벌들은 연합하여 '미키 밀어내기'라고 불리는 노골적인 내각 타도 운동을 전개했다. 이는 당시 자민당의 견고해 보였던 1당 지배 체제 내부의 심각한 균열을 드러낸 사건이었다. 미키 총리는 중의원 해산으로 맞서려 했으나, 다수 각료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결국 미키 내각은 정치자금규정법과 공직선거법 개정 등 일부 성과를 거두는 데 그쳤고, 야심차게 추진했던 독점금지법 개정안은 중의원에서 가결되었음에도 참의원에서 폐기되었으며, 핵 확산 금지 조약 조기 비준, 총재 공선제 도입 등 다른 주요 개혁 과제들도 실현하지 못했다.[2]

미키 내각은 정치 개혁의 필요성을 사회적으로 환기시키고 록히드 사건이라는 거대 비리 사건을 파헤치는 성과를 냈지만, 자민당 내부의 강한 저항에 부딪혀 개혁을 완수하지는 못했다. 이러한 점에서 미키 내각은 일본 정치사에서 자민당 1당 우위 체제가 흔들리기 시작하는 과도기적 성격을 보여준 내각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第66代 三木 武夫|歴代内閣 https://www.kantei.g[...] Prime Minister's Official Residence (Japan) 2023-10-06
[2] 웹사이트 森山欽司 ─反骨のヒューマニスト─ 第十八章 http://www.mayumi.gr[...] 2013-08-18
[3] 문서 森山欽司 ─反骨のヒューマニスト─ 第十八章 https://web.archive.[...] 2013-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