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국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국현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졸업 후 유한킴벌리 대표이사를 거쳐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기업인 출신 정치인이다. 유한킴벌리 재직 시절 환경 경영과 4조 2교대 근무를 도입했으며, 2007년 대선에서 5.8%의 득표율로 4위를 기록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으나, 불법 이익 취득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했다. 그는 정치 부패 반대와 환경 중시 정책을 펼쳤으며, 저서로는 《자본주의 4.0》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가상 수상자 -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신부는 아일랜드계 미국인 로마 가톨릭 사제로 50년 이상 제주도에서 봉사하며 한림수직 설립, 한림여자상업고등학교 설립, 성 이시돌 목장 설립 등을 통해 제주도민의 경제적 자립과 교육 기회 확장에 기여했고, 특히 축산업 발전에 공헌하여 '돼지 신부'라는 별명을 얻으며 대한민국 명예 국민이 되고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훈받았다. - 일가상 수상자 - 정혜영
정혜영은 1993년 S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시트콤 등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하며 연기대상을 수상했고, 배우 활동과 더불어 남편 션과 함께 홀트아동복지회 홍보대사로 기부와 봉사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창조한국당 - 김영춘 (1962년)
김영춘은 고려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김영삼 전 대통령 비서관으로 정계 입문하여 16, 17, 20대 국회의원과 해양수산부 장관, 국회사무총장을 역임했으나 부산시장 보궐선거 낙선 후 정계 은퇴를 선언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창조한국당 - 한승주
한승주는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후 미국에서 정치학 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외무부 장관과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관이다. - 대한민국의 환경 운동가 - 서왕진
서왕진은 조국혁신당 정책위원회 의장, 광주광역시당위원장, 최고위원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환경, 노동, 사회 복지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혁신정책연구원 원장으로서 윤석열 정부의 정책을 비판하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현재 조국혁신당에서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환경 운동가 - 박정현 (1964년 11월)
박정현은 대전 YMCA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서 시민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대전광역시의회 의원, 대덕구청장을 거쳐 제22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치인이다.
문국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문국현 |
한자 표기 | 文國現 |
로마자 표기 | Mun Gukhyeon |
출생일 | 1949년 1월 12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성북동 |
거주지 | 서울특별시 은평구 |
본관 | 남평 |
배우자 | 박수애 |
자녀 | 딸 2명 |
종교 | 천주교(세례명: 바오로) |
학력 | |
학력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MBA |
경력 | |
주요 경력 |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사장 KT 사외이사 창조한국당 대표최고위원 선진과 창조의 모임 원내대표 김광수경제연구소 고문 뉴 패러다임 인스티튜트 대표이사 |
정치 경력 | |
정당 | 무소속 |
이전 정당 | 창조한국당 (2007–2012) |
국회의원 선수 | 1 |
국회의원 대수 | 18 |
지역구 | 서울 은평구 을(18) |
소속 상임위원회 | (정보 없음) |
의정 활동 | |
직책 | 창조한국당 대표 국회의원 |
임기 시작 | 2007년 10월 14일 (창조한국당 대표) 2008년 5월 30일 (국회의원) |
임기 종료 | 2009년 11월 4일 (창조한국당 대표) 2009년 10월 22일 (국회의원) |
이전 국회의원 | 이재오 (한나라당) |
다음 국회의원 | 이재오 |
기타 정보 | |
병역 | 육군 중위 전역 |
웹사이트 | 아카이브된 조선일보 영문 기사 |
2. 이력
문국현은 1967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에 합격하여 경영학을 복수 전공했으며, 육군 학군장교(ROTC)로 임관하면서 국방부장관상을 수상했다. 병기 장교로 통역장교에 선발되어 군 교범을 한글로 번역하는 업무를 수행한 후 육군 중위로 만기 전역했다.[5]
대학교 4학년 때 유한양행 창업자 유일한의 전 재산 사회 환원 사실을 알고 유일한을 존경하게 되었으며, 1974년 유한킴벌리에 입사했다. 197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유한킴벌리 최고경영자가 되었고, 1996년 유엔 환경 계획(UNEP) 한국 개발 기구 위원회 이사로 임명되었다.
2. 1. 기업인 활동
문국현은 1967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에 합격하여 경영학을 복수 전공했으며, 육군 학군장교(ROTC)로 임관하면서 국방부장관상을 수상했다. 병기 장교로 통역장교에 선발되어 군 교범을 한글로 번역하는 업무를 수행한 후 육군 중위로 만기 전역했다.[5]대학교 4학년 때 유한양행 창업자 유일한의 전 재산 사회 환원 사실을 알고 유일한을 존경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1974년 유한킴벌리에 입사했다. 197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회사에서는 전산실장을 맡아 한국에 초기이던 전산시스템을 도입했다. 1984년에는 안식년으로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를 둘러보았고, 이때의 경험으로 유한킴벌리의 환경보호운동인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를 시작했다. 1995년에는 대표이사 사장에 취임했고, 2003년에는 킴벌리-클라크 북아시아 총괄 사장까지 겸하게 됐다.
; 환경운동
1984년부터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운동을 주도하여 생태 환경 보전 및 교육활동을 했다. 매출액의 0.1%~0.5%를 투자하는 이 운동은 나무심기와 숲가꾸기를 주로하며 북한 숲 조성활동이나 몽골 사막화지역 나무심기 등도 지원했다.
; IMF 위기의 극복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공장가동률이 절반대로 떨어지는 위기 상황에서 대량해고 대신 3조2교대의 근무일정을 4조2교대로 하여 4일을 일하고 4일을 쉬는 정책을 취했다. 이는 고용 증대 효과와 함께 근로자들의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시장점유율 상승 등의 결과를 가져왔다.
; 최근 활동
"지속가능경영"을 도입하여 2006년부터 지속 가능성 보고서를 냈다.[6]
2006년에만 매출액 약 7.7% 성장, 순이익률 10.9%의 성장을 기록하고 지역사회에 112.5억원을 투자했다. 2007년 3월 2일에는 경기도 기흥에 킴벌리-클라크의 글로벌 R&D센타를 유치했다. 2007년 3월 8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을 목표로 하는 UN 글로벌 콤팩트에 가입했다.
- 1995년 환경정의 이사
- 1996년 유엔환경개발기구 (UNEP) 한국위원회 이사
- 2005년 평생학습클럽 공동회장 (뉴패러다임센터)
2. 2. 정치 활동
문국현은 2007년 8월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사장직을 사임하고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10월에는 창조한국당을 창당하여 정치 부패에 반대하고 환경을 중시하는 정책을 내세웠다.대선에서 5.8%의 득표율로 4위를 기록한 후, 2008년 4월 총선에서 서울특별시 은평구 을 지역구에 출마하여 이재오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외통위)에서 활동하고, 자유선진당과 함께 원내교섭단체인 선진과 창조의 모임을 출범시키는 등 활발한 의정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2009년 10월, 당원들이 기밀 정보를 이용해 불법적인 이익을 얻은 혐의로 징역 8개월을 선고받아 의원직을 상실했다.
2. 2. 1. 2007년 대선
2007년 8월 23일,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사장, 킴벌리클락 동아시아 총괄사장직, KT 사외이사직을 사임하고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7] 10월 30일 창조한국당을 창당하고 이용경 전 KT 사장, 이정자 녹색구매네트워크 상임대표와 함께 공동대표가 되었으며, 11월 4일 대선 후보로 추대되었다.11월 18일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정책연합을 통한 단일화를 제안하자, 11월 20일 문국현 후보는 "실정한 사람들과 단일화를 할 수 없다"며 "정 후보에게 국민에 대한 사과와 함께 후보 사퇴를 공식적으로 요청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단일화 문제를 토론할 수 있다"며 "정권 연장 차원의 단일화가 아닌 정권교체, 시대교체 차원의 후보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밝혀 협의 가능성은 남겨두었다.[8]
11월 25일, 대통합민주신당 유시민 의원이 자신을 비판하자, "유시민 의원이 그간 보여온 정동영 후보에 대한 태도와 발언에 비춰 볼 때 정 후보 지지야말로 완벽한 자기부정"이라며 반박했다. 그는 열린우리당이 과반 의석을 얻은 후 '실용, 개혁' 논쟁부터 대통합민주신당의 경선 과정까지 유 의원은 정동영 후보를 인정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유 의원이 참여정부의 관점에서 매사를 해석하려는 것을 이해하지만, 일관성은 가져야 설득력이 생긴다며,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입장을 바꾸는 정치가 아닌, 당당하게 평가하고 비판하는 정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같은 당을 하고 있는 140명 의원들의 면면을 보라"며 "참여정부 임기 내내 대통령과 정부를 부정한 사람들이 절반을 넘어 거의 70 내지 80%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그런 당에 몸담고 있는 유 의원이야말로 자기부정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9]
2007년 대선에서 문국현은 1,375,478표(5.8%)를 얻어 4위에 그쳤다.[3] 그는 정치 부패에 반대하고 환경을 중시하는 정책을 내세웠으며, 노무현 참여정부를 지지했던 진보 성향 유권자, 이명박을 싫어하지만 '기업인 출신'이라는 비슷한 이력을 선호하며 정부 변화를 원했던 보수 성향 유권자, 그리고 노동운동 세력으로부터 약간의 지지를 얻었다.[2]
2. 2. 2. 2008년 총선
2008년 4월 9일, 문국현은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 이재오(한나라당, 현직)를 11% 이상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4] 비록 이 2008년 선거에서 특히 서울 지역의 자유주의 후보들이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한반도 대운하' 사업에 반대하는 그의 캠페인은 선거구와 전국적으로 그의 인기를 높였다. 그러나 그는 당원들이 기밀 정보를 이용해 불법적인 이익을 얻으면서 1년 후(2009년 10월 22일)에 의원직을 상실했다. 법원은 그에게 징역 8개월을 선고했다. 2010년 공석이 된 그의 지역구에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이재오는 58.33%의 득표율로 쉽게 의석을 되찾았다.2. 2. 3. 의정 활동
2008년 4월, 서울 은평을에서 18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외통위)에서 활동했다.[4] 같은 해 6월, 자유선진당과의 공동교섭단체 협상을 통해 원내교섭단체인 선진과 창조의 모임을 출범시켰고, '공영방송지키기대책위원회'도 출범시켰다.[4] 12월에는 국정감사 모니터단 NGO가 선정한 '2008년 국정감사 우수의원' 78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4]2008년 4월 9일 총선에서 문국현은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 이재오(한나라당)를 11% 이상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4] 비록 이 2008년 선거에서 특히 서울 지역의 자유주의 후보들이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한반도 대운하 사업에 반대하는 그의 선거 운동은 선거구와 전국적으로 그의 인기를 높였다.[4] 그러나 2009년 10월 22일, 당원들이 기밀 정보를 이용해 불법적인 이익을 얻은 혐의로 법원에서 징역 8개월을 선고받아 의원직을 상실했다.[4] 2010년 그의 지역구에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는 이재오가 58.3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4]
2. 2. 4. 이명박 정부 탄압 주장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한 이후, 문국현은 김민석, 강기갑 의원과 마찬가지로 이명박 정부로부터 정치적 탄압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강기갑 의원은 이를 지적하며 비판했다.[14]검찰은 문국현을 공천헌금 수수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으나,[15] 1심 판결에서는 이러한 혐의에 대해 모두 무죄 판결을 내렸다. 다만, 검사가 기소하지 않은 당채 이자율이 시중 금리보다 싸다는 이유로 판사가 불고불리의 원칙을 어기면서까지 집행유예를 선고하여, 이는 무리한 정치 판결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창조한국당 김석수 대변인은 '근대 사법 체계의 근간인 불고불리의 원칙, 즉 검사가 기소한 사안에 대해 판사가 판단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검찰 기소 내용은 모두 무죄로 판결하면서 엉뚱한 내용으로 유죄 판결 내린 것은 납득할 수 없는 판결'이라고 평가했다.[16]
검찰의 구형은 고등 법원의 판결 이후에 나왔으며, 공천 헌금이 아니라는 고등 법원의 판결조차 무시했다는 점에서 의혹과 비판 여론이 있다.
3. 정치적 입장
문국현은 일자리 창출, 근로 조건 개선, 토지 공개념 강화, 중소기업 지원 강화, 남북 경제공동체, 엄정한 법치주의, 고용 안정, 공교육 강화, 평생 학습사회, 사회투자형 복지를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다. 또한 대통령 4년 중임제, 대통령 결선 투표제, 정당명부식 비례 대표제, 정·부통령제 등의 개헌 공약을 내걸었다.[10]
환경운동연합,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시민사회단체 출신 인사들이 핵심 지지층으로 알려져 있다. 건국대학교 김재현 교수, 경원대학교 홍종학 교수 등이 대표적이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는 친분이 있으며 정책적으로 공감하는 부분이 많지만, 공식적인 지지는 표명하지 않았다.
경제 및 투명성 부분에서 강점을 가진다고 평가받는다. 언론에서는 범여권으로 분류되었으나, 기업인 이미지와 친기업적인 정책으로 인해 민주노동당으로부터 우파 성향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핵심 공약으로는 수출과 중소기업을 중시하는 정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제시했다. 남북정상회담에 찬성하고 북미수교를 지지했으며, 한미 FTA에 대해서는 경계적 입장을 취하며 경쟁력 강화를 주장했다. "사람이 희망이다."를 정치적 구호로 사용했다.
2007년 12월 11일, 문국현은 세종시에 대해 국민적 합의를 거쳐 행정도시를 백지화하고,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세종국제교육도시를 건설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그는 참여정부의 모든 중앙행정부처 연기·공주 이전 방안은 위헌 판결이 났기 때문에 따를 수 없으며, 행정수도 복원 주장은 새로운 위헌 시비만 낳을 뿐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행복도시가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며, 수도권 인구 분산과 충청권 발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통일 시대를 내다보지 못한 근시안적이고 반통일적 처사라고 비판했다.[11] 이에 충북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시민단체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훼손 공약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12][13]
4. 학력
5. 저서
제목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도 |
---|---|---|---|
《자본주의 4.0》 | 문국현 | 석세스티브이 | 2011년 |
《사람이 희망이다》 | 문국현 외 | 웅진윙스 | 2007년 |
《지구 온난화의 부메랑》 | 김수종, 문국현, 최열 공저 | 도요새 | 2007년 |
《도시의 생명력, 그린웨이》 | 김기호, 문국현 | 랜덤하우스 코리아 | 2006년 |
《유한킴벌리-세계가 배우는 한국기업의 희망》 | 문국현, 조동성, IDS & Associates consulting | 한즈미디어 | 2005년 |
《녹색공동체를 위한 실천》 | UNEP | 나남출판 | 1997년 |
《다주면 다 얻는다》 | 김성수, 김영호 외 | 지식산업사 | 2007년 |
《문국현 솔루션(창조한국10가지미래구상)》 | 환경재단도요새 편집부, 서재경 역 | 도요새 | 2007년 |
6. 주요 수상
연도 | 수상 내역 |
---|---|
1967년 | 국방부장관상 (육군 학군장교 임관 시) |
2002년 | 미시간 주립대학교 Global Korea Award 2002 |
2002년 |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제3회 대한민국 기업이미지 대상 최고경영자상 |
2003년 |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경영원 최우수경영인상(대기업부문) |
2004년 | 여성지위 향상상 (소롭티미스트 한국협회) |
2005년 | 대한민국 금탑산업훈장 (산림조성공로) |
2006년 | 한국경영학회 제19회 경영자대상 |
2006년 | Excellence Korea 2006 베스트리더십 |
2007년 | 월간조선 2007 대한민국 경제리더 대상(사회책임경영부문) |
연도 불명 | 일가상 |
7. 가족
항목 | 내용 |
---|---|
부모 | 아버지 문성규, 어머니 임현정 |
형제 | 4남 2녀 중 넷째 |
배우자 | 박수애 |
자녀 | 2녀 |
8.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 대통령 | 17대 | 창조한국당 | 1,375,498표 (5.82%) | 4위 | 낙선 |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국회의원 | 18대 | 창조한국당 | 48,656표 (52.02%) | 1위 | 당선 | 초선 |
참조
[1]
뉴스
Moon Kook-hyun, CEO Of Yuhan-Kimberly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1-01-19
[2]
뉴스
Dark horse presidential candidate launches party ahead of election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07-10-30
[3]
웹사이트
문국현 소개
http://www.moon21.kr[...]
2018-02
[4]
뉴스
Rise and Fall of Heavyweights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8-04-09
[5]
뉴스
문국현·이인제·권영길 문국현 ″문화정책이 창조한국 조타수
https://n.news.naver[...]
국민일보
2023-05-10
[6]
웹사이트
유한킴벌리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https://csr.yuhan-ki[...]
[7]
뉴스
정동영 후보 지지율 20%대 첫 진입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3-05-10
[8]
뉴스
문국현 "정동영 사퇴하라"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3-05-10
[9]
뉴스
文후보 측 "유시민, 자기부정 말아야"
https://news.naver.c[...]
뉴시스
2023-05-10
[10]
뉴스
'커밍아웃'한 문국현 사람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23-05-10
[11]
뉴스
문국현 "행복도시 백지화하고 국제교육도시 건설"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23-05-10
[12]
뉴스
"문국현은 '행정도시 백지화' 발언 사과하라"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23-05-10
[13]
뉴스
충북경실련, “문국현, 행정도시 훼손공약 철회하라”
https://news.naver.c[...]
뉴시스
2023-05-10
[14]
뉴스
강기갑 "검찰, 무리한 수사한다"
https://www.inews24.[...]
아이뉴스24
2023-05-10
[15]
뉴스
'공천헌금' 문국현 대표 징역 2년6월 구형
https://news.mt.co.k[...]
머니투데이
2023-05-10
[16]
뉴스
창조한국당, 심상정 출마설 맹비난
http://www.redian.or[...]
레디앙
2023-05-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통계로 보는 6·3 대선 세 가지 관찰 포인트
중국서 신뢰·윤리 ‘열매’…생산성 30%씩 상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