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일한은 1895년 평양에서 태어난 기업가이자 독립운동가이다. 미국 유학 후, 1926년 유한양행을 설립하여 민족의 건강 증진에 기여했으며, 종업원 지주제를 도입하는 등 윤리적인 경영을 실천했다. 3.1 운동에 참여하고, OSS 고문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1969년 은퇴 후, 자신의 재산을 사회에 환원했으며, 1971년 사망 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일한 - 유특한
유특한은 유유제약의 창업주로, 유한무역주식회사를 설립하여 사업을 시작하고 유한양행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한 후 유유산업(現 유유제약)을 설립하여 의약품 개발과 유유문화재단 설립을 통해 제약 산업 발전과 사회 환원에 기여한 기업인이다. - 유일한 - 유명한 (기업인)
유명한은 유한양행 창업주 유일한의 동생으로, 형이 해외에 머무는 동안 유한양행 경영에 기여하고 유한산업(現 유유제약)을 설립하여 제약 사업을 확장했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 논란이 있으며 해방 후 제약 및 출판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진주 류씨 - 유치환
유치환은 1931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교육자로, 인간 존재의 허무와 의지를 남성적 어조로 노래하며 생명파 시인으로 불렸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 논란이 있었고 광복 후에는 교육계에 종사하다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진주 류씨 - 유선호 (정치인)
유선호는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3선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사법고시 합격 후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며 주요 시국사건의 변호를 맡았고,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 경기도 정무부지사, 청와대 정무수석,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국토해양위원 등을 역임했다. - 일제강점기의 저술가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일제강점기의 저술가 - 정인보
정인보는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 시기에 활동한 사학자, 시조 작가, 교육자로, 민족주의 역사관과 ‘얼’ 사상을 형성하고, 연세대학교 강사, 동아일보 논설위원, 국학대학교 학장, 감찰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조선사 연구』 등의 저서를 남겼으나 한국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일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인 정보 | |
![]() | |
본관 | 고령 유씨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895년 1월 15일 |
출생지 | 조선 평양 |
사망일 | 1971년 3월 11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 |
학력 | |
학사 | 미시간 대학교 상학 학사 (1919년) |
석사 |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경영학 석사 (1941년) |
박사 | 스탠퍼드 대학교 법학 박사 (1948년) |
가족 | |
배우자 | 호미리(胡美利) |
자녀 | 유재라(딸), 유일선(아들) |
부모 | 유기연(부), 김기복(모) |
형제자매 | 유선한(큰누이, 1893년생) 유신한(여동생, 1897년생) 유중한(남동생, 1899년생) 유명한(남동생, 1908년생) 유순한(여동생, 1912년생) 유동한(남동생, 1918년생) 유특한(남동생, 1919년생) |
친척 | 유승호(조카) 유승흠(조카) 유승철(조카) 유승필(조카) 유승지(조카) 유승삼(조카) 유승식(조카) 유일링(손녀) |
경력 | |
직업 | 독립운동가, 기업가, 교육자, 저술가 |
종교 | 장로교 |
소속 | 유한양행 명예회장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
활동 기간 | 1917년 ~ 1971년 |
2. 생애
유일한은 1895년 1월 15일 평양에서 개신교 신자인 유기연과 김기복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싱거 재봉틀을 판매하는 상인이었다.[7][1][3] 교육열이 높았던 아버지는 자녀들을 러시아 제국, 청나라, 일본 제국 등지로 유학을 보냈고, 유일한은 1904년 9월, 9세의 나이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2][7]
1905년 을사조약과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한국을 식민지로 지배하려던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위해 박용만이 네브래스카주 헤이스팅스에 설립한 한인소년병학교에 1909년 유일한은 최연소 학생으로 입학했다.[2][5] 그는 그곳에서 아침에는 농사일, 오후에는 군사 훈련, 저녁에는 공부를 하는 엄격한 생활을 했다.[2]
1919년 3·1 운동 직후,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제1차 한인 연합회의에 참석하여 대한민국 헌법에 큰 영감을 준 결의안 초안 위원회에서 활동했다.[4][2]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해 귀국한 유일한은 1926년 유한양행을 설립했다.[12] 1936년 한국 최초로 종업원 지주제를 실시하는 등 도덕성과 윤리성을 중시하는 기업 활동을 했다.[13]
1930년대 후반, 미국으로 다시 건너간 유일한은 1941년 해외 한족 대회에서 재미 한족 연합 위원회 집행부 위원으로 활동했다.[7][2] 1942년 CIA의 전신인 전략정보국(OSS)의 한국 담당 고문으로, 재미 한인 국방 경비대 (맹호군) 창설을 주도하고 OSS의 냅코작전에 1조 조장으로 참여하여 고강도 군사 및 첩보 훈련을 받았다.[4]
1945년 버지니아주 핫스프링스에서 열린 태평양 문제 연구회(IPR) 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가하여 전후 일본 처리 문제를 논의했다.[7]
유일한은 1970년 유한재단을 설립하여 유한공업고등학교와 유한공업전문대학(현재 유한대학교)을 운영하였다. 1971년 별세 전, 전 재산을 교육사업에 기부한다는 유서를 남겼다.
2. 1. 유년 시절과 도미(渡美)
유일한은 1895년 1월 15일 조선 평안도 평양부(현재 평양직할시)에서 재봉틀 판매상 유기연과 김기복 사이의 6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7][1] 아버지 유기연은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 미국 감리교에서 조선인 유학생을 선발한다는 소식을 듣고 1904년 9살의 큰아들 유일한을 미국 유학길에 보냈다.[2] 유기연은 자녀들이 넓은 세상을 경험하고 민족을 위해 일하기를 바라며, 다른 자녀들도 러시아 제국, 청나라, 일본 제국 등으로 유학을 보냈다.[2]배를 타고 미국으로 가던 유일한은 아버지가 환전해 준 미국 돈을 잃어버렸지만, 동행한 독립운동가 박용만의 도움으로 네브래스카주 커니의 독신 자매인 태프트 자매에게 입양되었다.[2][4] 침례교회 신자였던 태프트 자매는 성실하고 검소한 삶을 통해 유일한에게 기독교의 노동 윤리를 가르쳤고, 영어를 가르쳐 미국 사회에 적응하도록 도왔다.[2] 초등학교에 입학한 유일한은 중서부 특유의 인종차별을 겪기도 했지만, 당당하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며 극복했다.
1909년, 14세가 된 유일한은 박용만이 독립군 양성을 위해 네브래스카주 헤이스팅스에 설립한 한인소년병학교에 입학했다.[2][5] 이 학교는 1905년 을사조약과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을 통해 한국을 식민지로 지배하려던 일본으로부터 나라를 되찾기 위한 젊은이들을 훈련시키는 최초의 기관이었다. 유일한은 그곳에서 최연소 학생이었으며, 학생들은 아침에는 농사일, 오후에는 군사 훈련, 저녁에는 공부를 하는 엄격한 생활을 했다.[2] 유일한은 방학 동안 신문 배달을 하며 스스로 생활비를 벌었다.
2. 2. 청년 시절과 독립운동
1904년 9세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 유일한은 미시간 대학교에 입학하여 미식축구 선수로 활약하며 장학금을 받았다.[1] 이를 안 아버지가 학업 대신 운동을 한다며 꾸짖었지만, 유일한은 대학교에서 운동을 해야 장학금을 받으며 공부할 수 있다고 답장하여 아버지를 안심시켰다.[1]1909년에는 박용만이 독립군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한 헤이스팅스 소년병 학교에 입학했다.[6] 낮에는 농장에서 일하고 밤에는 공부했으며, 휴가 때는 신문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활했다.[6]
1919년 3·1 운동 직후, 이승만이 소집한 제1차 한인의회에 참여하였다.[1] 이승만은 3·1 운동에 호응하기 위해 4월 13일 필라델피아에서 제1차 한인연합회의를 소집하였고, 유일한도 이 회의에 참석하였다.[2] 또한 필라델피아 한인 자유대회에서 독립 운동 결의문 기초 작성 위원으로 선임되어, 대회장에서 직접 낭독했다.[7]
1922년에는 미시간 주립 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하였고, 1929년에는 스탠퍼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법을 공부하였다.[3] 청년 시절에는 중국계 미국인들에게 부채, 찻잔같은 중국의 전통제품들을 파는 일을 하기도 했다.[4]
성인이 되면서 재미 동포들의 항일 집회에 참가하여 연설을 하기도 했지만, 이러한 항일 경력 때문에 고향에 사업 전개를 위해 일시 귀국했을 때 일본 제국 경찰에 연행되기도 했다.[6]
2. 3. 유한양행 설립과 경영
1926년 유일한은 종로2가에 유한양행을 설립했다. 그가 사업을 시작한 이유는 라초이 회사 경영때 필요한 녹두를 구입하기 위해 중국에 갔다가 북간도에 거주하던 부모와 동생들을 만난 일 때문이었다. 당시 대다수의 조선 사람들은 질병이나 굶주림으로 죽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유일한은 한민족의 건강유지에 필요한 결핵약, 1933년에 유한양행이 처음 개발한 안티푸라민, 혈청 등을 판매했다.[12] 부인 호미리 여사도 중일전쟁으로 조선의 의약품 부족이 극에 달하자, 소아과 병원을 개업하여 저렴한 가격에 환자들을 치료하였다. 유일한은 유한양행을 경영할 때 항상 윤리경영을 실천하였다. 그는 탈세하지 않았으며, 모르핀을 팔면 돈을 벌 수 있다는 간부사원의 유혹을 '당장 회사에서 나가시오'라는 꾸짖음으로 물리친 일화가 있다.[13] 1936년 유한양행은 한국최초로 종업원 지주제 즉 주주자본주의를 실시하였다.이후 회사의 운영을 동생에게 맡기고 미국으로 잠시 유학을 떠났다가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미국에 체류하던 중 유한양행의 사업 조직망 전체를 독립운동의 지하조직에 활용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며[14], 1946년 7월에 귀국하여 유한양행을 재정비하고, 대한상공회의소 초대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52년에는 고려공과기술학교, 1964년에는 유한공업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1969년 경영에서 은퇴하며 전문경영인에게 유한양행의 경영권을 인계하였고, 1971년에 타계했을 때 유언을 통해 사회 환원을 선언했다고 한다.
유한양행은 증권 거래소에 상장된 최초의 한국 제약 회사,[1] 최초의 주식회사 형태의 한국 제약 회사,[7][1]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제약 프로토실을 판매한 회사였다.[7] 유한양행의 사업은 빠르게 성장하여 만주, 중국, 베트남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역에서 운영되었다.[2][7] 그는 직원들의 삶의 질에 중점을 두어 기숙사, 보육 시설, 수영장을 지었다고 전해진다.[2]
2. 4. 냅코작전 참여와 광복 이후
유일한은 재미한인으로서 냅코작전에 참여했으며, 암호명은 A였다.[4] 1941년 12월 일본의 진주만 공습으로 미국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면서, 유일한은 미국에 머무르며 한국 독립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7][2] 그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지원하는 여러 재미 한국인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전략사무국(OSS)의 고문으로 발탁되었다.[4] 1945년 1월부터는 OSS의 냅코작전에 참여하여 훈련을 받았고, 부대의 지휘관이 되었다.[4][2] 이 작전은 한국인들을 한국에 잠입시켜 일본 통치를 무너뜨리려는 비밀 계획이었으나, 1945년 8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와 일본의 항복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2]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한국이 해방되자, 유일한은 1946년 7월에 한국으로 돌아와 유한양행의 경영을 재개했다.[4][7] 또한 초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았다.[4] 1950년부터 1953년까지의 한국 전쟁 동안 유한양행은 비교적 피해를 입지 않았다.[2][7]
2. 5. 교육 사업과 사회 환원
독실한 침례교 신자인 유일한은 자신의 재산이 자신의 소유가 아닌, 예수님이 맡기신 것이라고 믿었다. 1970년 유한재단을 설립하여 유한공업고등학교와 유한공업전문대학(현재 유한대학교)을 운영하였다. 1971년 별세하기 전, 아들 유일선 변호사의 딸의 학자금으로 쓰일 10000USD을 제외한 전 재산을 교육사업에 기부한다는 유서를 남겼다. 유일한이 살던 집은 겉은 붉은 벽돌로, 내부는 목재로 지어졌으며, 현재 건물 소유주인 성공회대학교에서 신학연구소 사무실로 쓰고 있다. 또한 그의 사회기여로 세워진 유한공업고등학교는 성공회대학교를 마주하고 있다.3. 학력
- 헤이스팅스 고등학교 졸업
- 미시간 대학교 경영학 학사
-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경영학 석사(MBA)
- 스탠포드 로스쿨 법무박사(J.D.)
4. 연보
- 1895년 - 1월 15일 평양에서 아버지 유기연과 어머니 김기복 사이 6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남.
- 1904년 - 초등학교 입학, 대한제국 수화공사 박장현을 따라 미국 유학길에 오름.
- 1909년 - 박용만이 독립군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한 헤이스팅스 소년병 학교에 입학.[2]
- 1919년 - 필라델피아 한인자유대회에서 독립운동결의문 기초작성위원 선임. 대회장에서 직접 낭독. 이승만, 서재필과 만나 활동. 미시건 대학 상과 졸업.
- 1922년 - 미시건 대학 동창 친구 스미스와 동업으로 숙주나물 통조림을 생산하는 '라초이식품회사'([https://www.lachoy.com/ La Choy Food Product Inc.])설립.
- 1925년 - 호미리(胡美利) 여사와 결혼. 숙주나물 원료인 녹두 구매차 중국 상하이를 거쳐, 고국을 떠난 지 21년만에 북간도에서 가족들과 상봉.
- 1926년 - 세브란스 의전 에비슨 학장으로부터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부인 호미리 여사는 세브란스 의전 소아과장으로 초청받음. 라초이식품 등 미국재산 정리. 귀국. 12월 10일 유한양행 창립하고 초대사장으로 취임.
- 1941년 -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해외 한족대회 집행위원으로 활동.
- 1942년 - 미육군 전략처 OSS 한국 담당 고문으로 활약, 펄 S. 벅 여사와 교유. 8월 29일 미국 LA에서 재미 한국인들로 무장한 '맹호군' 창설의 주역으로 활동. 본사를 소사공장으로 이전.
- 1945년 - 국내 수복 작전인 '냅코작전'(NAPKO Project)에 1조 조장으로 활동.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OSS작전과 양면전을 전개하려 했으나 8월 15일 광복으로 불발. 8.15 광복을 맞아 중화민국(중국)과 만주 및 38선 이북의 모든 기반과 자산을 상실.
- 1946년 - 8월, 미국에서 8년만에 귀국. 대한상공회의소 초대회장 피선. 이승만으로부터 협력제의받았으나, 재차 거절하고 12월에 다시 도미(度美).
- 1948년 - 스탠포드 로스쿨에서 국제법 수학.
- 1962년 - 제약업계 최초로 주식을 상장(上場). 유한치약 생산 개시. 재단법인 유한학원 설립.
- 1963년 - 개인소유주식 1만 7천주를 장학기금으로 연세대와 보건 장학회에 기증.
- 1964년 - 12월, 학교법인 '유한재단'을 설립하고 서울 영등포구 항동에 '유한공업고등학교' 건립.
- 1965년 - 개인주식 5만 6천주를 희사하여 교육 및 장학사업 확대. 연세대로부터 명예법학박사 학위 받음
- 1968년 - 모범 납세자로 선정되어 동탑산업훈장 받음
- 1970년 - 3월, 미국의 킴벌리클라크(주)와 합작으로 '유한킴벌리주식회사' 설립. 국민훈장 모란장 수여받음.
- 1971년 - 3월 11일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유언을 남기고 사망. 대한민국 정부에서 국민훈장 무궁화장 추서.
- 1995년 - 독립운동 활동 이력이 밝혀져 대한민국 정부에서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5. 수상
1965년 연세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7] 1970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받았다.[4] 1971년에는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4] 1995년에는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2][4]
6. 저서
- When I was a boy in Korea영어, Lothrop, LEE & Sheperd Co., 1928년
7. 유일한을 연기한 배우
참조
[1]
서적
Global Marketing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0-02-02
[2]
웹사이트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4-03-26
[3]
웹사이트
유일한
http://www.grandcult[...]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3-26
[4]
웹사이트
독립운동가 유일한 박사와 대한민국 헌법
http://monthly.chosu[...]
2024-03-26
[5]
논문
Tradition, Treaties and Trade: Qing Imperialism and Chosŏn Korea, 1850–1910
https://www.jstor.or[...]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8
[6]
서적
Korean American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7]
웹사이트
유일한 (柳一韓)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0-09-25
[8]
서적
The World Guide to CSR: A Country-By-Country Analysis of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Responsibility
https://books.google[...]
Greenleaf Publishing
2010-06-01
[9]
웹사이트
Dr.Ilhan New Online Memorial > Profile
https://newih.yuhan.[...]
2024-03-26
[10]
웹사이트
'유일한 박사 일대기 사진전'
http://www.koreatime[...]
2024-03-27
[11]
서적
When I was a boy in Korea
http://archive.org/d[...]
Boston, Lothrop, Lee & Shepard co
1928
[12]
뉴스
만병통치약을 경계하다. 진통소염제 안티푸라민
http://h21.hani.co.k[...]
한겨레 21
2006-11-03
[13]
뉴스
한국기독교 120년-숨은 영성가를 찾아 ⑪ 유일한 선생
http://www.hani.co.k[...]
한겨레
2007-04-11
[14]
웹사이트
광복 60년, 재계 친일청산은 끝났는가?
https://news.naver.c[...]
[15]
뉴스
드라머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1982-02-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4월25일 알림
중국서 신뢰·윤리 ‘열매’…생산성 30%씩 상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