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구회람실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구회람실기》는 1871년부터 1873년까지 이와쿠라 사절단의 구미 시찰 여정을 기록한 책이다. 메이지 유신 후 서구 열강의 발전상을 일본에 알리고 불평등 조약 개정을 목표로 파견된 사절단의 시찰 내용을 담고 있으며, 사절단의 수행 기자였던 구메 구니타케가 기록하고 1878년에 출판되었다. 《미구회람실기》는 지리, 기후, 역사, 문화, 정치, 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백과사전식으로 상세히 기술하고 있으며, 동서 문명의 비교를 통해 높은 평가를 받는다. 1977년부터 1982년까지 이와나미 문고판이 발간되면서 재조명되었으며, 2011년 한국어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2. 목적

예언|예언일본어에서는 이 책의 목적과 개요를 밝히고 있다.

이와쿠라 사절단의 파견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1. 방문 경로 및 기간: 유럽과 미국에 파견된 특명 전권 대사가 도쿄를 출발, 태평양을 항해하여 미국에 체류, 대서양을 건너 영국과 러시아를 방문한다. 이후 유럽 대륙으로 건너가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프로이센, 덴마크,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스위스를 거쳐 프랑스 남부를 지나 지중해, 홍해, 아라비아 해, 인도양, 남중국해를 거쳐 도쿄로 돌아오는 여정이다. 메이지 4년(1871년) 11월 10일부터 메이지 6년(1873년) 9월 13일까지, 1년 9개월 21일 동안 미국과 유럽의 주요 도시를 방문했다.

2. 기록의 성격: 대사의 서기관은 공무 문서를 엮고, 각 성의 이사관은 각국의 정치, 군사 제도 등을 시찰하여 보고서를 작성했다. 본편은 대사의 공무 외 시간에 각지를 방문하여 보고 들은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회람실기'라 명명되었다. 따라서 사절단의 본래 목적인 외교 교섭이나 정치적 사안은 생략하고 별도의 책으로 상세히 다룬다.

3. 개혁의 배경: 유럽에서 전권 대사를 "앰배서더"라고 칭하며, 이는 특별한 대우를 받는 사절이다. 일본에서 이러한 사절단을 파견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며, 메이지 유신이라는 변혁의 시기에 따른 것이다. 메이지 유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막부의 권력을 천황에게 이양.
  • 번(藩)을 통합하여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 구축.
  • 쇄국 정책을 폐지하고 개국을 추진.


이러한 개혁은 세계 정세의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쇄국 정책은 폐지되어야 했고, 중앙집권적 통치가 필요했으며, 막부의 권력은 천황에게 이양되어야 했다. 독일 연방, 이탈리아 교황령 등도 시대적 흐름에 따라 개혁을 추진했다. 일본의 개혁도 이와 마찬가지로, 내정의 요체가 이미 마련되었고, 외교 관계의 기본을 정하기 위해 이례적인 사절단을 파견하게 된 것이다.

정부와 국민 모두 이러한 뜻을 인식하고 국가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대사는 각국을 방문하여 외교 관계를 맺고, 국민은 외국의 문물을 받아들여야 한다. 추위와 더위를 무릅쓰고 각지를 방문하여 농업, 목축업, 공업, 무역 등을 시찰하고, 명사들과 교류하는 것은 단순한 유람이 아니다.

서양에서는 정부를 국민의 공회(公會)로, 사절을 국민의 대리인으로 여긴다. 각국이 일본 사절단을 환대하는 것은 일본 국민과의 우호 관계를 희망하고, 일본에 자국의 산물을 수출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이와쿠라 대사는 이러한 점을 중시하여, 사절단이 보고 들은 것을 널리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고 생각했다. 서기관 하타야마 요시나리(당시 스기우라 코조)와 쿠메 쿠니타케에게 수행하며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하게 한 것이 이 책 편집의 목적이며, 공무의 중요한 부분이다.[4]

메이지 유신 직후, 폐번치현을 단행한 직후인 1871년 11월에 이와쿠라 도모미, 키도 다카요시, 오쿠보 도시미치, 이토 히로부미 등을 정·부사로 하는 대규모 사절단이 결성되었다. 이들은 각 성 이사관과 수행원 46명, 유학생 60여 명과 함께 미국과 유럽을 순방했다. 이들의 목적은 조약 체결국에 국서를 전달하고, 구미 선진국의 제도와 문물을 시찰하여 메이지 국가의 "국가상"을 구상하며, 조약 갱신 기한을 앞두고 예비 협상을 진행하는 것이었다.[6]

이 사절단의 계획은 오쿠마 시게노부이토 히로부미의 건의에 의한 것이며, 정부 고문 구이도 풀베키의 브리프 스케치가 배경이 되었다. 당초 10개월 예정이었으나, 미국에서 예상 밖의 조약 개정 예비 협상이 시작되면서(결국 실패) 장기화되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구미 선진국의 실태를 자세히 보고 들으며 일본 근대화의 기본 구상을 세울 수 있었다.[6]

3. 구성

米欧回覧実記일본어구메 구니타케가 편찬하여 1878년에 간행한 책이다. 검은색 가죽 표지의 검갈색 양장본으로, 총 100권 5편 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인포르투갈의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5]

각 책의 크기는 가로 15cm, 세로 20.5cm이며, 표지에는 "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라는 금색 글씨가 쓰여 있다. 권두에는 이와쿠라 도모미의 글씨로 「觀」「光」 두 글자가 게재되어 있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성내용
표지3페이지
예언27페이지
목차18페이지
제1편 미국1~20권
제2편 영국21~40권
제3편 유럽(상)41~60권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프로이센)
제4편 유럽(중)61~81권 (러시아, 덴마크, 스웨덴, 남북 게르만,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제5편 유럽(하)82~100권 (빈 만국 박람회, 스위스,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유럽 총론), 귀항 일정



원서는 한자 가나 혼용의 일기체로 쓰여 있으며, 객관적 기술 외에 구메의 의견과 견해도 덧붙였다. 또한 300여 점의 동판화가 첨부되어 당시 희귀했던 외국 풍물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5]

4. 내용

구메 구니타케는 단순한 기록을 넘어, 자신의 견해와 분석을 덧붙여 《미구회람실기》를 백과사전식으로 구성했다[5].

《미구회람실기》는 방문한 국가 순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각 국가마다 총론을 설정하여 지리, 기후, 역사, 인종, 언어, 문화, 정치 형태, 종교, 교육, 군비, 경제, 무역, 광공업, 농림어목축, 민정 등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또한 견학한 초·중·고등학교·대학교, 맹아원, 양로원, 각종 병원, 소방서, 형무소(감옥), 신문사, 발전소, 명소 고적, 성곽, 여러 건물, 시장, 전신국, 우체국, 조폐국, 국회, 의회, 상공회의소, 신문사,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동물원, 식물원, 수족관, 공원, 천문대, 항만, 상하수도, 다리, 철도, 지하철, 고가 철도, 터널 등과 함께, 방문한 각종 공장(제철소, 무기 제조소, 철도 제작소, 증기 기관 제작소, 각종 기계 제작소, 제당, 도자기, 유리, 면·모직물 등)에서는 원재료부터 자세한 공정, 메커니즘까지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제5편에는 유럽 총론으로 정속 총론, 지리 및 운송 총론, 기후 및 농업 총론, 공업 총론, 상업 총론이 있으며, 더 나아가 귀항 일정으로 중동 및 아시아론을 쓰고 있어 동서 문명의 비교론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5. 편찬자: 구메 구니타케

사가번 무사 구메 구니고의 셋째 아들로 태어난 구메 구니타케(久米邦武, 1839-1931)는 사가번의 학교인 고도칸에서 공부하며 오쿠마 시게노부와도 친분을 쌓았다.[3] 구메는 한적, 유서, 사서 및 『곤여도식』(미노사쿠 쇼고) 등 화한 세계 지도서를 접하며 기본적인 지식을 쌓았고, 번주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측근으로 근무하며 서양 기술에 관한 질문에 답변하는 역할을 맡았다. 또한 '당감회'라는 서적 윤강 자리에도 참여하여 유연하고 다양한 발상을 갖도록 단련되었다.[3] 이를 통해 구메는 박식함을 갖추게 되었다.

구메의 아버지 구니고는 사가번에서 광산, 석탄 관리, 회계, 나가사키 문역, 아리타야키 생산 및 수출 단속, 번 지소 감독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했던 간부 번사였다. 구메는 번주와 아버지로부터 제너럴리스트로서 유연한 시각으로 사물을 보는 리얼리스트의 재능을 길렀다.[3]

이와쿠라 도모미는 구메의 유능함을 알고 이와쿠라 사절단 출범 직전, 측근으로서 보고 담당으로 구메를 선택했다. 이와쿠라 도모미는 유신 후, 아들 3명의 교육을 사가번에게 맡길 정도로 사가번과 친밀한 관계를 가졌다.[3] 이와쿠라 도모미는 구메에게 사절단의 견문을 기록하는 역할을 맡겼고, 구메는 이를 바탕으로 《미구회람실기》를 편찬했다.[3]

6. 평가 및 영향

《미구회람실기》는 19세기 후반의 세계 정세와 일본의 근대화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3] 이 책은 이와쿠라 사절단이 서구 문물을 시찰하고 기록한 것으로, 당시 일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의 목적은 사절단의 견문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는 데 있었다.[4] 서문에서는 정부가 국민의 공적 기관이며, 사절은 국민의 대리인으로 여겨진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각국의 관민이 일본 사절을 친절하게 맞이한 것은 일본 국민과 친하게 지내고 싶어하기 때문이며, 그 산업의 상황을 그대로 보여준 것은 일본 국민이 그 산물을 애용해주기를 바라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미구회람실기》는 단순한 견문 기록을 넘어, 구메 구니타케의 의견과 견해가 덧붙여져 있으며, 300여 점의 동판화가 첨부되어 당시 희귀했던 외국 풍물을 시각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5] 내용은 방문한 국가 순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각 국가의 지리, 기후, 역사, 인종, 언어, 문화, 정치, 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상세히 다루고 있어 백과사전적이라고 칭해진다.

특히, 제5편에는 유럽 총론으로 정속, 지리 및 운송, 기후 및 농업, 공업, 상업 총론이 있으며, 귀항 일정으로 중동 및 아시아론을 쓰고 있어 동서 문명의 비교론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미구회람실기》는 출판 당시에도 큰 인기를 얻어 초판 500부에서 5년 동안 3000세트까지 증쇄되었다. 이후 오랫동안 잊혀졌다가 태평양 전쟁 이후 재조명받아 1977년부터 1982년에 걸쳐 이와나미 문고판이 발간되었다.

《미구회람실기》는 메이지 유신 직후 이와쿠라 도모미, 기도 다카요시, 오쿠보 도시미치, 이토 히로부미메이지 유신의 주역들이 포함된 이와쿠라 사절단이 구미 선진 제국의 제도와 문물을 직접 보고 듣고, 메이지 국가의 "국가의 모습"을 생각하기 위해 결성되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알 수 있다.[6]

7. 한국어 번역 및 연구

2011년 소명출판에서 정애영이 《미구회람실기》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간했다.(ISBN : 9788956266350) 이 외에도 다양한 한국어 번역본과 연구서가 출간되어, 한국 독자들에게 《미구회람실기》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8. 같이 보기

一緒に見て일본어는 일본어 위키백과의 관련 항목에 해당하며,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같이 보기'로 표기한다.

8. 1. 관련 인물

(이전 출력에서 "관련 인물" 섹션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다는 점을 명시했으므로, 해당 섹션은 비어 있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출력합니다.)

```text

8. 2. 관련 사건

이와쿠라 사절단은 1871년(메이지 4년) 폐번치현 직후 이와쿠라 도모미, 기도 다카요시, 오쿠보 도시미치, 이토 히로부미 등을 정·부사로 하여 구성된 대사절단이다. 이들은 미국과 유럽을 순방하며 선진 제국의 제도와 문물을 시찰하고, 조약 개정 예비 협상을 진행했다. 이 사절단의 구체적인 계획은 오쿠마 시게노부와 이토 히로부미의 건의로 이루어졌으며, 정부 고문 구이도 풀베키의 브리프 스케치가 배경이 되었다.[6]

당초 10개월 예정이었으나, 미국과의 조약 개정 예비 협상(실패)으로 인해 일정이 장기화되었다. 그러나 이를 통해 메이지 정부는 일본 근대화의 기본 구상을 세울 수 있었다.[6] 귀국 직후에는 유수정부 내 정한론에 대한 해외 파견조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메이지 6년의 정변으로 이어졌다.

9. 참고 도서


  • 特命全権大使米欧回覧実記|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일본어 소명출판, 2011년, 정애영 역, ISBN : 9788956266350
  • 特命全権大使米欧回覧実記|특명전권대사 미국 및 유럽 회람실기일본어 다나카 아키라 교주·해설, 이와나미 문고 (전 5권), 초판 1977-82년 / 이와나미 서점 (단행본 5권), 1985년
  • 現代語訳 特命全権大使米欧回覧実記|현대어역 특명전권대사 미국 및 유럽 회람실기일본어 미즈사와 슈 역주, 게이오기주쿠 대학 출판회, 2005년 (전 5권). 기획 「미국·유럽·아시아 회람의 회」
  • 特命全権大使米欧回覧実記 普及版|특명전권대사 미국 및 유럽 회람실기 보급판일본어 (전 5권 + 총 색인, 게이오기주쿠 대학 출판회, 2008년). 선서판
  • 久米博士九十年回顧録|구메 박사 90년 회고록일본어 (상하) 와세다 대학 출판부, 1934년. 소고 서방(복각), 1985년
  • 오쿠보 토시치카 편 岩倉使節団の研究|이와쿠라 사절단의 연구일본어 소고 서방, 1976년
  • 구메 미술관 편 特命全権大使(米欧回覧実記) 銅版画集|특명 전권 대사(미구 회람 실기) 동판화집일본어 1985년
  • 다나카 아키라·다카다 세이지 편 「米欧回覧実記」の学際的研究|「미구 회람 실기」의 학제적 연구일본어 홋카이도 대학 도서 간행회, 1993년
  • 니시카와 나가오·마쓰미야 슈지 편 『米欧回覧実記』を読む 1870年代の世界と日本|『미구 회람 실기』를 읽다 1870년대의 세계와 일본일본어 호리쓰 분카사, 1995년
  • 이와쿠라 쇼코 편저 岩倉使節団とイタリア|이와쿠라 사절단과 이탈리아일본어 교토 대학 학술 출판회, 1997년
  • 구메 미술관 편 岩倉使節団関係 久米邦武文書3|이와쿠라 사절단 관계 구메 구니타케 문서 3일본어 요시카와 고분칸, 2001년
  • 다나카 아키라 岩倉使節団の歴史的研究|이와쿠라 사절단의 역사적 연구일본어 이와나미 서점, 2002년
  • 이안 닛슈 편 欧米から見た岩倉使節団|구미에서 본 이와쿠라 사절단일본어 미네르바 서방, 2002년
  • 하가 도루 편 岩倉使節団の比較文化史的研究|이와쿠라 사절단의 비교 문화사적 연구일본어 시분카쿠 출판, 2003년
  • 하가 도루 文明の庫 Ⅱ - 野蛮の国へ 近代日本比較文化史研究|문명의 창고 Ⅱ - 야만의 나라로 근대 일본 비교 문화사 연구일본어 주오코론 신사, 2021년. 제2부 문명의 기술자들
  • 미구 회람의 회 편 岩倉使節団の再発見|이와쿠라 사절단의 재발견일본어 시분카쿠 출판, 2003년
  • 구메 미술관 편 銅鐫でみる文明のかたち 「米欧回覧実記」挿絵銅版画とその時代展」資料集|동전(銅鐫)으로 보는 문명의 폼 「미구 회람 실기」 삽화 동판화와 그 시대전」 자료집일본어 2006년
  • 미오아 회람의 회·이즈미 사부로 편 岩倉使節団の群像 日本近代化のパイオニア|이와쿠라 사절단의 군상 일본 근대화의 파이오니아일본어 미네르바 서방, 2019년
  • 오타 아키코 ヴィクトリア時代の福沢諭吉と岩倉使節団|빅토리아 시대의 후쿠자와 유키치와 이와쿠라 사절단일본어 게이오기주쿠 대학 법학 연구회〈慶應義塾大学法学研究会叢書〉|〈게이오기주쿠 대학 법학 연구회 총서〉일본어, 2023년. 제2부 이와쿠라 사절단과 영국
  • The Iwakura embassy, 1871-1873 : a true account of the ambassador extraordinary & plenipotentiary's journey of observation throug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Europe|이와쿠라 사절단, 1871-1873: 미국 및 유럽을 통한 특명 전권 대사의 진정한 관찰 기록일본어 Routledge (2002) 마리우스 B. 얀센, 구메 구니타케
  • The Iwakura Mission to America and Europe: A New Assessment|미국과 유럽으로의 이와쿠라 사절단일본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 다나카 아키라, 「脱亜」の明治維新 岩倉使節団を追う旅から|「탈아」의 메이지 유신 이와쿠라 사절단을 쫓는 여행으로부터일본어 일본방송출판협회〈NHKブックス〉|〈NHK Books〉일본어, 1984년
  • 이즈미 사부로 明治四年のアンバサダー 岩倉使節団文明開化の旅|메이지 4년의 앰배서더 이와쿠라 사절단 문명 개화의 여행일본어 일본경제신문사, 1984년
  • 이즈미 사부로 新・米欧回覧の記録 1世紀を越えてきた旅|신·미구회람의 기록 1세기를 거쳐간 여행일본어 다이아몬드사, 1987년
  • 미야나가 다카시 アメリカの岩倉使節団|미국의 이와쿠라 사절단일본어 치쿠마 서방〈ちくまライブラリー〉|〈치쿠마 라이브러리〉일본어, 1992년
  • 이즈미 사부로 미구회람 120년의 여행 이와쿠라 사절단의 발자취를 쫓아서 미·영 편일본어, - 欧州・アジア編| - 유럽·아시아 편일본어 도서출판사, 1993년
  • 후루카와 가오루 新・歴史紀行 米欧回覧|신·역사 기행 미구회람일본어 마이니치 신문사, 1993년
  • 다카다 세이지 維新の科学精神-「米欧回覧実記」が見た産業技術|유신의 과학 정신 - "미구회람실기"가 본 산업 기술일본어 아사히 신문사〈朝日選書〉|〈아사히 선서〉일본어, 1995년
  • 이즈미 사부로 気骨の日本人 知られざる岩倉使節団|기개의 일본인 알려지지 않은 이와쿠라 사절단일본어 쇼덴샤, 1996년 / 쇼덴샤 황금 문고, 2004년
  • 미야나가 다카시 白い崖の国を訪れて 岩倉使節団の旅 木戸孝允が見たイギリス|하얀 절벽의 나라를 방문하여 이와쿠라 사절단의 여행 기도 다카요시가 본 영국일본어 슈에이샤, 1997년
  • 이즈미 사부로 写真・絵で甦る気骨の日本人 この国の姿を創った岩倉使節団「米欧回覧」の旅|사진·그림으로 되살아나는 기개의 일본인 이 나라의 모습을 만든 이와쿠라 사절단 "미구회람"의 여행일본어 쇼덴샤, 2001년
  • 다나카 아키라 岩倉使節団『米欧回覧実記』|이와쿠라 사절단 "미구회람실기"일본어 이와나미 현대 문고, 2002년 / 구판·이와나미 동시대 라이브러리, 1994년
  • 다나카 아키라 明治維新と西洋文明 岩倉使節団は何を見たか|메이지 유신과 서양 문명 이와쿠라 사절단은 무엇을 보았는가일본어 이와나미 신서, 2003년
  • 이즈미 사부로 岩倉使節団という冒険|이와쿠라 사절단이라는 모험일본어 분게이슌주〈文春新書〉|〈분슌 신서〉일본어, 2004년
  • 다카다 세이지 久米邦武 - 史学の眼鏡で世の風景を|구메 구니타케 - 사학의 안경으로 세상의 풍경을일본어 미네르바 서방〈ミネルヴァ日本評伝選〉|〈일본 평전 선〉일본어, 2007년
  • 이즈미 사부로 岩倉使節団 気骨ある男たちの物語|이와쿠라 사절단 기개 있는 남자들의 이야기일본어 쇼덴샤 황금 문고, 2012년
  • 구판 気骨ある日本人 国の命運を担った岩倉使節団の物語|기개 있는 일본인 나라의 운명을 짊어진 이와쿠라 사절단의 이야기일본어 PHP, 2008년
  • 오쿠보 다카키 편역 現代語抄訳 特命全権大使米欧回覧実記|현대어 축약 특명 전권 대사 미구회람실기일본어 카도카와 소피아 문고, 2018년
  • 미구회람의회 편, 이즈미 오피스(泉三郎) 기획·제작 岩倉使節団の米欧回覧|이와쿠라 사절단의 미구회람일본어 DVD 2매 세트(165분), 게이오기주쿠 대학 출판회, 2006년 10월

참조

[1] 서적 現代語版 特命全権大使 米欧回覧実記 https://www.keio-up.[...]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 웹사이트 岩倉使節団とは? http://www.iwakura-m[...] 2017-02-04
[3] 서적 現代語訳 特命全権大使 米欧回覧実記(1) アメリカ編 慶応義塾大学出版会 2005
[4] 서적 特命全権大使 米欧回覧実記(一) 岩波文庫
[5] 웹사이트 米欧回覧実記 http://www.iwakura-m[...] 2017-09-28
[6] 서적 特命全権大使 米欧回覧実記(五) 岩波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