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는 1965년 이후 징병제, 전쟁의 도덕적 부당함, 도미노 이론에 대한 의문, 언론 보도에 대한 불신 등을 배경으로 발생했다. 흑인, 아시아계 미국인, 음악가, 학생, 여성, 군인 등 다양한 세력이 참여했으며, 이들은 각자의 이유로 전쟁에 반대하며 시위, 징병 거부, 해외 이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했다. 이러한 반전 운동은 미국 내에서 징병제 폐지, ROTC 프로그램 축소, 대학 시위 격화 등의 결과를 낳았고, 베트남 전쟁 정책 수정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1968년 사회운동의 일환으로 서유럽, 동유럽, 일본 등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대 정치 -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는 5·16 군사정변 이후 10·26 사건까지 대한민국을 통치하며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를 이끌었으나, 자유민주주의 훼손, 인권 탄압, 부정부패, 국제적 신뢰 훼손 등 독재 체제의 양면성을 지닌 시기로 평가받는다. - 1970년대 정치 -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는 5·16 군사정변 이후 10·26 사건까지 대한민국을 통치하며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를 이끌었으나, 자유민주주의 훼손, 인권 탄압, 부정부패, 국제적 신뢰 훼손 등 독재 체제의 양면성을 지닌 시기로 평가받는다. - 항의 - 문화 방해
문화 방해는 정보 기술과 매체를 활용하여 대량 소비 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아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려는 시도이며, 광고 패러디, 소비 절제 운동 등으로 나타나 사회 비판적 메시지 전달 및 공론의 장 형성에 기여한다. - 항의 - SOPA와 PIPA 반대 시위
SOPA와 PIPA 반대 시위는 온라인 저작권 침해 방지 법안에 대한 반대로, 표현의 자유 침해와 인터넷 검열 우려를 낳아 주요 인터넷 기업과 시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위키백과 블랙아웃 등 대규모 온라인 시위로 법안 발의를 저지시킨 사건이다.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 | |
---|---|
개요 | |
명칭 |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 |
영어 명칭 | Opposition to United States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
관련 | 1960년대 반문화 베트남 전쟁 냉전 |
기본 정보 | |
기간 | 1965년 1월 28일 – 1973년 3월 29일 |
원인 | 미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
목표 | 징병제 폐지 미국의 해외 군사 개입 축소 |
상세 정보 | |
방법 | 시위 |
결과 | 징병제 방해 군 사기 저하 린든 B. 존슨 대통령 사임 및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 불출마 미국 수정 헌법 제26조 (선거 연령 18세로 인하) 미군 철수 및 지원 감소 |
![]() |
2. 배경
냉전 시기 공산주의 확산을 막는다는 명분 아래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점차 깊이 개입하게 되었다. 특히 도미노 이론은 미국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주요 논리로 사용되었으나, 이는 동시에 많은 비판과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전쟁이 본격화되고 징병제가 시행되면서, 주로 젊은 세대와 특정 사회 계층에게 병역 부담이 집중되자 사회적 불만이 커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은 당시 활발했던 민권 운동 및 학생 운동과 맞물려 반전 운동의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또한, 텔레비전 등 대중 매체를 통해 전쟁의 참상이 이전과 달리 생생하게 전달되면서 전쟁의 도덕성에 대한 의문과 반전 여론이 미국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 내 여론을 극명하게 분열시키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2. 1. 원인

1965년 이후 미국 내 반전 시위를 이끌어낸 핵심 원인 중 하나는 징병제였다. 당시 징병은 주로 소수 민족과 저소득층 및 중산층 백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선별적 징병은 사회적 불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켰다.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은 수적으로는 소수였지만, 반전 운동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징병제의 불공정성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면서, 대학생뿐만 아니라 블루칼라 노동자 계층에서도 징병 반대 목소리가 높아졌다.
반전 운동이 활발해지던 시기는 표현의 자유 운동과 흑인 민권 운동의 영향으로 전례 없는 규모의 학생 운동이 일어나던 때와 맞물렸다. 징병 대상이 주로 젊은 베이비붐 세대였기 때문에 초기에는 학생 운동과 밀접하게 연결되었으나, 점차 다양한 사회 계층이 반전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특히,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베트남 현지의 전쟁 상황이 검열 없이 생생하게 전달되면서, 이전에는 접하기 어려웠던 정보에 대중이 노출된 것도 반전 여론 확산에 기여했다.
징병제 문제 외에도, 많은 반전 시위자들은 전쟁 자체가 도덕적으로 부당하다는 주장을 강력하게 제기했다. 이러한 도덕적 비판은 전쟁 초기부터 존재했다. 예를 들어, 1954년 5월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하자, 미국 친구 봉사 위원회(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는 뉴욕 타임스에 전면 광고를 실어 미국이 인도차이나 문제에 개입하려는 움직임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이는 또 다른 전쟁에 휘말리는 것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이었다.[196][2] 전쟁에 반대하는 도덕적 주장은 특히 미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폭넓은 지지를 얻었다. 이들은 일반 대중보다 미국 정부가 베트남에서 제국주의적 목적을 추구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전쟁은 본질적으로 부도덕하다고 비판하는 경향이 강했다.[197][3] 또한, 서방 언론이 소극적으로 다루거나 외면했던 민간인 피해 사실 역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었다. 전쟁 중 발생한 민간인 사상자들의 사진이 퍼지면서 시위의 주요 근거가 되었으며, 특히 구정 대공세 당시 응우옌응옥로안 장군이 비무장 상태로 보이는 베트콩 용의자를 즉결 처형하는 장면을 담은 사이공 처형 사진은 대중의 분노를 격화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198][4]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명분으로 제시된 도미노 이론과 공산주의 확산 위협 역시 반전 운동의 주요 비판 대상이었다. 일부 시위자들은 공산주의 위협론이 미국의 제국주의적 의도를 감추기 위한 명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미국의 개입 자체가 베트남 민족의 자결권을 침해하는 행위이며, 베트남 전쟁은 외부 간섭 없이 베트남인들 스스로 해결해야 할 내전의 성격을 띤다고 보았다. 즉, 미국이 다른 나라의 운명 결정에 개입하는 것 자체가 정당하지 않다는 비판이었다.[199][4]
텔레비전과 같은 뉴스 매체가 전쟁의 참혹한 실상을 미국 가정에 직접 전달하면서, 전쟁 보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언론에 대한 신뢰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NBC 뉴스의 프랭크 맥기(Frank McGee)와 같은 언론인은 전쟁의 현실을 고려할 때 "사실로부터 불가피하게 도출되는 결론"은 미국이 전쟁에서 승리하기 어렵다는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200][4] 베트남 전쟁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미디어가 전장의 모습을 광범위하게 중계한 전쟁이었다. 저녁 뉴스 시간에 반복적으로 방영된 미군 사상자들의 모습은 전쟁의 영광이라는 기존의 관념을 퇴색시켰다. 뚜렷한 승리의 전망 없이 계속되는 미군의 희생은 미국 국민들 사이에 반전 감정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에드워드 S. 허먼과 노엄 촘스키는 그들의 저서 ''동의의 조작''(Manufacturing Consent)에서 미디어가 전쟁의 참혹함이나 민간인 피해의 실상을 오히려 축소하거나 검열했다는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기도 했다.
2. 2. 여론 양극화

베트남 전쟁을 둘러싸고 미국 사회의 여론은 극명하게 나뉘었다. 미국의 개입을 지지하는 측에서는 주로 도미노 이론을 근거로 들었다. 이 이론은 한 국가가 공산주의화되면 인접 국가들도 연쇄적으로 공산화될 것이라는 주장이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 국가들이 공산주의 체제로 전환되고 소련의 영향권 아래 들어간 사례 때문에 설득력을 얻었다.
그러나 군사 평론가들은 베트남 전쟁이 정치적인 성격이 강하며, 군사 작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명확한 계획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전쟁에 반대하는 민간인들은 남베트남 정부의 정치적 정당성이 부족하거나 전쟁을 지지하는 것 자체가 비도덕적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1967년 "If America's soul becomes totally poisoned, part of the autopsy must read "Vietnam."eng"(미국의 정신이 독살되어 버린다면, 그 부검 보고서에는 '베트남'이란 단어가 담겨 있을 것이다.eng)[201]라고 말하며 전쟁의 심각성을 경고했다.
언론은 이러한 여론 양극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5년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언론은 군사 작전 자체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동남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전면적인 개입 필요성에 대해서는 깊이 다루지 않았다.[202] 하지만 1965년 이후 언론은 미국 내 반대 여론과 논쟁을 보도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체제 인사나 저항 세력의 구체적인 주장은 대부분 보도에서 배제되었다.[202]
언론은 전쟁에 대한 찬반 논쟁을 매파(Hawks)와 비둘기파(Doves)의 대립 구도로 만들어 공론의 장을 형성했다.
- 비둘기파: 주로 자유주의 성향의 전쟁 비판론자들이었다. 이들은 전쟁의 의도 자체는 선의였을지 모르나, 결과적으로 잘못된 외교 정책에서 비롯된 비극적인 실수라고 주장했다. 비둘기파는 미국의 베트남 개입 자체의 의도나 미군 파병의 도덕성, 합법성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기보다는, 전쟁이 '실수'였다는 실용적인 관점에서 비판했다.
- 매파: 전쟁이 정당하고 승리할 수 있으며, 미국의 우호적인 외교 정책의 일환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언론의 일방적인 비판이 전쟁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약화시켰고, 결국 미국이 전쟁에서 패배하는 원인이 되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보수주의 논객 윌리엄 F. 버클리는 "미국은 베트남에서 '승리'를 추구하는 데 소심했다, 아니 비겁했다"고 주장하며[4] 전쟁 지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매파는 전쟁에 대한 대중의 환멸이 커진 책임이 자유주의 언론에 있으며, 서구 언론이 공산주의의 위협을 과소평가했기 때문에 전쟁에서 패했다고 비난했다.
3. 주요 참여 세력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에 대한 반대 시위는 특정 집단에 국한되지 않고 미국 사회의 다양한 계층과 세력이 참여한 광범위한 운동이었다. 각 세력은 저마다의 동기와 관점을 가지고 전쟁 반대 목소리를 높였으며, 이는 때로는 서로 연대하고 때로는 독자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시민권 운동가들과 일반 흑인들은 전쟁이 국내의 인종 차별과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을 잠식하고, 징병제가 흑인에게 불평등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비판하며 반전 운동에 참여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같은 지도자들은 시민권 운동과 반전 운동을 연결하며 평화와 정의를 외쳤다.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베트남 전쟁을 미국 제국주의의 발현이자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적 억압으로 간주하고 강하게 반대했다. 이들은 미국 내에서의 차별 경험과 전쟁의 본질을 연결하며 독자적인 반전 단체를 조직하고 활동했다.
밥 딜런, 조안 바에즈, 존 레논 등 많은 음악가들은 포크 음악과 록 음악을 통해 반전 메시지를 전파하며 대중문화 속에서 반전 여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의 노래는 시위 현장에서 널리 불리며 운동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1960년대의 반문화 흐름 속에서 학생 운동과 청년들은 반전 운동의 핵심 동력이었다. 이들은 대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징병 카드 소각, 동맹휴학, 반전 시위 등을 주도하며 기성세대의 가치관과 정부 정책에 도전했다.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회(SDS)와 같은 조직은 전국적인 학생 운동을 이끌었다.
여성 운동가들과 일반 여성들은 평화주의적 신념, 어머니로서 자녀를 전쟁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마음, 그리고 반전 운동 내에서 겪는 성차별에 대한 반발 등 다양한 이유로 운동에 참여했다. 이들은 독자적인 여성 반전 단체를 결성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전쟁의 실상을 직접 경험한 현역 군인들과 참전 용사들 역시 반전 운동의 중요한 축을 담당했다. 일부는 군 내부에서 소극적인 저항을 하거나 탈영했으며, 전역 후에는 베트남 참전 반대 참전 용사(VVAW)와 같은 단체를 통해 전쟁의 부도덕성을 고발하고 평화를 요구했다.
징병제의 직접적인 대상이었던 청년들은 징병을 회피하거나 거부하는 방식으로 전쟁에 반대했다. 합법적, 비합법적 방법을 동원한 징병 회피 시도와 함께, 시민 불복종의 형태로 징병 자체를 거부하고 처벌을 감수한 징병 저항 운동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일부는 해외로 이주하여 징병을 피하기도 했다.
이처럼 다양한 세력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 참여했으며, 이들의 활동은 미국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각 세력의 구체적인 활동과 주장은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흑인

W. E. B. 듀보이스와 같은 초기 흑인 지도자들은 종종 반제국주의적이며 반자본주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폴 로베슨은 1954년 베트남의 투쟁에 대해 언급하며 호치민을 "자신의 백성을 자유로 이끄는 현대판 투생 루베르튀르"라고 칭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은 매카시즘의 영향으로 공적 활동에서 배제되었고, 1960년대 초반 흑인 지도자들은 미국의 외교 정책 비판에 비교적 신중했다.[19]
196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맬컴 엑스와 밥 모세스 같은 인물들이 전쟁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20] 권투 챔피언 무하마드 알리는 1966년 자신의 경력과 징역형을 감수하며 징집을 거부했다. 곧이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코레타 스콧 킹, 제임스 베벨 등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의 지도자들이 베트남 전쟁 반대의 주요 인물로 부상했으며, 베벨은 베트남 전쟁 종식을 위한 전국 동원 위원회의 국장을 맡기도 했다. 흑표당 역시 미국의 베트남 개입에 대해 격렬하게 반대했다.[21] 전쟁 초기, 일부 흑인들은 시민권 관련 법안을 추진한 존슨 대통령에 대한 충성심 때문에 반전 운동 참여를 주저하기도 했으나, 전쟁의 폭력성 심화와 징병제의 사회적 불의는 점차 많은 흑인들을 반전 운동으로 이끌었다.[21]
1965년 3월, 킹은 셀마 행진 중 "수백만 달러가 매일 남베트남 주둔 병력을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셀마에서 흑인의 권리를 보호할 수 없다"고 말하며 처음으로 전쟁을 비판했다.[22] 1965년,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는 주요 시민권 단체 중 처음으로 전쟁에 반대하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SNCC의 지지를 받은 조지아주 하원의원 줄리안 본드는 이 반전 성명에 동의했다는 이유로 의원직을 거부당했으나, 대법원까지 이어진 소송에서 승소했다.[23] SNCC는 학생 운동과 흑인 운동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66년 10월 UC 버클리에서 열린 SDS 주최 회의에서 SNCC 의장 스토클리 카마이클은 백인 좌파들에게 흑인 운동처럼 징병 저항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당시 빈민가 반란에 참여했던 일부 사람들은 이미 자신들의 행동을 베트남 전쟁 반대와 연결 짓고 있었으며, SNCC는 1966년 8월 애틀랜타 징병 위원회를 처음으로 방해했다. 역사학자 조슈아 블룸과 월도 마틴에 따르면, SDS의 1967년 10월 첫 징집 중단 주간은 "흑인 해방 운동에 영감을 받았고 빈민가 반란으로 용기를 얻었다." SNCC는 "Hell no! We ain't gonna go!|지옥이다! 우리는 안 간다!eng"라는 유명한 징집 반대 구호를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1967년 4월 4일, 킹은 뉴욕 리버사이드 교회에서 "Beyond Vietnam: A Time to Break Silence|베트남 그 너머: 침묵을 깰 때eng"라는 제목의 연설을 통해 존슨 대통령의 "치명적인 서구적 오만함"을 비판하고 "우리는 부유하고 안전한 편에 서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지옥을 만들고 있다"고 선언했다.[22] 킹의 연설은 당시 큰 논란을 일으켰다. 링컨 이후 흑인 시민권을 위해 가장 많은 일을 한 대통령으로 여겨졌던 존슨을 공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있었고, ''워싱턴 포스트''와 ''뉴욕 타임스'' 같은 진보 언론조차 킹의 연설을 비판했으며, 전미 유색 인종 발전 협회(NAACP)도 그를 지지하지 않았다.[25] 킹은 이 연설에서 시민권 운동과 반전 운동을 연결하는 것이 흑인 시민권 후퇴를 야기할 것이라고 주장한 외교관 랄프 번치와 공개적으로 논쟁하기도 했다.[25] 이 연설은 킹이 베트남에서의 미국의 "침략"을 강력히 비난하며 제국주의와 군국주의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인 중요한 계기로 평가받는다.[26]
킹은 1966년부터 흑인들이 고국에서 2등 시민으로 취급받는 상황에서 베트남을 위해 싸우는 것은 위선이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했다.[26] 그는 백인 중산층 남성들이 대학 진학 등을 이유로 징집을 피하는 반면, 군비 경쟁과 베트남 전쟁은 시민권 운동과 빈곤과의 전쟁에 필요한 자원을 빼앗아 간다고 주장했다.[27] 킹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연방 정부가 빈곤 퇴치에 자원을 재분배하도록 압박하는 가난한 노동자 계급 운동을 조직하고자 했다.[28] 그는 미국 정부가 1967년 전쟁 예산을 실제보다 100억달러나 축소 발표했으며, 이는 빈곤 예산의 5배에 달하는 금액이라는 통계를 제시하며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29]
흑인 반전 단체들은 백인 단체들과 유사한 이유로 전쟁에 반대했지만, 종종 별도의 행사를 통해 시위를 벌였고 백인 반전 지도부의 생각에 항상 동조하지는 않았다.[21] 이들은 특히 가난하고 소수 민족 출신 남성들에게 징병의 부담이 집중되는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30] 1965년과 1966년 사이, 흑인들은 전체 인구 비율의 두 배가 넘는 25%의 전투 사망자를 기록했다. 이러한 불균형에 대한 흑인 병사들의 항의와 재향 군인들의 저항 운동이 확산되자, 군 당국은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했고 그 결과 흑인 사망자 비율은 12.6%로 감소했다.[31]
반전 운동에 참여한 흑인들은 '흑인 여성 분노'(Black Women Enraged), '전국 흑인 반전 반징집 연합'(National Black Anti-War Anti-Draft Union), '전국 흑인 징집 상담원'(National Black Draft Counselors)과 같은 자체 조직을 결성하기도 했다. 이들 조직과 백인 단체 간의 차이는 구호에서도 나타났는데, 흑인들은 "흑인 미국과 베트남의 자기 결정권"이라는 구호를 내건 반면, 백인들은 "Support Our GIs, Bring Them Home Now!|우리 군인들을 지원하고, 그들을 지금 데려오자!eng"와 같은 구호를 사용했다.[32] 그러나 이러한 흑인 단체 내에서도 많은 흑인 여성들은 남성 지도자들에 의해 부차적인 역할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다.[33] 많은 흑인 여성들은 베트남 전쟁을 인종 차별적인 동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고, 베트남 여성들에게 강한 연대감을 느꼈다.[34] 이러한 인식은 흑인 여성들이 반전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새로운 반대 단체를 만드는 동기가 되었다.
3. 2. 아시아계 미국인
많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베트남 전쟁을 미국 제국주의의 중요한 행동으로 간주하고 강하게 반대했다. 이들은 "미국 내 아시아인에 대한 억압을 베트남 전쟁의 수행과 연결"했으며,[37][214] 전쟁을 "단지 제국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특히 반(反) 아시아적인 것"으로 보았다.[38][215] 아시아계 미국 정치 연합(AAPA), 베이 지역 전쟁 반대 연합(BAACAW), 그리고 행동을 위한 아시아계 미국인(AAA)과 같은 단체들은 전쟁 반대를 주요 목표로 삼았다.[177][215]이들 단체 중 베이 지역 전쟁 반대 연합(BAACAW)이 가장 크고 중요했다. BAACAW는 "매주 2회, 90분 동안 조정 위원회 회의를 개최하여 각 지역에서 상세한 보고서와 행동 계획을 제출하는 등 매우 조직적으로 운영되었다."[39][216] 이 단체는 "하노이 폭격과 하이퐁 항구 기뢰 부설"에 대한 분노를 계기로 형성되었으며, 일본 커뮤니티 청소년 센터, 아시아 커뮤니티 센터 회원, 아시아계 미국인 학생 연합의 학생 리더 등을 지원했다.[40][217] BAACAW 회원들은 행진, 스터디 그룹, 기금 모금, 강좌 및 시위와 같은 반전 활동에 참여했다. 행진 중 아시아계 미국인 활동가들은 "아시아인 폭격을 중단하고, 우리 아시아인 형제자매 살해를 중단하라"는 현수막을 들고 다녔다.[41][218] 이 단체의 뉴스레터는 "우리의 목표는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견고하고 광범위한 아시아인 반제국주의 운동을 건설하는 것이다"라고 밝혔다.[42][219]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반전 정서는 미국에서 그들이 직면한 인종 불평등과 인종차별 경험에 의해 더욱 심화되었다. 역사학자 대릴 마에다(Daryl Maeda)는 "반전 운동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인종적 공통성을 두 가지 성별화된 방식으로, 즉 남성 군인들의 경험에 기반한 동일시와 여성에 의한 동일시를 통해 베트남인들과 연결했다"고 언급한다.[43][220] 미군 내 아시아계 미국인 군인들은 종종 적군과 유사하다는 이유로 구크(gook)라고 불리며 인종적 차별을 겪었다.[47] 또한 베트남 여성에 대한 과잉 성적 대상화가 만연했으며, 이는 군대 내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의 대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기드라 신문의 기사에서 에블린 요시무라(Evelyn Yoshimura)는 미군이 베트남 여성을 비인간화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매춘부로 묘사했다고 지적했다.[44][221]
아시아계 미국인 단체들은 인종차별 문제 해결을 위해 성차별 문제도 함께 다루어야 함을 인식했고, 이는 아시아계 미국인 반전 운동에서 여성의 지도력 강화로 이어졌다. "제3세계" 활동가 패시 찬(Pat Sumi)은 샌프란시스코 반전 집회에서 "우리, 제3세계 여성들은 인도차이나의 형제자매들과의 투쟁에 대한 군사적 연대를 표명한다. 우리 제3세계 사람들은 인도차이나인들이 제국주의에 맞서 벌이는 투쟁을 이해하는데, 이는 우리가 미국이라는 공통의 적을 공유하기 때문이다"라고 연설했다.[45] 그레이스 리 보그스와 유리 코치야마와 같은 인물들도 민권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아시아계 미국인 정치 운동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데 기여했다.[46]
미군 내에서 베트남인을 비하하는 '구크'라는 용어가 아시아계 미국인에게도 적용되는 등, '적'처럼 보인다는 이유로 겪는 편견은 많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전쟁에 반대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47] 일본계 미국인 참전 용사 노먼 나카무라(Norman Nakamura)는 베트남 복무 중 모든 베트남인에 대한 체계적인 인종차별과 비인간화를 목격했다고 증언했다.[47] 또 다른 일본계 미국인 참전 용사 마이크 나카야마(Mike Nakayama)는 부상 후 미군 의사들이 자신을 '구크'로 오인하여 치료를 거부했던 경험을 보고했다.[47] 이러한 경험들은 다양한 출신 배경의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공유하는 반아시아 인종차별에 대한 인식을 높였고, 범(汎)아시아계 미국인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47]
아시아계 미국인 예술가들도 반전 운동에 참여했다. 포크 트리오 'A Grain of Sand' (멤버: 조앤 '노부코' 미야모토, 크리스 이지마, 윌리엄 '찰리' 친)는 반인종차별과 반제국주의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전국 순회공연을 했다.[45] 아시아계 미국인 참전 용사인 멜빈 에스쿠에타(Melvin Escueta)는 필리핀계 미국인 병사와 베트남 민간인 사이의 동일성을 탐구하는 연극 ''Honey Bucket''을 만들었다.[45]
아시아계 미국인 반전 운동은 주류 평화 운동과는 차별화된 관점을 제시했다. 스티브 루이(Steve Louie)는 백인 중심의 주류 운동이 '살인 반대'라는 도덕적 관점에 머물렀던 반면,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집단 학살'이라는 더 근본적인 문제에 주목했다고 회상했다. 아시아계 운동은 주류 운동이 다루기를 꺼렸던 국내외 미 제국주의 문제를 정면으로 제기하며 이를 체계적인 문제로 인식했기 때문에, 때로는 주류 운동과의 협력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48][222]
3. 3. 음악가

미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을 반대하는 시위에는 피트 시거가 그의 노래 'Waist Deep in the Big Muddy'에서 "the Big Fool said to push on"이라고 노래했듯이 많은 대중 음악가들이 참여했으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예술가들의 친전(親戰)적인 작품들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58] 이 음악가들에는 조니 미첼, 조안 바에즈, 필 옥스, 루 해리슨, 게일 쿠빅, 윌리엄 메이어, 엘리 시그마이스터, 로버트 핑크, 데이비드 눈, 리처드 워닉, 존 W. 다우니 등이 포함되었다.[59]
지금까지 5,000곡이 넘는 베트남 전쟁 관련 노래가 녹음되었으며, 많은 곡들이 애국적, 친정부적, 혹은 친 군인적인 관점을 담고 있기도 했다.[60] 반전 시위와 관련된 두드러진 장르는 록앤롤과 포크 음악이었다. 작곡가들은 친전(親戰)적인 정치 진영에 대항하는 곡들을 만들었고, 음악 활동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시위자들은 체포되었고 평화 행진에 참여했으며, 대중 음악가들이 그 대열에 합류했다.[61] 이러한 긴밀한 참여는 1968년 5월 뉴욕에서 열린 "평화를 위한 작곡가와 음악가" 콘서트로 새로운 정점에 도달했다. 전쟁이 계속되고 새로운 미디어 보도가 이어지면서, 이 운동은 점차 커졌고 대중 음악은 이를 반영했다. 1965년 여름 초부터 P. F. 슬론의 포크 록 노래인 'Eve of Destruction'과 같이 미국 동남아시아 참전에 반대하는 음악 기반의 시위가 시작되었고, 배리 맥과이어가 이 곡을 녹음하면서 베트남 전쟁에 대한 초기 음악적 시위 중 하나가 되었다.
반전 스펙트럼의 록 음악계에서 핵심 인물 중 한 명은 지미 헨드릭스 (1942–1970)였다. 헨드릭스는 마약을 통해 자신을 탐구하고 록 음악을 통해 자신을 경험하는 청년 문화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는 전쟁에 대한 공식적인 시위자는 아니었다. 헨드릭스의 전기 작가 중 한 명은 그가 전직 군인으로서 반공산주의적인 견해에 공감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62] 그러나 그는 베트남 전쟁에서 일어난 폭력에 항의했다. 베트남에서 싸우는 사람들에게 헌정된 'Machine Gun'이라는 노래를 통해 이러한 폭력에 대한 항의가 나타났다. 데이비드 헨더슨은 저서 '''Scuse Me While I Kiss the Sky'''에서 이 노래를 "무서운 펑크... 그의 사운드는 여자의 비명, 사이렌, 전투기의 급강하로 바뀌며 버디 마일스의 개틀링 건 스네어 샷 속에 담겨 있다... 그는 '악한 자가 너를 죽이게 하고... 너도 나를 죽이게 하지만 우리는 단지 가족일 뿐'이라고 말한다"고 묘사했다.[63] 이 노래는 종종 헨드릭스가 군인들을 집으로 돌려보내고 유혈 사태를 멈춰달라고 호소하는 내용과 함께 불려졌다.[64] 헨드릭스의 견해가 시위자들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을 수 있지만, 그의 노래는 반전 운동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Star Spangled Banner'와 같은 노래의 연주는 사람들에게 "당신은 당신의 조국을 사랑할 수 있지만, 정부는 미워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65] 헨드릭스의 반폭력 노력은 "사랑의 힘이 권력에 대한 사랑을 이길 때... 세상은 평화를 알게 될 것이다"라는 그의 말로 요약될 수 있다. 따라서 헨드릭스의 개인적인 견해는 반전 시위자들의 견해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았지만, 그의 반폭력적인 관점은 그의 죽음(1970) 이후에도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많은 사람들에게 시위 운동의 상징적인 노래로 알려진 곡은 1965년 10월 EP에 처음 발매된 'The "Fish" Cheer/I-Feel-Like-I'm-Fixin'-to-Die Rag'로, 가장 성공적인 시위 밴드 중 하나인 Country Joe and the Fish가 불렀다.[66] 이 노래는 당시 주류 음악 차트에는 오르지 못했지만, 유명한 우드스톡 음악 축제(1969)를 포함한 많은 공개 행사에서 공연되었다. 'Feel-Like-I'm-Fixin'-To-Die Rag'는 전쟁뿐만 아니라 전쟁에 대한 대중의 무관심한 태도를 비꼬는 내용이었다. "음악가의 행복한 비트와 무관심한 태도는 베트남이 더 이상 세상 반대편의 외딴 곳이 아니며, 그것이 이 나라에 끼치는 피해는 더 이상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슬픈 사실을 미국 대중이 깨닫도록 강요받고 있다는 가사와 이상한 병치를 이룬다"는 평가를 받았다.[67]
반전 행사에 참석하고 조직했으며 'I Ain't Marching Any More'와 'The War Is Over'와 같은 노래를 쓴 싱어송라이터 필 옥스와 함께, 반전 운동의 또 다른 핵심적인 인물은 밥 딜런이었다. 포크와 록은 베트남 전쟁 당시 1960년대의 반문화의 중요한 측면이었으며,[68] 딜런은 이 두 장르를 통해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시위 노래는 기존의 인기에 힘입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당시 학생 운동의 지도자였던 토드 기틀린은 "그가 좋아했든 싫어했든, 딜런은 우리를 위해 노래했다... 우리는 그가 마치 우리 노래를 부르는 것처럼 그의 경력을 따라갔다"고 말했다.[69] 그의 대표곡 'Blowin' in the Wind'는 딜런의 반전, 친 시민권 정서를 구현했다. 또한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은 새로운 시대의 도래와 변화의 필요성을 알리며 기성 세대에게 경고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딜런은 "상원 의원과 하원 의원들에게 이 부름에 귀 기울여달라"고 노래했다. 그의 노래는 대중을 일깨우고 사회적 반응을 유도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베트남 전쟁 시위자들은 딜런의 음악과 자신들의 대의를 강하게 연결시켰고, 조안 바에즈와 주디 콜린스는 베트남 전쟁 반대 행진(1965)과 존슨 대통령 앞에서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을 공연하기도 했다.[69] 딜런 자신은 특정 운동의 대변자가 되기를 거부했지만, 그의 노래에 담긴 반전 정서는 운동가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고, 그들은 "그의 수수께끼 같지만 신탁적인 선언을 기다렸다"고 할 정도로 그의 메시지에 주목했다.[70]
비틀즈의 전 멤버인 존 레논은 아내 오노 요코와 함께 솔로 활동 기간 동안 반전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비틀즈 시절 얻은 엄청난 명성과 언론의 관심 덕분에 그는 매우 영향력 있는 운동가였다. 신혼여행 기간 중에도 암스테르담과 몬트리올에서 '베드인(Bed-in)' 퍼포먼스를 벌이며 평화를 호소했고, 언론 인터뷰를 통해 반전 메시지를 전파했다. 이들은 여러 평화 시위를 벌였으며, 그 과정에서 'Give Peace a Chance'라는 노래를 처음 선보였다. 레논과 오노의 이 노래는 기존의 많은 반전 노래들을 넘어서는 파급력을 가졌고, "우리가 말하는 모든 것은... 평화를 달라(All we are saying is give peace a chance)"는 단순하고 강력한 메시지는 전 세계적으로 불리며 1970년대 평화 운동의 상징적인 노래가 되었다.[71]
3. 4. 학생 및 청년

1960년대 미국 사회는 히피로 대표되는 다양한 반문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히피들은 자신들만의 공동체를 만들고, 사이키델릭 음악을 즐기며, 성혁명을 받아들였다. 또한 마리화나나 LSD와 같은 약물을 통해 의식 확장을 추구하기도 했다.[237][238] 이들은 종종 평화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핵군축캠페인(CND)에서 유래한 평화 상징과 "Make love, not war"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비폭력 정치 시위에 참여했다. 이러한 시위에는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 워싱턴 D.C. 행진,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 징병 카드 소각, 1968년 민주당 전당대회 시위 등이 포함되었다.[239] 히피들의 정치 참여는 평화 시위 참여부터 이피스(Yippies)와 같은 보다 적극적인 그룹의 반권위적 거리 공연 및 시위까지 다양했다.[240][241] 스콧 맥켄지의 노래 "San Francisco (Be Sure to Wear Flowers in Your Hair)"와 비틀즈의 "All You Need Is Love"는 플라워 파워 운동의 상징적인 노래가 되어 히피 정신을 대변했다.[242]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대학생들의 정치 참여가 크게 늘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적 풍요 속에서 성장한 베이비붐 세대는 대학 진학률 증가와 맞물려 사회 운동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사회학자 더그 맥아담은 개인이 사회 운동에 참여하기 위한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자유를 의미하는 "자서전적 가용성" 개념으로 이를 설명했고,[235][74] 데이비드 메이어스는 교육 수준 향상과 경제적 안정감이 가져온 "개인 효능감" 증가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76][236] 1960년대 말에는 대학 등록생 수가 900만 명에 달했으며, 학생들은 표현의 자유, 교육 과정 참여, 낡은 사회 관습 타파 등을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은 이러한 학생 운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많은 학생들은 자신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느끼는 전쟁에 참여하기를 거부했으며, 전쟁 자체의 부도덕성을 비판하거나 전쟁으로 인해 국내 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과 관심이 분산되는 것을 반대했다. 1965년 4월 17일, 워싱턴 D.C.에서 첫 대학생 중심의 반전 행진이 열렸고,[243] 이후 학생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반전 운동에 참여했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징병 카드 소각, 대학 행정 당국이 징병위원회에 학생 성적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항의, 대학 내 군대 또는 다우 케미컬 같은 전쟁 관련 기업의 채용 박람회 반대 시위 등이 있었다.[78][79]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회(SDS)와 같은 학생 단체들은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을 조직하기도 했다.
1968년 구정 대공세와 미라이 학살 사건 이후 학생 운동은 더욱 격화되어 컬럼비아 대학교 시위[244][245][246], 1968년 민주당 전당 대회 시위 등으로 이어졌다. 1970년 리처드 닉슨 행정부의 캄보디아 침공 결정[247]과 이에 항의하는 학생 시위대에 오하이오 주 방위군이 발포하여 4명이 사망한 켄트 주립 대학교 총격사건[248][249]은 미국 전역의 대학가에 큰 충격을 주며 반전 운동을 다시 한번 최고조로 이끌었다. 이 사건 직후 미국 역사상 유례없는 1970년 동맹휴학이 발생하여 수백만 명의 학생들이 참여했고, 전국 450개 이상의 대학과 고등학교가 문을 닫았다.[250] 오하이오 대학교[80], 뉴멕시코 대학교[122] 등 다른 대학에서도 격렬한 시위와 충돌이 발생했다. 일부 시위는 과격화되어 1969년부터 1970년 사이 대학 내 학군단(ROTC) 건물 197개가 공격받았고,[141] 1971년에는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에서 스털링 홀 폭발 사건[251]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학생 시위로 인해 브라운 대학교, 켄트 주립 대학교, 매사추세츠 대학교 등 많은 대학 캠퍼스가 일시적으로 폐쇄되기도 했다.[115]

여성들은 반전 운동의 중요한 축이었지만, 종종 운동 내에서 성차별을 겪기도 했다.[252] 일부 남성 지도자들은 여성들을 동등한 활동가로 인정하지 않거나, 여성이 징병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전쟁의 심각성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여기기도 했다.[253] 또한 여성 활동가들은 남성 시위자들이 전쟁이나 시위 자체의 폭력성을 낭만적으로 여기는 태도에 반감을 느끼기도 했다.[254]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여성들은 시위 조직과 효과적인 반전 메시지 개발 경험을 쌓았으며, 이는 이후 제2세대 여성주의 운동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자산이 되었다. 많은 여성들은 성차별에 대한 반감과 독자적인 활동의 필요성을 느끼며 Another Mother for Peace, 평화와 자유를 위한 여성국제연맹(WILPF), 평화를 위한 여성 파업(WSP)과 같은 여성 중심의 반전 단체를 결성하거나 참여했다. 베트남에서 복무했던 여성 군인들 역시 반전 운동에 참여하여 전쟁의 실상과 군대 내 성차별, 인종차별 문제를 고발했다.[255]
특히 흑인 어머니들은 전국 복지 권리 조직(NWRO)과 같은 단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활동했다.[256] 이들은 정부가 막대한 전쟁 비용을 지출하면서 정작 국내 빈곤 가정 지원에는 소홀하다고 비판했으며, 빈곤층과 소수 인종 남성들이 불균형적으로 징집되는 현실을 고발했다.[257] 또한 자본주의 체제가 기업과 군대의 이익을 인간의 기본적인 필요보다 우선시한다고 비판하며, 빈곤 여성들이 저임금 노동과 자녀 양육 부담 속에서 아들들을 전쟁터로 보내야 하는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258]
1971년에는 흑인, 푸에르토리코, 치카나, 아시아계,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을 아우르는 제3세계 여성 동맹(TWWA)이 결성되어 활동 범위를 넓혔다.[259] TWWA는 국제주의적이고 반제국주의적인 관점에서 베트남 전쟁을 비판했으며, 미국의 해외 군사 개입 비용이 국내 유색인종 공동체에 대한 착취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징병 제도가 소수 민족 가정에 미치는 불균형적인 영향을 강조하고, 베트남 여성 전사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억압받는 민족들의 저항을 지지했다.[257]
아시아계 미국인 학생들과 청년들 역시 베트남 전쟁에 강하게 반대했다. 이들은 전쟁을 미국 제국주의의 발현이자 구체적으로 아시아인에 대한 억압으로 간주했다.[214][215] 아시아계 미국인 정치 동맹(AAPA), 전쟁에 반대하는 해안 지역 동맹(BAACAW), 행동을 위한 아시아계 미국인(AAA) 등의 단체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214] 특히 BAACAW는 하노이 폭격과 하이퐁 항구 기뢰 부설에 대한 분노를 계기로 결성되어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216][217] 이들은 행진, 연구 모임, 시위 등을 통해 "아시아인을 폭격하지 말라", "우리 아시아 형제자매를 죽이지 말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반제국주의 운동 구축을 목표로 삼았다.[218][219]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반전 운동은 미국 사회 내 인종 차별 경험과 미군 내 아시아계 병사들에 대한 차별, 베트남 여성의 성적 대상화 문제와도 연결되어 있었다.[220][221] 이들은 주류 반전 운동이 때때로 보이는 인종차별적 시각을 비판하며, 전쟁을 '집단 학살'과 체계적인 제국주의 문제로 인식하고 접근하려 했다.[222]
1970년대 초반, 닉슨 행정부의 단계적인 철군 정책, 경기 침체, 그리고 지속적인 시위에도 불구하고 전쟁이 끝나지 않는다는 무력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학생 중심의 반전 운동은 점차 동력을 잃어갔다.[141]
3. 5. 여성

여성들은 반전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때로는 조직 내에서 성차별을 겪거나 부차적인 존재로 취급받기도 했다.[81] 일부 남성 중심의 반전 단체 지도자들은 여성들을 성적인 대상으로 보거나 단순 비서 역할로 제한했으며, 여성들이 단체의 목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사상가임을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 또한, 여성들은 징병의 직접적인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전쟁의 심각성이나 반전 운동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는 편견에 부딪히기도 했다.[82] 반전 운동에 참여한 많은 여성들은 일부 남성 시위자들이 보이는 전쟁과 반전 운동 자체에 대한 폭력적인 낭만주의에 거부감을 느꼈다.[83]
이러한 불평등과 성차별에 대한 반감은 여성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주체적으로 활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양한 반전 단체 활동을 통해 여성들은 시위를 조직하고 효과적인 반전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험과 기술을 쌓았다. 결국 많은 여성들이 남성 중심의 주류 반전 운동에서 벗어나 또 다른 평화를 위한 어머니들(Another Mother for Peace), 여성 국제 평화 자유 연맹(Women's International League for Peace and Freedom, WILPF), 평화를 위한 여성 파업(Women Strike for Peace, WSP)과 같은 여성 중심의 반전 단체를 직접 만들거나 가입하게 되었다. 심지어 베트남에서 복무하던 여성 군인들조차 반전 및 반군사 신문에 글을 기고하며 전쟁 자체뿐만 아니라 군대 내에 만연한 성차별, 인종차별, 경직된 관료주의에 맞서 싸우기 위해 운동에 동참했다.[84]
어머니 세대와 기성세대의 여성들은 평화를 지키고 젊은 세대, 특히 아들들이 전쟁과 징병으로 고통받는 것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며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이들은 징병제를 전쟁 기계의 가장 혐오스러운 부분 중 하나로 보고, 징병 시스템을 약화시켜 전쟁 자체를 멈추고자 노력했다. 또 다른 평화를 위한 어머니들과 WSP 같은 단체들은 젊은이들에게 징병을 거부할 수 있는 합법적, 비합법적 방법을 알려주는 무료 상담 센터를 운영하기도 했다.[82] WSP 회원들은 8년 동안 매주 일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백악관 앞에서 평화를 위한 묵념 시위를 벌였다.[85] 이러한 여성 반전 단체들은 종종 '평화로운 세계를 만드는 여성'이라는 모성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펼치고 목표를 달성하려 했다. 정부는 이들 중년 여성 활동가들을 평범한 시민이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조직을 동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전 운동 내 가장 위협적인 세력 중 하나로 간주하기도 했다.[86]
많은 흑인 어머니들 역시 전국 복지 권리 기구(National Welfare Rights Organization, NWRO)와 같은 단체에 참여하거나 이를 이끌었다.[87] 1967년에 설립된 NWRO는 정부가 국내 복지 대신 베트남 전쟁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는 것을 강력히 비판했다. 이들은 가난한 남성들과 그 아들들이 전쟁터로 내몰리는 현실을 고발하고, 자본주의 시스템과 기업 및 군사 지출이 인간의 기본적인 필요보다 우선시되는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또한, 어머니의 이미지를 내세워 빈곤과 전쟁 동원이 여성, 특히 흑인 어머니들에게 미치는 불균형적인 영향을 강조했다.[88] NWRO는 가난한 여성들이 제대로 된 보상 없이 자녀를 양육하며 동시에 노동력과 군인을 제공하도록 강요받는 현실을 비판했다.[89]
1971년에는 제3세계 여성 연합(Third World Women's Alliance, TWWA)이 결성되어 NWRO의 활동 범위를 흑인뿐만 아니라 푸에르토리코, 치카나, 아시아계, 원주민 여성까지 확장했다.[90] TWWA는 국제주의적이고 반제국주의적인 관점에서 베트남 전쟁에 반대했다. 이들은 미국의 해외 전쟁 비용이 국내 소수 유색인종 공동체에 대한 착취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징병제가 소수 민족 가정에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쳐 아들들을 빼앗아가고 여성들만 남겨두는 현실을 부각했으며, 억압받는 민족들이 억압자에 맞서 싸우는 것을 지지하고 베트남 여성 전사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88] NWRO와 TWWA 모두 베트남 전쟁 반대를 경제적 불평등과 군국주의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과 연결하며, 이것이 여성과 가족에게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강조했다.[88] 이 단체들은 유색인종 여성들이 직면한 특수한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며 포괄적인 반전 운동을 이끌었다.[87]
미국 내 많은 여성들은 전쟁으로 고통받는 베트남 민간인들에게 깊이 공감하며 반전 운동에 참여했다. 대표적인 예로, 다우 케미컬(Dow Chemical Company)이 생산하여 전쟁 무기로 사용된 네이팜탄에 항의하기 위해 이 회사의 다른 제품인 사란 랩(Saran Wrap) 불매운동을 벌이기도 했다.[91]
반전 운동, 신좌파, 시민권 운동 내에서 겪었던 성차별에 대한 좌절감은 일부 여성들이 진정한 성 평등을 추구하는 독자적인 조직을 만드는 동력이 되었다. 특히 젊은 여성 운동가들 사이에서는 더 급진적인 사회 변화와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타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92] 결국 반전 운동 과정에서 여성 운동가들이 느꼈던 환멸과 각성은 미국 사회 전반에 걸쳐 여성의 진정한 평등을 확립하려는 여성 해방 운동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93]
3. 6. 군인



미군 내에서는 여러 군인들이 군 복무를 기피하기 위해 조직을 결성했으며, 개인적으로 저항 행위를 벌이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현역 군인과 참전 용사들이 민간 평화 운동가들과 협력하여 자발적으로 조직한 것이 특징이다.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대는 군 내부로 확산되어, 일부 미군 병사들은 자신들이 수행하는 임무에 대해 회의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하워드 진(Howard Zinn)은 포로 수용소에 있던 병사들이 전쟁의 명분이 불분명하다는 생각에 평화 위원회를 결성한 사례를 들며 이를 뒷받침한다.[123] 한 병사는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 첫 번째 수용소에 도착하기 전까지, 우리는 온전한 마을을 보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모두 파괴되었습니다. 저는 앉아서 제 자신을 중간에 놓고 자문했습니다. 이것이 옳고 그른가? 마을을 파괴하는 것이 옳은가? 사람들을 대량으로 죽이는 것이 옳은가? 잠시 후 그것이 저에게 다가왔습니다.[124]
진은 이러한 파괴 행위와 불분명한 적과의 싸움이 병사들에게 큰 정신적 피해를 주었으며, 미국 내 반전 여론의 영향으로 병사들 사이에서도 반전 감정이 확산되었다고 분석한다.
특히 베트남 참전 반대 참전 용사(VVAW)와 같은 단체들은 반전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71년 4월 23일, 베트남 참전 용사들은 미국 국회의사당 서쪽 계단에서 자신들이 받은 훈장 700여 개를 반납하는 시위를 벌였다.[165] 같은 해 12월 26일에는 반전 참전 용사 15명이 자유의 여신상을 점거하고 꼭대기에 거꾸로 된 미국 국기를 게양했으며, 연방 법원의 명령이 내려진 12월 28일에야 철수했다.[167] 또한 12월 28일에는 워싱턴 D.C.의 링컨 기념관을 점거하려던 젊은 참전 용사 80여 명이 경찰과 충돌 후 체포되기도 했다.[168]
군인들의 반전 운동과 관련된 조직으로는 다음과 같은 단체들이 있었다.
- 우려 장교 운동(Concerned Officers Movement): 미군 내 장교들이 결성한 단체.
- FTA: 제인 폰다와 도널드 서덜랜드가 이끈 그룹으로, 상황에 따라 '군대를 해방하라'(Free the Army) 또는 '군대를 망쳐라'(Fuck the Army)를 의미했다.[180]
- GI 커피 하우스(GI Coffeehouses): 반전 운동가들이 군인들 사이에서 반전 및 반군사 정서를 확산시키기 위해 만든 공간.
- 파시즘에 반대하는 GI(GI's Against Fascism): 샌디에이고 미 해군 내에서 결성된 반전 및 반군사적 군인 단체.
- 민주적 군사 운동(Movement for a Democratic Military): 베트남 전쟁 시기 활동한 반전 및 군인 권리 단체.
- 베트남 전쟁 반대 참전 용사(Vietnam Veterans Against the War, VVAW)[183]
이러한 군 내부의 반전 움직임과 조직적인 저항 활동이 확산되면서, 1971년에 이르러 미군은 극심한 사기 저하를 겪게 되었고, 이는 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했다.[72][73]
3. 7. 징병 대상자
징병 대상자들은 징병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했으며, 이는 당시 반문화적 흐름과 맞물려 나타났다. 필 옥스는 1965년 발표한 노래 "Draft Dodger Rag"에서 풍자를 통해 파열된 비장, 시력 저하, 평발, 천식 등 다양한 병역 면제 사유를 열거하며 징병 회피 방법을 암시적으로 제시했다.[262] 포크 가수 알로 거스리는 그의 노래 "Alice's Restaurant"에서 정신 이상을 가장하여 면제를 받으려는 시도를 풍자적으로 묘사했다.[263] 밴드 The Fugs의 멤버인 툴리 쿠퍼버그가 공동 저술한 책 "1001 Ways to Beat the Draft"는 징병 위원회에 기저귀를 차고 가는 등의 방법을 제안하기도 했다.[264] 1950년대에 출판되어 후에 단편 영화로도 제작된 줄스 페이퍼의 만화 소설 "Munro"는 실수로 징병된 네 살배기 소년의 이야기를 다루며 징병 제도의 부조리함을 꼬집었다.[265] 실제로 많은 젊은이들은 면제나 연기를 받기 위해 대학에 진학하거나(26세까지 대학에 다녀야 징병을 확실히 피할 수 있었다), 신체적, 정신적, 도덕적 기준 미달로 4-F 판정을 받으려 노력했다. 미국 방위군에 입대하거나 평화 봉사단에 들어가는 것도 베트남 파병을 피하는 방법 중 하나였다. 특정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는 경우에도 징병이 면제될 수 있었는데, 이는 알로 거스리의 노래 "앨리스의 레스토랑"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동성애를 주장하여 면제를 받는 방법도 있었으나, 당시의 사회적 낙인 때문에 실제로 시도하는 경우는 드물었다.징병을 고민하는 젊은이들을 위한 상담 그룹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이들은 잠재적인 징병 회피자들에게 합법적 또는 비합법적인 조언을 제공하며 지원했다. 많은 그룹들이 미국 친구 봉사 위원회나 민주사회를 위한 학생들(SDS)과 같은 전국적인 단체와 연계되어 있었으며, 일부는 대학이나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한 임시 그룹이었다.[266] 이러한 그룹에서는 특별히 훈련받은 상담사들이 활동했다.[267] 또 다른 평화를 위한 어머니들, 여성 국제 평화 자유 연맹(WILPF), 그리고 평화를 위한 여성 파업(WSP)과 같은 다양한 반전 단체들도 젊은 미국인들에게 징병을 합법적 또는 불법적으로 회피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무료 징병 상담 센터를 운영했다.
단순한 회피를 넘어, 징병 제도 자체에 정면으로 맞서는 징병 저항 운동도 상당한 규모로 전개되었다.[268] 징병 저항자들은 자신들의 행동이 단순히 징병을 피하려는 것이 아니라, 부당한 제도에 맞서는 적극적인 저항임을 강조했다.[269] 민주사회를 위한 학생들(SDS)[270], 전쟁 저항자 연맹(War Resisters League)[274], 학생비폭력조정위원회(SNCC) 산하의 "전국 흑인 반전 반징병 연합(National Black Anti-War Anti-Draft Union)"[274][271] 등이 이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1967년 3월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 데이비드 해리스 등이 설립한 "The Resistance"는 징병 저항 운동을 주도한 핵심 조직으로 평가받는다.[272][273][274] 이 조직의 상징은 전기 저항의 단위인 옴(Ohm)을 나타내는 그리스 문자 오메가(Ω)였다. 저항 운동가들은 공개적으로 징병 카드를 불태우거나[7] 징병 등록 자체를 거부했으며, 수집한 징병 카드를 정부에 반납하는 시민 불복종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징집 통보를 받은 후에도 입대를 거부하고 연방 법원에서 소송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저항했다. 이들은 이러한 공개적인 저항 활동이 전쟁과 징병 제도를 종식시키는 데 기여하기를 희망했다.[275][273] 이 과정에서 많은 젊은이들이 연방 교도소에 수감되는 희생을 감수해야 했다.[275][273]
징병을 거부하고 처벌을 피하기 위해 해외로 이주하는 청년들도 많았다. 약 3만 명 이상의 미국 청년들이 징병을 피해 캐나다, 스웨덴, 멕시코 등지로 떠났다.[14] 캐나다는 당시 비교적 관대한 이민 정책을 가지고 있었고, 전쟁 거부자들을 별도의 범주로 분류하지 않고 일반 이민자로 받아들였다.[276] 캐나다로 이주한 미국인 징병 거부자의 수는 적게는 30,000명에서 많게는 100,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277] 스웨덴 정부는 베트남 전쟁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이로 인해 미국과의 외교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278]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과 같은 스웨덴 내 일부 단체들은 미군 탈영병이나 징병 거부자들의 스웨덴 망명을 돕기도 했다.[279] 스웨덴으로 이주한 미국인 전쟁 거부자는 약 1,000명 정도로 추산되며, 이 중 약 3분의 1만이 징병 거부자였다.[280] 이들 중 소수는 스웨덴에 남아 정착했다.[280] 일본의 반전 단체인 베이헤이렌은 일부 미군 병사들이 일본에서 탈영하여 숨는 것을 돕기도 했다.[53]
4. 결과 및 영향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는 미국 사회 전반에 걸쳐 깊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이 운동은 단순히 전쟁 정책에 대한 반대를 넘어, 미국 정치, 사회, 문화의 여러 측면에 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반전 운동의 가장 직접적인 결과 중 하나는 미국 정부의 베트남 정책 변화에 대한 압력 행사였다. 확산되는 반전 여론과 시위는 존슨 행정부에 이어 닉슨 행정부에게 큰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했으며, 이는 점진적인 미군 철수와 전쟁의 베트남화 정책 추진, 그리고 최종적인 종전 협상 과정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특히 징병제에 대한 거부감 확산과 군 내부 사기 저하는 전쟁 수행 능력 자체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사회적으로 반전 운동은 미국 사회의 기존 질서와 가치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전쟁을 둘러싼 찬반 논쟁은 세대 간, 계층 간 갈등을 심화시켰으며, 특히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기성세대의 권위와 국가 정책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민권 운동과 더불어 사회적 소수자와 청년층의 목소리가 커졌고, 이는 이후 다양한 미국의 사회 운동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정부 발표와 언론 보도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높아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문화적으로도 반전 운동은 큰 족적을 남겼다. 전쟁의 부도덕성과 참상을 고발하는 메시지는 음악, 영화, 문학 등 다양한 대중문화 영역에 깊이 스며들어 대항문화(Counterculture)의 형성에 기여했다. 또한 전쟁의 비극을 직접 경험한 베트남 참전 용사들의 고통과 사회 부적응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궁극적으로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는 미국 시민들이 정부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이의를 제기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남았다. 비록 운동 과정에서 사회적 갈등과 분열이 심화되기도 했지만, 평화와 반전의 가치를 추구하는 시민 운동의 힘을 보여주었으며, 전쟁 수행에 대한 민주적 통제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4. 1. 미국 국내
1965년 이후 미국 내에서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가 확산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징병제였다. 당시 징병은 주로 소수계층과 중산층 및 빈곤층 백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사회적 불평등 논란을 낳았다. 징병 대상자 중 양심적 병역 거부를 선언한 이들은 소수였지만, 반전 시위에서 적극적인 목소리를 냈다. 징병제 자체의 부당성에 대한 인식이 넓게 퍼지면서, 학생층과 블루 칼라 노동 계층 역시 미국의 징병 제도에 반대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는 표현의 자유 운동과 흑인 민권 운동의 영향으로 전례 없는 규모의 학생 운동이 벌어지던 때와 맞물렸다. 처음에는 징병 대상인 젊은 베이비붐 세대가 시위의 중심이었으나, 점차 다양한 사회 계층이 참여하게 되었다. 특히,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베트남 현지의 참상이 검열 없이 미국 안방에 전달되면서 전쟁에 대한 반대 여론이 더욱 커지는 데 영향을 미쳤다.
반전 시위대는 징병제 문제 외에도 전쟁 자체가 도덕적으로 부당하다는 주장을 강력하게 제기했다. 이미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한 직후,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는 뉴욕 타임스에 광고를 실어 미국이 인도차이나 문제에 개입하려는 움직임에 반대하며 또 다른 전쟁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196] 전쟁에 반대해야 할 도덕적 의무가 있다는 주장은 특히 미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폭넓은 지지를 얻었다. 이들은 미국 정부가 베트남에서 제국주의적 목적을 추구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전쟁은 부도덕하다고 비판했다.[197] 서방 언론에서 깊이 다루지 않았던 베트남 민간인들의 피해 역시, 참혹한 사진들이 퍼지면서 시위의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예를 들어, 구정 대공세 당시 응우옌응옥로안 장군이 비무장 상태로 보이는 베트콩 용의자 응우옌 반 렘을 길거리에서 즉결 처형하는 사진은 대중의 분노를 일으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198] 이 처형은 전쟁에 대한 미국 여론에 영향을 미치는 상징적인 이미지가 되었다.
또한, 시위대는 미국 정부가 베트남 개입의 명분으로 내세운 도미노 이론과 공산주의의 위협이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일부는 공산주의 위협이 미국의 제국주의적 의도를 숨기기 위한 명분에 불과하다고 보았고, 다른 이들은 미국의 개입이 베트남 민족의 자결권을 침해하며, 베트남 전쟁은 본질적으로 내전이므로 외부 세력인 미국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199]
텔레비전 방송은 전쟁의 참혹한 현실을 미국 시청자들에게 생생하게 전달했고, 이는 언론의 전쟁 보도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흔들었다. NBC 뉴스의 프랭크 맥기(Frank McGee)와 같은 언론인은 베트남 전쟁이 "사실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기 때문에 이미 패배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평가했다.[200] 베트남 전쟁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텔레비전 카메라가 전장의 모습을 직접 담아낸 전쟁이었다. 저녁 뉴스 시간에 방영되는 미군 사상자들의 모습은 전쟁의 영광이라는 신화를 깨뜨렸고, 승리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계속되는 미군의 희생은 미국 국민들 사이에 반전 의식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한편, 에드워드 S. 허맨과 노엄 촘스키 같은 비판적 지식인들은 주류 언론이 전쟁의 참상과 수백만 명의 무고한 희생자들의 죽음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고 오히려 검열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미국의 정신이 독살되어 버린다면, 그 부검 보고서에는 '베트남'이란 단어가 담겨 있을 것이다.
> If America's soul becomes totally poisoned, part of the autopsy must read "Vietnam."|eng
>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1967년)[201][5]
베트남 전쟁을 둘러싸고 미국 사회는 극심한 분열을 겪었다. 전쟁 개입을 지지하는 측(이른바 매파)은 주로 도미노 이론을 근거로 들었다. 이 이론은 한 국가가 공산화되면 인접 국가들도 연쇄적으로 공산화될 것이라는 주장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 국가들이 소련의 영향권 아래 공산주의 체제로 편입된 경험 때문에 설득력을 얻었다. 이들은 전쟁이 정당하며 승리할 수 있고, 미국의 우호적인 외교 정책의 일환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일부 보수 논객들은 언론의 비판적인 보도가 대중의 지지를 약화시켜 결국 미국이 전쟁에서 패배하게 만들었다고 비난했다. 보수주의 작가 윌리엄 F. 버클리는 "미국은 베트남에서 '승리'를 추구하는 데 소심했다, 아니 비겁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4]
반면, 전쟁에 반대하는 측(이른바 비둘기파)은 다양한 이유를 제시했다. 군사 평론가들은 베트남 전쟁이 정치적인 성격이 강하며, 군사 작전의 목표 달성을 위한 명확한 전략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민간 비판가들은 남베트남 정부의 정치적 정당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문제 삼거나, 전쟁 자체를 지지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비둘기파는 전쟁의 의도 자체는 좋았을지 모르나 결과적으로는 잘못된 외교 정책에서 비롯된 비극적인 실수라고 보았다. 이들은 전쟁이 실수였다는 실용적인 관점에서 비판했지만, 미국의 개입 자체의 도덕성이나 합법성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언론은 이러한 사회적 양극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5년 초기에는 대부분의 언론이 군사 작전에 초점을 맞추었고, 동남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전면적인 개입 필요성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논의를 다루지 않았다.[202][6] 이후 언론은 미국 내 반대 여론과 논쟁을 보도하기 시작했지만, 반전 운동가나 저항 세력의 실제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지는 못했다는 비판도 받았다.[202][6] 언론은 주로 '매파 대 비둘기파'라는 구도 속에서 논쟁을 중계하는 역할을 했다.

1968년 초의 구정 대공세(Tet Offensive)는 전쟁에 대한 미국 여론을 크게 변화시키는 전환점이 되었다. 미군 지휘부는 이전까지 베트남에서의 군사 작전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했지만, 구정 대공세는 이러한 발표와 달리 베트콩이 여전히 강력한 공격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비록 군사적으로는 미군과 남베트남군이 베트콩에게 큰 타격을 입히는 데 성공했지만, 사이공의 미국 대사관이 공격당하는 장면 등 충격적인 모습이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되면서 미국 국민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월터 크롱카이트와 같은 영향력 있는 언론인들은 이를 미군의 취약성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해석했다.[16] 구정 대공세는 군사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폭력적인 이미지와 늘어나는 사상자 수, 그리고 군 당국 발표에 대한 불신감 때문에 미국 내 반전 여론을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969년 5월, 라이프지는 '평범했던 어느 한 주' 동안 베트남에서 사망한 미군 병사 약 250명의 사진을 게재했다.[11] 이 기사는 큰 반향을 일으켰고, 많은 미국인들이 전쟁으로 희생된 평범한 젊은이들의 모습에 깊은 슬픔과 충격을 받았다.[11] 같은 해 10월 15일에는 미국 전역에서 수십만 명(일부 추산 1,500만 명[17])이 참여한 '베트남 전쟁 종식을 위한 모라토리엄' 시위가 열렸다. 많은 노동자들이 항의의 의미로 병가를 냈고, 학생들은 학교를 결석하며 시위에 동참했다. 이는 당시 미국 역사상 단일 시위로는 가장 큰 규모였다.[17] 11월 15일에는 두 번째 모라토리엄 시위가 열려 워싱턴 D.C.에서 50만 명 이상, 샌프란시스코에서 약 25만 명이 모이는 등 더 많은 인파가 참여했다.[18] 워싱턴 시위 전날인 11월 13일과 14일에는 '죽음에 반대하는 행진'도 벌어졌다.

전쟁에 대한 실망감이 커져갔지만, 여전히 많은 미국인들은 존슨 행정부와 이후 닉슨 행정부의 노력을 지지했다. 도미노 이론 외에도, 친서방적인 남베트남 정부를 공산주의로부터 지키는 것이 가치 있는 목표라는 인식이 있었고, 전쟁에서 철수하더라도 미국의 위신을 지키며 "명예로운 평화"를 달성해야 한다는 우려도 존재했다. 또한, 베트콩의 잔혹 행위 역시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는데, 특히 1968년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실린 "호치민의 피 묻은 손"과 같은 기사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반전 감정은 더욱 거세졌다. 많은 미국인들은 전쟁으로 인한 파괴와 폭력에 충격을 받고 도덕적인 이유로 전쟁을 반대했다. 다른 이들은 이 전쟁이 베트남의 독립을 억압하는 전쟁이거나 외국의 내전에 대한 부당한 개입이라고 주장했으며, 또 다른 이들은 명확한 목표도 없이 승리할 가능성이 없어 보이는 전쟁 자체에 반대했다. 반전 운동가 중에는 베트남 참전 용사들도 많았으며, 이들은 베트남 참전용사 반전(Vietnam Veterans Against the War, VVAW)과 같은 단체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1971년 4월에는 수천 명의 참전 용사들이 워싱턴 D.C.의 백악관 앞에 모여 시위를 벌였고, 수백 명은 자신들이 받은 훈장과 무공 훈장을 미국 국회의사당 계단에 던지며 전쟁에 항의했다. 하지만 일부 과격한 시위대가 베트콩의 깃발을 들고나오는 등 극단적인 행동을 보이면서, 전쟁에 도덕적으로 반대하던 온건한 시민들마저 소외시키는 경우도 발생했다.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는 다양한 집단이 참여했는데, 그중 성직자들의 역할은 종종 간과되지만 매우 중요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는 대표적인 인물로, 그는 유명한 "베트남을 넘어서" 연설에서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큰 폭력의 공급자는 바로 나의 정부이다. 저 소년들을 위해서, 이 정부를 위해서, 우리의 폭력에 떨고 있는 수십만 명을 위해서, 나는 침묵할 수 없다."[49]라고 비판하며, 인종 평등 문제뿐만 아니라 전쟁 종식을 위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킹 목사 외에도 많은 종교 지도자들과 신자들이 반전 운동에 참여했다. 연구에 따르면, 성직자들의 신학적 관점과 정치적 견해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었으며, 많은 성직자들이 전쟁에 반대하고 평화를 촉구하는 활동에 나섰다.[50][51]
미국 내 반전 운동은 베트남 전쟁의 종결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역사가 하워드 진은 그의 저서 ''미국 민중사''에서 "전쟁 과정에서 미국은 역사상 가장 거대한 반전 운동을 경험했고, 이 운동은 전쟁을 끝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113] 물론 마이클 린드와 같이 반전 운동의 영향보다는 전쟁 비용 증가에 대한 대중의 부담감 때문에 여론이 돌아섰다고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114]

반전 운동이 가져온 첫 번째 구체적인 효과는 군대에 동원할 수 있는 병력이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징병에 대한 저항이 거셌고, 대학의 학군단(ROTC) 프로그램 역시 반대 대상이 되었다. 1968년 5월 1일, 보스턴 대학교의 한 학생은 징병 위원회에 보낸 편지에서 "저는 그 시험이나 입대에 응할 의사가 전혀 없으며, 베트남 국민에 대한 미국의 전쟁 노력에 어떤 방식으로든 협력할 의사가 없습니다..."[115][281]라고 밝혔다. 이러한 징병 거부는 점차 확산되어, 1969년 5월 북부 캘리포니아의 오클랜드 징병 센터에서는 징집 명령을 받은 4,400명 중 2,400명이 출두하지 않는 사태가 발생했다. 1970년 1분기에는 미국의 선택적 징병 제도(Selective Service System)가 사상 처음으로 필요한 병력 수를 채우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116][282] 대학 내 ROTC 프로그램 등록자 수도 급감했다. 1966년에는 191,749명이었던 ROTC 등록 대학생 수가 1973년에는 72,459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117]
반전 운동의 또 다른 영향은 많은 대학 캠퍼스가 격렬한 시위로 인해 폐쇄되거나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는 점이다. 이는 대학 운영을 정상화하려는 정부에 큰 부담을 주었다. 브라운 대학교, 켄트 주립 대학교, 매사추세츠 대학교 등 수많은 대학에서 시위가 벌어졌다.[115] 심지어 윌리엄 앤 메리 대학교에서는 학생과 교수들의 시위 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중앙정보국(CIA)에 보고하는 정보원이 고용되기도 했다.[118] 매사추세츠 대학교의 1970년 졸업식에서는 많은 졸업생들이 평화를 요구하는 상징물을 착용하고 시위를 벌였고,[119] 보스턴 칼리지에서는 6천 명이 모여 전쟁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120] 1970년 5월 4일, 켄트 주립 대학교에서는 시위 중이던 학생들에게 주 방위군이 발포하여 4명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켄트 주립 대학교 총격 사건)이 발생했다.[121] 나흘 뒤인 5월 8일에는 뉴멕시코 대학교에서 시위대와 주 방위군이 충돌하여 10명(또는 11명)의 학생이 총검에 부상을 입고 131명이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22] 1969년 브라운 대학교 졸업식에서는 졸업생의 3분의 2가 헨리 키신저 당시 국가안보보좌관이 연설을 시작하자 등을 돌리는 방식으로 항의를 표하기도 했다.[121] 이처럼 대학가의 광범위한 소요 사태는 반전 운동이 미국 사회에 미친 중요한 영향 중 하나였다.
마지막으로, 반전 운동은 베트남 현지에 파병된 미군 병사들의 사기에도 영향을 미쳤다. 병사들은 자신들이 수행하는 임무의 정당성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했고, 전쟁의 파괴적인 모습에 회의감을 느꼈다. 하워드 진은 일부 포로수용소의 미군 병사들이 누구를 위해 싸우고 있는지 혼란스러워하며 자체적으로 평화 위원회를 결성한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123] 한 병사는 다음과 같이 술회했다.
> 첫 번째 수용소에 도착하기 전까지, 우리는 온전한 마을을 보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모두 파괴되었습니다. 저는 앉아서 제 자신을 중간에 놓고 자문했습니다. 이것이 옳고 그른가? 마을을 파괴하는 것이 옳은가? 사람들을 대량으로 죽이는 것이 옳은가? 잠시 후 그것이 저에게 다가왔습니다.[124]
이러한 병사들의 동요와 사기 저하는 미국 내 반전 여론과 맞물려 전쟁 수행 능력에 부담을 주었다. 결국 이러한 국내외적인 압력은 미국 정부가 베트남 정책을 수정하고 점진적으로 개입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116][282]
4. 2. 반전 운동의 확산
1965년 이후 미국 내에서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가 확산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징병제였다. 당시 징병은 주로 소수계층과 중산층 및 빈곤층 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사회적 불만의 대상이 되었다. 양심적 병역거부자는 전체 거부자 중 소수였지만 반전 시위에서 적극적인 목소리를 냈다.[196] 징병제의 불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퍼지면서 학생층과 노동자 계층 역시 미국의 징병 제도에 반대하기 시작했다.
반전 운동이 활발해지던 시기는 표현의 자유 운동과 흑인 민권 운동, 그리고 전례 없는 규모의 학생 운동이 일어나던 때와 맞물렸다. 초기 징병 대상은 주로 젊은 베이비붐 세대였으나, 점차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반전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특히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베트남 현지의 참상이 검열 없이 대중에게 전달되면서 반전 여론이 커지는 데 영향을 미쳤다.
시위대는 징병제 문제 외에도 전쟁 자체가 도덕적으로 부당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미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한 직후, 퀘이커 봉사위원회는 뉴욕 타임스 지면 광고를 통해 미국의 인도차이나 개입 움직임에 반대하며 전쟁 재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196] 전쟁에 반대해야 한다는 도덕적 주장은 미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폭넓은 지지를 얻었다. 이들은 미국 정부가 베트남에서 제국주의적 목적을 추구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전쟁은 부도덕하다고 비판했다.[197] 서방 언론이 깊이 다루지 않거나 외면했던 민간인 피해 역시, 참혹한 사진들이 퍼지면서 주요한 시위의 이유가 되었다. 특히 구정 대공세 당시 남베트남 경찰 총수인 응우옌응옥로안 장군이 비무장 상태의 베트콩 용의자를 즉결 처형하는 사진은 대중의 분노를 더욱 키웠다.[198]
반전 운동 진영은 미국 정부가 베트남 개입의 명분으로 내세운 도미노 이론과 공산주의 위협론이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일부는 공산주의 위협이 미국의 제국주의적 의도를 숨기기 위한 명분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또한 미국의 개입이 베트남 민족의 자결권을 침해하는 행위이며, 베트남 전쟁은 본질적으로 내전으로 다뤄져야 한다는 시각도 있었다. 이는 미국이 다른 나라의 운명을 결정하려 드는 것 자체가 부당하다는 문제 제기였다.[199]
텔레비전 방송이 전쟁터의 참혹한 실상을 안방에 그대로 전달하면서, 언론 보도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 흔들리기 시작했다. NBC 방송의 프랭크 맥기(Frank McGee)와 같은 언론인은 베트남 전쟁이 "사실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기 때문에" 이미 패배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200] 베트남 전쟁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방송 매체가 전장의 모습을 생생하게 중계한 전쟁이었다. 저녁 뉴스에 등장하는 미군 사상자들의 모습은 전쟁의 영광이라는 허상을 깨뜨렸고, 뚜렷한 승리의 전망 없이 계속되는 미군의 희생은 미국 국민들 사이에 반전 의식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한편, 에드워드 S. 허맨과 노엄 촘스키는 주류 언론이 전쟁의 참상과 수많은 무고한 희생자들의 죽음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고 오히려 검열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반전 운동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많은 대학 캠퍼스가 시위로 인해 정상적인 학사 운영이 불가능해지기도 했다. 브라운 대학교, 켄트 주립 대학교, 매사추세츠 대학교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상황은 대학 내 혼란을 수습하고 질서를 회복하려는 정부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윌리엄 앤 메리 대학교에서는 학생과 일부 교직원들의 시위 이후, 이들의 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CIA가 정보원을 고용했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283]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는 1967년 "만약 미국의 영혼이 완전히 오염된다면, 부검 보고서의 일부에는 '베트남'이라고 쓰여야 할 것"이라고 말하며 전쟁의 비도덕성을 강력히 비판했다.[5]
베트남 전쟁은 미국 사회를 극심한 분열로 몰아넣었다. 전쟁을 지지하는 이들은 주로 도미노 이론을 내세웠다. 이 이론은 한 국가가 공산화되면 주변 국가들도 연쇄적으로 공산화될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 국가들이 소련의 영향권 아래 공산주의 체제로 편입된 경험 때문에 상당한 설득력을 얻었다. 반면, 군사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베트남 전쟁이 군사적 목표 달성을 위한 명확한 전략 없이 정치적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민간 차원의 비판가들은 남베트남 정부의 정치적 정당성 부족 문제를 지적하거나 전쟁 자체가 비도덕적이라고 주장했다.
언론 역시 미국 여론의 양극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5년까지만 해도 언론의 관심은 주로 군사 작전에 집중되었고, 동남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전면적인 군사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는 부족했다.[6] 이후 언론은 미국 내 반전 여론과 논쟁을 다루기 시작했지만, 반전 운동가나 저항자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지는 못했다.[6]
언론은 종종 여론을 '매파'(호크, 강경파) 대 '비둘기파'(도브, 온건파) 구도로 단순화했다. '비둘기파'는 주로 진보적 성향의 전쟁 비판가들을 지칭했다. 이들은 전쟁이 처음에는 좋은 의도에서 시작되었을지 몰라도, 결국 외교 정책상의 재앙적인 실수였다고 주장했다. 다만 이들은 대체로 미국의 베트남 개입 의도 자체의 도덕성이나 합법성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기보다는, 전쟁이 실용적인 관점에서 잘못된 선택이었다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대로 '매파'는 전쟁이 정당하며 승리할 수 있고, 미국의 중요한 외교 정책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언론의 비판적인 보도가 전쟁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약화시켰고 결국 미국의 패배를 초래했다고 비난했다. 보수 논객 윌리엄 F. 버클리는 "미국은 베트남에서 '승리'를 추구하는 데 소심했고, 심지어 비겁했다"고 주장하며 전쟁 지지 입장을 분명히 했다.[4] 매파는 자유주의 성향의 언론이 전쟁에 대한 환멸을 부추겼으며, 서방 언론 때문에 동남아시아 전쟁에서 패배했다고 비판했다.
1968년 2월 1일, 구정 대공세 기간 중 베트콩 장교로 지목된 응우옌 반 렘이 남베트남 경찰 총수 응우옌 응옥 로안 장군에게 즉결 처형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로안 장군은 기자들이 보는 앞에서 길거리에서 렘의 머리에 총을 쏘았다. 남베트남 측은 사후 발표를 통해 렘이 경찰과 그 가족 등 34명을 살해한 혐의가 있었으며, 시신들이 발견된 구덩이 근처에서 체포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처형 장면을 담은 사진은 전쟁의 잔혹성을 상징하는 이미지가 되어 미국 내 반전 여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8년 초의 구정 대공세는 전쟁에 대한 미국 여론을 결정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미군 지휘부는 이전까지 남베트남에서의 군사 작전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해왔다. 구정 대공세는 결과적으로 베트콩의 전투력을 크게 약화시켜 미군과 연합군에게 군사적 승리를 안겨주었지만, 월터 크롱카이트와 같은 저명한 언론인들을 포함한 미국 언론은 주베트남 미국 대사관 공격과 같은 사건들을 미군의 군사적 취약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했다.[16]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전달된 충격적인 폭력 장면, 늘어나는 사상자 명단, 그리고 군 당국이 이전 작전의 성과나 전쟁의 궁극적인 승리 가능성에 대해 국민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불신감이 확산되면서, 전장에서의 군사적 승리는 빛을 바랬다.
베트남 전쟁이 계속 확대되면서 대중의 불만은 더욱 커졌고, 다양한 배경의 시민 단체들이 새롭게 반전 운동을 조직하거나 기존 운동에 참여하며 그 규모와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참조
[1]
뉴스
Robert S. McNamara, Architect of a Futile War, Dies at 93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7-07
[2]
간행물
Where Service Begins
https://quaker.ca/ar[...]
Wider Quaker Fellowship, Philadelphia
[3]
논문
'Two Sources of Antiwar Sentiment in America'
Garland Publishing
[4]
논문
Protest against the War in Vietnam
[5]
잡지
''Life'' magazine: Remembering Martin Luther King Jr. 40 Years Later
Time Inc
2008
[6]
서적
Manufacturing Consent: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Mass Media
Pantheon Books
[7]
웹사이트
UC Berkeley Library Social Activism Sound Recording Project: Anti-Vietnam War Protests – San Francisco Bay Area
https://guides.lib.b[...]
Lib.berkeley.edu
2011-03-07
[8]
서적
The Draft, 1940–1973
University Press of Kansas
[9]
웹사이트
ReclaimingQuarterly.org: Memoirs of a Draft-Card Burner
http://www.reclaimin[...]
2024-07-26
[10]
서적
Vietnam
[11]
서적
Vietnam
[12]
서적
The Brothers' Vietnam War: Black Power, Manhood, and the Military Experience
University of Florida Press
[13]
서적
[14]
서적
[15]
뉴스
Five myths about the Vietnam War
https://www.washingt[...]
2022-06-26
[16]
서적
Vietnam
[17]
문서
"The War in the Schools: San Francisco Bay Area High Schools and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1965–1973"
[18]
서적
Vietnam
[19]
서적
Selma to Saigon: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
서적
Selma to Saigon: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4
[21]
서적
[22]
뉴스
Beyond Vietnam
https://kinginstitut[...]
2019-10-30
[23]
서적
Selma to Saigon: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4
[24]
서적
Black Against Empire: The History and Politics of the Black Panther Par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뉴스
Beyond Vietnam
https://kinginstitut[...]
2019-10-30
[26]
서적
From Civil Rights to Human Rights: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truggle for Economic Justi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7]
서적
From Civil Rights to Human Rights: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truggle for Economic Justi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8]
서적
From Civil Rights to Human Rights: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truggle for Economic Justi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9]
서적
From Civil Rights to Human Rights: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truggle for Economic Justi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0]
서적
[31]
서적
American Reckoning: The Vietnam War and Our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Penguin
[32]
서적
From Civil Rights to Human Rights: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truggle for Economic Justi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Kill for Peace: American Artists Against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3-07-15
[36]
서적
Sights on the Sixtie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Press
[37]
서적
Chaine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8]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9]
서적
Chains of Babylon: The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0]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1]
서적
The Making of Asian America: A History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42]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3]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4]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sian American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서적
The Making of Asian America: A History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47]
웹사이트
Looking Like the Enemy: Political Identity & the Vietnam War
https://www.pacificc[...]
Pacific Council on International Affairs
2019-05-07
[48]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9]
문서
King, "Beyond Vietnam"
[50]
문서
Tygart, "Social Movement Participation: Clergy and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51]
문서
Friedland, ''Lift Up Your Voice Like A Trumpet: White Clergy And The Civil Rights And Antiwar Movements, 1954–1973''
[52]
웹사이트
Nonrandom Risk: The 1970 Draft Lottery
http://www.amstat.or[...]
1997
[53]
뉴스
Antiwar campaigners to donate documents to Vietnamese museum
http://mailman.lbo-t[...]
Keiji Hirano, Kyodo News, The Japan Times
2002-02-16
[54]
웹사이트
GI resistance in the Vietnam war
https://libcom.org/a[...]
2024-06-27
[55]
문서
War Tax Resistance
War Resisters League
"2003"
[56]
뉴스
Rachel Carson's Lessons, 50 Years After 'Silent Spring'
https://www.nytimes.[...]
2012-10-27
[57]
웹사이트
1962 – Operation Ranch Hand > Air Force Historical Support Division > Fact Sheets
http://www.afhistory[...]
2017-09-29
[58]
간행물
War Music and the American Composer during the Vietnam Era
https://www.jstor.or[...]
2011-01-27
[59]
간행물
War Music and the American Composer during the Vietnam Era
https://www.jstor.or[...]
2011-01-27
[60]
웹사이트
The Vietnam War: A History in Song
https://www.historyt[...]
2020-03-10
[61]
간행물
War Music and the American Composer during the Vietnam Era
https://www.jstor.or[...]
2011-01-27
[62]
서적
Room Full of Mirrors: a Biography of Jimi Hendrix
Hyperion
[63]
서적
'Scuse Me While I Kiss the Sky: Jimi Hendrix, Voodoo Child'
Atria
[64]
서적
Room Full of Mirrors: a Biography of Jimi Hendrix
Hyperion
[65]
서적
Room Full of Mirrors: a Biography of Jimi Hendrix
Hyperion
[66]
웹사이트
Country Joe's Place
http://www.countryjo[...]
2015-06-16
[67]
서적
Battle Notes
Savage Press
[68]
간행물
The Vietnam War and American Music
https://www.jstor.or[...]
2011-01-27
[69]
간행물
Bringing It All Back Home or Another Side of Bob Dylan: Midwestern Isolationist
https://www.jstor.or[...]
2011-01-26
[70]
간행물
Bringing It All Back Home or Another Side of Bob Dylan: Midwestern Isolationist
https://www.jstor.or[...]
2011-01-26
[71]
서적
"The Vietnam Antiwar Movement in American History"
Enslow
2000
[72]
웹사이트
"GI Movement, 1968-1973: Special Section"
https://depts.washin[...]
[73]
웹사이트
"Vietnam and the Soldiers' Revolt The Politics of a Forgotten History"
https://monthlyrevie[...]
2016-06
[74]
서적
The Politics of Protest: Social Movements 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75]
문서
'Roots of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Garland Publishing
2000
[76]
문서
p. 49
[77]
학술지
The Disobedience of John William Ward: Myth, Symbol, and Political Praxis in the Vietnam Era
https://www.jstor.or[...]
[78]
웹사이트
A Turning Point
https://1967.wisc.ed[...]
2017-10-26
[79]
간행물
50 years ago, 'Dow Day' left its mark on Madison
https://host.madison[...]
John Humenik
2017-10-26
[80]
뉴스
Ohio University Closes and Guards Take Over
https://www.nytimes.[...]
2022-03-02
[81]
서적
Sights on the Sixtie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Press
[82]
문서
Swerdlow
[83]
서적
The World Split Open: How the Modern Women's Movement Changed America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84]
서적
Sights on the Sixtie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Press
[85]
문서
Small
[86]
문서
Small
[87]
학술지
The Goals of the National Welfare Rights Movement: Why We Need Them Thirty Years Later
null
1998
[88]
웹사이트
'"There has always been a Black women\'s peace movement\': Women of Colour and Anti-War Activism in the U.S., 1968-1972 – Frankie Chappell'
https://womenshistor[...]
2024-01-10
[89]
학술지
The Radical Feminist Legacy of the National Welfare Rights Organization
2019
[90]
웹사이트
At the Intersection of Race, Gender, and Class: Honoring the Revolutionary Feminist Legacy of the Third World Women's Alliance
https://www.blackwom[...]
2024-01-14
[91]
문서
Small
[92]
문서
Rosen
[93]
문서
Adams
[94]
학술지
Organized Labor and the Antiwar Movement
https://crimsonhisto[...]
2022-Fall
[95]
서적
Labor's Story in the United States
Temple University Press
[96]
뉴스
Labor’s War Discontent Rises
https://www.jstor.or[...]
2024-12-10
[97]
뉴스
Thousands March Protest Route
https://nyshistoricn[...]
2024-12-10
[98]
뉴스
National Secretary's Report
https://www.jstor.or[...]
2024-12-10
[99]
뉴스
SANE forms Labor Group
https://www.nytimes.[...]
2024-12-10
[100]
뉴스
Stop the War Now
1970-04-14
[101]
뉴스
800 to Attend a Labor rally to Protest Vietnam War
1966-03-09
[102]
뉴스
McCarthy may run for Pres.
https://nyshistoricn[...]
2024-12-10
[103]
문서
“We Saw Israel: American and Israeli Workers in the Middle East and Africa"
https://asset.librar[...]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2017
[104]
뉴스
Give Viet Cong Voice In Peace Talks – Cohen
Chicago Tribune
1967-10-27
[105]
서적
Vietnam Awakening
McFarland & Company
2007
[106]
논문
American Public Opinion and the War in VietnamWar
1979-03
[107]
뉴스
Iraq Versus Vietnam: A Comparison of Public Opinion
http://news.gallup.c[...]
2018-04-19
[108]
뉴스
Gallup Vault: The Urge to Demonstrate
http://news.gallup.c[...]
2017-10-23
[109]
논문
Casualties, Public Opinion, and Presidential Policy during the Vietnam War
https://www.rand.org[...]
2017-10-30
[110]
웹사이트
The Roper Center for Public Opinion Research
https://ropercenter.[...]
2017-11-13
[111]
웹사이트
The Roper Center for Public Opinion Research
https://ropercenter.[...]
2017-11-13
[112]
웹사이트
The Roper Center for Public Opinion Research
https://ropercenter.[...]
2017-11-13
[113]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14]
서적
Vietnam, The Necessary War: A Reinterpretation of America's Most Disastrous Military Conflict
Free Press
[115]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16]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17]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18]
문서
"'The Sun Never Sets on the Activities of the CIA': Project Resistance at William and Mary"
[119]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20]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21]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22]
웹사이트
Eleven Bayonetted and 131 Arrested at Student Union Building :: UNM Timeline {{!}}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https://timeline.unm[...]
2023-05-17
[123]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24]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25]
서적
The Draft, 1940–1973
University Press of Kansas
[126]
서적
Hell no, we won't go!: resisting the draft during the Vietnam War
https://archive.org/[...]
Viking
[127]
서적
An American Ordeal: The Antiwar Movement of the Vietnam Era
https://archive.org/[...]
Syracuse University Press
[12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War in Vietnam
Scarecrow Press
[129]
웹사이트
IV
http://www.library.l[...]
Library.law.ua.edu
2011-03-07
[130]
뉴스
Usa Today/Cnn Gallup Poll
https://www.usatoday[...]
2010-05-20
[131]
문서
[132]
웹사이트
Commentaries for 2011 – Pew Research Center for the People & the Press
http://people-press.[...]
People-press.org
2011-03-07
[133]
서적
Antiwarriors: The Vietnam War and the Battle for America's Hearts and Minds
Scholarly Resources Inc.
[134]
웹사이트
Gale – Free Resources – Black History – Biographies – Muhammad Ali
http://www.gale.ceng[...]
Gale.cengage.com
2011-03-07
[135]
문서
[136]
뉴스
51 Protesters Arrested
http://nyti.ms/2heLq[...]
2016-12-12
[137]
서적
The Five Retreats: A History of the Failure of the Progressive Labor Party
https://www.marxists[...]
2016-12-12
[138]
웹사이트
"Crowd Battles LAPD as War Protest Turns Violent"
http://latimesblogs.[...]
[139]
서적
"Day of Protest, Night of Violence: The Century City Peace March, a Report "
https://www.scribd.c[...]
Sawyer Press
[140]
서적
Give Peace A Chance: Exploring the Vietnam Antiwar Movement
Syracuse University Press
[141]
서적
The War That Never Ends: Student Opposition to the Vietnam War
University of Kentucky
[142]
뉴스
Voters in San Francisco Reject Immediate Vietnam Cease-Fire; San Franciscans Reject Proposal for a Cease-Fire and Withdrawal of Troops
1967-11-08
[143]
서적
Give Peace A Chance: Exploring the Vietnam Antiwar Movement
Syracuse University Press
[144]
서적
Sights on the Sixtie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145]
문서
Counsel to the President: A Memoir
[146]
웹사이트
Articles & Commentary
http://www.aei.org/a[...]
Aei.org
2011-03-07
[147]
서적
Baker's Biographical Dictionary of Musicians
Schirmer Books
[148]
서적
There But for Fortune: The Life of Phil Ochs
https://archive.org/[...]
Hyperion
[149]
문서
Jennings & Brewster
[150]
서적
The Gallup Poll: Public Opinion 2005
Rowman & Littlefield
[151]
뉴스
At Peace Meal, Protestors Drown Out Fulbright
https://www.newspape[...]
2016-12-18
[152]
뉴스
Iraq war resisters meet cool reception in Canada
https://www.thestar.[...]
2010-08-24
[153]
문서
And Babi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54]
웹사이트
6 Famous Naval Mutinies
http://www.history.c[...]
2012-11-06
[155]
뉴스
Columbia Eagle / Mutiny / Cambodia
https://tvnews.vande[...]
Vanderbilt Television News Archive
1970-03-16
[156]
뉴스
Two Who Say They Support S.D.S. Tell How They Hijacked Ship
https://www.nytimes.[...]
1970-03-26
[157]
뉴스
U.S. Asks Return of Ship
https://www.nytimes.[...]
1970-03-25
[158]
뉴스
Mutiny Involved 5: Captain
https://cdnc.ucr.edu[...]
1970-03-19
[159]
뉴스
U.S. Bomb Ship Seized in Mutiny: Anchored Off Cambodia
https://cdnc.ucr.edu[...]
Associated Press
1970-03-16
[160]
뉴스
2 American Ship Hijackers Want to Quit Cambodia
http://jfk.hood.edu/[...]
Hood College
1970-07-04
[161]
서적
Island X: Taiwanese Student Migrants, Campus Spies, and Cold War Activism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3
[162]
웹사이트
Pew Research Center: Generations Divide Over Military Action in Iraq
http://people-press.[...]
People-press.org
2011-03-07
[163]
서적
The Report of the President's Commission on Campus Unrest
http://www.eric.ed.g[...]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7-04-16
[164]
문서
Now the news
[165]
뉴스
Reports of Its Death Have Been Greatly Exaggerated
1971-04-25
[166]
뉴스
Protesters Fail to Stop Congress, Police Seize 1,146
1971-05-06
[167]
웹사이트
Statue of Liberty NM: An Administrative History (Chapter 1)
http://www.nps.gov/h[...]
United States National Park Service
2013-01-20
[168]
간행물
1973 World Almanac
[169]
뉴스
Students Picket Harrisburg Trial
1972-03-30
[170]
뉴스
Campus Outbreaks Spread
1972-04-19
[171]
뉴스
War Foes March in the Rain Here
1972-04-23
[17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1970s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173]
뉴스
Peaceful Antiwar Protests Held Here And in Other Cities Across the Nation
1972-05-14
[174]
문서
[175]
문서
[176]
서적
1990
[177]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9
[178]
서적
1990
[179]
간행물
On the Significance of Citizen Peace Activism: America, 1961–1975
Garland Publishing
2000
[180]
서적
1992
[181]
서적
1990
[182]
간행물
No War, No Welfare, and No Damm Taxation: The Student Libertarian Movement, 1968–1972
Praeger
2001
[183]
서적
The War That Never Ends: Student Opposition to the Vietnam War
University of Kentucky
[184]
서적
1990
[185]
서적
1990
[186]
웹사이트
"Hell no, we won't go!" The infamous chant is shouted by draft opponents in the streets of New York City.
https://www.flickr.c[...]
1967-12-06
[187]
서적
1992
[188]
서적
1992
[189]
서적
1990
[190]
서적
1990
[191]
서적
1992
[192]
뉴스
Hey! Hey! LBJ!
https://www.economis[...]
2017-09-07
[193]
서적
Ghost Platoon
https://books.google[...]
Hachette Australia
[194]
웹사이트
A LONG FRIENDSHIP - Why Vietnam made the president of India nostalgic
https://www.telegrap[...]
[195]
뉴스
Robert S. McNamara, Architect of a Futile War, Dies at 93
https://www.nytimes.[...]
2009-07-07
[196]
콘퍼런스
Where Service Begins
https://quaker.ca/ar[...]
Wider Quaker Fellowship, Philadelphia
[197]
간행물
'Two Sources of Antiwar Sentiment in America'
Garland Publishing
2000
[198]
간행물
Protest against the War in Vietnam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969
[199]
간행물
Protest against the War in Vietnam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969
[200]
간행물
Protest against the War in Vietnam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969
[201]
잡지
Life magazine: Remembering Martin Luther King Jr. 40 Years Later
Time Inc
[202]
서적
Manufacturing Consent: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Mass Media
Pantheon Books
2002
[203]
서적
Selma to Saigon: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4
[204]
서적
1992
[205]
뉴스
Beyond Vietnam
https://kinginstitut[...]
2019-10-30
[206]
서적
Selma to Saigon: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4
[207]
서적
Black Against Empire: The History and Politics of the Black Panther Par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8]
뉴스
Beyond Vietnam
https://kinginstitut[...]
2019-10-30
[209]
서적
1992
[210]
서적
American Reckoning: The Vietnam War and Our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Penguin
[211]
서적
From Civil Rights to Human Rights: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truggle for Economic Justi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12]
문서
[213]
문서
[214]
서적
Chaine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15]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16]
서적
Chains of Babylon: The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17]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18]
서적
The Making of Asian America: A History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19]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20]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21]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22]
서적
Chains of Babylon: Rise of Asian Americ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23]
간행물
War Music and the American Composer during the Vietnam Era
https://www.jstor.or[...]
The Musical Quarterly
1991
[224]
웹인용
The Vietnam War: A History in Song
https://www.historyt[...]
2020-03-10
[225]
웹인용
Vietnam War Song Project
https://rateyourmusi[...]
2020-03-10
[226]
문서
Room Full of Mirrors: a Biography of Jimi Hendrix
Hyperion
[227]
문서
'Scuse Me While I Kiss the Sky: Jimi Hendrix, Voodoo Child'
Atria
[228]
문서
Room Full of Mirrors: a Biography of Jimi Hendrix
Hyperion
[229]
문서
Room Full of Mirrors: a Biography of Jimi Hendrix
Hyperion
[230]
웹인용
Country Joe's Place
http://www.countryjo[...]
2015-06-16
[231]
문서
Battle Notes
Savage Press
[232]
간행물
The Vietnam War and American Music
https://www.jstor.or[...]
Social Text
1989
[233]
간행물
Bringing It All Back Home or Another Side of Bob Dylan: Midwestern Isolationist
https://www.jstor.or[...]
Journal of American Studies
1992
[234]
간행물
Bringing It All Back Home or Another Side of Bob Dylan: Midwestern Isolationist
https://www.jstor.or[...]
Journal of American Studies
1992
[235]
문서
The Politics of Protest: Social Movements 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36]
문서
Roots of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Garland Publishing
[237]
저널
Heads and Freaks: Patterns and Meanings of Drug Use Among Hippies
https://archive.org/[...]
1968-06
[238]
저널
Flight from violence: Hippies and the green rebellion
https://archive.org/[...]
1968
[239]
뉴스
1968 Democratic Convention
http://www.chicagotr[...]
2008-09-08
[240]
인용
Yippies, politics and the state
http://www.greenleft[...]
Green Left Weekly
1997-06-18
[241]
문서
[242]
웹인용
Vietnam Veterans Memorial Fund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vvmf.org[...]
2022-01-27
[243]
웹인용
A Student Organizer Recalls an Antiwar Protest · SHEC: Resources for Teachers
https://shec.ashp.cu[...]
2023-11-08
[244]
뉴스
Columbia's Radicals of 1968 Hold a Bittersweet Reunion
https://www.nytimes.[...]
2008-04-28
[245]
뉴스
'A party that had lost its mind': In 1968, Democrats held one of history's most disastrous conventions
https://www.washingt[...]
2018-08-24
[246]
웹인용
The Chicago Seven Conspiracy Trial: Historical Documents: Walker Report summary
http://www.fjc.gov/h[...]
[247]
웹인용
The May 1970 Student Strike at UW
http://depts.washing[...]
2017-04-30
[248]
인용
Nixon a Presidency Revealed
History Channel
2007-02-15
[249]
뉴스
F.B.I. Investigating Killing Of 2 Negroes in Jackson :Two Negro Students Are Killed In Clash With Police in Jackson
New York Times
1970-05-16
[250]
웹인용
May 1970 Student Antiwar Strikes – Mapping American Social Movements
https://depts.washin[...]
2020-01-22
[251]
웹인용
When bomb tore through Sterling Hall 50 years ago, he was inside: ‘I still have flashbacks’
https://news.wisc.ed[...]
2024-01-21
[252]
서적
Sights on the Sixtie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Press
[253]
서적
[254]
서적
The World Split Open: How the Modern Women's Movement Changed America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55]
서적
Sights on the Sixtie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Press
[256]
저널
The Goals of the National Welfare Rights Movement: Why We Need Them Thirty Years Later
https://archive.org/[...]
1998
[257]
웹인용
"There has always been a Black women's peace movement': Women of Colour and Anti-War Activism in the U.S., 1968-1972 – Frankie Chappell"
https://womenshistor[...]
2024-01-10
[258]
저널
The Radical Feminist Legacy of the National Welfare Rights Organization
2019
[259]
웹인용
At the Intersection of Race, Gender, and Class: Honoring the Revolutionary Feminist Legacy of the Third World Women's Alliance
https://www.blackwom[...]
2024-01-14
[260]
웹인용
GI Movement, 1968-1973: Special Section
https://depts.washin[...]
[261]
웹인용
Vietnam and the Soldiers' Revolt The Politics of a Forgotten History
https://monthlyrevie[...]
2016-06-01
[262]
웹사이트
Draft Dodger Rag
https://genius.com/P[...]
Genius website
2018-10-12
[263]
웹사이트
Alice's Restaurant Massacre
https://genius.com/A[...]
Genius website
2018-01-17
[264]
서적
1001 Ways to Beat the Draft
Oliver Layton Press
[265]
서적
The Collected Works, Volume II: Munro
Fantagraphics Books
[266]
서적
Manual for Draft-Age Immigrants to Canada
House of Anansi Press
[267]
서적
Handbook for Conscientious Objectors
Central Committe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268]
서적
Foley (2003)
[269]
서적
Foley (2003)
[270]
서적
SDS
Vintage Books / Random House
[271]
서적
In Struggle: SNCC and the Black Awakening of the 1960s
Harvard University Press
[272]
서적
Foley, 2003
[273]
서적
The Resistance
Beacon Press
[274]
서적
A Cultural History of the Radical Sixties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Routledge
[275]
서적
Confronting the War Machine: Draft Resistance During the Vietnam Wa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76]
간행물
Canada's Haven for Draft Dodgers
The Progressive
1968-01
[277]
서적
Forging Our Legacy: Canadian Citizenship and Immigration, 1900–1977
Public Works and Government Services Canada, Citizenship and Immigration Canada
[278]
저널
"'Hell, they're your problem, not ours': Draft Dodgers, Military Deserters and Canada-United States Relations in the Vietnam War Era"
https://journals.ope[...]
Open Edition
2018
[279]
웹인용
The Vietnam War Deserters Who Sought Asylum in Sweden
https://lithub.com/t[...]
lithub
2018-08-03
[280]
웹인용
DESERTERS IN SWEDEN: AN ODD LITTLE 'V.F.W. POST'
https://www.nytimes.[...]
1985-06-17
[281]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282]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283]
논문
"'The Sun Never Sets on the Activities of the CIA': Project Resistance at William and Mary"
[284]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285]
서적
Effects on Public Opinion Support During War or Conflict
https://apps.dtic.mi[...]
Naval Postgraduate School
[286]
서적
War Without Fronts: The USA in Vietnam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87]
웹인용
Is This the Worst Year in Modern American History?
https://www.theatlan[...]
2020-06-07
[288]
서적
The Sixties: Years of Hope, Days of Rage
https://archive.org/[...]
Bantam Books
[289]
뉴스
25 Years Later;Lessons From the Pentagon Papers
https://www.nytimes.[...]
2013-10-23
[290]
서적
A Grand Delusion: America's Descent Into Vietnam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91]
웹인용
Special Foreign Assistance Act of 1971 - P.L. 91-652
http://www.gpo.gov/f[...]
Legis★Works
1971-01-05
[292]
저널
The Stab-in-the-Back Legend and the Vietnam War
1988-04
[293]
저널
Ken Burns, the Vietnam War, and the purpose of history
2020
[294]
뉴스
1968 was no mere year
https://www.economis[...]
2021-06-29
[295]
뉴스
法大など10ヵ所捜索 火炎ビン・投石事件
1970-06-26
[296]
간행물
戦車の前に座り込め-1972年相模原闘争、そして-
さがみ新聞労働組合発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