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아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아키스는 멸종된 식육목의 속으로, 약 30cm 크기의 족제비와 유사한 외형을 가졌으며 북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했다. 낮은 두개골, 긴 몸통, 긴 꼬리, 짧은 다리 등 원시적인 특징을 보였으며, 44개의 이빨을 유지했다. 미아키스는 작은 포유류, 파충류, 조류 등을 포식하는 민첩한 숲 거주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아키스 속은 처음에는 다양한 종을 포함하는 다용도 분류군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많은 종들이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진기 유럽의 포유류 - 프로아일루루스
프로아일루루스는 2천만 년 전에서 1천만 년 전에 살았던 멸종된 고양이형 동물 속으로, 최초의 "진정한" 고양이이자 고양이과 전체의 조상으로 여겨지며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다양한 종들이 발견되었다. - 팔레오세의 포유류 - 플레시아다피스
플레시아다피스는 북아메리카에서 기원하여 유럽으로 이주한 초기 에오세의 멸종된 포유류 속으로, 한때 영장류로 여겨졌으나 계통 발생학적 분석을 통해 영장류와 날원류의 자매 그룹으로 밝혀졌으며, 수목 생활에 적응한 것으로 추정된다. - 187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하스트수리
하스트수리는 뉴질랜드에 서식했던 멸종된 대형 맹금류로, 흰점어깨수리, 쇠독수리와 가까운 관계이며, 모아를 주로 사냥했으나 마오리족의 등장과 모아의 멸종으로 멸종되었다. - 187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가타우마스
아가타우마스는 1872년 와이오밍 주에서 발견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한때 육상 동물 중 가장 큰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불확실한 분류로 트리케라톱스의 화석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아키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iacis |
명명자 | Cope, 1872 |
모식종 | †Miacis parvivorus |
모식종 명명자 | Cope, 1872 |
속칭 | 미아키스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상목 | 로라시아상목 |
(계통군) | 식육형류 |
상과 | 미아코이드상과 |
과 | 미아키스과 |
시간 척도 | |
화석 범위 | 초기에서 중기 에오세 |
하위 분류 | |
종 | †M. australis †"M." cognitus †M. deutschi †M. exiguus †M. gracilis †M. hargeri (Wortman, 1901) †M. hookwayi †M. latidens †"M." lushiensis †M. medius †M. parvivorus (모식종) †M. petilus †M. rosei †M. sylvestris †"M." thailandicus †M. washakius †M. winkleri |
종의 이명 | |
M. parvivorus | Viverravus parvivorus (Matthew, 1899) Vulpavus parvivorus (Cope, 1873) |
2. 계통 분류
다음은 식육목의 계통 분류이다.[34]
{| class="wikitable"
|-
! 식육목
|-
|
{| class="wikitable"
|-
! 고양이아목
|-
|
{| class="wikitable"
|-
| † 님라부스과
|-
|
† Stenoplesictidae |
† Percrocutidae ![]() |
|-
| 아프리카사향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고양이상과
|-
|
{| class="wikitable"
|-
| 아시아린상과
|-
|
† 바르보우로펠리스과 |
고양이과 ![]() |
|}
|-
! 사향고양이하목
|-
|
{| class="wikitable"
|-
| 사향고양이과
|-
! 몽구스상과
|-
|
{| class="wikitable"
|-
| 하이에나과
|-
|
|}
|}
|}
|}
|-
|개아목
|-
|
{| class="wikitable"
|-
| † 암피키온과
|-
| 개과
|-
! 곰하목
|-
|
{| class="wikitable"
|-
! 곰상과
|-
|
† 헤미키온과 |
곰과 ![]() |
|-
|
{| class="wikitable"
|-
! 기각류
|-
|
{| class="wikitable"
|-
| † 에날리아르크토스과
|-
|
{| class="wikitable"
|-
| 물범과
|-
|
물개과 ![]() |
바다코끼리과 ![]() |
|}
|}
|-
! 족제비상과
|-
|
{| class="wikitable"
|-
| 레서판다과
|-
|
{| class="wikitable"
|-
| 스컹크과
|-
|
아메리카너구리과 ![]() |
족제비과 ![]() |
|}
|}
|}
|}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1872년 처음 ''Miacis'' 속을 기재한 이후, 최소 20종 이상의 다른 종들이 ''Miacis''에 할당되었다. 그러나 이 종들은 일반적으로 미아키드류의 공유 파생 형질 외에는 몇 가지 형질 전환을 공유하지 않아, ''Miacis''는 다용도 분류군으로 취급되어 식육형상목 내 기저 그룹의 다양한 종들을 포함한다.[6] 원래 ''Miacis''에 할당된 많은 종들이 다른 속으로 재할당되었으며, 모식종인 ''Miacis parvivorus''를 제외한 나머지는 따옴표로 묶어 언급된다(예: ''"Miacis" latidens'').
다음 표는 이전에 ''Miacis''로 분류되었던 종들을 기재 연대순으로 나열하고, 다른 속으로 재할당된 현황을 보여준다.
종: | 유형 서식지: | 상태 및 참고 사항: |
---|---|---|
M. sylvestris [12] | 브리저 지층 (와이오밍, 미국) | 현재 하팔로돈(Harpalodon) 속, Harpalodon sylvestris[15][33] |
M. vulpinus [13] | 유인타 분지 (유타, 미국) | Amphicyon vulpinum으로 기재, 이후 Prodaphaenus 및 Miacis에 할당[16], 현재 Miocyon scotti의 동의어 |
M. uintensis [14] | 유인타 분지 (유타, 미국) | 현재 프로다파에누스(Prodaphaenus) 속, Prodaphaenus uintensis[10] |
M. hargeri [15] | 브리저 지층 (와이오밍, 미국) | Lycarion 속과 근연 |
M. washakius [15] | 브리저 지층 (와이오밍, 미국) | 현재 네오볼파부스(Neovulpavus) 속, Neovulpavus washakius[33] |
M. medius [16] | 브리저 지층 (와이오밍, 미국) | 현재 리카리온(Lycarion) 속, Lycarion medius[33] |
M. exiguus [17] | 클라크 포크 분지 (와이오밍, 미국) | Dormaalocyon 속과 근연 |
M. latidens [17] | 클라크 포크 분지 (와이오밍, 미국) | Miacis 속 외부 식육형상목 포유류 |
M. invictus [18] | 이르딘 만하 지층 (내몽골 자치구, 중국) | Miacis 속 외부 식육형상목 포유류 |
M. hookwayi [19] | 타포 캐년 (캘리포니아주, 미국) | Miacis 속 외부 식육형상목 포유류 |
M. gracilis [20] | 유인타 분지 (유타, 미국) | Miacis 속 외부 식육형상목 포유류 |
M. latouri [21] | 도르말 (플라망브라반트, 벨기에) | 현재 도르말로키온(Dormaalocyon) 속, Dormaalocyon latouri[31] |
M. lushiensis [22] | 상황 채석장 (장쑤성, 중국) | Miacis 속 외부 식육형상목 포유류 |
M. deutschi [23] | 클라크 포크 분지 (와이오밍, 미국) | Miacis 속 외부 식육형상목 포유류 |
M. petilus [23] | 클라크 포크 분지 (와이오밍, 미국) | Miacis 속 외부 식육형상목 포유류 |
M. winkleri [23] | 클라크 포크 분지 (와이오밍, 미국) | 현재 그라실로키온(Gracilocyon) 속 모식종 Gracilocyon winkleri[29] |
M. australis [24] | 라이플 레인지 할로우/블루 클리프 호라이즌 (텍사스, 미국) | 현재 암피키온과 안젤라르토키온(Angelarctocyon) 속, Angelarctocyon australis[25] |
M. cognitus [24] | 리브스 본베드 (텍사스, 미국) | 현재 암피키온과 구스타프소니아(Gustafsonia) 속, Gustafsonia cognita[25] |
M. thailandicus [26] | 크라비 (남태국) | 현재 시니위크티스(Xinyuictis) 속, Xinyuictis thailandicus |
M. boqinghensis [27] | 후오시포, 구오자좡 마을, 허디 지층 (중국) | Miacis 속 외부 식육형상목 포유류 |
M. rosei [1] | 와이오밍, 미국 | 현재 Gracilocyon 속, Gracilocyon rosei[29] |
M. rundlei [28] | 애비 우드, 잉글랜드, 영국 | 현재 Gracilocyon 속, Gracilocyon rundlei[31] |
M. solei [29] | 도르말 (플라망브라반트, 벨기에) | 현재 Gracilocyon 속, Gracilocyon solei[29] |
2. 1. 하위 분류
종: | 종의 분포 및 기준 산지: | 시대: |
---|---|---|
†M. 파르비보루스(parvivorus)[8] | 미국 | 5000만~4620만년 전 |
2. 2. 계통도
다음은 식육목의 계통 분류이다.[34]{| class="wikitable"
|-
! 식육목
|-
|
{| class="wikitable"
|-
! 고양이아목
|-
|
{| class="wikitable"
|-
| † 님라부스과
|-
|
† Stenoplesictidae |
† Percrocutidae |
|-
| 아프리카사향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고양이상과
|-
|
{| class="wikitable"
|-
| 아시아린상과
|-
|
† 바르보우로펠리스과 |
고양이과 |
|}
|-
! 사향고양이하목
|-
|
{| class="wikitable"
|-
| 사향고양이과
|-
! 몽구스상과
|-
|
{| class="wikitable"
|-
| 하이에나과
|-
|
|}
|}
|}
|}
|-
|개아목
|-
|
{| class="wikitable"
|-
| † 암피키온과
|-
| 개과
|-
! 곰하목
|-
|
{| class="wikitable"
|-
! 곰상과
|-
|
† 헤미키온과 |
곰과 |
|-
|
{| class="wikitable"
|-
! 기각류
|-
|
{| class="wikitable"
|-
| † 에날리아르크토스과
|-
|
{| class="wikitable"
|-
| 물범과
|-
|
물개과 |
바다코끼리과 |
|}
|}
|-
! 족제비상과
|-
|
{| class="wikitable"
|-
| 레서판다과
|-
|
{| class="wikitable"
|-
| 스컹크과
|-
|
아메리카너구리과 |
족제비과 |
|}
|}
|}
|}
|}
다음의 분기도는 미아키스 속의 계통 발생 관계를 보여준다.[30][31][32][33]
{| class="wikitable"
|-
| style="vertical-align:top;" |
{| class="wikitable"
|-
| 식육상목
|-
|
{| class="wikitable"
|-
| †'''Viverravidae'''
|-
|
†Viverravoidea |
? |
†식육상목 sp. (UALVP 50993 & UALVP 50994) |
? |
†Ravenictis |
|-
| '''?'''
|-
| †식육상목 sp. (''UALVP 31176'')
|-
| '''?'''
|-
| †식육상목 sp. (''USNM 538395'')
|-
| '''?'''
|-
| †''"Sinopa" insectivorus''
|-
| '''식육형류'''
|-
|
{| class="wikitable"
|-
| '''분기군 "B"'''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Eogale |
†"Miacis" sp. (CM 67873 & CM 77299) |
†Gracilocyon igniculus |
†Gracilocyon winkleri |
|-
| †''Gracilocyon solei''
|-
| †''Gracilocyon'' sp. (Jibou, Romania)
|-
|
†Gracilocyon rosei |
†Gracilocyon rundlei |
|-
| †''Paramiacis''
|-
| †''Paroodectes''
|-
| †''Oodectes jepseni''
|}
|-
| †''Oodectes herpestoides''
|-
| †''Oodectes proximus''
|-
| †''Oodectes pugnax''
|}
|-
| †''Uintacyon hookeri''
|}
|-
| †''Uintacyon rudis''
|}
|-
|
†Uintacyon massetericus |
†Uintacyon vorax |
|-
| †''Uintacyon asodes''
|-
| †''Uintacyon edax''
|-
|
†Uintacyon acutus |
†Uintacyon jugulans |
|-
|
†Uintacyon gingerichi |
†Xinyuictis |
|-
| †''Zodiocyon''
|-
|
†Miocyon |
†Simamphicyon |
|-
|
†Uintacyon sp. (USGS 1983) |
†Messelogale |
†Quercygalidae |
|}
|}
|-
| '''분기군 "C"'''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Palaearctonyx |
(†Phlaodectes) |
†Vulpavus ovatus ![]() |
|-
| †''Vulpavus profectus''
|-
|
†Vulpavus australis |
†Vulpavus canavus |
|}
|-
| †''Vulpavus completus''
|-
| †''Vulpavus farsonensis''
|-
| †''Vulpavus palustris''
|}
|-
| †''Vassacyon''
|}
|-
|
†Dormaalocyon ![]() |
†"Miacis" exiguus |
|}
|-
| †''"Miacis" deutschi''
|}
|-
| †''Africtis''
|-
| '''?'''
|-
| †식육형류 undet. Genus B
|-
| †''Dawsonicyon''
|-
| †''"Miacis" boqinghensis''
|-
| †''"Miacis" hookwayi''
|-
| †''"Miacis" latidens''
|-
| †''"Miacis" petilus''
|-
|
? |
†식육형류 undet. Genus A |
†'Miacis' |
†Miacis parvivorous ![]() |
|-
| '''분기군 "D"'''
|-
|
{| class="wikitable"
|-
|
†Lycarion |
†"Miacis" hargeri |
|-
| '''?'''
|-
| †''Ceruttia''
|-
| †''"Miacis" invictus''
|-
| †''"Miacis" lushiensis''
|-
| †''Neovulpavus''
|-
|
{| class="wikitable"
|-
|
†Harpalodon |
†Procynodictis |
|-
| †''Prodaphaenus''
|-
| '''?'''
|-
| †''Walshius''
|-
|
†"Miacis" gracilis |
†Tapocyon |
식육류 ![]() |
''미아키스''(Miacis)는 발톱이 다섯 개였고, 크기는 족제비 정도(약 30cm)였으며, 북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했다. 낮은 두개골, 길고 가느다란 몸통, 긴 꼬리, 짧은 다리 등과 같은 원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미아키스''는 44개의 이빨을 유지했지만, 이 수의 일부는 감소하는 과정에 있었고, 일부 이빨의 크기가 줄어들었다.
족제비 정도 크기(약 30cm)였던 미아키스는 북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했다. 낮은 두개골, 길고 가느다란 몸통, 긴 꼬리, 짧은 다리 등과 같은 원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미아키스는 44개의 이빨을 유지했지만, 일부 이빨은 크기가 줄어들거나 수가 감소하는 과정에 있었다.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Edward Drinker Cope)가 1872년 처음 ''Miacis'' 속을 기재한 이후, 최소 20종 이상의 다른 종들이 ''Miacis''에 할당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들은 일반적으로 미아키스류의 공유 파생 형질 이외에는 몇 가지 형질 전환을 공유하지 않는다. 이는 ''Miacis''가 다용도 분류군으로 취급되어 식육형상목 내에서 기저 그룹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6] 원래 ''Miacis''에 할당된 많은 종들이 다른 속으로 재할당되었으며, 모식종인 ''Miacis parvivorus''를 제외한 나머지 종들은 종종 따옴표로 묶어 언급된다(예: ''"Miacis" latidens'').
[1]
논문
Earliest Eocene Miacidae (Mammalia: Carnivora) from northwestern Wyoming
|}
|}
|}
|}
|}
|}
|}
3. 형태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길었고, 골반의 형태와 구조는 개와 유사했으며, 척추에 몇 가지 특화된 특징이 있었다. 숨겨지는 발톱, 등반에 적합한 민첩한 관절, 그리고 양안 시력을 가지고 있었다. ''미아키스''와 관련된 형태들은 크레오돈트보다 상대적으로 큰 뇌를 가지고 있었으며, 몸집에 비해 큰 뇌 크기는 아마도 지능의 증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많은 초기 육식동물처럼, 바늘처럼 날카로운 발톱, 현대 육식동물과 유사한 사지 및 관절을 갖춘 수목 생활 방식에 매우 적합했다. ''미아키스''는 작은 포유류, 파충류, 조류와 같은 작은 동물을 포식하고 알과 과일도 먹었을 가능성이 있는 매우 민첩한 숲 거주자였을 것이다.[7] 체장은 약 30cm이다. 길고 가느다란 몸통, 긴 꼬리, 짧은 다리 등은 족제비 혹은 현재 마다가스카르에만 서식하는 포사와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길고, 골반은 개에 가깝다. 사지 끝에는 숨길 수 있는 갈고리 발톱을 가진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었다. 이 손목뼈는 현생 육식동물과 달리 여러 뼈가 독립되어 있었다.
두개골은 높이가 낮지만, 동시대의 육치류 등보다 신체에 대한 비율이 큰 뇌두개골을 가지고 있었다. 치성은 거의 진수류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위턱의 마지막 대구치는 없다. 위턱 제4 소구치 및 아래턱 제1 대구치는 현생 육식동물과 유사한 열육치였다. 또한, 골성의 고실포는 가지고 있지 않다.
4. 생태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길었고, 골반의 형태와 구조는 개와 유사했으며, 척추에 몇 가지 특화된 특징이 있었다. 숨겨지는 발톱, 등반에 적합한 민첩한 관절, 그리고 양안 시력을 가지고 있었다. 미아키스와 관련된 형태들은 크레오돈트보다 상대적으로 큰 뇌를 가지고 있었으며, 몸집에 비해 큰 뇌 크기는 아마도 지능의 증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많은 초기 육식동물처럼, 미아키스는 바늘처럼 날카로운 발톱, 현대 육식동물과 유사한 사지 및 관절을 갖춘 수목 생활 방식에 매우 적합했다. 미아키스는 작은 포유류, 파충류, 조류와 같은 작은 동물을 포식하고 알과 과일도 먹었을 가능성이 있는 매우 민첩한 숲 거주자였을 것이다.[7]
당시 지상에는 히아이노돈 등 육치류가 포식자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신참인 이들은 수목에 머물렀다. 그 생태는 현생 텐과 같은 것으로 여겨지며, 아마도 조류나 파충류, 같은 수목 생활자인 파라미스나 프티로두스 등을 포식했을 것으로 보인다.
5. 분류 및 계통 발생의 역사
다음 표는 원래 기재된 연대순으로 이전의 ''Miacis'' 종들을 나열하고 다른 속으로의 재할당을 기록한다.종: 유형 서식지: 상태 및 참고 사항: M. sylvestris [12] 브리저 지층 (Wyoming|와이오밍영어, 미국) 현재 하팔로돈(Harpalodon) 속으로 Harpalodon sylvestris로 할당됨[15][33] M. vulpinus [13] 유인타 분지 (Utah|유타영어, 미국) Amphicyon vulpinum으로 기재됨; 나중에 Prodaphaenus 및 Miacis에 할당됨;[16] 현재 Miocyon scotti의 동의어로 인식됨 M. uintensis [14] 유인타 분지 (Utah|유타영어, 미국) 현재 프로다파에누스(Prodaphaenus) 속으로 Prodaphaenus uintensis로 할당됨[10] M. hargeri [15] 브리저 지층 (Wyoming|와이오밍영어, 미국) Lycarion 속과 가까운 친척으로 인식됨 M. washakius [15] 브리저 지층 (Wyoming|와이오밍영어, 미국) 현재 네오볼파부스(Neovulpavus) 속으로 Neovulpavus washakius로 할당됨[33] M. medius [16] 브리저 지층 (Wyoming|와이오밍영어, 미국) 현재 리카리온(Lycarion) 속으로 Lycarion medius로 할당됨[33] M. exiguus [17] 클라크 포크 분지 (Wyoming|와이오밍영어, 미국) Dormaalocyon 속과 가까운 친척으로 인식됨 M. latidens [17] 클라크 포크 분지 (Wyoming|와이오밍영어, 미국) Miacis 속 외부의 식육형상목 포유류 종으로 분류됨 M. invictus [18] 이르딘 만하 지층 (내몽골 자치구, 중국) Miacis 속 외부의 식육형상목 포유류 종으로 분류됨 M. hookwayi [19] 타포 캐년 (캘리포니아주, 미국) Miacis 속 외부의 식육형상목 포유류 종으로 분류됨 M. gracilis [20] 유인타 분지 (Utah|유타영어, 미국) Miacis 속 외부의 식육형상목 포유류 종으로 분류됨 M. latouri [21] 도르말 (Flämisch-Brabant|플라망브라반트프랑스어, 벨기에) 현재 도르말로키온(Dormaalocyon) 속으로 Dormaalocyon latouri로 할당됨[31] M. lushiensis [22] 상황 채석장 (장쑤성, 중국) Miacis 속 외부의 식육형상목 포유류 종으로 분류됨 M. deutschi [23] 클라크 포크 분지 (Wyoming|와이오밍영어, 미국) Miacis 속 외부의 식육형상목 포유류 종으로 분류됨 M. petilus [23] 클라크 포크 분지 (Wyoming|와이오밍영어, 미국) Miacis 속 외부의 식육형상목 포유류 종으로 분류됨 M. winkleri [23] 클라크 포크 분지 (Wyoming|와이오밍영어, 미국) 현재 그라실로키온(Gracilocyon) 속으로 모식종 Gracilocyon winkleri로 할당됨[29] M. australis [24] 라이플 레인지 할로우 또는 블루 클리프 호라이즌 (텍사스, 미국) 현재 암피키온과의 안젤라르토키온(Angelarctocyon) 속으로 Angelarctocyon australis로 할당됨[25] M. cognitus [24] 리브스 본베드 (Texas|텍사스영어, 미국) 현재 암피키온과의 구스타프소니아(Gustafsonia) 속으로 Gustafsonia cognita로 할당됨[25] M. thailandicus [26] 크라비 (남태국) 현재 시니위크티스(Xinyuictis) 속으로 Xinyuictis thailandicus로 할당됨 M. boqinghensis [27] 후오시포, 구오자좡 마을, 허디 지층 (중국) Miacis 속 외부의 식육형상목 포유류 종으로 분류됨 M. rosei [1] Wyoming|와이오밍영어, 미국 현재 Gracilocyon 속으로 Gracilocyon rosei로 할당됨[29] M. rundlei [28] 애비 우드, 잉글랜드, 영국 현재 Gracilocyon 속으로 Gracilocyon rundlei로 할당됨[31] M. solei [29] 도르말 (Flämisch-Brabant|플라망브라반트프랑스어, 벨기에) 현재 Gracilocyon 속으로 Gracilocyon solei로 할당됨[29]
다음은 식육목의 계통 분류이다.[34]
{| class="wikitable"
|-
! colspan="2" | 식육목
|-
| colspan="2" | 고양이아목
|-
|
|{|
|-
| 님라부스과
|-
|Stenoplesictidae Percrocutidae
|-
| 아프리카사향고양이과
|-
|{|
! colspan="2" | 고양이상과
|-
|
|{|
|-
| 아시아린상과
|-
|바르보우로펠리스과 고양이과
|}
|}
|-
! colspan="2" | 사향고양이하목
|-
|
|{|
|-
| 사향고양이과
|-
! colspan="2" | 몽구스상과
|-
|
|{|
|-
| 하이에나과
|-
|
|}
|}
|}
|-
! colspan="2" | 개아목
|-
|
|{|
|-
| 암피키온과
|-
| 개과
|-
! colspan="2" | 곰하목
|-
|
|{|
! colspan="2" | 곰상과
|-
|
|헤미키온과 곰과
|-
! colspan="2" | 기각류
|-
|
|{|
|-
| 에날리아르크토스과
|-
|{|
|-
| 물범과
|-
|물개과 바다코끼리과
|}
|}
|-
! colspan="2" | 족제비상과
|-
|
|{|
|-
| 레서판다과
|-
|{|
|-
| 스컹크과
|-
|아메리카너구리과 족제비과
|}
|}
|}
|}
|}
참조
[2]
간행물
The ancestry of certain members of the Canidae, the Viverridae, and Procyonidae.
https://digitallibra[...]
[3]
간행물
On some Eocene mammals, obtained by Hayden's Geological Survey of 1872.
https://upload.wikim[...]
[4]
서적
Classification of Mammals Above the Species Level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5-03-16
[5]
서적
Early Cenozoic Carnivora ("Miacoide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논문
Phylogeny of the Carnivora: basal relationships among the Carnivoramorphans, and assessment of the position of 'Miacoidea' relative to Carnivora
[7]
서적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Marshall Editions
[8]
간행물
Third account of new Vertebrata from the Bridger Eocene of Wyoming Territory.
https://www.biodiver[...]
[9]
간행물
New species of Uinta Carnivora from White River, Utah.
https://www.ajsonlin[...]
[10]
간행물
Middle Eocene Carnivoramorpha of the Uinta Basin, Utah”.
https://static1.squa[...]
[11]
간행물
Earliest Eocene mammalian fauna from the Paleocene-Eocene Thermal Maximum at Sand Creek Divide, southern Bighorn Basin, Wyoming.
https://deepblue.lib[...]
[12]
간행물
Preliminary description of new Tertiary mammals. Part II.
https://www.ajsonlin[...]
[13]
간행물
Preliminary Report on the Vertebrate Fossils of the Uinta Formation, Collected by the Princeton Expedition of 1886.
https://www.biodiver[...]
[14]
간행물
Fossil mammals of the Uinta Basin. Expedition of 1894.
https://digitallibra[...]
[15]
간행물
Studies of Eocene Mammalia in the Marsh Collection, Peabody Museum.
https://www.biodiver[...]
[16]
간행물
The Carnivora and Insectivora of the Bridger Basin, middle Eocene.
https://digitallibra[...]
[17]
간행물
A revision of the Lower Eocene Wasatch and Wind River faunas.
https://digitallibra[...]
[18]
간행물
New mammals from the Irdin Manha Eocene of Mongolia.
https://digitallibra[...]
[19]
간행물
New creodonta from the Sespe upper Eocene, California.
https://www.pnas.org[...]
[20]
간행물
"''Miacis gracilis'', a new carnivore from the Uinta Eocene."
https://www.biodiver[...]
[21]
간행물
Les mammifères du Landénien continental belge, second tome. Etude de la morphologie dentaire comparée des carnivores de Dormaal.
https://biblio.natur[...]
[22]
논문
Some Carnivores from the Eocene of China
http://www.ivpp.cas.[...]
[23]
간행물
Systematics of Early Eocene Miacidae (Mammalia, Carnivora) in the Clark's Fork Basin, Wyoming.
https://deepblue.lib[...]
[24]
간행물
Carnivorous mammals of the Late Eocene and Early Oligocene of Trans-Pecos Texas.
https://www.research[...]
[25]
논문
Whence the beardogs? Reappraisal of the Middle to Late Eocene 'Miacis' from Texas, USA, and the origin of Amphicyonidae (Mammalia, Carnivora)
[26]
문서
A lower Tertiary vertebrate fauna from Krabi (South Thailand).
[27]
간행물
A new ''Miacis'' (Mammalia Carnivora, Miacidae) from the Middle Eocene of Yuanqu Basin, Shanxi Province.
http://www.vertpala.[...]
[28]
논문
"The mammal fauna of the early Eocene Blackheath Formation of Abbey Wood, London"
https://www.tandfonl[...]
Palaeontographical Society
[29]
논문
A New Genus of "Miacid" Carnivoran from the Earliest Eocene of Europe and North America
[30]
서적
Carnivoran evolution. New views on phylogeny, form and func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논문
Dental and tarsal anatomy of ''Miacis latouri'' and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earliest carnivoraforms (Mammalia, Carnivoramorpha)
[32]
논문
New carnivoraforms from the latest Paleocene of Europe and their bearing on the origin and radiation of Carnivoraformes (Carnivoramorpha, Mammalia)
[33]
논문
Carnivorous mammals from the middle Eocene Washakie Formation, Wyoming, USA, and their diversity trajectory in a post-warming world
[34]
저널
Pattern and timing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