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사향고양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회색에서 짙은 갈색을 띠며 등에 어두운 반점이 있는 포유류이다. 짧은 다리와 긴 꼬리, 몸에 비해 작은 귀를 가지고 있으며, 하복부에 위치한 향기샘을 통해 영역 표시를 한다.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에 분포하며, 숲, 사바나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주로 야행성이며 과일, 소형 포유류, 곤충 등을 먹는다. 서식지 감소와 사냥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이아목 - 사향고양이하목
사향고양이하목은 식육목의 하위 분류군으로 사향고양이과와 몽구스상과를 포함하며, 고양이상과와 개아목 사이의 계통학적 위치에서 식육목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고양이아목 - 몽구스상과
몽구스상과는 식육목 고양이아목에 속하며, 하이에나과, 몽구스과, 마다가스카르식육과를 포함하고 사향고양이과와 자매군 관계이다. - 1830년 기재된 포유류 - 쿼카
쿼카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동물'이라는 별명을 가진 캥거루과 동물로, 서호주 남서부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고, 웃는 모습의 사진들이 인기를 얻어 '쿼카 셀카' 열풍을 일으키기도 했다. - 1830년 기재된 포유류 - 벌거숭이궁둥이무덤박쥐
벌거숭이궁둥이무덤박쥐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걸쳐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분포하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사회적인 행동을 보이는 야행성 동물로, 서식지 파괴와 살충제 사용으로 인해 IUCN에 의해 멸종 위기 근접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 콩고 공화국의 포유류 - 물영양
물영양은 소과에 속하는 아프리카 포유류로, 물에 대한 의존성이 높고 수컷은 뿔을 가지며, 무리 생활을 하며 초식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이다. - 콩고 공화국의 포유류 - 코브
코브는 아프리카 영양의 일종으로, 임팔라와 비슷하지만 더 튼튼하며 수컷은 S자 뿔을 가지고 있고, 서아프리카에서 동아프리카에 걸쳐 물가 주변 초원에 무리 생활을 하며, 일부 아종은 사냥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아프리카사향고양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아목 | 고양이아목 |
상과 | 난디니아상과 |
과 | 키노보리자코우네코과 (Nandiniidae) |
속 | 키노보리자코우네코속 (Nandinia) |
일반 정보 | |
학명 | Nandinia binotata (Gray, 1830) |
이명 | Viverra binotata Gray, 1830 |
한국어 이름 | 키노보리자코우네코 |
영어 이름 | African palm civet Two-spotted palm civet Tree civet |
![]() | |
분포 | |
![]() | |
보존 상태 | |
IUCN রেড লিস্ট | LC |
평가 기준 | IUCN3.1 |
2. 특징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털 색깔, 반점, 줄무늬, 귓바퀴, 치열, 발톱 등 형태적 특징과 냄새 분비, 외이도, 맹장 없음 등 생리적 특징을 가진다. 암수 성체의 크기는 서로 다르다.[3][4][27][31][40][41]
2. 1. 형태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회색에서 짙은 갈색을 띠며 등에 어두운 반점이 있다. 다리는 짧고, 귀는 작으며, 몸은 날씬하고, 꼬리는 길고 고리 모양이다. 하복부와 각 발의 세 번째와 네 번째 발가락 사이에 두 쌍의 향기샘이 있어 영역 표시와 짝짓기에 사용되는 강한 냄새가 나는 물질을 분비한다. 외이도는 분리되지 않고 끝이 연골로 되어 있다.[4] 전신은 짧은 털로 빽빽하게 덮여 있다. 등쪽의 털 색깔은 황회색이나 갈색이며, 털끝은 황갈색이나 적갈색이다. 복부의 털 색깔은 밝은 회색이며, 털끝은 노란색이다.
머리에서 목 부분까지 3개의 불분명한 암갈색 세로 줄무늬, 등에는 세로 줄무늬 모양의 암갈색 반점이 늘어서 있다.[27] 어깨에는 좌우에 2개씩 흰색이나 옅은 노란색 반점이 들어가 있으며,[31] 영명(two-spotted=2개의 반점이 있음)의 유래가 되었다.[27] 꼬리 등쪽에는 12-15개의 검은 가로 줄무늬가 들어간다. 귓바퀴는 작고 둥글다. 치아는 앞니가 위아래 6개, 송곳니가 위아래 2개, 작은 어금니가 위아래 8개, 큰 어금니가 위아래 4개로 총 40개이다. 앞니는 작고, 송곳니는 발달한다. 맹장이 없다.[27] 외이도는 분기되지 않으며, 끝은 연골 모양이다.[40] 생식기 앞쪽(회음선), 셋째와 넷째 발가락 사이에 2쌍의 취선이 있다.[31]
사지는 짧고, 첫째 발가락은 둘째~다섯째 발가락과 떨어져 있다. 발톱은 굽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27] 영역 표시를 위해 또는 교미 시에 사용하는 강한 냄새가 나는 물질을 분비한다.
암컷 성체의 몸길이는 37cm에서 61cm에 이르며, 꼬리는 34cm에서 70cm 길이에 몸무게는 1.2kg에서 2.7kg이다. 수컷 성체의 몸길이는 39.8cm에서 62.5cm에 꼬리는 43cm에서 76.2cm 길이에 몸무게는 1.3kg에서 3kg이다.[3][41]
2. 2. 생리적 특징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회색에서 짙은 갈색을 띠며 등에 어두운 반점이 있다. 다리는 짧고, 귀는 작으며, 몸은 날씬하고, 꼬리는 길고 고리 모양이다. 하복부와 각 발의 세 번째와 네 번째 발가락 사이에 두 쌍의 향기샘이 있어 영역 표시와 짝짓기에 사용되는 강한 냄새가 나는 물질을 분비한다. 암컷 성체의 몸길이는 37cm에서 61cm에 이르며, 꼬리는 34cm에서 70cm 길이에 몸무게는 1.2kg에서 2.7kg이다. 수컷 성체의 몸길이는 39.8cm에서 62.5cm에 꼬리는 43cm에서 76.2cm 길이에 몸무게는 1.3kg에서 3kg이다.[3]
아프리카사향고양이의 외이도는 분리되지 않고 끝이 연골로 되어 있다.[4]
3. 분포 및 서식지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기니에서 남수단까지, 그리고 남쪽으로는 앙골라, 동쪽으로는 짐바브웨에 이르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분포한다. 해발 2500m까지의 낙엽수림, 저지대 열대 우림, Gallery forest|갤러리 숲영어, 강변 숲, 사바나 숲, 벌채된 숲 등에서 서식한다.[1]
3. 1. 주요 서식 국가 및 지역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기니에서 남수단에 이르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 앙골라 남부, 그리고 짐바브웨 동부까지 분포한다. 낙엽성림, 저지대 우림, 갤러리 숲과 강변 숲, 사바나 삼림, 벌채림 등 해발 2500m까지의 지역에서 기록되었다.[1]1950년대에 비오코 섬에서 한 개체가 야생에서 포획되었다.[5] 그러나 1986년부터 2015년까지의 후속 조사에서는 섬에서 기록되지 않았다.[6]
국가 | 지역 | 관찰 기록 |
---|---|---|
기니 | 상 니제르 국립공원 |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실시된 조사에서 기록되었다.[7] |
세네갈 | 니오콜로-코바 국립공원 | 2000년에 관찰되었다. 이곳은 주로 목초가 우세한 개방된 서식지를 포함한다.[8] |
가봉 | 무칼라바-두두 국립공원 | 2012년 카메라 트랩 조사를 통해 삼림 지역에서 기록되었다.[9] |
바테케 고원 국립공원 | 2014년 6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실시된 조사에서 Mpassa 강 서쪽에서만 기록되었다.[10] | |
라이베리아 | 상부 기니 숲 | 2013년 조사에서 그바르폴루 카운티와 봉 카운티에서 목격되었다.[11] |
잔지바르 | 웅구자 섬 | 2003년 지하수 숲에서 기록되었다.[12] |
4. 생태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야행성 또는 황혼성 동물이며,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 수관에 있는 덩굴 식물의 큰 가지에서 생활하며, 과일을 주로 먹지만, 소형 포유류, 조류 및 그 알, 곤충 등도 먹는다.[27][31]
수컷과 암컷의 행동권은 차이가 있으며, 우세한 수컷의 행동권에는 여러 암컷의 행동권이 포함된다.[13] 영역을 지키기 위해 나무에 냄새를 표시하며, 암컷을 두고 싸움이 벌어지기도 한다.[27][31]
가봉에서는 9월에서 1월 사이에 번식하며, 임신 기간을 거쳐 새끼를 낳는다.[13] 젖을 먹이는 동안 암컷의 유선에서 특별한 액체가 분비되어 털 색깔을 변화시킨다. 세대 시간은 7.8년이다.[14]
4. 1. 행동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주로 야행성 수목형 포유류로, 나무의 수관에 있는 큰 나뭇가지나 덩굴 사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과일식성으로 아프리카 코르크나무 (''Musanga cecropioides''), ''Uapaca'', 감 (''Diospyros hoyleana''), 무화과 (''Ficus''), 파파야 (''Carica papaya''), 바나나 (''Musa'') 등의 과일을 섭취한다.[13] 소형 포유류, 조류 및 그 알, 곤충 등도 먹는다.[27][31] 나무 위의 과실은 뒷다리와 꼬리로 몸을 나뭇가지에 지탱하면서 앞다리로 붙잡아 먹는다.수컷의 행동권은 약 88.06km2에서 약 396.27km2이며, 암컷은 약 75.11km2에서 약 181.30km2이다. 우세한 수컷의 행동권은 여러 암컷의 행동권을 포함한다.[13] 영역 내 나무에 냄새샘이 있는 아랫배와 발바닥을 비벼서 영역을 주장한다. 발정된 암컷을 두고 동종 간에 격렬하게 싸우는 경우도 있으며, 상대를 죽이는 경우도 있다.[27][31]
가봉에서 암컷은 9월에서 1월 사이의 긴 우기 및 건기 초에 새끼를 낳는 것으로 기록되었다.[13] 암컷은 보통 2~3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수목의 굴에서 한 번에 3-4마리(주로 2마리)의 어린 개체를 낳는다.[27] 한 배에는 최대 4마리의 새끼가 있으며, 약 3개월 동안 젖을 먹는다. 수유 기간은 6개월이다.[31] 젖을 먹이는 동안 암컷의 유선에서는 주황색-노란색 액체가 생성되어 복부와 새끼 사향고양이의 털을 변색시킨다. 세대 시간은 7.8년이다.[14]
5. 분류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1830년에 레이던의 한 박물관에서 얻은 동물 표본을 바탕으로 아프리카사향고양이를 ''Viverra binotata''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술했다.[15] 1843년에는 속 ''Nandinia''를 제안하고 ''Viverra binotata''를 이 속으로 옮겼다.[16] 1929년, 레지널드 인네스 포코크는 ''Nandinia'' 속만을 포함하는 Nandiniidae과를 제안하면서, 아프리카사향고양이가 고양이아목의 다른 종들과 귀의 통로 및 유양돌기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4]
형태학적, 분자 유전학적 분석 결과,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사향고양이과와는 다른 계통으로, 고양이형상류에서 분기된 것으로 나타났다.[17] 이는 유전적으로 가장 고립된 식육목 동물 중 하나이며, 전체 상과 내에서 유일한 종이다.
5. 1. 계통 분류
다음은 식육목의 계통 분류이다.[51]
1830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레이던의 한 박물관에서 얻은 동물 표본을 바탕으로 아프리카사향고양이를 ''Viverra binotata''라는 이름으로 기술했다.[15] 1843년, 그레이는 속 ''Nandinia''를 제안하고 ''Viverra binotata''를 이 속으로 편입시켰다.[16] 1929년, 레지널드 인네스 포코크는 Nandiniidae과를 제안하며, ''Nandinia'' 속을 유일한 구성원으로 지정했다. 그는 아프리카사향고양이가 고양이아목과는 귀의 통로와 유양돌기의 구조와 형태에서 다르다고 주장했다.[4]
형태학 및 분자 유전학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사향고양이과와 다르며, 고양이형상류에서 분기되었다.[17] 이는 유전적으로 가장 고립된 식육목으로, 전체 상과 내에서 유일한 종이다.
아프리카사향고양이의 계통 관계는 다음 분기도에 나타나 있다:[5]
5. 2. 하위 분류
1830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라이덴의 박물관에서 입수한 표본을 바탕으로, ''Viverra binotata''라는 이름으로 기술하였다.[25] 1843년, 그레이는 사향고양이속 ''Nandinia''를 제안하고, 본종을 분류했다.[26] 속명은 서식지에서의 호칭인 "nandine"에서 유래했다.[27] 1929년, 레지날드 인스 포코크는 사향고양이속만이 분류되는 사향고양이과를 제안했다. 사향고양이는 귀관과 측두골 유두부의 구조에 의해 고양이상과와 다르다고 주장했다.[40] 종래에는 사향고양이나 빈투롱과 근연한 사향고양이과 팜시벳아과로 분류되어 왔지만,[27]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에 따라 고양이형아목에서 사향고양이과나 고양이과보다 더 계통수의 근본에 가까운 곳에서 갈라져 진화한 것으로 밝혀졌으며,[28] 약 4450만 년 전에 고양이상과에서 분기된 것으로 나타났다.[29] 식육목 중에서 유전적으로 가장 고립되어 있으며, 단형의 상과를 구성한다.다음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30][41]
아종 | 명명자 및 명명년도 |
---|---|
Nandinia binotata arborea | Heller, 1913년 |
Nandinia binotata binotata | (Gray, 1830) |
Nandinia binotata gerrardi | Thomas, 1893년 |
Nandinia binotata intensa | Cabrera & Ruxton, 1926년 |
6. 위협 요인 및 보존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서식지 감소와 부시미트를 위한 사냥으로 인해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23]
6. 1. 구체적인 위협 사례
아프리카사향고양이는 서식지 감소와 사냥으로 인해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1] 2006년에는 나이지리아에서 연간 4,300마리 이상, 크로스-사나가-비오코 해안 숲의 카메룬 지역에서 약 3,300마리의 아프리카사향고양이가 사냥된 것으로 추정된다.[18]1997년 봄, 기니의 상부 니제르 국립공원 인근 마을의 사냥고기 시장에서 죽은 아프리카사향고양이가 발견되었다.[19] 2007년에는 베냉 남부 보히콘과 단토크파 시장에서 말린 아프리카사향고양이 머리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동물 의례에서 부적처럼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20]
가나의 시골 사람들은 아프리카사향고양이를 식량 자원과 어린이의 안전을 위협하는 존재로 여겨 적대적인 태도를 보인다.[21] 가봉에서는 사냥고기 시장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소형 육식동물 중 하나이다.[22]
생물 다양성 핫스팟으로 여겨지는 라이베리아의 상부 기니 숲은 이미 두 구획으로 분열되었다. 이 숲은 상업적인 벌목과 채굴 활동, 그리고 외국 회사의 양허를 통한 대규모 기름 야자 농장 조성 등으로 인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11]
참조
[1]
iucn
"''Nandinia binotata''"
2021-11-02
[2]
MSW3
[3]
book
The Mammals of Africa. V. Carnivores, Pangolins, Equids and Rhinoceroses
Bloomsbury
[4]
encyclopedia
[5]
book
Die Wirbeltierfauna von Fernando Po und Westkamerun
Bonner Zoologische Monographien 3
[6]
journal
A review of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Two-spotted Palm Civet ''Nandinia binotata'' and four other small carnivores on Bioko, Equatorial Guinea
https://www.research[...]
[7]
journal
High mammalian diversity in the newly established National Park of Upper Niger, Republic of Guinea
2002
[8]
journal
Chimpanzees (''Pan troglodytes verus'') and their mammalian sympatriates: Mt. Assirik, Niokolo-Koba National Park, Senegal
[9]
journal
Inventorying medium-and large-sized mammals in the African lowland rainforest using camera trapping
[10]
journal
A camera trap assessment of the forest mammal community within the transitional savannah-forest mosaic of the Batéké Plateau National Park, Gabon
[11]
journal
Current conservation status of large mammals in Sime Darby Oil Palm Concession in Liberia
https://www.research[...]
[12]
journal
A new range record for the African palm civet ''Nandinia binotata'' (Carnivora, Viverridae) from Unguja Island, Zanzibar
[13]
journal
Écologie et vie sociale de ''Nandinia binotata'' (Carnivores, Viverridés): Comparaison avec les prosimiens sympatriques du Gabon
[14]
journal
Generation length for mammals
[15]
book
Spicilegia zoologica; or, original figures and short systematic descriptions of new and unfigured animals
Treuttel, Würtz
[16]
book
List of the Specimens of Mammalia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17]
journal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2010
[18]
journal
Getting to grips with the magnitude of exploitation: bushmeat in the Cross–Sanaga rivers region, Nigeria and Cameroon
https://www.research[...]
[19]
journal
High mammalian diversity in the newly established National Park of Upper Niger, Republic of Guinea
[20]
journal
Small carnivorans from southern Benin: a preliminary assessment of diversity and hunting pressure
https://www.research[...]
[21]
journal
Proximity in a Ghanaian savanna: Human reactions to the African palm civet ''Nandinia binotata''
[22]
journal
Notes on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small carnivores in Gabon
[23]
iucn
"''Nandinia binotata''"
2024-12-09
[24]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2018
[25]
book
Spicilegia zoologica; or, original figures and short systematic descriptions of new and unfigured animals
Treuttel, Würtz
[26]
book
List of the Specimens of Mammalia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27]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2 (食肉目)
東京動物園協会
1991
[28]
문서
長谷川 (2011), pp.103-104
[29]
journal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2010
[30]
웹사이트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31]
서적
動物大百科1 食肉類
平凡社
1986
[32]
book
Die Wirbeltierfauna von Fernando Po und Westkamerun
Bonner Zoologische Monographien 3
[33]
journal
A review of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Two-spotted Palm Civet ''Nandinia binotata'' and four other small carnivores on Bioko, Equatorial Guinea
https://www.research[...]
[34]
journal
High mammalian diversity in the newly established National Park of Upper Niger, Republic of Guinea
2002
[35]
journal
Chimpanzees (''Pan troglodytes verus'') and their mammalian sympatriates: Mt. Assirik, Niokolo-Koba National Park, Senegal
[36]
논문
Inventorying medium-and large-sized mammals in the African lowland rainforest using camera trapping
[37]
논문
A camera trap assessment of the forest mammal community within the transitional savannah-forest mosaic of the Batéké Plateau National Park, Gabon
[38]
논문
Current conservation status of large mammals in Sime Darby Oil Palm Concession in Liberia
https://www.research[...]
[39]
논문
A new range record for the African palm civet ''Nandinia binotata'' (Carnivora, Viverridae) from Unguja Island, Zanzibar
[40]
간행물
Carnivora
[41]
서적
The Mammals of Africa. V. Carnivores, Pangolins, Equids and Rhinoceroses
Bloomsbury
[42]
논문
Écologie et vie sociale de ''Nandinia binotata'' (Carnivores, Viverridés): Comparaison avec les prosimiens sympatriques du Gabon
[43]
논문
Generation length for mammals
[44]
논문
Getting to grips with the magnitude of exploitation: bushmeat in the Cross–Sanaga rivers region, Nigeria and Cameroon
https://www.research[...]
[45]
논문
High mammalian diversity in the newly established National Park of Upper Niger, Republic of Guinea
[46]
논문
Small carnivorans from southern Benin: a preliminary assessment of diversity and hunting pressure
https://www.research[...]
[47]
논문
Proximity in a Ghanaian savanna: Human reactions to the African palm civet ''Nandinia binotata''
[48]
논문
Notes on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small carnivores in Gabon
[49]
문서
MSW3 Wozencraft
[50]
문서
Nandinia binotata
[51]
저널 인용
Pattern and timing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