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곰은 척추동물 문 식육목 곰과에 속하는 포유류를 통칭하는 말이다. 곰은 웅녀 설화처럼 한국 문화와 역사가 깊으며, 영어 'bear'는 고대 게르만어에서 유래했다. 곰은 종에 따라 크기가 다양하며, 북극곰이 가장 크고 말레이곰이 가장 작다. 곰은 단독 생활을 하며, 번식기에는 암컷과 수컷이 함께 지낸다. 곰은 인간과 오랫동안 다양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사냥, 식용, 약용 등으로 이용되었고, 곰의 신체 부위는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곰은 예술, 문학, 신화에서도 중요한 소재로 사용되며,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 등 별자리의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곰은 서식지 침범, 불법 거래 등으로 위협받고 있으며, 멸종된 곰의 종류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식자 - 말벌
말벌은 사회성 곤충으로 종이 펄프로 둥지를 만들고 애벌레에게 먹이를 주며, 붉은 주황색 날개와 갈색, 노란색 줄무늬 배를 가지고 암컷만 독침이 있으며, 유라시아 원산으로 북미 등에도 유입되어 꿀벌을 사냥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로 보호받는다. - 포식자 - 기각류
기각류는 지느러미 모양 발을 가진 식육목 포유류로, 물범과, 바다사자과, 바다코끼리과로 구성되며, 수중 생활 적응을 통해 해양 환경에 널리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진다. - 곰과 - 불곰
불곰은 곰과에 속하는 잡식성 동물로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서식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여러 아종으로 나뉘며, 곰아과에 속하는 다른 곰들과 계통적으로 가깝다. - 곰과 - 안경곰
안경곰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안경처럼 보이는 무늬가 특징적인 곰으로, 안데스 산맥에 주로 분포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인 취약종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Ursidae G. 피셔 드 발트하임, 1817 |
속(屬) | Ursus |
속(屬) 명명자 | Linnaeus, 1758 |
과(科) | 식육목 |
아목 | 이누아목 |
하목 | 쿠마하목 |
소목 | 쿠마소목 Ursida Tedford, 1976 |
분류군 | 쿠마과 Ursidae |
명명자 | Waldheim, 1817 |
동의어 | Ailuropodidae Pocock, 1916 Ursinidae Gray, 1821 |
한국어 이름 | 쿠마과 |
멸종 위기 등급 | 워싱턴 조약 부속서 II |
분포 시기 | 에오세 후기 - 현재 |
로마자 표기 | ˈɜːrsɪdiː,_|-|d aɪ |
아과(亞科) |
2. 어원
영어 단어 "bear"는 고대 영어 ''bera|베라ang''에서 유래하며, 게르만어족에서 곰을 지칭하는 여러 단어들과 관련이 있다. 이 형태는 "갈색"을 의미하는 프로토-인도-유럽어 단어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져 왔으며, "bear"는 "갈색의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된다.[1][2] 그러나 링은 이 어원이 의미적으로는 타당하지만, 프로토-인도-유럽어에서 이러한 형태의 "갈색"을 의미하는 단어는 찾을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bear"가 프로토-인도-유럽어 단어 ''*ǵʰwḗr- ~ *ǵʰwér'' ("야생 동물"을 의미)에서 유래했다고 제안한다.[3] 이 명칭은 금기 회피 용어로 시작되었으며, 원시 게르만 부족들은 곰을 지칭하는 원래의 단어—"arkto"—를 이 완곡어로 대체했다.[5][6]
곰은 종에 따라 크기가 다양하다. 가장 큰 종은 북극곰으로 수컷 성체의 경우 몸무게가 350kg에서 700kg이고 몸길이는 2.4m에서 3m이다.[45] 반면 가장 작은 종은 말레이곰으로 몸무게 25kg에서 65kg, 몸길이 100cm에서 140cm이다.[46] 곰은 일반적으로 짧은 꼬리를 가진 크고 튼튼한 동물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큰 성적 이형을 보인다.[49][50]
곰은 주로 산악 지대나 숲에 서식하지만, 북극곰처럼 빙원에 서식하는 종도 있다. 곰은 발바닥 보행을 한다. 추운 지방이나 겨울철 먹이가 부족한 지역에 사는 곰들은 가을에 영양을 충분히 섭취하여 동면을 한다. 동면 중에는 체온, 호흡수, 심박수가 감소하며, 먹이를 먹거나 물을 마시거나 배설도 하지 않는다.[224]
곰과 및 ''곰속''과 같은 곰의 분류군 이름은 라틴어 ''Ursus/Ursa''(수컷 곰/암컷 곰)에서 유래했다.[9]
아이누어에서는 불곰을 킴운카무이(산의 신) 또는 웬카무이(나쁜 신)라고 부른다.[270]
3. 형태
왼쪽의 북극곰과 오른쪽의 말레이곰은 각각 평균적으로 가장 크고 가장 작은 종입니다.영어
곰은 힘에 의존하기 때문에 몸집을 지탱하기 위해 비교적 짧은 다리와 두꺼운 뼈를 가지고 있다. 견갑골과 골반은 매우 크며, 강한 앞다리는 먹이를 잡거나 굴을 파는 데 사용된다.[51]
대부분의 육상 식육목 동물과 달리, 곰은 평행족보행을 한다.[51] 뒷발로 체중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걸을 때 느릿느릿해 보이지만, 순간적으로 속도를 낼 수 있다. 곰은 뒷발로 서서 균형을 잡고 똑바로 앉을 수도 있다. 앞발은 유연하며, 곰의 발톱은 먹이를 잡거나 땅을 파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무기이다.[51] 판다는 앞발 손목에 엄지 역할을 하는 뼈 돌기가 있어 대나무 순을 잡는 데 사용한다.[51]
곰의 털은 긴 보호털과 짧고 조밀한 털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극곰은 속이 비어 있고 반투명한 보호털을 가지고 있어 햇빛으로부터 열을 얻는다.[51] 곰은 색깔이 균일한 경향이 있지만, 어떤 종은 가슴이나 얼굴에 무늬가 있기도 하다.[92]
곰은 시각과 청각이 뛰어나지 않지만, 후각은 매우 발달했다.[51] 곰의 두개골은 거대하며, 견치는 크지만 과시용으로 사용되고, 구치는 편평하고 부수는 기능을 한다.[51] 곰의 치아는 잡식성에 적합하게 발달했으며, 특히 어금니는 먹이를 부수는 데 용이하다. 살아있는 곰의 일반적인 치열 공식은 .[51]
4. 생태
곰은 보통 단독으로 행동하지만, 어미와 새끼 또는 번식기에는 무리를 짓기도 한다.[200] 산이나 숲에서는 주로 낮에 활동하지만, 인간의 서식지나 활동 정도에 따라 새벽, 황혼, 야간에도 활동한다.[201][202]
곰은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나무에 소변을 보거나,[95] 몸을 비비는 행동을 한다.[96] 이는 영역 다툼으로 인한 불필요한 싸움을 피하기 위한 행동으로 여겨진다.[203] 곰은 나무에 등을 비비면서 코코넛과 같은 단 냄새를 풍기는데, 강한 수컷일수록 등을 비비는 횟수가 많다.[204]
대부분의 곰은 잡식성이지만,[63] 종에 따라 식성이 다르다. 자이언트판다는 99% 이상 대나무를 먹고,[70] 북극곰은 주로 물개를 사냥하며 육식성이 강하다.[82][79]
곰은 시력이 좋고, 특히 야간 시력은 인간보다 뛰어나다.[195] 또한, 개보다 뛰어난 후각과 청각을 가지고 있으며,[196][197] 기억력도 좋다.[198][196][199]
곰은 여러 소리와 행동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혀를 차거나 으르렁거리는 소리는 친근한 상황에서, 신음 소리나 콧김을 뿜는 소리는 긴장했을 때 낸다. 경계하거나 흥분했을 때는 짖는 소리를 내고, 공격적인 상황에서는 이빨을 가는 소리, 울부짖는 소리, 으르렁거리는 소리 등을 낸다.[86][87][88][89][90][91]
북극곰, 불곰, 반달가슴곰, 아메리카흑곰 등 4종은 겨울에 동면을 한다.[216] 북극곰은 암컷만 출산과 육아를 위해 동면하며, 수컷과 암컷 모두 여름부터 가을까지 절식하며 '걸어다니는 동면'이라고 불리는 동면과 유사한 생리 상태가 된다.[216] 곰의 동면은 체온 저하가 적고, 중간에 깨는 일이 거의 없으며, 근육이나 뼈가 약해지지 않고,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216][217]
4. 1. 번식
곰은 번식기 이외에는 단독으로 생활하며, 주로 혼자 지내다가 여름철 번식기에 암컷과 수컷이 약 한 달 동안 함께 지낸다. 이후 수컷은 떠나고 암컷은 새끼를 낳을 장소를 마련한다. 곰의 교미 방식은 다처제, 난교, 그리고 일련의 일부일처제 등으로 다양하게 묘사된다.[100][101][102] 번식기 동안 수컷은 주변의 암컷에게 주목하고, 암컷은 수컷에게 더 관용적으로 된다. 수컷 곰은 종에 따라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암컷의 생식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암컷을 지속적으로 찾아온다. 이 기간 동안 수컷은 경쟁자들이 짝짓기 상대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막으려고 한다. 구애는 짧을 수 있지만, 일부 아시아 종에서는 구애하는 쌍이 레슬링, 포옹, 모의 싸움 및 소리를 지르는 행동을 할 수 있다. 배란은 교미에 의해 유도되며, 종에 따라 최대 30분까지 지속될 수 있다.[101]
포란 기간은 일반적으로 지연 배란을 포함하여 6개월에서 9개월이며, 새끼는 최대 4마리까지 태어난다.[103] 북쪽에 사는 종의 경우, 겨울잠 기간 동안 출산이 이루어진다. 새끼는 눈이 멀고 무력하며, 털이 거의 없거나 아주 얇은 털만 가지고 태어나 어미의 체온에 의존한다. 암컷 곰의 젖은 지방과 항체가 풍부하며 새끼는 태어난 후 최대 1년 동안 젖을 먹을 수 있다. 2~3개월이 되면 새끼는 어미를 따라 굴 밖으로 나갈 수 있다. 보통 걸어서 어미를 따라가지만, 나무늘보곰 새끼는 어미의 등에 탈 수 있다.[103][105]
수컷 곰은 새끼를 기르는 데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북극곰, 불곰, 아메리카흑곰에서는 성체 수컷이 다른 개체의 새끼를 죽이는 아기살해가 기록되었지만 다른 종에서는 그렇지 않다.[106] 수컷은 암컷을 발정 상태로 만들기 위해 새끼를 죽인다.[107] 새끼는 도망칠 수도 있고 어미는 목숨을 걸고 새끼를 보호한다.[108][109][110]
일부 종에서는 다음 해 봄 무렵에 새끼가 독립할 수 있지만, 암컷이 다시 성공적으로 교미할 때까지 남아 있을 수도 있다. 곰은 분산된 직후, 종에 따라 3~6세 정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수컷 알래스카 불곰과 북극곰은 11세까지 계속 성장할 수 있다.[103]
암컷 곰은 7~8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약 1~4마리(평균 약 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동면을 하는 종은 동면 중에 새끼를 낳는다. 번식기는 봄부터 여름이지만, 바로 임신하는 것이 아니라 출산 시기 등을 조절하기 위해 수정란의 착상 지연(Embryonic diapause영어)을 시켜 가을에 충분한 영양을 축적하지 않으면 임신할 수 없다.[228][229] 동면 개시기(11월 하순~12월 상순)에 착상하여 출산하며, 어미곰은 동면 상태, 새끼곰은 각성 상태로 젖을 먹는다.[216]
1살 반에서 2살 반이 될 무렵 여름까지 어미로부터 먹이를 구하는 방법 등 생활 방식에 대한 교육을 받고 독립한다. 암컷 곰은 어미와 가까운 곳에 머무는 경향이 있지만, 수컷 곰은 어미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 시기에 사람이 사는 곳으로 내려오는 경우가 있다.[230]
일부 종에서는 수컷이 암컷의 발정을 유도하기 위해 새끼 죽이기(Infanticide (zoology)영어)를 한다.[231][232][233] 새끼를 데리고 있는 어미곰 중 일부는 수컷 곰을 피하기 위해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 근처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234][235]
5. 분류
곰과는 크게 대왕판다아과(Ailuropodinae), 안경곰아과(Tremarctinae), 곰아과(Ursinae)의 세 아과로 나뉜다. 곰아과는 다시 말레이곰속(''Helarctos''), 느림보곰속(''Melursus''), 곰속(''Ursus'')으로 나뉜다. 곰속에는 반달가슴곰, 북극곰, 큰곰(불곰), 아메리카흑곰 등이 속한다.[14]
과거 자이언트판다의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었으나, DNA 분석 결과에 따라 현재는 곰과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된다.[187] 3개 아과의 관계는 대왕판다아과가 다른 두 아과와 멀리 떨어져 있으며, 곰아과와 안경곰아과가 근연 관계이다.[187]
다음은 현존하는 곰의 종 목록이다.
5. 1. 계통 분류
곰과는 개아목 곰하목에 속하며, 기각류, 개과, 족제비상과와 가까운 관계이다.[13] 분자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곰과 내에서는 대왕판다아과가 가장 먼저 분기되었고, 안경곰아과와 곰아과가 자매군을 이룬다.현존하는 곰 종과 화석 곰 종 간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 계통 발생 가설이 있다. 하나는 모든 곰 종을 암피키노돈트아과, 헤미키온아과, 우르사비나에, 아그리오테리이네, 판다아과, 트레마르크티나에, 곰아과의 7개 아과로 분류하는 것이다.[35][36][37][38]








현존 종의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다.[41]
6. 인간과의 관계
곰은 오랫동안 인간과 다양한 관계를 맺어왔다. 곰은 사냥, 식용, 약용, 모피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곰의 쓸개는 웅담이라 하여 위경련이 일어날 때 진통제로 사용되며, 고기는 식용하나 맛이 없다.[1] 모피는 방석 등으로 사용되고, 기름은 동상이나 창상 등의 약으로 쓰인다.[1] 대한민국에서는 반달가슴곰의 고기와 뼈가 특별한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로 인한 사냥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1]
동아시아에서는 곰의 신체 일부와 분비물(특히 쓸개와 담즙)을 한방의 일부로 사용한다.[139] 중국, 베트남, 한국에서는 담즙 생산을 위해 1만 2천 마리 이상의 곰이 농장에서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39] 곰 제품의 거래는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에 따라 금지되어 있지만, 캐나다, 미국, 호주에서 판매되는 샴푸, 와인, 한약에서 곰 담즙이 검출되기도 한다.[139]
곰은 사람이 어떤 동물인지 잘 알고 있어, 사람의 집에 무단으로 들어가 냉장고를 열어 음식을 먹고 그 집에서 이불을 덮고 잠을 잤다가 보안관에게 포획된 사례도 있다.[1]
곰 사냥은 스포츠, 식량, 민간 의학을 위해 이루어졌다.[137] 곰고기는 질긴 소고기처럼 어둡고 질긴 육질이며,[137] 광둥 요리에서는 곰 발바닥이 별미로 여겨진다.[137] 곰고기는 기생충 ''Trichinella spiralis''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익혀 먹어야 한다.[137][138]
『그림책 백가 이야기』다케하라 슌센 그림
곰은 예술, 문학, 민속 및 신화에서 인기 있는 소재였다. 미련한 동물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똑똑한 동물이라는 인식도 있다.[1] 곰과 여우라는 동화가 있다.[1] 단군 신화에는 쑥과 마늘을 먹고 인간이 된 웅녀 이야기가 있다.[1]
일본 신화에서 이와레비코의 동정 때, 사나운 신의 화신인 큰곰을 만난 이와레비코는 그 독기를 맞고 기절했다는 이야기가 있다.[269] 그 후, 이와레비코는 다카쿠라노시타가 가져온 검을 가지고 깨어났고, 곰은 이와레비코가 손을 대지 않고 모두 베어 넘어졌다고 한다.[269]
아이누족은 불곰을 킴운캄이(산의 신)라고 부르며 높은 신으로 여기고, 이오만테(곰 내보내기) 등의 의식을 거행했다.[270]
일본어에서는 거대한 생물을 곰에 비유하는 경우가 있다. 동식물의 대형 종에 곰을 이름의 일부로 사용하거나 (큰오색딱따구리, 말매미, 호박벌, 산딸기 등), 곰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지는 경우도 있다 (오소리, 라쿤, 물곰).[270]
6. 1. 한국의 곰
청원 두루봉 동굴의 구석기 시대 인간 거주지에서 곰의 뼈가 발굴되었다.[1] 단군 신화에는 쑥과 마늘을 먹고 인간이 된 웅녀 이야기가 있다.[1] '곰(熊)' 명칭이 들어간 지역이 많다.[1] 곰 세 마리라는 동요가 있다.[1] 대한민국 야구 팀 두산베어스 (KBO 리그)가 있다.[1] 단국대학교 상징은 검은곰이다.[1]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있는 페인트 기업 쌍곰의 상징이며, 마지막 글자인 "곰"은 회사 상징 동물인 곰을 뜻한다.[1] 쌍곰은 두 마리 곰이라는 뜻으로, 심볼마크는 두 마리 곰처럼 'ㅅ'이 2개로 나눠지고 내리막 산봉 2봉처럼 만들어졌다.[1]6. 2. 곰 관련 시설
곰과 관련된 시설로는 곰 목장, 곰 사파리 공원, 곰 보호구역 등이 전 세계적으로 존재한다. 특히 중국 등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약용 담즙(웅담)을 채취하기 위해 곰을 사육하는 곰 농장이 운영되고 있다.[263]시설 종류 | 설명 |
---|---|
곰 목장 | 곰 동물원 |
사호로 리조트 베어 마운틴 | 곰 사파리 공원 |
Polar bear jail영어 | 북극곰의 일시 수용 시설 |
곰 농장 | 중국 등 아시아에서 약용 담즙(웅담)을 채취하기 위한 축산장 |
체스키 크룸로프 성 | 16세기부터 해자에 곰을 기르고 있는 체코의 성[262] |
6. 3. 곰 피해 및 대처
곰은 농작물, 산림, 가축, 인명 등에 피해를 줄 수 있다.[238] 1980년대 후반, 몬태나 대학교에서 곰 퇴치 스프레이가 개발되었다.[239][240] 2008년 연구에 따르면 곰 퇴치 스프레이를 소지한 사람이 곰을 만났을 때 무사했던 비율은 98%였다.[240]
몇몇 종의 곰은 특히 사람들에게 익숙해진 지역에서는 인간에게 위험하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을 피한다.[132] 곰에 의한 부상은 드물지만 널리 보도된다.[132] 곰은 놀랐을 때, 새끼나 먹이를 방어하기 위해, 또는 포식적인 이유로 인간을 공격할 수 있다.[133]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에서는 곰의 공격을 받지 않는 방법으로 다음을 제시한다.
- 곰의 관심을 끌 만한 냄새를 내지 않는다.
- 곰 퇴치 스프레이를 휴대한다.
- 위험한 지역은 다른 사람이나 개 등의 집단과 함께 행동한다.
- 달아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천천히 경계하면서 멀어진다.
- 엎드려 중요한 장기를 보호하고, 목 뒤에서 손을 모으고, 무릎을 구부린다.[241]
일본 츠키노와구마 연구소(日本ツキノワグマ研究所)의 요네다 카즈히코(米田一彦) 이사장은 "마주쳤을 때는 땅에 엎드려 목을 보호하고, 첫 번째 공격을 받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죽은 척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242] 낫이나 도끼 등 눈에 띄는 것을 휘두르거나, 큰 소리가 나는 것을 울리거나, 큰 소리로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243][242]
; 농작물 피해
: 벼, 옥수수, 밀, 수박, 당근, 복숭아, 사과, 배 등의 농작물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다. 나가노현에서는 옥수수가 츠키노와구마(반달가슴곰)를 불러들인다고 하여, 전기 울타리가 효과적인 대책으로 제시되고 있다.[244]
; 농업 이외의 피해
: 임업에서는 인공림 등에 대한 곰의 나무껍질 벗기기, 곰과의 조우가 문제된다. 수렵에서는 올무에 걸린 사냥감을 빼앗기거나, 사냥감을 흙으로 덮어 곰이 주변을 경계하기 때문에 사냥꾼이 접근할 수 없어 좋은 올무 설치 장소가 제한받는 문제가 있다.[245]
; 인명 피해

: 서식지에서 곰과 만나지 않도록 하려면, 방울을 울리거나, 때때로 손뼉을 치거나, 때때로 외치거나, 라디오카세트 등으로 큰 소리를 내는 등 곰에게 자신의 존재를 조기에 알려야 한다.[246]
: 2016년 일본에서 불곰/반달가슴곰에 의한 피해자 수는 105명이며, 그중 4명이 사망했다. 환경성은 곰 피해 증가를 고려하여 「곰류의 출몰에 관한 적절한 대응에 관하여(요청)」[247][248]을 발표하고, 「출입 제한이나 포획 대책 등의 신속한 대응」, 「인간과 곰의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등의 대책을 제시했지만, 구체적인 해결책은 찾지 못하고 있다. 통계적으로 보면, 곰에 의한 일본의 연간 사망자는 2017년 1명, 2019년 1명이며, 2008년 이후 가장 많은 해는 4명이다.[249]
: 곰에게 공격받아 이와테 의과대학으로 이송된 50건의 사례에서는 90%가 얼굴에 피해를 입었다. 모든 사례에서 예방적 항균제가 투여되었고, 창부 감염 발생률은 20%였다.[250]
; 포획·포살·방사·퇴치
: 1991년부터 히로시마현에서 방제 스프레이 등에 의한 기피 조건화를 실시한 후 야생으로 돌려보내는 학습 방사(이동 방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0-93년 히로시마 추적 조사에서는 23마리 중 11마리가 포획 지점으로 귀환하여 귀환율 48%, 2마리가 과수원에 피해를 입혔다. 1998-2000년 이와테현 조사에서는 반달가슴곰 12마리 중 5마리가 귀환했고, 12km 이상 떨어진 지점에서 방사하면 귀환율이 저하되었다. 2004-2006년 효고현 추적 조사에서는 42마리 중 귀환율이 20%였다.[251]
: 퇴치에는 불꽃놀이·폭죽, 고무탄 등이 사용된다.[251] 카렐리안 베어 독 등의 곰 대책견(베어독)을 운용하는 경우도 있다.[252][253]
: 주거 지역 등에서의 마취총 사냥은 곰과 같은 대형 짐승에게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시간이 걸리고, 흥분하여 반격하거나 날뛰어 주변에 피해를 줄 위험이 있어 원칙적으로 허가되지 않는다.[254]
: 17세기 독일에서는 사냥으로 곰을 줄이는 것이 어려워 함정 오두막이 설치되었다.
6. 4. 곰 캐릭터 및 문화
곰은 테디베어, 곰돌이 푸, 리락쿠마, 쿠마몬 등 다양한 캐릭터로 활용되며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162] 러시아는 곰을 국가 상징으로 여기며, 베를린, 베른 등 여러 도시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163] 곰은 스포츠 팀의 마스코트로도 활용된다. (예: 시카고 베어스, 보스턴 브루인스)[140]종류 | 설명 |
---|---|
곰인형 | |
테디 베어 | 1902년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즈벨트가 나무에 묶인 미국 흑곰을 쏘는 것을 거부했을 때 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162] |
푸 | 곰돌이 푸의 주인공 캐릭터이다. |
리락쿠마 | 일본의 콘도 아키가 디자인한 캐릭터로, 관련 상품은 2003년부터 판매되고 있다. |
쿠마몬 | 구마모토현의 마스코트로 2010년에 만들어졌다. |
알쿠마 | 나가노현의 마스코트 |
멜론 곰 | 홋카이도 유바리시의 마스코트 |
곰두리 | 1988년 서울 패럴림픽 마스코트 |
반다비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마스코트 |
발로우 | 정글박스의 캐릭터 |
시카고 베어스 | 미국의 미식축구 팀 (내셔널 풋볼 리그) |
보스턴 브루인스 | 미국 아이스하키 팀 (내셔널 하키 리그) |
미샤 |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의 마스코트 |
스모키 베어 | 미국에서 산불 예방을 호소하는 마스코트 |
7. 멸종된 곰
참조
[1]
서적
The Oxford Iintroduction to Proto Indo European and the Proto Indo European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2011
[3]
서적
From Proto-Indo-European to Proto-Germani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Indogerma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http://www.win.tue.n[...]
Francke
1959
[5]
사전
bear (n.)
http://www.etymonlin[...]
2017-01-22
[6]
웹사이트
The word for "bear"
http://www.pitt.edu/[...]
2018-03-21
[7]
뉴스
Hooking Up and Using the John: Why Do We Use So Many Euphemisms?
http://content.time.[...]
2011-01-10
[8]
백과사전
Arktos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9]
웹사이트
The Great Bear Constellation Ursa Major
http://www.souledout[...]
2017-01-12
[10]
웹사이트
Ursa Major – the Greater Bear
http://www.constella[...]
constellationsofwords.com
2015-03-11
[11]
웹사이트
Bernhard Family History
http://www.ancestry.[...]
ancestry.com
2015-03-11
[12]
서적
Anglo-Saxon Reader in Prose and Verse
https://archive.org/[...]
The Clarendon Press
1884
[13]
학술지
Phylogeny of the Carnivora: Basal relationships among the Carnivoramorphans, and assessment of the position of 'Miacoidea' relative to Carnivora
[14]
서적
Bear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s://portals.iucn[...]
IUCN
[15]
서적
The Origin and Evolution of Mammal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6]
학술지
Notes on Early Oligocene Ursids (Carnivora, Mammalia) from Saint Jacques, Nei Mongol, China
http://digitallibrar[...]
[17]
학술지
The early Miocene littoral ursoid carnivoran ''Kolponomos'': Systematics and mode of life
https://www.biodiver[...]
[18]
학술지
The early Miocene littoral ursoid carnivoran ''Kolponomos'': Systematics and mode of life
https://www.biodiver[...]
2010-07-24
[19]
학술지
A semi-aquatic Arctic mammalian carnivore from the Miocene epoch and origin of Pinnipedia
[20]
학술지
The Origin and Evolutionary Biology of Pinnipeds: Seals, Sea Lions, and Walruses
[21]
학술지
Basicranial evidence for ursid affinity of the oldest pinnipeds
https://archive.org/[...]
[22]
학술지
Use of spectral analysis to test hypotheses on the origin of pinnipeds
[23]
학술지
''Amphicticeps'' and ''Amphicynodon'' (Arctoidea, Carnivora) from Hsanda Gol Formation, central Mongolia and phylogeny of basal arctoids with comments on zoogeography.
https://zenodo.org/r[...]
[24]
학술지
Phylogeny and divergence of the pinnipeds (Carnivora: Mammalia) assessed using a multigene dataset
[25]
학술지
Rapid radiation events in the family Ursidae indicated by likelihood phylogenetic estimation from multiple fragments of mtDNA
http://dobzhanskycen[...]
1999
[26]
학술지
Combined analysis of fourteen nuclear genes refines the Ursidae phylogeny
2008
[27]
학술지
Mitochondrial genomes reveal an explosive radiation of extinct and extant bears near the Miocene-Pliocene boundary
[28]
학술지
Kretzoiarctos gen. nov., the Oldest Member of the Giant Panda Clade
[29]
학술지
The fossil record of South American short-faced bears (Ursidae, Tremarctinae)
http://sedici.unlp.e[...]
[30]
학술지
Dispersals of Neogene Carnivorans between Asia and North America
http://digitallibrar[...]
[31]
학술지
[32]
학술지
Population genomics reveal recent speciation and rapid evolutionary adaptation in Polar Bears
2014
[33]
학술지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34]
학술지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35]
학술지
A review of bear evolution
[36]
논문
A new species of ''Adelpharctos'' (Mammalia, Carnivora, Ursidae) from the late Oligocene of the "Phosphorites du Quercy" (France)
[37]
논문
Ursidae (Mammalia, Carnivora) from the Late Oligocene of the "Phosphorites du Quercy" (France) and a reappraisal of the genus ''Cephalogale'' Geoffroy, 1862
https://zenodo.org/r[...]
[38]
논문
A Late Miocene ''Ursavus'' skull from Guanghe, Gansu, China
2014
[39]
서적
Classification of nammals above the species level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40]
논문
Analysis of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increases phylogenetic resolution of bears (Ursidae), a mammalian family that experienced rapid speciation
2007
[41]
논문
The evolutionary history of bears is characterized by gene flow across species
[42]
서적
Bear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s://portals.iucn[...]
IUCN
[43]
서적
Prodromus Systematis Mammalium et Avium
https://archive.org/[...]
Sumptibus C. Salfeld
[44]
참고자료
[45]
서적
The Polar Bear
https://archive.org/[...]
Capstone Press
[46]
논문
Helarctos malayanus
[47]
뉴스
Biggest Bear Ever Found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11-02-03
[48]
논문
The Largest Known Bear, ''Arctotherium angustidens'', from the Early Pleistocene Pampean Region of Argentina: With a Discussion of Size and Diet Trends in Bears
http://jpaleontol.ge[...]
2011-01-01
[49]
논문
Sexual dimorphism of polar bears
[50]
서적
Evolution of Tertiary Mammals of North America, volume 1: Terrestrial carnivores, ungulates, and ungulatelike mamm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서적
Mammal Anatomy: An Illustrated Guide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52]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53]
논문
Occurrence and structure of epipharyngeal pouches in bears (Ursidae)
[54]
서적
Wild Mammals of North America; biology, management,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11-19
[55]
논문
The sequence and de novo assembly of the giant panda genome
[56]
참고자료
[57]
논문
Histoire récente de l'ours brun au Maghreb
[58]
서적
Bear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s://books.google[...]
IUCN
[59]
논문
Nocturnal and diurnal foraging behaviour of brown bears ( Ursus arctos ) on a salmon stream in coastal British Columbia
http://web.uvic.ca/~[...]
2002
[60]
참고자료
[61]
서적
Carnivore behavior, ecology, and evolution
Springer
[62]
참고자료
[63]
논문
Ursids evolved early and continuously to be low-protein macronutrient omnivores
[64]
참고자료
[65]
논문
Diets of Asiatic black bears in Taiwan, with Methodological and Geographical Comparisons
http://www.bearbiolo[...]
[66]
웹사이트
Food Habits of Grizzly Bears and Black Bears in the Yellowstone Ecosystem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67]
서적
Furbearing Animals of North America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ers
[68]
논문
Diet and Morphology of Extant and Recently Extinct Northern Bears
[69]
논문
Influence of mast production on black bear non-hunting mortalities in West Virginia
[70]
서적
Giant Pandas
https://archive.org/[...]
Collins
[71]
논문
[72]
웹사이트
Progress in the utilization of urea-ammonia treated crop residues: biological and socio-economic aspects of animal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on small farms
http://lrrd.cipav.or[...]
University of Arhus
2010-08-10
[73]
논문
[74]
학술지
Seasonal and Habitat-Related Diets of Sloth Bears in Nepal
[75]
학술지
Vulnerable sloth bears are attracted to human food waste: a novel situation in Mount Abu town, India
2021
[76]
웹사이트
What do bears like to eat in a beehive?
https://www.bear.org[...]
North American Bear Center
[77]
논문
[78]
학술지
The role of American black bears and brown bears as predators on ungulates in North America
[79]
논문
[80]
웹사이트
Foraging Behavior of North American Bears
http://sbsc.wr.usgs.[...]
Southwest Biological Science Center
[81]
웹사이트
Animal Protein
https://www.bear.org[...]
North American bear Center
[82]
논문
[83]
학술지
Ecomorphological indicators of feeding behaviour in the bears (Carnivora: Ursidae)
[84]
웹사이트
Assessment and Update Status Report on the Grizzly Bear (''Ursus arctos'')
http://dsp-psd.pwgsc[...]
Environment Canada
[85]
논문
[86]
논문
[87]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Canadian Mammals: Opossums and Carnivor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88]
웹사이트
Vocalizations and Body Language
https://www.bear.org[...]
North American Bear Center
[89]
서적
Living With Bears Handbook: Expanded 2nd Edition
PixyJack Press
[90]
학술지
Humming in bears: a peculiar sustained mammalian vocalization
https://www.research[...]
[91]
학술지
Behavioural ecology of the Sloth bear (''Melursus ursinus'')
https://www.research[...]
[92]
논문
[93]
학술지
Social behavior of the Alaska brown bear
http://www.bearbiolo[...]
[94]
학술지
Threat behavior of the black bear (''Ursus americanus'')
[95]
서적
Field Guide to Animal Tracks and Scat of Californ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02-11
[96]
학술지
Scent-marking investment and motor patterns are affected by the age and sex of wild brown bears
[97]
논문
[98]
학술지
Giant panda scent-marking strategies in the wild: role of season, sex and marking surface
[99]
학술지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chemical communication in the polar bear
[100]
웹사이트
Brown Bear
https://www.adfg.ala[...]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101]
논문
[102]
학술지
Ursus americanus
http://www.science.s[...]
[103]
논문
[104]
웹사이트
Panda Facts
http://www.pandasint[...]
Pandas International
[105]
서적
Walker's Carnivore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6]
논문
[107]
논문
Mating Strategies in Relation to Sexually Selected Infanticide in a Non-Social Carnivore: The Brown Bear
http://bearproject.i[...]
2017-05-02
[108]
논문
The dilemma of female mate selection in the brown bear, a species with sexually selected infanticide
[109]
논문
Intraspecific predation in Scandinavian brown bears older than cubs-of-the-year
https://www.research[...]
2017-01-14
[110]
논문
Diseases and mortality in free-ranging brown bear (''Ursus arctos''), gray wolf (''Canis lupus''), and wolverine (''Gulo gulo'') in Sweden
[111]
웹사이트
Grizzly Bear
http://www.nationalg[...]
National Geographic.com
2017-04-29
[112]
논문
Life on low flame in hibernation
[113]
논문
Pregnancy during hibernation in Japanese black bears: effects on body temperature and blood biochemical profiles
[114]
논문
Hibernation in Black Bears: Independence of Metabolic Suppression from Body Temperature
[115]
웹사이트
Denning and Hibernation Behavior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16-11-18
[116]
논문
The Status and Conservation of Bears (Ursidae) of the World: 1970
[117]
서적
The ecology, behavi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atus of brown bears in Sikhote-Alin
http://uml.wl.dvgu.r[...]
Far Eastern National University, Vladivostok, Russia
[118]
논문
Denning ecology of brown bears and Asiatic black bears in the Russian Far East
http://www.wcsrussia[...]
2014-10-05
[119]
논문
Studies on endoparasites of the black bear (''Ursus americanus'')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120]
서적
Polar Bears: A Complete Guide to Their Biology and Behavior
https://books.google[...]
JHU Press
[121]
서적
Emergence and Control of Zoonotic Ortho- and Paramyxovirus Diseases
https://books.google[...]
John Libbey Eurotext
[122]
서적
Infectious Diseases of Wild Mammal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23]
웹사이트
Brown Bear – Threats Grizzlies: Found in 2% of their former range
http://wwf.panda.org[...]
WWF
2017-01-16
[124]
웹사이트
Implications of bear bile farming
https://www.vettimes[...]
Vet Times
2008-05-12
[125]
웹사이트
Keyword search: "Ursidae", Exact phrase, The entire database
http://www.iucnredli[...]
IUCN
2017-01-16
[126]
서적
Chapter 8. American Black Bear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s://books.google[...]
IUCN
[127]
논문
Public Attitudes toward Bears and Their Conservation
[128]
논문
Public perception of large carnivores in Latvia
[129]
뉴스
Pandas gain world heritage status
http://news.bbc.co.u[...]
BBC News
2019-08-22
[130]
논문
Andean bear–livestock conflicts: a review
[131]
논문
Human–sun bear conflicts in East Kalimantan, Indonesian Borneo
[132]
논문
Polar Bear–Human Interactions in Canadian National Parks, 1986–2000
http://www.bearbiolo[...]
2012-12-22
[133]
웹사이트
Maulings by Bears: What's Behind the Recent Attack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com
2017-01-16
[134]
서적
History of Music in Russia from Antiquity to 1800, Vol. 1: From Antiquity to the Beginning of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35]
웹사이트
Elizabethan Playhouses and Bear Baiting Arenas Given Protection
https://historicengl[...]
Historic England
2016-09-26
[136]
서적
The Gypsies
https://archive.org/[...]
Blackwell
[137]
웹사이트
Trichinellosis Associated with Bear Meat
https://www.cdc.gov/[...]
2006-10-04
[138]
뉴스
Bear meat poisoning in Siberia
http://news.bbc.co.u[...]
BBC News
1997-12-21
[139]
뉴스
BBC Test kit targets cruel bear trade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1-01
[140]
논문
[141]
논문
[142]
논문
[143]
학술지
Beginning of Religion
[144]
학술지
The Concepts behind the Ainu Bear Festival (Kumamatsuri)
1949-12-01
[145]
학술지
The mythology of the Kalevala, with notes on bear-worship among the Finns
[146]
서적
Native Cultures of Alaska and Siberia
Arctic Studies Center
[147]
서적
Korean Shamanistic Rituals
Mouton De Gruyter
1981
[148]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Origins and Meanings of the Names for 6,600 Countries, Cities, Territories, Natural Features, and Historic Sit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6
[149]
서적
Greek Religion
[150]
웹사이트
Ptolemy's Almagest First printed edition, 1515
http://www.ianridpat[...]
2017-01-13
[151]
웹사이트
Ἀρκτοῦρος
https://www.perseus.[...]
Perseus
2017-01-23
[152]
잡지
The cosmic hunt: variants of a Siberian – North-American myth
http://www.worldhist[...]
2006-10-30
[153]
웹사이트
Pooh celebrates his 80th birthday
http://news.bbc.co.u[...]
BBC News
2005-12-24
[154]
웹사이트
About
http://www.paddingto[...]
[155]
웹사이트
Walt Morey, 84; Author of 'Gentle Ben'
https://www.latimes.[...]
1992-01-14
[156]
서적
Legendary Fictions of the Irish Celts
Macmillan
1866
[157]
학술지
"The Three Bears": Four Interpretations
1977-07-01
[158]
서적
Folk and Fairy Tales: A Handbook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9]
서적
Hanna-Barbera Cartoons
Hugh Lauter Levin
1998
[160]
서적
The Guide to United States Popular Culture
https://books.google[...]
Popular Press
[161]
뉴스
Care Bears Receive a (Gentle) Makeover
https://www.wsj.com/[...]
2007-02-09
[162]
웹사이트
A Point of View: The grownups with teddy bears
https://www.bbc.co.u[...]
BBC
2013-02-01
[163]
뉴스
What the West thinks about Russia is not necessarily true
https://www.telegrap[...]
2009-04-23
[164]
웹사이트
Forest Fire Prevention – Smokey Bear (1944–Present)
http://www.adcouncil[...]
Ad Council
1944-08-09
[165]
웹사이트
Vision and Mission
http://beartrust.org[...]
2002-01-01
[166]
웹사이트
Vital Ground
http://www.vitalgrou[...]
[167]
웹사이트
Moon Bears
http://www.moonbears[...]
[168]
웹사이트
Black Bear Conservation Coalition
http://www.bbcc.org/
[169]
웹사이트
Polar Bears International
http://www.polarbear[...]
[170]
웹사이트
Bornean Sun Bear Conservation Centre
http://sunbears.wild[...]
[171]
웹사이트
Wildlife SOS - Saving India's Wildlife
http://www.wildlifes[...]
[172]
웹사이트
Andean Bear Conservation Project
http://www.andeanbea[...]
[173]
웹사이트
Chengdu Research Base of Giant Panda Breeding
http://www.panda.org[...]
[174]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www.cites.org[...]
2015-10-21
[175]
논문
Relationship of Pinnipeds to Other Carnivores (Mammalia)
[176]
서적
Parvorder Ursida
Columbia University Press
[177]
서적
Family Ursidae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78]
서적
クマ科
平凡社
[179]
서적
クマ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80]
간행물
刊行年、号数、ページ番号、発行元などが未記入。
2019-01-20
[181]
서적
パンダ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82]
간행물
ツキノワグマの外部形態の成長パターンとその特徴
https://agriknowledg[...]
兵庫県森林動物研究センター
[183]
웹사이트
新着情報: 血液を用いてヒグマの年齢が推定可能に!~クマ類の生態学的研究や保護管理への貢献に期待~(獣医学研究院 准教授 下鶴倫人)
https://www.hokudai.[...]
2023-11-27
[184]
논문
哺乳類分類における高次群の和名について
https://doi.org/10.5[...]
[185]
서적
Introduction
Lynx Edicions
[186]
논문
ミャンマー中部の新第三系イラワジ動物相:食肉目
https://doi.org/10.1[...]
日本古生物学会
[187]
논문
レッサーパンダ(''Ailurus fulgens'')の進化的由来
https://doi.org/10.1[...]
[188]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189]
논문
Analysis of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increases phylogenetic resolution of bears (Ursidae), a mammalian family that experienced rapid speciation
[190]
서적
食肉目総論
東京動物園協会
[191]
웹사이트
南極に「ナンキョクグマ」はなぜいないのか? - GIGAZINE
https://gigazine.net[...]
2022-04-30
[192]
간행물
特定鳥獣保護・管理計画作成のためのガイドライン(クマ類編)改定版
https://www.env.go.j[...]
環境省
[193]
웹사이트
エゾヒグマの生態と野生動物との共存について
https://www.city.sap[...]
[194]
서적
日本のクマ 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の生物学
東京大学出版会
[195]
웹사이트
Eyes of the Bear,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https://www.adfg.ala[...]
[196]
서적
Mammal Anatomy: An Illustrated Guide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197]
웹사이트
クマ対策の徹底を
https://www.rinya.ma[...]
[198]
웹사이트
埼玉 秩父 クマの目撃急増!子どもに鈴配る 専門家に聞く注意点は? | NHK
https://www.nhk.or.j[...]
[199]
웹사이트
胎内市/ツキノワグマによる人身被害を防ぐために
https://www.city.tai[...]
[200]
간행물
クマ類の出没対応マニュアル
https://www.env.go.j[...]
[201]
웹사이트
長野県の中学生のクマとの共存についての意識調査
https://cir.nii.ac.j[...]
2016-03-25
[202]
논문
クマ類による人為景観周辺での生息地選択とその要因
https://doi.org/10.1[...]
[203]
웹사이트
クマが木で背中をこするのは「痒い」からではなく「怖い」から?
https://www.afpbb.co[...]
2007-09-06
[204]
웹사이트
ヒグマクイズ「背こすり行動」(2023年6月)
https://bearpark.jp/[...]
[205]
논문
ヒグマの背擦り行動に伴う樹木被害と樹木の選択性
https://www.jstage.j[...]
[206]
웹사이트
クマ出没に注意 - 福島県ホームページ
https://www.pref.fuk[...]
[207]
웹사이트
Feeding Sign
https://bear.org/fee[...]
2008-01-04
[208]
논문
ツキノワグマによる樹木への被害と対策
https://www.jstage.j[...]
[209]
웹사이트
クマの雄同士が取っ組み合い
https://natgeo.nikke[...]
[210]
웹사이트
ヒグマ襲われ死ぬ 秋田の熊牧場、仲間とけんか
https://www.sankei.c[...]
2016-10-20
[211]
웹사이트
かつらぎ町 公式サイト
https://www.town.kat[...]
2023-10-25
[212]
웹사이트
クマの能力と食欲をあなどらない。
https://www.pref.nag[...]
長野県
[213]
웹사이트
出会わないために|知床財団
https://www.shiretok[...]
2023-11-03
[214]
웹사이트
餌を与えればクマの被害を防止できる?
https://natgeo.nikke[...]
2023-10-25
[215]
웹사이트
III クマ類に遭遇した際にとるべき行動
https://www.env.go.j[...]
[216]
논문
クマ類の冬眠 : 繁殖との関係
https://doi.org/10.1[...]
2023-03-20
[217]
논문
冬眠動物における骨格筋萎縮耐性獲得機構の探索
https://www.jstage.j[...]
2022
[218]
웹사이트
シリーズ:クマの保護管理を考える(7)クマの冬眠の謎にせまる
https://www.wwf.or.j[...]
2024-02-17
[219]
웹사이트
冬眠穴を探せ!四国ツキノワグマ追跡調査 続報
https://www.wwf.or.j[...]
2024-01-24
[220]
웹사이트
エゾヒグマの生態と野生動物との共存について
https://www.city.sap[...]
2024-01-24
[221]
웹사이트
熊蟄穴(くまあなにこもる) | 中国新聞デジタル
https://www.chugoku-[...]
2024-01-24
[222]
웹사이트
七十二候「熊蟄穴」 熊は冬眠中…でも油断大敵
https://weathernews.[...]
2024-01-24
[223]
웹사이트
ヒグマの冬眠(11月16日・17日実施) | のぼりべつクマ牧場 公式サイト
https://bearpark.jp/[...]
2024-01-24
[224]
웹사이트
クマ出没がこの5年間で最多 冬眠はいつから?
https://weathernews.[...]
2024-01-24
[225]
웹사이트
クマ目撃12月では過去最多 原因はエサ不足か 注意呼びかけ|NHK 宮城のニュース | NHK NEWS WEB
https://www3.nhk.or.[...]
2024-02-17
[226]
웹사이트
暖冬でクマ冬眠できず? 東北、1月の目撃相次ぐ
https://www.nikkei.c[...]
2024-02-17
[227]
웹사이트
「穴持たず」?真冬のヒグマ対策は 知床財団・山中正実さんに聞いた: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2-17
[228]
웹사이트
エゾヒグマの生態と野生動物との共存について
https://www.city.sap[...]
2023-10-25
[229]
웹사이트
基礎生物学研究所、ほ乳類胚の胚が発生を一旦止める機構について発表
https://www.nikkei.c[...]
2023-10-25
[230]
웹사이트
ヒグマの生態・習性
https://www.city.sap[...]
2023-10-25
[231]
웹사이트
子供も殺して食べる!? 厳しいクマの生活を首輪カメラで撮影!
https://nazology.net[...]
2023-06-16
[232]
웹사이트
<デジタル発>ヒグマの「子殺し」道内で初確認 雄が別の雄の子襲う 北大クマ研、ふんから爪や歯発見 雌の発情促す:北海道新聞デジタル
https://www.hokkaido[...]
2023-06-16
[233]
논문
Mating Strategies in Relation to Sexually Selected Infanticide in a Non-Social Carnivore: the Brown Bear.
https://onlinelibrar[...]
2006-03
[234]
웹사이트
発情期の雄から子ども守る母熊、人を盾に 研究
https://www.afpbb.co[...]
2023-06-16
[235]
논문
Human shields mediate sexual conflict in a top predator
https://royalsociety[...]
2016-06-29
[236]
웹사이트
熊に9年間も育てられ、人間性を失った…行方不明ののち発見された子どもが語った「人さらい熊」の真実 「喰う」のではなく「愛でる」のが目的
https://president.jp[...]
2023-10-25
[237]
웹사이트
THE MOST SHOCKING CASES OF FERAL CHILDREN
https://magtheweekly[...]
2023-11-12
[238]
웹사이트
クマと遭遇しないためには…もし、クマに遭遇してしまったら…
http://www.town.asah[...]
朝日町
2017-02-08
[239]
웹사이트
Bear spray originated from University of Montana research conducted in the 1980s
https://matr.net/new[...]
2023-06-15
[240]
웹사이트
How a Potent Pepper Spray Became the Best Bear Repellent
https://www.national[...]
2023-06-15
[241]
웹사이트
How to Not Get Attacked by a Bear
https://www.national[...]
2023-06-15
[242]
웹사이트
クマに死んだふりは有効か 8回襲われた専門家の教え: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3-06-15
[243]
웹사이트
クマに遭うこと3000回、私はこうして助かってきた|読むらじる。|NHKラジオ らじる★らじる
https://www.nhk.or.j[...]
2023-06-15
[244]
웹사이트
ツキノワグマによる農業被害を防ぐために/長野県
https://www.pref.nag[...]
2023-06-16
[245]
논문
ツキノワグマによるくくりわなで捕獲されたニホンジカの摂食―長野県軽井沢町の事例―
https://doi.org/10.1[...]
2021
[246]
비디오
ヒグマ生息地での注意
https://www.youtube.[...]
ShiretokoMuseum
2019-01-20
[247]
간행물
環自野発第1606141号
2016-06-14
[248]
웹사이트
農作業中におけるクマの出没及び人身被害防止等に対する指導等の徹底について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9-09-23
[249]
웹사이트
https://www.env.go.j[...]
[250]
웹사이트
当施設におけるクマ外傷50例の検討
https://cir.nii.ac.j[...]
2023-11-22
[251]
웹사이트
補足資料:学習放獣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
[252]
웹사이트
殺さずによけるクマ対策犬、劇的な効果、課題も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23-07-02
[253]
웹사이트
クマを傷つけず追い払う 「ベアドッグ」繁殖
https://www.nikkei.c[...]
2023-06-16
[254]
웹사이트
住居集合地域等における麻酔銃の取扱い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
2016-03
[255]
웹사이트
「熊が大きくなり育てられなくなった」飼い主のおばあさん自ら通報 雲南
https://www.afpbb.co[...]
2023-10-31
[256]
웹사이트
動物園飼育員、クマに襲われ死亡 スウェーデン
https://www.afpbb.co[...]
2023-10-31
[257]
웹사이트
飼っていたクマに襲われ 75歳男性死亡 長野 松本 |NHK 首都圏の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3-10-31
[258]
웹사이트
環境省_特定動物(危険な動物)の飼養又は保管の許可について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2023-10-31
[259]
웹사이트
動物の愛護及び管理に関する法律 | e-Gov法令検索
https://laws.e-gov.g[...]
2023-10-31
[260]
웹사이트
ゲンちゃん日記・令和5年8月「二十数年ぶりにヒグマを保護」| 旭川市 旭山動物園
https://www.city.asa[...]
2023-11-03
[261]
웹사이트
毎年混雑、カナダの「ホッキョクグマ刑務所」
https://www.afpbb.co[...]
2023-12-04
[262]
웹사이트
世界ふれあい街歩き
http://www6.nhk.or.j[...]
2023-08-21
[263]
저널
第17回国際クマ会議を終えて
https://www.jstage.j[...]
2006
[264]
웹사이트
近代日本における毛皮着用について
https://www.jstage.j[...]
2023-12-26
[265]
저널
近世末期におけるアイヌの毛皮獣狩猟活動について : 毛皮交易の視点から
https://doi.org/10.1[...]
2002-12-20
[266]
웹사이트
蝦夷地の産物コレクション | 北海道博物館
https://www.hm.pref.[...]
2023-12-26
[267]
웹사이트
「クマ撃ちで金儲け」はウソ 実態は「命がけのボランティア」
https://www.j-cast.c[...]
2023-12-26
[268]
저널
マタギ 日本列島における農業の拡大と狩猟の歩み
http://www.jstage.js[...]
2004
[269]
웹사이트
熊野山之荒神 國學院大學 古典文化学事業
https://kojiki.kokug[...]
國學院大學
2024-06-16
[270]
웹사이트
アイヌ語にはクマを状態に応じて表すさまざまな言葉があ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4-04-22
[271]
MSW3
[272]
웹인용
능소니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273]
저널
Pattern and timing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2010
[274]
논문
Mitochondrial genomes reveal an explosive radiation of extinct and extant bears near the Miocene-Pliocene boundary
20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곰 세 마리가 야산에 있어요”…대구환경청 “곰 흔적 발견 못 해”
“곰 세 마리가 야산에 있어”…경북 경산서 목격 신고, 대구환경청 현장 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