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태선 (종교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태선은 1917년 평안남도 덕천군에서 출생하여, 한국예수교전도관부흥협회(전도관)를 창시한 종교인이다. 16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공업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기계 공장을 운영하다 광복 후 귀국하여 기계 부속품 공장을 운영했다. 1955년 전도관을 창시한 후, 1956년 자신을 감람나무로 추대하는 행사를 거행하고, 신앙촌을 건설하며 교세를 확장했다. 1980년에는 천부교로 개명하고, 자신을 창조주 하나님으로 칭하며 기독교를 부정하는 교리를 발표했다. 천부교는 감람나무, 생명물, 이슬성신을 핵심 교리로 삼았으며, 박태선은 1990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종교인 - 이재록
    이재록은 1943년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태어나 만민중앙성결교회를 설립하고 급성장시켰으나, 2018년 여신도 성폭행 혐의로 구속되어 징역 16년형을 선고받았으며 2023년 사망한 목사이다.
  • 한국의 종교인 - 김성도 (종교인)
    김성도는 일제강점기 종교인으로, 1923년 직통 계시를 주장하며 원죄의 원인이 음란에 있다는 독자적인 해석과 '피가름' 이론을 주창했고, 신사참배에 반대하다 순교했으며, 그의 사상은 후대 종교 지도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990년 사망 - 조영래
    조영래는 한국의 인권변호사이자 민주화운동가, 문필가로서,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해 변호사 활동과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으며, 글쓰기를 통해 사회적 목소리를 내는 등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90년 사망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1917년 출생 - 모리스 뒤베르제
    모리스 뒤베르제는 프랑스의 정치학자이자 법학자로, 정당론 연구에 기여했으며 소선거구제가 양당제를 유도한다는 '뒤베르제의 법칙'을 정립했다.
  • 1917년 출생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박태선 (종교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태선
출생일1917년 12월 26일
출생지평안남도 덕천군 덕천읍
사망일1990년 2월 7일
사망지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직업종교인
종교천부교 설립자
웹사이트천부교 홈페이지
박태선
박태선의 생명물 안수 사진

2. 생애

박태선은 1917년 평안남도 덕천군 덕천읍에서 태어났다. 16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공업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기계 공장을 운영하다가 광복 후 귀국하여 기계 부속품 공장을 운영하였다. 1955년 한국예수교전도관부흥협회(전도관)를 창시하고 본격적으로 활동하였다. 1990년 당뇨병 등 합병증으로 사망하였으며, 묘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있다.[1]

2. 1. 초기 생애 (1917년 ~ 1955년)

박태선은 1917년 평안남도 덕천군 덕천읍에서 출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6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공업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기계 공장을 운영하다가 광복 후 귀국하여 기계 부속품 공장을 운영하였다고 전해진다.

2. 2. 전도관 창시와 부흥 (1955년 ~ 1980년)

박태선은 1955년부터 한국예수교전도관부흥협회(전도관)를 창시하고 본격적으로 활동하였다.[1]

2. 3. 천부교 개명과 말년 (1980년 ~ 1990년)

1980년대 초, 박태선은 자신의 단체 이름을 '한국예수교전도관부흥협회'에서 '천부교'로 바꾸었다.[1] 천부교로 개명한 뒤에도, 박태선은 계속해서 종교 활동을 이어갔다. 그러나 건강이 나빠지면서 당뇨병 등 여러 합병증을 앓게 되었고,[1] 결국 1990년 2월 8일에 사망하였다.[1] 그의 묘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있다.[1]

3. 종교 활동 및 교리

박태선은 유년 시절부터 주일 학교를 통해 기독교를 접했다. 서울 남대문 교회에서 집사로 신앙생활을 하다가 1948년 이성봉 목사의 부흥회에 참석하면서 '하늘에서 내려오는 불'을 체험했다고 한다. 이후 정득은을 만나 영체교환 의식에 참여하기도 했다. 6.25 전쟁 피난 중에는 '하늘로부터 오는 생수' 체험을 하고, 1.4 후퇴 때는 온몸의 피가 바뀌는 신비 체험을 했다고 주장한다.

창동교회에서 '장로'가 된 박태선은 1955년부터 부흥 집회의 부흥사로 활동하다가 한국예수교전도관부흥협회(전도관)를 창시하였다.[3] 1980년에는 전도관을 천부교로 개명하고, 자신이 창조주 하나님이며 신약성경의 98%가 거짓말이고 예수는 사탄의 자식이라는 등 기독교를 전면 부정하는 교리를 발표하였다. 그는 자신을 이 땅에 온 '새 하나님'으로 선언했다.

3. 1. 감람나무

박태선은 1956년 11월 11일에 감람나무로 추대되는 행사를 가졌다.[3] 1957년에는 자신을 '참 감람나무' 또는 '동방의 의인'이라고 선언하였다.[3]

1970년대 발행한 책자 '오묘'의 창조론에서 박태선은 3씨에 대해 설명했다. 첫번째 씨는 아담에 의해 타락하였고, 두번째 씨는 예수이며, 세번째 씨가 '동방의 의인'이자 '이긴자'인 박태선이라고 주장하였다.[3] 그는 전국적으로 전도관을 개설하고 경기도 소사에 제1신앙촌(1957~1962), 경기도 덕소에 제2신앙촌(1962~1970), 부산 기장에 제3신앙촌(1970~현재)을 건설하였다.[1] 신앙촌은 전도관 신앙의 핵심지이며 신자들은 박태선을 중심으로 '영생(永生)’과 ‘천년성(千年城)’이 실현되는 곳으로 믿었다.[1]

3. 2. 생명물

천부교는 생명물을 이슬성신이 담긴 물이라고 주장한다.[4] 천부교에서는 보통 물도 하나님이 축복하여 이슬성신이 담기면 생명물로 변하여 수십 년을 두어도 변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천부교 교인들은 사람이 숨을 거둔 뒤 생명물을 바르면 시커멓게 된 피부색이 뽀얗게 피어나고 굳은 몸이 노긋노긋해지며 잠자는 것처럼 편안한 모습이 된다고 주장한다.

박태선 생전에 교인들은 박태선이 안수한 생명수가 병을 치료하고 죄를 사하는 효력이 있다고 믿었다. 그들은 매달 중순과 말에 전국에서 물통을 들고 신앙촌에 모였다. 물을 통에 채워 정렬해 놓으면 박태선이 안수기도를 하였다.[5]

3. 3. 이슬성신

이슬성신은 천부교 교리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천부교에서는 성신이 실제 이슬처럼 내린다고 주장한다.[6] 천부교는 이슬성신을 처음 내리는 존재가 감람나무이며 박태선이라고 주장한다. 자유율법을 지키며 죄를 짓지 않고 이슬성신으로 죄 사함을 받아야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믿는다.[7]

4. 비판과 논란

박태선은 한국예수교전도관부흥협회(전도관)를 창시하고 전국에 전도관을 세웠으나, 1980년 천부교로 이름을 바꾸고 자신이 하나님이며 예수는 사탄의 자식이라고 주장하여 기독교계에서 이단 논란을 일으켰다.[1]

4. 1. 기성 교단과의 갈등

박태선은 창동교회에서 장로가 된 후 1955년부터 부흥집회의 부흥사로 활동하다가 한국예수교전도관부흥협회(전도관)를 창시하였다.[3] 1956년 11월 11일에는 박태선을 감람나무로 추대하는 행사가 있었다. 이후 전국적으로 전도관을 개설하고 경기도 소사에 제1신앙촌(1957~1962), 경기도 덕소에 제2신앙촌(1962~1970), 부산 기장에 제3신앙촌(1970~현재)을 건설하였다.[1]

그러나 1980년, 박태선은 전도관을 천부교로 개명하고 자신이 창조주 하나님이며, 신약 성경의 98%가 거짓말이고 예수는 사탄의 자식이라는 등 기독교를 전면 부정하는 천부교 교리를 발표하였다. 이러한 교리는 기존 기독교 교리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참조

[1] 웹인용 한국천부교전도관부흥협회 http://encykorea.aks[...]
[2] 간행물 신앙신보(천부교소식지)
[3] 뉴스 부산향토문화백과 http://busan.grandcu[...] 부산향토문화백과
[4] 웹인용 생명물 https://www.chunbuky[...]
[5] 이미지 박태선의 생명수 안수 장면 https://theweekly.co[...]
[6] 웹인용 서울 중앙 전도관 (이만제단)낙성집회 때 내리는 이슬성신 https://theweekly.co[...] 2019-05-26
[7] 웹인용 '이슬성신으로 죄 사함'... 천부교는 어떤 종교? https://m.sportschos[...] 2016-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