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배천 조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천 조씨는 황해도 배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 목종 때 이부시랑 지은대사를 지낸 조지린이며, 고려 시대에 많은 관료를 배출하여 번성했다. 조선 시대에는 조기, 조반, 조헌 등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으며, 분파로는 평숙공파, 문정공파 등이 있다. 배천 조씨는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1716년 이후 여러 차례 족보를 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천 조씨 - 조원진
    조원진은 한국외대 졸업 후 대우그룹에서 근무하다 2008년 국회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3선 의원을 지냈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며 대한애국당을 창당했으나 21대 총선에서 낙선, 막말 논란 등 사회적 논쟁을 일으킨 정치인이다.
  • 배천 조씨 - 조진만 (법조인)
    조진만은 일제강점기 판사로 활동하다 대한민국 수립 후 제2대 대법원장을 역임한 법조인으로, 고등문관시험 합격 후 법조 경력을 시작해 해방 후 검사장 등을 거쳐 대법원장이 되었으나, 이승만 정권 협조 비판 속에 사퇴하고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배천 조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배천군
관련 인물조경철
조영남
조이현
조원진
조인원
조장희
조헌
이름
한글배천 조씨
한자白川 趙氏
로마자 표기Baecheon Jo ssi
기원
통계 (2015년)
인구75,978명
집성촌
위치황해남도 배천군
평안남도 룡강군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충청남도 청양군 화성면

2. 역사

배천 조씨는 고려시대에 평장사를 지낸 조중장(趙仲璋)을 비롯하여 대제학을 지낸 조옥(趙玉), 병부상서를 지낸 조문주(趙文胄), 문하시중 조진(趙珍), 대장군 조천주(趙天柱), 검교시중(檢校侍中) 조선(趙瑄) 등 많은 관료를 배출하였다. 특히 참찬문하부사를 지낸 조반(趙胖)에 이르러서는 더 번영하였다.[6]

2. 1. 시조 및 유래

고려사》에 의하면 배천 조씨의 시조 조지린(趙之遴)은 백주(白州)의 은천현(銀川縣) 출신으로 고려 목종 때 이부시랑 지은대사(吏部侍郞 知銀臺事)로 임명되었고, 1011년(현종 2년)에 상서좌복야·참지정사(叅知政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공화(恭華)이다.[5]

20세기 편찬된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조지린은 송 태조 조광윤(趙匡胤)의 적장자인 조덕소의 셋째 아들로 979년 황실의 난을 피해 고려에 와서 정착했다고 한다.[6] 그러나 신천 강씨 족보에는 후고구려 태봉 장군 강선힐의 부인이 배천 조씨라고 되어 있고, 《고려사》에서도 조지린이 송 황족이라는 기록이 없이 백주(白州)의 은천현(銀川縣) 사람이라고만 되어 있다. 조지린은 《송사》에서도 언급되는데, 황족이라는 기록은 일절 없고 함평 3년(1000년) 아장(牙將) 주인소(朱仁紹)를 시켜 등주를 살펴보게 하였다는 기록이 전부다. 그러므로 고려시대 이전에도 배천 조씨가 있었던 것인지, 후대에 쓰인 배천 조씨 족보나 신천 강씨 족보가 윤색한 것인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2. 2. 고려 시대

《고려사》에 의하면 시조 조지린(趙之遴)은 백주(白州)의 은천현(銀川縣) 출신으로 고려 목종 때 이부시랑 지은대사(吏部侍郞 知銀臺事)로 임명되었고, 1011년(현종 2년)에 상서좌복야·참지정사(叅知政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공화(恭華)이다.[5]

20세기 편찬된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조지린은 송 태조 조광윤(趙匡胤)의 적장자인 조덕소의 셋째 아들로 979년 황실의 난을 피해 고려에 와서 정착했다고 한다.[6] 그러나 신천 강씨 족보에는 후고구려 태봉 장군 강선힐의 부인이 배천 조씨라고 되어 있고, 《고려사》에서도 조지린이 송 황족이라는 기록이 없이 백주(白州)의 은천현(銀川縣) 사람이라고만 되어 있다. 조지린은 《송사》에서도 언급되는데, 황족이라는 기록은 일절 없고 함평 3년(1000년) 아장(牙將) 주인소(朱仁紹)를 시켜 등주를 살펴보게 하였다는 기록이 전부다. 그러므로 고려시대 이전에도 배천 조씨가 있었던 것인지 후대에 쓰인 배천 조씨 족보나 신천 강씨 족보가 윤색한 것인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고려시대에 평장사를 지낸 조중장(趙仲璋)을 비롯하여 대제학을 지낸 조옥(趙玉), 병부상서를 지낸 조문주(趙文胄), 문하시중의 조진(趙珍), 대장군의 조천주(趙天柱), 검교시중(檢校侍中)의 조선(趙瑄) 등 많은 관료를 배출하였다. 특히 참찬문하부사를 지낸 조반(趙胖)에 이르러서는 더 번영하였다고 한다.

3. 분파

배천 조씨에는 다음과 같은 분파들이 있다.


  • 평숙공파
  • 문정공파(文貞公派)
  • 복흥부원군파(復興府院君派)
  • 은천군파(銀川君派)
  • 판윤공파
  • 숙위공파
  • 문효공파
  • 임사공원립파
  • 억파
  • 휴재공파
  • 유후공파

4. 인물


  • 조기(趙琦, ? ~ 1395년) : 고려 말 군졸로 시작하여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이르렀다. 이성계를 추대하여 조선 개국공신 2등에 올라 보조공신(補祚功臣)의 호를 받고 동지중추원사·의흥친군위동지절제사(義興親軍衛同知節制使)가 되었으며, 은천군(銀川君)에 봉군되었다.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 조반(趙胖, 1341년 ~ 1401년) : 찬성사 양백연(楊伯淵)의 외손자다. 12세에 아버지를 따라 북경(北京)에 가서 몽골어를 배웠고, 원나라 중서성역사(中書省譯史)가 되었다. 조선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고 복흥군(復興君)에 봉해졌다. 여러번 명나라에 다녀왔고, 1395년 판중추원사에 제수되었다가 상의문하부사(商議門下府事)를 거쳐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숙위(肅魏)이다.

  • 조림(趙琳, ? ~ 1408년) : 고려말 문과에 급제하고 은천군(銀川君)에 봉해졌다. 1386년(우왕 12) 한양도원수 겸 한양부윤이 되었고, 1388년 밀직사사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조선 개국원종공신이 되었고, 1394년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가 되어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395년 찬성문하부사(贊成門下府事)가 되어 과전(科田)을 과다하게 받은 죄로 파직되었다가 사후 복직되었다. 시호는 강소(康昭)이다.

  • 조헌(趙憲, 1544년 ~ 1592년) : 1567년(명종 2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정주목 교수를 거쳐 통진현감, 보은현감, 전라도 도사를 지냈다. 1591년 일본의 도요토미명나라를 치기 위해 길을 열어줄 것을 요청했을 때 사신을 참수하라고 왕에게 상소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우, 김경백, 전승업 등과 함께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켜 1600여 명을 규합하여 의병장이 되고, 승병과 합세하여 청주성을 수복하였으나 전라도로 진격하는 왜군에 맞서 금산 전투에 참가하여 의병들과 함께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했다. 제자들이 시신을 한데 모아 묻고 "700의총"이라 했다. 그는 율곡 이이의 제자 중 가장 뛰어난 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이이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킨 유학자이다.

  • 조정호(趙廷虎) : 1612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정자(正字)를 거쳐 찰방(察訪), 저작(著作), 전적(典籍) 등을 지내다가 병조판서에 이르렀고, 조석윤(趙錫胤)은 162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조정랑, 승지 등을 지낸 뒤 대제학으로 "인조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5. 집성촌

배천 조씨 집성촌
지역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풍곡리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금당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교산리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영양리
충청남도 청양군 화성면 광평리
황해도 연백군 도촌면 마천리
황해도 연백군 금산면 예의리
평안남도 룡강군 대대면 화조리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동
강원도 원주시 흥양로
평안남도 룡강군 대대면 화도리[3]


6.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 세종의 친조카 원천군 정비 군부인 배천 조씨[1]

7. 항렬자

31세손~45세손의 윗글자는 본항렬, 아랫글자는 예비항렬이다. 46세~50세는 예비항렬이 정해지지 않았다.

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50세
金변(외자)口원(源)口근(根)火변(외자)口증(增)
口濬
口永

口煥
口烈

口鎭
口鉉

口相
口植

口培
口圭

口淵
口求

口燦
口杰

口鎬口榮口埰


8. 족보

간행 연도간행명비고
1716년 (숙종 42년)병신보
1759년 (영조 35년)기묘보
1780년 (정조 4년)병자보
1804년 (순조 4년)갑자보
1850년 (철종 1년)경술보
1880년 (고종 17년)경진보
1903년 (광무 7년)계묘보
1923년계해보
1957년정유보
1978년무오보
1997년 12월 16일갑술보국내 최초로 족보를 CD-ROM으로 제작


9. 본관

배천(白川)은 황해도 남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굴압현(屈押縣) 또는 웅패(雄覇)라 불렸다. 고려 초에 염주(鹽州)로 개칭되었고, 995년(고려 성종 14년)에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배주로 고쳤다. 1269년(원종 10년)에 원나라의 동녕부(東寧府)에 편입되었다가 1278년(충렬왕 4)에 다시 배주목(白州牧)으로 환원되었다. 1354년(공민왕 3)에 다시 동녕부에 편입되었다. 1413년(태종 13년)에 배천군으로 개칭되었다.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배천조씨 白川趙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6
[3] 웹사이트 조씨(趙氏) 본관(本貫) 배천(白川)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8
[4] 문서 《고려사》 권94 열전 권제7 http://db.history.go[...]
[5] 문서 『고려사』 권94, 열전7 https://terms.naver.[...]
[6]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 배천조씨·임천조씨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