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조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조헌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1537년 김포에서 태어났다. 1567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으며,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그는 임진왜란 발발 전부터 일본의 침략을 예견하고 대비할 것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청주성을 탈환하는 등 활약했으나, 금산 전투에서 700 의병과 함께 전사했다. 사후 선무원종공신에 책록되고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옥천의 표충사에 그의 위패가 모셔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천 조씨 - 조원진
    조원진은 한국외대 졸업 후 대우그룹에서 근무하다 2008년 국회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3선 의원을 지냈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며 대한애국당을 창당했으나 21대 총선에서 낙선, 막말 논란 등 사회적 논쟁을 일으킨 정치인이다.
  • 배천 조씨 - 조진만 (법조인)
    조진만은 일제강점기 판사로 활동하다 대한민국 수립 후 제2대 대법원장을 역임한 법조인으로, 고등문관시험 합격 후 법조 경력을 시작해 해방 후 검사장 등을 거쳐 대법원장이 되었으나, 이승만 정권 협조 비판 속에 사퇴하고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1544년 출생 - 토르콰토 타소
    토르콰토 타소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서사시 《리날도》, 목가극 《아민타》, 대서사시 《해방된 예루살렘》 등의 작품을 남기며 유럽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44년 출생 - 프랑수아 2세
    프랑수아 2세는 앙리 2세와 카트린 드 메디시스의 아들로 프랑스 국왕(재위: 1559년-1560년)이었으나, 어리고 병약하여 기즈 가문이 득세하고 앙부와즈 음모, 재정 위기, 종교 갈등 속에 귀 질환으로 요절하여 샤를 9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임진왜란 의병장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임진왜란 의병장 - 강항
    강항은 정유재란 때 일본에 포로로 잡혀 《간양록》을 저술하고 귀국 후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쓴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조헌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한글 이름조헌
한자 이름趙憲
로마자 표기Jo Heon
여식(汝式)
중봉(重峯), 후율(後栗), 도원(陶原)
시호문열(文烈)
출생
출생일1544년 6월 28일
출생지조선 경기도 김포
사망
사망일1592년 (49세)
사망지조선 전라도 금산 (전사)
신분 및 사상
직책조선 공조좌랑 (1581년~1582년)
임금조선 선조
정치 성향서인 후예 세력
분야성리학
경력문신, 유학자, 경세사상가, 의병장
가족 관계

2. 생애

경기도 김포 감정리에서 태어난 조헌은 5살 때에 글을 읽는 등 어려서부터 자질이 뛰어나고 효성이 있고 유순했다. 10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계모인 김씨 아래에서 성장하였다.[1] 집은 가난하였으나 12세 때부터 김황(金滉)에게 시와 글을 배웠다.[1] 1565년 성균관에 입학하였고, 1567년(명종 22년)에는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예하 교서관에 속하였다. 이후 평안도 정주(定州) 성균관 향교 교수로 3년간 있으면서 그곳 선비의 풍속을 일신시켰다. 경기도 파주 성균관 향교 교수로 옮겨 성혼을 찾아 가르침을 청하니 성혼은 사양하면서 감히 사제 간의 예로 대하지 않았다.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이다. 임진왜란(문록·경장의 역) 때 의병 대장으로 참전한 것에서 기인하여, 시호는 문렬(文烈)이다.[1]

1565년, 성균관에 진학했으며,[1] 24세에 문과에 급제한 후 교서관 부정자, 교서관 정자, 공조좌랑, 종묘서령을 역임했다.[1] 1574년, 조선 연행사로 임명되어 중국에 갔다.[1]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 대장이 되어 싸웠으나, 안타깝게도 전사했다. 향년 49세. 사후, 선무원종일등공신, 이조판서가 추증되었다.[1]

1565년, 성균관에 진학했으며, 24세에 문과에 급제한 후 교서관 부정자, 교서관 정자, 공조좌랑, 종묘서령을 역임했다.[1] 1572년(선조 5년) 홍문관 정자(正字)로 왕의 불공이 옳지 않음을 말하다가 파면되었다. 1574년(선조 7) 명나라에 파견되는 성절사 박희립(朴希立)의 질정관(質正官)이 되어 서장관(書狀官) 허봉(許篈) 등과 함께 연경을 다녀왔다.[1] 질정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와 그곳의 문물과 제도의 따를 만한 것을 조목별로 적어 《동환봉사》(東還封事)를 내놓았다. 《동환봉사》에는 명나라의 신분제 실상을 알리며, 조헌은 출신을 따지지 않고 인재를 등용하는 명나라를 본받을 것을 제안하면서, 조선에서도 공·사노비를 양민화해 징병자원을 증대시키면 20년 뒤 100만의 정예 병사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4][5] 후에 박사(博士), 호·예 2조 좌랑, 전적(典籍), 감찰 등을 거쳐 경기도 통진 현감으로 다스리다가 법을 어긴 궁노비를 취조 중 장살(杖殺)하고 부평에 귀양을 갔다.

1575년에 예조좌랑에 임명되자 스스로 사직을 청하며 진서산(眞西山)의 《정경(政經)》, 척계광의 문집, 《지지당고(止止堂稿)》, 《동몽수지(童蒙須知)》 등의 필요성과 인쇄를 상소하였다. 선조는 그의 건의를 받아들이고 사직을 반려시켰다. 1581년에 공조 좌랑에 임명되었고, 전라도사로 나가 소를 올려 연산군 때의 공안(貢案)이 아직도 민폐가 되므로 개혁할 것을 청하고 이율곡 등의 선비들과 친분을 유지하였다.

1582년(선조 15)에는 보은 현감으로 소를 올려 노산군(단종)의 후사(後嗣)를 세울 것과 사육신의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할 것을 청했으나 도리어 모함을 받아 파면되었다. 1586년 조정에서 학제(學制)를 수정하고 각도 제독(提督)을 창설할 때 공주(公州) 제독이 되어 선비의 규율을 엄하게 하고 앞장서서 실천하니 찾아드는 선비가 많았다. 그해 10월 율곡 이이, 우계 성혼을 변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동인 당원으로부터 계속 공격을 받았다. 이때 또 소를 올리는 한편 정여립의 행패를 따지고 공격하였으나 관찰사가 화를 두려워하여 여러 번 물리치므로 벼슬을 내놓고 옥천(沃川)으로 돌아갔다. 이 일로 사간원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그해 5월 길주(吉州) 영동역(嶺東驛)으로 유배되었으나 6개월만에 왕명으로 사면되었다.

1587년 공주 교수가 되어 상소를 올렸으나 관찰사가 받지 않자 사직하였다. 1589년에는 대궐에 엎드려 소를 올려 시정(詩政)의 장단점을 철저히 논하였는데 광론(狂論)이라 하여 삼사의 배척을 받고 드디어 길주(吉州)로 귀양 갔으나 그해 겨울 정여립의 모반사건이 일어나자 앞날을 내다보는 지혜가 있다 하여 석방되었다. 이렇듯 조헌은 철저한 유교적 입장에서 많은 개혁안을 상소하고 정론(正論)을 폈다.

1591년(선조 24)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게이테쓰 겐소(景轍玄蘇) 등을 조선에 보내와서 명나라를 칠 것을 전달하여 임금과 신하가 머뭇거리고 있을 때,, 그는 상소를 올려 겐소 등을 죽일 것을 청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상경하여 왜군을 대비할 책을 상소했으나 정부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시골에 내려가 왜란에 대비하였다.

1592년 1월 대마도에 주둔하는 왜군의 움직임을 보고 형조 판서 이증(李增)에게 편지를 보내 '대마도(對馬島)에 주둔하고 있는 군사가 서쪽으로 침입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는데 용맹스런 장사로서 지킬 만한 자를 헤아려 보건대 서너 명도 없는 형편이다. 의주 목사 김여물은 활쏘고 말타는 재주가 뛰어났다고 세상에서 일컬어지고 본래 성품이 충성스럽고 의로운 자이다. 그런데 지금 직무를 수행하던 중에 조금 생각하지 못하고 저지른 잘못이 있다고 하여 장차 법에 의하여 제거하려고 한다. 강적이 주위에서 엿보는데 장사(壯士)에게 형벌을 가한다면 어찌 명철한 군주가 추도(追悼)하게 되지 않겠는가. 바라건대 탑전에 특진(特進)하였을 때 성주를 위하여 머리를 조아려 이 사람의 생명을 간청함으로써 그로 하여금 영해(嶺海)의 군영에서 오랑캐를 방어하게 한다면 한 대의 화살로 적의 괴수를 쏘아 죽여 1만 군대를 휩쓸어버릴 수 있을 것이다.'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조헌은 양반 출신으로, 유교 학자인 송혼에게 교육을 받았다. 과거에 급제한 후 옥천으로 이주했다. 그는 조선 조정의 서인이었다. 그는 일본 섭정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찬탈자로 여기고, 일본이 곧 한국을 침략할 것이라고 믿어 일본에 파견하는 통신사에 반대했다. 그는 일본에 대한 선제 공격을 주장했지만, 이 제안은 거부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호남의 고경명, 김천일, 영남의 곽재우, 정인홍과 함께, 호서에서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킨 조헌은 보은으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였으나 순찰사 윤선각(尹先覺) 등의 시기로 홍성 지방에 옮겨가서 또 의병 천여 명을 모집했다. 이때 왜군은 청주에 진을 치고 있어 관군이 여러 번 패하였는데, 승장(僧將) 영규와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여 충청도 공략의 본거지를 탈환하는 등 전과를 세웠다.

조헌은 일본군이 점령한 청주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승병 지도자 영규와 힘을 합쳐 1592년 9월 6일에 공격을 감행했다. 이 도시는 하치스카 이에마사가 이끄는 소규모 일본군이 방어하고 있었다. 조헌의 군대는 서문 밖에 자리를 잡았다. 그들은 일본군의 소규모 선발대를 격파하고 성벽으로 접근했지만, 폭우로 인해 물러났다. 의병들은 불을 지르고 그들의 위치 주변에 깃발을 세워, 방어자들이 자신들이 훨씬 더 큰 병력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일본군은 청주를 방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그날 철수했다.

곧이어 의주로 북상하기 전에, 관군의 시기와 방해로 흩어지고 남은 700명의 의병을 이끌게 되었다. 그때 당시 금산(錦山)의 왜군이 충청도 일대로 세력을 넓힐 기세라는 소식을 듣고 그 길로 영규와 함께 금산을 향해 가서 왜군에게 함락된 금산의 10리 밖에 이르렀다. 당초 호남 순찰사 권율과 합세하여 적을 협공할 약속이었으나 권율로부터 그 기일을 미루자는 편지를 받은 상태였다. 그러나 왜군은 이미 조헌이 거느린 의병의 약점을 알고 역습해 왔다. 그의 군사는 역전 분투하여 왜군에게 많은 손해를 주었으나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하여 조헌과 영규 합동군의 7백의사가 전멸했다. 그러나 이를 통해 호남 방어의 근거지였던 금산을 회복하게 된다.

8월, 그는 또 다른 의병장인 고경명으로부터 서신을 받았는데, 그 내용은 연합하여 서울을 탈환하자는 것이었다. 조헌은 이 계획에 동의하고 현재 위치인 충청도를 떠나 서울을 공격할 준비를 했다. 그러나 고경명은 일본군이 자신의 고향인 전라도를 침략하려 한다는 것을 알고 계획을 철회했다. 대신 그는 금산군을 공격했고,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

1592년 (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호남의 고경명, 김천일, 영남의 곽재우, 정인홍과 함께, 호서에서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킨 조헌은 보은으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였으나 순찰사 윤선각(尹先覺) 등의 시기로 홍성 지방에 옮겨가서 또 의병 천여 명을 모집했다. 이때 왜군은 청주에서 진을 치고 있어 관군이 여러 번 패하였는데, 승장(僧將) 영규와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여 충청도 공략의 본거지를 탈환하는 등 전과를 세웠다.

곧이어 의주로 북상하기 전에, 관군의 시기와 방해로 흩어지고 남은 700명의 의병을 이끌게 되었다. 그때 당시 금산(錦山)의 왜군이 충청도 일대로 세력을 넓힐 기세라는 소식을 듣고 그 길로 영규와 함께 금산을 향해 가서 왜군에게 함락된 금산의 10리 밖에 이르렀다. 당초 호남 순찰사 권율과 합세하여 적을 협공할 약속이었으나 권율로부터 그 기일을 미루자는 편지를 받은 상태였다. 그러나 왜군은 이미 조헌이 거느린 의병의 약점을 알고 역습해 왔다. 그의 군사는 역전 분투하여 왜군에게 많은 손해를 주었으나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하여 조헌과 영규 합동군의 7백의사가 전멸했다.[6] 그러나 이를 통해 호남 방어의 근거지였던 금산을 회복하게 된다.

금산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지키고 있었다. 그는 조선군의 규모가 작다는 것을 알고 수성하는 대신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밤에 병력의 일부를 보내 조헌의 진지를 포위하게 한 다음, 성문을 열고 주력 부대로 돌격했다. 조헌은 그의 의병대와 함께 전사했다. 그들의 시신은 칠백의총이라고 불리는 무덤에 안장되었다. 영규와 그의 승병들은 세 번째 전투에서 금산을 공격했고, 그와 모든 승려들이 전사했다.

2. 1. 초기 활동

경기도 김포 감정리에서 태어난 조헌은 5살 때에 글을 읽는 등 어려서부터 자질이 뛰어나고 효성이 있고 유순했다. 10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계모인 김씨 아래에서 성장하였다.[1] 집은 가난하였으나 12세 때부터 김황(金滉)에게 시와 글을 배웠다.[1] 1565년 성균관에 입학하였고, 1567년(명종 22년)에는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예하 교서관에 속하였다. 이후 평안도 정주(定州) 성균관 향교 교수로 3년간 있으면서 그곳 선비의 풍속을 일신시켰다. 경기도 파주 성균관 향교 교수로 옮겨 성혼을 찾아 가르침을 청하니 성혼은 사양하면서 감히 사제 간의 예로 대하지 않았다.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이다. 임진왜란(문록·경장의 역) 때 의병 대장으로 참전한 것에서 기인하여, 시호는 문렬(文烈)이다.[1]

1565년, 성균관에 진학했으며,[1] 24세에 문과에 급제한 후 교서관 부정자, 교서관 정자, 공조좌랑, 종묘서령을 역임했다.[1] 1574년, 조선 연행사로 임명되어 중국에 갔다.[1]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 대장이 되어 싸웠으나, 안타깝게도 전사했다. 향년 49세. 사후, 선무원종일등공신, 이조판서가 추증되었다.[1]

2. 2. 관직 생활

조헌은 양반 출신으로, 유교 학자인 송혼에게 교육을 받았다. 과거에 급제한 후 옥천으로 이주했다. 그는 조선 조정의 서인이었다. 그는 일본 섭정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찬탈자로 여기고, 일본이 곧 한국을 침략할 것이라고 믿어 일본에 파견하는 통신사에 반대했다. 그는 일본에 대한 선제 공격을 주장했지만, 이 제안은 거부되었다.

2. 2. 1. 관료 생활 초반

1565년, 성균관에 진학했으며, 24세에 문과에 급제한 후 교서관 부정자, 교서관 정자, 공조좌랑, 종묘서령을 역임했다.[1] 1572년(선조 5년) 홍문관 정자(正字)로 왕의 불공이 옳지 않음을 말하다가 파면되었다. 1574년(선조 7) 명나라에 파견되는 성절사 박희립(朴希立)의 질정관(質正官)이 되어 서장관(書狀官) 허봉(許篈) 등과 함께 연경을 다녀왔다.[1] 질정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와 그곳의 문물과 제도의 따를 만한 것을 조목별로 적어 《동환봉사》(東還封事)를 내놓았다. 《동환봉사》에는 명나라의 신분제 실상을 알리며, 조헌은 출신을 따지지 않고 인재를 등용하는 명나라를 본받을 것을 제안하면서, 조선에서도 공·사노비를 양민화해 징병자원을 증대시키면 20년 뒤 100만의 정예 병사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4][5] 후에 박사(博士), 호·예 2조 좌랑, 전적(典籍), 감찰 등을 거쳐 경기도 통진 현감으로 다스리다가 법을 어긴 궁노비를 취조 중 장살(杖殺)하고 부평에 귀양을 갔다.

1575년에 예조좌랑에 임명되자 스스로 사직을 청하며 진서산(眞西山)의 《정경(政經)》, 척계광의 문집, 《지지당고(止止堂稿)》, 《동몽수지(童蒙須知)》 등의 필요성과 인쇄를 상소하였다. 선조는 그의 건의를 받아들이고 사직을 반려시켰다. 1581년에 공조 좌랑에 임명되었고, 전라도사로 나가 소를 올려 연산군 때의 공안(貢案)이 아직도 민폐가 되므로 개혁할 것을 청하고 이율곡 등의 선비들과 친분을 유지하였다.

2. 2. 2. 관료 생활 중반

1582년(선조 15)에는 보은 현감으로 소를 올려 노산군(단종)의 후사(後嗣)를 세울 것과 사육신의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할 것을 청했으나 도리어 모함을 받아 파면되었다. 1586년 조정에서 학제(學制)를 수정하고 각도 제독(提督)을 창설할 때 공주(公州) 제독이 되어 선비의 규율을 엄하게 하고 앞장서서 실천하니 찾아드는 선비가 많았다. 그해 10월 율곡 이이, 우계 성혼을 변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동인 당원으로부터 계속 공격을 받았다. 이때 또 소를 올리는 한편 정여립의 행패를 따지고 공격하였으나 관찰사가 화를 두려워하여 여러 번 물리치므로 벼슬을 내놓고 옥천(沃川)으로 돌아갔다. 이 일로 사간원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그해 5월 길주(吉州) 영동역(嶺東驛)으로 유배되었으나 6개월만에 왕명으로 사면되었다.

1587년 공주 교수가 되어 상소를 올렸으나 관찰사가 받지 않자 사직하였다. 1589년에는 대궐에 엎드려 소를 올려 시정(詩政)의 장단점을 철저히 논하였는데 광론(狂論)이라 하여 삼사의 배척을 받고 드디어 길주(吉州)로 귀양 갔으나 그해 겨울 정여립의 모반사건이 일어나자 앞날을 내다보는 지혜가 있다 하여 석방되었다. 이렇듯 조헌은 철저한 유교적 입장에서 많은 개혁안을 상소하고 정론(正論)을 폈다.

1591년(선조 24)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게이테쓰 겐소(景轍玄蘇) 등을 조선에 보내와서 명나라를 칠 것을 전달하여 임금과 신하가 머뭇거리고 있을 때,, 그는 상소를 올려 겐소 등을 죽일 것을 청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상경하여 왜군을 대비할 책을 상소했으나 정부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시골에 내려가 왜란에 대비하였다.

1592년 1월 대마도에 주둔하는 왜군의 움직임을 보고 형조 판서 이증(李增)에게 편지를 보내 '대마도(對馬島)에 주둔하고 있는 군사가 서쪽으로 침입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는데 용맹스런 장사로서 지킬 만한 자를 헤아려 보건대 서너 명도 없는 형편이다. 의주 목사 김여물은 활쏘고 말타는 재주가 뛰어났다고 세상에서 일컬어지고 본래 성품이 충성스럽고 의로운 자이다. 그런데 지금 직무를 수행하던 중에 조금 생각하지 못하고 저지른 잘못이 있다고 하여 장차 법에 의하여 제거하려고 한다. 강적이 주위에서 엿보는데 장사(壯士)에게 형벌을 가한다면 어찌 명철한 군주가 추도(追悼)하게 되지 않겠는가. 바라건대 탑전에 특진(特進)하였을 때 성주를 위하여 머리를 조아려 이 사람의 생명을 간청함으로써 그로 하여금 영해(嶺海)의 군영에서 오랑캐를 방어하게 한다면 한 대의 화살로 적의 괴수를 쏘아 죽여 1만 군대를 휩쓸어버릴 수 있을 것이다.'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 2. 3. 일본의 침략 경고와 좌절

조헌은 양반 출신으로, 유교 학자인 송혼에게 교육을 받았다. 과거에 급제한 후 옥천으로 이주했다. 그는 조선 조정의 서인이었다. 그는 일본 섭정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찬탈자로 여기고, 일본이 곧 한국을 침략할 것이라고 믿어 일본에 파견하는 통신사에 반대했다. 그는 일본에 대한 선제 공격을 주장했지만, 이 제안은 거부되었다.

2. 3. 임진왜란과 전사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호남의 고경명, 김천일, 영남의 곽재우, 정인홍과 함께, 호서에서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킨 조헌은 보은으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였으나 순찰사 윤선각(尹先覺) 등의 시기로 홍성 지방에 옮겨가서 또 의병 천여 명을 모집했다. 이때 왜군은 청주에 진을 치고 있어 관군이 여러 번 패하였는데, 승장(僧將) 영규와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여 충청도 공략의 본거지를 탈환하는 등 전과를 세웠다.

곧이어 의주로 북상하기 전에, 관군의 시기와 방해로 흩어지고 남은 700명의 의병을 이끌게 되었다. 그때 당시 금산(錦山)의 왜군이 충청도 일대로 세력을 넓힐 기세라는 소식을 듣고 그 길로 영규와 함께 금산을 향해 가서 왜군에게 함락된 금산의 10리 밖에 이르렀다. 당초 호남 순찰사 권율과 합세하여 적을 협공할 약속이었으나 권율로부터 그 기일을 미루자는 편지를 받은 상태였다. 그러나 왜군은 이미 조헌이 거느린 의병의 약점을 알고 역습해 왔다. 그의 군사는 역전 분투하여 왜군에게 많은 손해를 주었으나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하여 조헌과 영규 합동군의 7백의사가 전멸했다.[6] 그러나 이를 통해 호남 방어의 근거지였던 금산을 회복하게 된다.

2. 3. 1. 의병 봉기와 청주성 탈환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호남의 고경명, 김천일, 영남의 곽재우, 정인홍과 함께, 호서에서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킨 조헌은 보은으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였으나 순찰사 윤선각(尹先覺) 등의 시기로 홍성 지방에 옮겨가서 또 의병 천여 명을 모집했다. 이때 왜군은 청주에서 진을 치고 있어 관군이 여러 번 패하였는데, 승장(僧將) 영규와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여 충청도 공략의 본거지를 탈환하는 등 전과를 세웠다.[1]

조헌은 일본군이 점령한 청주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승병 지도자 영규와 힘을 합쳐 1592년 9월 6일에 공격을 감행했다. 이 도시는 하치스카 이에마사가 이끄는 소규모 일본군이 방어하고 있었다. 조헌의 군대는 서문 밖에 자리를 잡았다. 그들은 일본군의 소규모 선발대를 격파하고 성벽으로 접근했지만, 폭우로 인해 물러났다. 의병들은 불을 지르고 그들의 위치 주변에 깃발을 세워, 방어자들이 자신들이 훨씬 더 큰 병력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일본군은 청주를 방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그날 철수했다.

곧이어 의주로 북상하기 전에, 관군의 시기와 방해로 흩어지고 남은 700명의 의병을 이끌게 되었다. 그때 당시 금산(錦山)의 왜군이 충청도 일대로 세력을 넓힐 기세라는 소식을 듣고 그 길로 영규와 함께 금산을 향해 가서 왜군에게 함락된 금산의 10리 밖에 이르렀다. 당초 호남 순찰사 권율과 합세하여 적을 협공할 약속이었으나 권율로부터 그 기일을 미루자는 편지를 받은 상태였다. 그러나 왜군은 이미 조헌이 거느린 의병의 약점을 알고 역습해 왔다. 그의 군사는 역전 분투하여 왜군에게 많은 손해를 주었으나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하여 조헌과영규합동군의 7백의사가 전멸했다. 그러나 이를 통해 호남 방어의 근거지였던 금산을 회복하게 된다.

8월, 그는 또 다른 의병장인 고경명으로부터 서신을 받았는데, 그 내용은 연합하여 서울을 탈환하자는 것이었다. 조헌은 이 계획에 동의하고 현재 위치인 충청도를 떠나 서울을 공격할 준비를 했다. 그러나 고경명은 일본군이 자신의 고향인 전라도를 침략하려 한다는 것을 알고 계획을 철회했다. 대신 그는 금산군을 공격했고,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

2. 3. 2. 금산 전투와 700의총

1592년 (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호남의 고경명, 김천일, 영남의 곽재우, 정인홍과 함께, 호서에서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킨 조헌은 보은으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였으나 순찰사 윤선각(尹先覺) 등의 시기로 홍성 지방에 옮겨가서 또 의병 천여 명을 모집했다. 이때 왜군은 청주에서 진을 치고 있어 관군이 여러 번 패하였는데, 승장(僧將) 영규와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여 충청도 공략의 본거지를 탈환하는 등 전과를 세웠다.

곧이어 의주로 북상하기 전에, 관군의 시기와 방해로 흩어지고 남은 700명의 의병을 이끌게 되었다. 그때 당시 금산(錦山)의 왜군이 충청도 일대로 세력을 넓힐 기세라는 소식을 듣고 그 길로 영규와 함께 금산을 향해 가서 왜군에게 함락된 금산의 10리 밖에 이르렀다. 당초 호남 순찰사 권율과 합세하여 적을 협공할 약속이었으나 권율로부터 그 기일을 미루자는 편지를 받은 상태였다. 그러나 왜군은 이미 조헌이 거느린 의병의 약점을 알고 역습해 왔다. 그의 군사는 역전 분투하여 왜군에게 많은 손해를 주었으나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하여 조헌과 영규 합동군의 7백의사가 전멸했다.[6] 그러나 이를 통해 호남 방어의 근거지였던 금산을 회복하게 된다.

금산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지키고 있었다. 그는 조선군의 규모가 작다는 것을 알고 수성하는 대신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밤에 병력의 일부를 보내 조헌의 진지를 포위하게 한 다음, 성문을 열고 주력 부대로 돌격했다. 조헌은 그의 의병대와 함께 전사했다. 그들의 시신은 칠백의총이라고 불리는 무덤에 안장되었다. 영규와 그의 승병들은 세 번째 전투에서 금산을 공격했고, 그와 모든 승려들이 전사했다.

3. 사후

1604년(선조 37년)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고, 증 이조판서로 추증되었다.[1] 1609년(광해군 1년)에는 조헌의 위패를 모신 옥천의 사당에 '표충(表忠)'이라는 편액이 하사되어 표충사(表忠祠)가 되었다.[1] 1636년(인조 14년), 김포의 생가 터에 서원이 건립되었으며, 1670년(현종 11년)에는 이 서원에 우저서원(牛渚書院)이라는 편액이 내려졌다.[1] 1754년(영조 30년), 영의정으로 가증(加贈)되었다.[1] 1883년(고종 20년), 성균관 문묘(文廟)에 종사되었다.[1]

4. 평가

조헌의 호는 중봉(重峯)이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참전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렬(文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 1565년 성균관에 진학하여 24세에 문과에 급제, 교서관 부정자, 정자, 공조좌랑, 종묘서령 등을 역임했다.[1] 1574년에는 조선 연행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장으로 싸우다 전사했으며, 사후 선무원종일등공신에 추증되고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1]

5. 관련 유적 및 작품

5. 1. 일반 주제


  • 칠백의총
  • 금산 전투
  • 중봉 조헌 신도비
  • 보은 후율사 - 충청북도 기념물 제15호

5. 2. 관련 도로

5. 3. 관련 작품

참조

[1] 뉴스 조헌(趙憲) http://encykorea.aks[...] 2022-08-20
[2] 서적 朝鮮燕行使と朝鮮通信使 名古屋大学出版会 2015-02-28
[3]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4] 서적 연행록선집Ⅱ 민족문화추진회 2018-04-07
[5] 뉴스 “백성이 다 귀하면 나라 망해” … ‘양반들 리그’ 옹호한 정약용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8-04-07
[6] 문서 선조실록 31권, 1592년 선조 25년 명 만력(萬曆) 20년 10월 21일 정미 5번째기사," 김제갑·조헌·남정유·승장 영규 등에게 가자하고 증직하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