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주시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한 시로, 고구려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2013년 여주군에서 여주시로 승격되었으며, 세종대왕릉과 명성황후 생가 등 역사적 명소와 신륵사, 고달사지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쌀 생산이 유명하며, 최근에는 물류센터 유치 등 교통 요충지로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경강선 철도와 다양한 고속도로 및 국도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며, 동대문구, 송파구, 중구, 아산시, 쓰난정, 가미미네정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설치 - 태안소방서
태안소방서는 2013년 서산소방서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충청남도 태안군의 소방기관으로, 소방행정과와 현장대응단, 4개의 119안전센터를 운영하며 화재 진압, 구조, 구급 활동 및 예방교육, 화재 원인 조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2013년 설치 - 충무공동
충무공동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하며 김시민 장군의 호에서 유래된 동으로, 경남진주혁신도시가 조성되어 있고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과 천연기념물 제534호로 지정된 발자국 화석산지가 위치해 있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여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여주시 |
한글 표기 | 여주시 |
한자 표기 | 驪州市 |
로마자 표기 | Yeoju-si |
매큔-라이샤워 표기 | Yŏju-si |
위치 | 대한민국 경기도 (수도권) |
면적 | 608.64 km² |
인구 (2024년 9월) | 114,750명 |
인구 밀도 | 188.8 명/km² |
방언 | 서울 방언 |
행정 구역 | 8읍, 3면, 3리 |
![]() | |
![]() | |
![]() |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개나리 |
시조 | 왜가리 |
상징 동물 | 백로 |
행정 | |
시장 | 이충우 (국민의힘) |
국회의원 | 김선교 (국민의힘, 여주시·양평군) |
시청 소재지 | 경기도 여주시 세종로 1 |
웹사이트 | 여주시 |
기타 | |
행정 구역 코드 | 31320 |
2. 역사
여주시는 천혜적인 지리 조건으로 인해 진국 시대부터 평화로운 집단 마을을 영위해 왔으나, 역사상 지명이 뚜렷이 나타난 것은 476년 고구려 장수왕 63년에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는 이름으로부터 시작된다.[24] 그 후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는 황요(黃驍), 940년 고려 천수(天授) 23년에 황려현(黃驪縣), 고려 고종 원년(1214년)에 영의(永義)로 개칭하였다가, 1305년 충렬왕 31년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24] 조선 태종 2년(1401년)에 여흥부(驪興府)로 승격하였고, 1413년 태종 14년에 도호부가 설치하였다.[24] 이때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24] 1469년 조선 예종 1년에 여주목으로 승격하였다.[24]
1895년 6월 23일 23부제 시행으로 충주부 여주군으로 개편되었고,[24] 1896년 건양 원년 8월 4일 13도제 시행으로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24] 1906년에는 원주군 강천면과 지내면이 여주군으로 편입되었다.[24]
1914년 4월 1일 일제는 행정구역 통폐합을 단행하여 9개 면으로 개편하였다.[25] 1938년 1월 1일 주내면이 여주면으로 개칭되었고,[26] 1941년 10월 1일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27] 1963년 1월 1일 개군면이 양평군에 편입되었고,[28] 1971년 4월 12일 금사면에 산북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7년 1월 1일 흥천면 양촌리가 대신면으로 편입되었으며, 1989년 4월 1일 산북출장소가 산북면으로 승격하였다. 1992년 3월 2일 북내면에 오학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95년 3월 1일 강천면 대둔리가 원주시 문막읍에 편입되었다. 2007년 3월 5일 여주읍 오학출장소로 개편되었다.
2013년 3월 26일 여주군 일원에 도농복합시를 신설하는 안을 정부에서 의결하였고,[29] 2013년 5월 7일에 시 승격이 최종 승인되었다.[30] 2013년 9월 23일 여주군 일원이 '''여주시'''로, 가남면은 가남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여주읍은 여흥동, 중앙동, 오학동으로 분동, 산북면 하품리가 명품리, 주어리로 분할되었다.[24] 2016년 9월 24일 경강선이 개통되었고, 2021년 12월 31일 능서면을 세종대왕면으로 개칭하였다.[23]
2. 1. 고대
여주시는 천혜적인 지리 조건 덕분에 진국 시대부터 평화로운 집단 마을을 이루며 살아왔다.[4] 여주 시가지 남동쪽에 위치한 흥남리 유적에서는 구석기 시대 어골문 토기 조각, 석축, 그리고 다른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며, 신석기 시대를 거쳐 지속적인 인간의 존재가 확인되고있다.[4] 역사상 지명이 뚜렷이 나타난 것은 476년 고구려 장수왕 63년에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는 이름으로부터 시작된다.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는 황요(黃驍)로 변경되었다.[9] 940년 고려 천수 23년에는 황려현(黃驪縣)으로, 1214년 고려 고종 원년에는 영의(永義)로 개칭하였다가, 1305년 충렬왕 31년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1401년 조선 태종 2년에 여흥부(驪興府)로 승격하였고, 1413년 태종 14년에 도호부가 설치되면서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1469년 조선 예종 1년에 여주목으로 승격하였다.남한강 유역에 위치한 여주는 신라 왕조 통치자들에게 지리적으로 전략적인 요충지였다. 파사왕 재위 시절(80년~112년), 여주 하류 파사산에 파사성이 축조되었다.[5] 이 산성은 후대 왕조에서도 계속 사용되었으나, 남한산성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중요성이 퇴색되었다.[6] 1,800미터 길이의 성벽 대부분이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등산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여주에는 한국 유일의 강변 불교 사찰인 실레우사가 있다. 실레우사는 원효 스님이 580년에 창건하였다.[7] 이곳에는 7개의 유물과 함께 국내 몇 안 되는 벽돌로 지어진 탑이 있다.[8]
고달사지 절터는 통일 신라 경덕왕이 764년에 건립한 사찰의 흔적이다.[9] 고려 초기에 왕실의 후원을 받았으나, 조선 시대에 불타 없어졌다. 현재는 기단 주변에 몇 개의 돌탑과 용두 거북이만 남아 있지만, 정교한 조각을 통해 초기 고려 장인들의 뛰어난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10]
2. 2. 고려 시대
여주시는 천혜적인 지리 조건 덕분에 진국 시대부터 평화로운 집단촌을 이루며 살아왔다.[5] 역사상 지명이 뚜렷이 나타난 것은 476년 고구려 장수왕 63년에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는 이름으로부터 시작된다. 그 후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는 황요(黃驍)로,[9] 940년 고려 천수(天授) 23년에는 황려현(黃驪縣)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고종 원년(1214년)에 영의(永義)로 개칭하였다가, 1305년 충렬왕 31년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조선 태종 2년(1401년)에 여흥부(驪興府)로 승격하였고, 1413년 태종 14년에 도호부가 설치되었다. 이때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1469년 조선 예종 1년에 여주목으로 승격하였다.남한강 유역에 위치한 여주는 신라 왕조 통치자들에게 지리적으로 전략적인 요충지였다. 파사왕 재위 시절(80년~112년), 여주 하류 파사성지 산성이 축조되었다.[5] 이 산성은 후대 왕조에서도 계속 사용되었으나, 남한산성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중요성이 퇴색되었다.[6]
여주에는 한국 유일의 강변 불교 사찰인 신륵사가 있다. 신륵사는 원효 스님이 580년에 창건하였다.[7]
고달사지 절터는 통일 신라 경덕왕이 764년에 건립한 사찰의 흔적이다.[9] 고려 초기에 왕실의 후원을 받았으나, 조선 시대에 불타 없어졌다.[10]
2. 3. 조선 시대
여주시는 천혜적인 지리 조건 덕분에 진국 시대부터 평화로운 집단 마을을 이루며 살아왔다. 역사상 지명이 뚜렷이 나타난 것은 476년 고구려 장수왕 63년에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는 이름으로부터 시작된다. 그 후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는 황요(黃驍), 940년 고려 천수 23년에는 황려현(黃驪縣)으로 불렸다. 1214년 고려 고종 원년에는 영의(永義)로 개칭하였다가, 1305년 충렬왕 31년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1401년 조선 태종 2년에 여흥부(驪興府)로 승격하였고, 1413년 태종 14년에 도호부가 설치되면서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1469년 조선 예종 1년에 여주목으로 승격하였다.여주는 쌀과 같은 주요 식량의 주요 생산지였기 때문에 조선 시대 내내 영향력을 행사했다. 조선 시대에는 농업 생산량을 늘리고 쌀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이는 여주와 인근 이천이 농업 산업의 중심이 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여흥 민씨와 여흥 이씨와 같이 일부 주요 가문은 조선 정치에서 영향력 있는 세력이 되었다.
1469년 한국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왕인 세종대왕의 능이 서울에서 여주로 이전되었다. 이 능은 여전히 지역의 가장 큰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1851년, 조선 왕조 말기에 한국의 마지막 황후인 명성황후가 여주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생가인 감고당은 일제 강점기에 대부분 파괴되었지만, 해방 후 그녀의 일본 지배 저항을 기리기 위해 복원되었다. 여주는 명성황후의 생가였기 때문에, 일제 강점기 이전부터 의병 활동이 활발했다. 일부 지역 농민들은 쌀과 기타 식량을 제공하며 저항을 지원했다.
1895년 6월 23일 23부제 시행으로 충주부 여주군으로 개편되었고,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시행으로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1906년 원주군 강천면과 지내면이 여주군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 4월 1일에는 9개 면으로 개편되었다. 1938년 1월 1일 주내면이 여주면으로 개칭되었고, 1941년 10월 1일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
2. 4.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여주군의 점량면과 근동면을 합쳐 점동면이, 가서면, 소개면, 근남면을 합쳐 가남면이, 길천면과 흥곡면을 합쳐 흥천면이, 대송면과 등신면을 합쳐 대신면이, 수계면을 능서면이, 북면과 원주군 지내면을 합쳐 북내면이 되었다.[25] 당시 여주군은 주내면, 점동면, 가남면, 능서면, 흥천면, 금사면, 계군면, 대신면, 북내면, 강천면의 10개 면으로 구성되었다.[17]1938년 1월 1일 주내면이 여주면으로 개칭되었고[26][18], 1941년 10월 1일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27][19]
2. 5. 대한민국
여주시는 천혜적인 지리 조건으로 인해 진국 시대부터 평화로운 집단 마을을 영위해 왔으나, 역사상 지명이 뚜렷이 나타난 것은 476년 고구려 장수왕 63년에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는 이름으로부터 시작된다.[24] 그 후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는 황요(黃驍), 940년 고려 천수(天授) 23년에 황려현(黃驪縣), 고려 고종 원년(1214년)에 영의(永義)로 개칭하였다가, 1305년 충렬왕 31년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24] 조선 태종 2년(1401년)에 여흥부(驪興府)로 승격하였고, 1413년 태종 14년에 도호부가 설치하였다.[24] 이때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24] 1469년 조선 예종 1년에 여주목으로 승격하였다.[24]1895년 6월 23일 23부제 시행으로 충주부 여주군으로 개편되었고,[24] 1896년 건양 원년 8월 4일 13도제 시행으로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24] 1906년에는 원주군 강천면과 지내면이 여주군으로 편입되었다.[24]
1914년 4월 1일 일제는 행정구역 통폐합을 단행하여 9개 면으로 개편하였다.[25] 1938년 1월 1일 주내면이 여주면으로 개칭되었고,[26] 1941년 10월 1일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27] 1963년 1월 1일 개군면이 양평군에 편입되었고,[28] 1971년 4월 12일 금사면에 산북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7년 1월 1일 흥천면 양촌리가 대신면으로 편입되었으며, 1989년 4월 1일 산북출장소가 산북면으로 승격하였다. 1992년 3월 2일 북내면에 오학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95년 3월 1일 강천면 대둔리가 원주시 문막읍에 편입되었다. 2007년 3월 5일 여주읍 오학출장소로 개편되었다.
2013년 3월 26일 여주군 일원에 도농복합시를 신설하는 안을 정부에서 의결하였고,[29] 2013년 5월 7일에 시 승격이 최종 승인되었다.[30] 2013년 9월 23일 여주군 일원이 '''여주시'''로, 가남면은 가남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여주읍은 여흥동, 중앙동, 오학동으로 분동, 산북면 하품리가 명품리, 주어리로 분할되었다.[24] 2016년 9월 24일 경강선이 개통되었고, 2021년 12월 31일 능서면을 세종대왕면으로 개칭하였다.[23]
3. 지리
경기도의 동남에 위치하며, 동쪽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서쪽은 이천시, 광주시, 남쪽은 충청북도 음성군, 충주시, 북쪽은 양평군과 각각 접하고 있다. 지형은 구릉과 저지가 뒤섞여 있으며, 지질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전체 면적 607.79km2이다. 평균 고도 약 200m의 준 평원면을 이루며 중앙부는 특히 낮아 여주분지를 이루고 주변의 최고 지점인 동북단의 당산(堂山)도 648m에 불과하다. 태백산맥, 차령산맥, 광주산맥 세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고 여주평야가 한강을 끼고 펼쳐져 있다. 여주시를 관통하여 흐르는 한강을 여강이라고 부르며 여강의 동북 지역은 산지가 많고, 강남지역은 전형적인 여주평야로서 넓은 들과 야산이 잘 발달되어 있다.
여주시는 내륙에 있어 기온의 교차가 크며, 강수량은 비교적 많은 편이다. 연평균 기온은 11.7 °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6 °C, 8월 평균 기온은 25 °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250mm이다.[15] 여주시는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Dwa'')를 보인다.[15]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평균 최고 기온 (°C) | 2.0 | 5.5 | 12.2 | 19.5 | 24.9 | 28.2 | 29.6 | 30.3 | 26.0 | 20.0 | 11.7 | 3.7 | 17.8 |
평균 기온 (°C) | -3.6 | -0.8 | 5.1 | 11.8 | 17.9 | 22.2 | 24.8 | 25.1 | 19.9 | 12.9 | 5.5 | -1.8 | 11.6 |
평균 최저 기온 (°C) | -8.8 | -6.2 | -0.9 | 5.0 | 11.4 | 16.9 | 21.2 | 21.4 | 15.4 | 7.4 | 0.4 | -6.5 | 6.4 |
강수량 (mm) | 17.0 | 23.9 | 34.2 | 60.4 | 71.7 | 125.0 | 321.5 | 258.8 | 154.2 | 48.2 | 41.2 | 16.9 | 1173.0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3.3 | 3.5 | 5.7 | 6.5 | 6.1 | 7.5 | 13.2 | 12.4 | 7.8 | 4.8 | 6.9 | 4.6 |
3. 1. 기후
여주시는 내륙에 있어 기온의 교차가 크며, 강수량은 비교적 많은 편이다. 연평균 기온은 11.7 °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6 °C, 8월 평균 기온은 25 °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250mm이다.[15] 여주시는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Dwa'')를 보인다.[15]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평균 최고 기온 (°C) | 2.0 | 5.5 | 12.2 | 19.5 | 24.9 | 28.2 | 29.6 | 30.3 | 26.0 | 20.0 | 11.7 | 3.7 | 17.8 |
평균 기온 (°C) | -3.6 | -0.8 | 5.1 | 11.8 | 17.9 | 22.2 | 24.8 | 25.1 | 19.9 | 12.9 | 5.5 | -1.8 | 11.6 |
평균 최저 기온 (°C) | -8.8 | -6.2 | -0.9 | 5.0 | 11.4 | 16.9 | 21.2 | 21.4 | 15.4 | 7.4 | 0.4 | -6.5 | 6.4 |
강수량 (mm) | 17.0 | 23.9 | 34.2 | 60.4 | 71.7 | 125.0 | 321.5 | 258.8 | 154.2 | 48.2 | 41.2 | 16.9 | 1173.0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3.3 | 3.5 | 5.7 | 6.5 | 6.1 | 7.5 | 13.2 | 12.4 | 7.8 | 4.8 | 6.9 | 4.6 |
4. 행정 구역
2013년 9월 23일 여주군의 여주시 승격으로 기존의 여주읍은 3동(여흥동, 중앙동, 오학동)으로 분동되었으며, 가남면은 가남읍(1읍)으로 승격했다.[31] 기존의 점동면, 세종대왕면, 흥천면, 금사면, 산북면, 대신면, 북내면, 강천면은 그대로 면으로 존속되고 있다.[32] 2016년 8월 기준 인구는 외국인을 제외하면 111,415명이다.[33] 내국인 인구의 약 50.5%가 동지역에 거주하고, 약 14.5%가 가남읍에 거주해 동과 읍에 내국인 인구의 약 65.1%가 거주한다. 인구가 11만 명을 넘는 여주시는 총선 때 단독 선거구로 독립할 수 있으나, 양평군과 공유하고 있다.
이름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km2) |
---|---|---|---|---|
여흥동 | 驪興洞 | 9,119 | 21,659 | 38.72 |
중앙동 | 中央洞 | 7,801 | 19,820 | 17.77 |
오학동 | 五鶴洞 | 5,820 | 14,845 | 16.88 |
가남읍 | 加南邑 | 7,065 | 16,203 | 75.32 |
점동면 | 占東面 | 2,175 | 4,904 | 71.68 |
세종대왕면 | 世宗大王面 | 2,956 | 6,648 | 53.13 |
흥천면 | 興川面 | 2,324 | 5,180 | 44.22 |
금사면 | 金沙面 | 1,552 | 3,098 | 41.71 |
산북면 | 山北面 | 1,146 | 2,534 | 32.86 |
대신면 | 大神面 | 3,617 | 7,464 | 75.87 |
북내면 | 北內面 | 2,320 | 5,227 | 65.75 |
강천면 | 康川面 | 1,783 | 3,833 | 74.05 |
여주시 | 驪州市 | 47,678 | 111,415(외국인 제외) | 607.7 |
4. 1. 행정동
2013년 9월 23일 여주군의 여주시 승격으로 기존의 여주읍은 3동(여흥동, 중앙동, 오학동)으로 분동되었으며, 가남면은 가남읍(1읍)으로 승격했다.[31] 기존의 점동면, 세종대왕면, 흥천면, 금사면, 산북면, 대신면, 북내면, 강천면은 그대로 면으로 존속되고 있다.[32]이름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km2) |
---|---|---|---|---|
여흥동 | 驪興洞 | 9,119 | 21,659 | 38.72 |
중앙동 | 中央洞 | 7,801 | 19,820 | 17.77 |
오학동 | 五鶴洞 | 5,820 | 14,845 | 16.88 |
가남읍 | 加南邑 | 7,065 | 16,203 | 75.32 |
점동면 | 占東面 | 2,175 | 4,904 | 71.68 |
세종대왕면 | 世宗大王面 | 2,956 | 6,648 | 53.13 |
흥천면 | 興川面 | 2,324 | 5,180 | 44.22 |
금사면 | 金沙面 | 1,552 | 3,098 | 41.71 |
산북면 | 山北面 | 1,146 | 2,534 | 32.86 |
대신면 | 大神面 | 3,617 | 7,464 | 75.87 |
북내면 | 北內面 | 2,320 | 5,227 | 65.75 |
강천면 | 康川面 | 1,783 | 3,833 | 74.05 |
여주시 | 驪州市 | 47,678 | 111,415(외국인 제외) | 607.7 |
2016년 8월 기준 인구는 외국인을 제외하면 111,415명이다.[33] 내국인 인구의 약 50.5%가 동지역에 거주하고, 약 14.5%가 가남읍에 거주해 동과 읍에 내국인 인구의 약 65.1%가 거주한다. 인구가 11만 명을 넘는 여주시는 총선 때 단독 선거구로 독립할 수 있으나, 양평군과 공유하고 있다.
4. 2. 읍/면
2013년 9월 23일 여주군의 여주시 승격으로 기존의 여주읍은 3동(여흥동, 중앙동, 오학동)으로 분동되었으며, 가남면은 가남읍(1읍)으로 승격했다.[31] 기존의 점동면, 세종대왕면, 흥천면, 금사면, 산북면, 대신면, 북내면, 강천면은 그대로 면으로 존속되고 있다.[32] 2016년 8월 기준 인구는 외국인을 제외하면 111,415명이다.[33] 내국인 인구의 약 50.5%가 동지역에 거주하고, 약 14.5%가 가남읍에 거주해 동과 읍에 내국인 인구의 약 65.1%가 거주한다. 인구가 11만 명을 넘는 여주시는 총선 때 단독 선거구로 독립할 수 있으나, 양평군과 공유하고 있다.이름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km2) |
---|---|---|---|---|
여흥동 | 驪興洞 | 9,119 | 21,659 | 38.72 |
중앙동 | 中央洞 | 7,801 | 19,820 | 17.77 |
오학동 | 五鶴洞 | 5,820 | 14,845 | 16.88 |
가남읍 | 加南邑 | 7,065 | 16,203 | 75.32 |
점동면 | 占東面 | 2,175 | 4,904 | 71.68 |
세종대왕면 | 世宗大王面 | 2,956 | 6,648 | 53.13 |
흥천면 | 興川面 | 2,324 | 5,180 | 44.22 |
금사면 | 金沙面 | 1,552 | 3,098 | 41.71 |
산북면 | 山北面 | 1,146 | 2,534 | 32.86 |
대신면 | 大神面 | 3,617 | 7,464 | 75.87 |
북내면 | 北內面 | 2,320 | 5,227 | 65.75 |
강천면 | 康川面 | 1,783 | 3,833 | 74.05 |
여주시 | 驪州市 | 47,678 | 111,415(외국인 제외) | 607.7 |
5. 인구
2016년 8월 기준 여주시의 인구는 외국인을 제외하면 111,415명이며 인구 밀도는 183명/km2이다. 0~18세 인구는 17.3%, 65세 이상 인구는 17.6%이다. 여자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2로 남자가 다소 많다.[34]
연도 | 총인구 (명) |
---|---|
1966년 | 110,820 |
1970년 | 101,015 |
1975년 | 104,520 |
1980년 | 98,198 |
1985년 | 93,331 |
1990년 | 96,879 |
1995년 | 91,944 |
2000년 | 97,412 |
2005년 | 98,441 |
2010년 | 100,052 |
2015년 | 109,937 |
2018년 | 114,920 |
6. 산업
강 연안에 위치하면서도 전곡이 많이 산출된다. 특히 이 지방에서 산출되는 여주 쌀은 국내 제1우량미로 이름이 높다. 채소·과수 재배도 성하고 대마·왕골 등 특용작물도 생산된다. 특히 최근에는 땅콩 주산단지를 조성하였다. 지하자원으로는 고령토와 규석이 있으며 제조업체는 대부분 도자기를 제조하는 영세업체이다. 경지면적은 총면적의 30%로 182.82km2이며 산지가 많다. 호당 경지면적은 1.4ha이다. 논농사 비율이 59%를 차지하며, 벼농사가 주종을 이룬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콩·땅콩 등이고, 배·복숭아 등의 과일 생산과 양잠·축우도 성하다. 이 지역의 도시적 산업 발달은 대개 미약한 편이지만, 최근 5년 동안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 이마트 물류창고 등 대규모 물류센터가 들어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교통의 요지로 발달하려는 노력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2014년 여주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37,602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0.8%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211명으로 0.6%의 비중을 차지하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7,566명으로 20.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9,825명으로 79.3%를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3.7%)과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12.6%), 숙박 및 음식점업(12.5%), 교육서비스업(7.6%)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5]
6. 1.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2014년 여주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37,602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0.8%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211명으로 0.6%의 비중을 차지하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7,566명으로 20.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9,825명으로 79.3%를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3.7%)과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12.6%), 숙박 및 음식점업(12.5%), 교육서비스업(7.6%)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5]7. 문화·관광
- 여주프리미엄아울렛
- 명성황후 생가·기념관(http://www.empressmyeongseong.kr/)(한국어)
- 전화박물관(http://www.phonemuseum.co.kr/)(한국어)
'''문화재'''

신륵사는 봉미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서 신라 시대의 창건했다고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절은 산 속에 짓는 경우가 많은데 반하여 신륵사는 남한강이 보이는 강변에 세워져 있다. 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이다.
고달사지는 사적 제382호로, 북내면 상교리에 있던 신라시대의 절이다. 신라 35대 경덕왕 23년(764년)에 창건하였다. 고려 4대 광종 이후 역대 임금의 비호를 받은 절이었으나 어느 때 폐사되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여주 고달사지 승탑(국보 제4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귀부및이수(보물 제6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보물 제7호) 등이 남아 있다.

영녕릉 즉, 영릉·녕릉(英陵·寧陵)은 대한민국 사적 제195호로, 조선 제4대 세종대왕과 그 비 소헌왕후의 능인 영릉과 제17대 효종과 그 비 인선왕후의 능인 영릉을 합쳐서 부르는 이름이다. 능서면 왕대리에 있다. 두 개의 왕릉은 700m 거리를 두고 있는데, 이를 잇는 오솔길은 짧지만 조붓한 흙길이라 정감이 있고, 숲이 아늑하고 한산해 걷기 좋다. 5월 중순부터 10월초까지만 산책로로 개방한다. 약간의 오르막과 약간의 내리막이 반복되는 길이라 가볍게 걸을 만하고, 이리 휘고 저리 돌며 길이 이어져 있다.
명성황후 생가·기념관(http://www.empressmyeongseong.kr/)(한국어), 전화박물관(http://www.phonemuseum.co.kr/)(한국어)도 여주시에 있다.
'''축제'''
여주시는 다양한 축제를 개최한다. 대표적인 축제로는 여주 도자기 축제가 있으며, 무형문화재전, 도예명장전, 도예기능장전, 여주미술협회 전시전, 여주문인협회 전시전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7. 1. 문화재
신륵사는 봉미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서 신라 시대의 창건했다고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절은 산 속에 짓는 경우가 많은데 반하여 신륵사는 남한강이 보이는 강변에 세워져 있다. 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이다.
고달사지는 사적 제382호로, 북내면 상교리에 있던 신라시대의 절이다. 신라 35대 경덕왕 23년(764년)에 창건하였다. 고려 4대 광종 이후 역대 임금의 비호를 받은 절이었으나 어느 때 폐사되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여주 고달사지 승탑(국보 제4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귀부및이수(보물 제6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보물 제7호) 등이 남아 있다.
영녕릉 즉, 영릉·녕릉(英陵·寧陵)은 대한민국 사적 제195호로, 조선 제4대 세종대왕과 그 비 소헌왕후의 능인 영릉과 제17대 효종과 그 비 인선왕후의 능인 영릉을 합쳐서 부르는 이름이다. 능서면 왕대리에 있다. 두 개의 왕릉은 700m 거리를 두고 있는데, 이를 잇는 오솔길은 짧지만 조붓한 흙길이라 정감이 있고, 숲이 아늑하고 한산해 걷기 좋다. 5월 중순부터 10월초까지만 산책로로 개방한다. 약간의 오르막과 약간의 내리막이 반복되는 길이라 가볍게 걸을 만하고, 이리 휘고 저리 돌며 길이 이어져 있다.
명성황후 생가·기념관(http://www.empressmyeongseong.kr/)(한국어),
7. 2. 축제
여주시는 다양한 축제를 개최한다. 대표적인 축제로는 여주 도자기 축제가 있으며, 무형문화재전, 도예명장전, 도예기능장전, 여주미술협회 전시전, 여주문인협회 전시전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8. 교육
- 여주대학교
- 여주농업경영전문학교 : 경기도교육청에서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valign="top"| |
valign="top"| |
- 여주대학교
- 여주농업경영전문학교
경기관광고등학교 (구 창명여자고등학교), 대신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 (구 여주여자고등학교), 여강고등학교, 여주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여주제일고등학교, 이포고등학교, 점동고등학교가 있다.
8. 1. 고등학교
경기관광고등학교 (구 창명여자고등학교), 대신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 (구 여주여자고등학교), 여강고등학교, 여주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여주제일고등학교, 이포고등학교, 점동고등학교가 있다.9. 교통
9. 1. 철도
과거에는 협궤의 수려선이 수원시와 여주를 연결하고 있었으나, 1972년에 폐선되었다. 2016년, 경강선이 여주역까지 개통하여 철도 교통이 부활했다. 경강선은 향후 원주시 방면으로 연장될 예정이다.경강선()은 이천시에서 세종대왕릉역을 거쳐 여주역까지 운행하며, 여주역이 시종착역이다. 중부내륙선은 이천시에서 가남역을 지나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이어진다.
9. 2. 버스
여주시의 대중교통 수단 중 하나는 버스이다. 시내버스로는 여주시의 시내버스가 운행 중이다. 시외버스는 여주종합버스터미널, 능서시외버스정류장, 태평버스정류소 등지에서 이용할 수 있다.여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고속버스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행 노선만 운행하며, 3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소요시간은 1시간 10분이다. 시외버스는 동서울터미널행이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1시간 10분이다. 성남 방면 노선도 3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그 외 신원역을 경유하여 상봉시외버스터미널, 인천국제공항, 수원, 원주,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등을 잇는 노선도 있다.
9. 3. 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가 지나가고, 수도권 국도와도 연계되는 국도와 국가지원지방도들이 많아서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영동고속도로 : 여주 나들목, 여주 분기점
- 광주원주고속도로 : 흥천이포 나들목, 대신 나들목, 동여주 나들목
- 중부내륙고속도로 : 여주 분기점, 남여주 나들목, 서여주 나들목, 북여주 나들목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2호선이 지나간다.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이 지나간다. 지방도 제333호선, 지방도 제341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지방도 제349호선이 지나간다.
10. 자매 도시
wikitable
지역 & 국가 | 도시 | |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
일본/日本일본어 | ||
11. 출신 인물
wikitext
분류:여주시 출신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위키소스
[3]
웹사이트
Birthplace of Empress Myeongseong
http://www.yj21.net/[...]
2006-10-25
[4]
웹사이트
흔암리
http://terms.naver.c[...]
2013-11-17
[5]
웹사이트
파사산성
http://www.visitkore[...]
2013-11-17
[6]
웹사이트
문화재청
http://www.cha.go.kr[...]
2013-11-17
[7]
웹사이트
Silleuksa
http://yj21.net/engl[...]
2013-11-17
[8]
웹사이트
silleuksa.org
http://silleuksa.org[...]
2013-11-17
[9]
웹사이트
고달사지
http://terms.naver.c[...]
2013-11-17
[10]
웹사이트
Heritage TV
http://www.heritagec[...]
2013-11-17
[11]
웹사이트
조선시대 여주
http://history.yj21.[...]
2013-11-18
[12]
서적
Moon Handbooks South Korea
Avalon Travel Publishing
2004-01-01
[13]
웹사이트
www.empressmyeongseong.kr
http://www.empressmy[...]
2013-11-18
[14]
웹사이트
조선후기 개화기
http://history.yj21.[...]
2013-11-18
[1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1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7]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8]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19]
법률
朝鮮総督府令第253号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41-09-29
[20]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21]
뉴스
여주군(郡)→여주시(市)로 승격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2]
뉴스
여주군, 9월 23일 도·농복합형태 시 승격 확정
http://news.naver.co[...]
뉴스1
[23]
뉴스
'능서면→세종대왕면' 바꾼...여주시 세종대왕면 초대 김용수 면장 퇴임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21-12-25
[24]
법률
광무 10년 칙령 제49호
s:광무 10년 칙령 제49호
[2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6]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2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41-09-29
[28]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29]
뉴스
여주군(郡)→여주시(市)로 승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30]
뉴스
여주군, 9월 23일 도·농복합형태 시 승격 확정
https://news.naver.c[...]
뉴스1
[31]
뉴스
여주시, 경기도 28번째 시(市)로 공식 출범(종합)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3-09-23
[32]
웹사이트
여주군 통계자료실
http://www.yj21.net/[...]
2012-04-03
[33]
웹사이트
2016년 8월 기준 인구
http://www.yeoju.go.[...]
[34]
웹사이트
2016년 8월말기준 인구현황(주민등록+ 외국인포함)
http://www.yeoju.go.[...]
[35]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36]
간행물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경기도 수원 화성 인근에 도시재생 혁신지구 만든다
얼룩무늬 아닌 '갈색 젖소'…전용 목장 첫 지정
경기 여주 공사현장서 옹벽 무너져…60대 근로자 부상
6.27 대책 약발 먹히나...수도권 아파트 중위가격 6.6억원→5억원
여주시, 농가 '국산 조사료 자급률' 80%로 높인다
여주에 수도권 규제 뚫은 첫 대규모 산단 조성…축구장 38개 규모
광주원주고속도로 산북터널서 화물차 화재…30분만에 초진
영동고속도로 여주휴게소 근처 4대 추돌…4명 부상
[6/23, MK추천매물] 강남구 대로변 병원∙사옥용 빌딩 430억원 등
“역세권 지구로 자리매김”…대광건영, ‘여주역 로제비앙 더센텀’ 분양 중
“10억 짜리 아파트, 전셋값이 8억”…산단 밀집 이 동네, 전세가율 전국 톱 찍었다
김문수·이준석은 비판하지만…국민의힘 지자체장들 지역화폐 혜택 되레 늘려
“OO시 공무원인데”…공무원 사칭 ‘물품 대리 구매 사기’ 주의보
여주 '남한강 출렁다리' 개통…도자기 축제도 개막
"곧 따블 된대"…개발 호재 미끼 3억 가로챈 60대 항소심서 감형
여주 물류창고 신축공사 현장서 50대 추락해 숨져
여주 물류창고 신축공사 현장서 50대 작업자 추락해 숨져
경기 여주정수장서 '깔따구' 유충 발견…"음용 자제해야"
신륵사~금은모래유원지 잇는 515m ‘여주 출렁다리’ 5월 개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