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이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이정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신라 간관 백중학의 후손이며 안향의 문인이다. 1284년 문과에 급제하여, 1298년 충선왕을 따라 연경에 가서 10년간 성리학을 연구하고 주자(朱子)의 가례 등 많은 서적을 가지고 귀국했다. 이후 이제현 등을 가르치며 성리학을 보급하고 도학과 예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충선왕 때 도감사를 지내고 상당군에 봉해졌다. 1323년에 사망했으며, 시호는 문헌이다. 그의 묘는 충남 보령, 경남 남해 등 여러 곳에 있다는 설이 있으며, 묘소의 진위를 두고 논란이 있다. 안향이 성리학을 처음 들여왔지만, 백이정은 성리학을 연구하고 체계를 정리하여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포 백씨 - 백문절
    백문절은 고려 시대의 문신이자 문장가로, 1238년 문과에 급제하여 국자좨주, 국학대사성 등을 역임했으며, 뛰어난 문장으로 원종의 복위를 돕고 과거를 주관하여 인재를 등용하는 등 공헌을 남겨 고려사에 열전이 실려 있다.
  • 1247년 출생 - 라시드웃딘
    라시드웃딘은 페르시아 유대인 가문 출신으로 일 칸국의 재상으로 활동하며 《자미 알타와리흐》를 저술했고, 몽골 제국사와 세계사, 의학서 등 다양한 저작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집사》는 세계 주요 종족들의 역사를 담은 최초의 세계사로 평가받는다.
  • 1247년 출생 - 소우시 내친왕 (1247년)
    소우시 내친왕은 고사 천황의 첫째 황녀로 태어나 내친왕 선하를 받고 안키몬인 방자 내친왕의 유자가 되었으며, 와카에 능하여 칙찬 와카집에 수록되었으나, 23세에 낙태 실패로 사망했다.
  • 1323년 사망 - 원 영종 (9대)
    원 영종(9대)은 원 인종의 아들이자 쿠빌라이 칸의 증손으로, 유교적 통치 이념을 바탕으로 개혁 정치를 추진했으나 몽골 귀족들의 반발로 1323년 암살당했다.
  • 1323년 사망 - 마단림
백이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약헌(若軒)
이재(彝齋)
시호문헌(文憲)
인물 정보
국적고려
성별남성
출생일1247년
사망일1323년
가문남포 백씨

2. 생애

이제현, 박충좌 등을 가르치며 성리학 보급과 도학 및 예학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충선왕 때 도감사가 되었으며, 1314년(충숙왕 원년) 첨의평리[9]로 상의회의도감사를 겸했다. 후에 상당군에 봉해졌다.

1323년(충숙왕 10) 77세로 사망했다.[10]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신라 간관(諫官) 백중학의 후손으로,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를 지낸 백문절의 아들이다. 안향의 문인으로 이진, 권부, 우탁, 이조년, 신천과 더불어 안향 문하의 6군자로 불렸다.

1284년(충렬왕 10) 권단이 지공거였던 갑신방(甲申榜)에서 채홍철 등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였다. 1298년(충렬왕 24) 안향, 권준[5]과 함께 8개월 만에 퇴위한 충선왕을 호종하여 연경(북경)에 갔다. 안향은 다음 해에 먼저 돌아왔고, 권준은 주자사서집주(朱子四書集註)를 들여왔다. 백이정은 10년간 연경에 머무르면서 정주[6]성리학을 연구하고 1308년(충렬왕 복위 10) 충선왕과 함께 정주의 유저(遺著) 등 많은 서적과 주자가례를 가지고 돌아왔다.[7][8]

2. 2. 관직 진출과 성리학 연구

신라 간관(諫官) 백중학(白仲鶴)의 후손이다.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를 지낸 백문절(白文節)의 아들이다. 안향의 문인으로 이진, 권부(權溥), 우탁(禹倬), 이조년(李兆年), 신천과 더불어 안향 문하의 6군자로 불렸다.

1284년(충렬왕 10) 권단(權㫜)이 지공거였던 갑신방(甲申榜)에서 채홍철 등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였다. 1298년(충렬왕 24) 안향, 권준[5]과 함께 8개월 만에 퇴위한 충선왕을 호종하여 연경(북경)에 갔다. 안향은 다음 해에 먼저 돌아왔고, 권준은 주자사서집주(朱子四書集註)를 들여왔다. 백이정은 10년간 연경에 머무르면서 정주[6]성리학을 연구하고 1308년(충렬왕 복위 10) 충선왕과 함께 정주의 유저(遺著) 등 많은 서적과 주자가례(家禮)를 가지고 돌아왔다.[7][8]

이후 이제현과 박충좌 등을 가르치며 성리학을 보급하였고, 도학과 예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3. 사후

백이정의 묘는 남포 양각산(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평리)에 있고, 그곳 신안사에 배향되었다. 귀양지였다는 남해 망기산 우지막골에도 그의 묘라 전해지는 전백이정묘가 있고,[11] 이동면 난음리의 난곡사에서도[12] 제향하고 있다. 난음리의 난화산에도 백이정의 묘라고 하는 곳이 있다. 충북 음성경남 진주의 도통사에서도 백이정을 제향하였다.

3. 1. 묘소 논란

백이정의 묘는 그의 관향인 남포 양각산(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평리)에 있으며, 그 곳의 신안사(新安祠)에 배향되었다. 한편, 귀양지였다는 남해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평산리)의 망기산(望崎山) 우지막골에도 그의 묘라 구전하는 전백이정묘(傳白頤正墓)가 있는데,[11] 그곳 이동면 난음리의 난곡사(蘭谷祠)에서도[12] 백이정을 제향하고 있다. 난음리(옛 난포현(蘭浦縣))의 난화산(蘭花山)에는 백이정의 묘라고 하는 곳이 한 군데 더 있다. 백이정의 묘라는 세 곳의 진위를 두고 논란이 있다.

3. 2. 제향

백이정은 남포 양각산(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평리)에 묘가 있으며, 그곳의 신안사(新安祠)에 배향되었다. 한편, 귀양지였다는 남해(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평산리)의 망기산(望崎山) 우지막골에도 그의 묘라 구전하는 전백이정묘(傳白頤正墓)가 있는데[11], 그곳 이동면 난음리(二東面 蘭陰里)의 난곡사(蘭谷祠)[12]에서도 백이정을 제향하고 있다. 난음리(옛 난포현(蘭浦縣))의 난화산(蘭花山)에는 백이정의 묘라는 곳이 한 군데 더 있다. 백이정의 묘라는 세 곳의 진위를 두고 논란이 있다.

충북 음성의 도통사와 경남 진주의 도통사에서도 백이정을 제향하였다.

4. 평가와 영향

고려에 성리학을 처음으로 들여온 것은 안향이지만, 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그 체계를 정리해 일가를 이룬 이는 백이정이라고 할 수 있다.[13]

안향과 백이정의 학문은 이제현이곡에게 전승되었고, 이제현이곡은 또한 수많은 문하생들을 길러냈는데, 이제현이색에게, 이색권근, 정몽주변계량에게 학문을 전하였다. 이들의 학풍은 고려 말기의 신흥사대부와 역성혁명파, 온건개혁파, 그리고 조선시대의 사림파로 이어지는 학문적 계보를 형성했다. 이렇게 이어지는 학문과 사상적 계보는 후일 조선시대의 지배계층으로 정착된다.[14]

백이정은 이제현, 박충좌 외에도 이곡, 이인복, 백문보 등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5.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백문절(白文節)1208년 ~ 1282년,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
어머니성주 이씨(星州李氏)참봉 이세주(李世柱)의 딸
부인구 안동 김씨(舊 安東金氏)중대광(重大匡) 상락군(上洛君) 김순(金恂)의 2녀 (1258년 ~ 1321년)
아들백세렴(白世廉)지청풍군사(知淸風郡事)
며느리상주 김씨(尙州金氏)고사(庫使) 김인통(金仁通)의 딸
손자함정(咸正)
손자함명(咸明)1299년 ~ ?
남포 백씨(藍浦 白氏)
사위이달존(李達尊)1313년 ~ 1340년,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이제현(李齊賢)의 2남
동생백효주(白孝珠)대호군(大護軍)
제수평양 조씨(平壤趙氏)문하시중(門下侍中) 평양군(平壤君) 조인규(趙仁規)의 3녀 (1237년 ~ 1308년)


6. 기타

백이정은 제자인 이제현과 사돈을 맺고 늦둥이 딸을 이제현의 아들 이달존에게 시집보내었으니, 사제지간이자 사돈지간이 되었다.[15]

7. 작품

참조

[1] 문서 백이정의 생몰년을 1260년~1340년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는 백이정이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의 삼대에 걸쳐 격동기에 벼슬을 하였고, 1339년(충숙왕 복위8) [[충숙왕]]이 실각하면서 경남 남해의 난포현으로 귀양길에 올라 남해에서의 은둔생활 중 1340년(충혜왕 복위원년) 생을 마감하여 남해에 체백(體魄)을 묻었다고 보는 것이다.
[2]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PPL_5COc_A1247_1_0005085
[3] 문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에 봉해졌다고도 한다.
[4]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1997
[5] 문서 안향 문하 6군자의 한 사람인 국재(菊齋) 권부(權溥)의 아들이다.
[6] 문서 정호(程顥), 정이(程頤) 형제(兄弟)와 주희(朱熹)를 일컫는다.
[7] 문서 어릴 때에도 아버지 [[백문절]]을 따라 연경에 가서 머무른 적이 있었다"(白頤正從其父文節在燕京)는 기록이 있다, 야은집(冶隱集)
[8] 문서 1316년(충숙왕 3), 1319년(충숙왕 6), 1322년(충숙왕 9) 세 차례의 원행(元行)이 더 있었다고 한다.
[9] 문서 종2품으로 옛 참지정사(參知政事)다.
[10] 문서 몰년이 1340년이라는 견해가 있다.
[11] 문서 경상남도 기념물 155호
[12] 문서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237호
[13] 문서 백이정이 첨의평리가 되었을 때 중국에는 정주학이 행해지기 시작했지만 동방에는 미치지 않아 백이정이 원나라에 있으면서 이를 얻고 배워서 동방으로 돌아왔다"(白頤正爲僉議評理 時程朱之學 始行中國 未及東方 頤正在元 得而學之 東還)고 하는 이론도 있다.
[14] 웹사이트 백이정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15] 서적 백씨대동보 1982
[16] 시 연거시(燕居詩) "矮屋蕭條十肘餘 焚香靜讀聖人書, 自從人爵生天爵 情欲秋林日漸疎. 초라하고 쓸쓸한 집에 열 팔꿈치 품이라 / 향 사르고 조용히 성현의 글을 읽는다// 사람의 벼슬은 하늘이 내는 것/ 정욕은 가을 숲에 해 저무는 듯 하네//"
[17] 시 영당요(詠唐堯)
[18] 장소 한벽루(寒碧樓)
[19] 시 여홍애집구(與洪厓集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