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신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제신찬은 백제의 역사와 백제와 일본 간의 관계를 기록한 역사서로, 《일본서기》에 인용된 기록을 통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백제신찬》은 개로왕이 일본에 여자를 보낸 일, 곤지를 일본에 파견한 일, 무령왕의 출생과 관련된 이야기 등을 담고 있으며, 《일본서기》 본문과 용어 사용, 내용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히 무령왕의 출생 연도와 관련하여 《일본서기》와 《백제신찬》의 기록이 1971년 무령왕릉 발굴을 통해 사실로 확인되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의 책 - 서기 (역사서)
서기는 김부식 등이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삼국의 역사서인 『삼국사기』의 기록을 의미한다. - 백제의 책 - 백제기
《백제기》는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의 역사 기록으로, 백제와 왜의 교류 및 목씨 가문의 활동을 중심으로 백제의 역사를 서술하며, 가야 왕족의 백제 망명과 백제 내부 사정에 대한 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 한국의 소실된 역사책 - 화랑세기
《화랑세기》는 남당 박창화가 필사했다고 주장하는 신라 화랑 제도 관련 한문 필사본으로, 풍월주 32명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으며, 진위 논란에도 불구하고 신라 사회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 한국의 소실된 역사책 - 고려실록
고려실록은 고려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실록들을 통칭하며, 고려 초기에 사관을 설치하여 사서 편찬을 담당했고, 현종 대에 칠대실록이 처음 편찬되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전해지지 않는다. - 한국의 역사책 -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고려 시대 승려 일연이 편찬한 역사서로, 삼국 시대와 그 이전 시대의 역사, 신화, 설화, 불교 관련 기록 등을 담고 있으며, 《삼국사기》와 함께 한국 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단군 신화, 향가, 불교 설화 등이 기록되어 국어 국문학 및 불교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고려 후기 민족의 자주 의식을 고취하려는 일연의 역사관이 반영되어 있다. - 한국의 역사책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백제신찬 | |
---|---|
백제신찬 (百濟新撰) | |
저자 | 미상 |
종류 | 의서 |
제작 시기 | 백제 시대 |
언어 | 한문 |
현존 여부 | 전하지 않음 |
내용 | |
개요 | 백제에서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의서이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아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음. |
기록 | 일본서기에 인용된 기록이 남아있음. 백제약과 관련된 내용이 일부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
2. 《백제신찬》의 인용례
《일본서기》에서 《백제신찬》은 웅략기(雄略紀)와 무열기(武烈紀)를 중심으로 인용되었으며, 백제삼서 가운데 인용 분량이 가장 적다. 주로 《일본서기》 본문에 대한 보조자료로 활용되었다.[4]
《일본서기》 웅략기 2년(458년)조에는 백제 지진원(池津媛)이 천황을 거역하고 음행을 저질러 화형당했다는 기사가 실려있다. 《백제신찬》에는 개로왕이 즉위하고(기사년, 459년), 천황이 아례노궤(阿禮奴跪)를 보내 여자를 요구하여 모니부인(慕尼夫人)의 딸 적계여랑(適稽女郞)을 바쳤다는 내용이 나온다.[1]
웅략기에는 개로왕이 곤지(昆攴)에게 임신한 아내를 주고 일본으로 보내면서, 도중에 아이를 낳으면 가카라시마(各羅嶋)에서 배에 태워 본국으로 돌려보내라고 했다는 기사가 있다. 《백제신찬》에는 신축년(辛丑年, 461년)에 개로왕이 아우 곤지를 보내어 대왜(大倭)에서 천황을 섬기게 하고, 형왕(兄王)의 우호를 닦게 하였다는 내용이 나온다.[2]
무열기에는 백제의 말다왕(末多王)이 무도하여 백성들에게 포학하게 굴자, 국인(國人)이 그를 제거하고 무령왕을 세웠다는 기사가 있다. 《백제신찬》에는 말다왕(末多王)이 무도하여 백성을 괴롭히자 국인이 무령왕(武寧王, 사마왕)을 세웠다고 한다. 곤지가 왜로 갈 때 쓰쿠시(筑紫) 섬에서 사마왕이 태어났고, 수도에 이르기 전에 섬에서 낳았기 때문에 이름을 그렇게 지었다고 한다.[3]
2. 1. 《일본서기》 본문과의 대응
《일본서기》 본문과 《백제신찬》의 내용은 큰 차이를 보인다. 《일본서기》 웅략기 2년조는 백제 지진원(적계여랑)이 음행을 범하여 불태워 죽였다고 기록했지만,[6] 《백제신찬》은 백제가 왜왕에게 적계여랑을 보냈다는 사실만 기록한다. 이는 지진원이 누구인지 밝히기 위해 《백제신찬》을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진원의 존재는 《일본서기》 본문에서 곤지의 도왜(渡倭) 이유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백제신찬》은 '형왕의 우호를 닦기 위해'라고만 기록하고 있다.2. 2. 사용 용어
《일본서기》 본문과 《백제신찬》은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 《백제신찬》은 《삼국사기》와 유사하게 '개로왕', '곤지군', '사마왕(무령왕)'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7] 《일본서기》 본문에서 개로왕과 그 아우 곤지를 각각 가수리군, 군군으로 표기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백제신찬》은 '개로왕', '곤지군'으로 표기하여 《삼국사기》의 기록과 거의 일치한다. 무령왕(사마왕)에 대해서도 《일본서기》 본문은 '도왕'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을 《백제신찬》에서는 '사마왕'으로 표기하였다.[7]일본을 가리키는 용어로는 '대왜(大倭)'라는 말을 보이고 있으며, 왜왕을 '천황'으로 지칭하고 있다.[9] 한편 《백제신찬》 역시 '백제'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백제가 주체가 된 듯한 기록을 남기고 있는데, 이는 《백제기》와 유사한 특징이다.[9]
3. 내용 분석
《일본서기》에서 《백제신찬》은 웅략기(雄略紀)와 무열기(武烈紀)를 중심으로 인용되었으며, 백제삼서 가운데 인용 분량이 가장 적다.[4]
《백제신찬》은 주로 다음 내용을 담고 있다.
《백제신찬》은 왕의 즉위나 교체 사실을 기록한 왕력(王曆)과 유사한 자료이며, 백제와 왜 사이의 외교 관계에 대한 기록도 포함하고 있다.[5]
4. 기년 표기
《백제신찬》은 기사년, 신축년과 같이 간지(干支)로만 기년을 표기했다. 이는 왕대별로 기간을 구획하여 왕의 재위 기간을 명시하는 《삼국사기》와는 다른 방식이다. 또한, 달을 명기하지 않는 점에서, 월(月)까지 기록한 《백제본기》보다는 기년만 밝힌 《백제기》와 유사하다.[10]
4. 1. 개로왕 즉위년 문제
《백제신찬》에서는 개로왕이 기사년(己巳年)에 즉위했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삼국사기》에서는 455년에 즉위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 차이를 보인다. 기사년은 개로왕의 아버지인 비유왕의 즉위년으로 429년에 해당한다. 이처럼 《삼국사기》와 《백제신찬》의 기록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백제신찬》이 백제 시대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고 중간에 내용이 수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4. 2. 무령왕 탄생년도
종래에 무령왕의 출생과 사망에 대해서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았지만, 《일본서기》 및 《백제신찬》에서는 곤지가 개로왕의 명을 받고 왜국으로 건너간 461년 6월 1일이라는 날짜가 세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형제가 한 명의 부인을 서로 공유한다는, 유교 윤리와는 전혀 부합하지 않는 기괴한 내용 때문에 《일본서기》의 사마왕(무령왕) 관련 기록은 채택되지 못하고, 무령왕은 《삼국사기》에서 기록한 것과 같이 태어난 년도를 알지 못한 채 동성왕의 둘째 아들로서 즉위한 것처럼 알려져 왔다. 그러다 1971년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무령왕릉이 발굴되면서 무령왕의 사망 당시 나이가 62세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무령왕의 사망이 《삼국사기》에 기록된 것과 같은 523년의 일이므로, 이것으로 무령왕의 탄생년도를 추적한 결과 461년이 무령왕의 탄생한 해라는 점과 함께 《일본서기》의 기록과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로써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신찬》의 기록이 정확하다는 것이 확증되었으며, 무령왕이 동성왕의 아들이 아니라 실은 이복 형제라는 《백제신찬》의 설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참조
[1]
서적
일본서기 권제14, 웅략기 2년조
[2]
서적
일본서기 권제14, 웅략기 5년 가을 7월조
[3]
서적
일본서기 권제16, 무열기 4년조
[4]
서적
웅략기 23년(479) 여름4월조 기사
[5]
간행물
백제의 문화와 생활
[6]
서적
백제사 미로찾기
소나무
[7]
문서
무령왕릉매지권
[8]
간행물
백제의 문화와 생활
[9]
간행물
백제의 문화와 생활
[10]
간행물
백제의 문화와 생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