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랑세기는 1989년 발견된 한문 필사본으로, 신라 시대 화랑도에 대한 새로운 기록을 담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이 필사본은 신라 사회의 구조, 인물 관계 등 기존 역사 기록과 다른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드라마 제작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그러나 필사본의 진본 여부를 두고 위서 논란이 있으며, 용수와 용춘의 관계, 세종의 기록, 금석문과의 불일치, 박창화의 다른 저술 등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반면, 향가의 독창성, 노비 개념, 구지 관련 기록, 진평왕 즉위 연령 등에서 진본임을 뒷받침하는 주장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랑세기 - 미실
미실은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신라 시대 인물로, 여러 왕과 관계를 맺으며 권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삶은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 제작되었으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화랑세기 - 지소태후
신라 법흥왕과 보도부인의 딸이자 진흥왕의 어머니인 지소태후는 진흥왕의 섭정으로서 이사부, 거칠부 등과 함께 국정을 운영하고 불교 중흥과 백제 동맹 유지에 힘썼으며, 《화랑세기》에 따르면 화랑 제도를 정비했다. - 위서 - 관자
《관자》는 관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고대 중국의 문헌으로, 법가, 유교, 도가 사상이 혼합된 황로 사상을 표현하며 경제 및 금융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 위서 - 환단고기
환단고기는 환국, 배달국, 고조선 등 고대 국가의 역사를 다룬다고 주장하며, 1911년에 간행되었다고 알려졌지만, 역사학계에서는 위서로 판단한다. - 신라의 책 - 화엄일승법계도
화엄일승법계도는 의상이 화엄경의 핵심 사상을 요약한 210자 게송이자 도표로, 원융무애한 법성과 제법의 상호 연관성을 상징하며 해인사 로고로 사용되는 의상의 화엄사상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 신라의 책 - 왕오천축국전
왕오천축국전은 8세기경 혜초가 인도와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를 여행하고 기록한 기행문으로, 일부 유실된 필사본만이 남아있지만 당시의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사료이다.
화랑세기 | |
---|---|
화랑세기 | |
저자 | 김대문 (金大問) |
유형 | 역사서 |
언어 | 한문 |
창작 시기 | 신라 |
발견 시기 | 1989년 |
내용 | 화랑들의 역사 |
진위 여부 | 논쟁 중 |
추가 정보 | |
관련 인물 | 박창화 (朴昌和) |
2. 필사본 발견
1989년 2월에 남당 박창화가 일본 궁내청 서릉부에서 필사했다고 주장하는 《화랑세기》 한문 필사본이 김해에서 발견되었다. 1995년에는 162쪽 분량의 또 다른 필사본(모본‧母本)이 발견되었다.[4] 이 필사본에는 540년부터 681년까지 풍월주 32명의 전기가 담겨 있다.[4]
《화랑세기》는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까지는 존재했으나, 13세기 이후에는 소실된 것으로 여겨진다. 승려 각훈의 《해동고승전》(1215년경)에 해당 문헌에 대한 언급이 마지막으로 나타난 이후, 《화랑세기》에 대한 언급은 더 이상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9년, 갑자기 두 개의 필사본 《화랑세기》가 공개되었다. 이 필사본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실 도서관에서 근무했던 박창화(1889~1962)라는 인물이 소유했던 것으로, 그의 제자인 김종진과 김종진의 부인 김경자가 1989년 언론에 공개했다. 당시 32쪽 분량의 발췌본이 공개되었으며, 박창화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1989년에 공개된 첫 번째 필사본은 일반적으로 "발췌본" (拔萃本)으로 불리며, 서문과 초기 15명의 ''풍월주''(風月主) 또는 화랑 지도자들에 대한 짧은 기록을 담고 있다. 1995년 박창화의 아들에 의해 공개된 두 번째 필사본은 일반적으로 "모본" (母本)으로 불리며, 162쪽 분량의 필사본이다. 모본은 첫 부분이 손상되어 누락되었기 때문에, 네 번째 ''풍월주''에 대한 단편적인 기록으로 시작하여 초기 15명의 ''풍월주''에 대한 보다 자세한 기록으로 이어지며, 32번째이자 마지막 ''풍월주''의 기록으로 끝을 맺는다. 두 필사본 모두 박창화(1889–1962)의 친필로 작성되었으며, 그는 한문에도 능통했고 일제강점기에 동경 제실 도서관에서 근무했다.[1]
1989년에 공개된 첫 번째 필사본은 "발췌본" (拔萃本)으로 불리며, 서문과 초기 15명의 풍월주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1995년에 공개된 두 번째 필사본은 "모본"(母本)으로, 162쪽 분량이며, 첫 부분이 손상되어 누락되었기 때문에 네 번째 풍월주에 대한 단편적인 기록으로 시작하여 초기 15명의 풍월주에 대한 보다 자세한 기록으로 이어지며, 32번째이자 마지막 풍월주의 기록으로 끝을 맺는다.
《화랑세기》 필사본은 화랑도 구조, 진골정통(성골 참조), 대원신통(진골 참조), 마복자 등 신라 사회에 관한 새로운 기록을 많이 전하고 있다. 문화방송 드라마 《선덕여왕》은 이 필사본을 소재로 삼고 있다.[4]
3. 위서론
이 《화랑세기》 필사본의 역사적 진실성은 초기 한국사 및 한국학 연구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를 소설로 여기지만, 일부는 진본임을 주장한다.[1] 필사본의 진본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화랑세기》의 중요성은, 신라인 자신이 쓴 신라에 대한 드문 역사적 기록 중 하나이며, 유교의 교리나 도덕에서 자유롭다는 점에 있다. 만약 《화랑세기》 필사본이 진본이라면, 후대 역사가들은 고려 시대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와 같은 기록에 의존하여 삼국 시대에 대한 이해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박창화의 소설로 밝혀지더라도,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는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양대학교의 이도흠은 박창화가 쓴 "화랑세기"가 원래의 "화랑세기" 필사본이거나, 후대에 원본을 다시 필사한 것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2]
필사본 《화랑세기》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은 주로 다음의 근거를 통해 제기된다.
《화랑세기》 발췌본은 서문 1개와 15명의 화랑 풍월주 지도자들의 전기로 구성되어 있다.
3. 1. 용수 문제
태종무열왕의 아버지인 용수(龍樹) 혹은 용춘(龍春)에 대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동일인물로 기록하고 있으나,[5] 필사본 《화랑세기》는 형제지간이었다고 묘사한다. 필사본 《화랑세기》는 용수의 사망 시기를 황룡사탑 중수 기록과 다르게 선덕여왕 즉위 이전으로 기록하여, 선덕여왕 즉위 이후에도 생존했던 용수의 기록과 배치된다.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르면 용수가 죽은 후 그의 처와 아들을 아우 용춘이 부양했다고 한다.3. 2. 세종 문제
《삼국유사》에 따르면 세종(世宗)은 금관가야의 마지막 임금 구형왕의 장남으로, 《삼국사기》에는 노종으로 등장한다. 532년 구형왕이 신라에 항복하고 본국을 식읍으로 받자, 그 동생 무덕(삼국유사의 무득), 김무력과 함께 신라에 귀순하였다. 즉, 김유신의 '''큰할아버지'''가 된다.[6]그러나 《화랑세기》에는 영실과 보현공주의 아들 노리부(사도태후의 오라비), 태종과 지소태후의 아들 세종(6대 풍월주, 미실의 지아비)만이 등장할 뿐, 구형왕의 아들인 세종이나 노리부에 대한 기록은 없다. 오히려 작중 15세 유신공의 세계에서는 구형왕의 아들로 무력, 무득만이 등장하고 세종이 누락되어 있다.[7]
이에 대해 진서론은 《삼국유사》의 기록에 문제가 있으며, 구형왕의 아들 세종과 풍월주 세종이 동명이인이라고 주장한다.[8] 그러나 이 계보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반복되어 나타나고 있으므로 오류일 가능성이 희박하며, 김태식은 자신의 저서에서 동시대에 두세 명의 동명이인이 활동했다는 《화랑세기》의 기록이 거칠부와 황종이 서로 싸웠다고 하는 것만큼 무리한 것이라고 혹평한 바 있다.[9]
3. 3. 박창화의 다른 저술
박창화가 저술한 다른 책들의 성격도 진위를 판별하는 논거가 될 수 있다. 그가 지은 것 중에는 '도홍기', '홍수동기', '어울우동기'와 같은 음란 소설이 많다. 그가 쓴 수십 권이 넘는 책 중 상당수가 성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박창화는 위서를 만들려고 한 적도 있는데, 그가 남긴 유고 중에 '유기추모경'이 있다. 유기는 고구려 초기에 편찬된 사서의 이름이고, 추모는 주몽의 다른 표기이다. 박창화가 썼으면서 고려 시대의 인물인 황주량이 왕명을 받아 쓴 것처럼 보이게 했다. 그러나 유기추모경과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는 박창화의 다른 유고인 '추모경'은 한지에 쓰여 있고 황주량에 대한 기록은 없다.3. 4. 금석문과의 불일치
필사본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인물 총 420명 중 240여 명은 다른 사료에 나타나지 않고 《화랑세기》 필사본에서만 보인다. 신라 금석문에서 독자적으로 확인되는 인물은 없다. 반면 타 사료에서 발견되는 180명 중 24명은 금석문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필사본에서 신라 왕을 제(帝)나 대제(大帝)라 했지만 이 역시 금석문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지적이 있다.[4][10]3. 5. 박창화의 주장과의 모순
광복 이후 박창화가 쓴 글에 의하면, 한국 역사는 삼국사기, 고려사, 이조실록이며, 삼국사기 이전은 약간의 전설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11] 광복 이전에 화랑세기 진본을 필사한 사람이라면 이런 표현을 할 이유가 없으며, 스스로 생전에 필사본 화랑세기에 대한 언급을 한 일도 없다.4. 진서론
《화랑세기》는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까지는 존재했으나, 13세기 이후에는 소실된 것으로 여겨진다. 각훈의 《해동고승전》(1215년경)에 해당 문헌에 대한 언급이 마지막으로 나타난 이후, 《화랑세기》에 대한 언급은 더 이상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9년, 두 개의 필사본 《화랑세기》가 갑자기 공개되었다. 이 필사본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실 도서관에서 근무했던 박창화(1889~1962)가 소유했던 것으로, 1989년 그의 제자인 김종진과 김종진의 부인 김경자가 언론에 공개했다. 당시 32쪽 분량의 발췌본이 공개되었으며, 박창화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1989년에 공개된 첫 번째 필사본은 "발췌본"으로 불리며, 서문과 초기 15명의 풍월주에 대한 짧은 기록을 담고 있다. 1995년 박창화의 아들에 의해 공개된 두 번째 필사본은 "모본"으로 불리며, 162쪽 분량이다. 모본은 첫 부분이 손상되어 누락되었기 때문에, 네 번째 풍월주에 대한 단편적인 기록으로 시작하여 초기 15명의 풍월주에 대한 보다 자세한 기록으로 이어지며, 32번째이자 마지막 풍월주의 기록으로 끝을 맺는다. 두 필사본 모두 박창화의 친필로 작성되었으며, 그는 한문에도 능통했고 일제강점기에 동경 제실 도서관에서 근무했다.[1] 이 《화랑세기》 필사본의 역사적 진실성은 초기 한국사 및 한국학 연구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를 소설로 여기지만, 일부는 진본임을 주장한다.[1]
필사본의 진본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화랑세기》의 중요성은, 신라인 자신이 쓴 신라에 대한 드문 역사적 기록 중 하나이며, 유교의 교리나 도덕에서 자유롭다는 점에 있다. 만약 《화랑세기》 필사본이 진본이라면, 후대 역사가들은 고려 시대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와 같은 기록에 의존하여 삼국 시대에 대한 이해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박창화의 소설로 밝혀지더라도,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는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양대학교의 이도흠은 박창화가 쓴 "화랑세기"가 원래의 "화랑세기" 필사본이거나, 후대에 원본을 다시 필사한 것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2]
필사본 《화랑세기》의 진본성을 옹호하는 주장은 주로 다음의 근거들을 제시한다.
- '''향가 문제''': 박창화가 향찰로 향가를 창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긴다.
- '''용수·용춘 형제 문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용수와 용춘을 동일인물로 기록한 것과 달리, 필사본 《화랑세기》는 이들을 형제지간으로 묘사한다.
- '''노비 문제''': 필사본에 나타난 노(奴)와 비(婢)는 현재 알려져 있는 천민과 전혀 다른 개념으로, 20세기에 창작해낼 수 없는 내용이라고 주장한다.
- '''구지 문제''': 무관랑이 월성의 궁궐 담장을 넘다가 '구지(溝池)'에 빠져 죽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다른 사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 '''진평왕 즉위 연령''': 필사본 《화랑세기》에는 진평왕이 13살에 즉위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기존 사서 어디에도 생몰 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은 내용이다.
4. 1. 향가 문제
필사본 《화랑세기》에는 향가가 한 수 기록되어 있는데, 진서론자들은 아마추어 역사가인 박창화가 향찰로 향가를 창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 진서론의 근거로 사용한다.[12]진서론자들은 《화랑세기》 필사본이 박창화가 1930~1940년대 일본 궁내성 왕실도서관(도서료. 오늘날의 서릉부)에서 사무 촉탁으로 근무하면서 도서관 내의 《화랑세기》를 필사한 것이라며, 일제강점기 말에는 국어학자들도 향가를 겨우 한두 줄 해석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미실이 연인인 사다함에게 보내는 향가인 <송출정가> 등이 향가의 형식을 빌려 창작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한다.[14]
1942년에 와서야 양주동 선생이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향가 25수 전편의 해독집인 <조선고가연구>를 출판하였다.[15] 진서론자들은 향가에 대한 해석조차 어려운 일제강점기에 아마추어 역사가인 박창화가 향가를 창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 진서론의 근거로 사용한다.[16]
4. 2. 용수·용춘 형제 문제
필사본 《화랑세기》는 태종무열왕의 아버지인 용수와 용춘을 형제지간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용수와 용춘을 동일인물로 기록한 것과 다르다.[5] 《화랑세기》에 따르면, 진지왕에게는 용수와 용춘 두 아들이 있었고, 형인 용수가 천명공주와 혼인하여 춘추를 낳았으나 후에 동생 용춘이 천명공주를 아내로 삼고 춘추를 아들로 삼았다고 한다.[17]진서론 측에서는 이종욱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의 주장을 인용하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용춘과 용수를 동일인으로 본 것과 달리, 《화랑세기》를 통해 형제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17]
4. 3. 노비 문제
이영훈은 화랑세기 필사본에 나타난 노(奴)와 비(婢)는 현재 알려져 있는 천민과 전혀 다른 개념으로, 20세기에 창작해낼 수 없는 내용이라고 주장했다.[18]4. 4. 구지 문제
화랑세기에는 무관랑이 월성의 궁궐 담장을 넘다가 '구지(溝池)'에 빠져 죽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다른 사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구지는 일종의 해자(垓子, 성 주위를 둘러 판 방어용 인공 연못)로 보이는데, 박창화 사후에 구지로 추정되는 연못 유적이 발견되었다.[19]이는 삼국사기 사다함 조에 나오는 내용으로, 사다함의 친구 무관랑이 해자에 빠져 죽자 사다함이 이를 슬퍼하였다는 기록이 있다.[16]
4. 5. 진평왕 즉위 연령
필사본 화랑세기에는 기존 사서 어디에도 생몰 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은 신라 26대 진평왕(재위 579-632)이 13살에 즉위했다는 기록이 있다. 연합뉴스의 김태식 기자는 삼국사기를 분석하여 이 기록이 정확하다고 주장했다.[20]5. 현대적 의의
필사본 《화랑세기》는 진위 여부와 관계없이, 신라 시대의 사회상과 화랑도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며, 기존 역사 해석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한다.[1] 특히, 여성의 역할, 성(性) 문화, 신분 제도 등 기존 사서에서 다루지 않았던 내용들을 통해 신라 사회를 다각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화랑세기》 필사본은 구체적인 화랑도 구조, 진골정통(성골 참조), 대원신통(진골 참조), 마복자 등 신라 사회에 관한 새로운 기록을 많이 전하고 있다.[4] 만약 필사본이 진본이라면, 고려 시대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와 같은 기록에 의존했던 삼국 시대에 대한 기존의 역사적 이해를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사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박창화의 소설로 밝혀지더라도, 이도흠 한양대학교 교수가 제안한 것처럼,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는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2]
참조
[1]
웹사이트
화랑세기 필사본은 신라시대 작품
https://web.archive.[...]
2005-07-26
[2]
웹사이트
화랑세기를 필사했거나 재필사한 것으로 봐야
https://news.naver.c[...]
Segye Ilbo
2019-05-20
[3]
서적
韓流時代劇と朝鮮史の真実
扶桑社
2013-08-08
[4]
뉴스
'선덕여왕' 인기에 '화랑세기' 수면 위로
http://newsmission.c[...]
뉴스미션
2009-11-09
[5]
문서
삼국사기, 삼국유사 관련 내용
[6]
웹사이트
금석문
http://gsm.nricp.go.[...]
[7]
문서
대역 화랑세기 243쪽
[8]
문서
대역 화랑세기 242쪽
[9]
뉴스
미완의 문명 1백년 가야사
푸른역사
2002-04-05
[10]
뉴스
신라의 요부 미실, 사실은 가공 인물?
https://web.archive.[...]
조선일보
2009-11-04
[11]
저널
신발견 박창화(朴昌和)의 『화랑세기(花郞世紀)』잔본(殘本)과 "향가(鄕歌)" 일수(一首)
http://www.riss4u.ne[...]
2007
[12]
뉴스
「화랑세기」향가, 조작한 흔적 없어"(이도흠 교수)
http://news.nate.com[...]
연합뉴스
2009-11-04
[13]
뉴스
화랑세기 향가 `송랑가'는 위작
https://web.archive.[...]
매일신문
2009-11-04
[14]
문서
대역 화랑세기 464쪽
[15]
웹사이트
양주동
https://archive.toda[...]
[16]
웹사이트
[17]
문서
대역 화랑세기 225쪽
[18]
뉴스
화랑세기 필사본은 신라시대 작품
https://web.archive.[...]
동아일보
2009-11-04
[19]
뉴스
발굴·연구성과 토대 “이래도 가짜?”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9-11-04
[20]
뉴스
「화랑세기」는 신라인 김대문의 작품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