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심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도심공항은 1985년 설립된 민간 사업자로, 시내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버스 운수업을 운영했다. 1990년부터 서울 삼성동 코엑스 도심공항터미널과 노원구 상계동 수락터미널을 운영했으며, 2007년부터 물류 사업에도 진출했다. 2009년 한국도심공항으로 사명을 변경했고, 2017년 사업 회사를 분할했다. '얼리 체크인', '온라인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철도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과의 경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적자로 인해 2023년 2월 시내 체크인 서비스를 폐업했다. 현재는 공항버스 사업과 수출입 물류 사업을 운영하며, 공항리무진 버스 5개 노선과 새서울고속의 청주국제공항 노선을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기업 - 공항리무진 (기업)
1977년 설립된 공항리무진은 대한민국 최초로 공항리무진 버스를 운행한 기업으로, 2022년 티맵모빌리티가 지분 일부를 인수하여 경영 정상화를 추진 중이며, 인천국제공항과 서울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노선과 심야 공항버스를 운행한다. - 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기업 - 서울공항리무진
서울공항리무진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공항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2001년 서울버스에서 시작하여 KD운송그룹 대원공항 인수를 거쳐 현재는 티맵모빌리티의 자회사이며, 강남, 강동 지역과 인천공항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현대 유니버스와 기아 뉴 그랜버드 등의 차종으로 운행한다. - 한국종합무역센터 - 코엑스 마곡 르웨스트
코엑스 마곡 르웨스트는 2024년 11월 28일 개관한 마곡지구의 복합문화공간으로, 마곡나루역, 마곡역과 인접하며 LG아트센터, 서울식물원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마곡지구 중심부에 위치한다. - 한국종합무역센터 - 트레이드 타워
1988년 완공된 트레이드 타워는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빌딩이었으며, 독특한 외형과 LED 경관조명, 다양한 문화 콘텐츠 등장으로 강남의 대표적인 랜드마크이다. - 198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일선교통
일선교통은 1985년 경북고속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구미시 시내버스 회사로, 선산군의 옛 지명인 일선군에서 사명을 따왔으며, 구미버스와 함께 구미시 시내/좌석/리무진 노선에 공동 배차하고 현대자동차 차종을 운행한다. - 198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세일교통
세일교통은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버스 운송 업체로, 삼화여객과 함께 거제시 시내버스 노선에 참여하며, 자일대우, 현대 등의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순환 및 시내외 노선을 운영한다.
한국도심공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한국도심공항 주식회사 |
원어 | City Air Logistics & Transportation |
그림 | 한국도심공항터미널.JPG |
그림 크기 | 250px |
그림 설명 | 삼성동 무역센터 소재 본사 전경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일 | 1985년 4월 16일 |
이전 상호 | 한국도심공항터미널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7길 22 |
사업 지역 | 서울 강남·노원 일대 |
인물 | 박천일 대표이사·사장 (2022. 3. ~ ) |
산업 | 운송업·물류업 |
서비스 | 공항버스 |
주주 | 한국도심공항자산관리 (100%) |
모기업 | 한국무역협회 |
웹사이트 | 한국도심공항 |
한국어 표기 | |
한글 | 한국도심공항 |
한자 | 韓国都心空港 |
가타카나 | ハングクトシムコンハン |
영어 안내 | City Airport, Logis & Travel |
영어 | City Airport, Logis & Travel, Korea |
2. 역사
한국도심공항은 1985년 항공여행을 위한 시내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버스 운수업을 겸하여 시너지를 내려는 민간사업자로 서울 삼성동에 설립되었다.[5] 1990년부터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코엑스 도심공항터미널과,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에 있는 수락터미널 두 곳 터미널을 두고 사업을 운영해왔다.[5]
2017년 1월 2일 사업회사인 (신)한국도심공항주식회사로 분할하고, 남은 회사는 한국도심공항자산관리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 2023년 11월 기준 한국도심공항은 공항버스 사업과 수출입 물류 사업만을 운영하는 회사로 남아 있다. 지배구조는 한국무역협회가 출자한 한국도심공항자산관리가 지분 100%를 소유한 구조이다.[10]
2. 1. 시내 체크인 서비스
과거 코엑스 도심공항터미널에서는 항공사 탑승수속, 법무부 출입국관리 출장소, 도심공항병무신고사무소, 인천국제공항 세관신고사무소 등의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했다.[5] 강남구청 여권과도 있었으나 2007년 12월 10일 부로 사무실을 철수하였다.[6]2009년 1월 1일 한국도심공항터미널에서 한국도심공항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대에 들어 한국도심공항에서 운영하던 시내 체크인 서비스는 휴대전화 등을 이용해 미리 탑승수속을 하는 '온라인 체크인'(online check-in영어) 서비스와 공항철도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과의 경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코엑스 도심공항터미널은 연간 약 40억원의 적자를 냈고, 결국 2023년 2월 시내 체크인 서비스는 폐업했다.[8][9]
2. 2. 물류 사업
2007년 한국무역협회의 자회사로서 부산, 평택 등에 대형 물류센터를 개장하고 컨테이너 임대사업을 운영하는 등 물류 사업 부문에 진출했으며,[7] 현재는 수출입 물류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10]3. 운행 노선
한국도심공항은 공항리무진버스 외에도 새서울고속에서 청주국제공항 방면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과거 6100번, 6101번, 6101-1번, 6104번, 6105번 등이 운행했으나 현재는 운행이 중단되었다.
3. 1. 공항버스
현재 한국도심공항의 공항리무진버스는 5개 노선이 운행하고 있다. 출국 수속을 마친 승객을 공항까지 수송하거나, 입국 수속을 마친 승객들을 공항에서 터미널로 수송한다.[11]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분) | 비고 | ||
---|---|---|---|---|---|---|
6100 | 망우역 | ↔ | 인천국제공항 | 상봉역, 중화역, 먹골역, 태릉입구역, 공릉역, 중계역, 노원역, 마들역, 노일초등학교, 수락터미널 | 15~25 | |
6101 | 창동역 | 김포국제공항 | 상계6동우체국, 마들역, 노원초교, 수락터미널 | 30~60 | ||
6102 | 도봉등기소 | 인천국제공항 |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숭례초교, 종암경찰서, 길음역, 정릉 | 25~35 | 2023년 3월 1일부로 쌍문역 추가 정차 | |
6103 | 도심공항 (무역센터) | 봉은사역 (무역센터 방면) | 10~15 | |||
6104 | 삼성역 (무역센터 방면), 개포4,5단지, 디에이치아너힐즈, 래미안블레스티지,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구룡사입구 (인천국제공항 방면) | 50~105 |
새서울고속에서 청주국제공항 방면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분) | 비고 | ||
---|---|---|---|---|---|---|---|
도심공항 ↔ 북청주[12] | 새서울고속 | 도심공항 (무역센터) | ↔ | 북청주 | 청주국제공항 | 7회 | 07:30, 09:00, 11:00, 13:10, 14:50, 16:50, 19:00(도심공항 기준) |
3. 2. 이전 운행 노선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비고 |
---|---|---|
6100번 | 망우역 - 상봉역 - 태릉입구역 - 동덕여대 - 길음역 - 정릉 - 김포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 | 2013년까지 운행 |
6101번 | 수락터미널 - 도봉역 - 수유역 - 미아사거리역 - 경동시장 - 성동구청 - 응봉3거리 - 김포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 | |
6101-1번 | 숭례초교(고려대) - 종암경찰서 - 미아사거리역 - 미아역 - 수유역 - 쌍문역 - 수락터미널 - 김포국제공항 | |
6104번 (1기) | 도심공항 - 김포국제공항 | 2018년 1월 1일 폐선 |
6105번 (1기) | 김포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 | 2016년 3월 폐선 및 6101번과 통합 |
6105번 (2기) | 솔샘역 - 김포국제공항 | 2024년 7월 1일 운행 중단 |
4. 보유 차량
5. 본점 및 지점
6. 교통 접근
6. 1. 철도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에서 도보 5~7분 거리에 있다.7. 사진
참조
[1]
뉴스
https://www.hankooki[...]
2023-02-07
[2]
뉴스
https://www.chosun.c[...]
2023-02-02
[3]
뉴스인용
https://biz.chosun.c[...]
[4]
뉴스인용
https://www.kmib.co.[...]
[5]
뉴스인용
https://www.hankyung[...]
[6]
뉴스인용
https://news.naver.c[...]
[7]
뉴스인용
https://www.klnews.c[...]
[8]
뉴스인용
https://www.hankooki[...]
[9]
뉴스인용
https://www.chosun.c[...]
[10]
뉴스인용
https://biz.chosun.c[...]
[11]
일반
[12]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