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를린 헤르만슈트라세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헤르만슈트라세역은 베를린의 S반과 U반이 만나는 역으로, 1872년 S반 순환선의 일부로 개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베를린 장벽 건설 등 역사적 변화를 겪으며 여러 차례 개축되었으며, 특히 U반 역은 대공황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독일 재통일 이후인 1996년에 재개통되었다. 현재 S반과 U반 노선이 운행되며, 2016년 폭행 사건과 같은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이쾰른구의 건축물 - 베를린 순환선
    베를린 순환선은 베를린의 주요 철도 노선들을 연결하는 순환선 철도로, 왕립 역 연결 철도 건설로 기틀이 마련되어 완전한 순환선으로 개통, 전철화, 베를린 S반 운행 시작 등의 발전을 거쳐 동서 분단 후 재통일되어 현재 S41, S42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 노이쾰른구의 건축물 - 헤르만플라츠역
    헤르만플라츠역은 베를린 지하철 7호선과 8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으로, 1926년 U7 노선 개통 이후 U8 노선 개통과 함께 베를린 지하철 최초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8호선에 있는 역으로, 1930년에 개통되었으나 전쟁과 장벽 건설로 인해 유령역이 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는 베를린 노면전차 및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베를린 야노비츠브뤼케역
    베를린 야노비츠브뤼케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과 U반의 환승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폐쇄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 중요한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 베를린의 철도역 -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은 1909년 개업하여 슈테글리츠-젤렌도르프 지역의 주택 건설을 지원하며 지역 교통망의 일부가 된 베를린 S반 철도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시대를 거쳐 재건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인근 역 및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베를린의 철도역 -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으로, 1875년 바이센제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S반 노선 S41, S42, S8, S85가 운행하고 베를린 노면전차 M4번 및 버스 158번과 환승 가능하다.
베를린 헤르만슈트라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베를린 헤르만슈트라세역
위치베를린 노이쾰른구
역 종류Hp
소유주DB Netz
운영자DB Station&Service
승강장1개 섬식 승강장
선로 수2
운행 회사베를린 S반
접근성있음
독일 철도역 코드2716
DS100 코드BHER
IBNR8089105
역 등급4
교통 구역VBB: Berlin A/5555
개업일순환선: 1899년 2월 1일
S반 복원: 1993년 12월 17일
U8: 1996년 7월 13일
폐지일S반: 1980년 9월 18일
지도 종류Berlin#Germany#Europe
지도 설명베를린 내 위치##독일 내 위치##유럽 내 위치
노선 정보
베를린 S반



인접 역
베를린 S반 S41왼쪽 역: 노이쾰른
오른쪽 역: 템펠호프
베를린 S반 S42왼쪽 역: 노이쾰른
오른쪽 역: 템펠호프
베를린 S반 S45왼쪽 역: 템펠호프
오른쪽 역: 노이쾰른
베를린 S반 S46왼쪽 역: 템펠호프
오른쪽 역: 노이쾰른
베를린 S반 S47오른쪽 역: 노이쾰른
베를린 지하철 U8왼쪽 역: 라이네슈트라세
사진 정보
대합실
2004
2004
U8 승강장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 정보
노선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
영업 거리헤르만슈트라세 기점 0.0 km
다음 역텔토카날
다음 역 거리2.7
베를린 순환선 정보
노선베를린 순환선
노선 기호
영업 거리모아비트 기점 18.5 km
이전 역노이쾰른
이전 역 거리0.8
다음 역템펠호프
다음 역 거리3.4
베를린 지하철 8호선 정보
노선베를린 지하철 8호선
영업 거리보딘슈트라세 기점 1.4km
이전 역라이네슈트라세
이전 역 거리0.6

2. 역사

1910년부터 헤르만슈트라세역에 도시 철도를 연결하려는 계획이 있었다. 1927년 베를린은 시 재정을 투입하여 D선(현재의 U8 노선)의 남부 구간 (쇤라인슈트라세-보딘슈트라세 구간)을 개통했다. 게준트브루넨-라이네슈트라세 전 구간은 1930년까지 단계별로 개통될 예정이었다. 1929년 헤르만슈트라세역 지하 터널 공사가 착공되어 1930년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나,[7] 대공황으로 인해 1931년에 공사가 완전히 중단되었다.[7]

공사 중단 직전까지 라이네슈트라세-헤르만슈트라세 간 본선 구간과 길이 23 m(승강장 길이의 약 1/5) 규모의 승강장 터널이 건설되었다. 지하 승강장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계단 구조물은 완공되었지만 콘크리트로 막아 두었다.[7] 베를린 S반 하부를 지나기 위해 터널을 깊게 팠기 때문에, 터널 구조물은 1940년에 방공호로 개조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9]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방공호로 사용되었던 것의 흔적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서베를린동독 소유 S반과의 환승역 건설을 꺼려 U반 헤르만슈트라세역 건설을 중단했다. 이 시기 미완성된 터널은 차량 유치 용도로 사용되었다.

독일 재통일 이후 헤르만슈트라세역을 환승역으로 개통하지 못했던 정치적인 이유가 사라졌다. 1993년 12월 17일 베를린 내각에서는 S반 순환선 재개통에 맞춰 도시 철도 역사 재개통을 원했기 때문에 BVG에 빠른 착공을 촉구했다.[7] BVG는 과거 건설된 터널과 승강장 일부를 개보수하고, 나머지 승강장을 굴착했으며, 320 m 길이의 추가 인상선을 건설했다. S반 승강장과의 환승 통로 및 차후 지역간 열차 정차에 대비한 선시공부도 건설되었다.[7] 1996년 7월 13일, 공사 중단 약 60년 만에 헤르만슈트라세역은 168번째 도시 철도역으로 개통되었다.[7]

도시 철도 역사는 라이너 륌러가 은퇴하기 전에 설계한 마지막 역사이다.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던 U8 연선상의 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건설되었으며, 승강장 길이는 110 m이다. 승강장 외벽은 터키색 세라믹 타일로 마감되었고, 역 내부에는 방공호로 사용되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7]

2008년 11월에는 헤르만교(Hermannbrücke)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와 HermannQuartier 쇼핑 센터로 연결되는 추가 통로가 건설되었다.

저품질 접착제 사용 및 타일 접착 시간 부족 등의 건축 문제와[15] 그래피티로 손상된 타일 복구의 어려움으로 인해[17] 2013년 8월 12일부터 개보수 공사가 시작되었다. 승강장 외벽에는 타일 대신 다양한 녹색의 반달리즘 방지[17] 에나멜 패널이 설치되었고, 2014년 8월 25일에 공사가 완료되었다.[16] 보딘슈트라세역-헤르만슈트라세역 구간 운행 중단 기간 동안 진행된 전체 개보수 공사에는 13.5억유로, 헤르만슈트라세역 개보수 공사에는 1.5억유로가 소요되었다.[17]

역사 내부는 일러스트레이터 Felix Scholz[18]의 대도시 정글(Großstadtdschungel)[20]을 주제로 디자인되었다. 기둥에는 코끼리, 원숭이, , 표범, 늘보로리스, 큰코코끼리땃쥐 등 야생 동물과 정글 식물 그림이 그려져 있다.[18]

사각 지대를 없애고 불청객의 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단 이동 동선과 공간 할당이 변경되었다.[19][20] 북부 출입구는 다양한 녹색과 흰색 타일로 마감되었고, 터키색 타일은 남쪽 출입구에만 보존되어 있다.

2. 1. S반

베를린 순환선의 첫 구간이 개통된 후, 1899년 2월 1일 근교선 헤르만슈트라세역이 개통되어 약 30년간 증기 기관차 견인 열차가 운행했다. 개통 당시에는 동쪽의 노이쾰른 방면으로만 출구가 있었고, 빨간 벽돌로 건설된 대합실이 있었다. 1910년에는 순환선과 평행한 지크프리트슈트라세(Siegfriedstraße) 도로 방면으로 출구가 개설되었다. 1928년 11월 6일 헤르만슈트라세역이 S반에 편입되면서 전동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베를린 전투로 대합실이 파괴되었으나, 역사 자체는 파괴되지 않았다. 1945년 4월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같은 해 7월 18일 전동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1960년대 독일국영철도는 파괴된 대합실을 재건축하고 지크프리트슈트라세 방면 출입구를 재개통했으나, 1971년 대합실은 다시 철거되고 실용적인 건물로 대체되었다. 지크프리트슈트라세 방면 출입구는 1973년에 폐쇄, 1976년에 철거되었다.

1980년 9월 서베를린 S반 파업으로 헤르만슈트라세역 영업이 중지되었고, BVG로 운영권이 양도된 후에도 재개되지 않았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순환선 복구 계획이 변경되어, 1992년 착공 예정이었던 복원 공사가 1년 지연되었다. 헤르만슈트라세역은 완전히 재건축되어 S반 승강장이 철거 후 위치가 약간 변경되었다. 헤르만슈트라세 교량으로 연결되는 양쪽 대합실에는 에스컬레이터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고, 녹색과 파란색을 주 색상으로 사용했다.

1993년 12월 17일 S반이 재개통하면서 쇠네펠트 공항 방면 S45,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방면 S46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순환선 동남쪽에서 오는 열차 회차를 위해 2선 인상선이 설치되었다.

도이체 반은 2018년에 노숙자 점유 방지를 위한 방어적 건축으로 무조성 음악을 재생할 계획이었으나, 항의로 인해 취소되었다.[13]

2. 1. 1. 베를린 순환선

1872년 12월 15일 베를린 순환선의 첫 구간이 개통되었고, 다음 해 1월 1일부터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4] 1887년부터 1910년까지 복복선화 공사를 거치면서 순환선상에 추가 정차역이 생겼고, 릭스도르프에 있는 헤르만슈트라세역도 이 시기에 건설되었다. 1899년 2월 1일 근교선 헤르만슈트라세역이 개통되었고 그 후 약 30년간 증기 기관차 견인 열차가 운행했다.[13] 개통 당시에는 동쪽의 노이쾰른 방면으로만 출구가 개설되어 있었다. 출구 위에는 빨간 벽돌로 건설된 대합실이 있었다. 1910년에는 순환선과 평행한 지크프리트슈트라세(Siegfriedstraße) 도로 방면으로 출구가 개설되었다.[4] 대(大) 베를린이 창설된 후 1924년에 S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전철화가 시작되었고, 1928년 11월 6일 헤르만슈트라세역이 S반에 편입되면서 순환선에도 전동차가 투입되었다.[4]

베를린 순환선, 도시 철도,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의 지도

2. 1. 2.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의 헤르만슈트라세역은 1895년부터 계획되었다. 베를린 근교 릭스도르프(Rixdorf)에서 브란덴부르크의 미텐발데(Mittenwalde)로 가는 소형 철도(Kleinbahn) 건설 계획이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 1899년 2월 23일 릭스도르프-미텐발데 철도회사(Rixdorf-Mittenwalder Eisenbahn Aktiengesellschaft, RME)가 설립되었다. 미텐발데에서 출발한 27km 노선의 종착역이자 국철과의 환승역으로 헤르만슈트라세역이 지정되었다. 미텐발데에서 릭스도르프까지의 노선은 1900년 9월 28일에 개통되었다. 1912년 릭스도르프가 노이쾰른으로 개칭되면서 철도 회사의 이름도 개명되었고, 1919년부터는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Neukölln-Mittenwalder Eisenbahn, NME)가 되었다.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용 승강장은 순환선 승강장과 평행하게 설치되었고, 서쪽에는 화물역이 설치되었다.[14]

1895년, 미텐발데 주민 위원회는 기존 철도 노선이 편리하게 위치하지 않아 미텐발데에서 릭스도르프까지 철도를 건설하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했다. 비용이 과도하다는 것을 알고 있던 그들은 당시 독일 전역에 철도 노선을 개발하고 있던 Vering & Waechter와 제휴했다. 1899년 2월 23일, ''릭스도르프-미텐발데 철도 주식회사''(Rixdorf-Mittenwalder Eisenbahn Aktiengesellschaft)가 설립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존재한다. 계획 및 건설의 책임을 맡은 Vering & Waechter는 북미텐발데에서 헤르만슈트라세까지 27km 노선을 계획했으며, 브루젠도르프, 그로스 키에니츠, 젤코, 죄네펠트, 루도, 부코, 브리츠의 7개 중간역이 있었다. 링반역이 건설된 후, 계획이 변경되어 노선의 헤르만슈트라세 종착역은 환승 지점이 되었고 브리츠역은 운영 중심지가 되었다. 노선 운영 허가는 1899년 7월 21일에 부여되었으며, 1900년 9월 28일에 개통되었다. 4년 후에는 쇤하이헤 플란까지 남쪽으로 연장되었다. 릭스도르프가 1912년 노이쾰른이 되면서 이 노선은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Neukölln-Mittenwalder Eisenbahn)가 되었다.

전쟁 시기였던 1942년/1943년에는 연간 화물 100만 톤, 승객 300만 명을 수송하면서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베를린 봉쇄의 영향으로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의 운영은 파행을 맞았다. 1955년 베를린 시내에서의 여객 영업이 중단되었고, 화물 전용선으로 변경되었다. 1963년부터 발전소가 폐쇄된 2003년까지는 루도 화력 발전소에 석탄을 공급했으며, 1997년 이후에는 쇠네펠트 지역 매립장으로 베를린에서의 건축 폐기물을 수송했다. BSR의 텔토 운하 근처 쓰레기 수거 시설에서는 헤르만슈트라세역까지 화물 열차가 운행했고, 여기에서 간선 철도로 이동되었다. 2008년 이후 폐기물 처리법(Abfallbeseitigungsgesetz)이 매립에서 재활용 위주로 변경되면서 쓰레기 화물 열차 운행이 빠르게 감소했다가 2012년 1월 1일부터 완전히 중단되었다. 이 과정에서 헤르만슈트라세역의 화물선도 4선에서 2선으로 축소되었다.

베를린 위생국의 Gradestraße 창고 근처,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의 텔토 운하 화물 창고

2. 1. 3.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베를린 폭격에도 헤르만슈트라세역 자체는 파괴되지 않았으나, 베를린 전투 당시 대합실이 파괴되었다.[4] 1945년 4월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이후 증기 기관차 견인 열차로 복구되었고, 1945년 7월 18일에 전동차가 다시 운행하기 시작했다.[13] 미텐발데 노선은 텔토 운하 위의 다리가 소련군에 의해 수리된 1945년 5월 17일까지 폐쇄되었다.[5]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서베를린 시내에서 S반의 중요도는 감소했다. 1960년대 독일국영철도는 파괴된 대합실을 재건축했고, 1961년에는 지크프리트슈트라세 방면 출입구를 재개통했다. 그러나 1971년 대합실은 다시 철거되었고, 실용성을 강조한 새로운 대합실 건물로 대체되었다. 지크프리트슈트라세 방면 출입구는 1973년에 폐쇄되었고 1976년 10월에 철거되었다.[4]

1980년 9월 서베를린 S반 노동자들의 파업 이후, 독일국영철도는 순환선을 포함하여 서베를린의 S반을 거의 완전히 폐쇄했고, 헤르만슈트라세역도 영업이 중지되었다. S반 운영이 BVG로 양도된 이후에도 헤르만슈트라세역은 다시 운영되지 않았다.[5]

2. 1. 4. 통일 이후 재개통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뒤이은 독일 재통일로 인해 순환선 복구 계획이 변경되었다. 1992년 착공 예정이었던 복원 공사는 1년 지연되었고, 헤르만슈트라세역은 완전히 재건축되었다. S반 승강장은 철거 후 위치가 약간 변경되어 초기 모습과는 달라졌다. 헤르만슈트라세 교량으로 연결되는 양쪽 대합실에는 에스컬레이터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으며, 녹색과 파란색을 주 색상으로 사용했다. 이는 당시 공사가 진행 중이던 도시철도역과의 연계를 위한 사전 작업이었다.[6][4]

1993년 12월 17일 S반이 재개통하면서 쇠네펠트 공항 방면 S45,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방면 S46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순환선 동남쪽에서 오는 열차 회차를 위해 2선 인상선이 설치되었다. 현재 이 역은 S47,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Königs Wusterhausen)에서 오는 S46, 쇠네펠트 공항(Schönefeld Airport)에서 오는 S45, 그리고 두 개의 링반 노선인 S41 및 S42가 운행하고 있다. 헤르만슈트라세에 있는 새로운 2개 선로 회전 구역은 S47의 종착역이다.

헤르만슈트라세 다리에서 본 새로운 S반역

2. 2. U반

도시 철도역 출입구


1927년 베를린은 시 재정을 투입하여 D선(현재의 U8 노선)의 남부 구간을 개통했다. 1931년 대공황으로 인해 헤르만슈트라세역 건설이 중단되기 전까지 게준트브루넨-라이네슈트라세 구간이 단계별로 개통되었다.

베를린 분단 시기, 서베를린은 동독 소유 S반과의 환승역 건설을 꺼려 U반 헤르만슈트라세역 건설을 중단했다. 이 시기 미완성된 터널은 차량 유치 용도로 사용되었다.

2. 2. 1. 초기 계획과 중단

1910년부터 헤르만슈트라세역에 도시 철도를 연결하려는 계획이 있었다. 1927년 베를린은 시 재정을 투입하여 D선의 남부 구간(현재 U8 노선의 쇤라인슈트라세-보딘슈트라세 구간)을 개통했다. 게준트브루넨-라이네슈트라세 전 구간 개통은 1930년까지 단계별로 나누어 진행될 예정이었다. 헤르만슈트라세역 지하 터널 공사는 1929년에 착공했으며 1930년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대공황으로 인해 공사가 일시 중단되었다가 1931년에 완전히 중단되었다.[7]

공사 중단 직전까지 건설된 터널은 라이네슈트라세-헤르만슈트라세간 본선 구간과 승강장 길이의 약 1/5 정도인 23 m 규모 승강장 터널이었다. 지하 승강장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계단 구조물은 완공되었지만 콘크리트로 막아 두었다.[7] 베를린 S반 하부를 지나기 위해 터널을 깊게 팠기 때문에, 터널 구조물은 완공 이후 방공호로 전용되었다. 1940년에 방공호 개조가 완료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9]

2. 2. 2. 재개통과 현재

독일 재통일로 헤르만슈트라세역을 환승역으로 개통하지 못했던 정치적인 이유가 사라졌다. 베를린 내각에서는 1993년 12월 17일 S반 순환선의 재개통에 맞춰 도시 철도 역사 재개통을 원했기 때문에 BVG에 빠른 착공을 촉구했다.[7] 과거 건설된 터널과 승강장 일부의 개보수, 나머지 승강장 굴착 및 320 m 길이의 추가 인상선 건설이 필요했다. 이외에도 S반 승강장과의 환승 통로 및 차후 지역간 열차 정차에 대비한 선시공부 건설이 포함되었다.[7] 1996년 7월 13일 개통하면서 168번째 도시 철도역이 되었다. 이는 공사 중단으로부터 약 60년 후였다.[7]

도시 철도 역사는 라이너 륌러가 설계했으며, 그가 은퇴하기 전에 설계한 마지막 역사이다.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던 U8 연선상의 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건설했다. 승강장 길이는 110 m이다. 승강장 외벽은 터키색 세라믹 타일로 마감했다. 역 내부 공간에는 과거 방공호로 사용되었다는 흔적이 남아 있다.[7]

2008년 11월 헤르만교(Hermannbrücke)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및 HermannQuartier 쇼핑 센터로 연결되는 추가 통로가 건설되었다.

저품질 접착제를 사용하고 타일 접착에 시간을 충분히 두지 않은 등의 이유로 타일이 예상보다 빠르게 떨어지는 등의 건축 문제와[15] 그래피티로 손상된 타일을 복구하기 어려워짐에 따라[17] 2013년 8월 12일부터 개보수 공사를 시작했다. 승강장 외벽에 타일 대신 다양한 녹색으로 된 반달리즘 방지[17] 에나멜 패널을 설치했다. 2014년 8월 25일에 개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16] 이 기간 동안 보딘슈트라세역부터 헤르만슈트라세역까지의 운행이 중단되었고, 이 구간 전체 개보수 공사에는 13.5억유로 예산이 소요되었다. 헤르만슈트라세역 개보수 공사에는 1.5억유로가 소요되었다.[17]

일러스트레이터 Felix Scholz[18]의 대도시 정글(Großstadtdschungel)[20]을 주제로 역이 디자인되었다. 역사 내부 기둥에는 코끼리, 원숭이, , 표범, 늘보로리스, 큰코코끼리땃쥐 등 야생 동물과 정글 식물 그림이 그려졌다.[18]

사각 지대를 없애고 불청객의 출입을 최소화한다는 목표로 계단 이동 동선과 공간 할당이 변경되었다.[19][20] 이 과정에서 북부 출입구를 다양한 녹색과 흰색 타일로 새로 마감했다. 터키색 타일은 남쪽 출입구에만 보존되어 있다.

3. 역 구조



라이너 륌러가 은퇴하기 전에 설계한 마지막 도시 철도 역사로,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던 U8 노선상의 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건설되었다. 승강장 길이는 110m이다. 승강장 외벽은 원래 터키색 세라믹 타일로 마감했으나, 2013년 8월 12일부터 2014년 8월 25일까지 진행된 개보수 공사를 통해 다양한 녹색의 에나멜 패널로 교체되었다.[15][16][17] 이 공사에는 총 1350만유로가 소요되었으며, 헤르만슈트라세역 개보수에는 150만유로가 소요되었다.[17]

역사 내에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방공호로 사용되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1940년에 방공호 개조가 완료되었으며, 그 흔적은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다.

역사 내부는 Felix Scholz[18]의 "대도시 정글(Großstadtdschungel)"[20]을 주제로 디자인되었다. 코끼리, 원숭이, , 표범, 늘보로리스, 큰코끼리땃쥐 등 야생 동물과 정글 식물 그림이 기둥에 그려져 있다.[18]

2008년 11월에는 헤르만교(Hermannbrücke)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및 HermannQuartier 쇼핑 센터로 연결되는 추가 통로가 건설되었다. 사각지대를 없애고 불청객의 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단 이동 동선과 공간 할당이 변경되었다.[19][20] 북부 출입구는 다양한 녹색과 흰색 타일로, 남쪽 출입구는 터키색 타일로 마감되어 있다.

3. 1. S반 승강장

1872년 12월 15일 베를린 순환선의 첫 구간이 개통되었고, 1899년 2월 1일 근교선 헤르만슈트라세역이 개통되어 약 30년간 증기 기관차 견인 열차가 운행했다. 1928년 11월 6일 S반에 편입되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베를린 전투로 대합실이 파괴되었으나, 1945년 7월 18일 전동차가 다시 운행하기 시작했다. 독일국영철도 파업으로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1993년 12월 17일 S반이 재개통하면서 S45, S46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13]

S반 승강장은 철거 후 재건축되어 위치가 약간 변경되었고, 초기 건설 당시의 모습과는 달라졌다. 헤르만슈트라세의 교량으로 연결되는 양쪽 대합실에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으며, 녹색과 파란색을 주 색상으로 사용했다. 순환선 동남쪽에서 오는 열차 회차를 위해 2선 인상선이 설치되었다.[13]

3. 2. U반 승강장



U반 승강장은 1931년 공사 중단 전까지 건설된 터널과 승강장 일부를 활용하여 1996년에 개통되었다. 승강장 길이는 110m이며,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한 U8 노선상의 다른 역들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승강장 외벽은 원래 터키색 세라믹 타일로 마감되었으나,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된 개보수 공사를 통해 다양한 녹색의 에나멜 패널로 교체되었다.[15][16][17]

역사 내에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방공호로 사용되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1940년에 방공호 개조가 완료되었으며, 그 흔적은 오늘날까지도 남아있다.

개보수 공사 이후, 역은 Felix Scholz[18]의 "대도시 정글(Großstadtdschungel)"[20]을 주제로 디자인되었다. 역사 내부 기둥에는 코끼리, 원숭이, , 표범, 늘보로리스, 큰코코끼리땃쥐 등 야생 동물과 정글 식물 그림이 그려져 있다.[18]

2008년 11월에는 헤르만교(Hermannbrücke)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및 HermannQuartier 쇼핑 센터로 연결되는 추가 통로가 건설되었다. 또한, 사각지대를 없애고 불청객의 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단 이동 동선과 공간 할당이 변경되었다.[19][20] 북부 출입구는 다양한 녹색과 흰색 타일로 새로 마감되었고, 터키색 타일은 남쪽 출입구에만 보존되어 있다.

3. 3. 출입구 및 환승 통로



헤르만슈트라세역의 도시 철도 역사는 라이너 륌러가 은퇴하기 전에 설계한 마지막 역사이다.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던 U8 연선상의 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건설되었다. 승강장 길이는 110m이며, 승강장 외벽은 터키색 세라믹 타일로 마감했다. 역 내부에는 방공호로 사용되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15][17]

2008년 11월 헤르만교(Hermannbrücke)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및 HermannQuartier 쇼핑 센터로 연결되는 추가 통로가 건설되었다.

저품질 접착제 사용 및 타일 접착 시간 부족 등의 문제로 타일이 예상보다 빠르게 떨어졌다. 또한 그래피티로 손상된 타일 복구가 어려워 2013년 8월 12일부터 개보수 공사가 시작되었다. 승강장 외벽에는 타일 대신 다양한 녹색의 반달리즘 방지 에나멜 패널이 설치되었다. 2014년 8월 25일 개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 기간 동안 보딘슈트라세역부터 헤르만슈트라세역까지 운행이 중단되었고, 전체 개보수 공사에는 1350만유로, 헤르만슈트라세역 개보수 공사에는 150만유로가 소요되었다.[16][17]

일러스트레이터 Felix Scholz[18]의 대도시 정글(Großstadtdschungel)[20]을 주제로 역이 디자인되었다. 역사 내부 기둥에는 코끼리, 원숭이, , 표범, 늘보로리스, 큰코코끼리땃쥐 등 야생 동물과 정글 식물 그림이 그려졌다.[18]

사각 지대를 없애고 불청객의 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단 이동 동선과 공간 할당이 변경되었다.[19][20] 이 과정에서 북부 출입구는 다양한 녹색과 흰색 타일로 새로 마감되었고, 터키색 타일은 남쪽 출입구에만 보존되어 있다.

4. 사건/사고

2016년 10월, 헤르만슈트라세역 계단에서 한 여성이 발로 차여 넘어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영상은 같은 해 12월 언론에 공개되었고, 경찰은 가해자 체포를 위해 대중의 제보를 요청했다.[10] 12월 13일 체포 영장이 발부되었으며,[11] 12월 17일 용의자가 독일에서 체포되었다.[12]

4. 1. 2016년 폭행 사건

2016년 10월에 촬영된 영상에는 한 여성이 계단에서 발로 차여 넘어지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같은 해 12월, 이 영상은 정부의 허가를 받기 전 언론에 공개되었고, 이후 경찰은 폭력 행위자를 체포하기 위해 대중에게 제보를 요청했다.[10] 12월 13일에는 체포 영장이 발부되었다.[11] 12월 17일, 용의자는 다른 나라에서 출발한 버스 안에서 독일에서 체포되었다.[12]

5. 인접 역

베를린 S반
노이쾰른반시계방향 순환de템펠호프
템펠호프쥐트크로이츠 방면노이쾰른
템펠호프베스트엔트 방면노이쾰른
노이쾰른헤르만슈트라세de 방면
베를린 지하철
헤르만슈트라세de 방면라이네슈트라세


참조

[1] 서적 Eisenbahnatlas Deutschland Schweers + Wall
[2] DBCatsURL
[3] 웹사이트 Der VBB-Tarif: Aufteilung des Verbundgebietes in Tarifwaben und Tarifbereiche https://www.swp-pots[...]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17-01-01
[4] 웹사이트 Hermannstraße http://www.stadtschn[...] 2007-12-04
[5] 서적 Ein-Blicke in die Geschichte der Schillerpromenade in Berlin Neukölln: Stadtteilgeschichte als Grundlage behutsamer Stadterneuerung Stadterneuerung Neukölln
[6] 서적 Berlins S-Bahnhöfe: ein dreiviertel Jahrhundert Be.bra
[7] 웹사이트 U8 Hermannstraßen-U-Bahn http://www.berliner-[...]
[8] 서적 Berliner U-Bahn: in Fahrt seit hundert Jahren https://books.google[...] Be-bra
[9] 서적 Tunnel, Gräben, Viadukte: 100 Jahre Baugeschichte der Berliner U-Bahn Kulturbild
[10] 웹사이트 Kvinne (26) var på vei til t-banen da hun ble sparket ned trappa: - Viser hvor lett alle kan bli voldsofre http://www.dagbladet[...] 2016-12-09
[11] 웹사이트 Mann (27) skal ha stått bak trappesparket i Berlin. Politiet har ennå ikke funnet ham http://www.dagbladet[...] 2016-12-16
[12] 웹사이트 Mannen som sparket kvinnen ned trappa på undergrunnstasjonen i Berlin er arrestert http://www.dagbladet[...] 2016-12-19
[13] 웹인용 Obdachlose mit atonaler Musik vertreiben: Deutsche Bahn stoppt das Berliner Projekt {{!}} BR-Klassik https://www.br-klass[...] 2018-08-27
[14] Bildarchiv Bildarchiv der NME http://www.nmeg.de/b[...] 2014-01-28
[15] 뉴스 BVG präsentiert ihre schöne neue Bahnhofswelt http://www.morgenpos[...] Berliner Morgenpost 2014-08-20
[16] 뉴스 U-Bahnhof Hermannstraße muss saniert werden http://www.tagesspie[...] 2014-04-04
[17] 웹인용 U-Bahnhof Hermannstraße offenbart alte Bausünden http://www.morgenpos[...] 2014-04-14
[18] 웹인용 Neuköllns Dschungel http://unternehmen.b[...] BVG 2015-03
[19] 뉴스 BVG präsentiert ihre schöne neue Bahnhofswelt http://www.morgenpos[...] Berliner Morgenpost 2014-08-20
[20] 뉴스 BVG-Sanierung: Die U8 fährt wieder bis zur Hermannstraße http://www.berliner-[...] 2014-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