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코코끼리땃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코코끼리땃쥐는 아프리카 고유종으로, 저지대 산악 및 울창한 숲에 서식하는 포유류이다. 주로 낮에 활동하며, 곤충을 먹고 일부일처제로 생활한다. 서식지 파괴와 단편화로 인해 모든 종이 위협받고 있으며, 특히 멸종 위기종인 ''Rhynchocyon chrysopygus''는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종에 따라 보존 상태가 다르며, 서식지 보호와 관리 계획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끼리땃쥐류 - 코끼리땃쥐속
  • 코끼리땃쥐류 - 검은코끼리땃쥐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큰코코끼리땃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Rhynchocyon petersi''
검붉은코끼리땃쥐
학명Rhynchocyon
명명자Peters, 1847
모식종Rhynchocyon cirnei
모식종 명명자Peters, 1847
하위 분류
Rhynchocyon chrysopygus
Rhynchocyon cirnei
Rhynchocyon petersi
Rhynchocyon stuhlmanni
Rhynchocyon udzungwensis

2. 생물학 및 생태

큰코끼리땃쥐는 아프리카 고유종이며, 일반적으로 저지대 산악 및 울창한 숲에 서식하며,[6] 종종 숲 가장자리를 "피하는" 경향이 있다.[7][8] 이러한 울창한 숲은 코끼리땃쥐가 서식하는 생태적 지위를 제공하므로 그들의 은신처와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끼리땃쥐는 전형적으로 낮에 활동하며 (주행성), 전날 아침에 지어 놓은 은신처에서 밤을 보낸다.[9] 며칠 밤을 사용한 후 코끼리땃쥐는 다른 곳에 새로운 은신처를 만들기 위해 그들의 은신처를 버리는 경향이 있다.[9] 그들은 전형적으로 지면에서 은신처를 건설하며,[10] 건조한 낙엽이 필요하다.[11] 예를 들어, ''R. udzungwensis''의 둥지의 주요 구조는 흙에 컵 모양의 함몰을 파고 잎으로 층을 이루고 느슨한 잎으로 지붕을 덮는 것으로 구성된다.[17] 그들은 보통 나무 밑동에 둥지를 짓는다.[17] 또한, 포식에 직면했을 때 특히 속이 빈 쓰러진 나무나 통나무를 은신처로 사용한다.[12] 코끼리땃쥐는 방해를 받으면 가만히 있거나 숲 바닥에서 큰 쿵 소리를 낸다.[9] 포식의 경우, 거대한 코끼리땃쥐는 반 바운드 보폭을 사용하여 빠르게 도망친다.[9]

다른 Macroscelidea 종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체온 조절 방법으로 일광욕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거대한 코끼리땃쥐는 일광욕을 하지 않는데, 이는 그들이 그늘진 수관 숲 환경에 적응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2]

코끼리땃쥐는 일부일처제 쌍으로 살며, 헥타르 크기의 영역을 방어한다.[13][10] 암컷이 발정기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짝끼리 함께 시간을 거의 보내지 않는다.[12] 짝짓기는 빠르게 이루어지며 새끼는 최소한의 부모의 투자로 빠르게 성장하는데, 이 중 어느 것도 아버지의 역할은 없다.[12]

붉은모자울새


이 속은 그 범위 내에서 다양한 지상 섭식 조류와 공생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붉은모자울새와 흰가슴알레테는 코끼리땃쥐가 먹이를 찾을 때 종종 따라다니며, 먹이를 찾기 위해 낙엽을 뒤적이는 동안 방해받는 먹이를 잡으려고 한다.[14] 그들은 주로 딱정벌레, 흰개미, 개미, 지네와 같은 곤충을 먹으며, 를 사용하여 흙에서 파내고 혀로 핥아 먹는다.[15] 그들의 얼굴 형태는 식단을 작은 무척추동물로 제한하며, 다른 Macroscelidea 구성원과는 달리 견과류나 작은 과일과 같은 음식을 보충하지 않는다.[12]

2. 1. 생태 및 습성

큰코코끼리땃쥐는 아프리카 고유종이며, 일반적으로 저지대 산악 및 울창한 숲에 서식하며,[6] 종종 숲 가장자리를 "피하는" 경향이 있다.[7][8] 이러한 울창한 숲은 코끼리땃쥐가 서식하는 생태적 지위를 제공하므로 그들의 은신처와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끼리땃쥐는 전형적으로 낮에 활동하며 (주행성), 전날 아침에 지어 놓은 은신처에서 밤을 보낸다.[9] 며칠 밤을 사용한 후 코끼리땃쥐는 다른 곳에 새로운 은신처를 만들기 위해 그들의 은신처를 버리는 경향이 있다.[9] 그들은 전형적으로 지면에서 은신처를 건설하며,[10] 건조한 낙엽이 필요하다.[11] 포식에 직면했을 때 특히 속이 빈 쓰러진 나무나 통나무를 은신처로 사용한다.[12] 코끼리땃쥐는 방해를 받으면 가만히 있거나 숲 바닥에서 큰 쿵 소리를 낸다.[9] 포식의 경우, 거대한 코끼리땃쥐는 반 바운드 보폭을 사용하여 빠르게 도망친다.[9]

다른 Macroscelidea 종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체온 조절 방법으로 일광욕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거대한 코끼리땃쥐는 일광욕을 하지 않는데, 이는 그들이 그늘진 수관 숲 환경에 적응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2]

코끼리땃쥐는 일부일처제 쌍으로 살며, 헥타르 크기의 영역을 방어한다.[13][10] 암컷이 발정기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짝끼리 함께 시간을 거의 보내지 않는다.[12] 짝짓기는 빠르게 이루어지며 새끼는 최소한의 부모의 투자로 빠르게 성장하는데, 이 중 어느 것도 아버지의 역할은 없다.[12]

이 속은 그 범위 내에서 다양한 지상 섭식 조류와 공생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붉은모자울새와 흰가슴알레테는 코끼리땃쥐가 먹이를 찾을 때 종종 따라다니며, 먹이를 찾기 위해 낙엽을 뒤적이는 동안 방해받는 먹이를 잡으려고 한다.[14] 그들은 주로 딱정벌레, 흰개미, 개미, 지네와 같은 곤충을 먹으며, 를 사용하여 흙에서 파내고 혀로 핥아 먹는다.[15] 그들의 얼굴 형태는 식단을 작은 무척추동물로 제한하며, 다른 Macroscelidea 구성원과는 달리 견과류나 작은 과일과 같은 음식을 보충하지 않는다.[12]

2. 2. 식습관

큰코코끼리땃쥐는 주로 딱정벌레, 흰개미, 개미, 지네와 같은 곤충을 먹이로 삼으며,[15] 를 사용하여 흙에서 파내고 혀로 핥아 먹는다.[15] 이들의 얼굴 형태는 식단을 작은 무척추동물로 제한하며, 다른 Macroscelidea 구성원과는 달리 견과류나 작은 과일과 같은 음식을 보충하지 않는다.[12] 붉은모자울새와 흰가슴알레테는 코끼리땃쥐가 먹이를 찾을 때 종종 따라다니며, 먹이를 찾기 위해 낙엽을 뒤적이는 동안 방해받는 먹이를 잡으려고 한다.[14]

2. 3. 짝짓기

큰코끼리땃쥐는 일부일처제 짝짓기 체계를 가지며, 번식에 대한 부모의 투자는 적다.[12] 암컷이 발정기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짝끼리 함께 시간을 거의 보내지 않는다.[12] 짝짓기는 빠르게 이루어지며 새끼는 빠르게 성장하는데, 이 중 아버지의 역할은 없다.[12]

2. 4. 서식지

큰코코끼리땃쥐는 아프리카 고유종이며, 저지대 산악 및 울창한 숲에 서식한다.[6] 숲 가장자리는 피하는 경향이 있다.[7][8] 이러한 울창한 숲은 은신처와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끼리땃쥐는 주로 낮에 활동하며(주행성), 전날 아침에 지어 놓은 은신처에서 밤을 보낸다.[9] 며칠 밤을 사용한 후에는 다른 곳에 새로운 은신처를 만든다.[9]

이들은 지면에 건조한 낙엽을 이용하여 은신처를 건설하며,[10][11] 흙에 컵 모양의 함몰을 파고 잎으로 층을 이루고 느슨한 잎으로 지붕을 덮는 방식으로 둥지를 만든다.[17] 보통 나무 밑동에 둥지를 짓는다.[17] 포식자를 피해 속이 빈 쓰러진 나무나 통나무를 은신처로 사용하기도 한다.[12] 방해를 받으면 숲 바닥에서 큰 쿵 소리를 내거나, 포식의 경우 반 바운드 보폭으로 빠르게 도망친다.[9]

다른 Macroscelidea 종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일광욕을 하지만,[12] 큰코코끼리땃쥐는 그늘진 수관 숲 환경에 적응하여 일광욕을 하지 않는다.[12]

큰코코끼리땃쥐는 일부일처제 쌍으로 살며, 헥타르 크기의 영역을 방어한다.[13][10] 짝짓기는 빠르게 이루어지며 새끼는 최소한의 부모 투자로 빠르게 성장한다.[12] 이 속은 붉은모자울새와 흰가슴알레테 등 다양한 지상 섭식 조류와 공생 관계를 가지고 있어, 코끼리땃쥐가 먹이를 찾을 때 따라다니며 먹이를 잡는다.[14] 주로 딱정벌레, 흰개미, 개미, 지네와 같은 곤충을 먹으며, 를 사용하여 흙에서 파내고 혀로 핥아 먹는다.[15]

2. 5. 종 식별

각 큰코코끼리땃쥐 종은 뚜렷한 털 무늬와 색상으로 구별된다.[17][16] 더 울창한 숲에 사는 종은 어두운 색과 무늬를, 열린 숲에 사는 종은 더 밝고 체커 무늬를 보인다. ''R. petersi'', ''R. chrysopygus'', ''R. udzungwensis''는 흔적 기관 체커 무늬가 있지만, 어두운 털에 가려져 털 무늬만으로 종을 구분하기는 어렵다.[17][16]

  • ''R. chrysopygus''는 엉덩이에 밝은 노란색 털 뭉치가 있고, 검은색은 거의 없으며, 피부 방패를 가지고 있다.[17]
  • ''R. petersi''는 발, 귀, 꼬리, 가슴, 얼굴에 주로 오렌지색-적갈색 색상을 띠며, 검은색 털은 엉덩이와 허벅지에서 어깨까지 뻗어 있다.[17] ''R. p. adersi'' 아종도 동일한 털을 갖는다.[16]
  • ''R. udzungwensis''는 검은색 발, 귀, 꼬리를 가지며, 얼굴은 회색, 엉덩이 아래쪽과 허벅지는 검은색, 가슴은 옅은 노란색이다.[17]
  • ''R. cirnei''와 그 아종은 등에 6개의 어두운 줄무늬와 반점(체커)이 있다.[17] 검은 털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고, 색상이 더 밝으며, 해안 친척인 ''R. petersi'', ''R. chrysopygus'', ''R. udzungwensis''의 오렌지색-적갈색 색상이 없다.[4] ''R. c. macrurus'' 아종은 해안에서 내륙으로 갈수록 클라인 변이를 보인다 (해안은 더 어둡고 내륙은 더 밝다).[17][18]
  • ''R. stuhlmanni''는 흰색 꼬리를 제외하고 ''R. cirnei''와 유사한 색상과 무늬를 나타낸다.[4] 클라인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어두워지고 서쪽으로 갈수록 밝아진다.[16]

3. 분류 및 진화

큰코끼리땃쥐속(''Rhynchocyon'')의 분류학적 지위는 개체군 간의 유사성 때문에 결정하기 어려웠다. 최대 10종이 인식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4종으로 재분류되었다.[4] 최근에는 아종이 가장 많은 종인 ''R. cirnei''에서 업데이트된 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R. c. stuhlmanni''가 별도의 종인 ''R. stuhlmanni''로 분리되었다.[4]

300px


300px


큰코끼리땃쥐속의 공통 조상은 약 79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19] 그러나 화석 기록은 이보다 더 오래 전인 올리고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9] 케냐의 메스와 다리 화석 유적지에서 발견된 ''Miorhynchocyon meswae/Miorhynchocyon meswaeit''는 2250만 년 전, 탄자니아의 Nsungwe Formation에서 발견된 ''Oligorhynchocyon songwensis/Oligorhynchocyon songwensisit''는 2500만 년 전의 화석이다.[19] Rhynchocyoninae 아과의 다른 화석은 1800만 년에서 2300만 년 사이에 발견된다.[19] 케냐 송고르 화석 유적지에서는 약 2000만 년 전의 ''M. clarki''와 ''M. rusingae''가 발견되었다.[20] 이러한 큰 시간적 격차는 ''M. meswae''와 ''O. songwensis'' 종이 전체 그룹의 줄기 분류군일 가능성을 시사한다.[21] ''Rhynchocyon''의 숲 캐노피와 빽빽한 낙엽 요구 사항 때문에, 마이오세에 초원이 대규모로 확장되면서 숲 환경에 더 잘 적응하도록 선택적 압력을 받았을 수 있다.[21] Rhynchocyonidae 과의 멸종된 속으로는 ''Brevirhynchocyon/Brevirhynchocyonit''과 ''Hypsorhynchocyon''이 있다.[22] ''Eorhynchocyon'' (''E. rupestris'')은 거대한 땃쥐와 유사하지만 ''Elephantulus''와 ''Petrodromus''의 중간 특성을 포함하는 가장 오래된 화석 종이다.[22]

3. 1. 분류

큰코코끼리땃쥐속(''Rhynchocyon'')의 분류학적 지위는 개체군 간의 유사성 때문에 결정하기 어려웠다. 최대 10종이 인식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4종으로 재분류되었다.[4] 최근에는 아종이 가장 많은 종인 ''R. cirnei''에서 업데이트된 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R. c. stuhlmanni''가 별도의 종인 ''R. stuhlmanni''로 분리되었다.[4]

큰코코끼리땃쥐속의 공통 조상은 약 79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19] 그러나 화석 기록은 이보다 더 오래 전인 올리고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9] 케냐의 메스와 다리 화석 유적지에서 발견된 ''Miorhynchocyon meswae/Miorhynchocyon meswaeit''는 2250만 년 전, 탄자니아의 Nsungwe Formation에서 발견된 ''Oligorhynchocyon songwensis/Oligorhynchocyon songwensisit''는 2500만 년 전의 화석이다.[19] Rhynchocyoninae 아과의 다른 화석은 1800만 년에서 2300만 년 사이에 발견된다.[19] 케냐 송고르 화석 유적지에서는 약 2000만 년 전의 ''M. clarki''와 ''M. rusingae''가 발견되었다.[20] 이러한 큰 시간적 격차는 ''M. meswae''와 ''O. songwensis'' 종이 전체 그룹의 줄기 분류군일 가능성을 시사한다.[21] ''Rhynchocyon''의 숲 캐노피와 빽빽한 낙엽 요구 사항 때문에, 마이오세에 초원이 대규모로 확장되면서 숲 환경에 더 잘 적응하도록 선택적 압력을 받았을 수 있다.[21] Rhynchocyonidae 과의 멸종된 속으로는 ''Brevirhynchocyon/Brevirhynchocyonit''과 ''Hypsorhynchocyon''이 있다.[22] ''Eorhynchocyon'' (''E. rupestris'')은 거대한 땃쥐와 유사하지만 ''Elephantulus''와 ''Petrodromus''의 중간 특성을 포함하는 가장 오래된 화석 종이다.[22]

3. 2. 진화

큰코코끼리땃쥐속(''Rhynchocyon'')의 공통 조상은 약 79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19] 그러나 화석 증거는 이보다 더 오래되었음을 보여준다. 케냐의 메스와 다리 화석 유적지에서 발견된 ''미오린코키온/Miorhynchocyonit meswae''는 2250만 년 전, 탄자니아의 Nsungwe Formation에서 발견된 ''올리고린코키온 송웬시스/Oligorhynchocyon songwensisit''는 25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9] Rhynchocyoninae 아과의 다른 화석은 1800만 년에서 2300만 년 사이에 발견된다.[19] 케냐 송고르 화석 유적지에서는 약 2000만 년 전의 ''M. clarki''와 ''M. rusingae''가 발견되었다.[20]

''Rhynchocyon''의 숲 캐노피와 빽빽한 낙엽 요구 사항 때문에, 속의 조상은 마이오세가 초원의 대규모 확장을 경험하면서 숲 환경에 더 잘 적응하도록 선택적 압력을 받았을 수 있다.[21] Rhynchocyonidae 과의 몇몇 다른 멸종된 속으로는 ''브레비린코키온/Brevirhynchocyonit''과 ''Hypsorhynchocyon''이 있다.[22] ''Eorhynchocyon'' (''E. rupestris'')은 거대한 땃쥐와 유사하지만 ''Elephantulus''와 ''Petrodromus''의 중간 특성을 포함하는 가장 오래된 화석 종이다.[22]

속의 분류학적 지위는 개체군 간의 매우 유사한 점 때문에 결정하기 어려웠다. 최대 10종이 인식되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4종으로 재분류되었다.[4]

3. 3. 미해결 분류 문제

다양한 분류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하며, 몇 가지 미결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남아있다.[4]

  • 케냐 북부 개체군은 완전히 새로운 종인가? (아래 참조)
  • ''R. c. hendersoni''는 단순히 ''R. c. reichardi''의 고도에 따른 변종인가?
  • ''R. c. shirensis''는 아종 지위를 가질 가치가 없는, ''R. cirnei''의 작은 변종인가?
  • ''R. c. reichardi''가 다시 완전한 종이 되어야 하는가?
  • ''R. c. macrurus'' (탄자니아 남동부)의 털 무늬, 콩고 분지의 ''R. stuhlmanni'', 그리고 모잠비크와 말라위 남부의 ''R. c. cirnei''와 ''R. c. shirensis'' 간의 유전적 관계는 무엇인가?

3. 3. 1. 케냐 아종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 서열 분석은 케냐의 도도리 국립 보호구역과 보니 국립 보호구역에서 채집된 단일 표본(보니 거대 코끼리땃쥐로 명명됨)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4] 표본 포획, 목격담, 카메라 트랩 이미지 등을 근거로 다른 종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23]

털색 패턴은 ''R. chrysopygus''와 상당히 다르며,[4] 엉덩이에 밝은 노란색 반점이 없다. 또한 ''R. petersi''와 동일한 털색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 보니 거대 코끼리땃쥐는 귀와 꼬리에 짙은 갈색과 검은색 피부를 가지고 있는 반면, ''R. petersi''는 주황색 피부를 가지고 있다. 얼굴은 회황갈색이며, 엉덩이의 검은 털은 ''R. petersi''와 같이 등 중앙까지 확장되지 않는다. 단일 채집된 표본의 무게는 약 600g으로, ''R. udzungwensis''보다 가볍지만 ''R. petersi''보다 무겁다. 또한 눈에 띄는 체커 무늬가 없지만, 어두운 털 패턴은 모든 어두운 색의 거대 코끼리땃쥐에서 이를 가린다.[23] 털색 차이에도 불구하고, 초기 DNA 비교 결과 ''R. chrysopygus''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4] 이후의 DNA 비교 결과는 털색이 다르고 ''R. chrysopygus''와 다른 지역에 분포하기 때문에, 새로운 아종인 ''Rhynchocyon chrysopygus mandelai''로 지정하는 것을 뒷받침했다.[5]

4. 분포

''Rhynchocyon'' 속의 종 및 아종의 지리적 분포.


''R. chrysopygus'', ''R. cirnei'', 그리고 ''R. petersi''는 이소성 분포를 보이며, 최근에 발견된 ''R. udzungwensis''와 아종 ''R. cirnei reichardi''는 근접종 분포를 보인다. mtDNA에 의해 감지된 바와 같이, ''R. udzungwensis''와 ''R. cirnei reichardi'' 사이에서 약간의 유전자 침투 (잡종 형성)가 일어났다. ''R. p. adersi''는 희귀하며 분포가 독특하여 잔지바르 제도의 섬에서 고립되어 발견된다. ''R. c. reichardi''는 일반적으로 탄자니아, 잠비아, 말라위의 열곡지대 고원에서 발견되며, ''R. c. hendersoni''는 말라위 북부의 고원에서 발견된다.

''R. c. hendersoni''와 ''R. c. shirensis''는 ''R. udzungwensis''와 유사하게 더 높은 고도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R. udzungwensis''는 더 큰 몸집으로 독특하다(가장 큰 거대 코끼리땃쥐로 알려짐). 베르그만의 법칙은 기후 및 온도와 같은 특수한 생태학적 요인이 ''R. udzungwensis''와 같은 더 큰 몸집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시사하지만, 나머지 두 종은 이러한 특징을 공유하지 않는다. 비교하자면, ''R. udzungwensis''는 해발 1000미터 이상의 고도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몸무게는 710g, 뇌 무게는 7131mg인 반면, ''R. petersi''는 해발 0~2000미터 사이의 고도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몸무게는 471g, 뇌 무게는 5400mg이다.

개체 수와 밀도 추정치는 다양하며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종의 개체 수 측정이 수행되었다. 보호 구역 내의 ''R. chrysopygus''는 1제곱킬로미터당 약 150마리(약 14,000~20,000마리)이며, ''R. petersi''는 1제곱킬로미터당 19~80마리 사이이다. ''R. udzungwensis''는 약 15,000~24,000마리로 추정된다. ''R. udzungwensis''는 다른 종에 비해 분포 범위가 작지만(Ndundulu–Luho-mero와 Mwanihana 숲의 아산악 및 산악림으로 제한됨) 육지에 서식한다.

종 및 아종 분포 데이터
지역고도 범위(미터)
'Rhynchocyon chrysopygus chrysopygus'케냐(아라부코-소코케 숲)30–360
Rhynchocyon chrysopygus mandelai케냐(보니 국립 보호 구역 및 도도리 국립 보호 구역)
'Rhynchocyon cirnei cirnei'모잠비크(잠베지 강 북쪽); 말라위, 잠비아탄자니아(열곡대 내 고원); 탄자니아(루피지 강 남쪽)0–2100
Rhynchocyon cirnei reichardi탄자니아, 말라위, 잠비아(고원)290–1800
Rhynchocyon cirnei hendersoni말라위 북부(고원)R. udzungwensis와 유사
Rhynchocyon cirnei shirensis/Ukanol (Rhynchocyon cirnei shirensis)avk말라위 남부(샤이어 계곡)R. udzungwensis와 유사
'Rhynchocyon petersi'탄자니아(동 아크 산맥, 서 및 동 우슴바라, 응구루, 응우 울루구루 산맥, 북 및 남 파레 산맥, 그리고 라바이 언덕과 디아니 숲에서 루피지 강까지의 해안 파편화된 숲)0–2020
Rhynchocyon petersi adersi잔지바르 제도(단, 웅구자 섬과 우지 섬) 및 마피아 제도(단, 마피아 섬)미정, 잔지바르와 마피아 섬의 최고 고도인 각각 119미터와 53미터로 제한됨.
'Rhynchocyon stuhlmanni'콩고 민주 공화국(콩고 강우방기 강 사이); 우간다(알베르트 호를 둘러싼 서부 숲, 캄팔라 동쪽의 마비라 중앙 삼림 보호 구역)
'Rhynchocyon udzungwensis'탄자니아의 우중구와 산맥(모로고로 지역의 킬롬베로 구 및 이링가 지역의 킬롤로 구(구체적으로, 내의 Ndundulu-Luhomero와 Mwanihana 숲).350–2300


4. 1. 종별 분포



큰코코끼리땃쥐(''Rhynchocyon'') 속의 각 종과 아종은 특정 지역에 분포하며, 일부는 이소성 또는 근접종 분포를 보인다. ''R. chrysopygus'', ''R. cirnei'', ''R. petersi''는 이소성 분포를 보이며, 최근 발견된 ''R. udzungwensis''와 아종 ''R. cirnei reichardi''는 근접종 분포를 보인다. mtDNA 분석 결과, ''R. udzungwensis''와 ''R. cirnei reichardi'' 사이에서 약간의 유전자 침투(잡종 형성)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R. p. adersi''는 희귀하고 독특한 분포를 보이는데, 잔지바르 제도 섬에서 고립되어 발견된다.

''R. c. reichardi''는 탄자니아, 잠비아, 말라위의 열곡지대 고원에서 주로 발견되며, ''R. c. hendersoni''는 말라위 북부 고원에서 발견된다. ''R. c. hendersoni''와 ''R. c. shirensis''는 ''R. udzungwensis''와 유사하게 더 높은 고도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R. udzungwensis''는 몸집이 더 크다는 특징이 있다(가장 큰 거대 코끼리땃쥐로 알려짐). 베르그만의 법칙은 기후 및 온도와 같은 특수한 생태학적 요인이 ''R. udzungwensis''와 같이 더 큰 몸집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시사하지만, 나머지 두 종은 이러한 특징을 공유하지 않는다. ''R. udzungwensis''는 해발 1000미터 이상의 고도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몸무게는 710g, 뇌 무게는 7131mg인 반면, ''R. petersi''는 해발 0~2000미터 사이의 고도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몸무게는 471g, 뇌 무게는 5400mg이다.

개체 수와 밀도 추정치는 다양하고 결정하기 어렵지만, 종의 개체 수 측정이 수행되었다. 보호 구역 내 ''R. chrysopygus''는 1제곱킬로미터당 약 150마리(약 14,000~20,000마리), ''R. petersi''는 1제곱킬로미터당 19~80마리, ''R. udzungwensis''는 약 15,000~24,000마리로 추정된다. ''R. udzungwensis''는 다른 종에 비해 분포 범위가 작지만(Ndundulu–Luho-mero와 Mwanihana 숲의 아산악 및 산악림으로 제한됨) 육지에 서식한다.

종 및 아종 분포 데이터
지역고도 범위(미터)
'Rhynchocyon chrysopygus chrysopygus'케냐(아라부코-소코케 숲)30–360
Rhynchocyon chrysopygus mandelai케냐(보니 국립 보호 구역 및 도도리 국립 보호 구역)
'Rhynchocyon cirnei cirnei'모잠비크(잠베지 강 북쪽); 말라위, 잠비아탄자니아(열곡대 내 고원); 탄자니아(루피지 강 남쪽)0–2100
Rhynchocyon cirnei reichardi탄자니아, 말라위, 잠비아(고원)290–1800
Rhynchocyon cirnei hendersoni말라위 북부(고원)R. udzungwensis와 유사
Rhynchocyon cirnei shirensis/Ukanol (Rhynchocyon cirnei shirensis)avk말라위 남부(샤이어 계곡)R. udzungwensis와 유사
'Rhynchocyon petersi'탄자니아(동 아크 산맥, 서 및 동 우슴바라, 응구루, 응우 울루구루 산맥, 북 및 남 파레 산맥, 그리고 라바이 언덕과 디아니 숲에서 루피지 강까지의 해안 파편화된 숲)0–2020
Rhynchocyon petersi adersi잔지바르 제도(단, 웅구자 섬과 우지 섬) 및 마피아 제도(단, 마피아 섬)미정, 잔지바르와 마피아 섬의 최고 고도인 각각 119미터와 53미터로 제한됨.
'Rhynchocyon stuhlmanni'콩고 민주 공화국(콩고 강우방기 강 사이); 우간다(알베르트 호를 둘러싼 서부 숲, 캄팔라 동쪽의 마비라 중앙 삼림 보호 구역)
'Rhynchocyon udzungwensis'탄자니아의 우중구와 산맥(모로고로 지역의 킬롬베로 구 및 이링가 지역의 킬롤로 구(구체적으로, 내의 Ndundulu-Luhomero와 Mwanihana 숲).350–2300


4. 2. 서식지 특징

큰코코끼리땃쥐는 주로 숲에 서식하며, 종에 따라 선호하는 고도와 서식지 유형이 다르다. ''R. chrysopygus''는 1제곱킬로미터당 약 150마리, ''R. petersi''는 1제곱킬로미터당 19~80마리 정도 서식한다. ''R. udzungwensis''는 약 15,000~24,000마리로 추정되며, 다른 종에 비해 분포 범위가 좁지만 육지에 서식한다.

''Rhynchocyon'' 속의 종 및 아종은 지리적 분포가 다양하다. ''R. chrysopygus'', ''R. cirnei'', ''R. petersi''는 이소성 분포를 보이며, ''R. udzungwensis''와 아종 ''R. cirnei reichardi''는 근접종 분포를 보인다. ''R. c. reichardi''는 탄자니아, 잠비아, 말라위의 열곡지대 고원에서, ''R. c. hendersoni''는 말라위 북부 고원에서 발견된다.

''R. c. hendersoni''와 ''R. c. shirensis''는 ''R. udzungwensis''와 유사하게 더 높은 고도에서 발견되지만, ''R. udzungwensis''는 몸집이 더 크다. ''R. udzungwensis''는 해발 1000미터 이상에서 주로 발견되며 몸무게는 710g, 뇌 무게는 7131mg인 반면, ''R. petersi''는 해발 0~2000미터 사이에서 발견되며 몸무게는 471g, 뇌 무게는 5400mg이다.

종 및 아종 분포 데이터
지역고도 범위(미터)
'Rhynchocyon chrysopygus chrysopygus'케냐(아라부코-소코케 숲)30–360
Rhynchocyon chrysopygus mandelai케냐(보니 국립 보호 구역 및 도도리 국립 보호 구역)
'Rhynchocyon cirnei cirnei'모잠비크(잠베지강 북쪽); 말라위, 잠비아탄자니아(열곡대 내 고원); 탄자니아(루피지강 남쪽)0–2100
Rhynchocyon cirnei reichardi탄자니아, 말라위, 잠비아(고원)290–1800
Rhynchocyon cirnei hendersoni말라위 북부(고원)R. udzungwensis와 유사
Rhynchocyon cirnei shirensis/Ukanol (Rhynchocyon cirnei shirensis)avk말라위 남부(샤이어 계곡)R. udzungwensis와 유사
'Rhynchocyon petersi'탄자니아(동 아크 산맥, 서 및 동 우슴바라, 응구루, 응우 울루구루 산맥, 북 및 남 파레 산맥, 그리고 라바이 언덕과 디아니 숲에서 루피지강까지의 해안 파편화된 숲)0–2020
Rhynchocyon petersi adersi잔지바르 제도(단, 웅구자 섬과 우지 섬) 및 마피아 제도(단, 마피아 섬)잔지바르와 마피아 섬의 최고 고도인 각각 119미터와 53미터로 제한됨.
'Rhynchocyon stuhlmanni'콩고 민주 공화국(콩고강우방기강 사이); 우간다(알베르트 호를 둘러싼 서부 숲, 캄팔라 동쪽의 마비라 중앙 삼림 보호 구역)
'Rhynchocyon udzungwensis'탄자니아의 우중구와 산맥(모로고로 지역의 킬롬베로 구 및 이링가 지역의 킬롤로 구(구체적으로, 내의 Ndundulu-Luhomero와 Mwanihana 숲).350–2300


5. 위협과 보존

큰코코끼리땃쥐 속의 모든 종은 서식지 파괴(주로 산림 벌채)로 위협받고 있다.[3][12][16][42] 인간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는 숲의 국립공원과 자연 보호 구역을 조각나게 만들었다.[3][12][16][42] 이로 인해 보호 구역의 법적 보호 수준이 고르지 않고 가변적이게 되었다.[3][12][16][42]

300px


''Rhynchocyon chrysopygus''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포가 매우 제한적이다. 주로 아라부코-소코케 숲에 서식하며, 아라부코-소코케 숲과 몸바사 사이의 조각나고 단편적인 숲에도 서식한다.[2] 아라부코-소코케 숲은 395.4 km2의 적합한 서식지를 제공하며, 30 km2의 비 숲, 고립된 관목 및 황폐화된 숲 조각에서 추가로 이용 가능하다.[7] 1993년과 1996년 사이에 ''R. chrysopygus'' 개체수는 20,000마리에서 14,000마리로 감소했다.[32] 작은 숲 조각은 농업 개간, 나무 수확, 화재로 인해 ''R. chrysopygus''를 국지적 멸종의 더 큰 위험에 빠뜨린다.[2] 2008년에 한 조각 개체군을 평가한 결과 20마리만 남았다.[33]

''R. chrysopygus''는 원래 몸바사에서 타나 강까지 이어지는 중단 없는 해안 숲에 서식했지만, 80%가 산림 벌채되었으며, 아라부코-소코케 숲만이 가장 큰 부분으로 남아 있다.[7] ''R. chrysopygus''는 약 328 km2를 사용하며, 숲 가장자리에 가까워질수록 존재와 활동이 감소한다.[7] 이 숲에는 ''Cynometra'' 덤불, ''Brachystegia'' 숲, 혼합 숲(Afzelia quanzensisla, 심하게 벌목된 나무 종[34]이 지배적)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서식지가 존재한다.[7] ''R. chrysopygus''는 ''Cynometra'' 숲과 ''A. quanzensis''가 풍부하게 유지된 혼합 숲을 선호한다.[7]

숲 감소로 인해 ''R. chrysopygus''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나무를 제거하면 나무 줄기 구멍, 두꺼운 낙엽, 덮인 수관이 제거된다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생존과 번식에 매우 중요하다.[35] 이러한 요인들은 사냥 및 생계형 덫과 함께[36] IUCN에서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된 이유이다.[2] 인간이 유발하는 압력은 감소하지 않았으며, 지속적인 벌목, 사냥, 심지어 2015년 숲 일부에서 화석 연료를 추출하려는 제안까지 있었다.[7][37]

IUCN 적색 목록에 ''R. chrysopygus''가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됨에 따라, 센기를 3년 동안 모니터링한 아라부코-소코케 숲에 대한 2002–2027 전략 계획이 개발되었다.[2] 이 숲은 산림부와 케냐 야생동물 관리국이 관리하며, 해안 숲 보존 부대의 노력의 일환으로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2] 이 지정은 인간의 침입과 개발을 막지만, 그 안의 생물 다양성을 반드시 보호하지는 않는다.[2]

''Rhynchocyon cirnei''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되어 있지만,[28] 다양한 아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한적이다. 분포 지도는 부정확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는 이 종이 고립된 산림 지역, 저지대 숲, 폐쇄된 수관이 있는 숲, 그리고 하천가 덤불에 국한되어 서식하기 때문이다.[28] 모잠비크에서는 실제로 작고 적합한 숲 지역에서만 발견된다.[38]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단 하나의 ''R. cirnei'' 표본(기술적으로는 현재 ''Rhynchocyon stuhlmanni'')이 우방기 강 서쪽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과장된 분포를 나타낸다.[28] 동아크 산맥 내에서의 분포는 단편적이며, 숲 면적 감소, 단편화, 그리고 인간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질 저하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28]

''R. c. macrurus''는 인간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탄자니아 해안 지역을 따라 더 제한된 범위에 서식하기 때문에 더 큰 위험에 처해 있다.[28] 룽궤 산 개체군(기술적으로는 ''R. c. reichardi'')은 이 지역의 사냥 증가로 인해 특히 위험하다.[39] 우려되는 개체군 중 하나는 캄팔라 동쪽 마비라 숲에 서식하는 ''R. cirnei''(기술적으로는 현재 ''R. stuhlmanni'') 개체들의 극도로 작고 고립된 서식지이다.[28] 이 숲은 300 km2에 불과하며, 보호 구역의 상당 부분을 벌채하려는 계획으로 인해 정치적 논란의 초점이 되었다.[40] 이 종에 대한 구체적인 보존 노력은 없지만, 서식지 전역의 다양한 보호 구역에서 발견된다.[28] 영양 및 영장류 보호 보존 노력은 ''R. cirnei''에게 의도치 않은 혜택을 줄 가능성이 있다.[28]

''Rhynchocyon petersi''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되어 있지만,[29] 이 종의 분포는 인간으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로 인해 숲 조각, 공원 및 보호 구역의 모자이크가 생성되어 불연속적이다.[3] 이러한 복잡한 분포로 인해 많은 숲 조각들이 조사가 되지 않아 서식 여부가 불분명하며, 특히 보호되지 않은 해안 숲 조각의 경우 더욱 그렇다.[3] 주목할 만하고 잘 조사된 숲은 숲에서 보호되는 숲이다(표 2 참조).[3] 이러한 보호된 숲 조각 사이에는 부적합한 서식지가 존재한다.[3] 해안 숲 지역 조각은 극심한 서식지 황폐화와 나머지 숲 조각의 심각한 고립으로 인해 특히 부적합하다.[41] 몇 가지 해안 숲의 예외가 있다. 셀루스 게임 보호구역과 사다니 국립공원은 ''R. petersi''가 흔히 발견되는 잘 관리된 보호 구역이며, 특히 사다니 내 20 km2의 자라닝게 숲에서 흔히 발견된다.[29] 숲 단편화가 ''R. petersi''의 가장 큰 위협이므로, 보존은 이 과정의 지역적 동인인 농업 확장과 장작, 숯 생산, 목각을 위한 벌목에 초점을 맞춘다.[29] 사냥 또한 개체수 감소에 작은 역할을 하지만,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29] ''R. petersi''는 동물원에서 성공적으로 번식하여 번식 및 재도입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29]

표 2: 동부 아크 산맥 ''Rhynchocyon petersi'' 서식 조사 데이터[3]
산맥조사된 보호 구역미조사 보호 구역
사우스 파레 산맥초메 숲 보호구역참보고, 퀴주
노스 파레 산맥캄왈라 II, 킨도로코, 민자, 므람바키베렝게
서부 우삼바라 산맥마감바, 암방굴루샤구야, 므쿠수, 바가 II, 은델레마이, 마피 힐, 방갈라이
동부 우삼바라 산맥닐로, 밤바 능선, 캄바이, 콰마림바, 콸구미, 망가, 므감보, 므타이, 세고마롱구자 사우스, 봄보 웨스트
응구 산맥응구 노스, 킬린디데레마, 므쿨리, 푸밀라, 루데와
응구 산맥응구 사우스, 강가, 므킨도
울루구루 산맥울루구루 노스, 울루구루 사우스, 므캉가지루부
R. petersi는 타이타 힐스, 또는 마헨게 산맥, 마룬드웨 산맥, 우카구루 산맥, 루베호 산맥, 우드중와 산맥 및 관련 숲 조각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Rhynchocyon udzungwensis'' 분포도


''Rhynchocyon udzungwensis''는 탄자니아 모로고로주 킬롬베로구와 이링가주 킬로로구의 우중구와 산맥에서만 발견된다. 두 개의 숲(Ndundulu-Luhomero와 Mwanihana)은 우중구와 산 국립공원과 킬롬베로 자연 보호구역 내에 위치해 있다.[42]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된 ''R. udzungwensis''는 약 810 km2의 매우 제한적이고 작은 지리적 범위를 가지고 있다.[31] 분포 지역이 두 곳(Ndundulu-Luhomero 숲과 Mwanihana 숲)에 있기 때문에 적합한 서식지는 390 km2에 불과하며,[42] 두 숲 사이의 25 km 지역은 덜 적합한 초원 숲이다.[31] 우중구와 산맥 전체가 보호되는 것은 아니며,[43] 이로 인해 ''R. udzungwensis''는 인간의 압력으로부터 더 큰 위험에 직면해 있다.[42] 이 종이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은 필요한 습한 산지 숲의 손실을 유발하는 통제되지 않은 산불이다.[31] 1970년에서 2000년 사이에 Ndundulu-Luhomero 숲의 2.71%가 감소했고, Mwanihana 숲에서는 0.51%가 손실되었다.[31] 두 숲 사이의 땅 또한 심하게 훼손되었으며, 인간이 일으킨 화재가 서식지 손실의 가장 큰 원인이다.[31] 헤헤족은 ''R. cirnei''를 식량으로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44] ''R. udzungwensis''를 사냥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31] 주변 지역의 인구 증가로 인해 미래의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45] 두 숲이 우중구와 산 국립공원과 킬롬베로 자연 보호구역 내에 완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R. udzungwensis''는 식용 및 거래로부터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자금 지원이 부족하고 레인저의 감시가 제한적이다.[31] 이 공원은 관리 계획 예산의 일환으로 교육 프로그램(outreach program)을 운영하고 있다.[31]

5. 1. 위협 요인

큰코코끼리땃쥐 속의 모든 종은 서식지 파괴(주로 산림 벌채)로 위협받고 있다.[3][12][16][42] 인간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는 숲의 국립공원과 자연 보호 구역을 조각나게 만들었다.[3][12][16][42] 이로 인해 보호 구역의 법적 보호 수준이 고르지 않고 가변적이게 되었다.[3][12][16][42]

5. 2. 종별 보존 현황



''R. chrysopygus''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포가 매우 제한적이다. 주로 아라부코-소코케 숲에 서식하며, 아라부코-소코케 숲과 몸바사 사이의 조각나고 단편적인 숲에도 서식한다.[2] 아라부코-소코케 숲은 395.4 km2의 적합한 서식지를 제공하며, 30 km2의 비 숲, 고립된 관목 및 황폐화된 숲 조각에서 추가로 이용 가능하다.[7] 1993년과 1996년 사이에 ''R. chrysopygus'' 개체수는 20,000마리에서 14,000마리로 감소했다.[32] 작은 숲 조각은 농업 개간, 나무 수확, 화재로 인해 ''R. chrysopygus''를 국지적 멸종의 더 큰 위험에 빠뜨린다.[2] 2008년에 한 조각 개체군을 평가한 결과 20마리만 남았다.[33]

''R. chrysopygus''는 원래 몸바사에서 타나 강까지 이어지는 중단 없는 해안 숲에 서식했지만, 80%가 산림 벌채되었으며, 아라부코-소코케 숲만이 가장 큰 부분으로 남아 있다.[7] ''R. chrysopygus''는 약 328 km2를 사용하며, 숲 가장자리에 가까워질수록 존재와 활동이 감소한다.[7] 이 숲에는 ''Cynometra'' 덤불, ''Brachystegia'' 숲, 혼합 숲(Afzelia quanzensisla, 심하게 벌목된 나무 종[34]이 지배적)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서식지가 존재한다.[7] ''R. chrysopygus''는 ''Cynometra'' 숲과 ''A. quanzensis''가 풍부하게 유지된 혼합 숲을 선호한다.[7]

숲 감소로 인해 ''R. chrysopygus''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나무를 제거하면 나무 줄기 구멍, 두꺼운 낙엽, 덮인 수관이 제거된다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생존과 번식에 매우 중요하다.[35] 이러한 요인들은 사냥 및 생계형 덫과 함께[36] IUCN에서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된 이유이다.[2] 인간이 유발하는 압력은 감소하지 않았으며, 지속적인 벌목, 사냥, 심지어 2015년 숲 일부에서 화석 연료를 추출하려는 제안까지 있었다.[7][37]

IUCN 적색 목록에 ''R. chrysopygus''가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됨에 따라, 센기를 3년 동안 모니터링한 아라부코-소코케 숲에 대한 2002–2027 전략 계획이 개발되었다.[2] 이 숲은 산림부와 케냐 야생동물 관리국이 관리하며, 해안 숲 보존 부대의 노력의 일환으로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2] 이 지정은 인간의 침입과 개발을 막지만, 그 안의 생물 다양성을 반드시 보호하지는 않는다.[2]

''R. cirnei''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되어 있지만,[28] 다양한 아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한적이다. 분포 지도는 부정확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는 이 종이 고립된 산림 지역, 저지대 숲, 폐쇄된 수관이 있는 숲, 그리고 하천가 덤불에 국한되어 서식하기 때문이다.[28] 모잠비크에서는 실제로 작고 적합한 숲 지역에서만 발견된다.[38]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단 하나의 ''R. cirnei'' 표본(기술적으로는 현재 ''R. stuhlmanni'')이 우방기 강 서쪽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과장된 분포를 나타낸다.[28] 동아크 산맥 내에서의 분포는 단편적이며, 숲 면적 감소, 단편화, 그리고 인간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질 저하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28]

''R. c. macrurus''는 인간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탄자니아 해안 지역을 따라 더 제한된 범위에 서식하기 때문에 더 큰 위험에 처해 있다.[28] 룽궤 산 개체군(기술적으로는 ''R. c. reichardi'')은 이 지역의 사냥 증가로 인해 특히 위험하다.[39] 우려되는 개체군 중 하나는 캄팔라 동쪽 마비라 숲에 서식하는 ''R. cirnei''(기술적으로는 현재 ''R. stuhlmanni'') 개체들의 극도로 작고 고립된 서식지이다.[28] 이 숲은 300 km2에 불과하며, 보호 구역의 상당 부분을 벌채하려는 계획으로 인해 정치적 논란의 초점이 되었다.[40] 이 종에 대한 구체적인 보존 노력은 없지만, 서식지 전역의 다양한 보호 구역에서 발견된다.[28] 영양 및 영장류 보호 보존 노력은 ''R. cirnei''에게 의도치 않은 혜택을 줄 가능성이 있다.[28]

''R. petersi''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되어 있지만,[29] 이 종의 분포는 인간으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로 인해 숲 조각, 공원 및 보호 구역의 모자이크가 생성되어 불연속적이다.[3] 이러한 복잡한 분포로 인해 많은 숲 조각들이 조사가 되지 않아 서식 여부가 불분명하며, 특히 보호되지 않은 해안 숲 조각의 경우 더욱 그렇다.[3] 주목할 만하고 잘 조사된 숲은 숲에서 보호되는 숲이다(표 2 참조).[3] 이러한 보호된 숲 조각 사이에는 부적합한 서식지가 존재한다.[3] 해안 숲 지역 조각은 극심한 서식지 황폐화와 나머지 숲 조각의 심각한 고립으로 인해 특히 부적합하다.[41] 몇 가지 해안 숲의 예외가 있다. 셀루스 게임 보호구역과 사다니 국립공원은 ''R. petersi''가 흔히 발견되는 잘 관리된 보호 구역이며, 특히 사다니 내 20 km2의 자라닝게 숲에서 흔히 발견된다.[29] 숲 단편화가 ''R. petersi''의 가장 큰 위협이므로, 보존은 이 과정의 지역적 동인인 농업 확장과 장작, 숯 생산, 목각을 위한 벌목에 초점을 맞춘다.[29] 사냥 또한 개체수 감소에 작은 역할을 하지만,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29] ''R. petersi''는 동물원에서 성공적으로 번식하여 번식 및 재도입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29]

표 2: 동부 아크 산맥 ''Rhynchocyon petersi'' 서식 조사 데이터[3]
산맥조사된 보호 구역미조사 보호 구역
사우스 파레 산맥초메 숲 보호구역참보고, 퀴주
노스 파레 산맥캄왈라 II, 킨도로코, 민자, 므람바키베렝게
서부 우삼바라 산맥마감바, 암방굴루샤구야, 므쿠수, 바가 II, 은델레마이, 마피 힐, 방갈라이
동부 우삼바라 산맥닐로, 밤바 능선, 캄바이, 콰마림바, 콸구미, 망가, 므감보, 므타이, 세고마롱구자 사우스, 봄보 웨스트
응구 산맥응구 노스, 킬린디데레마, 므쿨리, 푸밀라, 루데와
응구 산맥응구 사우스, 강가, 므킨도
울루구루 산맥울루구루 노스, 울루구루 사우스, 므캉가지루부
R. petersi는 타이타 힐스, 또는 마헨게 산맥, 마룬드웨 산맥, 우카구루 산맥, 루베호 산맥, 우드중와 산맥 및 관련 숲 조각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Rhynchocyon udzungwensis''는 탄자니아 모로고로주 킬롬베로구와 이링가주 킬로로구의 우중구와 산맥에서만 발견된다. 두 개의 숲(Ndundulu-Luhomero와 Mwanihana)은 우중구와 산 국립공원과 킬롬베로 자연 보호구역 내에 위치해 있다.[42]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된 ''R. udzungwensis''는 약 810 km2의 매우 제한적이고 작은 지리적 범위를 가지고 있다.[31] 분포 지역이 두 곳(Ndundulu-Luhomero 숲과 Mwanihana 숲)에 있기 때문에 적합한 서식지는 390 km2에 불과하며,[42] 두 숲 사이의 25 km 지역은 덜 적합한 초원 숲이다.[31] 우중구와 산맥 전체가 보호되는 것은 아니며,[43] 이로 인해 ''R. udzungwensis''는 인간의 압력으로부터 더 큰 위험에 직면해 있다.[42] 이 종이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은 필요한 습한 산지 숲의 손실을 유발하는 통제되지 않은 산불이다.[31] 1970년에서 2000년 사이에 Ndundulu-Luhomero 숲의 2.71%가 감소했고, Mwanihana 숲에서는 0.51%가 손실되었다.[31] 두 숲 사이의 땅 또한 심하게 훼손되었으며, 인간이 일으킨 화재가 서식지 손실의 가장 큰 원인이다.[31] 헤헤족은 ''R. cirnei''를 식량으로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44] ''R. udzungwensis''를 사냥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31] 주변 지역의 인구 증가로 인해 미래의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45] 두 숲이 우중구와 산 국립공원과 킬롬베로 자연 보호구역 내에 완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R. udzungwensis''는 식용 및 거래로부터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자금 지원이 부족하고 레인저의 감시가 제한적이다.[31] 이 공원은 관리 계획 예산의 일환으로 교육 프로그램(outreach program)을 운영하고 있다.[31]

5. 2. 1. Rhynchocyon chrysopygus



''R. chrysopygus''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포가 매우 제한적이다. 주로 아라부코-소코케 숲에 서식하며, 아라부코-소코케 숲과 몸바사 사이의 조각나고 단편적인 숲에도 서식한다.[2] 아라부코-소코케 숲은 395.4 km2의 적합한 서식지를 제공하며, 30 km2의 비 숲, 고립된 관목 및 황폐화된 숲 조각에서 추가로 이용 가능하다.[7] 1993년과 1996년 사이에 ''R. chrysopygus'' 개체수는 20,000마리에서 14,000마리로 감소했다.[32] 작은 숲 조각은 농업 개간, 나무 수확, 화재로 인해 ''R. chrysopygus''를 국지적 멸종의 더 큰 위험에 빠뜨린다.[2] 2008년에 한 조각 개체군을 평가한 결과 20마리만 남았다.[33]

''R. chrysopygus''는 원래 몸바사에서 타나 강까지 이어지는 중단 없는 해안 숲에 서식했지만, 80%가 산림 벌채되었으며, 아라부코-소코케 숲만이 가장 큰 부분으로 남아 있다.[7] ''R. chrysopygus''는 약 328 km2를 사용하며, 숲 가장자리에 가까워질수록 존재와 활동이 감소한다.[7] 이 숲에는 ''Cynometra'' 덤불, ''Brachystegia'' 숲, 혼합 숲(Afzelia quanzensisla, 심하게 벌목된 나무 종[34]이 지배적)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서식지가 존재한다.[7] ''R. chrysopygus''는 ''Cynometra'' 숲과 ''A. quanzensis''가 풍부하게 유지된 혼합 숲을 선호한다.[7]

숲 감소로 인해 ''R. chrysopygus''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나무를 제거하면 나무 줄기 구멍, 두꺼운 낙엽, 덮인 수관이 제거된다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생존과 번식에 매우 중요하다.[35] 이러한 요인들은 사냥 및 생계형 덫과 함께[36] IUCN에서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된 이유이다.[2] 인간이 유발하는 압력은 감소하지 않았으며, 지속적인 벌목, 사냥, 심지어 2015년 숲 일부에서 화석 연료를 추출하려는 제안까지 있었다.[7][37]

IUCN 적색 목록에 ''R. chrysopygus''가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됨에 따라, 센기를 3년 동안 모니터링한 아라부코-소코케 숲에 대한 2002–2027 전략 계획이 개발되었다.[2] 이 숲은 산림부와 케냐 야생동물 관리국이 관리하며, 해안 숲 보존 부대의 노력의 일환으로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2] 이 지정은 인간의 침입과 개발을 막지만, 그 안의 생물 다양성을 반드시 보호하지는 않는다.[2]

5. 2. 2. Rhynchocyon cirnei (and R. stuhlmanni)

''R. cirnei''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되어 있지만,[28] 다양한 아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한적이다. 분포 지도는 부정확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는 이 종이 고립된 산림 지역, 저지대 숲, 폐쇄된 수관이 있는 숲, 그리고 하천가 덤불에 국한되어 서식하기 때문이다.[28] 모잠비크에서는 실제로 작고 적합한 숲 지역에서만 발견된다.[38]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단 하나의 ''R. cirnei'' 표본(기술적으로는 현재 ''R. stuhlmanni'')이 우방기 강 서쪽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과장된 분포를 나타낸다.[28] 동아크 산맥 내에서의 분포는 단편적이며, 숲 면적 감소, 단편화, 그리고 인간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질 저하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28]

''R. c. macrurus''는 인간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탄자니아 해안 지역을 따라 더 제한된 범위에 서식하기 때문에 더 큰 위험에 처해 있다.[28] 룽궤 산 개체군(기술적으로는 ''R. c. reichardi'')은 이 지역의 사냥 증가로 인해 특히 위험하다.[39] 우려되는 개체군 중 하나는 캄팔라 동쪽 마비라 숲에 서식하는 ''R. cirnei''(기술적으로는 현재 ''R. stuhlmanni'') 개체들의 극도로 작고 고립된 서식지이다.[28] 이 숲은 300 km2에 불과하며, 보호 구역의 상당 부분을 벌채하려는 계획으로 인해 정치적 논란의 초점이 되었다.[40] 이 종에 대한 구체적인 보존 노력은 없지만, 서식지 전역의 다양한 보호 구역에서 발견된다.[28] 영양 및 영장류 보호 보존 노력은 ''R. cirnei''에게 의도치 않은 혜택을 줄 가능성이 있다.[28]

5. 2. 3. Rhynchocyon petersi

''R. petersi''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되어 있지만,[29] 이 종의 분포는 인간으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로 인해 숲 조각, 공원 및 보호 구역의 모자이크가 생성되어 불연속적이다.[3] 이러한 복잡한 분포로 인해 많은 숲 조각들이 조사가 되지 않아 서식 여부가 불분명하며, 특히 보호되지 않은 해안 숲 조각의 경우 더욱 그렇다.[3] 주목할 만하고 잘 조사된 숲은 숲에서 보호되는 숲이다(표 2 참조).[3] 이러한 보호된 숲 조각 사이에는 부적합한 서식지가 존재한다.[3] 해안 숲 지역 조각은 극심한 서식지 황폐화와 나머지 숲 조각의 심각한 고립으로 인해 특히 부적합하다.[41] 몇 가지 해안 숲의 예외가 있다. 셀루스 게임 보호구역과 사다니 국립공원은 ''R. petersi''가 흔히 발견되는 잘 관리된 보호 구역이며, 특히 사다니 내 20 km2의 자라닝게 숲에서 흔히 발견된다.[29] 숲 단편화가 ''R. petersi''의 가장 큰 위협이므로, 보존은 이 과정의 지역적 동인인 농업 확장과 장작, 숯 생산, 목각을 위한 벌목에 초점을 맞춘다.[29] 사냥 또한 개체수 감소에 작은 역할을 하지만,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29] ''R. petersi''는 동물원에서 성공적으로 번식하여 번식 및 재도입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29]

표 2: 동부 아크 산맥 ''Rhynchocyon petersi'' 서식 조사 데이터[3]
산맥조사된 보호 구역미조사 보호 구역
사우스 파레 산맥초메 숲 보호구역참보고, 퀴주
노스 파레 산맥캄왈라 II, 킨도로코, 민자, 므람바키베렝게
서부 우삼바라 산맥마감바, 암방굴루샤구야, 므쿠수, 바가 II, 은델레마이, 마피 힐, 방갈라이
동부 우삼바라 산맥닐로, 밤바 능선, 캄바이, 콰마림바, 콸구미, 망가, 므감보, 므타이, 세고마롱구자 사우스, 봄보 웨스트
응구 산맥응구 노스, 킬린디데레마, 므쿨리, 푸밀라, 루데와
응구 산맥응구 사우스, 강가, 므킨도
울루구루 산맥울루구루 노스, 울루구루 사우스, 므캉가지루부
R. petersi는 타이타 힐스, 또는 마헨게 산맥, 마룬드웨 산맥, 우카구루 산맥, 루베호 산맥, 우드중와 산맥 및 관련 숲 조각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5. 2. 4. Rhynchocyon udzungwensis

''Rhynchocyon udzungwensis''는 탄자니아 모로고로주 킬롬베로구와 이링가주 킬로로구의 우중구와 산맥에서만 발견된다. 두 개의 숲(Ndundulu-Luhomero와 Mwanihana)은 우중구와 산 국립공원과 킬롬베로 자연 보호구역 내에 위치해 있다.[42]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된 ''R. udzungwensis''는 약 810 km2의 매우 제한적이고 작은 지리적 범위를 가지고 있다.[31] 분포 지역이 두 곳(Ndundulu-Luhomero 숲과 Mwanihana 숲)에 있기 때문에 적합한 서식지는 390 km2에 불과하며,[42] 두 숲 사이의 25 km 지역은 덜 적합한 초원 숲이다.[31] 우중구와 산맥 전체가 보호되는 것은 아니며,[43] 이로 인해 ''R. udzungwensis''는 인간의 압력으로부터 더 큰 위험에 직면해 있다.[42] 이 종이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은 필요한 습한 산지 숲의 손실을 유발하는 통제되지 않은 산불이다.[31] 1970년에서 2000년 사이에 Ndundulu-Luhomero 숲의 2.71%가 감소했고, Mwanihana 숲에서는 0.51%가 손실되었다.[31] 두 숲 사이의 땅 또한 심하게 훼손되었으며, 인간이 일으킨 화재가 서식지 손실의 가장 큰 원인이다.[31] 헤헤족은 ''R. cirnei''를 식량으로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44] ''R. udzungwensis''를 사냥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31] 주변 지역의 인구 증가로 인해 미래의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45] 두 숲이 우중구와 산 국립공원과 킬롬베로 자연 보호구역 내에 완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R. udzungwensis''는 식용 및 거래로부터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자금 지원이 부족하고 레인저의 감시가 제한적이다.[31] 이 공원은 관리 계획 예산의 일환으로 교육 프로그램(outreach program)을 운영하고 있다.[31]

참조

[1] 간행물 MSW3 Macroscelidea
[2] 웹사이트 'Rhynchocyon chrysopygus' 2015
[3] 논문 The distribution of the genus ''Rhynchocyon'' in the Eastern Arc Mountains, with an emphasis on the Black-and-rufous Sengi, ''Rhynchocyon petersi''
[4] 논문 Reconstructing the molecular phylogeny of giant sengis (Macroscelidea; Macroscelididae; ''Rhynchocyon'')
[5] 논문 A new subspecies of giant sengi (Macroscelidea: Rhynchocyon) from coastal Kenya
[6] 서적 Elephant-shrews, Order Macroscelidea Facts on File Publications
[7] 논문 Habitat use of the endangered golden-rumped sengi Rhynchocyon chrysopygus
[8] 논문 Estimating Species Richness and Modelling Habitat Preferences of Tropical Forest Mammals from Camera Trap Data
[9] 논문 Rhynchocyon chrysopygus
[10] 논문 The social structure and ecology of elephant-shrews
[11] 논문 Notes on the ecology and status of some forest mammals in four Eastern Arc Mountains
[12] 논문 Why is there discordant diversity in sengi (Mammalia: Afrotheria: Macroscelidea) taxonomy and ecology?
[13] 논문 Surveying ''Rhynchocyon'' elephant-shrews in tropical forest
[14] 논문 Two ant-following bird species forage with three giant sengi (''Rhynchocyon'') species in East Africa
[15] 서적 The Kingdon Field Guide to African Mammals Academic Press 1997
[16] 논문 Identifying the different forms of giant sengi (''Rhynchocyon'') based on external colour patterns https://sengis.org/p[...]
[17] 논문 A new species of giant sengi or elephant-shrew (genus Rhynchocyon) highlights the exceptional biodiversity of the Udzungwa Mountains of Tanzania
[18] 문서 A revision of the elephant-shrews, family Macroscelididae
[19] 논문 Recommended fossil calibrators for time-scaled molecular phylogenies of Afrotheria
[20] 논문 Macroscelideans (Myohyracinae and Rhynchocyoninae) from the late Oligocene Nsungwe formation of the Rukwa Rift Basin, southwestern Tanzania
[21] 논문 New records of a lost species and a geographic range expansion for sengis in the Horn of Africa
[22] 논문 Micro-cursorial mammals from the late Eocene tufas at Eocliff, Namibia https://www.mme.gov.[...]
[23] 논문 Sengi (Elephant-Shrew) Observations from Northern Coastal Kenya
[24]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the Grey-Faced Sengi, ''Rhynchocyon udzungwensis'', from Tanzania: A Molecular and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Approach
[25] 논문 Conservation issues and strategies for elephant-shrews
[26] 논문 Brain Volume of the Newly-Discovered Species ''Rhynchocyon udzungwensis'' (Mammalia: Afrotheria: Macroscelidea): Implications for Encephalization in Sengis
[27] 논문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the golden-rumped elephant-shrew Rhynchocyon chrysopygus in Kenyan coastal forests
[28] 웹사이트 'Rhynchocyon cirnei' 2024-04-17
[29] 웹사이트 'Rhynchocyon petersi' 2024-04-17
[30] 논문 Mammals of Mafia Island, Tanzania
[31] 웹사이트 'Rhynchocyon udzungwensis' 2024-04-17
[32] 논문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the golden-rumped elephant-shrew ''Rhynchocyon chryopygus'' in Kenyan coastal forests
[33] 문서 Assessment of the range and population of golden-rumped elephant-shrew (''Rhynchocyon chrysopygus'') in the northern coastal forests of Kenya
[34] 서적 Important Bird Areas in Kenya East Africa Natural History Society
[35] 서적 Golden-rumped Elephant-shrew Greenwood Press
[36] 논문 Surveying Rhynchocyon elephant-shrews in tropical forest
[37] 논문 An update on Arabuko-Sokoke Forest, Kenya
[38] 논문 The Taxonomic Status of Giant Sengis (Genus Rhynchocyon) in Mozambique
[39] 논문 Importance, cause and effect of bushmeat hunting in the Udzungwa Mountains, Tanzania: implications for community based wildlife management
[40] 간행물 Conservationists work to restore last remnant of a once-great Ugandan forest https://news.mongaba[...] Mongabay 2023-08-25
[41] 논문 Two decades of change in state, pressure and conservation responses in the coastal forest biodiversity hotspot of Tanzania
[42] 논문 Distribution, occupancy, and habitat associations of the gray-faced sengi (''Rhynchocyon udzungwensis'') as revealed by camera traps
[43] 논문 Hunting or habitat degradation? Decline of primate populations in Udzungwa Mountains, Tanzania: An analysis of threats
[44] 논문 Importance, cause and effect of bushmeat hunting in the Udzungwa Mountains, Tanzania: implications for community based wildlife management
[45] 서적 Eastern Arc forests World Wildlife Fund, Washington, DC, USA
[46] 문서 Genus ''Rhynchocyon''
[47] 웹사이트 ITIS.gov http://www.itis.gov/[...]
[48] 간행물 Rhynchocyon chrysopygus
[49] 웹인용 AFP: Shrew's who: New mammal enters the book of life http://afp.google.co[...] Google 20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