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타-락타메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타-락타메이스는 β-락탐 고리를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세균의 항생제 내성을 유발한다. 세린 β-락타메이스(A, C, D형)와 메탈로-베타-락타메이스(MBL)로 분류되며, 작용 기전과 구조가 다르다. 페니실리네이스는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베타-락타메이스의 한 종류이다. 그람 음성 세균에서 광범위 스펙트럼 세팔로스포린에 대한 내성은 ESBL, AmpC, 카바페넴분해효소 등의 생성으로 나타난다. ESBL은 옥심 측쇄를 가진 광범위 스펙트럼 세팔로스포린을 가수분해하며, TEM, SHV, CTX-M, OXA 등이 있다. 카바페넴분해효소에는 IMP, VIM, OXA, KPC, CMY, SME, NDM-1 등이 있다. 베타-락타메이스는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유발하여, 치료에 어려움을 야기하며, 효소 활성은 니트로세핀을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 - 뉴델리 메탈로-베타락타메이스
    뉴델리 메탈로-베타락타메이스(NDM-1)는 세균이 생성하는 효소로, 카바페넴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하며, 플라스미드를 통해 세균 간에 전파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항생제 사용 제한과 감염 치료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공중 보건 문제이다.
  •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 - 세펨
    세펨은 세펨 계열 항생제 개발 연구로, 제조 과정, 사용량, 강도, 항균 스펙트럼에 따른 효능 차이 분석과 수술 후 약물동태 연구를 포함하며 관련 참고 자료를 포함한다.
  • EC 3.5.2 - 아미도기가수분해효소
    아미도기가수분해효소는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효소 억제제에 대한 내용으로, 가역적 및 비가역적 억제제로 구분되며, 의약품 개발 등에 응용된다.
  • EC 3.5.2 - 다이하이드로오로테이스
베타-락타메이스
효소 정보
효소 이름베타-락타메이스
EC 번호3.5.2.6
CAS 등록번호9073-60-3
GO 코드0008800
베타-락타메이스의 작용 및 중간체의 탈카르복실화
단백질군 정보 (세린 베타-락타메이스)
심볼베타-락타메이스 도메인
이름세린 베타-락타메이스
Streptomyces albus 베타-락타메이스의 구조
PfamPF00144
Pfam 클랜CL0013
InterProIPR001466
SMART해당 없음
PROSITEPS00146
MEROPS해당 없음
SCOP56601
TCDB해당 없음
OPM 군해당 없음
OPM 단백질해당 없음
PDB1axb, 1blp, 1bsg, 1bue, 1e25, 1ghi, 1i2s, 1n9b, 1ong, 2cc1, 2gdn, 3dwz
단백질군 정보 (메탈로-베타-락타메이스)
이름메탈로-베타-락타메이스
메탈로-베타-락타메이스 L1 호모테트라머, 스테노트로포모나스
PfamPF00753
Pfam 클랜CL0381
InterProIPR001279

2. 구조

''Streptomyces'' 세린 β-락타메이스(SBL)의 구조는 1BSG로 나타낸다. 알파-베타 폴드(IPR012338)는 이 효소가 진화했다고 여겨지는 DD-트랜스펩티데이스와 유사하다. β-락탐 항생제는 세균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하기 위해 DD-트랜스펩티데이스에 결합한다. 세린 β-락타메이스는 서열 유사성에 따라 A, C, D형으로 분류된다.

메탈로-베타-락타메이스(MBL)는 촉매 활성을 위해 활성 부위에 1개 또는 2개의 Zn2+ 이온[2]이 필요하다.[3] 뉴델리 메탈로-베타-락타메이스 1의 구조는 6C89로 나타낸다. 이는 이 효소가 진화했다고 여겨지는 RNase Z와 유사하다.

3. 작용 기전

베타-락타메이스는 β-락탐 고리를 여는 두 가지 기본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작용한다.[2]

세린 β-락타메이스(SBL)는 세포벽 생성 및 수정에 필요한 β-락탐 표적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PBP)과 구조 및 메커니즘이 유사하다. SBL과 PBP는 모두 활성 부위 세린 잔기를 공유 결합 방식으로 변화시킨다. PBP와 SBL의 차이점은 SBL이 아실-효소 중간체의 매우 빠른 가수분해를 통해 자유 효소와 비활성 항생제를 생성한다는 것이다.

메탈로 β-락타메이스(MBL)는 Zn2+ 이온을 사용하여 β-락탐 고리의 가수분해를 위한 결합 부위 물 분자를 활성화한다. 아연 킬레이터는 종종 카바페넴 감수성을 회복할 수 있으므로, 최근 금속-β-락타메이스 억제제로 연구되었다.[4]

4. 페니실리네이스

'''페니실리네이스'''(penicillinase영어) 또는 '''페니실린 가수분해효소'''는 페니실린계열 항생제에게만 베타-락탐 고리를 가수분해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락타메이스이다. 처음으로 발견된 베타-락타메이스이며, 이것을 생성할 수 있는 균주의 대응책으로 메티실린이 개발되었지만 현재는 메티실린 내성균주(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RSA가 대표적)까지 등장한 상태이다.[5]

페니실리나제는 특정 종류의 β-락타마제로, 페니실린에 대한 특이성을 나타내며, 가수분해를 통해 β-락탐 고리를 절단한다. 다양한 페니실리나제의 분자량은 대략 50킬로달톤 부근에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페니실리나제는 1940년, 페니실린이 임상적으로 사용되기 전인 아브라함(Abraham)과 체인(Chain)에 의해 ''대장균''(gram-negative)에서 처음 분리되었다.[5] 그러나 페니실리나제의 생산은 이전에 생산하지 않았거나 드물게 생산하던 박테리아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메티실린과 같은 페니실리나제 내성 베타-락탐이 개발되었지만, 현재 이러한 약물에 대한 항생제 내성 또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5. 그람 음성 세균에서의 내성

그람 음성 세균에서 광범위 스펙트럼 세팔로스포린에 대한 내성 출현은 주요 관심사였다. 이는 처음에 제한된 수의 세균 종(''E. cloacae'', ''C. freundii'', ''S. marcescens'' 및 ''P. aeruginosa'')에서 나타났는데, 이들은 염색체 C형 β-락타마아제를 과다 생성하도록 돌연변이될 수 있었다. 몇 년 후, AmpC 효소를 자연적으로 생성하지 않는 세균 종(''K. pneumoniae'', ''Salmonella'' spp., ''P. mirabilis'')에서 TEM 또는 SHV 유형 ESBL(광범위 스펙트럼 베타 락타마아제)의 생성으로 인해 내성이 나타났다.[6] 특징적으로 이러한 내성은 옥심- (예: 세프티족심,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세프타지딤, 옥심-모노박탐 아즈트레오남)을 포함하지만 7-알파-메톡시-세팔로스포린(세파마이신; 즉, 세폭시틴 및 세포테탄)은 포함하지 않았으며, 클라불란산, 설박탐 또는 타조박탐과 같은 억제제에 의해 차단되었고, 카바페넴과 테모실린은 포함하지 않았다. 염색체 매개 AmpC β-락타마아제는 새로운 위협을 나타내는데, 이는 세폭시틴 또는 세포테탄과 같은 7-알파-메톡시-세팔로스포린(세파마이신)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지만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β-락타마아제 억제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외부 막 포린의 손실이 있는 균주에서는 카바페넴에 대한 내성을 제공할 수 있다.[6]

5. 1. 광범위 베타-락타마제 (ESBL)

광범위 스펙트럼 베타 락타마제(ESBL)는 옥심 측쇄를 가진 광범위 스펙트럼 세팔로스포린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15] 여기에는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세프타지딤과 같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와 옥시미노-모노박탐 아즈트레오남이 포함된다.[15] 따라서 ESBL은 이러한 항생제 및 관련 옥시미노-베타 락탐에 대한 다제내성을 부여한다.[15]

ESBL은 TEM-1, TEM-2 또는 SHV-1 유전자에서 유래하며, 이들 β-락타메이스의 활성 부위 주변 아미노산 구성을 변화시키는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15] 더 넓은 범위의 β-락탐 항생제가 이러한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에 취약하게 된다.[15] TEM 또는 SHV 계통이 아닌 ESBL도 점점 더 많이 보고되고 있다.[15]

ESBL은 주로 플라스미드에 의해 인코딩되며,[15] ESBL 생성을 담당하는 플라스미드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와 같은 다른 약물 계열에 대한 내성 유전자도 함께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15] 따라서 ESBL 생성 유기체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 선택은 매우 제한적이다.[15] 카바페넴은 ESBL 생성 유기체에 의한 심각한 감염에 대한 치료법으로 사용되지만,[16] 최근에는 카바페넴 내성(주로 에르타페넴 내성) 균주도 보고되고 있다.[16]

일부 광범위 스펙트럼 세팔로스포린에 감수성이 있는 것처럼 보여도, 이러한 항생제를 사용한 치료는 높은 실패율과 관련이 있다.

1980년대 중반(1979년에 처음 발견됨)에,[9] 광범위 스펙트럼 β-락타메이스(ESBLs) 효소 그룹이 탐지되었다.[9] ESBL 생성 세균의 유병률은 급성 치료 병원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10] 일반 인구에서의 유병률은 국가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독일[11]과 프랑스[12]에서는 약 6%, 사우디 아라비아[13]에서는 13%, 이집트[14]에서는 63%이다.

5. 2. 종류

TEM-1은 그람 음성 세균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베타-락타마제이다. ''E. coli''에서 암피실린 내성의 최대 90%는 TEM-1의 생성 때문이다.[17] 또한 ''인플루엔자균''과 ''임균''에서 증가하는 암피실린 및 페니실린 내성의 원인이기도 하다. TEM형 베타-락타마제는 ''E. coli''와 ''폐렴구균''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지만, 다른 그람 음성 세균 종에서도 빈번하게 발견된다. 광범위 베타-락타마제(ESBL) 표현형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치환은 효소의 활성 부위 주변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구조가 변경되어 옥심-베타-락탐 기질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활성 부위가 베타-락탐 기질에 개방되면 일반적으로 클라불란산과 같은 β-락타마제 억제제에 대한 효소의 감수성이 향상된다. 104, 164, 238, 240번 위치에서 단일 아미노산 치환이 ESBL 표현형을 생성하지만, 가장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가진 ESBL은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다. 현재 변경 사항의 다양한 조합을 기반으로 140개의 TEM형 효소가 기술되어 있다. TEM-10, TEM-12, TEM-26은 미국에서 가장 흔한 효소 중 하나이다.[18][19][20] TEM이라는 용어는 1963년에 분리주가 회수된 아테네 환자(Temoniera)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21]

SHV-1은 TEM-1과 아미노산의 68%를 공유하며 전체적인 구조도 유사하다. SHV-1 베타-락타메이스는 가장 흔하게 K. pneumoniae에서 발견되며, 이 종에서 플라스미드 매개 아 Ampicillin 내성의 최대 20%를 차지한다. 이 계열의 ESBL은 또한 활성 부위 주변에서 아미노산 변화를 겪으며, 가장 흔하게는 238번 또는 238번과 240번 위치에서 발생한다. 60개 이상의 SHV 변종이 알려져 있다. SHV-5와 SHV-12가 가장 흔하다.[18] 이니셜은 "설프하이드릴 시약 가변성(sulfhydryl reagent variable)"을 의미한다.[22]

이 효소들은 다른 옥심-베타-락탐 기질(세프타지딤, 세프트리악손, 세페핌 등)보다 세포탁심에 대한 활성이 더 크다는 점 때문에 명명되었다. 이들은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드물게 병원성이 있는 공생 생물인 ''클루이베라'' 종의 염색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베타-락타마제 유전자의 플라스미드 획득을 통해 나타난다.[23] 이 효소들은 TEM 또는 SHV 베타-락타마제와는 약 40% 정도만 동일하며, 매우 밀접한 관련이 없다.

현재 172개 이상의[23] CTX-M 효소가 알려져 있다. 이름과는 달리, 일부는 세포탁심보다 세프타지딤에 더 활성이 높다. 이들은 주로 ''대장균''과 ''폐렴막대균''을 포함하는 장내세균과 종에서 널리 발견된다. 1980년대에 발견된 이 효소들은 2000년대 초반부터 확산되었으며,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지배적인 ESBL 유형이다.

이들은 시퀀싱 상동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CTX-M-1, CTX-M-2, CTX-M-8, CTX-M-9, CTX-M-25의 다섯 그룹으로 분류된다. CTX-M-15(CTX-M-1 클러스터에 속함)는 가장 널리 퍼진 CTX-M 유전자이다.[24] 베타-락타마제 CTX-M-15는 IS''Ecp1''과 함께 ''폐렴막대균'' ATCC BAA-2146의 염색체로 전위된 것으로 밝혀졌다.[25] 이니셜은 "세포탁심-뮌헨(Cefotaxime-Munich)"을 의미한다.[26]

OXA 베타-락타메이스는 오랫동안 드물지만 옥사실린 및 관련 항포도구균 페니실린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플라스미드 매개 베타-락타메이스 종류로 인식되어 왔다. 이 베타-락타메이스는 분자 클래스 D 및 기능 그룹 2d에 속한다는 점에서 TEM 및 SHV 효소와 다르다. OXA형 베타-락타메이스는 암피실린과 세파로틴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며, 옥사실린클록사실린에 대한 높은 가수분해 활성과 클라불란산에 의해 잘 억제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OXA 효소의 아미노산 치환은 ESBL 표현형도 나타낼 수 있다. 대부분의 ESBL은 ''대장균'', ''K. pneumoniae'' 및 기타 장내세균과에서 발견되었지만, OXA형 ESBL은 주로 ''P. aeruginosa''에서 발견되었다. OXA형 ESBL은 터키와 프랑스에서 분리된 ''Pseudomonas aeruginosa''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OXA 베타-락타메이스 계열은 원래 특정 가수분해 프로파일을 가진 몇몇 베타-락타메이스에 대한 유전형 그룹이 아닌 표현형 그룹으로 생성되었다. 따라서 이 계열의 일부 구성원 간에는 20% 정도의 서열 상동성만 존재한다. 그러나 이 계열에 최근 추가된 것들은 OXA 베타-락타메이스 계열의 기존 구성원 중 하나 이상과 어느 정도의 상동성을 보인다. 일부는 세프타지딤에 대한 내성을 주로 부여하지만, OXA-17은 세프타지딤에 대한 내성보다 세포탁심과 세페핌에 대한 내성을 더 크게 부여한다.

PER, VEB, GES, IBC 베타-락타메이스와 같은 다른 플라스미드 매개 ESBL은 보고되었지만 흔하지 않으며 주로 ''녹농균''(''P. aeruginosa'')에서, 그리고 제한된 수의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터키, 프랑스, 이탈리아의 균주에서는 PER-1이, 동남아시아 균주에서는 VEB-1과 VEB-2가, 남아프리카, 프랑스 및 그리스의 균주에서는 GES-1, GES-2, IBC-2가 발견되었다. PER-1은 한국과 터키의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종에서도 흔하다. 이러한 효소 중 일부는 장내세균과에서도 발견되며, 다른 흔하지 않은 ESBL(예: BES-1, IBC-1, SFO-1, TLA-1)은 장내세균과에서만 발견되었다.

5. 2. 1. TEM 베타-락타마제 (class A)

TEM-1은 그람 음성 세균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베타-락타마제이다. ''E. coli''에서 암피실린 내성의 최대 90%는 TEM-1의 생성 때문이다.[17] 또한 ''인플루엔자균''과 ''임균''에서 증가하는 암피실린 및 페니실린 내성의 원인이기도 하다. TEM형 베타-락타마제는 ''E. coli''와 ''폐렴구균''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지만, 다른 그람 음성 세균 종에서도 빈번하게 발견된다. 광범위 베타-락타마제(ESBL) 표현형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치환은 효소의 활성 부위 주변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구조가 변경되어 옥심-베타-락탐 기질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활성 부위가 베타-락탐 기질에 개방되면 일반적으로 클라불란산과 같은 β-락타마제 억제제에 대한 효소의 감수성이 향상된다. 104, 164, 238, 240번 위치에서 단일 아미노산 치환이 ESBL 표현형을 생성하지만, 가장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가진 ESBL은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다. 현재 변경 사항의 다양한 조합을 기반으로 140개의 TEM형 효소가 기술되어 있다. TEM-10, TEM-12, TEM-26은 미국에서 가장 흔한 효소 중 하나이다.[18][19][20] TEM이라는 용어는 1963년에 분리주가 회수된 아테네 환자(Temoniera)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21]

5. 2. 2. SHV 베타-락타마제 (class A)

SHV-1은 TEM-1과 아미노산의 68%를 공유하며 전체적인 구조도 유사하다. SHV-1 베타-락타메이스는 가장 흔하게 K. pneumoniae에서 발견되며, 이 종에서 플라스미드 매개 아 Ampicillin 내성의 최대 20%를 차지한다. 이 계열의 ESBL은 또한 활성 부위 주변에서 아미노산 변화를 겪으며, 가장 흔하게는 238번 또는 238번과 240번 위치에서 발생한다. 60개 이상의 SHV 변종이 알려져 있다. SHV-5와 SHV-12가 가장 흔하다.[18] 이니셜은 "설프하이드릴 시약 가변성(sulfhydryl reagent variable)"을 의미한다.[22]

5. 2. 3. CTX-M 베타-락타마제 (class A)

이 효소들은 다른 옥심-베타-락탐 기질(세프타지딤, 세프트리악손, 세페핌 등)보다 세포탁심에 대한 활성이 더 크다는 점 때문에 명명되었다. 이들은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드물게 병원성이 있는 공생 생물인 ''클루이베라'' 종의 염색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베타-락타마제 유전자의 플라스미드 획득을 통해 나타난다.[23] 이 효소들은 TEM 또는 SHV 베타-락타마제와는 약 40% 정도만 동일하며, 매우 밀접한 관련이 없다.

현재 172개 이상의[23] CTX-M 효소가 알려져 있다. 이름과는 달리, 일부는 세포탁심보다 세프타지딤에 더 활성이 높다. 이들은 주로 ''대장균''과 ''폐렴막대균''을 포함하는 장내세균과 종에서 널리 발견된다. 1980년대에 발견된 이 효소들은 2000년대 초반부터 확산되었으며,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지배적인 ESBL 유형이다.

이들은 시퀀싱 상동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CTX-M-1, CTX-M-2, CTX-M-8, CTX-M-9, CTX-M-25의 다섯 그룹으로 분류된다. CTX-M-15(CTX-M-1 클러스터에 속함)는 가장 널리 퍼진 CTX-M 유전자이다.[24] 베타-락타마제 CTX-M-15는 IS''Ecp1''과 함께 ''폐렴막대균'' ATCC BAA-2146의 염색체로 전위된 것으로 밝혀졌다.[25] 이니셜은 "세포탁심-뮌헨(Cefotaxime-Munich)"을 의미한다.[26]

5. 2. 4. OXA 베타-락타마제 (class D)

OXA 베타-락타메이스는 오랫동안 드물지만 옥사실린 및 관련 항포도구균 페니실린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플라스미드 매개 베타-락타메이스 종류로 인식되어 왔다. 이 베타-락타메이스는 분자 클래스 D 및 기능 그룹 2d에 속한다는 점에서 TEM 및 SHV 효소와 다르다. OXA형 베타-락타메이스는 암피실린과 세파로틴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며, 옥사실린클록사실린에 대한 높은 가수분해 활성과 클라불란산에 의해 잘 억제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OXA 효소의 아미노산 치환은 ESBL 표현형도 나타낼 수 있다. 대부분의 ESBL은 ''대장균'', ''K. pneumoniae'' 및 기타 장내세균과에서 발견되었지만, OXA형 ESBL은 주로 ''P. aeruginosa''에서 발견되었다. OXA형 ESBL은 터키와 프랑스에서 분리된 ''Pseudomonas aeruginosa''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OXA 베타-락타메이스 계열은 원래 특정 가수분해 프로파일을 가진 몇몇 베타-락타메이스에 대한 유전형 그룹이 아닌 표현형 그룹으로 생성되었다. 따라서 이 계열의 일부 구성원 간에는 20% 정도의 서열 상동성만 존재한다. 그러나 이 계열에 최근 추가된 것들은 OXA 베타-락타메이스 계열의 기존 구성원 중 하나 이상과 어느 정도의 상동성을 보인다. 일부는 세프타지딤에 대한 내성을 주로 부여하지만, OXA-17은 세프타지딤에 대한 내성보다 세포탁심과 세페핌에 대한 내성을 더 크게 부여한다.

5. 2. 5. 기타

PER, VEB, GES, IBC 베타-락타메이스와 같은 다른 플라스미드 매개 ESBL은 보고되었지만 흔하지 않으며 주로 ''녹농균''(''P. aeruginosa'')에서, 그리고 제한된 수의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터키, 프랑스, 이탈리아의 균주에서는 PER-1이, 동남아시아 균주에서는 VEB-1과 VEB-2가, 남아프리카, 프랑스 및 그리스의 균주에서는 GES-1, GES-2, IBC-2가 발견되었다. PER-1은 한국과 터키의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종에서도 흔하다. 이러한 효소 중 일부는 장내세균과에서도 발견되며, 다른 흔하지 않은 ESBL(예: BES-1, IBC-1, SFO-1, TLA-1)은 장내세균과에서만 발견되었다.

5. 3. 치료

ESBL 생성 균주는 과거 병원 및 시설 관리에 연관되어 있었지만, 최근에는 지역 사회에서도 발견된다.[27] CTX-M-15 양성 대장균은 영국 지역 사회에서 획득하는 방광염의 원인이며,[27] 모든 경구용 β-락탐 항생제뿐만 아니라 퀴놀론 항생제와 설폰아미드에도 내성을 보인다.[27] 치료 방법으로는 니트로푸란토인, 포스포마이신, 메실리남, 클로람페니콜 등이 있으며,[27] 긴급한 경우에는 1일 1회 에르타페넴 또는 겐타마이신 주사를 사용할 수 있다.[27]

5. 4. 억제제 내성 β-락타마제

억제제 내성 β-락타메이스(IRT)는 ESBL은 아니지만, 고전적인 TEM 또는 SHV형 효소의 파생물이기도 하여 ESBL과 함께 논의되는 경우가 많다.[19] 이 효소들은 처음에 억제제 내성 TEM β-락타마제라는 의미로 IRT로 지정되었지만, 이후 모두 숫자 TEM 지정을 사용하여 이름이 변경되었다. 적어도 19가지의 뚜렷한 억제제 내성 TEM β-락타마제가 있다.[19]

억제제 내성 TEM β-락타마제는 주로 ''대장균''의 임상 분리주에서 발견되었지만, 일부 ''폐렴막대균'', ''Klebsiella oxytoca'', ''미라빌리스 프로테우스'' 및 ''Citrobacter freundii'' 균주에서도 발견되었다.[19] 억제제 내성 TEM 변이체는 클라불란산설박탐에 의한 억제에 내성을 나타내므로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코-아목시클라브), 티카실린-클라불란산(코-티카클라브) 및 암피실린/설박탐의 베타-락탐-락타마제 억제제 복합제에 대한 임상적 내성을 보인다.[19] 그러나 일반적으로 타조박탐에 의한 억제에는 여전히 민감하며, 이후 피페라실린/타조박탐의 조합에도 민감하지만, 내성이 보고되기도 했다. 억제제 내성 TEM β-락타마제는 더 이상 주로 유럽에서 나타나는 역학이 아니며, 북미 지역에서도 자주 발견되고 복잡한 요로 감염 환자의 경우 검사를 받아야 한다.[19]

5. 5. AmpC형 β-락타마제 (class C)

AmpC형 β-락타마제(C형 또는 1군)는 광범위 항생제 세파로스포린 내성 그람 음성 세균에서 흔히 분리된다.[6] 이 효소는 주로 Citrobacter, Serratia, Enterobacter 종을 포함한 많은 그람 음성 세균의 염색체에 의해 암호화되며, 유도 가능한 방식으로 발현된다.[6] ''대장균(E. coli)''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도되지는 않고 과다 발현될 수 있다.[6]

AmpC β-락타마제는 플라스미드로도 전달될 수 있다.[6] 확장 스펙트럼 β-락타마제(ESBL)와 달리, AmpC β-락타마제는 광범위 및 확장 스펙트럼 세팔로스포린(세파마이신 및 옥시미노-β-락탐)을 가수분해할 수 있다.[28] 그러나 클라불란산, 타조박탐과 같은 일반적인 β-락타마제 억제제에는 억제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28] 아비박탐은 이 종류의 β-락타마제에 대해 억제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28]

AmpC형 β-락타마제를 생성하는 세균은 "SPACE"라는 약어로 그룹화되어 임상적으로 다루어진다. 여기에는 ''Serratia, Pseudomonas'' 또는 ''Proteus, Acinetobacter, Citrobacter'', 그리고 ''Enterobacter''가 포함된다.

6. 카바페넴분해효소 (Carbapenemase)

카바페넴분해효소(Carbapenemase)는 카바페넴을 포함한 다양한 β-락탐 항생제를 분해하는 효소이다. 카바페넴분해효소는 옥심-세팔로스포린 및 세파마이신뿐만 아니라 카바페넴에도 작용하는 다양한 β-락탐 분해 효소 그룹이다. 아즈트레오남은 금속 β-락탐 분해 효소에 안정적이지만, 많은 IMP 및 VIM 생성 균주는 다른 기전으로 인해 내성을 보인다. 카바페넴 분해 효소는 이전에 A, B 및 D 클래스에서만 유래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C 클래스 카바페넴 분해 효소도 보고되었다.


  • IMP형 카바페넴분해효소: 플라스미드 매개 IMP형 카바페네마제(IMP는 이미페넴 활성을 의미)는 현재 19가지 변종이 알려져 있다. 1990년대에 일본에서 장내 그람 음성균과 ''녹농균'' 및 ''아시네토박터'' 종에서 확립되었다. IMP 효소는 극동 지역의 다른 국가로 서서히 확산되었고, 1997년에는 유럽에서 보고되었으며, 캐나다와 브라질에서도 발견되었다.

  • VIM (Verona integron-encoded metallo-β-lactamase): VIM (Verona integron-encoded metallo-β-lactamase) 계열은 카바페넴분해효소 중 두 번째로 성장하는 계열이다. 1999년 이탈리아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현재 40개 이상의 구성원이 보고되었으며, 유럽, 남아메리카, 극동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미국에서도 발견되었다.[29] 1996년 이탈리아에서 ''녹농균''에서 발견된 VIM-1을 시작으로, 현재 주된 변종인 VIM-2가 유럽과 극동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되고 있다.[29] VIM-3과 VIM-4는 각각 VIM-2와 VIM-1의 소수 변종이다.[29] VIM 계열의 아미노산 서열 다양성은 최대 10%이며, IMP 계열은 15%, VIM과 IMP 사이에서는 70%에 이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계열의 효소는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두 계열 모두 인테그론과 관련되어 있으며, 때로는 플라스미드 내부에 존재한다. 모노박탐을 제외한 모든 β-락탐을 가수분해하며, 모든 β-락탐 억제제를 회피한다.[29] VIM 효소는 가장 널리 분포된 MBL 중 하나이며, 생화학적 및 생물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VIM 변종은 운동 매개변수에는 작은 변화만 있지만 열 안정성과 억제 프로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

  • OXA (oxacillinase) group of β-lactamases: OXA 그룹의 β-락타메이스는 주로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종에서 발생하며, 두 개의 클러스터로 나뉜다. OXA 카바페네메이스는 ''시험관 내''에서 카바페넴을 매우 느리게 가수분해하며, 일부 아시네토박터 숙주에서 관찰되는 높은 MIC(최소 억제 농도) 값(>64 mg/L)은 이차적인 기전을 반영할 수 있다. 이들은 때때로 불투과성이나 유출과 같은 추가적인 내성 기전에 의해 임상 분리주에서 증폭된다. OXA 카바페네메이스는 또한 페니실린세팔로스포린에 대한 가수분해 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 KPC (''K. pneumoniae'' carbapenemase): KPC (''K. pneumoniae'' carbapenemase)는 일부 A군 효소, 특히 플라스미드 매개 KPC 효소로 효과적인 카바페네마제이다.[31] KPC-2부터 KPC-11까지 10가지 변종이 알려져 있으며, 하나 또는 두 개의 아미노산 치환으로 구별된다(KPC-1은 2008년에 재시퀀싱되었으며, KPC-2의 공개된 염기서열과 100% 상동성을 보였다).[31] KPC-1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KPC-2는 볼티모어에서, KPC-3은 뉴욕에서 발견되었다.[31] 이들은 SME 및 NMC/IMI 효소와 45%의 상동성만을 가지며, 이들과 달리 자체 전달 플라스미드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31] 2009년 2월 기준, A군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에'' 카바페네마제(KPC)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카바페네마제였으며, 1996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처음 발견되었다.[31] 2010년 발표에 따르면 KPC 생성 장내세균과가 미국에서 흔해지고 있다.[32]

  • CMY: 2006년에 최초의 C형 카바페네마제가 독성이 강한 ''Enterobacter aerogenes'' 균주에서 분리되어 기술되었다.[33] 이는 플라스미드 pYMG-1에 의해 운반되므로 다른 세균 균주로 전염될 수 있다.[34]

  • SME (Serratia marcescens enzymes), IMI (IMIpenem-hydrolysing β-lactamase), NMC and CcrA: CcrA(CfiA) 유전자는 ''B. 프라질리스'' 분리균의 약 1~3%에서 발견되지만, 삽입 서열의 적절한 이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효소를 생성하는 경우는 더 적다. CcrA는 이미페넴이 도입되기 전에 알려졌으며, 생산균주는 이후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 NDM-1 (New Delhi metallo-β-lactamase): 뉴델리에서 2009년 처음 보고된 뉴델리 메탈로-β-락타마제(NDM-1) 유전자는 현재 인도와 파키스탄의 ''대장균''과 ''폐렴구균''에서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35] 2010년 중반 기준으로 NDM-1을 가진 세균이 미국 및 영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로 유입되었는데, 이는 전 세계를 여행하는 많은 관광객들이 환경에서 이 균주를 얻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며, NDM-1 유전자를 포함하는 균주가 인도의 환경 시료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35] NDM에는 여러 변종이 있으며, 각 변종은 서로 다른 특성을 공유한다.[29]

6. 1. IMP형 카바페넴분해효소 (metallo-β-lactamases) (class B)

플라스미드 매개 IMP형 카바페네마제(IMP는 이미페넴 활성을 의미)는 현재 19가지 변종이 알려져 있다. 1990년대에 일본에서 장내 그람 음성균과 ''녹농균'' 및 ''아시네토박터'' 종에서 확립되었다. IMP 효소는 극동 지역의 다른 국가로 서서히 확산되었고, 1997년에는 유럽에서 보고되었으며, 캐나다와 브라질에서도 발견되었다.

6. 2. VIM (Verona integron-encoded metallo-β-lactamase) (Class B)

VIM (Verona integron-encoded metallo-β-lactamase) 계열은 카바페넴분해효소 중 두 번째로 성장하는 계열이다. 1999년 이탈리아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현재 40개 이상의 구성원이 보고되었으며, 유럽, 남아메리카, 극동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미국에서도 발견되었다.[29] 1996년 이탈리아에서 ''녹농균''에서 발견된 VIM-1을 시작으로, 현재 주된 변종인 VIM-2가 유럽과 극동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되고 있다.[29] VIM-3과 VIM-4는 각각 VIM-2와 VIM-1의 소수 변종이다.[29]

VIM 계열의 아미노산 서열 다양성은 최대 10%이며, IMP 계열은 15%, VIM과 IMP 사이에서는 70%에 이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계열의 효소는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두 계열 모두 인테그론과 관련되어 있으며, 때로는 플라스미드 내부에 존재한다. 모노박탐을 제외한 모든 β-락탐을 가수분해하며, 모든 β-락탐 억제제를 회피한다.[29] VIM 효소는 가장 널리 분포된 MBL 중 하나이며, 생화학적 및 생물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VIM 변종은 운동 매개변수에는 작은 변화만 있지만 열 안정성과 억제 프로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

6. 3. OXA (oxacillinase) group of β-lactamases (class D)

OXA 그룹의 β-락타메이스는 주로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종에서 발생하며, 두 개의 클러스터로 나뉜다. OXA 카바페네메이스는 ''시험관 내''에서 카바페넴을 매우 느리게 가수분해하며, 일부 아시네토박터 숙주에서 관찰되는 높은 MIC(최소 억제 농도) 값(>64 mg/L)은 이차적인 기전을 반영할 수 있다. 이들은 때때로 불투과성이나 유출과 같은 추가적인 내성 기전에 의해 임상 분리주에서 증폭된다. OXA 카바페네메이스는 또한 페니실린세팔로스포린에 대한 가수분해 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6. 4. KPC (''K. pneumoniae'' carbapenemase) (class A)

KPC (''K. pneumoniae'' carbapenemase)는 일부 A군 효소, 특히 플라스미드 매개 KPC 효소로 효과적인 카바페네마제이다.[31] KPC-2부터 KPC-11까지 10가지 변종이 알려져 있으며, 하나 또는 두 개의 아미노산 치환으로 구별된다(KPC-1은 2008년에 재시퀀싱되었으며, KPC-2의 공개된 염기서열과 100% 상동성을 보였다).[31] KPC-1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KPC-2는 볼티모어에서, KPC-3은 뉴욕에서 발견되었다.[31] 이들은 SME 및 NMC/IMI 효소와 45%의 상동성만을 가지며, 이들과 달리 자체 전달 플라스미드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31]

2009년 2월 기준, A군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에'' 카바페네마제(KPC)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카바페네마제였으며, 1996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처음 발견되었다.[31] 2010년 발표에 따르면 KPC 생성 장내세균과가 미국에서 흔해지고 있다.[32]

6. 5. CMY (class C)

2006년에 최초의 C형 카바페네마제가 독성이 강한 ''Enterobacter aerogenes'' 균주에서 분리되어 기술되었다.[33] 이는 플라스미드 pYMG-1에 의해 운반되므로 다른 세균 균주로 전염될 수 있다.[34]

6. 6. SME (Serratia marcescens enzymes), IMI (IMIpenem-hydrolysing β-lactamase), NMC and CcrA

CcrA(CfiA) 유전자는 ''B. 프라질리스'' 분리균의 약 1~3%에서 발견되지만, 삽입 서열의 적절한 이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효소를 생성하는 경우는 더 적다. CcrA는 이미페넴이 도입되기 전에 알려졌으며, 생산균주는 이후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6. 7. NDM-1 (New Delhi metallo-β-lactamase) (class B)

뉴델리에서 2009년 처음 보고된 뉴델리 메탈로-β-락타마제(NDM-1) 유전자는 현재 인도와 파키스탄의 ''대장균''과 ''폐렴구균''에서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35] 2010년 중반 기준으로 NDM-1을 가진 세균이 미국 및 영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로 유입되었는데, 이는 전 세계를 여행하는 많은 관광객들이 환경에서 이 균주를 얻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며, NDM-1 유전자를 포함하는 균주가 인도의 환경 시료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35] NDM에는 여러 변종이 있으며, 각 변종은 서로 다른 특성을 공유한다.[29]

7. ESBL/AmpC/카바페넴분해효소 치료

7. 1. 일반적인 개요

일반적으로 균주가 세파마이신(세폭시틴, 세포테탄)에 대한 ''생체 외'' 감수성은 보이지만, 3세대 세팔로스포린 및 아즈트레오남에 대한 내성을 보일 때 ESBL 생성균으로 의심된다. 그람 음성 감염에 대해 이러한 약제로 치료했는데 ''생체 외'' 감수성이 보고되었음에도 실패할 경우 이러한 균주를 의심해야 한다. ESBL 생성 균주가 검출되면, 실험실에서는 검사 결과(생체 외) 감수성이 나타나더라도 모든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및 아즈트레오남에 대해 "내성"으로 보고해야 한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에 대한 연관된 내성뿐만 아니라, 플루오로퀴놀론 내성의 높은 빈도로 공존하는 것은 문제를 야기한다. 클라불란산, 설박탐, 타조박탐과 같은 베타-락탐 분해 효소 억제제는 ''생체 외''에서 대부분의 ESBL을 억제하지만, 베타-락탐/베타-락탐 분해 효소 억제제 조합의 임상적 효과는 치료에 일관되게 의존할 수 없다. 세파마이신(세폭시틴 및 세포테탄)은 대부분의 ESBL에 의해 가수분해되지 않지만, 연관된 AmpC형 β-락탐 분해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된다. 또한, β-락탐/β-락탐 분해 효소 억제제 조합은 AmpC형 β-락탐 분해 효소를 생성하는 유기체에 대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때로는 이러한 균주가 외막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켜 세파마이신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된다. ''생체 내'' 연구에서는 ESBL 생성 ''K. pneumoniae''에 대해 혼합된 결과를 얻었다. (세페핌, 4세대 세팔로스포린은 많은 ESBL/AmpC 균주가 있는 상태에서도 ''생체 외'' 안정성을 보였다.) 현재, 일반적으로 카바페넴은 ESBL 생성 유기체에 의한 감염 치료에 선호되는 약제로 간주된다. 카바페넴은 ESBL 매개 가수분해에 내성을 가지며, ESBL을 발현하는 장내세균과 균주에 대해 우수한 ''생체 외'' 활성을 나타낸다.

7. 2. 유전자에 따른 치료

7. 2. 1. ESBLs

ESBL만을 생성하는 균주는 ''시험관 내''에서 세파마이신카바페넴에 감수성이 있으며, 이러한 약제에 대해 접종원 효과를 거의 또는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TEM 및 SHV 타입 ESBL을 생성하는 미생물의 경우, 세페핌과 피페라실린/타조박탐에 대한 겉보기 ''시험관 내'' 감수성이 흔하지만, 두 약물 모두 접종원 효과를 나타내며 접종원 크기가 105에서 107개체로 증가함에 따라 감수성이 감소한다.

일부 CTX-M 타입 및 OXA-타입 ESBL을 가진 균주는 표준 접종원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검사에서 세페핌에 내성을 보인다.

7. 2. 2. 억제제 내성 β-락타마제

억제제 내성 TEM 변이체는 클라불란산설박탐에 의한 억제에 내성을 나타내어,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코아목시클라브), 티카실린-클라불란산, 암피실린/설박탐의 베타-락탐-베타 락타마제 억제제 병용 요법에 임상적 내성을 보이지만, 타조박탐 및 그 후속 조합인 피페라실린/타조박탐에 의한 억제에는 여전히 민감하다.

7. 2. 3. AmpC

AmpC 생성 균주는 일반적으로 옥심-베타락탐 및 세파마이신에 내성을 가지며, 카바페넴에는 민감하다. 그러나 포린 발현 감소는 이러한 균주를 카바페넴 내성으로 만들 수 있다.

7. 2. 4. 카바페넴분해효소

IMP-, VIM-, OXA-형 카바페네마제를 생성하는 균주는 일반적으로 민감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효소를 생성하는 균주에서는 비-베타-락탐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흔하므로, 직접적인 감수성 검사를 통해 대체 치료 옵션을 결정해야 한다. 특히 플루오로퀴놀론 및 아미노글리코사이드에 대한 내성이 높다.

7. 3. 종에 따른 치료

7. 3. 1. ''Escherichia coli'' 또는 ''Klebsiella''

ESBL 생성 대장균 또는 클레브시엘라 종에 의한 감염의 경우, 이미페넴 또는 메로페넴 치료가 생존 및 세균학적 제거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세페핌과 피페라실린/타조박탐은 성공률이 낮았다. 세프트리악손, 세포탁심, 세프타지딤은 항생제에 대한 미생물의 ''시험관 내'' 감수성에도 불구하고 훨씬 더 자주 실패했다. 여러 보고서에서 포린 손실로 인한 내성으로 인해 세파마이신 치료의 실패가 기록되었다. 일부 환자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또는 퀴놀론 치료에 반응했지만, ESBL 생성 K. 폐렴균과 관련된 균혈증에 대한 시프로플록사신과 이미페넴을 최근 비교한 결과, 이미페넴이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7. 3. 2. ''Pseudomonas aeruginosa''

ESBL 생성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감염에 대한 최적의 치료법을 정의하는 임상 연구는 거의 없었다.

8. 제약 분야에서의 활용

1957년, 페니실린 함유 항생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우려 속에 베타-락타메이스가 해독제로 "뉴트라펜"(neutrapen)이라는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되었다.[36] 효소에 의한 페니실린 분해가 알레르기 반응을 치료할 것이라는 이론이 있었다.[37] 급성 아나필락시스 쇼크에는 효과가 없었지만, 페니실린 알레르기로 의심되는 두드러기와 관절통의 경우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38][39] 페니실린을 방부제로 사용한 소아마비 백신 투여 후 페니실린 알레르기가 발견된 소아 환자에게 사용이 제안되었다.[40] 그러나 일부 환자에게서 뉴트라펜에 대한 알레르기가 발생했다.[41][42] 올버니 병원은 1960년, 뉴트라펜을 도입한 지 불과 2년 만에 사용 부족을 이유로 목록에서 삭제했다.[43] 일부 연구자들은 1972년까지 페니실린 내성에 대한 실험에서 계속 사용했다.[44] 3M 제약회사는 1997년 미국 시장에서 자발적으로 철수시켰다.[45]

9. 검출

베타-락타메이스의 효소 활성은 발색성 세파로스포린 기질인 니트로세핀을 사용하여 감지할 수 있는데, 이는 베타-락타메이스 매개 가수분해 시 노란색에서 빨간색으로 색상이 변하는 특징을 이용한 것이다.[46] 확장 스펙트럼 베타 락타메이스(ESBL) 검사는 디스크 확산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세포독심, 세프타지딤, 아즈트레오남, 세포탁심 및/또는 세프트리악손 디스크가 사용된다.[47]

10. 진화

베타-락타메이스는 고대 세균 효소이다. 메탈로 베타-락타메이스("B군")는 구조적으로 모두 RNase Z와 유사하며, 이 효소로부터 진화했을 수 있다. B1, B2, B3의 세 하위 그룹 중 B1과 B2는 약 10억 년 전에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며, B3는 약 20억 년 전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의 분화 이전에 독립적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48] PNGM-1 (파푸아뉴기니 메탈로-β-락타메이스-1)은 메탈로-β-락타메이스(MBL)와 tRNase Z 활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PNGM-1이 tRNase Z로부터 진화했고, PNGM-1의 B3 MBL 활성이 비특이적 활성이며 B3 MBL 하위 그룹이 PNGM-1의 활성을 통해 진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9] B1과 B3 하위 그룹은 더욱 세분화되었다.[50]

세린 베타-락타메이스(A, C, D군)는 세포벽 생합성에 관여하는 DD-트랜스펩티데이스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이 효소들은 베타-락탐 항생제의 주요 표적 중 하나인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이다.[51] 이 세 군은 서로 간에 감지할 수 있는 서열 유사성을 보이지 않지만, 구조적 상동성을 사용하여 비교할 수 있다. A군과 D군은 자매 분류군이며, C군은 A군과 D군보다 먼저 분기되었다.[52] 이러한 세린 기반 효소는 B군 베타락타메이스처럼 고대 기원을 가지며, 약 20억 년 전에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53]

특히 D군에 속하는 OXA군은 염색체에서 진화하여 최소 두 번 이상 플라스미드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54]

11. 어원

"β"는(베타) 고리 내 두 번째 탄소의 위치를 나타낸다.[55] ''락탐''은 라틴어 ''lactis''(우유), 즉 젖산이 상한 우유에서 분리되었기 때문에 ''락톤''과 ''아미드''의 혼합어이다.[55] 효소를 나타내는 접미사 ''-아제''는 1833년 Payen과 Persoz에 의해 발견된 최초의 효소인 ''디아스타아제''(그리스어 ''diastasis'', "분리")에서 파생되었다.[55]

참조

[1] 논문 Effect of beta-lactamase location in Escherichia coli on penicillin synergy 1969-06
[2] 논문 Inhibitors of metallo-β-lactamases 2017-10
[3] 논문 Approaches for the discovery of metallo-β-lactamase inhibitors: A review 2019-08
[4] 논문 Zinc Chelators as Carbapenem Adjuvants for Metallo-β-Lactamase-Producing Bacteria: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https://www.liebertp[...] 2020-10-01
[5] 논문 An enzyme from bacteria able to destroy penicillin
[6] 논문 Plasmid-determined AmpC-type beta-lactamases 2002-01
[7] 웹사이트 Ambler class A beta-lactamases: TEM http://bldb.eu/BLDB.[...] 2022-02-11
[8] 웹사이트 Ambler class A beta-lactamases: SHV http://bldb.eu/BLDB.[...] 2022-02-11
[9] 논문 Emergence of resistance to cefamandole: possible role of cefoxitin-inducible beta-lactamases 1979-06
[10] 논문 Temporal trends and risk factors for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producing Escherichia coli in adults with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11] 논문 Novel insights into pivotal risk factors for rectal carriage of extended-spectrum-β-lactamase-producing enterobacterales within the general population in Lower Saxony, Germany https://research.rug[...] 2021-12
[12] 논문 10-Fold increase (2006-11) in the rate of healthy subjects with extended-spectrum β-lactamase-producing Escherichia coli faecal carriage in a Parisian check-up centre 2013-03
[13] 논문 Faecal carriage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producing bacteria in the community 2009
[14] 논문 High rate of intestinal colonization with extended-spectrum-beta-lactamase-producing organisms in household contacts of infected community patients 2008-08
[15] 논문 Detect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in a tertiary-care medical center 1997-08
[16] 논문 Carbapenem-non-susceptible Enterobacteriaceae in Europe: conclusions from a meeting of national experts 2010-11
[17] 논문 Patterns and mechanisms of beta-lactam resistance among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from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1990-05
[18] 논문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in Klebsiella pneumoniae bloodstream isolates from seven countries: dominance and widespread prevalence of SHV- and CTX-M-type beta-lactamases 2003-11
[19] 논문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in the 21st century: characterization, epidemiology, and detection of this important resistance threat 2001-10
[20] 논문 The new beta-lactamases 2005-01
[21] 논문 Etymologia: TEM
[22] 논문 A Review of SHV Extended-Spectrum β-Lactamases: Neglected Yet Ubiquitous 2016-09-05
[23] 논문 Novel blaCTX-M variants and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among clinical isolates of extended spectrum beta lactamase-producing Escherichia coli 2019-03
[24] 논문 Extended-spectrum β-lactamases: an update on their characteristics, epidemiology and detection 2021-09-03
[25] 논문 Resistance determinants and mobile genetic elements of an NDM-1-encoding Klebsiella pneumoniae strain 2014-06-07
[26] 논문 CTX-M Enzymes: Origin and Diffusion 2012
[27] 웹사이트 Molecular characterisation of ''Escherichia coli'' isolates producing CTX-M-15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in the United Kingdom http://www.hpa.org.u[...] Health Protection Agency 2006-11-19
[28] 웹사이트 Clinical Review, NDA 206494, Ceftazidime-avibactam http://www.accessdat[...]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5-02-18
[29] 논문 Comparison of Verona Integron-Borne Metallo-β-Lactamase (VIM) Variants Reveals Differences in Stability and Inhibition Profiles 2015-12
[30]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e carbapenemase OXA-24 reveals insights into the mechanism of carbapenem hydrolysis 2007-03
[31] 논문 The real threat of 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producing bacteria 2009-04
[32] 논문 "[KPC carbapenemases: what is at stake in clinical microbiology?]" 2010-02
[33] 논문 Structural basis for the extended substrate spectrum of CMY-10, a plasmid-encoded class C beta-lactamase 2006-05
[34] 논문 Dissemination of transferable AmpC-type beta-lactamase (CMY-10) in a Korean hospital
[35] 논문 Dissemination of NDM-1 positive bacteria in the New Delhi environment and its 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an environmental point prevalence study 2011-05
[36] 뉴스 NEW DRUG FIGHTS ILLS OF PENICILLIN; Antibiotics Expert Finds Neutrapen Effective on Injection Side Effect ALLERGY RISE STUDIED U.S. Aide Reports Increase in Reaction to Penicillin and Like Substances Severe Reactions Few Some Severe Reactions (Published 1957)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12-24
[37] 논문 Anaphylactic shock after therapy with penicillinase 1959-02
[38] 논문 Penicillinase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reactions to penicillin 1959-04
[39] 논문 A New Concept in the Treatment of Penicillin Reactions: Use of Penicillinase https://pediatrics.a[...] 2020-12-24
[40] 논문 Penicillinase-proved allergy to penicillin in poliomyelitis vaccine 1958-08
[41] 논문 Development of sensitivity to penicillinase following its use in penicillin reaction 1959-07
[42] 서적 Drug Industry Antitrust Act: Hearings Before the Subcommittee on Antitrust and Monopoly of the Committee on the Judiciary, United States Senate, Eighty-seventh Congress, First [-second] Session, Pursuant to S. Res. 52 on S. 1552, a Bill to Amend and Supplement the Antitrust Laws, with Respect to the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of Drugs, and for Other Purpose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1
[43] 서적 Administered Prices: con't] pt.25. Administered prices in the drug industry, (Antibiotics-Appendix A). 1961. pp. 14201-15329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57
[44] 논문 Automate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enicillins, cephalosporins, and penicillinases 1972-02
[45] 웹사이트 Federal Register, Volume 62 Issue 229 (Friday, November 28, 1997) https://www.govinfo.[...] 2020-12-24
[46] 논문 Novel method for detection of beta-lactamases by using a chromogenic cephalosporin substrate 1972-04
[47] 논문 Extended-spectrum ß-lactamases in gram negative bacteria 2010
[48] 논문 Independent origins of subgroup Bl + B2 and subgroup B3 metallo-beta-lactamases 2004-07
[49] 논문 Dual activity of PNGM-1 pinpoints the evolutionary origin of subclass B3 metallo-''β''-lactamases: a molecular and evolutionary study
[50] 논문 An updated phylogeny of the metallo-β-lactamases 2021-01
[51] 간행물 IPR012338
[52] 논문 Structure-based phylogenies of the serine beta-lactamases 2003-09
[53] 논문 Evolution of the serine beta-lactamases: past, present and future 2004-04
[54]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shows that the OXA beta-lactamase genes have been on plasmids for millions of years 2002-09
[55] 논문 Etymologia: β-Lactamase
[56] 문서 β-ラクタム耐性菌とその検出方法 http://www.kanto.co.[...] 関東化学
[57] 문서 A functional classification scheme for β-lactamases and its correlation with molecular structure 1995
[58] 문서 The structure of β-lactameses 1980
[59] 문서 基質特異性拡張型β-ラクタマーゼ産生大腸菌、クレブシエラ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