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 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 시스템은 1877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설립한 미국 전화 회사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벨 시스템은 AT&T가 모회사를 인수하면서 총괄하게 되었고, 장거리 통신망, 장비 제조, 연구 개발, 지역 전화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여러 부서로 구성되었다. 1913년 반독점 소송으로 킹스버리 합의가 이루어졌고, 1934년 이후에는 연방 통신 위원회의 규제를 받았다. 1984년 AT&T가 해체되면서 지역 벨 운영 회사들로 분리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합병을 거치면서 현재는 AT&T, 베라이존, 루멘 테크놀로지스 등의 회사들이 벨 시스템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신 독점공급자 - 텔리아소네라
2002년 텔리아와 소네라의 합병으로 설립된 텔리아소네라는 노르딕 및 발트해 연안 국가를 중심으로 통신, 광대역, TV 미디어 사업을 운영했으나, 2016년 텔리아 컴퍼니로 사명을 변경하고 뇌물 스캔들, 자본 이득세 회피 논란 등을 겪었다. - 통신 독점공급자 - 미국전화전신회사
미국전화전신회사(AT&T)는 한때 미국 전화 시장을 독점했던 회사로, 반독점 소송으로 분할되었으나 현재는 통신 및 미디어 분야에서 5G 기술 개발에 주력하는 미국 최대 통신 회사 중 하나이다. -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 축음기 실린더
축음기 실린더는 토머스 에디슨이 1877년에 개발한 초기 축음기에 사용된 원통형 매체로, 왁스나 셀룰로이드 등의 재료로 만들어져 음성 및 음악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디스크 레코드와의 경쟁으로 쇠퇴했다가 20세기 후반부터 소량 생산되기도 한다. -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는 지리 지식 증진을 위해 1888년 설립된 미국의 비영리 단체로, 탐험, 연구 지원, 잡지 발행, 다큐멘터리 제작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며, 허버드 메달 등을 수여하고 박물관을 운영한다.
벨 시스템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벨 시스템 |
![]() | |
산업 분야 | 통신 |
설립일 | 1877년 |
설립자 |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
해체일 | 1984년 1월 1일 |
후신 | 지역 벨 운영 회사 AT&T 코퍼레이션 |
해체 원인 | 벨 시스템 해체 |
본사 위치 | 뉴욕 시 |
본사 국가 | 미국 |
모기업 | 벨 전화 회사 (1877년–1885년) AT&T (1885년–1983년) |
역사 | |
설립 | 1877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에 의해 설립 |
독점 시기 | 1877년-1982년 |
해체 | 반독점법 위반으로 해체 |
소송 | 동의 판결에 의한 해체 |
관련 정보 | |
종업원 수 | 1980년대 초반 약 100만 명 |
서비스 제공 | 전화 서비스 |
기업 문화 | '마 벨' 이라는 별명으로 불림 |
경제적 영향 | |
1984년 기준 150 달러의 가치 | 약 달러 |
기타 | |
관련 기업 | 벨 시스템 24 과는 관련 없음 |
2. 역사
1877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설립한 아메리칸 벨 전화 회사(American Bell Telephone Company)는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첫 전화 교환국을 열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미국 주요 도시에 지역 교환국이 빠르게 생겨났고, 이들 초기 전화 프랜차이즈를 묶어 '벨 시스템'(Bell System)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용어는 미국 전화전신회사(AT&T)가 소유한 모든 전화 회사를 포괄하게 되었다.
원래 장거리 통신 서비스를 위해 설립되었던 자회사 AT&T는 1899년, 규제 및 세금 환경이 더 유리한 뉴욕으로 본사를 옮기며 모회사인 아메리칸 벨 전화 회사의 자산을 인수하고 벨 시스템 전체를 이끌게 되었다. 1907년 시어도어 뉴턴 베일 사장의 지휘 아래 "하나의 정책, 하나의 시스템, 보편적 서비스(One Policy, One System, Universal Service)"라는 기치 아래[2][5], 웨스턴 유니온을 포함한 경쟁사들을 인수하며 독점 체제를 강화했다.[2][4]
벨 시스템의 급격한 독점 강화는 정부의 개입을 불렀다. 1913년, 연방 정부의 반독점 소송 압력에 직면한 AT&T는 킹스버리 합의를 통해 해체나 국유화를 피하는 대신, 웨스턴 유니온을 매각하고 독립 전화 회사들의 장거리망 접속을 허용해야 했다.[1] 이후 1934년부터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AT&T에 대한 규제를 담당했다.
이러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벨 시스템은 AT&T 장거리 통신부, 장비 제조사인 웨스턴 일렉트릭, 연구 개발 기관인 벨 연구소, 그리고 지역 서비스를 담당하는 벨 운영 회사 등을 통해 강력한 수직적 통합 구조를 유지하며 성장했다. 전화 서비스 확산과 함께 벨 시스템은 세계 최대 기업으로 발돋움했지만, 지속적인 독점 논란 끝에 1984년 미국 법무부와의 합의에 따라 해체되어 여러 지역 회사로 분리되었다.[1]
2. 1. 벨 전화 회사 설립과 초기 성장 (1877-1899)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은 1876년 3월 7일 미국에서 전화기 발명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2][3][4][11][12][13] 이듬해인 1877년, 벨의 이름을 딴 벨 전화 회사(Bell Telephone Company)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최초의 전화 교환국을 개설했다.[11][12][13] 이후 몇 년 안에 미국 주요 도시마다 지역 교환국 회사들이 설립되었다. 초기에 '벨 시스템'(Bell System)이라는 이름은 이러한 전화 프랜차이즈들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며, 점차 벨 전화 회사가 소유한 모든 전화 회사를 포괄하는 용어가 되었다. 이 회사들은 내부적으로 관련 회사(associated companies), 지역 지주 회사(regional holding companies), 또는 나중에 벨 운영 회사(Bell operating companies, BOCs)로 불렸다.
1885년, 벨 전화 회사는 뉴욕과 시카고 및 그 이상의 지역 간 장거리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 AT&T를 자회사로 설립했다.
벨의 원래 특허가 15년 후인 1894년에 만료되자 전화 시장에는 경쟁이 치열해졌다. 약 6,000개의 새로운 전화 회사가 생겨났고, 이로 인해 벨 전화 회사는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2][4]
1899년, 자회사였던 AT&T는 모회사인 아메리칸 벨 전화 회사(American Bell Telephone Company)의 자산을 인수했다.[11] 이는 아메리칸 벨의 본사가 있던 보스턴보다 뉴욕의 규제 및 세금 관련 규정이 더 완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인수를 통해 AT&T는 벨 시스템 전체를 총괄하는 모회사가 되었다. 이후 '벨 시스템'과 그 별명인 '마 벨'(Ma Bell)은 일반적으로 AT&T 산하의 모든 회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 2. AT&T의 벨 시스템 장악과 독점 강화 (1899-1913)
1899년, 미국 전화전신회사(AT&T)는 모회사인 아메리칸 벨 전화 회사의 자산을 인수했다.[11] 이는 기존 아메리칸 벨의 본사가 있던 보스턴보다 뉴욕의 규제 및 세금 환경이 더 유리했기 때문으로, 이 인수를 통해 AT&T는 벨 시스템 전체를 지배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 이후 '벨 시스템'과 그 별명인 '마 벨'(Ma Bell)은 일반적으로 AT&T 산하의 모든 회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당시 벨 시스템은 크게 다음과 같은 4개의 주요 부서로 구성되어 운영되었다.
부서 | 주요 역할 |
---|---|
AT&T 장거리 통신 | 지역 간 장거리 및 국제 통신 서비스 제공 |
웨스턴 일렉트릭 | 벨 시스템의 장비 제조 및 공급 담당 |
벨 연구소 | AT&T와 웨스턴 일렉트릭을 위한 연구 개발 수행 |
벨 운영 회사(BOCs) | 각 지역 내 시내 전화 서비스 제공 |
1907년, 시어도어 뉴턴 베일이 AT&T 사장으로 복귀하면서[2][4] 벨 시스템의 독점 체제는 더욱 강화되었다. 베일은 "하나의 정책, 하나의 시스템, 보편적 서비스(One Policy, One System, Universal Service)"라는 슬로건을 내걸고[2][5], 단일화된 국가 전화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삼았다. 이는 이후 70년간 AT&T의 핵심 경영 철학으로 자리 잡았다.[4] 베일의 주도 하에 AT&T는 웨스턴 유니온을 비롯한 여러 소규모 경쟁 전화 회사들을 공격적으로 인수하며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갔다.[2][4] --
AT&T의 급격한 독점 강화에 대해 미국 연방 정부는 1913년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고, 이는 킹스버리 합의로 이어졌다. 이 합의를 통해 AT&T는 회사 해체나 국유화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었지만, 대신 인수한 웨스턴 유니온을 다시 매각해야 했으며, 경쟁 관계가 아닌 독립 전화 회사들이 AT&T의 장거리 통신망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해야만 했다. 이는 AT&T의 무분별한 독점 확장에 제동을 건 중요한 조치였다.[1]
장비 제조(웨스턴 일렉트릭)부터 연구 개발(벨 연구소), 지역 및 장거리 서비스 운영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통제하는 벨 시스템의 수직적 통합 구조는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벨 시스템은 자사에서 제조하거나 판매하지 않은 전화 장비를 고객이 임의로 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었다. 만약 다른 종류의 전화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고객은 해당 기기를 직접 구매한 뒤 벨 시스템에 제공하여 내부 회선 작업을 거치고, 이에 대한 서비스 요금과 월별 임대료까지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불편을 겪었다.
2. 3. 킹스버리 합의와 연방 정부 규제 (1913-1934)

1913년, AT&T가 소유한 벨 시스템의 전화 시스템 독점이 심화되자 연방 정부는 반독점법 위반을 근거로 규제에 나섰다.[1][11][14] 정부의 소송 제기 위협에 직면한 AT&T는 미국 법무부와 법정 외 합의인 킹스버리 합의(Kingsbury Commitment)를 체결했다.[2][5][11][14]
이 합의에 따라 AT&T는 보유하고 있던 웨스턴 유니온(Western Union) 주식 3000만달러 상당을 매각해야 했으며,[2] 경쟁 관계에 있는 독립 전화 회사들이 AT&T의 장거리 전화망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해야 했다.[1][2][4][6][11][13][15] 또한 주간 통상 위원회(Interstate Commerce Commission)의 허가 없이는 다른 독립 회사를 인수할 수 없다는 제약을 받게 되었다.[2][4][6][11][13][15] 이러한 양보를 통해 AT&T는 벨 시스템의 강제 해체나 국유화를 피할 수 있었다.[1]
킹스버리 합의 이후에도 통신 분야에 대한 정부 규제는 이어졌으며, 1934년부터는 새로 설립된 연방 통신 위원회(FCC)가 AT&T에 대한 포괄적인 규제를 담당하게 되었다.[1]
2. 4. 전국적 독점과 기술 혁신 (1934-1984)
1934년 이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AT&T의 규제를 맡게 되었다. 이 시기 벨 시스템은 강력한 수직적 독과점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전화기 및 관련 장비는 AT&T의 완전 자회사인 웨스턴 일렉트릭이 독점적으로 제조했으며, 각 지역의 벨 운영 회사들은 수익의 일정 비율을 벨 연구소에 라이선스 비용으로 지불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벨 시스템은 1940년까지 미국 내 전화 서비스 대부분(지역 및 장거리 통화부터 전화 단말기까지)을 사실상 장악했다. 이 막강한 지위를 이용하여 벨 시스템은 고객들이 벨 시스템이 제조하거나 판매하지 않은 장비를 요금 지불 없이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을 금지했다. 예를 들어, 고객이 벨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않는 디자인의 전화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해당 전화기를 직접 구매한 뒤 벨 시스템에 제출하여 내부 회로를 개조하고, 서비스 요금과 월별 임대료까지 지불해야만 사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독점적 행태에 대해 1949년 미국 법무부는 AT&T와 벨 시스템 운영 회사들이 통신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를 남용하여 관련 기술 분야에서 부당한 이득을 취하려 한다며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이 소송은 1956년 합의 명령(consent decree)으로 이어졌다. 이 합의에 따라 AT&T는 미국 전국 전화망의 85%와 특정 정부 계약에 대한 지분은 유지할 수 있었지만, 캐나다와 카리브해 지역에서의 사업은 포기해야 했다. 이에 따라 웨스턴 일렉트릭은 1956년 캐나다의 제조 자회사였던 노텔 네트웍스 (당시 Northern Electric)를 매각했고, AT&T는 1975년까지 벨 캐나다의 지분을 정리했다. 벨 시스템의 카리브해 지역 운영 회사들은 ITT에 매각되었다.
1956년 합의 명령은 벨 시스템에게 보유한 모든 특허를 로열티 없이(royalty-free) 공개하도록 강제했다. 이는 트랜지스터 발명과 같은 벨 연구소의 혁신적인 기술들이 외부 기업들에게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특히 전자 및 컴퓨터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7] 스티븐 웨버(Steven Weber) 교수는 그의 저서 "오픈 소스의 성공(The Success of Open Source)"에서 이 합의 명령이 이후 오픈 소스 운동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고 평가했다.[8]
1956년 합의에도 불구하고 벨 시스템은 여전히 미국 내 통신 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유지했다. 또한, 일본의 NEC 지분 보유 및 일본전신전화 (NTT)와의 관계 등을 통해 국제적인 통신 표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벨 시스템의 독점적 지위에 대한 비판은 계속되었고, 결국 1974년 미국 법무부는 다시 한번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이 소송은 벨 시스템 회사들이 통신 산업의 경쟁을 저해하는 불법적인 관행을 지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오랜 법정 공방 끝에 1982년 1월 8일, AT&T와 법무부는 소송을 해결하기로 합의했으며, 이는 1956년 합의 명령을 대체하는 새로운 조치로 이어졌다. 이 합의의 결과로 1984년, 마침내 벨 시스템은 해체되었다.[1]
2. 5. 벨 시스템 해체와 지역 벨 운영 회사 분리 (1984)
1974년, 미국 법무부는 AT&T와 벨 시스템(Bell System) 계열사들이 통신 산업에서의 독점적 지위를 남용하여 경쟁을 저해하고 있다는 이유로 반독점법 위반 소송을 제기했다.[1] 이는 벨 시스템이 통신 기술 분야에서 부당한 우위를 점하려 한다는 비판에 따른 것이었다. 오랜 법정 공방 끝에 1982년 1월 8일, AT&T와 법무부는 소송 합의에 이르렀다. 이 합의는 1956년에 맺어졌던 기존의 합의 명령[16]을 대체하는 것이었다.합의 결과에 따라, 1984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거대 통신 기업이었던 벨 시스템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1] 기존의 AT&T는 장거리 통신 사업 부문(AT&T 커뮤니케이션즈), 통신 장비 제조 부문(AT&T 테크놀로지스), 연구 개발 부문(벨 연구소) 등은 유지했지만, 가장 큰 사업 부문이었던 지역 전화 서비스는 7개의 독립적인 지역 벨 운영 회사(Regional Bell Operating Companies, RBOCs)로 분리되었다. 이들 분리된 회사들은 흔히 '베이비 벨(Baby Bells)'이라고 불렸다.
해체 당시 AT&T가 일부 지분만 소유하고 있던 신시내티 벨(Cincinnati Bell)과 서던 뉴잉글랜드 텔레폰(Southern New England Telephone)은 독립 회사로 완전히 분리되었다.
아래는 1984년 벨 시스템 해체로 인해 분리된 주요 지역 벨 운영 회사(RBOC) 목록이다.
지역 벨 운영 회사 (베이비 벨) | 주요 자회사 (분할 당시) |
---|---|
아메리테크 (American Information Technologies Corporation) | 일리노이 벨, 인디애나 벨, 미시간 벨, 오하이오 벨, 위스콘신 벨 |
벨 애틀랜틱 | 뉴저지 벨, 펜실베이니아 벨, 체서피크 앤 포토맥 전화 회사 (메릴랜드, 웨스트버지니아, 버지니아 포함), 다이아몬드 스테이트 전화 |
벨사우스 | 서던 벨, 사우스 센트럴 벨 |
NYNEX | 뉴욕 전화, 뉴잉글랜드 전화전신 |
퍼시픽 텔레시스 그룹 | 퍼시픽 벨, 네바다 벨 |
사우스웨스턴 벨 코퍼레이션 | 사우스웨스턴 벨 전화 회사 |
US 웨스트 | 노스웨스턴 벨, 퍼시픽 노스웨스트 벨, 마운틴 스테이츠 전화전신, 말허어 홈 전화 |
공동 연구 기관 | 벨 커뮤니케이션즈 리서치 (Bellcore, 모든 RBOC 공동 소유) |
이 해체 조치로 인해 미국 통신 시장은 큰 변화를 맞이했으며, 이후 지역 벨 운영 회사들 간의 인수 합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통신 시장 구조는 다시 재편되었다.
3. 주요 부서 및 자회사
1877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의 이름을 딴 아메리칸 벨 전화 회사(American Bell Telephone Company)가 설립된 이후, 미국 주요 도시에 지역 전화 교환국이 생겨났다. 초기에 '벨 시스템'(Bell System)은 이러한 초기 전화 프랜차이즈들을 지칭했으나, 점차 미국 전화전신회사(AT&T)가 소유한 모든 전화 회사를 아우르는 용어가 되었다. 이 회사들은 내부적으로 '제휴 회사', '지역 지주 회사', 또는 '벨 운영 회사'(BOCs) 등으로 불렸다.[1]
1899년, 장거리 통신 서비스를 위해 설립되었던 AT&T는 모회사인 아메리칸 벨 전화 회사의 자산을 인수하며 벨 시스템 전체의 모회사가 되었다. 이는 당시 아메리칸 벨 본사가 있던 보스턴보다 뉴욕의 규제 및 세금 환경이 유리했기 때문이다. 이후 벨 시스템과 그 별칭인 "마 벨"(Ma Bell)은 일반적으로 AT&T 산하의 모든 회사를 통칭하게 되었으며, 주로 다음 5개의 주요 부서로 구성되었다.[1]
1984년 해체 직전, 벨 시스템의 주요 자회사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18]
구분 | 회사명 | 주요 역할/특징 |
---|---|---|
모회사 | 미국 전화전신회사(AT&T) | 지주회사 및 장거리 통신 사업자 |
지역 운영 회사 | 벨 오브 펜실베이니아(Bell of Pennsylvania) | |
C&P 전화(C&P Telephone) | ||
메릴랜드 C&P 전화(C&P Telephone of Maryland) | ||
웨스트 버지니아 C&P 전화(C&P Telephone of West Virginia) | ||
버지니아 C&P 전화(C&P Telephone of Virginia) | ||
다이아몬드 스테이트 전화회사(Diamond State Telephone Company) | ||
일리노이 벨(Illinois Bell) | ||
인디애나 벨(Indiana Bell) | ||
미시간 벨(Michigan Bell) | ||
마운틴 벨(Mountain Bell) | ||
말허어 벨(Malheur Bell) | 마운틴 벨의 자회사 | |
뉴잉글랜드 전화(New England Telephone) | ||
뉴저지 벨(New Jersey Bell) | ||
뉴욕 전화(New York Telephone) | ||
네바다 벨(Nevada Bell) | ||
노스웨스턴 벨(Northwestern Bell) | ||
오하이오 벨(Ohio Bell) | ||
퍼시픽 전화(Pacific Telephone) | ||
퍼시픽 노스웨스트 벨(Pacific Northwest Bell) | ||
사우스 센트럴 벨(South Central Bell) | ||
서던 벨(Southern Bell) | ||
사우스웨스턴 벨(Southwestern Bell) | ||
위스콘신 벨(Wisconsin Bell) | ||
일부 소유 지역 운영 회사 | 신시내티 벨(Cincinnati Bell) | AT&T 지분 22.7% |
서던 뉴잉글랜드 전화(Southern New England Telephone) | AT&T 지분 16.8% | |
기타 자회사 | 웨스턴 일렉트릭 주식회사 | 장비 제조 |
벨 전화 연구소 주식회사 | 연구 개발 (AT&T와 웨스턴 일렉트릭 공동 소유) | |
벨컴(Bellcomm), Inc. | 1963–1972 운영, 아폴로 계획 지원 |
이 외에도 신시내티 벨이나 서던 뉴잉글랜드 전화처럼 AT&T가 일부 지분만 소유하여 1984년 해체 대상에서 제외된 회사들도 있었다. 또한, 해체 이후 루슨트 테크놀로지스(웨스턴 일렉트릭 및 벨 연구소 포함), 어바이어, 아이코넥티브(구 벨코어) 등 벨 시스템에서 분할된 여러 회사들이 생겨났다.
3. 1. AT&T 장거리 통신부 (AT&T Long Lines)
벨 시스템의 주요 4개 부서 중 하나이다.[11][12][13] 주요 역할은 장거리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 도시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었다.3. 2. 웨스턴 일렉트릭 (Western Electric)
웨스턴 일렉트릭(Western Electric Company)은 벨 시스템의 4개 주요 부서 중 하나로, 장비 제조 부문 역할을 담당했다.[1] AT&T의 완전 자회사였으며, 벨 시스템의 전화기 및 관련 장비를 제조했다. 전화 회사는 수입의 일정 비율을 벨 연구소(Bell Labs)에 라이선스 비용으로 지불했다.이러한 수직 독점의 결과로, 벨 시스템은 1940년까지 미국 전화 서비스의 대부분을 시내 및 장거리 서비스부터 전화기까지 사실상 소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벨사는 고객이 벨사 제품 또는 벨사가 판매하지 않는 장비를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었다.
웨스턴 일렉트릭은 캐나다 사업을 위해 제조 자회사인 노던 일렉트릭(Northern Electric)을 두었다. 1949년, 미국 법무부는 AT&T와 벨 시스템 사업체들이 통신 분야 독점을 이용해 부당한 우위를 점하려 한다며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그 결과 1956년에 체결된 합의 명령에 따라 웨스턴 일렉트릭은 1956년에 노던 일렉트릭을 분할했다.[16]
3. 3. 벨 연구소 (Bell Labs)
벨 연구소(Bell Labs)는 과거 AT&T의 기업 연구 부서였던 벨 전화 연구소(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eng)를 가리킨다.[11][12][13] 벨 시스템 내에서 연구 개발 부서의 역할을 담당했으며, 지역 벨 전화 회사들은 수입의 일정 비율을 벨 연구소에 라이선스 비용으로 지불했다.1995년, 벨 연구소는 AT&T에서 분할되어 연구 및 장비 제조 회사인 루슨트 테크놀로지스 소속이 되었다. 이후 2006년 루슨트 테크놀로지스가 프랑스 회사 알카텔과 합병하여 알카텔-루슨트가 되었고, 2016년에는 핀란드의 노키아 코퍼레이션에 인수되면서 벨 연구소는 노키아 벨 연구소(Nokia Bell Labs)로 이름이 바뀌었다.
벨 연구소는 1956년 미국 법무부와의 반독점 소송 합의 결과, 보유한 모든 특허를 로열티 프리로 제공해야 했다. 이는 특히 전자 장비 및 컴퓨터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크게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16] 또한, 스티븐 웨버(Steven Weber)는 자신의 저서 "''The Success of Open Source''"에서 이 합의 판결이 오픈 소스 운동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17]
3. 4. 벨 운영 회사 (Bell Operating Companies)
'벨 시스템'(Bell System)이라는 용어는 초기에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의 이름을 딴 아메리칸 벨 전화 회사(American Bell Telephone Company)가 설립한 지역 전화 프랜차이즈들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 시간이 지나면서 이 용어는 AT&T가 소유한 모든 전화 회사를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1]이들 지역 전화 회사들은 처음에는 내부적으로 '제휴 회사'(associated companies)나 '지역 지주 회사'(regional holding companies)로 불렸으나, 나중에는 벨 운영 회사(Bell Operating Companies, BOCs)라는 명칭으로 통칭되었다.[1][11][12][13] 벨 운영 회사의 주요 역할은 각 지역 내에서 시내 전화 서비스(local exchange telephone service)를 제공하는 것이었다.[1]
1899년 AT&T가 모회사인 아메리칸 벨 전화 회사를 인수한 후, 벨 시스템은 AT&T를 중심으로 재편되었다.[11] 벨 시스템은 크게 다음과 같은 주요 부서들로 구성되었다.[1]
- AT&T 장거리 통신부: 지역 교환국 간 연결 및 장거리/국제 통신망 제공
- 웨스턴 일렉트릭(Western Electric Company): 장비 제조 담당
- 벨 연구소(Bell Labs): 연구 개발 담당
- 벨 운영 회사(BOCs): 지역 시내 전화 서비스 제공
3. 5. 기타 자회사
AT&T와 지역 벨 운영 회사 외에도, 1984년 해체 직전 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주요 자회사 및 지분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18]- Western Electric Co., Inc.: 벨 시스템의 장비 제조를 담당하는 핵심 자회사였다.
-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 AT&T와 웨스턴 일렉트릭이 공동으로 소유한 연구 개발 회사였다.
- Cincinnati Bell, Inc.: AT&T가 22.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
- The Southern New England Telephone Company: AT&T가 16.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
- Bellcomm, Inc.: 1963년부터 1972년까지 운영된 자회사였다.
과거 벨 시스템은 미국 외 지역에서도 사업을 운영했다. 대표적으로 캐나다에서는 지역 운영 회사인 Bell Canada(1880년 설립)와 웨스턴 일렉트릭의 자회사인 장비 제조사 Northern Electric(1914년 설립)를 소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1956년 반독점 소송 합의 명령의 영향 등으로 노던 일렉트릭은 1956년에, 벨 캐나다는 1975년에 각각 벨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카리브해 지역의 운영 회사들은 ITT에 매각되었다. 또한, 일본의 일본전기(NEC)는 1899년 웨스턴 일렉트릭이 54%의 지분을 투자하여 설립한 합작 회사였다.
4. 해체 이후
1984년 벨 시스템 해체 이후, 지역 운영 회사들 간에 여러 차례 합병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과거 벨 시스템의 일부 구성 요소는 현재 역사적인 벨 시스템과는 독립적인 회사들(외국 통신 회사 포함)이 소유하게 되었다. 현재의 구체적인 회사 구조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현존하는 지역 벨 운영 회사 (RBOC)
1984년 이후, 지역 운영 회사들 간에 여러 차례 합병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과거 벨 시스템의 일부 구성 요소는 현재 역사적인 벨 시스템과는 독립적인 회사들(외국 통신 회사 포함)이 소유하고 있다. 현재 회사들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AT&T'''(AT&T Inc.), 지주회사
- AT&T Corp., 현재 자회사
- AT&T 텔레홀딩스(Ameritech Corporation)(구 아메리테크), 현재 자회사. 현재는 없어진 퍼시픽 텔레시스도 포함
- 일리노이 벨 전화 회사, 지역 LEC
- 인디애나 벨 전화 회사, 현재 존재하는 지역 LEC
- 미시간 벨 전화 회사, 지역 LEC
- 퍼시픽 벨 전화 회사, 지역 LEC
- 네바다 벨 전화 회사, 지역 LEC, MFJ에서 제외
- 오하이오 벨 전화 회사, 지역 LEC
- 위스콘신 벨 Inc., 지역 LEC
- 벨사우스 LLC, 현재 자회사. 두 운영 회사가 하나로 합병됨:
- 벨사우스 통신 LLC, 지역 LEC, 사우스 벨 & 사우스 센트럴 벨 포함
- 사우스웨스턴 벨 전화 회사, 지역 LEC
- '''베라이즌 커뮤니케이션즈'''(Verizon Communications, Inc.), (구 벨 애틀랜틱 Corporation), 지주회사
- NYNEX LLC, 전 RBOC 지주회사
- 베라이즌 뉴잉글랜드 Inc., 지역 LEC
- 베라이즌 뉴욕 Inc., 지역 LEC
- 베라이즌 델라웨어 LLC, 지역 LEC
- 베라이즌 메릴랜드 Inc., 지역 LEC
- 베라이즌 뉴저지 Inc., 지역 LEC
- 베라이즌 펜실베이니아 Inc., 지역 LEC
- 베라이즌 워싱턴 D.C. Inc., 지역 LEC
- 베라이즌 버지니아 Inc., 지역 LEC
- '''루멘 테크놀로지스'''(Lumen Technologies, Inc.)(구 ''센추리링크 Inc.''), 독립 LEC 지주회사
- 퀘스트 커뮤니케이션즈 인터내셔널 Inc., 2011년 인수된 지주회사; 원래 비벨 회사였으며, 2000년 U S WEST를 인수 및 합병함.
- 퀘스트 서비스 코퍼레이션, 퀘스트 기업 구조 내 지주회사
- 퀘스트 코퍼레이션, 지역 LEC, 원래 마운틴 벨, 없어진 말허어 벨, 노스웨스턴 벨, 퍼시픽 노스웨스트 벨 포함
;기타 "벨 운영 회사"
다음 전화 회사는 베이비 벨과는 별개로 간주된다.
- '''신시내티 벨'''(Cincinnati Bell, Inc.), 독립 LEC 지주회사
- 신시내티 벨 전화 회사 LLC, AT&T가 1984년 이전에 27.8%를 소유했던 LEC로, 1984년 분할에서 별도로 남게 됨
- '''컨솔리데이티드 커뮤니케이션즈''' Holdings, Inc., 독립 LEC 지주회사
- 페어포인트 커뮤니케이션즈 Inc., 2017년 컨솔리데이티드에 매각된 LEC 지주회사
- 컨솔리데이티드 커뮤니케이션즈 오브 노던 뉴잉글랜드 Company LLC, 2008년 베라이즌 뉴잉글랜드 회선이 메인주와 뉴햄프셔주에 매각되었을 때 페어포인트에서 생성된 지역 LEC
- 컨솔리데이티드 커뮤니케이션즈 오브 버몬트 Company LLC, 2008년 베라이즌 뉴잉글랜드 회선이 버몬트주에 매각되었을 때 페어포인트에서 생성된 지역 LEC
- '''프론티어 커뮤니케이션즈 코퍼레이션''', 독립 LEC 지주회사
- 프론티어 커뮤니케이션즈 ILEC 홀딩스 Inc., 베라이즌에서 만들어 2010년 프론티어에 매각된 LEC 지주회사
- 프론티어 웨스트 버지니아 Inc., 지역 LEC, 구 C&P 웨스트 버지니아 전화
- 사우스 뉴잉글랜드 전화 회사, AT&T가 1984년 이전에 16.8%를 소유했던 지역 LEC로, 1984년 분할에서 별도로 남게 됨 (이후 SBC에 인수된 후 SBC-AT&T 합병 후 새로운 AT&T에 의해 프론티어에 매각됨)
;기타 "벨 시스템" 회사
다음 회사들은 1984년 이후 AT&T Corp. 또는 베이비 벨에서 분할되었으며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 '''루슨트 테크놀로지스''', 1995년 분할된 연구 및 장비 제조 회사; 2006년 프랑스 회사 알카텔과 합병하여 알카텔-루슨트를 설립했으며, 2016년 핀란드의 노키아 코퍼레이션에 인수됨
- 웨스턴 일렉트릭 회사 Inc., 1984년 분할 당시 해당 이름을 사용하지 않게 된 전 통신 및 녹음 장비 제조 회사
- 알카텔-루슨트 벨, 1882년 웨스턴 일렉트릭에 의해 벨기에 앤트워프에서 설립된 알카텔-루슨트의 자회사; ITT와 알카텔을 통해 알카텔-루슨트의 소유로 넘어옴
- '''벨 전화 연구소 Inc.''', 전 AT&T 기업 연구 부서인 벨 연구소: 루슨트 테크놀로지스로 분할되어 2016년 노키아 벨 연구소가 됨
- '''어바이어'''(Avaya, Inc.), 2000년 루슨트에서 분할된 장비 제조 회사
- '''LSI 코퍼레이션''', 지주회사
- '''아제어 시스템즈''', 2000년 설립된 루슨트의 전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자회사; 2002년 분할되었고 2007년 LSI에 인수됨
- '''시스티맥스 솔루션즈''', 웨스턴 일렉트릭 구조화 케이블링 부서, 한때 AT&T 네트워크 시스템즈의 일부였으며, 2002년 어바이어에서 분할되어 컴스코프의 일부가 됨
- 아이코넥티브, 구 텔코르디아 및 벨 커뮤니케이션즈 리서치(벨코어)
1991년부터 베이비 벨은 "벨 애틀랜틱 - 델라웨어 Inc." 또는 "U S WEST 커뮤니케이션즈 Inc."와 같이 모회사 이름에 따라 운영 회사를 통합하거나 이름을 변경하여 기업 이미지를 통일하기 시작했다.
4. 2. 기타 벨 시스템 관련 회사
1956년 분할 이전, 벨 시스템은 핵심 운영 회사 외에도 여러 관련 회사를 포함하고 있었다. 특히 미국 외 지역에서의 활동이 주목할 만하다.'''1956년 이전 해외 관련 회사'''
- '''노텔 네트웍스(Nortel Networks Corporation)''': 원래 이름은 노던 텔레콤(Northern Telecom)으로, 캐나다의 장비 제조 회사였다.
- * 노던 일렉트릭(Northern Electric): 웨스턴 일렉트릭의 캐나다 자회사로 통신 장비를 제조했다. 1956년 웨스턴 일렉트릭에서 분리되었다. AT&T는 1975년까지 벨 캐나다(Bell Canada)를 소유했다.
- * 도미니언 일렉트릭(Dominion Electric): 노던 일렉트릭 산하의 녹음 장비 제조 회사였다.
- '''카리브해 지역 운영 회사''': 벨 시스템은 카리브해 지역에서도 여러 운영 회사를 소유했으나, 1956년 합의 명령 이후 ITT에 매각되었다.
- '''NEC''': 일본의 주요 전기전자 회사인 NEC는 1899년 웨스턴 일렉트릭이 54%의 지분을 투자하여 설립한 합작회사였다. NEC는 웨스턴 일렉트릭의 북미 통신 장비 설계를 일본 실정에 맞게 조정하고 자체 연구 개발을 수행했다. 이 영향으로 현재까지도 일본의 통신 장비 및 네트워크 표준은 유럽식 ITU-T 표준보다는 북미식 ANSI 및 iconectiv 표준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 '''NTT''':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 점령기 동안,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재건 계획의 일환으로 AT&T가 일본의 통신 사업 운영을 관리했으며, 이는 이후 일본전신전화공사(현 NTT) 설립의 기반이 되었다.
'''일부 지분 소유 회사'''
벨 시스템은 일부 지역 전화 회사의 지분만 소유하기도 했다. 1984년 해체 당시 AT&T는 다음 회사들의 지분을 일부 보유하고 있었다.
- 신시내티 벨(Cincinnati Bell) (22.7% 소유)
- 서던 뉴잉글랜드 전화(Southern New England Telephone) (16.8% 소유)
이 회사들은 1984년 해체 과정에서 베이비 벨과는 별개의 독립 회사로 남게 되었다.
'''해체 이후 관련 독립 회사'''
벨 시스템 해체 이후, 기존 벨 시스템과 관련되었거나 자산을 인수한 독립 통신 회사들이 존재한다.
- '''신시내티 벨'''(Cincinnati Bell, Inc.): 독립 지역 통신 사업자(LEC) 지주회사. 1984년 해체 시 AT&T의 지분 소유에도 불구하고 독립적으로 유지되었다.
- '''컨솔리데이티드 커뮤니케이션즈''' Holdings, Inc.: 독립 LEC 지주회사. 2017년 페어포인트 커뮤니케이션즈를 인수했다. 페어포인트는 2008년 베라이즌 뉴잉글랜드의 메인주, 뉴햄프셔주, 버몬트주 회선을 인수하여 설립된 회사이다.
- '''프론티어 커뮤니케이션즈 코퍼레이션''': 독립 LEC 지주회사. 프론티어 웨스트 버지니아(구 C&P 웨스트 버지니아 전화)와 서던 뉴잉글랜드 전화 회사 등을 인수했다. 서던 뉴잉글랜드 전화는 1984년 해체 시 독립했으나 이후 SBC(후에 AT&T)에 인수되었다가 다시 프론티어에 매각되었다.
'''해체 이후 분사된 회사'''
1984년 해체 이후 AT&T나 베이비 벨에서 분사되어 통신 장비 제조, 연구 개발 등 다른 사업 분야를 담당하게 된 회사들도 있다.
회사명 | 설명 | 현황 |
---|---|---|
루슨트 테크놀로지스 | 1995년 AT&T에서 분사된 연구 및 장비 제조 회사. 구 웨스턴 일렉트릭 및 벨 연구소 포함. | 2006년 프랑스 알카텔과 합병하여 알카텔-루슨트가 되었고, 2016년 핀란드 노키아에 인수됨. 벨 연구소는 노키아 벨 연구소가 됨. |
어바이어 (Avaya, Inc.) | 2000년 루슨트에서 분사된 기업용 통신 장비 및 서비스 회사. | 독립 기업으로 운영 중. |
LSI 코퍼레이션 | 2007년 아제어 시스템즈를 인수한 반도체 회사. 아제어는 2002년 루슨트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사업부가 분사된 회사. | 2014년 브로드컴에 인수됨. |
시스티맥스 솔루션즈 (Systimax Solutions) | 구 웨스턴 일렉트릭의 구조화 케이블링 부서. AT&T 네트워크 시스템즈, 어바이어를 거쳐 분사됨. | 2004년 컴스코프에 인수됨. |
아이코넥티브 (iconectiv) | 구 벨코어(Bell Communications Research, Bellcore) 또는 텔코르디아(Telcordia). 베이비 벨들이 공동 소유했던 연구 및 표준 개발 기관. | 독립 기업으로 운영 중. 통신 산업의 번호 관리, 상호 연결 등 서비스 제공. |
5. 벨 시스템의 유산과 영향
벨 시스템의 서비스 마크, 특히 1969년 솔 바스(Saul Bass)가 디자인한 원 안에 벨이 들어간 로고와 "Bell System"이라는 글자는 1984년 1월 1일 AT&T가 지역 운영 회사들을 분할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Bell"이라는 상표와 로고, 그리고 다른 관련 상표들은 현재 AT&T, 베라이존(Verizon), 센추리링크(CenturyLink), 알타파이버(Altafiber)를 포함한 여러 후신 회사들이 소유하고 있다.[9] 캐나다를 제외한 국제적인 상표권은 이들 회사의 합작 투자 회사인 벨 IP 홀딩스(Bell IP Holdings)가 보유하고 있다.
1984년 분할된 여러 회사 중 벨사우스(BellSouth)는 1984년부터 2006년 새로운 AT&T와 합병될 때까지 벨 이름과 로고를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홍보했다. 다른 많은 회사들도 인수나 리브랜딩 과정에서 벨 이름이나 로고 사용을 중단했는데, 이는 분할 후 10년 이상 지난 시점이었다. 일부 회사들은 상표권을 유지하기 위해 드물게 마크를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베라이존은 2015년 자체 로고를 업데이트하기 전까지 트럭과 공중전화에 벨 로고를 사용했으며, 이전의 US West였던 퀘스트(Qwest)는 노스웨스턴 벨(Northwestern Bell)과 마운틴 벨(Mountain Bell) 이름에 대한 라이선스를 유니칼 엔터프라이즈(Unical Enterprises)에 부여하여 노스웨스턴 벨 이름으로 전화기를 생산하기도 했다.
1984년 각 지역 벨 운영 회사는 벨 마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이름 목록을 할당받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벨 시스템 이름들은 미국 사업계에서 점차 사라졌다. 신시내티 벨(Cincinnati Bell)은 2022년 알타파이버(Altafiber)로 리브랜딩하기 전까지 마지막으로 해당 이름을 사용했지만, 법적인 회사 이름은 신시내티 벨로 유지하고 있다. 사우스웨스턴 벨(Southwestern Bell)은 2002년 모회사 SBC가 모든 계열사를 "SBC" 이름으로 통일하기로 결정할 때까지 벨 이름과 로고를 사용했다. 베라이존(당시 벨 애틀랜틱(Bell Atlantic))은 2000년 베라이존으로 이름을 바꾸기 전까지 벨 이름과 로고를 사용했다. 퍼시픽 벨(Pacific Bell)은 SBC에 인수될 때까지 캘리포니아에서 그 이름(또는 약칭 "PacBell")으로 계속 운영되었다.
캐나다에서는 벨 캐나다(Bell Canada)가 1975년 AT&T로부터 분할된 이후에도 벨 이름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노텔(Nortel)이 노던 텔레콤(Northern Telecom)으로 불리던 시절, 그 연구 개발 부서는 벨 노던 리서치(Bell Northern Research)였다. 벨 캐나다와 그 모회사인 벨 캐나다 엔터프라이즈(Bell Canada Enterprises)는 여전히 벨 이름을 사용하며, 1977년까지는 원 안에 벨이 들어간 로고의 변형을 사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T&T History: The Bell System
http://www.att.com/h[...]
AT&T Corporation
2008-12-22
[2]
웹사이트
Unnatural Monopoly: Critical Moments
http://www.cato.org/[...]
Cato Institute
2008-09-17
[3]
웹사이트
Bell's Telephone
http://sln.fi.edu/fr[...]
Franklin Institute
2008-09-17
[4]
웹사이트
AT&T Milestones in AT&T History
http://www.corp.att.[...]
AT&T
2008-09-17
[5]
웹사이트
AT&T History: The Bell System
http://www.corp.att.[...]
AT&T
2008-09-17
[6]
서적
Telephone: The First Hundred Years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7]
논문
How Antitrust Enforcement Can Spur Innovation: Bell Labs and the 1956 Consent Decree
https://www.aeaweb.o[...]
2020
[8]
웹사이트
The Success of Open Source
https://www.hup.harv[...]
2021-01-04
[9]
특허
USPTO record for trademark serial no. 73727728
http://tarr.uspto.go[...]
[10]
웹사이트
<別添資料1>ベル系地域電話会社の自エリア内発長距離サービスの参入-ベルアトランティックの事例-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1-04-09
[11]
웹사이트
Unnatural Monopoly: Critical Moments
http://www.cato.org/[...]
Cato Institute
2008-09-17
[12]
웹사이트
Bell's Telephone
http://sln.fi.edu/fr[...]
Franklin Institute
2008-09-17
[13]
웹사이트
AT&T Milestones in AT&T History
http://www.corp.att.[...]
AT&T
2008-09-17
[14]
웹사이트
AT&T History: The Bell System
http://www.corp.att.[...]
AT&T
2008-09-17
[15]
서적
Telephone: The First Hundred Years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6]
논문
How Antitrust Enforcement Can Spur Innovation: Bell Labs and the 1956 Consent Decree
https://www.aeaweb.o[...]
2020
[17]
웹사이트
The Success of Open Source
https://www.hup.harv[...]
2021-01-04
[18]
특허
USPTO record for trademark serial no. 73727728
http://tarr.uspto.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