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도 (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도는 한국에서 도로의 일부로, 보행자 및 자전거 등의 통행을 위해 차도와 구분된 공간을 의미한다. 영어권에서는 sidewalk 또는 pavement로 불리며, 고대 로마 시대부터 존재했다. 보도는 자동차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고 안전한 통행을 돕는 역할을 하며, 교통 안전과 환경 개선, 건강 증진, 사회적 활동 공간 제공 등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건설에는 콘크리트, 아스팔트, 벽돌, 돌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며, 일본의 도로구조령에 따라 폭과 구조가 규정된다. 갓길, 보행자 전용 도로, 자전거 보행자 전용 도로 등과 유사한 개념이 있으며, 자연공원에서는 등산로, 탐승보도와 같은 형태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도 - 월드뉴스
    월드뉴스는 한국, 미국, 영국 등 여러 국가의 방송사에서 방영되는 국제 뉴스 프로그램들을 소개하며, 각 프로그램의 특징과 과거 종영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 보도 -
    길은 사람들의 이동을 위해 만들어진 통행로로, 과거에는 생활 통로로 이용되었고 현재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도시와 시골 지역 모두 유지보수, 안전, 환경 문제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보도 (도로)
기본 정보
그림은 여러 보행자가 있는 보도를 보여준다.
여러 보행자가 있는 보도
다른 이름보행로
페이브먼트
풋패스
상세 정보
목적보행자 이동
위치도로 옆
재료아스팔트 콘크리트
콘크리트

벽돌
국가별 정보
캐나다보도
영국페이브먼트
미국사이드워크

2. 용어

한국에서는 '보도'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도로교통법 및 도로구조령에 정의되어 있다.[9] 도로구조령에서는 보도를 "오로지 보행자의 통행에 제공하기 위해, 연석선 또는 울타리 기타 이와 유사한 공작물로 구획하여 설치된 도로의 부분"으로 정의하고 있다.(제2조 제1항 제1호) 도로교통법에서는 "보행자의 통행에 제공하기 위해 연석선 또는 울타리 기타 이와 유사한 공작물에 의해 구획된 도로의 부분"으로 정의한다.(제2조 제1항 제2호)

도로구조령에는 보도 외에 "자전거보행자도로"라는 "자전거 및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도로의 부분이 별도로 정의되어 있다. 반면, 도로교통법에는 자전거보행자도로나 이에 해당하는 용어가 없으며, 도로구조령의 "자전거보행자도로"로 만들어진 것도 도로교통법상에서는 "보도"로 취급된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보행자도로는 도로교통법 제63조의4 제1항의 도로 표지에 의해 "자전거 통행 가능 보도"로 지정된다.

영어권에서는 'sidewalk'(sidewalk|사이드워크영어)가 미국[1]캐나다[2][3]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영국[6] 및 기타 영연방 회원국, 그리고 필라델피아 및 뉴저지 일부와 같은 미국 중부 대서양 지역에서는 'pavement'(pavement|페이브먼트영어)라는 용어가 더 흔하게 사용된다.[7][8] 많은 영연방 국가에서는 'footpath'(footpath|풋패스영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전문적, 토목 공학적 및 법적 용어는 'sidewalk'(sidewalk|사이드워크영어)이며, 영국에서는 'pavement'(pavement|페이브먼트영어)이다.[9]

미국에서 "보도"는 도로 옆의 보행자용 길에 사용된다. "공용 통로" 또는 "다중 이용 통로"는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 모두 사용할 수 있다.[10] "보행로"는 계단, 경사로, 통로 및 보도뿐만 아니라 길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관련 구조물을 포함하는 더 포괄적인 용어이다.[11] 영국에서는 "보행로"라는 용어가 주로 도로에 접하지 않은 길에 사용된다.[12] "공용 통로"라는 용어는 자전거 이용자가 보행자와 동일한 구간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13]

3. 역사

고대 그리스 도시 코린토스는 기원전 4세기에 보도를 건설했고, 로마인들은 보도 건축에 능숙하여 이들을 '세미타스(semitas)'라고 불렀다.[41]

동인도 회사(East India House), 런던 리든홀 가, 1766년. 건물 앞에 6개의 볼라드가 설치되어 보도와 주요 도로를 분리하고 있다.


흙길 옆의 나무 보도, 미국 뉴욕 스태튼아일랜드, 20세기 초


보도는 적어도 4,000년 전부터 존재해 왔다.[14] 중세 시대에는 보행자마차가 구분 없이 좁은 도로를 함께 사용했다. 콜체스터 개선법 1623년과 같이 보행로나 보도의 유지 관리를 위한 초기 시도가 있었지만, 효과는 미미했다.[16]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런던 시는 도로를 정비하고 보행자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파리퐁뇌프(1578–1606)는 보행자와 차량 통행을 분리하는 넓은 보도를 설치하여 도시 경관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19세기에는 유럽의 여러 수도에서 넓은 보도가 도시의 세련됨을 상징하는 요소로 자리 잡았다.

3. 1. 세계의 보도

고대 그리스 도시 코린토스는 기원전 4세기에 보도를 건설했고, 고대 로마인들은 보도를 '세미테(sēmitae)'라고 불렀다.[15] 중세 시대에는 보행자와 마차가 구분 없이 도로를 함께 사용했으나,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보도 설치가 본격화되었다.

1671년에는 "런던 시내의 거리, 골목길 및 공통 통로의 포장 및 청소에 관한 특정 명령, 규칙 및 지침"이 마련되어 모든 거리가 자갈로 보행자를 위해 적절하게 포장될 것을 요구했다. 퍼벡 석재는 내구성이 뛰어난 포장 재료로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도로 중앙의 교통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볼라드가 설치되었다.

영국 하원은 18세기부터 일련의 포장법을 통과시켰다. 1766년의 포장 및 조명법은 런던 시에 런던의 모든 거리에 보행로를 설치하고, 퍼벡 석재로 포장하며(중앙 통행로는 일반적으로 자갈), 경계석으로 도로면보다 높게 만들도록 권한을 부여했다.[17] 19세기에는 크고 넓은 보도가 유럽 수도에 일상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도시의 세련됨을 상징하는 요소가 되었다.

1782년 파리에도 길 가장자리를 한 단 높게 한 보도가 등장했다. 파리의 보도 설치 이유는 오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서였다. 런던과 마찬가지로 단차를 두어 한 단 높은 길이 보도로서 처음으로 도로 옆에 설치되었다.[33][34]

일본에서는 막부 말까지 바퀴가 달린 탈것이 예외적인 존재였고, 길이 기본적으로 보행자를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보도"라는 용어 자체가 근대까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도로에 보도가 등장한 것은 마차가 도입된 막부 말에서 메이지 초기에 걸쳐, 개항장에 만들어진 외국인 거류지에서 처음으로 보도가 탄생했다는 설이 있다. 1862년 (분큐 2년) 8월 21일에 발생한 생맥 사건을 계기로, 각국의 영사들은 에도 막부에 안심하고 피크닉과 말 타기를 즐길 수 있도록 산책로와 공원의 설치를 여러 번 요구했고, 막부는 산책로와 공원의 설치를 허가하여 공원에 앞서 돌을 깐 산책로가 완성되었다.

1805년 (문화 2년) 도카이도교토에서 오쓰 사이 구간에 사람이 걷는 길과 차량을 구분한 도로가 건설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960년대부터 급격한 모터리제이션으로 인해 교통 사고가 다발했고,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 비율이 높아[35] 보차도 분리가 불충분하다는 인식에서 교통안전 시설로서 보도 설치가 추진되었다. 1972년 (쇼와 47년) 5,590킬로미터였던 보도 설치 연장은 1975년(쇼와 50년) 봄에는 39,000킬로미터로 7배 가까이 증가했다.[36]

3. 2. 한국의 보도

한국에서는 근대 이전까지 '보도'라는 용어가 없었으며, 길은 기본적으로 보행자를 위한 공간이었다. 개항 이후 외국인 거류지를 중심으로 보도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1903년 자동차가 처음으로 도입된 이후 보도의 필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으며, 1919년 가로 구조령에 보차도 분리 기준이 포함되었다. 1960년대 이후 급격한 모터리제이션으로 인해 교통 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다.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의 비율이 높았고[35], 보차도 분리가 불충분하다는 인식에서, 교통 안전 시설로서 보도 설치가 본격화되었다. 1972년 5590km였던 보도의 설치 길이는, 1975년 봄에는 39000km로 7배 가까이 증가했다[36]

최근에는 보행자 편의 증진 도로 제도('호코미치' 제도)[39]를 통해 보행자 중심의 도로 공간 조성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보행자 편의 증진 도로는 보행자가 안심하고 쾌적하게 통행하고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정비하고 점용을 유연하게 허용하는 도로를 지정하는 제도이다.[38] 이 제도를 통해 차도를 줄이고 보도를 확대하여 벤치, 테이블과 같은 보행자 편의 증진 시설을 설치하고, 오픈 카페 등을 만드는 것이 원활하게 가능하게 되었다.

4. 주요 특징

자동차모터사이클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고 안전한 통행을 돕는 역할을 한다. 보행자 외에도 자전거, 전동카, 손수레, 리어카, 인력거 등 다양한 이동 수단이 통행할 수 있다. 다만, 킥보드나 전동 스쿠터 등 원동기장치자전거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음주운전 등이 처벌될 수 있다.[1] 횡단보도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건널 수 있도록 돕는 시설이다.

보행자가 런던에서 "포장도로"로 알려진 보도에서 걷고 있다.


핀란드 탐페레의 Kauppakatu에 있는 보도.


가드레일 우측이 보도(좌측은 차도)

5. 장점

보도는 보행자와 차량 간의 상호 작용을 최소화하여 도로 안전에 기여한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보도가 있으면 보도가 없는 도로보다 차량/보행자 사고 발생 가능성이 88.2% 낮다.[21] 플로리다 교통부 연구에서는 보도 설치로 인한 사고 감소 계수가 평균 74%였다.[20]

보도와 대중교통 투자는 차량 운행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시애틀 지역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투자는 차량 운행을 6~8%, CO2 배출량은 1.3~2.2% 감소시켰다.[19]

보도가 있는 지역 거주자는 걷기 운동을 더 많이 해 심혈관 질환, 비만 등 건강 문제 발생률이 낮아진다.[26] 걸어서 학교에 가는 어린이는 집중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27]

일부 보도는 노상 카페, 시장, 버스킹 음악가들을 위한 공간, 다양한 차량의 주차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싱가포르 오차드 로드에서 아메리카 원주민의 버스킹 모습

5. 1. 교통

보도는 보행자와 말, 마차, 자동차 간의 상호 작용을 최소화하여 도로 안전에 기여한다. 보도는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쪽에 하나씩 쌍으로 되어 있으며, 횡단보도는 보행자가 길 양쪽을 건널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20]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보도가 있는 경우 차량/보행자 사고 발생 가능성이 보도가 없는 도로보다 88.2% 낮다. 연구자들은 보도의 존재가 '도로를 따라 걷는' 보행자/자동차 사고의 위험을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도로를 건너다 발생하는 사고는 고려하지 않았다.[21] 플로리다 교통부의 연구에서는 보도 설치로 인한 사고 감소 계수(예상되는 사고 감소량을 추정하는 데 사용)가 평균 74%였다.[20]

보도의 유무는 운전자가 더 낮고 안전한 속도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세 가지 요인 중 하나이다.[22] 그러나 공유 공간 계획과 같이 보도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사고와 교통 체증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보도가 반드시 보행자 안전을 위한 최선의 해결책은 아닐 수 있음을 나타낸다.[23]

5. 2. 환경

보도와 대중교통 투자는 차량 운행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시애틀 지역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투자는 차량 운행을 6~8% 감소시켰고, CO2 배출량은 1.3~2.2% 감소시켰다.[19]

5. 3. 건강

보도가 있는 지역의 거주자는 걷기 운동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어 심혈관 질환, 비만 등 건강 문제 발생률이 낮아진다.[26] 걸어서 학교에 가는 어린이는 집중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27]

5. 4. 사회적 용도

일부 보도는 노상 카페, 시장, 버스킹 음악가들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며,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등 다양한 차량의 주차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1960년대 초반에는 스케이트보딩을 묘사하기 위해 보드 서핑이 자주 사용되었다.[4]

6. 건설

현대에는 콘크리트, 아스팔트, 벽돌, 돌, 판석, 고무 등 다양한 재료가 보도 건설에 사용된다.[29] 북미에서는 콘크리트 보도가 가장 일반적이며, 유럽에서는 타르맥, 아스팔트, 벽돌, 돌 등이 많이 사용된다. 폼암 혼합재와 같이 환경 친화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보도를 건설하기도 하는데, 이는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또는 타르 침투 매캐덤과 같은 석유 기반 재료보다 에너지 집약도가 낮다.

돌 슬래브 보도


미적인 목적으로 벽돌 보도나 돌 슬래브 보도가 사용되기도 한다. 벽돌 보도는 벽돌 망치, 롤러, 때로는 전동 진동기를 사용하여 다진다. 돌 슬래브는 매력적인 외관이 요구되는 경우(예: 역사적인 시내 중심가)에 사용되는데, 이를 "플래그스톤" 또는 "플래그"라고 부른다.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는 1850년대 골드 러시 이후 청석이 CBD의 보도를 포장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다른 대부분의 사용 가능한 재료보다 더 강하고, 풍부하며, 작업하기 쉽다는 것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수평 응력 완화 홈이 있는 콘크리트 보도


미국과 캐나다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보도는 부어진 콘크리트 "리본"으로 구성된다. 포틀랜드 시멘트가 1880년대에 미국에 처음 수입되었을 때, 주요 용도는 보도 건설이었다.[30] 오늘날 대부분의 보도 리본은 약 1.52m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톱질된 가로 방향의 응력 완화 홈으로 제작된다. 이 분할은 지각 변동과 온도 변동의 영향으로 콘크리트 손상을 최소화하고자 했던 기술이다.[31] 그러나 겨울이 추운 지역에서는 얼고 녹는 주기가 반복되고 나무 뿌리가 자라는 경우 결국 수리가 필요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여러 번의 얼고 녹는 주기가 발생하는 기후 변화가 심한 지역에서는 콘크리트 블록이 팽창 조인트라고 하는 분리부를 형성하여 파손 없이 열팽창을 허용한다. 콘크리트가 굳는 동안 수축하기 때문에 보도에 팽창 조인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32]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등에서는 교외의 보도를 타맥으로 건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시 또는 도심 지역의 보도는 주변 거리의 건축물 및 가로 시설물에 따라 슬래브, 돌 또는 벽돌로 건설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7. 구조 (일본 법령 기준)

도로구조령에서는 보도를 오로지 보행자의 통행에 제공하기 위해 연석선, 울타리 등으로 구획하여 설치된 도로의 부분으로 정의한다.(제2조 제1항 제1호)[37] 보도 외에 자전거보행자도로라는 자전거 및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도로의 부분이 별도로 정의되어 있다.[37]

도로구조령 제11조 제3항에 따르면 보도의 폭은 2m 이상, 보행자가 많은 도로에서는 3.5m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37] 자전거 보행자 도로는 3m 이상, 보행자가 많은 도로에서는 4m 이상이다.[37]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는 연석의 높이는 15cm를 기본으로 한다.[37]

과거에는 보도면의 높이를 연석과 같은 높이로 하는 마운트 업 구조가 기본이었지만, 이 구조에서는 휠체어 통행 등에 지장이 있었다.[37] 교통 약자 이동 편의 증진법 제정 후, 보도면과 차도면의 차이를 5cm로 하는 세미 플랫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시각 장애인이 보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37]

8. 보도와 유사한 것 (일본 기준)



: 차도와 구획선·도로 표지(백색선)에 의해 구획된 도로 부분이다. 보도가 설치되지 않은 도로 또는 도로의 보도가 설치되지 않은 쪽의 길가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행이나 차도의 유지 관리를 위해 사용된다.

  • '''보행자 전용 도로'''


: 도로 전체가 보행자의 통행을 위해 사용되거나, 보행자의 안전과 원활한 통행을 위해 차량의 통행을 금지한 도로를 말한다.

  • '''자전거 보행자 전용 도로'''


: 도로 전체가 보행자 및 자전거의 통행을 위해 사용되거나, 일반 자전거 외의 차량 통행을 금지한 도로를 말한다.

9. 자연공원에서의 보도 (일본 기준)

등산로는 일반적으로 자연 환경에서 등산이나 트레킹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이 이용하기 위해 정비된 길이다. 탐승보도(探勝歩道)는 산지, 고원, 하천, 호소, 습지, 해안, 폭포 등의 경승지나 자연 자원을 탐승하기 위해 정비된 길을 말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SIDEWALK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0-10-25
[2] 웹사이트 Ontario Traffic Manual Book 1 - Introduction to the Ontario Traffic Manual https://otc.org/wp-c[...] Ontario Traffic Council 2024-09-20
[3] 웹사이트 British Columbia Manual of Standard Traffic Signs & Pavement Markings https://www2.gov.bc.[...] Government of British Columbia 2024-09-20
[4] 웹사이트 pavement https://www.oxford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25
[5]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6] 웹사이트 Parking on pavements http://www.lewisham.[...] Lewisham Council 2010-10-29
[7] 문서 Dictionary of American Regional English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How We Talk: American Regional English Today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9] 웹사이트 Highways Act 1980 – Interpretation Section 329 http://www.legislati[...]
[10] 웹사이트 Part II of II: Best Practices Design Guide - Sidewalk2 - Publications - Bicycle and Pedestrian Program - Environment - FHWA http://www.fhwa.dot.[...]
[11] 웹사이트 Walkway http://www.askoxford[...]
[12] 웹사이트 Inclusive mobility http://www.dft.gov.u[...] Department for Transport 2010-04-02
[13] 웹사이트 Highways Act 1980 – Interpretation Section 329 http://www.legislati[...]
[14] 서적 Sidewalks: Conflict and Negotiation Over Public Space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18-11-18
[15] 서적 Sidewalks: Conflict and Negotiation Over Public Space https://books.google[...] MIT Press
[16] 웹사이트 Georgian Colchester http://www.british-h[...] 2010-04-05
[17] 서적 Building Capitalism (Routledge Revivals): Historical Change and the Labour Process in the Production of Built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웹사이트 city street scene manual http://www.cityoflon[...] 2012-12-17
[19] 웹사이트 Research Note: An Assessment of Urban Form and Pedestrian and Transit Improvements as an Integrated GHG Reduction Strategy http://www.wsdot.wa.[...]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04-01
[20] 간행물 Update of Florida Crash Reduction Factors and Countermeasures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District Safety Improvement Projects http://www.dot.state[...] State of Florida DOT 2008-03-24
[21] 간행물 An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Walking along Roadway' Crashes, Research Study and Guidelines for Sidewalks and Walkways http://ntl.bts.gov/l[...]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8-03-24
[22] 서적 Designing Roads That Guide Drivers to Choose Safer Speeds Connecticut Transportation Institute 2009-11-01
[23] 웹사이트 Do you take unnecessary risks behind the wheel? http://www.which.co.[...] Which? 2011-01-27
[24] 논문 Sidewalk Bicycling Safety Issues
[25] 웹사이트 Bicycle sidepaths: Crash risks and liability exposure: Evidence from the research literature http://www.bikexprt.[...] 2011-09-17
[26] 웹사이트 Crimes of the Heart http://www.thedailyb[...] 2013-02-06
[27] 웹사이트 The Link Between Kids Who Walk or Bike to School and Concentration http://www.theatlant[...] 2013-02-06
[28] 문서 Skateboarding and the City: a Complete History https://www.bloomsbu[...] Bloomsbury
[29] 뉴스 Green sidewalk makes electricity one footstep at a time https://www.cnn.com/[...] 2011-10-13
[30] 논문 What Cement Users Owe To The Public
[31] 문서 Great Maritime Inventions – 1833–1950 Goose Lane Editions
[32] 웹사이트 Expansion Joints Not Needed in Sidewalk - Concrete Construction http://www.concretec[...] 2014-05-21
[33] 문서 舗装と下水道の文化 論創社
[34] 서적 道 : 古代エジプトから現代まで 技報堂出版
[35] 웹인용 歩行者が死亡する交通事故、日本はなぜ多いのか。 「ポールがあれば防げたかもしれない」専門家に聞く 【大津事故】 https://www.huffingt[...] ハフポスト日本版 2019-06-08
[36] 웹사이트 1976年3月5日衆議院建設委員会 https://kokkai.ndl.g[...]
[37] 간행물 歩道の一般的構造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都市・地域整備局長 道路局長 国都街第60号・国道企第120号
[38] 뉴스 道路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施行に伴う関係政令が閣議決定~歩行者利便増進道路、自動運行補助施設、特定車両停留施設の制度が令和2年11月25日から施行されます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報道発表資料
[39] 웹사이트 ほこみち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40] 웹사이트 第3部 施設別技術指針 第1章 歩道 https://www.env.go.j[...] 2019-07-24
[41] 서적 Sidewalks: Conflict and Negotiation Over Public Space https://books.google[...] MIT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