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건수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건수사는 1866년 복주선정국 설립을 시작으로 창설되어 복건·대만 주변 해역 방어를 담당했던 청나라의 함대이다. 1871년 미야코섬 조난 사건으로 인한 타이완 침략 위협에 대응하고, 청불전쟁에서 프랑스 해군에 대항했으나 마강해전에서 대부분의 함선을 잃으며 쇠퇴했다. 이후 예산 부족과 청일 전쟁 참전 실패를 겪은 후, 1909년 다른 함대와 통합되어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일 전쟁에 참전한 청나라의 함대 - 광동수사
청나라 말기 광둥 지역의 해상 방어를 위해 창설된 광동수사는 해적 소탕을 목적으로 시작하여 청불 전쟁을 계기로 발전했으나, 청일 전쟁 이후 재정 부족과 부패로 쇠퇴했다. - 청일 전쟁에 참전한 청나라의 함대 - 남양수사
남양수사는 1867년 증국번이 상하이를 거점으로 창설한 청나라 해군 함대로, 장쑤 일대와 창장 연안 방어를 담당하며 이홍장의 지원 아래 전력을 증강했으나 청불 전쟁 이후 약화되어 청일 전쟁에는 참전하지 않았고, 1909년 해체 후 중화민국 해군으로 이어졌다. - 청나라의 함대 - 광동수사
청나라 말기 광둥 지역의 해상 방어를 위해 창설된 광동수사는 해적 소탕을 목적으로 시작하여 청불 전쟁을 계기로 발전했으나, 청일 전쟁 이후 재정 부족과 부패로 쇠퇴했다. - 청나라의 함대 - 남양수사
남양수사는 1867년 증국번이 상하이를 거점으로 창설한 청나라 해군 함대로, 장쑤 일대와 창장 연안 방어를 담당하며 이홍장의 지원 아래 전력을 증강했으나 청불 전쟁 이후 약화되어 청일 전쟁에는 참전하지 않았고, 1909년 해체 후 중화민국 해군으로 이어졌다. - 1909년 폐지 - 법관양성소
법관양성소는 1895년 대한제국 고종이 근대적 사법 제도 도입 후 법관 양성을 목적으로 평리원 안에 설치한 국립 교육 기관으로, 법학교, 경성전수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연원이 되었다. - 1909년 폐지 -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는 대한제국의 장교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나 일본의 영향력 확대로 폐교되었고, 졸업생 중 독립운동가와 조선총독부 관리로 나뉜 인물들이 있다.
복건수사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존속 기간 | 1678년 – 1912년 |
국가 | 청나라 |
소속 | 황제 |
군종 | 청나라 해군 |
주둔지 | 푸젠성 |
별칭 | 없음 |
전투 및 훈장 | |
주요 전투 | 청불 전쟁 청일 전쟁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없음 |
명칭 | |
중국어 간체 | 福建水师 |
중국어 정체 | 福建水師 |
병음 | Fújiàn Shuǐshī |
한어 병음 | Fúzhōu Jiànduì |
만주어 | ᡶᡠᡤᡳᠶᠠᠩ ᡳ ᠮᡠᡴᡝᡳ ᠴᠣᠣᡥᠠ (Fugiyang-i mukei cooha) |
2. 역사
1860년대 양무운동 과정에서 1866년에 복주선정국이 설립되면서 복건함대가 편성되어 복건·대만 주변 해역 방어를 담당하게 되었다.[2]
1871년 미야코섬 조난 사건으로 일본이 1874년 타이완 침략을 강행하자, 청나라의 해역 방비 의식이 높아졌다. 직례총독 이홍장은 '수천 년에 한 번 올 비상사태'라고 상소를 올렸고, 청나라 조정은 400만위안의 해군 건설 예산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편성된 복건함대는 전성기에 11척의 군함을 보유하기도 했다.[2]
1885년 청불전쟁의 첫 전투인 마강해전에서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극동 함대는 복건함대를 공격하여, 기함 양무가 어뢰에 의해 좌초되고 9척의 군함이 격침되는 등 거의 괴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다.[3] 복주 해전에서 복건 함대의 11척 함선 중 9척이 한 시간도 채 되지 않아 파괴되었다. 이후 복건함대는 단 2척의 배만 보충받았을 뿐이었다.[3]
청일전쟁에 복건함대는 직접 참전하지는 않았지만, 이 전쟁에서 일본 해군에 노획된 광동 수사에서 지원한 평원과 광병은 복주선정국에서 제작한 군함이다.
1891년, 청나라 조정은 예산을 삭감하여 해군 병기 구입을 취소했다.[4] 이로 인해 복건함대는 함선과 예산 부족에 시달렸고, 함대 유지조차 힘들어졌다.
1909년, 청나라 정부는 복건함대와 광동함대, 북양함대, 남양함대를 통합한 후 순양함대와 장강함대로 재편성하였다. 이로써 독립적인 복건함대는 해체되었다.
2. 1. 창설 배경
1860년대 양무운동 과정에서 1866년(동치 5년) 복주선정국이 설립되었다. 서양 군함을 수입하고 자체 건조한 소형 군함으로 밀수 단속을 하던 중 복건함대가 편성되면서 복건·대만 주변 해역 방어를 담당하게 되었다.[2]1871년 (동치 10년) 미야코섬 조난 사건으로 일본이 1874년 (동치 13년) 타이완 침략을 강행하자, 청나라의 해역 방비 의식이 높아졌다. 직례총독 이홍장은 '수천 년에 한 번 올 비상사태'라고 상소를 올렸고, 청나라 조정은 400만 량의 해군 건설 예산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편성된 복건함대는 전성기에 11척의 군함을 보유하기도 했다.[2]
청나라 근대 해군의 역사는 1863년 오즈번 함대에서 시작되었지만, 국방을 외국인에게 의존하는 것이 문제시되어 1865년에 해산되었다. 국방의 핵심인 군함 국산화를 위해 1866년 좌종당이 푸저우 선정국을 설립했다. 1870년대에는 2000톤급 함정을 매년 건조할 수 있었고, 푸저우 선정학당에서는 해군 요원 육성도 이루어졌다.
2. 2. 일본의 타이완 침략과 함대 증강
1871년 미야코섬 조난 사건이 발생하자, 일본 정부는 청나라에 배상을 요구했지만, 청나라는 이를 거부했다. 이에 일본은 1874년 거류민 보호를 명분으로 타이완 침략을 강행한다. 당시 청나라 해군은 일본의 장갑함에 대항할 함선이 없었다. 이 사건으로 청나라의 해역 방비 의식이 높아졌고, 직례총독 이홍장은 "수천 년에 한 번 올 비상사태"라며 상소를 올려 400만위안의 해군 건설 예산을 승인받았다.[7] 이 예산으로 편성된 복건함대는 전성기에 11척의 군함을 보유하게 되었다.2. 3. 청불전쟁과 함대의 궤멸
1885년(광서 11년) 청불전쟁의 첫 전투인 마강해전에서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극동 함대는 복건함대를 공격했다. 이 해전에서 복건함대는 기함 양무가 어뢰에 의해 좌초되고, 9척의 군함이 격침되는 등 거의 괴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다.[3] 이 전투 이후, 복건함대는 단 2척의 배만 보충받았을 뿐이었다.복주 해전(1884년 8월 23일)에서 복건 함대의 11척 함선 중 9척이 한 시간도 채 되지 않아 파괴되었다. 기함 ''양우''는 스파 어뢰 공격을 받아 침몰했고, ''복흥'' 또한 스파 어뢰 공격을 받았으나 실패했고, 결국 백병전에 의해 나포되었다. ''복흥''은 이미 프랑스 함포 사격으로 화재가 발생하여 프랑스 나포 승무원에 의해 버려졌고, 민강 한가운데에서 침몰했다. ''진위''는 전투 시작 몇 분 전 프랑스 함대에 합류한 철갑함 ''트리옹팡트''의 단 한 발의 포탄에 의해 폭발했다. ''진항'', ''영보'', ''비운'', ''기안'', ''부성'', ''건성''은 프랑스 순양함의 함포 사격에 의해 침몰하거나 불탔다. ''부포''와 ''일신''만이 프랑스 함선과 교전하기 전 강을 거슬러 도주하여 심각한 피해 없이 살아남았다.[3]
2. 4. 청일전쟁 이후와 함대 해체
1891년(광서 17년), 청나라 조정은 예산을 삭감하여 해군 병기 구입을 취소했다.[4] 이로 인해 복건함대는 함선과 예산 부족에 시달렸고, 함대 유지조차 힘들어졌다. 청일전쟁에 복건함대는 직접 참전하지는 않았지만, 이 전쟁에서 일본 해군에 노획된 광동 수사에서 지원한 평원과 광병은 복주선정국에서 제작한 군함이다.1893년에는 2,200톤급 강철 어뢰정 ''푸징''(福靖)이 푸저우 조선소에서 완공되어 복건함대에 합류했다. 이 배는 청일 전쟁 동안 베이양 함대를 지원하기 위해 북쪽으로 보내졌지만, 실제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고 1896년에 복건으로 돌아왔다. 1898년에는 뤼순 인근에서 폭풍으로 침몰했다.[5]
1909년(선통 원년), 청나라 정부는 복건함대와 광동함대, 북양함대, 남양함대를 통합한 후 순양함대와 장강함대로 재편성하였다. 이로써 독립적인 복건함대는 해체되었다.
3. 구성
복건함대는 대부분 복주선정국에서 건조된 함선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함선은 다음과 같다.[2]
함명 | 함종 | 건조 | 성능 | 비고 |
---|---|---|---|---|
복성 | 목조 포함 | 1870년 복주선정국 | 515ton 9kn | 대만 주둔. 마강해전에서 탄약고 피탄 후 폭발, 격침. |
진위 | 목조 포함 | 1872년 복주선정국 | 572ton 10kn | 펑후제도 주둔. 마강해전에서 격침. |
복파 | 정찰·수송함 | 1870년 복주선정국 | 1258ton 10kn | 펑후제도 주둔. 마강해전에서 대파. 이후 광동함대로 편입. |
비운 | 정찰·수송함 | 1872년 복주선정국 | 1258ton 10kn | 푸저우 주둔, 마강해전에서 격침. |
양무 | 목조 코르벳함 | 1872년 복주선정국 | 1560ton 12kn | 복건함대의 기함. 마강해전에서 좌초. |
제안 | 정찰·수송함 | 1873년 복주선정국 | 1258ton 10kn | 산동 주둔. 마강해전에서 격침. |
영보 | 정찰·수송함 | 1873년 복주선정국 | 1258ton 10kn | 마강해전에서 격침. |
침항 | 정찰·수송함 | 1874년 복주선정국 | 1258ton 10kn | 마강해전에서 격침 후 인양, 수리 후 광동함대에 편입. |
건승 | 렌델 포함 | 1875년 복주선정국 | 256ton 8kn | 마강해전에서 격침. |
복승 | 렌델 포함 | 1875년 복주선정국 | 256ton 8kn | 마강해전에서 격침. |
예신 | 강 초계정 | 1876년 복주선정국 | 245ton 9kn | 마강해전에서 좌초 후 자침. |
횡해 | 슬루프 | 1885년 복주선정국 | ||
복정 | 기뢰순양함 | 1893년 복주선정국 | 2200ton 17kn | 광을급. 청일전쟁 중 북양함대 지원, 1896년 복귀. 1896년 폭풍우로 뤼순항 근해 침몰. |
참조
[1]
서적
Migrating Fujianese: Ethnic, Family, and Gender Identities in an Early Modern Maritime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16-09-08
[2]
문서
Lung Chang, 286
[3]
문서
Duboc, 252–5; Ferrero, 65–8; Huard, 382–403; Loir, 124–41; Rollet de l'Isle, 171–85; Thomazi, 207–9; Wright, 62–3
[4]
문서
Wright, 68
[5]
문서
Rawlinson, 145 and 251
[6]
웹사이트
http://npmhost.npm.g[...]
[7]
문서
実際には年間100万両の軍艦購入資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