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투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막 투석은 만성 신부전 말기 환자에게 신장 대체 요법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혈액 투석의 대안이 된다. 복막 투석은 복부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특정 용액을 주입하고 제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지속적 외래 복막 투석(CAPD), 자동 복막 투석(APD), 지속적 순환 복막 투석(CCPD) 등의 방법이 있다. 투석액은 염화 나트륨, 탄산 수소 나트륨, 포도당 등의 삼투압 제로 구성되며, 복막을 통해 노폐물과 과도한 수분을 제거한다. 복막염, 탈장, 고혈당증 등의 부작용과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복막 투석은 환자의 이동성을 높이고, 비용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1920년대에 처음 시도되었고, 1960년대에 의료 행위에 도입되었으며, 홍콩과 멕시코에서 세계 평균보다 더 많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적 치료 - 면역억제
면역억제는 면역계의 활동을 감소시키는 현상으로, 의도적으로는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방지나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위해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고, 비의도적으로는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며 면역결핍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의학적 치료 - 최면
최면은 집중된 주의력, 심신의 이완, 제안성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이며, 최면 유도 기법을 통해 유발되어 암시를 통해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고, 의학, 심리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 아세트산
아세트산(CH₃COOH)은 식초의 주성분인 카르복실산으로, 다양한 화학적 합성법과 발효법으로 대량 생산되며, 산업 및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고농도에서는 부식성이 강해 주의해야 한다. - 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 암로디핀
암로디핀은 디히드로피리딘계 칼슘 채널 차단제로, 고혈압과 협심증 치료에 사용되며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고 심근으로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지만, 말초 부종이나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특정 질환에서는 사용이 금지된다.
복막투석 | |
---|---|
기본 정보 | |
![]() | |
일반 정보 | |
이름 | 복막 투석 |
영어 이름 | Peritoneal dialysis |
코드 | |
ICD-10 | 해당 없음 |
ICD-9 | 54.98 |
MeSH ID | D010530 |
OPS301 | 해당 없음 |
기타 코드 | 해당 없음 |
2. 의학적 용도
복막 투석은 말기 만성 콩팥병으로 유지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위한 신장 대체 요법의 한 가지 방법이며, 가장 흔한 방법인 혈액 투석의 대안이다.[50] 복막 투석은 혈액 투석보다 체내 노폐물을 제거하는 효율이 낮고, 튜브를 삽입하여 복부에 세균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복막염의 위험을 초래한다.[50] 감염은 15개월에 1번 정도의 빈도로 발생할 수 있다(환자 1년당 0.8 에피소드). 혈액 투석과 비교하여 복막 투석은 환자의 가동성을 높이고, 그 지속적인 성질로 인해 증상의 변동이 적고, 인산염 화합물의 제거가 우수하지만, 다량의 알부민이 제거되므로 영양 상태를 항상 감시할 필요가 있다. 복막 투석의 비용은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혈액 투석의 비용보다 일반적으로 낮으며, 이 비용상의 이점은 선진국에서 가장 두드러진다.[53]
복막 투석은 복강 내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투석액을 주입하고 일정 시간 동안 머무르게 한 후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체내 노폐물과 과다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3. 방법
복막 투석은 지속적 외래 복막 투석(CAPD)과 자동 복막 투석(APD)으로 나눌 수 있다. CAPD는 하루 종일 일정한 간격으로 투석액을 교체하며, APD는 기계를 이용하여 밤에 자동으로 투석액을 교체한다.
복막 투석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투석 과정과 카테터 관리 방법을 충분히 이해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합병증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감염 관리 교육을 통해 적절한 의료 요법을 확립해야 한다.[19]
3. 1. 투석 과정
복막 투석은 특정 용액을 하복부에 영구적인 튜브를 통해 주입하고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4] 이 과정은 하루 종일 규칙적인 간격으로 시행하는 지속적 외래 복막 투석(CAPD)과, 기계를 이용하여 밤에 자동으로 시행하는 자동 복막 투석(APD) 또는 지속적 순환 복막 투석(CCPD)으로 나뉜다.[4][3] 투석액은 일반적으로 염화 나트륨, 탄산 수소 나트륨, 그리고 삼투압 제인 포도당으로 구성된다.[4]
복막 투석 과정은 크게 연결, 주입, 확산, 배액의 네 단계로 나뉜다.
이러한 과정은 CAPD의 경우 하루 4~6회, APD의 경우 밤사이 기계를 통해 자동으로 반복된다.[50] CAPD에서는 하루에 2~3리터의 드웰을 4회 시행하며, 각 드웰은 4~8시간 동안 복부에 머문다. APD에서는 하룻밤에 3~10회의 드웰을 순환시킨다.
사용되는 투석액은 높은 삼투압을 위해 염화나트륨, 젖산염 또는 중탄산염, 그리고 고농도의 포도당을 포함한다. 체류 4~6시간 후, 포도당 삼투압 기울기가 낮아져 더 이상 삼투압을 허용할 수 없게 되면, 투석액은 혈장 교질 삼투압에 의해 복막강에서 모세혈관으로 재흡수된다.[60]
복막과 혈장 사이의 작은 용질과 체액 교환 능력은 높음(빠름), 낮음(느림), 또는 중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높은 트랜스포터는 물질을 잘 확산시켜 혈액과 투석액 사이에서 작은 분자를 쉽게 교환하며, APD와 같은 빈번한 단기간 체류에서 결과가 어느 정도 개선된다. 낮은 트랜스포터는 재흡수가 느려 UF(Ultrafiltration, 한외여과)가 높다. 실제로는 두 유형 모두 APD 또는 CAPD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61]
3. 2. 투석액
투석액은 염화 나트륨, 탄산 수소 나트륨, 포도당과 같은 삼투압 제로 구성된다.[4] 고농도의 포도당은 삼투 현상을 통해 복막 모세 혈관에서 복강으로 수분을 이동시킨다. 포도당은 투석액에서 혈액으로 빠르게 확산되므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삼투 효과가 감소하여 투석액을 교체해야 한다. 젖산 대신 중탄산염을 사용하고 포도당 분해 생성물이 적은 중성 용액은 더 많은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3. 3. 투석 원리
복막 투석은 하복부에 영구적으로 설치된 튜브를 통해 특정 용액을 주입하고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4] 이 과정은 하루 종일 규칙적인 간격으로 시행되는 지속적 외래 복막 투석(CAPD) 방식과, 기계를 이용하여 밤에 이루어지는 자동 복막 투석(APD)[4] 또는 지속적 순환 복막 투석(CCPD)[3] 방식으로 나뉜다. 사용되는 용액은 염화 나트륨, 탄산 수소 나트륨, 포도당(삼투압 제) 등으로 구성된다.[4]
3. 4. 카테터
복막 투석을 위해서는 복강 내에 카테터를 삽입해야 한다. 카테터는 외과적 수술 또는 의료 삽입(바늘 사용)을 통해 삽입할 수 있으며, 두 방법 모두 안전성은 유사하다.[21][22] 카테터는 한쪽 끝은 복부에, 다른 쪽 끝은 피부 밖으로 돌출되도록 삽입한다.[20]
다양한 종류의 카테터가 있지만, 사망률, 이환율, 감염 횟수 측면에서 특정 카테터가 더 우수하다는 증거는 부족하다.[28]
4. 부작용 및 합병증
복막 투석은 혈액 투석보다 체내 노폐물 제거 효율이 낮고, 튜브를 복부에 삽입하여 세균이 유입될 수 있어 복막염의 위험이 있다.[50] 이전에 복부 수술을 크게 받았거나 염증성 장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복막 투석을 할 수 없다.[4]
일반적인 합병증으로는 복부 내 감염, 탈장, 고혈당증, 복부 출혈, 카테터 막힘 등이 있다.[4] 저혈압(과도한 수분 교환과 나트륨 제거에 의한), 요통, 탈장과 복부 내 고압에 의한 수분 누출 등도 발생할 수 있다.[55]
복막 투석액에는 다량의 포도당이 포함되어 있어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과 비만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하루에 500~1200칼로리를 추가로 섭취하게 되는 것과 같다.[55] 투석액의 포도당은 복막염, 크레아티닌 청소율 및 복막 기능 저하, 기타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중성이고, 젖산 대신 중탄산염을 사용하며, 포도당 분해 생성물이 거의 없는 용액이 더 많은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하다.[64]
환자의 약 2.5%에서 치명적인 합병증인 복막 경화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복막 내에 두꺼운 피브린 층이 생겨 장을 막는 질환이다.[63]
4. 1. 복막염
복막염은 복막 투석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주로 카테터 삽입 시 비위생적인 손 접촉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세균 감염이 가장 흔하다(80%).[8] 복막염 발생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이지만,[30] 여전히 환자 1인당 연간 0.06~1.66건으로 보고된다.[9]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복막 세척이나 유로키나제 사용은 뚜렷한 이점이 없다.[10] 예방적 무피로신 사용은 복막염에 대한 효과가 불분명하다.[11] 트윈 백 및 Y-세트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보다 복막염 예방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12]
복막염으로 인한 사망률은 3~10%로 추정되며, 약 50%의 사례가 입원을 필요로 한다.[15] 복막액 검사(백혈구 수, 호중구 비율, 미생물 배양)를 통해 진단하며, 흐린 투석액은 복막염을 의심할 수 있다.[15] 그램 양성균 감염이 흔하며, 패혈증이 없는 경우 복강 내 항생제 투여가 선호된다.[15] 항생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진균성 복막염의 경우 카테터 제거가 필요할 수 있다.[15]
4. 2. 체액량 변화
제거된 투석액의 부피와 환자의 체중을 모니터링한다. 3회 연속 치료에서 500ml 이상의 체액이 축적되거나 1리터의 체액이 손실되면 일반적으로 환자의 의사에게 통보한다.[59] 과도한 체액 손실은 저혈량성 쇼크 또는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과도한 체액 축적은 고혈압과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59]4. 3. 기타 합병증
요통, 탈장, 체액 누출 등이 복부 내 압력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17] 투석액에 다량의 포도당이 포함되어 있어 고중성지방혈증 및 비만이 우려되며, 이는 하루 500~1200 칼로리를 식단에 추가할 수 있다.[18]장기간 복막 투석을 하는 경우 복막 섬유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0] 환자의 약 2.5%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피막성 복막 경화증(EPS)이 있는데, 이는 복막 내에 두꺼운 피브린 층이 성장하여 장을 막는 것이다.[16]
그 외에 카테터 막힘, 감염 등이 있다.[4] 감염은 15개월에 1번 정도의 빈도로 발생할 수 있다(환자 1년당 0.8 에피소드).[53] 투석액이 탁한 경우 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59] 심한 통증은 부적절하게 배치된 카테터가 원인일 수 있고, 변비는 카테터를 통한 체액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며, 정체는 횡격막에 압력을 가해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다.[59]
5. 건강에 대한 영향 (일본어판)
복막투석은 혈액 투석에 비해 환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속적인 치료로 인해 몸 안의 노폐물 변화가 적고, 인산염 화합물 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알부민이 많이 제거되므로 영양 상태를 꾸준히 살펴야 한다.[30] 대부분의 국가에서 복막투석 비용은 혈액투석보다 저렴하며, 특히 선진국에서 이러한 비용 차이가 크다.[41] 지속성 복막투석(CAPD)과 자동 복막투석(APD) 간의 장단점을 비교하기에는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세 개의 소규모 임상 시험에 대한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만성 신장 질환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중요한 결과(예: 이환율 또는 사망률)의 차이가 없었고, 신장 기능 보존에도 이점이 없었다. APD는 젊은 환자, 직장인, 학생에게 심리 사회적 이점이 있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42]
복막투석은 체액의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부정맥 환자나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복막투석은 혈액투석보다 체내 노폐물 제거 효율이 낮고, 튜브 삽입으로 인해 복부에 세균이 들어가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50] 복막에 항생제를 직접 주입하는 것이 정맥 내 투여보다 약간 유리해 보이지만, 복막투석 관련 복막염의 최적 치료법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 복막 세척이나 우로키나아제 사용 등 다른 치료법도 뚜렷한 이점이 없다.[51] 예방적 무피로신 경비 투여는 복막염에 대해 불확실한 효과를 보인다.[52] 감염은 15개월에 한 번 정도 발생할 수 있다(환자 1년당 0.8회).[53] CAPD와 APD의 위험과 이점을 비교하기에는 연구가 부족하다. 세 개의 소규모 임상시험의 코크란 리뷰에서는, 만성 신부전 환자의 임상적으로 중요한 결과(즉, 이환율 또는 사망률)에 차이가 보이지 않았고, 신장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도 이점이 없었다. APD는 젊은 환자나, 직장인, 학생에게 심리 사회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54]
기타 합병증으로는 저혈압(과도한 수분 교환과 나트륨 제거에 의한), 요통, 탈장, 복부 내 고압에 의한 수분 누출 등이 있다.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과 비만의 경우, 투석액에 다량의 포도당이 포함되어 있어 하루 500 - 1200칼로리가 추가될 수 있어 우려된다.[55] 세 종류의 연결 및 유체 교환 시스템(표준, 트윈 백, y 세트) 중, y 세트(두 개의 백을 포함하며, 카테터 연결은 하나)와 트윈 백 시스템이 복막염 예방에 더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y 세트는 백 사이의 단일 Y자형 연결을 사용하며, 이 연결을 통해 복막을 비우고, 씻어내고, 채운다.[56]
6. 임시 투석
외과 수술이나 재해 등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을 때, 복막 투석을 임시 신장 대체 요법으로 시행할 수 있다.[29][66] 이때 외과용 카테터와 일상적으로 구할 수 있는 의료 용액으로 만든 투석액을 사용한다.[29]
7. 역사
복막 투석은 1920년대에 처음 시도되었지만, 장기적인 사용은 1960년대에 이르러서야 의료 행위에 도입되었다.[34]
연도 | 내용 |
---|---|
1923년 | 게오르크 간터가 기니피그를 대상으로 최초의 복막 투석을 수행했으며, 인간에게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고장성 식염수가 투석액으로 사용되었다.[34][35] |
1927년 | 하인리히 호이서와 헤르만 베르더는 두 개의 카테터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흐름의 복막 투석으로 3명의 환자를 치료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혈액 요소 수치의 감소는 확인되었지만, 임상적으로 성공하지는 못했다.[36] |
1946년 | 보스턴 베스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컬 센터의 하워드 프랑크, 아놀드 셀리그만, 제이콥 파인이 설파티아졸 중독으로 인한 급성 신부전증을 앓고 있는 51세 남성을 대상으로 복막 투석을 성공적으로 사용한 첫 번째 사례를 보고했다.[35][37] |
1959년 | 오클랜드 해군 병원의 폴 둘란과 리처드 루벤은 말기 신부전증을 앓고 있던 33세 여성 윌리 메이 스튜어트에게 처음으로 복막 투석을 사용하여 치료했다. 6개월간의 간헐적 투석 후, 합병증으로 인해 추가 치료를 거부하고 1960년 6월 사망했다.[38] |
1964년–1965년 | 워싱턴 대학교의 헨리 텐코프, G. 실리페타, 프레드 보엔은 기술적인 어려움과 번거로운 과정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성공을 거둔 자가 복막 투석의 첫 번째 사례를 보고했다.[38][39] |
1968년 | 헨리 텐코프는 텐코프 카테터를 개발하여 매 치료 시 복부에 카테터를 교체할 필요성을 없앴다.[40] |
8. 사회 및 문화
복막 투석에 사용되는 용액은 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5][6] 2009년 기준으로 아프리카 53개국 중 12개국에서 복막 투석이 가능했다.[7]
8. 1. 경제
투석 치료 비용은 해당 국가의 재정 상태와 관련이 있다.[7] 미국에서 복막 투석은 정부에 연간 1인당 53400USD의 비용이 든다.[43]8. 2. 역학
2017년 기준으로 혈액 투석은 96%의 국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신장 대체 요법인 반면, 복막 투석은 75%의 국가에서만 이용 가능하다.[30] 2016년에는 복막 투석을 받는 사람의 비율이 11%로 추정되었으며, 국가 및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31] 홍콩과 멕시코는 복막 투석 비율이 높은 반면, 일본과 독일은 낮은 비율을 보인다.[32] 복막 투석 우선 모델, 재정적 인센티브 등이 복막 투석 사용 증가와 관련이 있다.[31]8. 2. 1.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2014년 홍콩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복막 투석 사용률(71.9%)을 보였다.[31] 같은 해 중국 본토는 20%, 2012년 태국은 23%, 2011년 베트남은 10~20%를 기록했다.[31] 홍콩은 1985년부터, 태국은 2008년부터 복막 투석 우선 모델을 채택하여 복막 투석 수준을 증가시켰다.[31]
8. 2. 2. 아메리카
2013년 미국의 복막 투석 사용률은 9.7%였으며, 캐나다에서는 16.3%였다.[31] 미국의 낮은 복막 투석 비율은 대규모 기업 소유의 혈액 투석 센터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투석에 대한 묶음 지불과 같은 메디케어 상환 변경으로 인해 복막 투석 사용이 증가했는데, 이는 투석에 비용이 덜 드는 방식인 복막 투석의 사용을 장려한다.[31]2011년 라틴 아메리카에서 복막 투석 사용률은 24.6%였다.[31] 2010년, 복막 투석 사용이 가장 많은 국가는 멕시코 55.9%와 엘살바도르 67.6%였다. 2000년에서 2010년 사이에 콜롬비아의 복막 투석 비율은 54%에서 31.3%로 감소했다.[33]
9. 동물 복막 투석
1979년 9월, 도쿄도 우에노 동물원에서 자이언트 판다 란란이 신부전으로 쓰러졌을 때 복막 투석이 실시되었다.[67]
참조
[1]
논문
Peritoneal dialysis: from bench to bedside and bedside to bench
2016-11-01
[2]
서적
Lippincott's Content Review for NCLEX-RN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11-01
[3]
웹사이트
Peritoneal Dialysis: Continuous cycling peritoneal dialysis (CCPD)
https://www.mayoclin[...]
The [[Mayo Clinic]]
2023-05-02
[4]
서적
WHO Model Formulary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5]
서적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6]
서적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2nd list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7]
서적
Peritoneal Dialysis: From Basic Concepts to Clinical Excellence
https://books.google[...]
Karger Medical and Scientific Publishers
2009
[8]
서적
Chronic kidney disease, dialysis, and transplantation : companion to Brenner & Rector's the kidney
http://worldcat.org/[...]
Elsevier Health Sciences
2018-11-06
[9]
논문
Peritoneal dialysis-related peritonitis: towards improving evidence, practices, and outcomes
2014-08
[10]
논문
Treatment for peritoneal dialysis-associated peritonitis
2014-04
[11]
논문
Antimicrobial agents for preventing peritonitis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2017-04
[12]
논문
Double bag or Y-set versus standard transfer systems for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in end-stage kidney disease
2014-08
[13]
논문
Glucose Exposure in Peritoneal Dialysis Is a Significant Factor Predicting Peritonitis
S. Karger AG
[14]
논문
The biocompatibility of neutral pH, low-GDP peritoneal dialysis solutions: benefit at bench, bedside, or both?
2011-04
[15]
논문
Peritoneal Dialysis
2021-11-04
[16]
논문
Encapsulating peritoneal scler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2007-06
[17]
서적
Chronic kidney disease, dialysis, and transplantation : companion to Brenner & Rector's the kidney
http://worldcat.org/[...]
Elsevier Health Sciences
2018-11-06
[18]
서적
Clinical Exercise Physiology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19]
웹사이트
Nephrology Nursing Standards and Practice Recommendations
http://www.cannt.ca/[...]
Canadian Association of Nephrology Nurses and Technologists
2008-08-01
[20]
논문
A new simplified one port laparoscopic technique of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placement with intra-abdominal fixation
2006-07
[21]
논문
Catheter Event Rates in Medical Compared to Surgical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nsertion
https://doi.org/10.1[...]
2023-12-01
[22]
논문
Kidney failure: medical insertion of catheters for peritoneal dialysis is as safe as surgery
https://evidence.nih[...]
2024-04-09
[23]
서적
Best practices : evidence-based nursing procedure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24]
서적
An Introduction to Human Disease: Pathology and Pathophysiology Correlations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5]
서적
Current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6]
논문
Fluid and electrolyte transport across the peritoneal membrane during CAPD according to the three-pore model
2004
[27]
서적
Handbook of dialysi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8]
논문
Catheter type, placement and insertion techniques for preventing catheter-related infections in chronic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2019-05
[29]
논문
In-theater peritoneal dialysis for combat-related renal failure
https://works.bepres[...]
2010-05
[30]
논문
The current and future landscape of dialysis
2020-10
[31]
논문
Changes in the worldwide epidemiology of peritoneal dialysis
2017-02
[32]
논문
ESRD patients in 2004: global overview of patient numbers, treatment modalities and associated trends
2005-12
[33]
논문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Latin American end-stage renal disease
2014-08
[34]
서적
Peritoneal dialysi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3-09
[35]
논문
Historical milestones in peritoneal dialysis
[36]
간행물
Where we come from and where we are going in terms of peritoneal dialysis: identifying barriers and strategies for the future
https://www.revistan[...]
Nefrologia
2014-05
[37]
논문
Treatment of uremia after acute renal failure by peritoneal irrigation
[38]
서적
Replacement of Renal Function by Dialysi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39]
논문
One year's experience with home peritoneal dialysis
1965
[40]
논문
The Current State of Peritoneal Dialysis
2016-11
[41]
논문
Cost of peritoneal dialysis and haemodialysis across the world
2013-10
[42]
논문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versus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for end-stage renal disease
http://www.cochrane.[...]
2007-04
[43]
논문
Dialysis Initiation During the Hospital Stay
2016-10
[44]
서적
Lippincott's Content Review for NCLEX-RN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11-01
[45]
서적
WHO Model Formulary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46]
서적
Volume 5, Issue 4, An Issue of Hospital Medicine Clinics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
[47]
서적
Peritoneal dialysi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3-09
[48]
서적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49]
서적
Peritoneal Dialysis: From Basic Concepts to Clinical Excellence
https://books.google[...]
Karger Medical and Scientific Publishers
2009
[50]
서적
An Introduction to Human Disease: Pathology and Pathophysiology Correlations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51]
논문
Treatment for peritoneal dialysis-associated peritonitis.
https://espace.libra[...]
2014-04-26
[52]
논문
Antimicrobial agents for preventing peritonitis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2017-04-08
[53]
논문
Cost of peritoneal dialysis and haemodialysis across the world
[54]
논문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versus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for end-stage renal disease
http://www.cochrane.[...]
[55]
서적
Clinical Exercise Physiology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56]
논문
Double bag or Y-set versus standard transfer systems for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in end-stage kidney disease
2014-08-13
[57]
웹사이트
Nephrology Nursing Standards and Practice Recommendations
http://www.cannt.ca/[...]
Canadian Association of Nephrology Nurses and Technologists
2008-08-01
[58]
논문
A new simplified one port laparoscopic technique of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placement with intra-abdominal fixation
2006-07
[59]
서적
Best practices: evidence-based nursing procedures
https://archive.org/[...]
[60]
논문
Fluid and electrolyte transport across the peritoneal membrane during CAPD according to the three-pore model
2004
[61]
서적
Handbook of dialysi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2]
논문
Catheter type, placement and insertion techniques for preventing catheter-related infections in chronic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2019-05-31
[63]
논문
Encapsulating peritoneal scler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64]
논문
The biocompatibility of neutral pH, low-GDP peritoneal dialysis solutions: Benefit at bench, bedside, or both?
[65]
논문
ESRD patients in 2004: global overview of patient numbers, treatment modalities and associated trends
http://ndt.oxfordjou[...]
[66]
논문
In-Theater Peritoneal Dialysis for Combat-Related Renal Failure
https://semanticscho[...]
[67]
뉴스
こん睡状態続くランラン いちるの望み託して 一時は注射に反応
朝日新聞
1979-09-03
[68]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