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손은 후한 말에서 조위 시대에 활동한 인물로, 학식이 풍부하고 인물 비평에 뛰어났다. 형주에서 유표를 섬기다 조조에게 항복할 것을 유종에게 진언하여 관내후에 봉해졌으며, 조비의 황제 즉위에 기여하여 시중과 상서를 역임했다. 그는 방통을 "재능은 뛰어나지만 기량이 부족하다"고 평하고, 배잠을 청렴한 인물로, 위풍을 반역할 인물로 예견하는 등 뛰어난 인물 평가 능력을 보였다. 조비의 아들 조예의 치세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지 부씨 - 부섭
부섭은 후한 시대의 인물로, 유관에게 학문을 배우고 장각의 반란군을 토벌했으며 환관의 전횡을 비판하고 한수의 공격에 맞서 항복을 거부하다 전사하여 장절후의 시호를 받았다. - 북지 부씨 - 부하 (조위)
부하는 조위 시대의 인물로, 사마씨 정권 수립에 기여하고 관구검·문흠의 난을 진압했으며, 사마소의 섭정을 도왔고, 사후 태상으로 추증되어 원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 칭양시 출신 - 공손하
전한 무제 시기에 태복과 승상을 지낸 공손하는 경제 때 기병으로 종군하여 무제의 신임을 얻었지만, 아들의 비리로 일족이 주멸되었고 전한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태복과 승상을 지낸 인물이다. - 칭양시 출신 - 부하 (조위)
부하는 조위 시대의 인물로, 사마씨 정권 수립에 기여하고 관구검·문흠의 난을 진압했으며, 사마소의 섭정을 도왔고, 사후 태상으로 추증되어 원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 조위의 시중 - 동소
동소는 후한 말부터 위나라 초까지 활동한 정치가이자 책사로서, 원소 휘하에서 활동하다 조조에게 천거된 후 헌제 천도, 관도대전, 오환 정벌 등 중요한 사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위나라 건국과 안정에 공헌했다. - 조위의 시중 - 사마의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군사가였던 사마의는 조조, 조비, 조예 3대에 걸쳐 중용되며 위나라의 권력을 장악했으나, 고평릉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찬탈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부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부손 |
원어 이름 | 傅巽 |
자 | 공제(公悌) |
직위 | |
상서(尚書) | 재임 시작: 220년 |
군주 | 조비 |
시중(侍中) | 재임 시작: 220년 |
군주 | 조비 |
동조연(東曹掾) | 재임 시작: 불명 |
군주 | 헌제 |
상서랑(尚書郎) | 재임 시작: 불명 |
군주 | 헌제 |
개인 정보 | |
출생지 | 야오저우구, 퉁촨, 산시 성 |
사망일 | 227년 ~ 233년 사이 |
아버지 | 부예(傅睿) |
친척 | 부충(傅충) (형) 부가 (조카) |
기타 정보 | |
직업 | 장군 |
작위 | 관내후(關內侯) |
로마자 표기 | Bu Son |
2. 생애
부손은 니양현(泥陽縣, 북지군 소속, 현재의 중국 산시성 퉁촨시 야오저우 구 일대) 출신이다. 학식이 풍부했고, 인물 비평으로 명성이 높았다. 관직에 등용되어 상서랑(尚書郎)을 지냈으며, 이후 형주(현재의 후베이성과 후난성 일대)로 옮겨 유표의 객관(客官)이 되었다.
용모가 출중하고 박학다식하였으며, 인물 비평의 대가였다. 당시 중국 강남(장강 이남)에서 '''봉추'''(鳳雛)라는 별호로 유명했던 방통을 '''"재지(才智, 재주와 지략)가 뛰어난 영웅이지만 기량(器量, 사람의 재능과 도량)이 불완전하다."'''고 평(評)했다. 동진 말~송나라 초기의 역사학자·정치가 배송지의 조상인 배잠에게는 '''"청결(清潔, 청렴결백의 준말)하고 품행방정(品行方正, 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한 인물이며 끝내 그의 청렴한 행실로 인해 현달(顯達, 벼슬, 명성, 덕망이 높아 이름이 세상에 드러남)할 것"'''이라고 평하였다.
부손은 형주에 있을 때, 방통을 "반(半) 영웅"이라고 평했고, 배잠이 훌륭한 도덕적 행실로 명성을 얻을 것이라고 예견했다. 부손의 방통 평가는 정확했는데, 방통은 유비를 섬길 때 제갈량에 비해 낮은 대우를 받았다. 배잠은 결국 위나라에서 상서령(尚書令)이 되었고, 덕망 있는 인물로 명성을 얻었다. 위풍이 훗날 위나라에 반기를 들 것이라고 예측하였는데, 이는 219년에 현실이 되었다.
2. 1. 후한 말기 활동
유표 사후 유종에게 조조에게 항복할 것을 진언하였다. 그 공적을 인정받아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졌다. 조비의 황제 즉위에 힘써 시중(侍中)에 임명되었다.건안 13년 (208년), 형주목 유표가 사망하고 아들 유종이 뒤를 이었지만, 조조의 세력 확대로 자립이 위태로워졌다. 당시 형주에는 객장으로 유비가 있었는데, 부손은 유비가 조조에게 대항할 수 없을 것이며, 설령 유비가 조조에게 대항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번에는 유종이 유비에게 병탄될 것이라고 설파하며, 조조에게 항복하는 것이 멸망을 면하는 길이라고 진언했다. 유종이 조조에게 항복하자, 부손은 형주를 항복시킨 공적으로 관내후에 봉해졌다.
건안 24년 (219년), 명성이 높았던 위풍이 쿠데타를 꾀하다 처형되었는데, 부손은 이전부터 위풍의 모반을 예언했다고 한다.
건안 25년 (220년), 선양을 둘러싼 상주문에 산기상시로서 이름을 올렸다.
황초 연간에는 시중·상서에 임명되었다. 시중 동료였던 소칙이 조비에게 책망받는다고 오해하고 변명하려 하자, 조비가 소칙이 아닌 조식을 책망하고 있다는 것을 몰래 알려 변명을 멈추게 했다.
2. 2. 조조에게 투항
유표가 죽고 유종이 뒤를 이었을 때, 부손은 조조에게 항복하는 것이 멸망을 피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형주에는 유비가 있었는데, 부손은 유비가 조조에게 대항할 수 없을 것이며, 설령 대항할 수 있더라도 유종이 유비에게 흡수될 것이라고 보았다. 건안 13년 (208년), 조조의 군대가 형주 수도인 샹양 외곽에 도착하자, 부손은 괴월, 한송(韓嵩)과 함께 유종을 설득하여 조조에게 항복하게 했다. 유종이 항복하자, 부손은 그 공으로 관내후에 봉해졌다.2. 3. 조위 건국 이후
조조(曹操)의 아들 조비(曹丕)가 후한의 마지막 황제 헌제에게 선위를 강요하여 위(魏)를 건국하고 삼국 시대가 시작될 때, 부손은 조비의 황실에서 侍中(시중)과 尙書(상서)를 지냈다.황초 연간에는 시중·상서에 임명되었다. 시중 동료였던 소칙이 조비에게 책망받는다고 오해하여 변명하려 하자, 조비가 조식을 책망하고 있다는 것을 몰래 알려 변명을 멈추게 했다.
건안 25년 (220년), 선양을 둘러싼 상주문에 산기상시로서 이름을 올렸다. 그는 조비의 후계자 조예의 치세인 태화 연간 (227-233)에 사망했다.
3. 인물평
부손은 용모가 출중하고 박학다식했으며, 인물 비평의 대가였다고 한다.[1] 그는 당시 중국 강남(장강 이남)에서 '''봉추'''라는 별호로 유명했던 방통을 '''"재지(재주와 지략)가 뛰어난 영웅이지만 기량(사람의 재능과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 불완전하다."'''고 평가했다.[1] 방통은 유비를 섬길 때 제갈량에 비해 낮은 대우를 받았는데, 이는 부손의 평가가 정확했음을 보여준다.[1]
배송지(동진 말~송나라 초기 때의 유명한 역사학자·정치가)의 조상인 배잠에게는 '''"청결(마음이 맑고 깨끗하며 탐욕이 없음)하고 품행방정(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한 인물이며 끝내 그의 청렴한 행실로 인해 현달(벼슬, 명성, 덕망이 높아서 이름이 세상에 드러남)할 것"'''이라고 평하였다.[1] 배잠은 위나라에서 상서령이 되었고, 덕망 있는 인물로 명성을 얻어 부손의 예견이 맞았음을 보여준다.[1]
당대의 전도유망(앞으로 잘 될 희망이 있음. 또는 장래가 유망함)한 기대주로 이름을 모았던 위풍을 보고서는 '''"결코 큰 자리에 오르지 못할 것이며 훗날 위나라에 반기를 들 것이다."'''라고 간파하였다.[1] 위풍은 219년에 반란을 일으켜 부손의 예측이 정확했음을 입증했다.[1]
4. 친족 관계
삼국지 위서에 기록된 조카 부가의 전에 따르면, 전한의 부개자의 후손이다.[1] 아버지 부예는 대군 태수를 지냈으며, 동생 부충은 황문시랑이 되었다.[1] 부충의 아들이 부가이다.[1]
참조
[1]
서적
三国志 魏書文帝紀の注に引く『献帝伝』
[2]
서적
三国志 何夔伝注の『魏書』(王沈 (西晋)|王沈撰)では、尚書だった傅巽が何夔に対し、丁儀の権勢を警告したという逸話が見える。丁儀が権勢を振るったのは、後継者争いが決着し曹丕が魏の太子となる建安22年(217年)以前で、時代が前後する。
[3]
서적
三国志 魏書蘇則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