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생물학 연구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자생물학 연구소(LMB)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연구소로, 1947년 영국 의학 연구 위원회(MRC)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다. 이 연구소는 DNA 이중 나선 구조 발견, 유전 암호 해독, 단백질 구조 연구 등 분자 생물학의 중요한 발견을 이끌었으며, 프레더릭 생어, 존 켄드루, 막스 페루츠, 프랜시스 크릭, 제임스 왓슨, 애런 클루그, 시드니 브레너 등 다수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LMB는 세포 생물학, 신경 생물학, 단백질 및 핵산 화학, 구조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간단한 행정 구조와 연구 환경을 통해 과학적 발전을 장려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의 단체 - 왕립화학회
왕립화학회는 1841년 설립된 화학회를 기원으로 하는 영국의 학술 단체로서, 학술지 출판, 학회 개최, 교육 활동, 자격 인증 등을 통해 화학 분야 발전에 기여하며 공인화학자 자격 수여 및 상과 메달을 수여하는 화학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미국의 연구소 - 오픈AI
오픈AI는 샘 알트먼과 일론 머스크 등이 2015년에 설립한 인공지능 연구 기관으로, 초기에는 비영리 단체였으나 이후 영리 법인으로 전환하여 마이크로소프트의 투자를 받아 혁신적인 인공지능 모델과 서비스를 개발하며 여러 논란과 내부 갈등을 겪고 있다. - 미국의 연구소 - 국제식량정책연구소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는 기아와 영양실조 없는 세상을 목표로 빈곤 감소와 지속가능한 식단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 해결책을 연구하는 국제 연구기관으로서, 식량 가격, 성별, 기후변화, 농업 혁신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정책 입안자 등에게 연구 결과를 제공하지만, 연구 주제 선정 우선순위, 역량 강화 활동 부족, 특정 재단 자금 지원에 대한 우려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분자생물학 연구소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MRC 분자생물학 연구소 |
약칭 | MRC LMB |
위치 | 캠브리지, 영국 |
조직 | |
분야 | 분자생물학 |
기관장 직함 | 소장 |
기관장 이름 | 얀 뢰베 |
모기관 | 의학 연구 위원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맥스 페루츠는 1936년 오스트리아를 떠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존 데스몬드 버날이 이끄는 X선 결정학 그룹에 합류하여 헤모글로빈 연구를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과학자들이 물리학에서 생물학으로 전환하면서 존 켄드루가 페루츠 그룹에 합류하여 미오글로빈을 연구했다. 1947년 영국 의학 연구 위원회(MRC)는 "생물학적 시스템의 분자 구조 연구를 위한 MRC 유닛"을 설립했다. 1949년에는 프랜시스 크릭이, 1951년에는 제임스 왓슨이 합류했다.
1953년은 경이로운 해였다. 왓슨과 크릭은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발견했고, 페루츠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휴 헉슬리는 미끄럼 필라멘트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1957년 그룹의 이름은 "분자 생물학을 위한 MRC 유닛"으로 변경되었다. 버논 잉그램은 겸상 적혈구 빈혈증이 헤모글로빈 분자의 단일 아미노산 변화로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시드니 브레너가 유닛에 합류했다. 1958년 크릭은 분자 생물학의 중심 원리, 염기 서열 가설, 어댑터 가설을 제시했다. 1961년 브레너는 전령 RNA의 발견을 도왔고, 크릭과 함께 유전 암호가 세 쌍으로 읽힌다는 것을 확립했다.
이 모든 연구는 캐번디시 연구소 내의 임시 건물에서 이루어졌다. MRC는 케임브리지 외곽에 새로운 연구소인 LMB를 건설했다. 프레드 생어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결정 방법을 발명하여 195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1962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새 연구소를 개관했고, 켄드루와 페루츠는 노벨 화학상을, 크릭과 왓슨은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LMB 건물은 1970년대에 애든브룩스 병원 단지에 통합되었다.[6]
새로운 LMB는 페루츠가 의장을 맡고 켄드루의 구조 연구 부서, 크릭의 분자 유전학 부서, 생어의 단백질 화학 부서의 3개 부서로 구성되었다. 약 40명의 과학자가 있었지만, 많은 박사 후 연구원들이 유입되면서 그 수가 빠르게 증가했다.[5]
1960년대 동안 전 세계의 분자 생물학은 번성했다. 미오글로빈, 헤모글로빈, 키모트립신 등의 단백질 구조와 기능이 밝혀졌다. 유전 암호는 크릭에 의해 조립되었다. 메신저 RNA에서 RNA를 단백질 서열로 번역하는 신호는 조앤 A. 스테이츠에 의해 발견되었다.[7] 크릭은 와블 염기쌍 가설에서 tRNA 분자가 메신저를 어떻게 읽는지 제시했다. 생어는 RNA와 DNA 분자를 염기 서열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여 1980년 두 번째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존 설스턴은 전체 게놈 서열 결정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tRNA 전구체 분자가 처리되는 과정은 존 데릭 스미스와 시드 알트만에 의해 밝혀졌으며, 이는 리보자임 발견으로 이어졌다. 아연 핑거가 발견되었고(클러그는 1982년 노벨 화학상 수상), ATP 합성효소의 구조는 존 E. 워커와 앤드류 레슬리에 의해 풀렸으며(워커는 1997년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5] 1990년 나가이 키요시는 스플라이소솜 구조 해독 연구를 시작했다.[8] 2016년 그의 연구팀은 활성화된 스플라이소솜의 첫 번째 구조를 발표했다.[9] 리보솜의 구조는 벵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에 의해 풀렸으며, 그는 2009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0]
1960년대 말, 분자생물학에서 성공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생물학의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시드니 브레너는 1965년 선충 ''C. 엘레강스''의 유전학 연구를 시작했다. 설스턴은 이 벌레의 세포 계통을, 존 그레이엄 화이트는 신경계의 전체 배선도를 규명했다. 로버트 호비츠는 세포 계통 연구에 기여하여 2002년 브레너, 설스턴과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조나단 호지킨은 ''C. 엘레강스''의 성 결정 과정을 제어하는 유전 경로를 확립했다. 존 거던은 개구리 난모세포를 사용하여 mRNA를 번역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피터 로렌스는 패턴 형성을 연구하기 위해 와서, ''초파리''의 구획이 파리의 신체 구조를 어떻게 결정하는지 밝히는 데 기여했다.
2. 1. 기원: 1947-1961
맥스 페루츠는 유기 화학 학부 과정을 마친 후 1936년 오스트리아를 떠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존 데스몬드 버날이 이끄는 X선 결정학 그룹에 합류했다. 이곳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그는 평생에 걸친 헤모글로빈 연구를 시작했다. 러더퍼드 경의 사망으로 인해 X선 결정학의 선구자인 로렌스 브래그가 1938년 새로운 캐번디시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 브래그는 초창기에 페루츠와 그의 그룹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1]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과학의 물리적 측면에서 많은 과학자들이 생물학으로 전환하여 새로운 사고방식과 전문 지식을 가져왔다. 존 켄드루는 1946년 페루츠의 그룹에 합류하여 헤모글로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단백질인 미오글로빈을 연구했다. 1947년, 사무총장 해럴드 힘스워스의 지휘하에 영국 의학 연구 위원회(MRC)는 "생물학적 시스템의 분자 구조 연구를 위한 MRC 유닛"을 설립하고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1948년까지 근육 연구를 하던 휴 헉슬리가 포함된 이 그룹에는 1949년 프랜시스 크릭이 합류했으며, 그는 처음에는 단백질 결정학을 연구했다. 1951년에는 제임스 왓슨이 합류했다.[1]
1953년은 경이로운 해였다. 왓슨과 크릭은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발견하여 생물학적 정보가 선형 구조로 인코딩되고 이 정보가 세포 분열 중에 어떻게 복제될 수 있는지를 밝혀냈다. 페루츠는 미오글로빈과 헤모글로빈과 같은 단백질의 상세한 3차원 구조가 중금속 원자 표지 기술을 사용하여 X선 분석으로 원리적으로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휴 헉슬리는 근육 수축이 미끄럼 필라멘트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
1957년 그룹의 이름은 "분자 생물학을 위한 MRC 유닛"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그해 버논 잉그램은 겸상 적혈구 빈혈증이 헤모글로빈 분자의 단일 아미노산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시드니 브레너가 유닛에 합류했다. 1958년 크릭의 리뷰 "단백질 합성"이 발표되었는데, 이것은 처음으로 분자 생물학의 중심 원리, 염기 서열 가설, 그리고 어댑터 가설을 제시했다. 1961년 브레너는 전령 RNA의 발견을 도왔고, 같은 해에 그와 크릭은 유전 암호가 세 쌍으로 읽힌다는 것을 확립했다.[1]
이 모든 연구는 캐번디시 연구소 내의 단층 임시 건물(오두막), 오스틴 윙의 몇 개의 방, 경사진 유리 정면이 있는 방(온실) 및 짧게 밀폐된 복도(갤러리)에서 이루어졌다.[1]
2. 2. 1962년 LMB 개소

MRC는 1962년 초 케번디시 연구소가 이전한 케임브리지 외곽에 새로운 연구소인 LMB를 건설했다. 대학교 생화학부에 있던 생어의 연구소는 런던에서 온 애런 클루그와 함께 LMB에 합류했다. 생어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는 방법을 발명했으며, 인슐린의 서열을 밝힌 공로로 195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1962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새 연구소를 개관했다. 같은 해 켄드루와 페루츠는 노벨 화학상을, 크릭과 왓슨은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LMB 건물은 1970년대 애든브룩스 병원 단지가 새로 건설되면서 통합되었다.[6]
새로운 LMB는 페루츠가 의장을 맡았고, 구조 연구(켄드루), 분자 유전학(크릭), 단백질 화학(생어)의 세 부서로 구성되었다. 전체 과학자는 약 40명이었으나, 미국 등에서 온 박사 후 연구원들이 유입되면서 빠르게 증가했다.[5]
2. 3. 1960년대 이후: 발전과 확장
맥스 페루츠는 1936년 오스트리아를 떠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존 데스몬드 버날이 이끄는 X선 결정학 그룹에 합류하여 헤모글로빈 연구를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과학자들이 물리학에서 생물학으로 전환하면서 존 켄드루가 페루츠 그룹에 합류하여 미오글로빈을 연구했다. 1947년 영국 의학 연구 위원회(MRC)는 "생물학적 시스템의 분자 구조 연구를 위한 MRC 유닛"을 설립했다. 1949년에는 프랜시스 크릭이, 1951년에는 제임스 왓슨이 합류했다.1953년은 경이로운 해였다. 왓슨과 크릭은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발견했고, 페루츠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휴 헉슬리는 미끄럼 필라멘트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1957년 그룹의 이름은 "분자 생물학을 위한 MRC 유닛"으로 변경되었다. 버논 잉그램은 겸상 적혈구 빈혈증이 헤모글로빈 분자의 단일 아미노산 변화로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시드니 브레너가 유닛에 합류했다. 1958년 크릭은 분자 생물학의 중심 원리, 염기 서열 가설, 어댑터 가설을 제시했다. 1961년 브레너는 전령 RNA의 발견을 도왔고, 크릭과 함께 유전 암호가 세 쌍으로 읽힌다는 것을 확립했다.
이 모든 연구는 캐번디시 연구소 내의 임시 건물에서 이루어졌다. MRC는 케임브리지 외곽에 새로운 연구소인 LMB를 건설했다. 프레드 생어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결정 방법을 발명하여 195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1962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새 연구소를 개관했고, 켄드루와 페루츠는 노벨 화학상을, 크릭과 왓슨은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LMB 건물은 1970년대에 애든브룩스 병원 단지에 통합되었다.[6]
새로운 LMB는 페루츠가 의장을 맡고 3개의 부서로 구성되었다. 구조 연구 부서는 켄드루, 분자 유전학 부서는 크릭, 단백질 화학 부서는 생어가 이끌었다. 약 40명의 과학자가 있었지만, 많은 박사 후 연구원들이 유입되면서 그 수가 빠르게 증가했다.[5]
1960년대 동안 전 세계의 분자 생물학은 번성했다. 미오글로빈, 헤모글로빈, 키모트립신 등의 단백질 구조와 기능이 밝혀졌다. 유전 암호는 크릭에 의해 조립되었다. 메신저 RNA에서 RNA를 단백질 서열로 번역하는 신호는 조앤 A. 스테이츠에 의해 발견되었다.[7] 크릭은 와블 염기쌍 가설에서 tRNA 분자가 메신저를 어떻게 읽는지 제시했다. 생어는 RNA와 DNA 분자를 염기 서열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여 1980년 두 번째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존 설스턴은 전체 게놈 서열 결정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tRNA 전구체 분자가 처리되는 과정은 존 데릭 스미스와 시드 알트만에 의해 밝혀졌으며, 이는 리보자임 발견으로 이어졌다. 아연 핑거가 발견되었고(클러그는 1982년 노벨 화학상 수상), ATP 합성효소의 구조는 존 E. 워커와 앤드류 레슬리에 의해 풀렸으며(워커는 1997년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5] 1990년 나가이 키요시는 스플라이소솜 구조 해독 연구를 시작했다.[8] 2016년 그의 연구팀은 활성화된 스플라이소솜의 첫 번째 구조를 발표했다.[9] 리보솜의 구조는 벵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에 의해 풀렸으며, 그는 2009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0]
1960년대 말, 분자생물학에서 성공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생물학의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시드니 브레너는 1965년 선충 ''C. 엘레강스''의 유전학 연구를 시작했다. 설스턴은 이 벌레의 세포 계통을, 존 그레이엄 화이트는 신경계의 전체 배선도를 규명했다. 로버트 호비츠는 세포 계통 연구에 기여하여 2002년 브레너, 설스턴과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조나단 호지킨은 ''C. 엘레강스''의 성 결정 과정을 제어하는 유전 경로를 확립했다. 존 거던은 개구리 난모세포를 사용하여 mRNA를 번역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피터 로렌스는 패턴 형성을 연구하기 위해 와서, ''초파리''의 구획이 파리의 신체 구조를 어떻게 결정하는지 밝히는 데 기여했다.
3. 주요 연구 분야
분자생물학 연구소의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세사르 밀스타인은 오랫동안 항체 변이를 연구했다. 그는 조르주 쾰러와 함께 단클론 항체를 만드는 방법을 발견하여 198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그렉 윈터[11]는 파지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새로운 인간 항체와 항체 조각을 만드는 항체 공학 기술을 개발하여 2018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12] 단클론 항체와 그 조각은 현재 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마이클 노이버거는 활성화 유도 (시티딘) 데아미네이스에 의해 항체 다양성이 생기는 기전을 발견했다. 이는 유기체가 새로운 병원체를 인지하기 위해 다양한 항체를 만들 수 있는 분자 기전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이다. 또한 생리학에서 유도 돌연변이 유발과 DNA 복구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노이버거가 밝힌 분자 기전은 카타에지스의 유방암 돌연변이 패턴을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마이클 노이버거는 골수종으로 사망했다.
4. 연구 부서
새로운 LMB는 페루츠가 의장을 맡았으며, 구조 연구, 분자 유전학, 단백질 화학의 3개 부서로 구성되었다. 구조 연구 부서는 켄드루, 분자 유전학 부서는 크릭, 단백질 화학 부서는 생어가 이끌었다. 전체적으로 약 40명의 과학자가 있었지만, 특히 미국에서 온 많은 박사 후 연구원들이 유입되면서 그 수가 빠르게 증가했다.[5]
고전적인 분자 생물학의 중요성은 세포 생물학과 발달로 옮겨갔고, 이에 따라 분자 유전학 부서는 세포 생물학 부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3년,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신경 생물학 부서가 신설되었다. 나이젤 언윈은 전자 결정학을 더욱 발전시켜 많은 뉴런을 활성화시키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구조를 밝혀냈다. 미셸 고더트는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변이 단백질을 확인했다.
기준 약 50명의 그룹 리더가 있다.[11][18] 그룹은 LMB의 4개 부서, 즉 세포 생물학, 신경 생물학, 단백질 및 핵산 화학, 구조 연구 중 하나에 속한다.
5. 행정 구조
분자생물학연구소(LMB)는 의도적으로 단순한 행정 환경을 갖추고 있다.[15] LMB 외부에서는 모기관인 MRC가 5년마다 실시하는 평가를 가볍게 진행하도록 보장했다. 외부 위원회는 과거 성과의 간략한 설명과 향후 계획에 대한 간략한 언급만을 요구했다. 위원회의 권고는 단순히 자문 역할만 했으며, 부서 책임자들은 자신의 업무를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한 자유 재량권을 부여받았다. 그들이 가장 잘 알고 있다고 간주했기 때문이다.
LMB 내부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행위가 모든 수준에서 용이해야 한다는 것이 페루츠의 기준이었다. LMB는 단일 예산을 가지고 있었으며, 개인 예산이나 장비는 없었고 모든 것이 공동으로 사용되었다. 최첨단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MRC의 자금 지원을 잘 받았다. 화학 시약, 유리 제품 및 기타 소모품은 서명만으로 단일 창고에서 꺼낼 수 있었다. 연구실의 원활한 운영의 핵심은 일상적인 운영을 책임지는 마이클 풀러였다.[16]
명시적인 위계질서는 없었으며, 모든 사람이 서로 이름을 부르며 지냈다. 연구실의 대부분의 구성원은 식당에서 자유롭게 만났으며, 이는 부서 간의 의사 소통과 협력을 돕는다고 여겨졌다.[5]
6. 주요 연구 성과
1960년대 동안 전 세계의 분자 생물학은 번성했으며, 1950년대의 윤곽에 살이 붙었다. 미오글로빈, 헤모글로빈, 키모트립신 등 일련의 단백질의 상세한 3차원 원자 구조와 그 기능이 밝혀졌다. 데이비드 블로우는 키모트립신을 발견했다. 크릭은 전 세계의 증거를 바탕으로 유전 암호를 조립했다. 박사후 연구원 조앤 A. 스테이츠는 메신저 RNA에서 RNA를 단백질 서열로 번역을 시작하고 중지하는 신호인 구두점 신호를 발견했다.[7] 크릭은 와블 염기쌍 가설에서 tRNA 분자(원래의 어댑터)가 메신저를 어떻게 읽는지 제시했다. 생어는 RNA와 DNA 분자를 염기 서열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여 1980년 두 번째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이후 이 연구는 전체 게놈의 서열을 결정하는 데까지 확장되었으며, 존 설스턴이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존 데릭 스미스와 시드 알트만은 tRNA 전구체 분자가 기능적인 tRNA를 생성하기 위해 어떻게 처리되는지 밝혔으며, 이는 나중에 리보자임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클러그는 최초의 tRNA 분자의 원자 구조를 풀었고, 아연 핑거를 발견하여 1982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존 E. 워커와 앤드류 레슬리는 ATP 합성효소의 구조를 풀었으며, 워커는 1997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5] 1990년, 나가이 키요시는 X선 결정학과 극저온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스플라이소솜의 구조를 해독하는 연구를 시작했으며,[8] 2016년 그의 연구팀은 촉매 반응 직후, 완전히 활성화되고 기질이 결합된 상태에서 포착된 스플라이소솜의 첫 번째 구조를 발표했다.[9] 벵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은 리보솜의 구조를 풀어 2009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0]
시드니 브레너는 1965년 선충 ''C. 엘레강스''의 유전학 연구를 시작했다. 설스턴은 이 작은 벌레의 세포 계통을, 존 그레이엄 화이트는 신경계의 전체 배선도를 규명했다. 로버트 호비츠는 세포 계통 연구에 기여하여 2002년 브레너, 설스턴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조나단 호지킨은 성 결정 과정을 제어하는 ''C. 엘레강스''의 유전 경로를 확립했다. 존 거던은 개구리 난모세포를 사용하여 mRNA를 번역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발달 과정에서 유전 정보가 손상되지 않음을 보여준 초기 연구로 201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피터 로렌스는 ''초파리''의 구획이 파리의 신체 구조를 어떻게 결정하는지 밝혔다. 그의 영향으로 크릭 또한 형태 형성 기울기와 이것이 생물학적 패턴을 지정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세사르 밀스타인은 조르주 쾰러와 함께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을 발견하여 198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렉 윈터[11]는 파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새로운 인간 항체와 항체 조각을 만드는 항체 공학을 개척하여 2018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2]
마이클 노이버거는 활성화 유도 (시티딘) 데아미네이스에 의해 항체 다양화가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마크 브레처는 단백질이 인간 적혈구 막에 배열되는 위상적 방식과 그 인 지질 비대칭성을 발견했다. 리처드 헨더슨과 나이젤 언윈은 전자 결정학을 개발하여 2차원 배열의 구조를 결정했고, 이를 세균 보라색 단백질인 세균 로돕신에 적용했다. 바바라 피어스는 세포 내 섭취 중에 형성되는 클라트린 코팅 소포의 주요 구성 요소를 발견하고, 이들을 둘러싼 케이지 모양의 격자에 대한 낮은 해상도 구조를 결정했다. 브레처, 휴 펠햄[13] 및 숀 먼로는 단백질이 소포체, 골지체 또는 세포막과 같은 세포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 어떻게 국소화되는지, 그리고 이것이 세포 극성에 미치는 역할을 밝혔다. 존 킬마틴은 방추체 극체— 효모 세포에서 염색체가 유사 분열 중에 이동되는 초점 역할을 하는 큰 구조 —를 정제하고, 이에 대한 낮은 해상도 구조를 추론했다.[14]
로저 콘버그는 DNA의 첫 번째 응축 수준인 뉴클레오솜을 발견했고, DNA의 더 높은 차수의 접힘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나이젤 언윈은 전자 결정학을 더욱 발전시켜 많은 뉴런을 활성화시키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구조를 밝혀냈다. 미셸 고더트는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변이 단백질을 확인했다.
분자생물학연구소(LMB)는 핵산 염기 서열 분석, 단백질 및 항체 공학, 새로운 X선 장비 구축, 주사 공초점 현미경 발명에 주요한 기여를 했다.[5]
7. 노벨상 수상자
분자생물학 연구소(LMB)에서 연구를 수행하거나 시작하여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은 다음과 같다.[31][32][33]
LMB 소속 과학자들과 방문 연구자 및 동문들은 아래와 같다.
LMB 소속 과학자 |
---|
LMB 방문 연구자 및 동문 |
---|
7. 1. LMB 소속 노벨상 수상자
연도 | 이름 | 공동 수상자 | 비고 |
---|---|---|---|
1958 | 프레더릭 생어 | ||
1962 | 존 켄드루 | 막스 페루츠 | |
막스 페루츠 | 존 켄드루 | [35] | |
프랜시스 크릭 | 모리스 윌킨스, 짐 왓슨 | [36] | |
1962 | 짐 왓슨 | 프랜시스 크릭, 모리스 윌킨스 | |
1980 | 프레더릭 생어 | 폴 버그, 월터 길버트 | [34] |
1982 | 애런 클루그 | [37] | |
1984 | 세사르 밀스타인 | 게오르그 쾰러, 닐스 예르네 | [38] |
게오르그 쾰러 | 세사르 밀스타인, 닐스 예르네 | ||
1997 | 존 워커 | 폴 D. 보이어, 옌스 크리스티안 스코우 | |
2002 | 시드니 브레너 | 로버트 호비츠, 존 설스턴 | [39] |
로버트 호비츠 | 시드니 브레너, 존 설스턴 | ||
존 설스턴 | 시드니 브레너, 로버트 호비츠 | ||
2009 |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 토머스 A. 스타이츠, 아다 E. 요나트 | |
2013 | 마이클 레비트 | 마틴 카플러스, 아리 워셜 | |
2017 | 리처드 헨더슨 | 자크 뒤보셰, 요아힘 프랑크 | |
2018 | 그렉 윈터 | 프랜시스 H. 아놀드, 조지 P. 스미스 |
7. 2. LMB 방문 연구자 및 동문 노벨상 수상자
- 시드니 올트먼 1989년 (토머스 R. 체크와 공동 수상)
- 리처드 J. 로버츠 1993년 (필립 앨런 샤프와 공동 수상)
- 마이클 스미스 1993년
- 로저 콘버그 2006년
- 앤드루 파이어 2006년 (크레이그 C. 멜로와 공동 수상)
- 엘리자베스 블랙번 2009년 (캐럴 W. 그리더 및 잭 W. 쇼스택과 공동 수상)
- 토머스 A. 스테이츠 2009년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및 아다 E. 요나트와 공동 수상)
- 마티 챌피 2008년 (시모무라 오사무 및 로저 Y. 치엔과 공동 수상)
- 존 거든 2012년 (야마나카 신야와 공동 수상)
- 마틴 카플러스 2013년 (마이클 레비트 및 아리에 와르셸과 공동 수상)
- 아리에 와르셸 2013년 (마틴 카플러스 및 마이클 레비트와 공동 수상)
- 모르텐 멜달 2022년 (캐롤린 R. 베르토치 및 K. 배리 샤플리스와 공동 수상)
8. 위치
케임브리지 대학교 의과대학 및 애든브룩 병원과 MRC 단백질 공학 센터 등에 인접한 영국 케임브리지에 위치해 있다.
9. 저명한 동문
분자생물학 연구소(LMB)에서 노벨상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수상한 과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수상자 | 공동 수상자 |
---|---|---|
1958 | 프레더릭 생어 | |
1962 | 존 켄드루 | 막스 페루츠 |
막스 페루츠 | 존 켄드루 | |
1962 | 프랜시스 크릭 | 모리스 윌킨스, 짐 왓슨 |
짐 왓슨 | 프랜시스 크릭, 모리스 윌킨스 | |
모리스 윌킨스 | 프랜시스 크릭, 제임스 D. 왓슨 | |
1980 | 프레더릭 생어 | 폴 버그, 월터 길버트 |
1982 | 애런 클루그 | |
1984 | 세사르 밀스타인 | 게오르그 쾰러, 닐스 예르네 |
게오르그 쾰러 | 세사르 밀스타인, 닐스 예르네 | |
1997 | 존 워커 | 폴 D. 보이어, 옌스 크리스티안 스코우 |
2002 | 시드니 브레너 | 로버트 호비츠, 존 설스턴 |
로버트 호비츠 | 시드니 브레너, 존 설스턴 | |
존 설스턴 | 시드니 브레너, 로버트 호비츠 | |
2009 |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 토머스 A. 스타이츠, 아다 E. 요나트 |
2013 | 마이클 레비트 | 마틴 카플러스, 아리 워셜 |
2017 | 리처드 헨더슨 | 자크 뒤보셰, 요아힘 프랑크 |
2018 | 그렉 윈터 | 프랜시스 H. 아놀드, 조지 P. 스미스 |
참조
[1]
웹사이트
MRC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https://www.ukri.org[...]
2022-03-01
[2]
웹사이트
Dr Jan Löwe on the next scientific frontier for the MRC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https://www.cambridg[...]
2022-03-01
[3]
웹사이트
Dr Jan Löwe says he's 'humbled' to take over as director of MRC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https://www.cambridg[...]
2022-03-01
[4]
서적
A Nobel Fellow On Every Floor : a History of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https://www.worldcat[...]
Icon Books
2013
[5]
서적
A Nobel Fellow On Every Floor
Medical Research Council
2008
[6]
웹사이트
The LMB- present and future... University of Cambridge
http://www.medschl.c[...]
2014-02-17
[7]
논문
Polypetide Chain Initiation: Nucleotide Sequences of the Three Ribosomal Binding Sites in Bacteriophage R17 RNA
1969
[8]
서적
A Nobel Fellow on Every Floor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9]
논문
Cryo-EM structure of the spliceosome immediately after branching
2016
[10]
웹사이트
Nobel Laureates in Chemistry 2009
http://nobelprize.or[...]
[11]
논문
Building for the future
[12]
웹사이트
Live blog: directed evolution takes chemistry Nobel prize
https://www.chemistr[...]
2022-02-23
[13]
간행물
PELHAM, Sir Hugh (Reginald Brentnall)
Oxford University Press
[14]
간행물
MARTIN, Dr John Vincent
Oxford University Press
[15]
논문
LMB Cambridge: Bureaucracy bypass let research flourish
[16]
논문
Cambridge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17]
웹사이트
Her Majesty the Queen opens the new MRC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http://www.cam.ac.uk[...]
Cambridge University
2013-06-20
[18]
웹사이트
Group Leaders – MRC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http://www2.mrc-lmb.[...]
2020
[19]
간행물
HASTINGS, Dr Michael Harvey
Oxford University Press
[20]
간행물
LÖWE, Dr Jan
Oxford University Press
[21]
논문
Harvey Mc ''Mahon'': Ahead of the curve on membrane dynamics
[22]
간행물
Munro, Dr (Bruce) Sean
Oxford University Press
[23]
논문
A Nobel Prize-Winning Culture
[24]
논문
Profile of Venkatraman Ramakrishnan
[25]
논문
365 daysm Nature's 10: Ten people who mattered this year
[26]
간행물
BIENZ, Dr Mariann, (Lady Pelham)
Oxford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Dr Richard Crowther FMedSci FRS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28]
간행물
CROWTHER, Dr Richard Anthony
Oxford University Press
[29]
간행물
EVANS, Dr Philip Richard
Oxford University Press
[30]
간행물
LESLIE, Dr Andrew Greig William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A Nobel Fellow On Every Floor
Medical Research Council
2008
[32]
웹사이트
LMB Archives
http://www2.mrc-lmb.[...]
[33]
웹사이트
The Nobel Laureates of the LMB
http://www2.mrc-lmb.[...]
[34]
논문
Frederick Sanger (1918–2013)
[35]
논문
Max Ferdinand Perutz OM CH CBE. 19 May 1914 - 6 February 2002: Elected F.R.S. 1954
[36]
논문
Obituary: Francis Crick (1916–2004)
[37]
논문
Aaron Klug and the revolution in biomolecular structure determination
[38]
논문
ObituaryCésar Milstein (1927–2002)
[39]
논문
Sydney Brenner
[40]
인명록
CHOTHIA, Cyrus Homi
Oxford University Press
[41]
논문
Some features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enetic elements of bacteriophages
http://discover.libr[...]
University of Cambridge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1969-10-23
[42]
웹사이트
Toby (James) Gibson
https://rtg2467.uni-[...]
[43]
인명록
McLachlan, Dr Andrew David
Oxford University Press
[44]
인명록
NAGAI, Kiyoshi
Oxford University Press
[45]
논문
Michael S. Neuberger 1953-2013
[46]
인명록
Proudfoot, Prof. Nicholas Jarvis
Oxford University Press
[47]
논문
Genetic and molecular analysis of fox-1, a numerator element involved in Caenorhabditis elegans primary sex determination
[48]
인명록
Warren, Prof. Alan John
Oxford University Press
[49]
웹사이트
LMB Alumni List
https://www2.mrc-lmb[...]
2023-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