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곡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곡역은 경부선 상의 간이역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해 있다. 1965년 12월 10일 영업을 시작했으며, 2020년 4월 10일 역사 신축을 위해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2024년 12월 14일 신 역사 완공과 함께 대경선 개통 및 전철 전용역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구미역 방면과 동대구역, 경산역 방면으로 운행하며, 주변에는 구미사곡초등학교, 구미국가산업단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미시의 전철역 - 구미역
구미역은 1916년 영업을 시작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선상종합역사 신축, KTX 일시 정차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024년 광역전철이 개통될 예정이다. - 대경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경선의 역 - 경산역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경부선 경산역은 1905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2011년 선상역사로 재건축되었고, 2면 4선의 승강장과 광역전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KTX와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니시우메다역
니시우메다역은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의 역으로, 우메다 지역 교통 허브와 연결되어 다수의 철도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섬식 승강장과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주변에 상업시설과 호텔이 밀집해 있고, 장래에는 요쓰바시선 연장 계획에 따라 주소역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달월역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에 위치한 달월역은 지형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폐역 후 전철역으로 재개업하여 수인분당선이 운행되고, 주변에 아울렛과 차량사업소가 있다.
사곡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사곡동 상사서로 173-7 |
기본 정보 | |
이름 | 사곡역 |
한자 표기 | 沙谷驛 |
로마자 표기 | Sagongnyeok |
개업일 | 1965년 12월 10일 |
재개업일 | 2024년 12월 14일 |
노선 | 경부선 |
역 번호 | K111 |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4선 (상대식 승강장) |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구미관리역 |
역 등급 | 무배치간이역 (구미역 관리) |
전보 약호 | (정보 없음) |
역사 | |
개업일 | 1965년 12월 10일 |
재개업일 | 2024년 12월 14일 |
노선 정보 | |
노선 | 경부선 |
서울역 기점 | 281.3 km |
이전 역 | 구미역 |
이전 역 간 거리 | 4.6 km |
다음 역 | 약목역 |
다음 역 간 거리 | 8.2 km |
통계 | |
2010년 승차 인원 | 10명 |
2010년 승하차 인원 | 36명 |
이미지 | |
![]() |
2. 연혁
- 1961년 8월 26일: 당시 구미역과 약목역 사이는 경부선에서 역 간 거리가 12.3km로 가장 길었다. 이에 사곡 지역 주민 16,000여 명은 불편 해소를 위해 역 설치를 요청하는 진정서를 국가재건최고회의 교통부에 제출했으나, 지리적 여건을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1964년 10월 3일: 구미읍 37개 부락 대표들이 연명으로 청와대와 철도청 등에 다시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후 대전철도국 운수과에서 타당성 조사를 시작했다.
- 1965년 6월 1일: 주민들이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간이역 설치 허가를 받았다.
- 1965년 8월 1일부터 9월 1일까지: 주민들이 직접 등짐과 우마차 등을 이용해 승강장을 만들었다. 연인원 3,500여 명이 동원되었으며, 당시 승강장 규모는 길이 360m, 폭 2m, 높이 10m, 경사 40도였다.
- 1965년 12월 10일: 역무원이 없는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 1967년 5월 30일: 역사 신축 공사를 시작했다.
- 1967년 7월 1일: 역무원이 배치되는 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5][2]
- 1969년 6월 29일: 역사가 새로 지어졌다.
- 2000년 12월 1일: 다시 역무원이 없는 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가 중단되었다.
- 2014년 5월 1일: 충북종단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 2020년 4월 10일: 새로운 역사 신축을 위해 여객 취급이 잠시 중단되었다.[6]
- 2024년 12월 14일: 신 역사가 완공되고 대경선이 개통되면서 전철 전용역으로 전환되었다.[3]
3. 역 구조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으며, 승강장에 방면 안내 표지판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경부선 일반열차 운행 기준의 승강장별 방면은 다음과 같다.
3. 1. 승강장
대구권 광역철도대구권 광역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