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경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로, 2015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여 2024년 12월 14일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 경부선 철도를 개량하여 2량 대형 전동차를 투입하여 운행하며, 수도권 광폭 전동차가 처음 도입되었다. 환승은 선/후불 교통카드로 가능하며, 레일플러스, 원패스, 티머니, 이즐, 한페이 등 다양한 교통카드를 지원한다.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KTCS-2)이 처음 적용되었으며, 향후 김천 ~ 구미 구간으로의 확장도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경선 - 한국철도공사 392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92000호대 전동차는 2024년 대구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2량 1편성 현대로템 제작 전동차로, 국산 열차제어시스템 KTCS-2를 최초 적용하여 철도 기술 자립화에 기여하였으나 수송력 부족과 시스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현재 대경선 구미~경산 구간에서 9편성이 운행 중이고 향후 추가 도입될 예정이다.
  • 대구광역시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철도 - 대구선
    대구선은 영천역과 동대구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경동선의 일부로 개통되어 확장과 개량을 거쳐 복선 전철화되었으며, 중앙선 및 경부선과의 연계로 대구와 경북 지역 철도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ITX-마음이 운행 중이다.
  • 대구 도시철도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경산시를 잇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단계별 개통을 거쳐 현재 설화명곡역에서 하양역까지 운행하며 2호선,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향후 금호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 노선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대구광역시를 운행하는 모노레일식 경전철 노선으로, 칠곡경대병원역에서 용지역까지 운행되며 1,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일본 히타치 제작소의 시스템을 채택하여 무인 자동 운전되지만 운행관리원이 탑승하며, 30개의 지상역으로 구성되어 용지역에서 신매역까지 연장 계획이 추진 중이다.
대경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이름대경선
노선명대경선
현황운행 중
나라대한민국
종류광역철도
상태운행 중
노선망경부선 일부
기점구미역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종점경산역
(경상북도 경산시 사정동)
역수7
개통일2024년 12월 14일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차량한국철도공사 392000호대 전동차
영업 거리61.85㎞
궤간1,435㎜ (표준궤)
선로2
전철화교류 25000 V
제원 비고내용
노선도

2. 연혁

2015년 7월 21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2016년 11월 23일 국토교통부는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했다. 2018년 4월 4일 행정안전부 재정투자심사를 통과했다. 2019년 4월 18일 1단계 구미 ~ 경산 구간이 착공되었다. 2022년 10월 4일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사업 실시계획이 변경(3차)되었다.[1] 2023년 11월 김천 ~ 구미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착수되었다.[2] 2024년 10월 2일 '''대경선'''으로 명칭이 확정되었고,[3] 2024년 10월 28일 시운전을 실시했다.[4] 2024년 12월 14일 구미 ~ 경산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5]

3. 운영

기존에 운영 중인 경부선 철도를 개량하고, 2량 대형 전동차(중전철)를 투입하여 구미 ~ 경산 구간을 상행 48회, 하행 52회(동대구발 경산행 회송편 4회 포함) 운행한다.[6] 수도권에서 운행하는 광폭 전동차가 대경권에서 처음 선보인다. 건물 벽체 없이 기둥만 서 있는 간이역으로 운영되어 왔던 사곡역2020년 4월 10일에 잠시 영업을 중지한 후 철거하고 신축하며, 전철전용역으로 재편했다.

중간 종착역은 동대구역 하나만 지정됐으며, 심야 시간대를 비롯한 일부 전동열차는 동대구역에서 중간 시종착한다.[7] 그리고 전동열차가 주박하는 동대구역을 출발하여 경산에서 종착하는 회송(출고)편이 아침 2회, 오후 2회 편성된다. 또한 일부 전동열차는 주말휴일에 운행하지 않는다.

치안 서비스는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산하의 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전담하므로, 관할 사무소는 동대구역에 있다.

3. 1. 환승 정보

동해선 광역전철처럼 1회용 토큰 승차권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환승은 선/후불 교통카드로만 가능하다. 대구역동대구역은 직결 환승 통로가 없기 때문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출구로 나가서 별개로 환승해야 한다.[9]

레일플러스를 기본으로 하고, 원패스, 티머니, 이즐, 한페이는 대경선에서 모두 호환된다. 대경선 승강장 입구의 1회권발매기 겸 교통카드 충전기에는 레일플러스티머니만 충전이 가능하므로, 대경선 대구역과 동대구역에서 원패스를 이용하려면 대경선 측으로 이동하기 전에 도시철도 대구역/동대구역에서 충전하는 것이 좋다. 2014년 하반기부터 출시된 원패스의 대경선 사용은 가능하지만, 원패스 출시 이전에 출시한 교통카드인 탑패스는 대경선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KB국민카드를 비롯한 NH농협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비씨카드의 후불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개인금융 철수가 최종 확정된 씨티카드의 후불교통카드는 대경선에서 사용할 수 없다.

대경교통카드는 대경선에서 사용할 수 없다. 이에 iM유페이에서는 2024년 10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대구경북 소재 iM뱅크(구 대구은행) 지점에서 기존 대경교통카드를 반납하는 전제 조건으로 원패스 공카드를 1,500원에 보상 판매하는 행사를 열고, 대경교통카드의 잔액은 전액 환불해 주기로 했다.[10] 그 이유는 대경교통카드와 달리 원패스 및 탑패스가 잔액 이전 자체를 아예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칠곡군의 요청에 따라 구미 시내버스김천 시내버스에서 임시로 호환 개방 중인 탑패스와 대경교통카드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개통과 함께 광역환승제를 실시하면서 호환 개방이 중지되고, 원패스만 호환하기로 했다.

4. 역 목록

wikitext

대경선 광역전철의 모든 역들은 지상이다. ''기울임꼴''로 표기된 역은 미개통역이다.

경유노선역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경부선
K110구미Gumi龜尾-0.0경상북도구미시
K111사곡Sagok沙谷4.54.5
K112북삼Buksam北三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칠곡군
K113왜관Waegwan倭館style="text-align: right;" |18.8
K114왜관공단Waegwan Gongdan倭館工團style="text-align: right;" |23.1
K115서대구Seodaegu西大邱style="text-align: right;" |42.1대구광역시서구
K116원대(달성공원)Wondae(Dalseong Park)院垈(達城公園){{한국 도시철도
(원대역)
style="text-align: right;" |45.2중구
K117대구Daegu大邱{{한국 도시철도1.246.4북구
K118동대구Dongdaegu東大邱{{한국 도시철도3.249.6동구
K119경산Gyeongsan慶山20.161.85경상북도경산시


5. 특징

전동차에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KTCS-2)이 처음 적용됐다.[8] 2012년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해당 과제에 현대로템, 철도기술연구원, 국가철도공단, 코레일과 함께 연구기관으로 참여했다.[8] 특히 유럽연합의 열차제어시스템(ETCS) 규격을 충족해 해외 신호체계와 호환도 가능하다고 한다.[8]

6. 향후 확장 논의

참조

[1] 웹사이트 http://m.molit.go.kr[...] 국토교통부
[2] 뉴스 https://news.kbs.co.[...] KBS 대구방송총국
[3] 뉴스인용 [단독] 대구권 광역철도 정식 명칭은 '대경선'…12월14일 개통 https://www.yeongnam[...] 영남일보 2024-10-04
[4] 뉴스인용 대구권 광역鐵, 28일부터 영업 시운전...12월 14일 개통 https://www.redaily.[...] 철도경제 2024-10-17
[5] 뉴스 구미~경산 잇는 '대경선' 운행 첫날…"지하철 타는 것과 똑같네" https://www.news1.kr[...]
[6] 뉴스인용 대구-경북 40분 단일 생활권 된다…대구권 광역철도 2023년 개통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21-01-05
[7] 웹사이트 #추정
[8] 뉴스인용 현대로템 참여한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 대경선서 첫 운행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2024-12-16
[9] 뉴스인용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 사업'현재 공정률 38%...2023년 개통 예정 https://www.yeongnam[...] 2020-11-10
[10] 뉴스 대구광역시, 구형 교통카드→전국호환교통카드 반값 교환 https://n.news.naver[...] 뉴시스
[11]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2]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3]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