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월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월역은 대한민국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에 있는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1965년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94년 폐역되었다가, 2014년 전철역으로 재개업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수인분당선 수원역과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 역 주변에는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 시흥점이 위치해 있다. 수인선에서 이용객이 가장 적은 역으로, 인근에 시흥차량사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흥시의 전철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 시흥시의 전철역 - 신현역
신현역은 2018년 서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신현동 행정복지센터 등과 인접해 있다. - 1994년 폐지된 철도역 - 소래포구역
소래포구역은 1937년 소래염전 소금 수송을 위해 소래역으로 시작하여 1994년 폐역되었다가, 2012년 수인선 재개통과 함께 현재 위치에서 소래포구역으로 영업을 재개했으며, 수인분당선이 운행되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 1994년 폐지된 철도역 - 고잔역
고잔역은 경기도 안산시 고잔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수인·분당선의 환승역으로, 과거 수인선 역으로 개통되었으나 안산선 역으로 전환된 후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주변에는 안산시청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사곡역
사곡역은 경상북도 구미시 사곡동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립된 간이역에서 시작하여 2024년 대경선 개통과 함께 전철 전용 신역사로 탈바꿈했으며, 현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구미국가산업단지 인근에 자리 잡고 있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니시우메다역
니시우메다역은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의 역으로, 우메다 지역 교통 허브와 연결되어 다수의 철도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섬식 승강장과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주변에 상업시설과 호텔이 밀집해 있고, 장래에는 요쓰바시선 연장 계획에 따라 주소역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달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시흥시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승강장 | 2면 2선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2014년 12월 27일 |
사건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 |
한국어 역 정보 | |
역명 (한글) | 달월역 |
역명 (한자) | 達月驛 |
역명 (로마자 표기) | Darwol-yeok |
일본어 역 정보 | |
역명 | 達月駅 (タロル) |
역명 (로마자 표기) | Darwol |
소속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역 번호 | K259 |
이전 역 | K258 오이도 |
다음 역 | 월곶 K260 |
소재지 |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664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역 종류 | 무배치간이역 |
역 구조 | 2면 2선 |
개업일 | 1965년 5월 1일, 2014년 12월 27일 |
폐지일 | 1994년 9월 1일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한국 철도 역 정보 | |
역명 (한글) | 달월 |
역 번호 | K259 |
![]() |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송도관리역 |
소재지 |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736번길 55 |
개업일 | 2014년 12월 27일 |
종별 | 무배치간이역(코레일네트웍스 역무 위탁) |
승강장 | 2면 2선 |
노선 | 수인선 |
전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영업 거리 | 청량리 기점 89.1 km |
이전 역 | K258 오이도 |
이전 역 거리 | 2.1 km |
다음 역 | K260 월곶 |
다음 역 거리 | 1.5 km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승강장 길이 | 6량 |
2. 역명 유래
월곶동은 지형이 달처럼 생긴 곶이므로 달곶, 달고지, 다리울, 달울, 달월 또는 월곶, 월곡이라 하였다.[4] 역 인근에는 자연마을인 달월부락이 있다.
3. 역사
3. 1. 1965년~1994년: 무배치간이역 시절
1965년 5월 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1]
1988년 10월 25일 : 영업거리표 개정으로 수원 기점 36.1km에서 35.5km로 변경되었다.[5]
1994년 9월 1일 : 송도 - 한대앞 구간이 폐지되면서 함께 폐역되었다.[6]
3. 2. 2014년~현재: 전철역 재개업
2013년 11월 21일 전철역 공사를 시작하였다.[7] 2014년 12월 13일 전철역으로 다시 문을 열었고,[8] 같은 해 12월 27일에는 여객 열차 운행도 다시 시작되었다. 2015년 7월 20일에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지정되었다.[9]
2020년 5월 29일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라 기점 및 거리가 수원 기점 33.8km로 수정되었다. 2020년 9월 12일 수인선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분당선과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고,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역번호가 K259로 변경되었다.
4. 역 구조
달월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출구는 2개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1. 승강장
달월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2. 배선도
5. 이용객 변동
2014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4년 1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10] 수인선에서 이용객이 가장 적은 역이며, 전국적으로도 이용객이 거의 없는 역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수인선 | 승차 | rowspan="2" colspan="2"> 미개통 | 89 | 83 | 107 | 130 | 105 | 75 | 66 | 80 | 93 | 97 | [10] | |
하차 | 91 | 68 | 87 | 101 | 75 | 56 | 50 | 59 | 68 | 68 |
6. 역 주변
7. 인접한 역
오이도 (K258) - 달월역 (K259) - 월곶 (K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