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상목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정치인, 사회복지 전문가이다. 앰허스트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세계은행,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에서 근무했다. 보건사회부 장관,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13대, 14대, 15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또한,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 데일리경제 회장 등을 역임하며 사회복지 및 경제 분야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 - 류화선
류화선은 삼성그룹, 한국경제신문, WOW 한국경제TV에서 활동한 기업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으로, 한나라당 소속으로 경기도 파주시장을 재선하였고, 그랜드코리아레저 대표이사, 경인여자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 - 박지영 (무용가)
박지영은 동덕여자대학교에서 방송연예과 학사 학위를 받고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MBA 석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튀르키예 등에서 벨리댄스를 배운 후 2004년 강사로 데뷔하여 퓨전 벨리댄스, 다이어트 벨리댄스 DVD 출시, 공연단 설립, 협회 회장 역임, 학교 교수 활동 등을 통해 무용가로 활동했다. - 세종대학교 대학원 동문 - 장우혁
장우혁은 1990년대 H.O.T. 멤버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로 활동하며 앨범 발표, 패션쇼 모델, 중국 활동 등을 하였고, H.O.T. 재결합 이후에도 활동을 이어갔다. - 세종대학교 대학원 동문 - 신문선
신문선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방송 해설위원, 스포츠 행정가로,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국가대표팀 주장과 K리그 선수로 활동했으며, 방송 해설위원, 성남 FC 대표이사, 광고 출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인제대학교 교수 - 김규환 (1956년)
김규환은 품질관리 전문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며 국가품질명장으로 선정될 정도로 전문성을 인정받았고,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내며 정계에 입문하여 산업통상자원위원회 활동과 자유한국당 당직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 인제대학교 교수 - 이만기 (씨름 선수)
이만기는 1980년대 씨름계를 석권하며 '모래판의 황제'로 불린 씨름 선수 출신 방송인이자 교수로, 천하장사 10회 등 수많은 타이틀을 획득했고 은퇴 후 교수, 해설위원, 방송인,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상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상목 |
출생일 | 1947년 7월 11일 |
출생지 | 충청남도 홍성군 |
본관 | 달성 |
종교 | 개신교 |
학력 | |
학력 |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
경력 | |
경력 | 보건사회부 장관 신한국당 당무위원 동아대학교 석좌교수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지역구 | 전국구 서울 강남구 갑(15) |
의원 선수 | 3 |
의원 대수 | 13·14·15 |
2. 학력
서울재동국민학교 졸업, 경기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미국 앰허스트대학 경제학과 학사,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세종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3. 경력
서상목(Sang-Mok Suh영어)은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경제학자로 근무했다.[2] 유엔 사무총장의 지속가능발전 고위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2]
한국 사회복지협의회(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KNCSW) 회장 재임 기간 동안 KNCSW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우수한 등급을 받았다.[5]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코로나-19 범유행(COVID-19 pandemic)이 발생했고, 그는 한국에서 코로나19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6] 이와 관련하여 그는 한국 연금 및 복지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우선순위로 언급하기도 했다.[7]
3. 1. 경제 및 연구 분야
서상목은 1969년 앰허스트 대학교(Amherst College)에서 경제학 및 수학 학사 학위를, 1974년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경제학자로, 1978년부터 1988년까지 한국개발연구원(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에서 근무했다.[2]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원장을 역임하였다.
보건사회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유엔 사무총장의 지속가능발전 고위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2] 유엔 고위급 자문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다.
美 스탠퍼드 대학교 후버연구소 초빙연구위원, 명지대학교 정보통신경영대학원 원장(2002년 12월 ~ ), 인제대학교 석좌교수, 동아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2015년 8월부터 데일리경제 회장을 맡고있다. 2017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제32 ~ 33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을 역임했다.[3][4] 이 기간 동안 KNCSW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우수한 등급을 받았다.[5]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코로나-19 범유행(COVID-19 pandemic)이 발생했고, 그는 한국에서 코로나19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6] 이와 관련하여 그는 한국 연금 및 복지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우선순위로 언급하기도 했다.[7] 대한민국헌정회 정책연구위원회 분과위원회 보건복지위원장, 대한민국헌정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3. 2. 정계 활동
서상목은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경제학자로, 1978년부터 1988년까지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근무했다.[2] 1988년에는 민정당 정책조정부실 실장을 역임했다.
보건사회부 장관(1993-1995)을 역임했으며, 유엔 사무총장의 지속가능발전 고위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2]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 한국 아동ㆍ인구ㆍ환경 의원연맹(CPE) 회장, 아태환경개발의원회의(APPCED) 집행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사회복지협의회(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KNCSW) 회장을 역임했으며,[3][4] 이 기간 동안 KNCSW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우수한 등급을 받았다.[5]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이 발생했고, 그는 한국에서 코로나19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6] 이와 관련하여 그는 한국 연금 및 복지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우선순위로 언급하기도 했다.[7]
美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 초빙연구위원, 2002년 12월부터 명지대학교 정보통신경영대학원 원장, 인제대학교 및 동아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2015년 8월 데일리경제 회장을 역임하였고, 대한민국헌정회 정책연구위원회 분과위원회 보건복지위원장 및 대한민국헌정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3. 3. 국제기구 및 NGO 활동
세계은행(IBRD) 경제조사역과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원장을 역임했다.[2] UN고위급 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하였으며, 한국 아동ㆍ인구ㆍ환경 의원연맹(CPE) 회장, 아태환경개발의원회의(APPCED) 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美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 초빙연구위원, 명지대학교 정보통신경영대학원 원장, 인제대학교, 동아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2] 2015년 8월 데일리경제 회장을 역임했고, 2017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제32 ~ 33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을 역임했다.[3][4] 대한민국헌정회 정책연구위원회 분과위원회 보건복지위원장 및 대한민국헌정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서상목(Sang-Mok Suh)은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경제학자로 근무했다.[2] 유엔 사무총장의 지속가능발전 고위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2] 한국 사회복지협의회(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KNCSW) 회장 재임 기간 동안 KNCSW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우수한 등급을 받았다.[5]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이 발생했고, 그는 한국에서 코로나19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6] 이와 관련하여 그는 한국 연금 및 복지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우선순위로 언급하기도 했다.[7]
3. 4. 사회복지 분야
서상목은 1969년 앰허스트대학교에서 경제학 및 수학 학사 학위를, 1974년 스탠퍼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세계은행에서 경제학자로, 1978년부터 1988년까지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근무했다.[2] 보건사회부 장관(1993-1995)을 역임했으며, 유엔 사무총장의 지속가능발전 고위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2] 2017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사회복지협의회(KNCSW) 회장을 역임했으며,[3][4] 이 기간 동안 KNCSW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우수한 등급을 받았다.[5] 재임 기간 동안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했고, 한국에서 코로나19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6] 이와 관련하여 한국 연금 및 복지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우선순위로 언급하기도 했다.[7]
4.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88년 | 총선 | 민주정의당 | 6,670,494표 (34.0%) | 전국구 23번 | 당선 | 초선 |
1992년 | 총선 | 민주자유당 | 7,923,718표 (38.5%) | 전국구 21번 | 당선 | 재선 |
1996년 | 총선 | 신한국당 | 43,437표 (38.13%) | 1위 | 당선 | 3선 |
2008년 | 총선 | 무소속 | 12,389표 (13.17%) | 3위 | 낙선 | |
2012년 | 총선 | 자유선진당 | 22,865표 (29.63%) | 2위 | 낙선 |
4.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민주정의당)
서상목은 1988년 제13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23번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초선 의원이 되었다. 민주정의당은 이 선거에서 6,670,494표(34.0%)를 득표하였다.4.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민주자유당)
서상목은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전국구 21번으로 출마하여 재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민주자유당은 이 선거에서 7,923,718표(38.5%)를 획득하였다.4.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강남구 갑, 신한국당)
서상목은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서울 강남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득표율은 38.13% (43,437표)였다.4. 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강남구 갑, 무소속)
서상목은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강남구 갑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12,389표(13.17%)를 얻어 3위로 낙선하였다.4. 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홍성군·예산군, 자유선진당)
서상목은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선진당 후보로 충남 홍성군·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22,865표(29.63%)를 얻어 2위로 낙선하였다.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1-05
[2]
웹사이트
officers and staff
https://www.icsw.org[...]
2023-01-05
[3]
웹사이트
Hanyang University, the 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Stanford University Discuss Global Cooperation for Social Innovation
http://www.newshyu.c[...]
2023-01-19
[4]
웹사이트
복지넷 {{!}} 회장 소개 {{!}} 역대회장
https://www.bokji.ne[...]
2023-01-05
[5]
웹사이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공공기관 경영평가 3년 연속 ‘A등급’ 달성
https://www.donga.co[...]
2023-01-19
[6]
웹사이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코로나19 위기 극복 위한 대정부 건의
https://www.ajunews.[...]
2023-01-19
[7]
웹사이트
[인터뷰] 서상목 "연금과 복지 전달체계 개혁 시급"
https://www.yna.co.k[...]
2023-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