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오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오릉은 동구릉 다음으로 규모가 큰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 등 5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도 명종의 장자인 순회세자의 묘인 순창원, 영조의 후궁 영빈 이씨의 묘인 수경원,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의 묘인 대빈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문화유산 - 서삼릉
    서삼릉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왕실의 능원이며, 희릉, 효릉, 예릉 등의 능과 원, 묘 등이 있으며 일부 구역은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 고양시의 문화유산 - 고양 행주산성
    고양 행주산성은 임진왜란 행주대첩 격전지로 역사적 의미가 깊은 경기도 고양시 소재 산성으로, 백제 시대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추정되며 조선 시대에 축조되었고, 현재 사적 제56호로 지정되어 권율 장군 관련 유적과 기념비가 있으며, 행주대첩 기념 문화제를 비롯한 다양한 축제가 개최된다.
  • 조선의 왕릉 - 태강릉
    태릉은 조선 중종의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의 단릉으로, 원래 중종의 정릉 옆에 묻히길 원했으나 침수 문제로 현재 위치에 안장되었으며, 제향은 태릉봉향회에서 주관하고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 인근에 강릉과 태릉선수촌이 있고 2014년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
  • 조선의 왕릉 - 서삼릉
    서삼릉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왕실의 능원이며, 희릉, 효릉, 예릉 등의 능과 원, 묘 등이 있으며 일부 구역은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 경기도의 사적 - 연천 전곡리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은 1978년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으로, 아슐리안 석기를 포함한 다양한 석기가 출토되었으며 전곡선사박물관이 건립되어 운영되고 구석기축제가 개최된다.
  • 경기도의 사적 - 서삼릉
    서삼릉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왕실의 능원이며, 희릉, 효릉, 예릉 등의 능과 원, 묘 등이 있으며 일부 구역은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서오릉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고양 서오릉
국가대한민국
유형사적
지정 번호198
지정일1970년 5월 26일
주소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92번지
시대조선시대
소유문화재청
면적1,870,267m2
꼬리표고양 서오릉
문화재청 ID13,01980000,31

2. 역사

서오릉은 동구릉 다음으로 규모가 큰 조선 왕실의 왕릉군이다. 1457년(세조 3) 세조의 장자 의경세자(덕종)의 묘(현 경릉)를 처음으로 만든 이후 여러 왕과 왕비, 후궁들의 무덤이 추가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 1. 조선 왕조의 왕릉 조성

조선 왕실의 무덤은 묻힌 사람의 신분에 따라 왕과 왕비의 무덤은 '', 왕의 생모·왕세자·빈의 무덤은 ‘원’, 대군·공주 등의 무덤은 ‘묘’로 구분되었다. 서오릉에는 5기의 능 이외에도 조선왕조 최초의 ‘원’인 명종의 장자 순회세자의 묘 순창원, 21대 영조의 후궁으로 사도세자의 어머니인 영빈 이씨의 묘 수경원, 19대 숙종의 후궁이자 20대 경종의 어머니인 희빈 장씨의 묘 대빈묘가 있다.[1]

1457년(세조 3) 세조의 장자 의경세자(덕종)의 묘(현 경릉)를 처음으로 만든 이후 의경세자가 덕종으로 추존되면서 경릉으로 개명하고, 덕종의 비 소혜왕후가 훗날 경릉에 같이 안장된다. 이후 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창릉, 19대 숙종의 원비인 인경왕후의 익릉, 숙종과 제1계비 인현왕후·제2계비 인원왕후의 명릉, 21대 영조의 원비인 정성왕후의 홍릉이 차례로 조성되었다.[1]

경릉은 동원이강(東原異岡)의 형식으로, 능침의 배치는 왕이 우측에, 왕비가 좌측에 모셔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릉은 왼편에 왕릉이, 오른편에 왕비릉이 있다. 경릉의 왕비릉은 능제가 왕릉의 형식을 갖춘데 비하여 왕릉은 상대적으로 간소하다. 이는 덕종이 세자에 있을 때 죽었기 때문이고, 소혜왕후덕종의 추존에 따라 대비에 책봉된 후 죽었기 때문이다.[1]

창릉은 서오릉 영역 내 왕릉으로 조영된 최초의 능으로, 능침에 병풍석을 세우지는 않았으나 봉분 주위에 난간석을 두르고 있다. 석물 배치는 일반 왕릉과 같고, 양쪽 능침 아래 중간에 정자각과 홍살문을 잇는 축의 양 옆으로 수라간, 수복방 등이 대칭하여 배치되어 있다.[1]

익릉의 봉분은 병풍석은 생략하고 난간석을 둘렀으며, 다른 왕릉과는 조금 다르게 석주가 아닌 동자석 상단부에 십이간지를 글자로 새겨 놓았다. 정자각은 능침 언덕 아래에 있으며, 현종숭릉 정자각과 같이 당시 유행하던 익랑이 딸려 있다. 정자각과 홍살문 사이의 향어로는 직선으로 경사가 졌으며, 중간에 계단을 두어 지형에 맞춰 설치하였다.[1]

명릉은 숙종인현왕후의 능이 쌍릉으로 나란히 조영되고, 인원왕후의 능은 다른 편 언덕에 단릉 형식으로 모셔져 동원이강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명릉은 일반적인 왕릉과 달리 명릉에서 가장 낮은 서열의 인원왕후의 능이 가장 높은 자리인 오른쪽 언덕에 모셔져 있다. 명릉은 숙종의 명에 의해 능역에 드는 인력과 경비를 절감하여 부장품을 줄이고 석물 치수도 실물 크기에 가깝게 하는 등 간소한 제도로 조영되었다.[1]

홍릉은 영조의 첫 번째 비인 정성왕후의 능이다. 영조정성왕후의 능지를 정하면서 장차 함께 묻히고자 왕비의 능 오른쪽에 자리를 비워두고 능의 석물 등을 쌍릉의 형식에 맞추어 배치하였다. 그러나 영조의 능은 정순왕후와 함께 동구릉에 자리 잡게 되었고, 홍릉의 오른 편은 현재 빈 상태로 석물만 쌍릉 양식으로 남아 있다. 홍릉의 봉분에는 병풍석은 없으나 난간석이 설치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숙종의 명릉 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국조속오례의』와 『국조상례보편』의 제도가 잘 반영되어 있다.[1]

2. 2. 서오릉의 확장

1457년(세조 3) 세조의 장자 의경세자(덕종)의 묘(현 경릉)를 처음으로 만들었다.[1] 이후 의경세자가 덕종으로 추존되면서 경릉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덕종의 비 소혜왕후가 훗날 경릉에 같이 안장되었다.[1] 이후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창릉, 숙종의 원비인 인경왕후의 익릉, 숙종과 제1계비 인현왕후·제2계비 인원왕후명릉, 영조의 원비인 정성왕후의 홍릉이 차례로 조성되었다.[1]

조선왕실의 무덤은 묻힌 사람의 신분에 따라 왕과 왕비의 무덤은 ‘’, 왕의 생모·왕세자·빈의 무덤은 ‘원’, 대군·공주 등의 무덤은 ‘묘’로 구분되었다.[1] 서오릉에는 5기의 능 이외에도 조선왕조 최초의 ‘원’인 명종의 장자 순회세자의 묘 순창원, 영조의 후궁으로 사도세자(장조)의 어머니인 영빈 이씨의 묘 수경원, 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의 어머니인 희빈 장씨의 묘 대빈묘가 있다.[1]

2. 3. 원과 묘의 추가

조선 왕실의 무덤은 묻힌 사람의 신분에 따라 왕과 왕비의 무덤은 (陵), 왕의 생모·왕세자·빈의 무덤은 원(園), 대군·공주 등의 무덤은 ‘묘(墓)’로 구분되었다. 서오릉에는 5기의 능 이외에도 조선 최초의 ‘원’인 명종의 장자 순회세자의 순창원(順昌園), 21대 영조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장조)의 어머니인 영빈 이씨의 수경원(綏慶園), 19대 숙종의 후궁이자 20대 경종의 어머니인 희빈 장씨대빈묘(大嬪墓)가 있다.[1]

3. 왕릉

3. 1. [[경릉 (조선 덕종)|경릉]]

추존왕 덕종과 정비 소혜왕후(인수대비) 한씨의 능이다. 덕종은 세조의 맏아들이자, 성종의 아버지이며, 소혜왕후 한씨는 성종의 어머니이다.[1]

3. 2. [[창릉 (조선)|창릉]]

조선 제8대 왕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 한씨의 능이다.

3. 3. [[익릉]]

숙종의 정비 인경왕후 김씨의 능이다.[1]

3. 4. [[명릉 (조선 숙종)|명릉]]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민씨, 제2계비 인원왕후 김씨의 능이다.

3. 5. [[홍릉 (정성왕후)|홍릉]]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 서씨의 능이다.

4. 원과 묘

명종의 맏아들 순회세자(順懷世子)와 공회빈 윤씨의 묘인 순창원, 영조의 후궁 영빈 이씨의 묘인 수경원,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의 묘인 대빈묘가 있다.[1][2]

4. 1. [[순창원]]

명종의 맏아들 순회세자공회빈 윤씨의 무덤이다.

4. 2. [[수경원]]

영조의 후궁 영빈 이씨의 묘이다. 원래 경기도 고양군의 옛 연희궁 자리(현재의 서울특별시 신촌동)에 위치하였으나 1970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1]

4. 3. [[대빈묘]]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의 묘이다. 원래 경기도 광주군 오포면 문형리에 있었으나 1969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2]

5. 기타

(원문 소스 및 하위 섹션 내용이 없어, 주어진 문장만으로는 추가 정보 확인 및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주어진 문장은 문법 및 형식에 맞게 작성되었습니다.)

5. 1. 사진

참조

[1] 웹인용 영빈(暎嬪) 이씨 수경원 http://goyang.cha.go[...] 문화재청 서오릉관리소 2012-02-16
[2] 웹인용 희빈(禧嬪) 장씨 대빈묘 http://goyang.cha.go[...] 문화재청 서오릉관리소 2012-02-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